KR101091320B1 -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320B1
KR101091320B1 KR1020090087452A KR20090087452A KR101091320B1 KR 101091320 B1 KR101091320 B1 KR 101091320B1 KR 1020090087452 A KR1020090087452 A KR 1020090087452A KR 20090087452 A KR20090087452 A KR 20090087452A KR 101091320 B1 KR101091320 B1 KR 10109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high voltage
locking
voltag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674A (ko
Inventor
이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3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에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단자가 상기 플러그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상기 플러그를 잡아주는 그랩 유닛과; 상기 그랩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그랩 유닛이 상기 플러그와 락킹 유지 또는 락킹 해제되게 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자체 사이즈가 줄어들어 작업 공간의 제약을 덜 받을 뿐만 아니라, 상대 커넥터에 조립 또는 분리할 때 작업자가 많은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101)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110)의 플러그(115, 도 1의 (b) 참조)에 접속되는 단자(미도시)가 마련되고 측면에 걸림 돌기(180)가 돌출 형성된 커넥터 몸체(120)와, 커넥터 몸체(120)의 양측에 마련되어 걸림 돌기(180)가 이동되는 슬롯(195)이 형성된 레버(19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101)를 상대 커넥터(1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90)를 아래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내려 걸림 돌기(180)가 슬롯(195)을 따라 이동되어 락킹이 해제되도록 해야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고전압 커넥터(101)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110)에 삽입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레버(190)를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킬 공간이 필요하므로 작업 공간의 제약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101)를 상대 커넥터(110)에 조립 또는 분리할 때 레버(19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많이 들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따라,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에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단자가 상기 플러그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상기 플러그를 잡아주는 그랩 유닛과; 상기 그랩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그랩 유닛이 상기 플러그와 락킹 유지 또는 락킹 해제되게 하는 락킹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는 제1 플러그 및 제2 플러그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플러그에 각각 대응하도록 제1 단자 및 제2 단자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그랩 유닛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가 각각 통과되며, 접철되는 브릿지로 연결된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플러그에 각각 삽입될 때,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가 각각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플러그를 잡아주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단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플러그에 밀착되기 위한 제1 밀착 부재 및 제2 밀착 부재가 마련된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조립되는 케이스와; 상기 브릿지가 결합되어, 상기 단자가 상기 플러그에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소정 거리 이동된 후 그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 부재를 눌러 상기 걸림단으로부터 상기 이동 부재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 사이즈가 줄어들어 작업 공간의 제약을 덜 받을 뿐만 아니라, 상대 커넥터에 조립 또는 분리할 때 작업자가 많은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로부터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1)는 크게 상대 커넥터(10)의 플러그(15)에 접속되는 단자(25)가 마련된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에 마련되어 플러그(15)를 잡아주는 그랩 유닛(grab unit, 40, 도 5 참조)과, 그랩 유닛(40)과 연동하여 그랩 유닛(40)이 플러그(15)와 락킹 유지 또는 락킹 해제되게 하는 락킹부(80)로 구성된다.
플러그(15)는 제1 핀(11a)이 설치된 제1 플러그(11)와, 제2 핀(12a)이 설치된 제2 플러그(12)로 구성된다.
하우징(20)의 내부에는 플러그(15)에 삽입되는 단자(25)가 마련되는데, 단자(25)는 제1 플러그(11)에 대응하여 제1 플러그(11)에 삽입되는 제1 단자(21)와, 제2 플러그(12)에 대응하여 제2 플러그(12)에 삽입되는 제2 단자(22)로 구성된다.
제1 단자(21)에는 제1 핀(11a)이 삽입되기 위한 제1 핀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단자(22)에는 제2 핀(12a)이 삽입되기 위한 제2 핀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랩 유닛(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되는 브릿지(43)로 연결된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와,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에 형성되어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축(51) 및 제2 회전축(52)과, 하우징(20)에 지지되어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61) 및 제2 스프링(62)으로 구성된다.
제1 몸체(41)는 제1 단자(21)가 통과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ㄴ"자 모양(도 4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제1 회전축(5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회전축(51)은 하우징(20)에 형성된 제1 축 지지부(31a)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제1 몸체(41)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플러그(11)에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41)의 상단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밀착 부재(71)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제1 몸체(41)가 제1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제1 플러그(11)를 향해 회전될 때(제1 단자(21)가 제1 플러그(11)에 삽입될 때), 제1 밀착 부재(71)가 제1 플러그(11)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플러그(11)와 밀착되는 제1 밀착 부재(71)의 면은 제1 플러그(11)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반원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제2 몸체(42)는 브릿지(43)를 중심으로 제1 몸체(41)와 대칭되는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제2 회전축(5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2 회전축(52)은 하우징(20)에 형성된 제2 축 지지부(32a)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제2 몸체(42)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플러그(12)에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몸체(42)의 상단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2 밀착 부재(72)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제2 몸체(42)가 제2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제2 플러그(12)를 향해 회전될 때(제2 단자(22)가 제2 플러그(12)에 삽입될 때), 제2 밀착 부재(72)가 제2 플러그(12)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2 플러그(12)와 밀착되는 제2 밀착 부재(72)의 면은 제2 플러그(12)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반원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제1 스프링(61)은 하우징(20)에 형성된 제1 지지편(31b)에 대해 지지되어 초기에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었다가, 제1 단자(21)가 제1 플러그(11)에 삽입될 때 제1 플러그(11)에 의해 제1 몸체(41)가 직선 방향으로 눌려 제1 몸체(41)가 제1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장되면서 제1 몸체(41)를 제1 플러그(11) 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한편, 제2 스프링(62)은 하우징(20)에 형성된 제2 지지편(32b)에 대해 지지되어 초기에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었다가, 제2 단자(22)가 제2 플러그(12)에 삽입될 때 제2 플러그(12)에 의해 제2 몸체(42)가 직선 방향으로 눌려 제2 몸체(42)가 제2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장되면서 제2 몸체(42)를 제2 플러그(12) 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락킹부(80)는 단자(25)가 플러그(15)에 삽입되어 그랩 유닛(40)이 플러그(15)를 잡아줄 때 그랩 유닛(40)의 위치를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20)에 일체로 조립되는 케이스(83)와, 케이스(8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 부재(81)와, 이동 부재(81)가 소정 거리 이동된 후 그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단(82, 도 7 참조)으로 구성된다.
이동 부재(81)는"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83)에 형성된 레일(미도시)이 안내되기 위한 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된 몸체(81a)와, 몸체(81a)의 상부면 전방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81b)와, 스토퍼(81b)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버튼(85)에 접촉되는 접촉편(81c)으로 구성된다.
몸체(81a)는 브릿지(43)와 결합되어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가 각각 제1 플러그(11) 및 제2 플러그(12)에 의해 가압되어 후방으로 직선 이동될 때 같은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에, 몸체(81a)와 일체로 움직이는 스토퍼(81b)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단(82)에 걸림 유지된다. 여기서, 몸체(81a)와 브릿지(43)의 결합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히 기술하지 않았으나, 브릿지(43)가 몸체(81a)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공지된 범위 내에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접촉편(81c)은 몸체(81a)가 후방으로 직선 이동될 때 몸체(81a)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 때 케이스(83)에 설치된 버튼(85)의 자유 단부가 들어올려질 정도까지 이동된다.
버튼(85)은 이동 부재(81)의 접촉편(81c)을 눌러 스토퍼(81b)가 걸림단(82)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작업자가 버튼(85)을 누르면 이동 부재(81)가 전방으로 직선 이동됨에 따라 스토퍼(81b)가 걸림단(82)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1)가 상대 커넥터(10)에 삽입될 때 그랩 유닛(40) 및 락킹부(80)가 작동되는 원리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전압 커넥터(1)가 상대 커넥터(10)에 삽입되기 전 상태는 도 6과 같다. 이 경우, 그랩 유닛(40)의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는 브릿지(43)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꺾인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스프링(61) 및 제2 스프링(62)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다음, 작업자가 고전압 커넥터(1)의 제1 밀착 부재(71) 및 제2 밀착 부재(72)가 각각 상대커넥터(10)의 제1 플러그(11) 및 제2 플러그(12)에 접촉될 때까지 고전압 커넥터(1)를 상대 커넥터(10)를 향해 전방으로 약간 밀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21) 및 제2 단자(22)는 각각 제1 플러그(11) 및 제2 플러그(12)에 약간 삽입된다. 이 때, 제1 플러그(11) 및 제2 플러그(12)는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를 후방(P, 도 6 참조)으로 약간 밀어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가 도 7과 같이 후방으로 각각 직선 이동되는 동시에, 제1 회전축(51) 및 제2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안쪽 방향(플러그(15)를 향해)으로 약간 회전되고, 그 결과 제1 밀착 부재(71) 및 제2 밀착 부재(72)가 도 7과 같이 각각 제1 플러그(11)와 제2 플러그(12)에 접촉된다. 여기서,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가 후방으로 직선 이동될 때 브릿지(43, 도 5 참조)와 연결되어 있던 이동 부재(81)는 후방(Q, 도 6 참조)으로 약간 슬라이딩되어 도 7과 같은 위치로 이동된다.
그 후, 작업자가 고전압 커넥터(1)를 상대 커넥터(10)를 향해 전방으로 완전히 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21) 및 제2 단자(22)는 각각 제1 플러그(11) 및 제2 플러그(12)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 때, 제1 플러그(11) 및 제2 플러그(12)는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를 후방(P', 도 7 참조)으로 최대한 밀어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가 도 8과 같이 후방으로 각각 직선 이동되는 동시에, 제1 회전축(51) 및 제2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안쪽 방향(플러그(15)를 향해)으로 완전히 회전되고, 그 결과 제1 밀착 부재(71) 및 제2 밀착 부재(72)가 도 8과 같이 각각 제1 플러그(11)와 제2 플러그(12)에 완전히 밀착된다. 여기서,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가 후방으로 직선 이동될 때 브릿지(43, 도 5 참조)와 연결되어 있던 이동 부재(81)는 후방(Q', 도 7 참조)으로 완전히 슬라이딩되어 도 8과 같이 스토퍼(81b)가 걸림단(82)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 밀착 부재(71) 및 제2 밀착 부재(72)가 제1 플러그(11) 및 제2 플러그(12)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도 8과 같은 상태에서는 브릿지(43)가 펴져 있어 도 6 및 도 7에서와는 달리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가 평평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고전압 커넥터(1)를 상대 커넥터(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버튼(85)을 아래로 누르면 버튼(85)의 자유 단부가 접촉편(81c)을 전방으로 밀게 되어 스토퍼(81b)가 걸림단(82)으로 걸림 해제된다. 그 결과, 각 스프링(61, 62)의 장력에 의해 이동 부재(81)가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면서 제1 몸체(41) 및 제2 몸체(42)가 전방으로 직선 이동되는 동시에 제1 회전축(51) 및 제2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6의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은 레버(190)를 커넥터 몸체(120)의 외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자체 사이즈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작업 공간의 제약을 덜 받을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1)를 상대 커넥터(10)에 조립 또는 분리할 때 작업자가 많은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대 커넥터(10)로부터 분리할 때 버튼(85)을 누르면 락킹이 해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a)의 고전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로부터 결합된 상태에서 그랩 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의 (a)는 상대 커넥터에 고전압 커넥터가 삽입되지 않았을 경우 그랩 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상대 커넥터에 고전압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경우 그랩 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단자가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에 삽입될 때 그랩 유닛 및 락킹부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전압 커넥터 10 : 상대 커넥터
15 : 플러그 20 : 하우징
25 : 단자 40 : 그랩 유닛
41 : 제1 몸체 42 : 제2 몸체
43 : 브릿지 51 : 제1 회전축
52 : 제2 회전축 61 : 제1 스프링
62 : 제2 스프링 71 : 제1 밀착 부재
72 : 제2 밀착 부재 80 : 락킹부
81 : 이동 부재 82 : 걸림단
83 : 케이스 85 : 버튼

Claims (6)

  1.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에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단자가 상기 플러그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상기 플러그를 잡아주는 그랩 유닛과;
    상기 그랩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그랩 유닛이 상기 플러그와 락킹 유지 또는 락킹 해제되게 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제1 플러그 및 제2 플러그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플러그에 각각 대응하도록 제1 단자 및 제2 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랩 유닛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가 각각 통과되며, 접철되는 브릿지로 연결된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플러그에 각각 삽입될 때,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가 각각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플러그를 잡아주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단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플러그에 밀착되기 위한 제1 밀착 부재 및 제2 밀착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조립되는 케이스와;
    상기 브릿지가 결합되어, 상기 단자가 상기 플러그에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소정 거리 이동된 후 그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 부재를 눌러 상기 걸림단으로부터 상기 이동 부재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90087452A 2009-09-16 2009-09-16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109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452A KR101091320B1 (ko) 2009-09-16 2009-09-16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452A KR101091320B1 (ko) 2009-09-16 2009-09-16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74A KR20110029674A (ko) 2011-03-23
KR101091320B1 true KR101091320B1 (ko) 2011-12-07

Family

ID=4393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452A KR101091320B1 (ko) 2009-09-16 2009-09-16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3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665A (ja) 2006-09-15 2008-03-27 Jst Mfg Co Ltd 差込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665A (ja) 2006-09-15 2008-03-27 Jst Mfg Co Ltd 差込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74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44186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1090033A1 (ja) 嵌合補助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0917016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2037652A (ja) 光コネクタ、取り外し治具、及び光コネクタの取り外し構造
CN107799959B (zh) 杠杆式连接器
JP4247920B2 (ja) レバーコネクタ
JP500721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50004829A1 (en) Lever-Type Connector
KR20140117502A (ko) 레버식 커넥터
JP6431518B2 (ja) コネクタ
JP2004071572A (ja) プラグコネクタ
CN110838650A (zh) 杠杆型连接器
JP482274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05232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406183B2 (ja) リッド用ロック装置
CN111697374B (zh) 杆式连接器
US5575678A (en) Locking connector
JP5885597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30127501A (ko) 커넥터
KR101091320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JP201807367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3125582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219188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5198004A (ja) コネクタ用端子の組み付け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