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50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501A
KR20130127501A KR1020137023051A KR20137023051A KR20130127501A KR 20130127501 A KR20130127501 A KR 20130127501A KR 1020137023051 A KR1020137023051 A KR 1020137023051A KR 20137023051 A KR20137023051 A KR 20137023051A KR 20130127501 A KR20130127501 A KR 2013012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onnector
operation member
mating
standby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703B1 (ko
Inventor
오사무 오시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호 정합되는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과, 초기 정합된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을 완전 정합시키는 정합조작부재(20)와, 정합조작부재(20)를 가압하여 대기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이동시키는 그로메트(40)와, 정합조작부재가 대기위치에서 임시 잠금결합되고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된 동안 임시 잠금결합을 해제하는 임시 잠금 암(1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정합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극 커넥터와 같이 높은 정합력이 요구되는 커넥터에는 정합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레버(정합조작부재 해당)를 포함하는 레버식 커넥터가 이용된다(특허문헌1 참조).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호 정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 중 일 커넥터 하우징에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레버를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레버와 타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캠 기구의 작용에 의해 양 커넥터 하우징을 결합하거나 분리(이탈)하게 된다.
일본특허공개 제2009-99469호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레버가 조작되는 힘이 모두 사람의 손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성(작업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 손에 의해 커넥터가 정합되는 힘을 제거 또는 경감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다음 구성을 통해 달성된다.
(1)커넥터로서:
상호 완전 정합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각각 유지되는 단자들을 접속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정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고, 대기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변위되어, 초기 정합된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을 캠 기구에 의해 완전 정합시키는 정합조작부재와;
상기 정합조작부재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조작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되기 이전에,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받는 상기 정합조작부재를 임시 잠금결합하는 임시 잠금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잠금결합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될 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정합조작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정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정합조작부재에는 캠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 홈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될 때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와 결합하고, 또한 돌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정합조작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돌출한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측부에 수용되는 상기 조작위치로 미끄럼 이동되고, 그 결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인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완전 정합되고,
상기 캠 기구는 상기 돌기와 상기 캠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을 덮도록 그로메트가 장착되고,
상기 그로메트는 상기 정합조작부재가 대기위치에 있는 동안 확대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유지되는 탄성부재로서 설치되고, 상기 그로메트가 수축될 때 생성되는 힘으로 상기 정합조작부재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조작위치로 가압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는 임시 잠금기구로서의 임시 잠금 암이 설치되며, 상기 임시 잠금 암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되기 이전에, 대기위치에서 상기 그로메트가 수축될 때 힘을 받는 상기 정합조작부재를 임시로 잠금결합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됨에 따라서 상기 임시 잠금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상기 구성 (1)의 커넥터에 따르면,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될 때, 탄성부재가 자동적으로 조작력으로서의 가압력을 정합조작부재에 가하여 정합조작부재를 대기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변위시키며, 이에 따라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완전 정합된다. 그 결과,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을 정합하기 위해 손으로 가해지는 힘을 경감하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고, 정합 조작(정합 동작)의 효율(정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 (2)의 커넥터에 따르면, 제1커넥터 하우징이 캠 홈을 구비하고 커넥터 정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정합조작부재가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며, 한편, 제2커넥터 하우징에는 캠 홈에 결합하는 돌기가 설치된다. 따라서, 그 돌기는 정합조작부재가 임시 잠금 암에 의해 대기위치에서 임시잠금이 해제되도록 작용할 때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그로메트의 탄성에 의해 정합조작부재가 조작위치에 미끄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로메트 외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정합조작부재를 대기위치로부터 조작위치까지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을 정합하기 위해 손으로 가하는 힘을 경감하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고, 정합 조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정합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그로메트가 제거된 상태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커넥터가 정합된 이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그로메트가 제거된 상태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제1커넥터 하우징(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측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정합조작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정합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그로메트가 제거된 상태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커넥터가 정합된 이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그로메트가 제거된 상태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제1커넥터 하우징(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측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커넥터는 상호 정합된 제1커넥터(피메일 커넥터)(10) 및 제2커넥터(메일 커넥터)(100)와, 제1커넥터(10)의 외주를 덮도록 장착된 탄성재료(예를 들면, 고무)의 그로메트[탄성부재(40)에 해당]를 포함한다.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100)는 주로 제1커넥터 하우징(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메일 커넥터 하우징)(101)을 구비한다.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100)가 상호 완전 정합될 때,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에 각각 유지되는 단자들(미도시)이 연결된다.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100)는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에 단자를 수용, 고정하여 구성되며, 정합조작부재(20)가 제1커넥터 하우징(11)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100)가 정합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하 X 방향이라 함)이라 가정할 때, 정합조작부재(20)는 X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방향(이하 Y방향이라 함)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다. 정합조작부재(20)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 하우징(11)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한 대기위치로부터, 도 2의 (b)와 같이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측부에 수용되는 조작위치로 미끄럼 이동된다. 정합조작부재(20)가 이와 같이 미끄럼 이동할 때, 초기 정합된 제1커넥터 하우징(11)과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완전 정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정합조작부재(20)에는 캠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캠 홈(23)은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초기 정합될 때 제2 커넥터 하우징(101)에 설치된 돌기(102)와 결합된다. 또한, 캠 홈(23)이 캠 홈(23)과 돌기(102)가 결합되는 동안, 이 캠홈(23)은 정합조작부재(20)가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측방향으로 돌출한 대기위치로부터 정합조작부재(20)가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측부로 수용되는 조작위치로 미끄럼 이동되며, 이에 따라서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제1커넥터 하우징(11)에 인입되고 이 제1커넥터 하우징(11)에 완전 정합된다. 캠 홈(23)와 돌기(102A)에 의해 캠 기구가 구성되어 정합조작부재(20)의 미끄럼 운동을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의 정합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다음에,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 하우징(11)에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전방측으로 돌출한 중앙 허브부(15)가 설치되고, 또한, 상벽(11A), 하벽(11B), 좌측벽(11C)을 포함한 둘레측벽이 설치되어 있다. 중앙 허브부(15)와 둘레측벽 사이에 환상 홈(14)이 형성된다. 제1커넥터의 우측벽이 절결되어 있고, 그 우측벽의 위치에 정합조작부재(20)가 장착된다. 또한, 단자는 중앙 허브부(15)에 수용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슬라이드벽(22, 22)의 기단부들을 연결벽(21)으로 상호 연결하여 정합조작부재(20)를 U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정합조작부재(20)는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상벽(11A)과 하벽(11B)의 각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부(12)에 슬라이드벽(22, 22)이 매설될 때 Y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정합조작부재(20)에서 그 상하의 슬라이드벽(22, 22)의 내면은 환형 홈(14)에 노출되며, 이 환형 홈(14) 내에 제2커넥터 하우징(101)의 둘레벽의 전방부가 진입하게 된다.
환형 홈(14)에 노출된 상하 슬라이드벽(22)의 내면에는 캠 홈(23)이 형성된다. 캠 홈(23)의 선단부(23A)는 슬라이드벽(22)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여기서 캠 홈(23)은 개방되어 있어 제2커넥터 하우징(101)의 돌기(102)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2커넥터 하우징(101)의 돌기(102)는 캠 홈(23)에 따라서 제2커넥터 하우징(101)의 상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제2커넥터 하우징(101)의 좌우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배열된다. 슬라이드 안내부(12)에는 정합조작부재(2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벽(12A)이 설치된다.
정합조작부재(20)의 연결벽(21)은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우측벽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정합조작부재(20)가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위치 내로 가압될 때 연결벽(21)은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절결된 우측벽 위치로 정확하게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슬라이드벽(22)의 기부 외면에는 슬라이드 스토퍼로서 단차부(22S)가 설치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로서의 그로메트(40)는 정합조작부재(20)의 외측 및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외주에 정합되는 파이프형상벽(41)을 구비한다. 정합조작부재(20)가 대기위치에 있을 경우, 그로메트(40)의 파이프형상벽(41)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확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향으로 수축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그로메트(40)를 수축하는 힘이 정합조작부재(20)에 가해질 때 그로메트(40)는 정합조작부재(20)가 대기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조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상벽(11A)과 하벽(11B)에는 그로메트(40)의 파이프형상벽(41)을 수축시키는 힘을 받은 상태에 있는 정합조작부재(20)를 임시 잠금결합하는 임시 잠금 암(16)이 임시 잠금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임시 잠금 암(16)은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초기 정합되기 이전의 대기위치에서 힘을 받고 있는 정합조작부재(20)를 임시로 잠금결합 한다.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초기 정합될 때, 임시 잠금 암(16)은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돌기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변형되며, 그 결과 임시 잠금결합이 해제된다.
즉, 임시 잠금 암(16)은 그 후방단부가 고정되고, 그 전방단부가 자유단부가 되는 캔틸레버(cantilever)로 구성된다. 임시 잠금 암(16)은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상벽(11A)과 하벽(11B)에 형성된 삽입 슬롯(17) 내에 배치된다. 임시 잠금 암(16)의 전방단부에 위치한 잠금 볼록부(16A)가 자유 상태에서 환형 홈(14) 내로 돌출하기 때문에, 정합조작부재(20)의 즉벽(22) 자유단부는 잠금 볼록부(16A)의 측면에 의해 잠금결합된다. 제2커넥터 하우징(101)의 돌기(102)가 삽입 슬롯(17) 내로 진입할 때,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초기 정합된 상태로 있을 때, 임시 잠금 암(16)의 잠금 볼록부(16A)는 외측으로 가압되어 정합조작부재(20)의 잠금이 해제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합조작부재(20)가 제1커넥터 하우징(11)에 장착되고, 이 정합조작부재(20)는 임시 잠금 암(16)에 의해 대기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로메트(40)가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외주에 장착되는 한편, 그로메트(40)의 파이프형상 벽(41)이 좌우로 확대된다. 그 결과, 그로메트(40)의 탄성수축력 F로 인해 정합조작부재(20)에 가압력이 부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커넥터(100)가 제1커넥터(10)에 초기 정합되면, 제2커넥터 하우징(101)의 돌기(102)가 제1커넥터 하우징(11)의 삽입 슬롯(17) 내에 진입하고, 임시 잠금 암(16)이 외측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운동에 따라서, 임시 잠금 암(16)이 더 이상 정합조작부재(20)를 임시로 잠금결합 하지않고, 정합조작부재(20)가 그로메트(40)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된다. 정합조작부재(20)가 내측으로 가압될 때, 삽입 슬롯(17)에 진입한 돌기(102)가 캠 홈(23)의 전방단부로부터 캠 홈(23) 내로 들어온다. 이 상태에서, 정합조작부재(20)가 그로메트(40)의 탄성에 의해 더욱 가압되면, 캠 홈(23)이 돌기(102)를 통해 제2커넥터 하우징(101)을 제1커넥터 하우징(11) 내로 인입시킨다. 이 캠 홈(23)과 돌기(102)의 협동에 의해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제1커넥터 하우징(11)에 완전 정합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초기 정합되면, 그로메트(40)는 자동적으로 조작력으로서의 탄성 가압력을 정합조작부재(20)에 가하여 정합조작부재(20)를 대기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변위시키고, 그에 따라서,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이 완전 정합된다. 그 결과, 제1커넥터 하우징(11) 및 제2커넥터 하우징(101)을 정합하기 위해 손으로 인가하는 힘을 경감하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고, 정합조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넥터 하우징(11)은 캠 홈(23)을 구비하고, 정합조작부재(20)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정합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Y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제1커넥터 하우징(11)에 장착되며, 제2커넥터 하우징(101)에는 캠 홈(23)과 결합하기 위한 돌기(102)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돌기(102)가 정합조작부재(20)로 하여금 대기위치에서 임시 잠금 암(16)에 의한 임시 잠금결합을 하지 않도록 작용하면, 정합조작부재(20)는 제1커넥터 하우징(11)에 장착된 그로메트(40)의 탄성에 의해 조작위치로 미끄럼 이동한다. 그 결과, 그로메트(40) 이외의 별도 탄성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경, 개량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그 구성요소들의 재질, 형상, 치수, 개수, 설치위치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으면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출원은 2011. 03. 01.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11-044365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따르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정합조작부재를 대기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변위시킴에 따라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을 정합하기 위해 손으로 가해지는 힘을 경감하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에 따르면, 정합조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 제1커넥터 하우징
20. 정합조작부재
23. 캠 홈(캠 기구)
101. 제2커넥터 하우징
102. 돌기(캠 기구)
40. 그로메트(탄성부재)
16. 임시 잠금 암(임시 잠금기구)

Claims (2)

  1. 커넥터로서:
    상호 완전 정합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각각 유지되는 단자들을 접속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정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고, 대기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변위되어, 초기 정합된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을 캠 기구에 의해 완전 정합시키는 정합조작부재와;
    상기 정합조작부재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조작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되기 이전에,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받는 상기 정합조작부재를 임시 잠금결합하는 임시 잠금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잠금결합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될 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조작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정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정합조작부재에는 캠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 홈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될 때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와 결합하고, 또한 돌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정합조작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돌출한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측부에 수용되는 상기 조작위치로 미끄럼 이동되고, 그 결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인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완전 정합되고,
    상기 캠 기구는 상기 돌기와 상기 캠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을 덮도록 그로메트가 장착되고,
    상기 그로메트는 상기 정합조작부재가 대기위치에 있는 동안 확대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유지되는 탄성부재로서 설치되고, 상기 그로메트가 수축될 때 생성되는 힘으로 상기 정합조작부재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조작위치로 가압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는 임시 잠금기구로서의 임시 잠금 암이 설치되며, 상기 임시 잠금 암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되기 이전에, 대기위치에서 상기 그로메트가 수축될 때 힘을 받는 상기 정합조작부재를 임시로 잠금결합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초기 정합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됨에 따라서 상기 임시 잠금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7023051A 2011-03-01 2012-03-01 커넥터 KR101472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4365A JP5721473B2 (ja) 2011-03-01 2011-03-01 コネクタ
JPJP-P-2011-044365 2011-03-01
PCT/JP2012/055241 WO2012118146A1 (ja) 2011-03-01 2012-03-0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01A true KR20130127501A (ko) 2013-11-22
KR101472703B1 KR101472703B1 (ko) 2014-12-12

Family

ID=4675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51A KR101472703B1 (ko) 2011-03-01 2012-03-01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3116B2 (ko)
JP (1) JP5721473B2 (ko)
KR (1) KR101472703B1 (ko)
CN (1) CN103477507A (ko)
DE (1) DE112012001061T5 (ko)
WO (1) WO2012118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5255B4 (de) 2014-04-10 2022-08-04 Lisa Dräxlmaier GmbH Horizontal verriegelbarer Steckverbinder
JP6245526B2 (ja) * 2014-10-17 2017-12-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607088B2 (ja) * 2016-03-04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120063B4 (de) * 2016-10-20 2018-07-1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
US9843126B1 (en) * 2017-02-21 2017-12-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with access hood and push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772B2 (ja) 1990-11-16 1996-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確認機構付きコネクタ
JP3218155B2 (ja) * 1994-10-14 2001-10-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ム部材付きコネクタ
JPH09139252A (ja) * 1995-09-14 1997-05-27 Yazaki Corp コネクタ嵌合機構
JP3326069B2 (ja) * 1996-03-29 2002-09-1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JP3181020B2 (ja) 1996-04-11 2001-07-03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JP3493963B2 (ja) * 1997-08-27 2004-02-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904584A (en) * 1997-10-28 1999-05-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e assisted grommet assembly
DE19802554A1 (de) * 1998-01-23 1999-08-05 Whitaker Corp Steckeranorndung mit einem Betätigungsschieber
JP2000138084A (ja) * 1998-11-02 2000-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675242B2 (ja) * 1999-08-04 2005-07-2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JP3607884B2 (ja) 2001-07-09 2005-01-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JP4001113B2 (ja) * 2004-01-14 2007-10-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099469A (ja) 2007-10-18 2009-05-07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FR2931305B1 (fr) * 2008-05-14 2010-06-04 Radiall Sa Connecteur multicontacts avec piece de verrouillage integree dans l'epaisseur d'un boitier
JP4523987B1 (ja) * 2009-02-27 2010-08-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スライドカム付きコネクタ
JP2011044365A (ja) 2009-08-21 2011-03-03 Fujifil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8146A1 (ja) 2012-09-07
CN103477507A (zh) 2013-12-25
KR101472703B1 (ko) 2014-12-12
JP2012182021A (ja) 2012-09-20
US20130330984A1 (en) 2013-12-12
JP5721473B2 (ja) 2015-05-20
US9083116B2 (en) 2015-07-14
DE112012001061T5 (de)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570B2 (en) Resin molded parts with lock arm, connector using it and method for forming resin molded parts with lock arm
CN106981758B (zh) 连接器
EP2637261B1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9484684B2 (en) Connector with peripheral wall having an opening and a detector slidably engaging the peripheral wall adjacent the opening for preventing widening of the opening
CN108879218B (zh) 杆式连接器
KR20130127501A (ko) 커넥터
JPH1126077A (ja)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WO2019045039A1 (ja) 部材の係止構造
CN111384643B (zh) 连接器
EP2876744B1 (en)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4304474B2 (ja) コネクタ
JP2006086090A (ja) コネクタ
JP2009104934A (ja) コネクタ
JP2009026590A (ja) コネクタ
JP3674521B2 (ja) コネクタ
JPWO2019045038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4924902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4577201B2 (ja) コネクタ
JP2004327231A (ja) コネクタ
JP2005197167A (ja) コネクタ
CN109923741B (zh) 连接器
JP2002170629A (ja) コネクタ
JP2010160942A (ja) コネクタ
JP6580464B2 (ja) コネクタ
JP5330956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