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572A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572A
KR20140117572A KR1020147023096A KR20147023096A KR20140117572A KR 20140117572 A KR20140117572 A KR 20140117572A KR 1020147023096 A KR1020147023096 A KR 1020147023096A KR 20147023096 A KR20147023096 A KR 20147023096A KR 20140117572 A KR20140117572 A KR 20140117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housing
connector
shafts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카미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10T403/595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레버 본체들(31)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레버 지지축들(11)을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으로 유도하는 제1 축 유도홈들(34),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동작 수신축들(23)을 제2 초기 체결위치들(P2)로 유도하는 제2 축 유도홈들(35),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을 회동 지점부들(36)로 유도하는 제1 통신홈들(37),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동작 수신부들(38)로 유도하는 제2 통신홈들(39), 및 상기 레버 지지축들(11)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설치시의 이동궤적들과는 상이한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라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축 분리홈들(40, 4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 {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도 17은 종래의 레버 커넥터들의 예를 나타낸다.
아래 PTL1(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 레버 커넥터(100)는 제1 커넥터 하우징(1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 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이 삽입되는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121)(후드부)를 가진다.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에 감합/분리하기 위한 조작력(operating force)이 감소될 수 있는 부재(member)이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는 축들(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한 쌍의 외측 표면들이 개재되도록(sandwiched) 서로 대립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131), 하나의 종단측에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131)을 접속하는 결합 부재(132), 상기 레버 본체들(131)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외측 표면들 상의 상기 축들(111)과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지점 구멍들(133),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후 감합 조작이 개시될 때, 레버 고정구들(lever retaining holes, 122)과 체결되고 상기 외장벽부(121)의 상기 외측 표면들에 형성되는 동작점 돌출부들(action point protruding parts, 134)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132)는 상기 레버 본체들(131)이 상기 축들(111) 주위에 회동될 때 상기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를 겸할 수도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에 대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은 다음 단계들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에 감합 접속된다.
먼저, 상기 도면에 나타나듯이, 상기 감합 레버(1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그 후, 도 17의 화살표 X1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의 말단(distal end)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의 상기 외장벽부(12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감합 레버(130)의 상기 동작점 돌출부들(134)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의 상기 레버 고정구들(122)과 체결된다.
그 후, 상기 감합 레버(130)의 상기 결합 부재(132)는 아래로 눌려지고, 도 17의 화살표 R1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130)가 회동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120)은 상기 감합 조작레버(130)의 회동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을 향해 당겨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감합 완료된다.
감합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분리되려 할 때, 상기 결합 부재(132)가 도 17의 화살표 R1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분리된다.
일본 특허 번호 3442661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된 때 상기 감합 레버(1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10)에서 제거될 수 없다.
그러므로,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된 후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실제로 사용되는 때조차, 상기 커넥터의 중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130)의 중량이 더해진다.
특허문헌 1의 상기 레버 커넥터(100)의 경우에서, 상기 레버 커넥터(100)는 상기 감합 레버(130)가 수반되고, 구성요소 수의 증가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상태에서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레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목적은 다음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operating force)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lever member)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감합 레버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제각기 돌출되는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에 감합되는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벽부의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을 잘라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된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안내슬롯들(shaft guiding slots), 및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된 상기 측벽들의 상기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 안내슬롯들로부터 기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는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을 포함한다.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을 개재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 주위를 회동하도록 하는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본체들은, 상기 삽입 측의 측 모서리들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에 초기 경사상태로 삽입 설치될 때 상기 축 안내슬롯들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을 제1 초기 체결위치로 유도하는 제1 축 유도홈들(first shaft introducing grooves), 상기 삽입 측의 측 모서리들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에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에 상기 초기 경사상태로 삽입 설치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제2 초기 체결위치들로 유도하는 제2 축 유도홈들(second shaft introducing grooves),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중심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인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로부터 기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들에 설정되어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 지점부들(pivoting fulcrum parts),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과 상기 회동 지점부들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을 상기 회동 지점부들로 유도하는 제1 통신홈들(first communication grooves), 상기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로부터 기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들에 설정되어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로 이동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체결되는 동작 수신부들(action receiving parts),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과 상기 동작 수신부들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상기 동작 수신부들로 유도하는 제2 통신홈들(second communicating grooves), 상기 제1 통신홈들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때의 이동 궤적들과는 상이한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른 상기 감합 레버의 이동으로 상기 회동 지점부들에 위치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레버 본체들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제1 축 분리홈들(first shaft detaching grooves), 및 상기 제2 통신홈들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른 상기 감합 레버의 이동으로 상기 동작 수신부들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레버 본체들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제2 축 분리홈들(second shaft detaching grooves)을 포함한다.
(2) (1)에 따른 상기 레버 커넥터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은 내면들 상에 추적 돌기들(tracking protrusions)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들의 상기 내면들에 대립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은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상기 추적 돌기들이 제1 이동 규제면들(first movement regulating surfaces)에 인접하도록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제1 이동 규제면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되도록 하는 상기 감합 레버의 회동 조작이 완료되어 있는 동안 상기 추적 돌기들이 제2 이동 규제면들(second movement regulating surfaces) 상에서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추적 돌기들이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에 접촉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를 분리하는 조작이 수행되면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경로로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경로를 규제하도록 형성되는, 제2 이동 규제면들을 포함한다.
(3) (2)에 따른 상기 레버 커넥터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의 내면들에 대립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되도록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할 때 그 위에서 상기 추적 돌기들이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레버 본체들이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추적 돌기들이 인접하는 제3 이동 규제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축 안내슬롯들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되면, 상기 제1 축 유도홈들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된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위치에 따라 위치결정되면 상기 초기 경사상태에서의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축 유도홈들의 연장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제1 축 유도홈들의 유도에 의해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제2 축 유도홈들의 유도에 의해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에 도달하는 초기 체결상태가 획득된다.
상기 초기 체결상태로부터,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과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을 접속하는 직선인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기결정된 거리를 수직으로 이동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제1 통신홈들의 유도에 의해 상기 회동 지점부들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제2 통신홈들의 유도에 의해 상기 동작 수신부들에 도달하고,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가능 상태가 획득된다.
상기 회동가능 상태에서의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감합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 주위로의 상기 레버 본체들의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 지점부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향하여 밀어내는 동안, 상기 동작 수신부들은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을 향하여 밀어낸다. 즉,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레버 본체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레버 부재들(lever members)로서 기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은 적은 조작력으로 더 깊어지게 된다.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감합 최종위치로 회동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감합 방향에 역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감합 조작이 수행되는 것과는 역의 힘이 레버 부재들인 상기 레버 본체들로부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작용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돌려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접속되어 있는 동안, 이전에 설정된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라 상기 감합 레버가 이동하면,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제1 축 분리홈들을 통해 상기 레버 본체들의 외부로 탈출하는 반면 상기 동작 수신축들은 상기 제2 축 분리홈들을 통해 상기 레버 본체들의 외부로 탈출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반대로 따르도록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접속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설치 상태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다(재설치).
즉,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접속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므로 상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의 구성요소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상기 감합 레버가 설치될 때 또는 상기 설치된 감합 레버가 제거될 때, 상기 감합 레버의 레버 본체들이 장비된 상기 추적 돌기들이 상기 제1 이동 규제면들을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도록 상기 감합 레버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상기 감합 레버가 비틀리는(twisted) 것 없이 원활히 삽입/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접속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제거될 때 또는 상기 감합 레버가 재설치될 때, 상기 감합 레버의 레버 본체들이 장비된 상기 추적 돌기들이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을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도록 상기 감합 레버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상기 감합 레버가 비틀리는 것 없이 원활히 삽입/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되기 시작할 때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될 때에도 상기 감합 레버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원활하고 쉽게 삽입/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3)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도중에, 상기 감합 레버가 장비된 상기 추적 돌기들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제3 이동 규제면들에 인접하므로, 상기 감합 레버가 분리될 수 없도록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규제된다.
즉, 상기 (3)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감합 레버를 회동하는 조작 후에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은 감합 도중(반감합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감합 레버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불량을 간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레버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된 후에,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을 감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의 구성요소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간략히 설명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세는 아래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하 "실시예들"로 언급됨)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해된 후 더욱 명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는 감합 레버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후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감합 레버가 도 7에 나타나는 상태에서 회동 시작위치까지 도 7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감합 레버가 도 10의 상태로부터 도 10의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감합 레버가 도 12의 화살표 Y3 방향으로 분리가능한 위치까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감합 레버가 도 14의 상태로부터 도 14의 화살표 Y4 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레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레버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은 상기 실시예의 레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듯이, 레버 커넥터(1)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되는 감합 레버(30)를 포함한다.
도 1 및 2에 나타나듯이,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 11)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외면들(10a)로부터 제각기 돌출된다.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은 상기 감합 레버(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형 축들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나듯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21)(후드부), 축 안내슬롯들(shaft guiding slots, 22),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 23), 및 이동 규제부들(movement regulating parts, 24)을 포함한다.
상기 외장벽부(21)는 사각 파이프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외주에 감합된다. 상기 외장벽부(21)의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211)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한 쌍의 외면들(10a)이 겹쳐지는 벽들이다.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외면들(20a)이다.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은 상기 외장벽부(21)의 상기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211)을 잘라 형성된다.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방향(도 1의 화살표 X2 방향)을 따라 잘려진다.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의 폭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것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감합될 때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슬롯들이다.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이 형성되는 상기 측벽들(211)의 외면들로부터 돌출되는 원통형 돌기들이다.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W1 방향)으로 상기 축 안내슬롯들(22)로부터 기결정된 거리 L1에 돌출되어 위치한다.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은 아래 기재될 상기 감합 레버(30)의 레버 본체들(31)의 내면들에 대립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외면들(20a)에 형성된 융기된 구조들이다.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은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 설치될 때 상기 감합 레버(30)의 설치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도록 장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은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수단들이고, 제1 이동 규제면들(241), 제2 이동 규제면들(242), 및 제3 이동 규제면들(2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이동 규제면들(241)은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 설치될 때 아래 기재될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1 이동 규제면들(241)에 인접하여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아래 기재될 회동 지점부들(36)에 도달하게 되도록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을 규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동 규제면들(241)은 상기 측벽들(211)의 상단부들로부터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경사면들(241a)과, 상기 제1 경사면들(241a)의 하단부들로부터 연장하는 제2 경사면들(241b)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경사면들(241a)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아래 기재될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에 도달할 때 아래 기재될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추적 돌기들(42)이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삽입 조작의 초기 단계에서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도록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는 경사면들(slopes)이다.
상기 제2 경사면들(241b)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아래 기재될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로부터 상기 회동 지점부들(36)로 이동할 때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도록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는 경사면들이다. 상기 제2 경사면들(241b)은 상기 제1 경사면들(241a)에 직교하도록 굴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을 서로 감합 접속되도록 하는 상기 감합 레버의 회동 조작이 완료된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제거되도록 이동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표면들이다.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 접속되도록 하는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 조작이 완료되어 있는 동안 아래 기재될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 상에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도록 장비되고, 아래 기재될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에 접촉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를 분리하는 조작이 수행되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경로를 아래 기재될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경로로 규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 접속되도록 하는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 조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은 상기 추적 돌기들(42)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2의 화살표 W2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면들(242a)과, 상기 추적 돌기들(42)을 상기 제1 안내면들(242a)의 종단들로부터 수직하게 상방으로(도 12의 화살표 Z1 방향) 안내하는 제2 안내면들(242b)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이동 규제면들(243)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 접속되게 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할 때, 후술될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3 이동 규제면들(243) 상에서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술될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3 이동 규제면들(243)에 인접할 때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분리 방향(예를 들어, 상기 제1 안내면들(242a)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감합/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이 감소될 수 있는 부재이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감합 레버(30)는 도 1에 나타나는 것처럼,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및 역점부(3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은 레버 부재들로서 기능하는 대략 판형 부재들로서,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을 개재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열된다.
상기 역점부(32)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 주위를 회동하도록 하는 조작력을 수신하는 부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역점부(32)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의 한 종단들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33)로서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은 도 4 및 5에 나타나는 것처럼 내면들 상에 제1 축 유도홈들(34), 제2 축 유도홈들(35), 회동 지점부들(36), 제1 통신홈들(37), 동작 수신부들(38), 제2 통신홈들(39), 제1 축 분리홈들(40), 제2 축 분리홈들(41), 및 추적 돌기들(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로 삽입되는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삽입측들(도 5에서의 바닥측들)이 되는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측 모서리들(31a)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홈들이다.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의 폭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은,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초기 경사(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에 삽입 설치될 때,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을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로 유도하는 홈들이다.
상기 언급된 초기 경사 상태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아래 모서리들인 상기 측 모서리들(31a)은 도 8에 나타나는 초기 체결직선(Q1)에 평행하게 경사진다. 상기 초기 체결직선(Q1)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중심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다.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의 종단부들에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인접한 위치들이다.
상기 제2 축 유도홈들(35)은 도 5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기재된 제1 축 유도홈들(34)과 평행하게 상기 기재된 축 모서리들(31a)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된 홈들이다. 상기 제2 축 유도홈들(35)의 폭은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축 유도홈들(35)은,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초기 경사(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에 삽입 설치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제2 초기 체결위치들(P2)로 유도하는 홈들이다.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P2)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제2 축 유도홈들(35)의 종단부들에 인접한 위치들이다.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들이다.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은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과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P2)를 연결하는 직선인 상기 초기 체결직선(Q1)을 따라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로부터 기결정된 거리 L2만큼 이격된 위치들에 설정된다.
상기 제1 통신홈들(37)은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과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홈들이다. 상기 제1 통신홈들(37)의 폭은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통신홈들(37)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초기 체결직선(Q1)을 따라 도 8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에서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을 상기 회동 지점부들(36)로 유도한다.
상기 동작 수신부들(38)은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들이다. 상기 동작 수신부들(38)은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기재된 초기 체결직선(Q1)을 따라 상기 제2 초기 체결 위치들(P2)로부터 기결정된 거리 L3만큼 이격된 위치들에 설정된다.
상기 제2 통신홈들(39)은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P2)과 상기 동작 수신부들(38)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홈들이다. 상기 제2 통신홈들(39)의 폭은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통신홈들(39)은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에서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상기 회동 지점부들(36)로의 이동으로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P2)에서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상기 동작 수신부들(38)로 유도한다.
상기 제1 축 분리홈들(4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완전히 감합 접속된 후에 상기 분리 이동궤적을 따른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으로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에 위치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홈들이다.
상기 제1 축 분리홈들(40)은 상기 제1 통신홈들(37)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이동 경로가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때의 것과 상이하도록 상기 분리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형상들을 가진다.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때의 이동궤적들은 상기 이동 규제부들(24) 내의 상기 제1 이동 규제면들(241)의 연장 형상들에 의해 제공되는 궤적들이다. 반대로,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은 상기 이동 규제부들(24) 내의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의 연장 형상들에 의해 제공되는 궤적들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축 분리홈들(40)은, 도 5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의 상기 제1 안내면들(242a)에 대응하는 직선 형상의 제1 분리홈들(401)과, 상기 제2 안내면들(242b)에 대응하는 직선 형상의 제2 분리홈들(40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축 분리홈들(4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된 후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른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으로 상기 동작 수신부들(38)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홈들이다. 상기 제2 축 분리홈들(41)은 상기 제2 통신홈들(39)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의 상기 기재된 제1 안내면들(242a)로 인한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직선 형상을 가진다.
상기 추적 돌기들(42)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내면들로부터 돌출된 원통형 핀들(pins)이다. 상기 추적 돌기들(42)은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이 제공하는 상기 이동 규제면들(241, 243, 243) 상에서 각자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을 서로 감합 접속하는 방법 및 감합 접속 후 상기 감합 레버(30)를 분리하는 방법이 도 6 내지 16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상기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도 6에 나타나듯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후,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도 1의 화살표 X2로 나타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외면들(10a)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 설치될 때, 도 8의 초기 체결직선(Q1)을 따른 상기 초기 경사 상태에서의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외면들(10a)로부터 돌출된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에 따라 위치결정된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의 연장 방향(도 6의 화살표 X3으로 나타나는 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실제로는,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기재된 초기 경사 상태에서의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이동 규제부들(24) 내의 상기 제1 이동 규제면들(241)의 초기 종단들에 인접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추적 돌기들(42)은 상기 제1 경사면들(241a) 상을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따라서,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1 이동 규제면들(241)에 인접한 동안 상기 삽입 조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위치에 따른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특별한 위치결정 조작은 필요하지 않고,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 내에 쉽게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축 유도홈들(34)의 유도에 의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은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P1)에 도달하는 반면 상기 제2 축 유도홈들(35)의 유도에 의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P2)에 도달하는 것에 의해 초기 체결 상태가 획득된다.
상기 기재된 초기 체결 상태로부터, 상기 추적 돌기들(42)은 도 8의 화살표 Y2로 나타나듯이 상기 초기 체결직선(Q1)을 따라 기결정된 거리 L2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규제부들(24) 내의 상기 제2 경사면들(241b)을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그 후, 상기 제1 통신홈들(37)의 유도에 의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제2 통신홈들(39)의 유도에 의해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동작 수신부들(38)에 도달하고, 도 9 및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가능 상태가 획득된다.
도 10에 나타나는 상기 회동가능 상태에서의 상기 감합 레버(30)가 도 10의 화살표 R2로 나타나는 감합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 주위로의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회동으로,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향하여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을 밀어내는 동안, 상기 동작 수신부들(38)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을 향하여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밀어낸다. 즉, 상기 회동으로, 상기 레버 본체들(3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하는 레버 부재들로서 기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은 적은 조작력에 의해 더욱 깊어진다.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회동 최종위치로 회동되면, 도 11 및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완전히 감합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합 레버(30)가 도 10의 화살표 R2로 나타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추적 돌기들(42)은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의 상기 제3 이동 규제면들(243)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회동 도중에 도 10의 화살표 R3로 나타나는 분리 방향으로 밀어지는 경우조차,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3 이동 규제면들(243)에 인접하여 상기 분리 방향이 규제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도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서로 감합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감합 방향의 역방향(도 10의 화살표 R2의 역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감합 조작이 수행되는 것과는 역의 힘이 레버 부재들인 상기 레버 본체들(31)로부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작용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은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될 상태로 돌려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도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서로 감합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의 상기 제1 안내면들(242a)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라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이동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30)가 도 13의 화살표 R4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은 상기 제1 축 분리홈들(40)의 상기 제1 분리홈들(40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여 상기 제2 분리홈들(402)의 초기단들에 도달한다. 이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제2 축 분리홈들(41)을 통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한다.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의 상기 제2 안내면들(242b)에 의해 설정된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라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이동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30)가 도 14의 화살표 Y4로 나타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 15 및 16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은 상기 제1 축 분리홈들(40)의 상기 제2 분리홈들(402)을 통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도 12에 나타나듯이 서로 감합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이동 규제부들(24)의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라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이동하도록 상기 감합 레버(30)가 이동하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은 상기 제1 축 분리홈들(40)을 통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하는 반면,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은 상기 제2 축 분리홈들(41)을 통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반대로 따르도록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30)를 도 16의 화살표 R4 방향으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 접속된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설치되는 설치 상태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다(재설치).
즉, 본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 접속된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되므로 상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감합 레버(30)는 다른 레버 커넥터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레버 커넥터의 구성요소 세트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만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구성요소 수의 감소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상기 감합 레버(30)가 설치될 때 또는 상기 설치된 감합 레버(30)가 제거될 때, 상기 감합 레버(30)의 레버 본체들(31)이 장비된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1 이동 규제면들(241)을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도록 상기 감합 레버(3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상기 감합 레버(30)가 비틀리는(twisted) 것 없이 원활히 삽입/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 접속된 후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제거될 때 또는 상기 감합 레버(30)가 재설치될 때, 상기 감합 레버(30)의 레버 본체들(31)이 장비된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을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도록 상기 감합 레버(3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상기 감합 레버(30)가 비틀리는 것 없이 원활히 삽입/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감합되기 시작할 때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이 서로 감합된 때에도 상기 감합 레버(30)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에 원활하고 쉽게 삽입/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도중에, 상기 감합 레버(30)가 장비된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제3 이동 규제면들(243)에 인접하므로, 상기 감합 레버(30)가 분리될 수 없도록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즉, 본 실시예의 상기 레버 커넥터(1)에 대해, 상기 감합 레버(30)를 회동하는 조작 후에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은 감합 도중(반감합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감합 레버(3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10, 20)의 감합 불량을 간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적합한 수정, 개선 등이 행해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들의 재료, 형상, 치수, 수, 설치 위치 등은 본 발명이 달성될 수 있는 한 임의적으로 설정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해 상세히 기재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 없이 다양한 수정과 보정이 행해질 수 있음은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12년 2월 20일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12-034173에 기초하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특징들은 각자 다음의 [1] 내지 [3]에서 간략하고 총괄적으로 나열된다.
[1] 레버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감합 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상기 감합 레버(30)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외면들(10a)로부터 제각기 돌출되는 레버 지지축들(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외주에 감합되는 외장벽부(21),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벽부(21)의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211)을 잘라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된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안내슬롯들(22), 및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이 형성된 상기 측벽들(211)의 상기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 안내슬롯들(22)로부터 기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는 동작 수신축들(23)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30)는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을 개재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 주위를 회동하도록 하는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32)를 포함하고, 및
상기 레버 본체들은,
상기 삽입 측의 측 모서리들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에 초기 경사상태로 삽입 설치될 때 상기 축 안내슬롯들(22)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을 제1 초기 체결위치로 유도하는 제1 축 유도홈들(34),
상기 삽입 측의 측 모서리들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에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에 상기 초기 경사상태로 삽입 설치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제2 초기 체결위치들로 유도하는 제2 축 유도홈들(35),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의 중심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인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로부터 기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들에 설정되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 지점부들(36),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과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상기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을 상기 회동 지점부들(36)로 유도하는 제1 통신홈들(37),
상기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로부터 기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들에 설정되어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36)로 이동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체결되는 동작 수신부들(38),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과 상기 동작 수신부들(38)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36)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을 상기 동작 수신부들(38)로 유도하는 제2 통신홈들(39),
상기 제1 통신홈들(37)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때의 이동 궤적들과는 상이한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른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으로,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에 위치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제1 축 분리홈들(40), 및
상기 제2 통신홈들(39)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른 상기 감합 레버(30)의 이동으로, 상기 동작 수신부들(38)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23)이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제2 축 분리홈들(41)을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2] 상기 [1]에 기록된 상기 레버 커넥터로서, 상기 레버 본체들(31)은 내면들 상에 추적 돌기들(42)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상기 내면들에 대립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은,
상기 감합 레버(30)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 설치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11)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36)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제1 이동 규제면들(241)에 인접하도록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제1 이동 규제면들(241),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감합 접속되도록 하는 상기 감합 레버(30)의 회동 조작이 완료되어 있는 동안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제2 이동 규제면들(242) 상에서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242)에 접촉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30)를 분리하는 조작이 수행되면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경로로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이동 경로를 규제하도록 형성되는, 제2 이동 규제면들(242)을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3] 상기 [2]에 기록된 상기 레버 커넥터에서, 상기 레버 본체들(31)의 내면들에 대립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한 쌍의 측벽들(211)의 외면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감합 레버(30)가 회동할 때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레버 본체들(31)이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추적 돌기들(42)이 인접하는 제3 이동 규제면(243)을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접속된 후, 상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중량 감소가 실현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 분야에서 유용하다.
1: 레버 커넥터
10: 제1 커넥터 하우징
10a: 외면
11: 레버 지지축
20: 제2 커넥터 하우징
20a: 외면
21: 외장벽부(후드부)
22: 축 안내슬롯
23: 동작 수신축
30: 감합 레버
31: 레버 본체
31a: 삽입측에서의 측 모서리
32: 역점부
34: 제1 축 유도홈
35: 제2 축 유도홈
36: 회동 지점부
37: 제1 통신홈
38: 동작 수신부
39: 제2 통신홈
40: 제1 축 분리홈
41: 제2 축 분리홈
42: 추적 돌기
211: 측벽
241: 제1 이동규제면
242: 제2 이동규제면
243: 제3 이동규제면
P1: 제1 초기 체결위치
P2: 제2 초기 체결위치
Q1: 초기 체결직선

Claims (3)

  1.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접속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및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레버 부재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감합 레버(fitting leve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감합 레버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외면들로부터 제각기 돌출되는 레버 지지축들(lever supporting shaft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에 감합되는 외장벽부(outer sheath wall part),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감합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벽부의 한 쌍의 대립되는 측벽들을 잘라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안내슬롯들(shaft guiding slots); 및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된 상기 측벽들의 상기 외면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상기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 안내슬롯들로부터 기결정된 거리에 위치하는 동작 수신축들(action receiving shafts)을 포함하고,
    상기 감합 레버는,
    상기 축 안내슬롯들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을 개재(sandwich)하도록 서로 대립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레버 본체들;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레버 지지축들 주위를 회동하도록 하는 조작력을 수신하는 역점부(force point part)를 포함하고, 및
    상기 레버 본체들은,
    삽입 측의 측 모서리들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에 초기 경사상태로 삽입 설치될 때 상기 축 안내슬롯들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을 제1 초기 체결위치로 유도하는 제1 축 유도홈들(first shaft introducing grooves);
    상기 삽입 측의 측 모서리들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에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본체들이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에 상기 초기 경사상태로 삽입 설치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제2 초기 체결위치들로 유도하는 제2 축 유도홈들(second shaft introducing grooves),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감합 시작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동안 상기 레버 지지축들의 중심과 상기 동작 수신축들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인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로부터 기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들에 설정되어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 지점부들(pivoting fulcrum parts),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과 상기 회동 지점부들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레버 본체들이 상기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을 상기 회동 지점부들로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1 통신홈들(first communicating grooves),
    상기 초기 체결직선을 따라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로부터 기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들에 설정되어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로 이동할 때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체결되는, 동작 수신부들(action receiving parts),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과 상기 동작 수신부들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초기 체결위치들에서의 상기 동작 수신축들을 상기 동작 수신부들로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2 통신홈들(second communicating grooves),
    상기 제1 통신홈들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때의 이동 궤적들과는 상이한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른 상기 감합 레버의 이동으로 상기 회동 지점부들에 위치하는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레버 본체들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제1 축 분리홈들(first shaft detaching grooves), 및
    상기 제2 통신홈들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을 따른 상기 감합 레버의 이동으로 상기 동작 수신부들에 위치하는 상기 동작 수신축들이 상기 레버 본체들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제2 축 분리홈들(second shaft detaching grooves)을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들은 내면들 상에 추적 돌기들(tracking protrusions)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들의 상기 내면들에 대립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은,
    상기 감합 레버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될 때, 상기 레버 지지축들이 상기 회동 지점부들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상기 추적 돌기들이 제1 이동 규제면들(first movement regulating surfaces)에 인접하도록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제1 이동 규제면들,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접속되도록 하는 상기 감합 레버의 회동 조작이 완료되어 있는 동안, 상기 추적 돌기들이 제2 이동 규제면들(second movement regulating surface) 상에서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추적 돌기들이 상기 제2 이동 규제면들에 접촉하는 동안 상기 감합 레버를 분리하는 조작이 수행되면 상기 분리 이동궤적들에 대응하는 경로로 상기 레버 본체들의 이동 경로를 규제하는, 제2 이동 규제면들(second movement regulating surfaces)을 포함하는, 레버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들의 내면들에 대립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측벽들의 외면들은, 제3 이동 규제면들(third movement regulating surfaces)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이 서로 감합 접속되도록 상기 감합 레버가 회동할 때 상기 추적 돌기들은 제3 이동 규제면들(third movement regulating surfaces) 상에서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레버 본체들이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추적 돌기들이 제3 이동 규제면들에 인접하는, 레버 커넥터.
KR1020147023096A 2012-02-20 2013-02-20 레버식 커넥터 KR20140117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4173A JP5830408B2 (ja) 2012-02-20 2012-02-20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2-034173 2012-02-20
PCT/JP2013/054191 WO2013125584A1 (ja) 2012-02-20 2013-02-20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572A true KR20140117572A (ko) 2014-10-07

Family

ID=4900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096A KR20140117572A (ko) 2012-02-20 2013-02-20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51305B2 (ko)
JP (1) JP5830408B2 (ko)
KR (1) KR20140117572A (ko)
CN (1) CN104137349A (ko)
DE (1) DE112013001044T5 (ko)
WO (1) WO20131255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93B1 (ko) * 2017-02-06 2018-08-03 (주)엘에프라이팅 안정기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2606B2 (ja) * 2017-07-18 2021-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240Y2 (ja) * 1991-01-11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2532620Y2 (ja) * 1991-02-28 1997-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US5551885A (en) * 1992-05-01 1996-09-03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requiring small force by use of operation lever
JP2583261Y2 (ja) * 1992-12-24 1998-10-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075451B2 (ja) * 1993-05-19 2000-08-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442661B2 (ja) 1998-08-10 2003-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961228B2 (ja) 2001-03-28 2007-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6638085B1 (en) * 2002-05-09 2003-10-28 Tyco Electronics Corp.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rack mate assist
JP4272037B2 (ja) * 2003-11-10 2009-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4492493B2 (ja) * 2004-11-05 2010-06-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6324227A (ja) * 2005-04-18 2006-11-30 Yazaki Corp コネクタ
JP4678227B2 (ja) * 2005-04-22 2011-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344473A (ja) * 2005-06-08 2006-12-21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4395784B2 (ja) * 2006-03-03 2010-0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80073145A (ko) * 2007-02-05 2008-08-08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레버가 구비된 커넥터
JP4901618B2 (ja) * 2007-07-17 2012-03-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007215B2 (ja) * 2007-12-20 2012-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347936B2 (ja) * 2009-12-10 2013-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466025B2 (ja) 2010-01-22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補助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2038498A (ja) * 2010-08-05 2012-02-23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20290B2 (ja) * 2012-02-08 201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93B1 (ko) * 2017-02-06 2018-08-03 (주)엘에프라이팅 안정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71668A (ja) 2013-09-02
DE112013001044T5 (de) 2014-12-04
US9151305B2 (en) 2015-10-06
WO2013125584A1 (ja) 2013-08-29
US20150016876A1 (en) 2015-01-15
JP5830408B2 (ja) 2015-12-09
CN104137349A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9033719B2 (en) Lever-fitting-type connector
EP1923964A2 (en)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method therefor
EP2403073A1 (en) Connector with sliding cam
EP1679768B1 (en)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1830436B1 (en)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US20100151714A1 (en) Lever type connector
US9153910B2 (en) Lever-type connector
JP2007188674A (ja) コネクタ構造
US7481661B2 (en) Connector
CN103339542A (zh) 光连接器及光连接器装置
JP2003234146A (ja) 電気コネクタ
KR101529264B1 (ko)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KR20140117572A (ko) 레버식 커넥터
CN101488608B (zh) 连接器装置和锁定结构
KR20210001980A (ko) 피드백을 갖는 정합 보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2004214106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H07192812A (ja) コネクタ
KR20140117571A (ko) 레버식 커넥터
KR20140031989A (ko)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KR20140117569A (ko) 레버식 커넥터
KR2015000485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101417704B1 (ko)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KR20140117573A (ko) 레버식 커넥터
US6247945B1 (en) Lever fitt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