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595A -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 Google Patents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595A
KR20140105595A KR20147020399A KR20147020399A KR20140105595A KR 20140105595 A KR20140105595 A KR 20140105595A KR 20147020399 A KR20147020399 A KR 20147020399A KR 20147020399 A KR20147020399 A KR 20147020399A KR 20140105595 A KR20140105595 A KR 20140105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heet
outer edge
electromagnetic shielding
edge portion
shield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966B1 (ko
Inventor
야스시 이타니
후지오 소노다
나오키 아오야마
유이치 기모토
마사노리 구와하라
요시노리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4010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6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dis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grid, perforated metal foil, film, aggregated flakes, sint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8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conductors

Abstract

전자 실드 기구(1)는, 통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도전성 부재인 도전 시트(3)와, 도전 시트(3)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31)와 그 반대측의 제2 외연부(32)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도전 시트(3)를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외연부 연결 부재(5)를 구비한다. 예컨대, 도전 시트(3)에는, 제1 외연부(31)로부터 제2 외연부(32)로 향하는 제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며 제1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슬릿(30)으로 이루어지는 병렬 슬릿군(30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AND WIRE HARNESS}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와이어 하니스에 있어서 노이즈 전자파를 차폐하는 전자 실드 기구 및 그것을 구비한 와이어 하니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선의 경로에 따라 변형 가능한 실드 기구로서는, 통상, 특허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편조선(編組線)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전선이 금속제의 케이스의 개구로부터 케이스 내로 배선되는 경우, 통 형상의 편조선은, 그 일단이 금속제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개구의 프레임부에 씌워지고, 코킹 링에 의해 케이스의 개구의 프레임부에 고정된다.
한편, 금속제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전선 도입용의 개구의 프레임부는, 독립된 부재로서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프레임부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개구의 부분에 대하여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독립된 부재는, 일반적으로 실드셸(shield shell)이라고 칭해진다.
또한, 실드 기구는, 전선이 통과하는 통 형상의 금속 부재인 전선 보호 파이프의 단부(端部)에 고정되는 경우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금속제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전선 도입용의 개구의 프레임부(실드셸을 포함함), 및 전선 보호 파이프의 단부 등, 실드 기구가 고정되는 금속제의 환형 부재를 실드 프레임부 또는 지지체라고 칭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4398호 공보
그런데, 편조선은 통 형상이다. 그 때문에, 전선은, 기본적으로는 그 말단에 커넥터가 부착되기 전에, 편조선에 삽입 관통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선(先)통과라고 칭해진다. 이와 같이 전선의 선통과가 필요해지면, 와이어 하니스의 제조 및 배선의 순서의 자유도가 제한된다.
가령, 전선의 말단에 커넥터가 부착된 후에 전선에 편조선을 부착하는 것, 즉, 편조선의 후부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큰 편조선의 채용이 필요해진다. 이 경우, 전선보다도 외형이 큰 커넥터 등도 삽입 관통 가능한, 쓸데없이 큰 편조선의 채용이 필요해진다. 그러한 것은, 와이어 하니스의 배치 스페이스, 중량 및 제조 비용이 증대하게 되고, 비현실적이다.
또한, 전선이 선통과된 통 형상의 편조선을 실드 프레임부에 씌우는 작업에 있어서, 전선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편조선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편조선의 양단이, 비교적 가까이 배치된 2개의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 각각에 씌워지는 경우, 편조선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기 위한 스페이스의 여유가 작다. 그 때문에, 편조선을 실드 프레임부에 씌우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이상으로부터, 요즘, 실드 기구의 부착의 작업성 및 순서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드 기구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전선 및 케이스에 대한 실드 기구의 후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 하니스의 배치 스페이스, 중량 및 제조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전선 및 지지체에 대한 실드 기구의 후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도전 시트와, 통 형상 유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도전 시트는, 통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도전성 부재이다. 상기 통 형상 유지 부재는, 상기 도전 시트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와 상기 제1 외연부의 반대측의 제2 외연부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상기 도전 시트를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상기 도전 시트에는, 상기 제1 외연부로부터 상기 제2 외연부로 향하는 제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병렬 슬릿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2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3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상기 도전 시트에는, 복수 세트의 상기 병렬 슬릿군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복수 세트의 상기 병렬 슬릿군은, 상기 도전 시트의 사방의 외연부 중 상기 제1 외연부 및 상기 제2 외연부 이외의 제3 외연부로부터 그 반대측의 제4 외연부로 향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3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4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슬릿은,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병렬 슬릿군 상호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5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유지 부재는, 상기 도전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외연부와 상기 제2 외연부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6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상기 도전 시트의 면으로부터 돌기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구비한다. 그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도전 시트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 시트가 통 형상으로 유지되었을 때에 내측이 되는 면에 접합되어 있다. 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는, 상기 제1 외연부 및 상기 제2 외연부 이외의 외연부이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의 일 형태이다. 제7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유지 부재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2세트의 브래킷 부재이다. 2세트의 브래킷 부재는, 상기 도전 시트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 각각을 따르는 상태로 상기 도전 시트와 접합되어 있다. 또한, 2세트의 브래킷 부재는, 단부(端部)가 연결됨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2세트의 상기 브래킷 부재는, 상기 도전 시트의 상기 제3 외연부 및 상기 제4 외연부 각각을 환형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도전 시트를 통 형상으로 유지한다. 제3 외연부 및 제4 외연부는, 상기 제1 외연부 및 상기 제2 외연부 이외의 외연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과, 그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형태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를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의 발명으로서 파악되어도 좋다.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유연성을 갖는 도전 시트가, 그 2개의 외연부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전선의 주위를 둘러싼다. 이와 같이,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미리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가 아니기 때문에, 전선 및 지지체에 대한 후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도전 시트가, 예컨대 금속천(metal fabric)과 같이, 전선의 경로에 따라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면 더욱 적합하다. 이 경우,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르는 전선의 주위를 덮는 것도 가능하고, 부설의 자유도가 높다.
그런데, 유연성을 갖는 도전 시트는, 통 형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구부러지면, 굽힘부의 내측의 부분이 중공부측으로 움푹 들어가, 굽힘부가 편평한 형상이 된다. 이 경우, 전선의 굵기에 대하여 여유도가 높은 폭 치수의 도전 시트의 채용이 필요해진다. 한편, 도전 시트의 폭은,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도전 시트의 둘레 길이에 상당한다.
한편, 제2 형태에 따르면,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는, 병렬 슬릿군이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작은 상태로 구부릴 수 있다. 즉,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되는 경우, 굽힘부의 내측의 부분에 있어서, 복수의 슬릿 사이의 부분이, 외주면측으로 융기하도록 구부러진다. 그 때문에, 도전 시트의 굽힘부에 있어서, 도전 시트의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억제된다. 그 결과, 전자 실드 기구가,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되는 경우라도, 도전 시트의 대형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선의 전자 실드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3 형태에 따르면, 병렬 슬릿군이, 도전 시트의 복수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를,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작은 상태로 복수의 개소에 있어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4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도전 시트의 복수의 슬릿은, 인접하는 병렬 슬릿군 상호간에 있어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전 시트에 있어서, 인접하는 병렬 슬릿군 상호간에 있어서 슬릿이 연결되지 않도록 하면서, 복수 세트의 병렬 슬릿군을 근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4 형태에 따르면,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를, 근접한 복수의 개소에 있어서,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작은 상태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전자 실드 기구를 보다 복잡하게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부설 경로의 자유도가 보다 높아진다.
또한, 제4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도전 시트는, 2개의 외연부가 연결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 경우, 도전 시트가 형성하는 통의 단부의 개구 형상은, 도전 시트의 유연성에 의해 자유롭게 변화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제4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통 형상의 도전 시트의 개구부가 씌워지는 지지체의 형상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5 형태에 따르면, 통 형상의 도전 시트의 개구부가, 지지체에 대하여 코킹 링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 미끄럼 방지 부재의 작용에 의해, 도전 시트가 지지체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제6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따르면, 2세트의 브래킷 부재 각각이 환형으로 유지됨으로써, 외연부에 있어서 2세트의 브래킷 부재 각각과 접합된 도전 시트는,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6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있어서, 2세트의 브래킷 부재는, 금속제의 지지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환형으로 유지됨으로써 지지체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또한, 브래킷 부재는, 도전 시트와 케이스의 전기적 접속을 중계하고, 도전 시트는, 2세트의 브래킷 부재를 통해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도전 시트는 케이스 접지의 상태가 된다.
즉, 제6 형태에 있어서, 2세트의 브래킷 부재는, 도전 시트를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역할과, 도전 시트와 지지체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6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가 채용된 경우, 종래의 편조선 및 코킹 링의 채용에 의해 복수의 부재가 취급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의 관리 및 취급의 공정수가 간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가 채용됨으로써, 제1 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에 대해서 서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실드 기구(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 및 그것이 부착된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케이스에 부착된 와이어 하니스(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된 전자 실드 기구(1)의 도전 시트의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A)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A) 및 그것이 부착된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B)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전자 실드 기구(1B)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B)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B)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B)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C)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사례는 아니다. 이하에 나타난 각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는, 차량에 탑재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전선에 부착되며,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도전성의 도전 시트에 의해 노이즈 전자파를 차폐하는 전장(電裝) 부품이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 및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실드 기구(1)는, 복수의 슬릿(30)이 형성된 도전 시트(3)와, 외연부 연결 부재(5)와, 미끄럼 방지 부재(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0)는, 복수의 전선(9)과, 복수의 전선(9)의 주위를 일괄해서 둘러싸는 전자 실드 기구(1)를 구비한다.
<전선>
전선(9)은,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선(core wire)과, 심선의 주위를 덮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 피복에 의해 구성된 절연 전선이다. 통상, 전선(9)의 단부의 심선에는, 도시하지 않은 금속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하니스(100)는, 복수의 전선(9)의 단부를 일정한 위치 관계로 유지하며, 복수의 전선(9)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군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전선(9)은 가상선(이점 쇄선)에 의해 그려져 있다.
<도전 시트>
전자 실드 기구(1)를 구성하는 도전 시트(3)는, 통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도전성 부재이다. 도전 시트(3)는, 예컨대, 금속천 또는 금속제의 얇은 판재(板材) 등이다.
한편, 금속천은, 금속사(金屬絲)의 직물이다. 금속천은, 예컨대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의 실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짜여진 그물코 구조를 갖는 천이다. 또한, 금속천은, 금속사의 천에 필름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 경우도 있다. 필름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유연성을 갖는다. 금속천은, 도전성 및 유연성을 갖는다.
도전 시트(3)는, 전자 실드 기구(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전선(9)을 둘러싸는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전 시트(3)의 사방의 외연부 각각을, 제1 외연부(31), 제2 외연부(32),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라고 칭한다. 또한, 제1 외연부(31)로부터 제2 외연부(32)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칭하고, 제3 외연부(33)로부터 제4 외연부(34)로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시트(3)는, 전자 실드 기구(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제1 외연부(31) 및 그 반대측의 제2 외연부(32)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는,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방향의 양 단부를 이루는 외연부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도전 시트(3)에 있어서, 제1 방향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방향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도전 시트(3)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에 있어서, 제2 방향은, 전선(9)의 길이 방향이다.
한편, 제3 외연부(33)는, 도전 시트(3)의 사방의 외연 중, 부착 대상이 되는 전선(9)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을 이루는 외연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다. 제4 외연부(34)는,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에 대하여 반대측의 외연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다.
도전 시트(3)에는, 제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며 제1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슬릿(30)으로 이루어지는 병렬 슬릿군(3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도전 시트(3)에는, 복수 세트의 병렬 슬릿군(300)이 제2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슬릿(30)은, 모두 제2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병렬 슬릿군(300)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슬릿(30)은, 그 각각이 따르는 방향(제2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제1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슬릿(30)은,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병렬 슬릿군(300) 상호간에 있어서 제1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슬릿(30)이 연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복수 세트의 병렬 슬릿군(300)은, 제2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도전 시트(3)의 슬릿(30)은, 예컨대, 톰슨 가공 또는 펀칭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다. 슬릿(30)이, 볼록 형상의 금형(펀치)과 오목 형상의 금형(다이) 사이에 도전 시트(3)를 끼워 넣는 가공인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슬릿(30)의 가장자리에, 펀칭 방향으로, 즉, 오목 형상의 금형측으로 돌기하는 버어(burr)가 발생하기 쉽다. 이 버어는, 전선(9)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슬릿(30)이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도전 시트(3)는, 슬릿(30)의 가공시에 오목 형상의 금형이 배치된 측의 면이 외측면이 되도록, 통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연부 연결 부재>
외연부 연결 부재(5)는,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1 외연부(31)와 제2 외연부(32)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도전 시트(3)는,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가 외연부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외연부(31)와 제2 외연부(32)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한편, 외연부 연결 부재(5)는, 통 형상 유지 부재의 일례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외연부 연결 부재(5)는, 도전 시트(3)의 제1 외연부(31)와 제2 외연부(32)를 연결하는 코킹 금구이다. 도전 시트(3)의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는, 복수 개소에 있어서, 복수의 외연부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시트(3)의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에는, 복수의 코킹 금구[외연부 연결 부재(5)]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
전자 실드 기구(1)는, 2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4)는, 각각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에 접합된 금속 부재이다. 미끄럼 방지 부재(4)는, 도전 시트(3)가 통 형상으로 유지되었을 때에 내측이 되는 면에 접합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4)는, 도전 시트(3)와 전기적으로 도통된 상태로 도전 시트(3)와 접합되어 있다. 예컨대, 미끄럼 방지 부재(4)는, 용접에 의해 도전 시트(3)와 접합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부재(4)에 있어서의 도전 시트(3)에 접합된 외측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볼록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미끄럼 방지 부재(4)는, 도전 시트(3)의 면으로부터 돌기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금속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 부재(4)는, 통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얇은 금속판이다. 또한, 복수의 볼록부(41)는, 얇은 금속판에 대한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박판 형상의 미끄럼 방지 부재(4)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볼록부(41)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에 대한 전자 실드 기구의 고정의 구조>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케이스(8)에 대한 전자 실드 기구(1)의 고정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도 3은, 케이스(8)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케이스(8)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의 단면도이다. 도 4의 단면도는, 도 3에 도시된 III-III 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전선(9) 및 케이스(8)는 가상선(이점 쇄선)에 의해 그려져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0)의 전선(9)은, 금속제의 케이스(8)의 외부로부터 케이스(8)의 개구를 지나 케이스(8) 내에 걸쳐 배선된다. 또한, 케이스(8)에 있어서의 전선 도입용의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그 개구를 둘러싸는 금속제의 실드 프레임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 중 한쪽은, 코킹 링(6)에 의해, 전선(9)의 한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 중 다른쪽은, 코킹 링(6)에 의해, 전선(9)의 다른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전 시트(3)의 외연부의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가, 미끄럼 방지 부재(4)를 내측으로 하여, 2개의 케이스(8) 각각의 실드 프레임부(81)에 씌워진다. 그때, 박판 형상의 미끄럼 방지 부재(4)가, 실드 프레임부(81)의 외주면을 따라 구부러진다. 이에 따라, 도전 시트(3) 전체가, 전선(9)에 있어서의 2개의 케이스(8)에 걸친 부분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이 된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전 시트(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형상은, 이들을 고정할 곳인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가 씌워지는 대상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 외에, 전선(9)이 통과한 금속제의 전선 보호 파이프 등의 다른 지지체인 것도 고려된다.
다음으로, 도전 시트(3)의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가, 외연부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킹 금구를 구성하는 한 쌍의 금구 중 한쪽이, 도전 시트(3)의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에 형성된 관통 구멍(36)에 통과된다. 또한, 이들 한 쌍의 금구가, 겹쳐진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코킹 공구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전 시트(3)는, 제1 외연부(31)와 제2 외연부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2개의 케이스(8) 각각의 실드 프레임부(81)에 씌워진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가, 코킹 링(6)에 의해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코킹 링(6)은, 양단부가 맞춰짐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되는 금속 부재이다.
코킹 링(6)은,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61)가 나사(71) 및 너트 부재(7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환형으로 유지된다. 코킹 링(6)은, 실드 프레임부(81)에 씌워진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 각각을 외측으로부터 체결하는 상태에서, 환형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는, 코킹 링(6)과 실드 프레임부(81)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또한, 미끄럼 방지 부재(4)는,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와 실드 프레임부(81) 사이에 끼워진다. 그 상태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 부재(4)의 복수의 볼록부(41)가, 실드 프레임부(81)의 외측면에 강하게 닿게 된다. 즉, 코킹 링(6)이 실드 프레임부(81)를 체결하는 힘은, 복수의 볼록부(41)의 꼭대기 부분에 집중된다.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가, 2개의 케이스(8) 각각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4)와 2개의 케이스(8) 각각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2개의 미끄럼 방지 부재(4) 각각과 접합된 도전성의 도전 시트(3)도, 2개의 케이스(8)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전 시트(3)는,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로, 케이스(8)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선(9)으로 향하거나, 또는 전선(9)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전자파를 차폐한다.
<도전 시트의 굽힘 구조>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도전 시트(3)의 굽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된 전자 실드 기구(1)의 도전 시트(3)의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전 시트(3)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부재는, 통 형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구부러지면, 굽힘부의 내측의 부분이 중공부측으로 움푹 들어간다. 따라서, 굽힘부가 편평한 형상이 된다. 이 경우, 전선(9)의 굵기에 대하여 여유도가 높은 폭 치수의 도전 시트의 채용이 필요해진다. 한편, 도전 시트의 폭은,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도전 시트의 둘레 길이에 상당한다.
한편,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는,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3)는, 병렬 슬릿군(300)이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작은 상태로 구부릴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3)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굽힘부의 내측의 부분에 있어서, 복수의 슬릿(30) 사이의 부분이, 외주면측으로 융기하도록 구부러진다. 그 때문에, 도전 시트(3)의 굽힘부에 있어서, 도전 시트(3)의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억제된다.
<효과>
전자 실드 기구(1)는, 유연성을 갖는 도전 시트(3)가,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싼다. 이와 같이, 전자 실드 기구(1)는, 미리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가 아니기 때문에, 전선(9) 및 실드 프레임부(81)(지지체)에 대한 후부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실드 기구(1)는, 단부에 커넥터 등이 부착된 후의 전선(9)에 대하여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는, 케이스(8)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배선이 행해진 후의 전선(9)에 대하여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는,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기 위해서 과부족이 없는 크기의 도전 시트(3)가 채용되면 된다. 그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의 채용에 있어서, 배치 스페이스, 중량 및 제조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는 일도 없다.
또한, 도전 시트(3)가, 금속천과 같이 전선(9)의 경로에 따라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면, 전자 실드 기구(1)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르는 전선(9)의 주위를 덮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은 전자 실드 기구(1)는, 부설의 자유도가 높다.
특히, 전자 실드 기구(1)의 도전 시트(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슬릿군(300)이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작은 상태로 구부릴 수 있다. 그 때문에, 도전 시트(3)의 굽힘부에 있어서, 도전 시트(3)의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억제된다. 그 결과, 전자 실드 기구(1)가,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되는 경우라도, 도전 시트(3)의 대형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선(9)의 전자 실드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는, 복수 세트의 병렬 슬릿군(300)이, 도전 시트(3)의 복수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3)를,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작은 상태로 복수의 개소에 있어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전자 실드 기구(1)를 복수 개소에서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부설 경로의 자유도가 보다 높아진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 도전 시트(3)는, 2개의 외연부가 연결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 경우, 도전 시트(3)가 형성하는 통의 단부의 개구 형상은, 도전 시트(3) 및 미끄럼 방지 부재(4)의 유연성에 의해 자유롭게 변화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는, 통 형상의 도전 시트(3)의 개구부가 씌워지는 실드 프레임부(81) 등의 지지체의 형상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다.
그런데, 금속천의 표면은, 편조선의 표면과 마찬가지로, 금속의 세선에 의해 형성되는 미소한 요철면이다. 그 때문에, 금속천의 표면은 마찰 저항이 매우 작다. 금속천과 같이 마찰 저항이 작은 도전 시트(3)가 채용된 경우, 도전 시트(3)는, 케이스의 실드 프레임부(81)와 코킹 금구 등의 다른 고정 부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면, 실드 프레임부(81)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다.
한편, 전자 실드 기구(1)에 있어서, 도전 시트(3)와 미끄럼 방지 부재(4)는 미리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부재(4)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41)의 작용에 의해, 미끄럼 방지 부재(4)와 실드 프레임부(81)와의 마찰 저항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전자 실드 기구(1)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코킹 링(6)의 내측면에도, 코킹 링(6)과 도전 시트(3)와의 마찰 저항을 높이기 위한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A) 및 그것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100A)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 실드 기구(1A)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와 비교하여,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복수 세트의 병렬 슬릿군(300) 상호간의 슬릿(30)의 위치 관계만이 상이하다.
한편, 도 6은, 전자 실드 기구(1A)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와이어 하니스(100A) 및 그것이 부착된 케이스(8)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전선(9) 및 케이스(8)가 가상선(이점 쇄선)에 의해 그려져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A)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실드 기구(1A)의 도전 시트(3)는, 전자 실드 기구(1)의 도전 시트(3)와 마찬가지로, 복수 세트의 병렬 슬릿군(300)이 형성되어 있다. 단, 전자 실드 기구(1A)에 있어서, 도전 시트(3)의 복수의 슬릿(30)은,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병렬 슬릿군(300) 상호간에 있어서 제1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은,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1 외연부(31)로부터 제2 외연부(32)로 향하는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로부터 제4 외연부(34)로 향하는 방향이다.
전자 실드 기구(1A)가 채용되는 경우, 전자 실드 기구(1)가 채용되는 경우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A)의 도전 시트(3)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병렬 슬릿군(300) 상호간에 있어서 슬릿(30)이 연결되지 않도록 하면서, 복수 세트의 병렬 슬릿군(300)을 근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자 실드 기구(1A)가 채용되면, 통 형상으로 유지된 도전 시트(3)를, 근접한 복수의 개소에 있어서, 편평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작은 상태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전자 실드 기구(1A)는, 보다 복잡하게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설 경로의 자유도가 보다 높아진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B) 및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00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전자 실드 기구(1B)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전자 실드 기구(1B)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와이어 하니스(100B)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케이스(8)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B)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케이스(8)에 부착된 상태의 와이어 하니스(100B)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전선(9)이 가상선(이점 쇄선)에 의해 그려져 있다. 또한, 도 12의 단면도는, 도 11에 도시된 II-II 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실드 기구(1B)는, 2개의 브래킷 부재(2)와,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과 접합된 도전 시트(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100B)는, 복수의 전선(9)과, 복수의 전선(9)의 주위를 일괄해서 덮는 전자 실드 기구(1B)를 구비한다.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부재(2) 중 한쪽은, 전선(9)의 한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되고, 2개의 브래킷 부재(2) 중 다른쪽은, 전선(9)의 다른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은, 그 단부가 나사(7)로 연결됨으로써, 금속제의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전자 실드 기구(1B)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와 비교하여, 도전 시트(3)를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구조, 및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를 지지체에 고정하는 구조가 상이하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브래킷 부재>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 브래킷 부재(2)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구부러진 판 형상의 부재이다. 브래킷 부재(2)는, 예컨대, 구리의 합금, 철,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의 부재이며, 필요에 따라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부재(2)는, 금속제의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되며, 도전 시트(3)와 케이스(8)의 전기적 접속을 중계하는 부재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부재(2)는, 2개의 장척부(10)와, 이들의 일단을 잇는 중계부(19)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는 2개의 차양부(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 부재: 장척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은, 구부러진 판 형상의 부분이며, 자기 실드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전선(9)에 걸쳐 가설된 반환(半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장척부(10)는, 전선(9)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조합됨으로써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각 장척부(10)는, 전선(9)을 횡단하는 중간 부분이 평탄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 장척부(10)의 형상은, 고정할 곳인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2개의 장척부(10)는, 도전 시트(3)의 외연부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도전 시트(3)와 접합되어 있다. 도전 시트(3)와 장척부(10)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2개의 브래킷 부재(2) 중 한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는,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도전 시트(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브래킷 부재(2) 중 다른쪽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는, 도전 시트(3)의 제4 외연부(34)를 따라 직렬로 늘어선 상태로 도전 시트(3)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장척부(10)는, 후술하는 중계부(19)를 개재하여 접혀진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장척부(10)와 접합된 도전 시트(3)는, 2개의 장척부(10)에 의해, 중간부(35)에 있어서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장척부(10) 각각은, 이들이 상호 대향하는 측의 반대측의 외측면에 있어서 도전 시트(3)와 접합되어 있다. 한편, 2개의 장척부(10) 각각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측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볼록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11)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볼록부(11)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11x)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부재(2)는,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면으로부터 돌기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금속의 미끄럼 방지 부재를 겸하고 있다.
<브래킷 부재: 중계부>
또한, 중계부(19)는, 접혀진 판 형상의 부분이며,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일단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장척부(10) 및 중계부(19)는, 일련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중계부(19)는, 접힘 각도가 변화하는 방향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부(19)의 가요성에 의해, 2개의 장척부(10)는, 중계부(19)를 지점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브래킷 부재(2)는, 이들 각각의 단부가 이격해서 내측이 개방된 개방 상태와, 이들 각각의 단부가 접하는 폐쇄 상태로 변형 가능하다.
도 9에 있어서, 개방 상태의 브래킷 부재(2)가 실선으로 그려져 있고, 폐쇄 상태의 브래킷 부재(2)가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이 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2개의 브래킷 부재(2)와 접합된 도전 시트(3)도,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가 이격된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이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2개의 브래킷 부재(2)와 접합된 도전 시트(3)는, 제1 외연부(31)와 제2 외연부(32)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즉, 2개의 브래킷 부재(2)는,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 각각을 따르는 상태로 도전 시트(3)와 접합되고, 단부가 연결됨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2개의 브래킷 부재(2)는, 도전 시트(3)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 각각을 환형으로 유지함으로써 도전 시트(3)를 통 형상으로 유지한다. 한편, 2개의 브래킷 부재(2)는, 통 형상 유지 부재의 일례이다.
도전 시트(3)의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는,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로부터 약간 비어져 나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브래킷 부재(2)가 폐쇄 상태가 됨으로써, 도전 시트(3)의 제1 외연부(31) 및 제2 외연부(32)는, 거의 간극없이 접한다. 이에 따라, 도전 시트(3)는, 거의 간극이 없는 통 형상이 된다.
<브래킷 부재: 차양부>
2개의 차양부(20) 각각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타단에 연속해 있고, 2개의 장척부(10) 각각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평탄한 판 형상의 부분이다.
따라서, 브래킷 부재(2)는, 2개의 장척부(10)와, 이들의 일단을 잇는 중계부(19)와,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타단에 연속해 있는 2개의 차양부(20)가 형성된 일련의 금속 부재이다. 즉, 2개의 장척부(10)는, 이들의 일단을 이으며 가요성을 갖는 중계부(19), 및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타단에 연속해 있는 2개의 차양부(20)와 함께 일련의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장척부(10)가 환형으로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차양부(20)는 겹쳐진다. 또한, 2개의 차양부(20) 각각에는, 나사(7)가 장착되는 나사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21)은, 2개의 차양부(20) 각각이 겹쳐진 상태에 있어서 연통(連通)되는 관통 구멍이다.
브래킷 부재(2)는, 2개의 차양부(20)가 겹쳐짐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겹쳐진 2개의 차양부(20)는, 나사(7)가 장착됨으로써 합체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장척부(10) 각각의 단부끼리가 연결되고, 2개의 장척부(10)는 환형으로 유지된다.
2개의 차양부(20) 각각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21)의 내연부에는, 나사(7)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나사(7)를 차양부(20)에 대하여 직접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2개의 차양부(20)를 합체시키기 위한 너트 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물론, 2개의 장척부(10)를 환형으로 유지하는 고정 기구가, 관통 구멍이 형성된 2개의 차양부(20), 나사(7) 및 나사(7)가 체결되는 너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너트 부재가, 겹쳐지는 2개의 차양부(20) 중 한쪽에 미리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는 것도 고려된다.
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은, 2개의 장척부(10)와, 2개의 장척부(10)의 일단을 잇는 중계부(19)와, 2개의 장척부(10)의 단부에 있어서의 연결되는 부분인 차양부(20)를 구비한다. 그리고,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은,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3 외연부(33) 및 그 반대측의 제4 외연부(34) 각각을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유지한다.
<케이스에 대한 전자 실드 기구의 고정의 구조>
다음으로, 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케이스(8)에 대한 전자 실드 기구(1)의 고정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브래킷 부재(2) 중 한쪽은, 전선(9)의 한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되고, 2개의 브래킷 부재(2) 중 다른쪽은, 전선(9)의 다른쪽의 단부가 접속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개방 상태로 된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이, 2개의 케이스(8) 각각의 실드 프레임부(81)의 외측에 씌워지고, 마찬가지로 개방 상태(비(非)통형상체)의 도전 시트(3)가, 전선(9)에 있어서의 2개의 케이스(8)에 걸친 부분에 씌워진다.
다음으로,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이, 실드 프레임부(81)의 외측에 있어서 폐쇄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장척부(10)는 실드 프레임부(81)를 끼워 넣으며, 도전 시트(3)는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 형상이 된다. 이때, 2개의 장척부(10)의 복수의 볼록부(11)가, 실드 프레임부(81)의 외측면에 강하게 닿게 된다. 즉, 2개의 장척부(10)가 실드 프레임부(81)를 끼워 넣는 힘은, 복수의 볼록부(11)의 꼭대기 부분에 집중된다.
마지막으로, 2개의 나사(7) 각각이,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에 있어서 겹쳐진 2개의 차양부(20)의 나사 구멍(21)에 삽입되고, 2개의 차양부(20)가, 나사(7)에 의해 겹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은,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다.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이, 2개의 케이스(8) 각각의 실드 프레임부(81)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과 2개의 케이스(8) 각각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과 접합된 도전성의 도전 시트(3)도, 2개의 케이스(8)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전 시트(3)는,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로, 케이스(8)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선(9)으로 향하거나, 또는 전선(9)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전자파를 차폐한다.
<효과>
전자 실드 기구(1B)가 채용됨으로써, 전자 실드 기구(1)가 채용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부재(2)는,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 등의 지지체의 형상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미리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부재(2)는, 도전 시트(3)를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역할과, 도전 시트(3)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자 실드 기구(1B)가 채용된 경우, 코킹 금구의 채용에 의해 복수의 부재가 취급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의 관리 및 취급의 공정수가 간소화된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 도전 시트(3)와 2개의 브래킷 부재(2)의 장척부(10)는 미리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브래킷 부재(2)를, 도전 시트(3)를 통하지 않고, 실드 프레임부(81)에 대하여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 실드 기구(1B)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로부터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는, 장척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11)의 작용에 의해, 장척부(10)와 실드 프레임부(81)와의 마찰 저항이 높아진다. 따라서, 실드 프레임부(81)에 대한 브래킷 부재(2)의 유지력이 강해진다. 그 결과, 전자 실드 기구(1B)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로부터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는,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장척부(10)는, 중계부(19)와 함께 일련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B)가 채용된 경우, 2개의 장척부(10)가 각각 별도의 부재인 경우보다도 부품 개수가 감소한다. 그 때문에, 케이스(8)에 대한 부착의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 도전 시트(3)는, 장척부(10)의 외측면에 접합된다. 그 때문에, 도전 시트(3)가 장척부(10)와 케이스(8)의 실드 프레임부(81) 사이에 끼워지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도전 시트(3)의 끼임 방지를 위해서, 장척부(10)에 있어서, 실드 프레임부(81)에 접촉하는 부분과, 도전 시트(3)와 접합되는 부분이, 분리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장척부(10)[브래킷 부재(2)]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실드 기구(1C)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실드 기구(1C)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와 비교하여, 도전 시트(3)에, 병렬 슬릿군(300)을 횡단하는 접음선(301)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13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전자 실드 기구(1C)에 있어서의 전자 실드 기구(1)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시트(3)의 접음선(301)은, 병렬 슬릿군(300)에 있어서의 복수의 슬릿(30) 각각의 사이의 부분이, 통 형상으로 된 도전 시트(3)의 외측면에 있어서 융기하여 굴곡함으로써 형성된 능선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접음선(301)은, 병렬 슬릿군(300)을 횡단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 시트(3)의 접음선(301)은, 제1 방향을 따라 병렬 슬릿군(300)을 횡단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시트(3)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부설되는 경우, 굽힘부의 내측의 부분에 있어서, 복수의 슬릿(30) 사이의 부분이, 외주면측으로 융기하도록 구부러진다. 전자 실드 기구(1C)에 있어서,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접음선(301)은, 복수의 슬릿(30) 사이의 부분이, 외주면측으로 융기하도록 구부러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전자 실드 기구(1C)가 채용됨으로써, 도전 시트(3)를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변형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그 외>
전자 실드 기구(1, 1A, 1B, 1C)에 있어서는,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복수의 슬릿(30)은, 모두 제2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슬릿(30)이,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병렬 슬릿군(300)은, 도전 시트(3)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만 형성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 1A, 1B)에 있어서는, 병렬 슬릿군(300)은,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1 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친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전 시트(3)의 굽힘 방향이 하나의 방향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병렬 슬릿군(300)이,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1 방향의 일부를 차지하는 범위에만 형성되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 병렬 슬릿군(300)은, 통 형상의 도전 시트(3)의 굽힘부의 내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 1A, 1C)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 부재(4)가,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표면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 복수의 입자 형상의 금속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은 입자 형상의 금속 부재도, 도전 시트(3)에 있어서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의 면으로부터 돌기한 볼록부를 형성한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B)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 부재(2) 각각이, 상호 조합됨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되는 2개의 금속 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고려된다. 예컨대, 브래킷 부재(2)가, 2개의 반환형의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반환형의 금속 부재는, 하나의 장척부(10)와 그 양단에 형성된 2개의 차양부(20)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전자 실드 기구(1, 1A, 1B, 1C)에 있어서, 슬릿(3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전 시트(3)가 채용되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도, 도전 시트(3)가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전자 실드 기구(1)는, 구부러진 경로를 따르는 전선(9)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
1, 1A, 1B, 1C: 전자 실드 기구 2: 브래킷 부재(통 형상 유지 부재)
3: 도전 시트 4: 미끄럼 방지 부재
5: 외연부 연결 부재(통 형상 유지 부재)
6: 코킹 링 7, 71: 나사
8: 케이스 9: 전선
10: 장척부 11, 41: 볼록부
11x: 오목부 19: 중계부
20: 차양부 21: 나사 구멍
30: 슬릿 31: 도전 시트의 제1 외연부
32: 도전 시트의 제2 외연부 33: 도전 시트의 제3 외연부
34: 도전 시트의 제4 외연부 35: 도전 시트의 중간부
36: 도전 시트의 관통 구멍 61: 코킹 링의 연결부
72: 볼트 부재 81: 실드 프레임부
100, 100A, 100B: 와이어 하니스 300: 병렬 슬릿군

Claims (8)

  1. 통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도전성 부재인 도전 시트(3)와,
    상기 도전 시트(3)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31)와 상기 제1 외연부의 반대측의 제2 외연부(32)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상기 도전 시트(3)를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통 형상 유지 부재(5)를 구비하는 전자 실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3)에, 상기 제1 외연부(31)로부터 상기 제2 외연부(32)로 향하는 제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슬릿(30)으로 이루어지는 병렬 슬릿군(300)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실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3)에, 복수 세트의 상기 병렬 슬릿군(300)이, 상기 도전 시트(3)의 사방의 외연부 중 상기 제1 외연부(31) 및 상기 제2 외연부(32) 이외의 제3 외연부(33)로부터 그 반대측의 제4 외연부(34)로 향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전자 실드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슬릿(30)은,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병렬 슬릿군(300) 상호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전자 실드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유지 부재(5)는, 상기 도전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외연부와 상기 제2 외연부를 연결하는 부재인 전자 실드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3)의 사방의 외연부 중 상기 제1 외연부(31) 및 상기 제2 외연부(32) 이외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 시트(3)가 통 형상으로 유지되었을 때에 내측이 되는 면에 접합되며, 상기 도전 시트(3)의 면으로부터 돌기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4)를 더 구비하는 전자 실드 기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유지 부재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시트(3)의 사방의 외연부 중 상기 제1 외연부(31) 및 상기 제2 외연부(32) 이외의 제3 외연부(33) 및 제4 외연부(34) 각각을 따르는 상태로 상기 도전 시트(3)와 접합되며, 단부(端部)가 연결됨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되는 2세트의 브래킷 부재(2)이고,
    2세트의 상기 브래킷 부재(2)는, 상기 도전 시트(3)의 상기 제3 외연부(33) 및 상기 제4 외연부(34) 각각을 환형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도전 시트(3)를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전자 실드 기구.
  8. 전선(9)과,
    상기 전선(9)의 주위를 둘러싸는 전자 실드 기구(1)를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로서,
    상기 전자 실드 기구(1)는,
    통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도전성 부재인 도전 시트(3)와,
    상기 도전 시트(3)의 사방의 외연부 중 제1 외연부(31)와 상기 제1 외연부의 반대측의 제2 외연부(32)가 합쳐지는 상태에서 상기 도전 시트(3)를 통 형상으로 유지하는 통 형상 유지 부재(5)를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
KR1020147020399A 2012-01-23 2012-12-19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KR101609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0866 2012-01-23
JP2012010866A JP5880070B2 (ja) 2012-01-23 2012-01-23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PCT/JP2012/082923 WO2013111480A1 (ja) 2012-01-23 2012-12-19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595A true KR20140105595A (ko) 2014-09-01
KR101609966B1 KR101609966B1 (ko) 2016-04-06

Family

ID=4887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399A KR101609966B1 (ko) 2012-01-23 2012-12-19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9048B2 (ko)
EP (1) EP2797397B1 (ko)
JP (1) JP5880070B2 (ko)
KR (1) KR101609966B1 (ko)
CN (1) CN104067700A (ko)
WO (1) WO2013111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2703B2 (ja) * 2012-01-23 2016-06-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163699B2 (ja) * 2013-07-08 2017-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US9769943B2 (en) 2013-08-09 2017-09-19 Peter Chin Cable management device
JP6086323B2 (ja) * 2013-10-04 2017-03-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パイプ
JP2015162474A (ja) * 2014-02-26 2015-09-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材
JP6229540B2 (ja) * 2014-02-27 2017-11-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材
JP2015173191A (ja) * 2014-03-12 2015-10-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材
JP2015201467A (ja) * 2014-04-04 2015-11-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材及び電磁シールド部材製造方法
JP2015201986A (ja) *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材
USD762588S1 (en) * 2014-04-10 2016-08-02 Peter Chin Cable management device
JP6326271B2 (ja) * 2014-04-21 2018-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シールド構造
US20150330478A1 (en) * 2014-05-14 2015-11-19 Beats Electronics, Llc Cable management member
USD775937S1 (en) * 2014-12-21 2017-01-10 Michael Davis Device for securing a cable
JP6767361B2 (ja) * 2015-03-27 2020-10-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磁シールド管、電磁シールド構造
JP6204412B2 (ja) * 2015-06-12 2017-09-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
CN105072880B (zh) * 2015-08-05 2018-03-13 华东师范大学 一种基于双层截止圆波导阵列金属网/膜的电磁屏蔽结构
USD799941S1 (en) * 2015-08-21 2017-10-17 Elasco Products, LLC Cable protector
USD808250S1 (en) * 2016-11-07 2018-01-23 Nan Juen International Co., Ltd. Wire management device
JP6816660B2 (ja) * 2017-06-15 2021-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品、ワイヤハーネス及び電磁シールド部品の製造方法
TWI668708B (zh) * 2017-07-07 2019-08-11 加川清二 電磁波吸收纜線
JP6855966B2 (ja) * 2017-07-19 2021-04-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USD871894S1 (en) * 2018-09-11 2020-01-07 HIP Product Factory LTD Cord management device
US10720765B2 (en) * 2018-09-17 2020-07-2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slidable insulating sheets
USD909187S1 (en) 2019-05-09 2021-02-02 Apple Inc. Accessory for a cable
WO2020261916A1 (ja) * 2019-06-27 2020-12-3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フレキシブル電線
DE102019131499A1 (de) 2019-11-21 2021-05-27 Carl Freudenberg Kg Flexibles Laminat zur Abschirmung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JP7314793B2 (ja) * 2019-12-20 2023-07-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部材
USD966079S1 (en) * 2020-02-18 2022-10-11 Lesley Murray Cord organizer
USD968935S1 (en) * 2020-04-24 2022-11-08 Flashbay Electronics Hong Kong Limited Cable holder
USD954535S1 (en) * 2020-04-27 2022-06-14 Flashbay Electronics Hong Kong Limited Cable holder
CN111508644A (zh) * 2020-04-28 2020-08-07 安徽省康利亚股份有限公司 一种牵引逆变器抗干扰电缆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7049A (en) * 1993-05-19 1994-10-18 The Zippertubing Co. Closable electrical shielding jacket
JPH10173385A (ja) 1996-12-09 1998-06-26 Kitagawa Ind Co Ltd 電線等の電磁シールド部材及び電磁シールド方法
US5967194A (en) * 1998-01-23 1999-10-19 Federal-Mogul Systems Protection Group, Inc. Self-sealing tubing
CN1221983C (zh) * 2000-04-17 2005-10-05 韦吾泽罗公司 电缆和电缆连接器的电磁干扰屏蔽
JP4764556B2 (ja) * 2001-03-06 2011-09-07 矢崎総業株式会社 導体付き導体薄膜シート
JP4579059B2 (ja) 2005-06-07 2010-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ルドシェル
FR2916081B1 (fr) * 2007-05-07 2009-09-25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S Gaine de protection electromagnetique en textile.
JP2009059505A (ja) * 2007-08-30 2009-03-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導電体
JP5362206B2 (ja) 2007-12-04 2013-12-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部材
JP2010045948A (ja) * 2008-08-18 2010-02-25 Honda Motor Co Ltd ハーネスの形状保持方法
JP5419434B2 (ja) * 2008-12-15 2014-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およびシールド電線の端末シールド構造
US9362725B2 (en) * 2011-10-28 2016-06-07 Milliken & Company Electromagnetic shielded slee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80070B2 (ja) 2016-03-08
KR101609966B1 (ko) 2016-04-06
CN104067700A (zh) 2014-09-24
EP2797397B1 (en) 2018-11-28
JP2013149895A (ja) 2013-08-01
US20140360771A1 (en) 2014-12-11
US9089048B2 (en) 2015-07-21
EP2797397A1 (en) 2014-10-29
EP2797397A4 (en) 2015-11-11
WO2013111480A1 (ja)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966B1 (ko)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KR101602592B1 (ko) 전자 실드 기구 및 와이어 하니스
US10236634B2 (en) Electromagnetic shield member and electromagnetic shield member-equipped wiring device
JP5655630B2 (ja) シールド導電体
JP5772640B2 (ja)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191489B2 (ja) 電磁シールド部品および電磁シールド部品付電線
KR101480660B1 (ko) 보호구, 보호구의 제조 방법 및 쉴드 도전체
CN110506375B (zh) 线束
JP5323755B2 (ja) 鞘管構造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3214690A (ja)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630362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CN108242787B (zh) 保护管以及电线束
JP2013251426A (ja) 電磁シールド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772772B2 (ja)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398255B2 (ja) 電磁シールド部材
JP6900931B2 (ja) 金具付導電シート
JP5772698B2 (ja) 電磁シールド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