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849A - 시표 정시 장치 - Google Patents

시표 정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849A
KR20140086849A KR1020130160042A KR20130160042A KR20140086849A KR 20140086849 A KR20140086849 A KR 20140086849A KR 1020130160042 A KR1020130160042 A KR 1020130160042A KR 20130160042 A KR20130160042 A KR 20130160042A KR 20140086849 A KR20140086849 A KR 20140086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isplay
window
shielding member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로 가나자와
노리츠구 노자와
료지 스즈키
유키토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14008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8Arrangement of plural eye-testing or -examin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해결 수단)
검사 시표를 프레임 내에 정시하는 정시창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정시창으로부터 적어도 20 ㎝ 이상 떨어진 피검안에 대해 상기 시표를 정시하는 시표 정시 장치로서, 상기 피검안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정시창에 입사되는 외란광을 차광하기 위해서 배치된 상방 차폐 부재와, 상기 정시창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의 피검자의 시계를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정시창의 하방을 차폐하는 하방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표 정시 장치{OPTOTYPE PRESE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기능 검사를 위한 검사 시표를 정시 (呈示) 하는 시표 정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표판, 시표판을 조명하는 할로겐 램프 등의 광원, 비스듬하게 설치된 빔 스플리터 및 오목면 미러를 갖고, 광원에 의해 조명된 시표판의 시표 광속을 빔 스플리터 및 오목면 미러를 통하여 피검안 (眼) 에 도광하여, 검사 시표를 정시하는 시표 정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장치의 경우, 케이스의 전면에는 보호 커버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호 커버에는 투명판을 갖는 정시창이 형성되어 있고, 시표 광속은 정시창의 투명판을 통하여 피검안을 향하여 출사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197867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정시창의 투명판에 케이스 밖으로부터 강한 광이 반사되고, 그 반사광이 피검안에 입사되면, 시기능 검사를 양호한 정밀도로 실시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가 실시될 수 있는 시표 정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검사 시표를 프레임 내에 정시하는 정시창을 구비한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정시창으로부터 적어도 20 ㎝ 이상 떨어진 피검안에 대해 상기 시표를 정시하는 시표 정시 장치로서, 상기 피검안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정시창에 입사되는 외란광을 차광하기 위해서 배치된 상방 차폐 부재와, 상기 정시창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의 피검자의 시계를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정시창의 하방을 차폐하는 하방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상방 차폐 부재 및 상기 하방 차폐 부재는, 적어도 검안 위치에 있는 상기 피검안의 소정의 시야각의 범위 내에서 동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의 시표 정시 장치.
(3) 상기 정시창의 좌방 및 우방의 각각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피검안이 상기 정시창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측을 향하는 소정 거리의 공간을 차폐하는 측방 차폐 부재로서, 적어도 상기 검안 위치에 있는 상기 피검안의 소정의 시야각의 상기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상방 차폐 부재 및 상기 하방 차폐 부재와 동색의 상기 측방 차폐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1) ∼ (2) 중 어느 하나의 시표 정시 장치.
(4) 상기 하방 차폐 부재는, 상기 정시창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피검안이 상기 정시창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측을 향하는 소정 거리의 공간을 차폐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의 시표 정시 장치.
(5) (1) ∼ (4) 중 어느 하나의 시표 정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오목면 거울을 갖고, 상기 케이스의 밖에 배치되어, 상기 오목면 거울을 향하여 시표 광속을 투영하는 시표 투영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표 광속을 상기 오목면 거울을 통하여 피검안에 투영하는 시표 정시 장치로서, 상기 상방 차폐 부재는 상기 시표 광속의 광로를 상방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표 정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외란광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시표 정시 장치의 외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시표 정시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시표 정시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시표 표시부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케이스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측정 유닛의 퇴피 수단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시표 정시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 는 원용 (遠用) 검사용 광로와 근용 (近用) 검사용 광로의 전환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시표 표시부 및 광로 전환 유닛 부분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시표 정시 장치의 변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시표 정시 장치의 변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1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표 정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장치의 개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표 정시 장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시표 정시 장치 (1) (도 1 참조) 는, 시표 정시 유닛 (3) 과,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8) (이하, 측정 유닛 (8) 으로 생략한다) 을 구비한다. 시표 정시 장치 (1) 는 시표 정시 유닛 (3) 을 사용하여 피검안에 원용 검사용 광로에서 시표를 정시한다. 측정 유닛 (8) 은 검사창 (81) 에 광학 소자 (예를 들어, 교정 렌즈) 를 전환 배치하는 좌우 1 쌍의 렌즈실 유닛 (80) 을 갖는다. 예를 들어, 시표 정시 장치 (1) 는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들여다 보는 피검안에 검사 시표를 정시하여, 피검안의 원용 시기능을 검사한다.
또, 시표 정시 장치 (1) 는 검안 테이블 (검안 테이블 유닛) (2) 과, 유지 수단 (유지 유닛) (10) 을 갖는다. 유지 유닛 (10) 은 시표 정시 유닛 (3) 을 유지함과 함께, 검사창 (81) 이 기준축 (L1) 과 동일해지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측정 유닛 (8) 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은 시표 정시 유닛 (3) 을 검안 테이블 유닛 (2) 상에서 유지한다.
또한, 시표 정시 유닛 (3) 은 유지 유닛 (10) 에 의해 검안 테이블 유닛 (2) 에 유지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이 벽걸이 타입의 구성을 구비하고, 시표 정시 유닛 (3) 이 벽에 설치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오목면 미러 (50) (도 3 참조) 와,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여 시표 광속을 투영하는 시표 투영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를 갖는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시켜, 광학적으로 소정의 원용 검사 거리에 시표를 정시한다. 예를 들어, 시표 정시 유닛 (3) 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오목면 미러 (50) 의 광축 (O1) 에 대해 비스듬하게 하여 배치되어,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의 광축 (O1) 에 대해 어긋나게 하여 입사시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로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나 유기 EL (Electro Luminescence)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목면 미러 (50) 는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정면 방향의 기준축 (L1)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오목면 미러 (50) 는 케이스 (5) 에 수납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 (5) 는 기준축 (L1) 에서 오목면 미러 (50) 의 전면에 배치된 정시창 (예를 들어, 투명 패널 (52)) 을 갖고, 측정 유닛 (8) (도 1 참조) 의 정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투명 패널 (52) 은,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투과시키고,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시표 광속을 다시 투과시켜 케이스 (5) 밖으로 사출한다. 시표 정시 장치 (1) 는 정시창 (투명 패널 (52)) 으로부터 적어도 20 ㎝ 이상 떨어진 피검안에 대해 검사 시표를 정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시표 정시 유닛 (3) 은 시표 광속의 광량 손실이 큰 빔 스플리터를 통하지 않고 시표를 정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큰 광량을 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력 검사 등에서 필요시되는 휘도를 확보한 검사를 적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케이스 (5) 는 빔 스플리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5) 의 박형이 도모되어, 보다 공간 절약적인 시표 정시 장치 (1) 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 (45) (도 3 참조), 투명 패널 (52), 광로 전환 유닛 (60),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의 순서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구성은 적절히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독립된 구성으로서 실시해도 된다.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45) 는 케이스의 외부에서 기준축 (L1) 밖에 배치된다. 또, 디스플레이 (45) 는 피검안이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들여다 보았을 때의 소정 시야각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케이스 (5) 의 외부에 배치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시표 광속을 케이스 (5) 외부에서 투명 패널 (52) 을 개재하여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게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측정 유닛 (8) 의 주변에 배치되고, 피검안측으로부터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여 시표 광속을 출사한다. 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측정 유닛 (8) 의 이마 고정부 (82) 의 주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측정 유닛 (8) (도 1 참조) 의 이마 고정부 (82) 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45) (도 3 참조) 의 배치에 의해 피검자에 대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피검자는 투명 패널 (52) 을 통해 케이스 (5) 의 내부에 원용 시표를 관찰할 때, 보호 패널 (51) 로부터 피검자측에 여분의 구조물인 디스플레이 (45) 를 보는 경우가 없어진다. 이로써, 피검자가 디스플레이 (45) 를 주시하는 경우가 없어져, 원용 검사시에 시표 이외의 구조물을 보는 것에 의한 피검안의 조절의 개입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호한 정밀도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45) 는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들여다 보았을 때의 소정 시야각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케이스 (5) 의 외부에 배치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시표 광속을 케이스 (5) 외부에서 투명 패널 (52) 을 개재하여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게 하는 위치로서, 피검자의 이마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45) 를 피검자의 이마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여 출사했을 때에, 오목면 미러 (50) 에 대한 입사각과 오목면 미러 (50) 로부터 반사될 때의 반사각을 작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표의 왜곡을 작게 할 수 있다.
<투명 패널>
케이스 (5) 에 형성된 투명 패널 (52) 은 투명 패널 (52) 의 전면의 법선 방향이 기준축 (L1) 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배치된다. 또한, 투명 패널 (52) 의 경사 각도는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되고, 투명 패널 (52) 의 전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이 소정 위치의 피검안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투명 패널 (52) 에서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45) 의 강한 광이 피검안에 입사됨으로써, 피검자의 시표 관찰의 방해가 되는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피검자의 후방 배경의 외란광 및 시표 정시 장치 (1) 의 상방의 외란광이 투명 패널 (52) 에서 반사되어 피검안에 입사됨으로써, 피검자의 시표 관찰이 방해되는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케이스 (5) 에는 오목면 미러 (50) 의 전면측에서 투명 패널 (52) 의 주위에 차폐 부재 (차폐부 (53)) 가 배치되고, 차폐부 (53) 에 둘러싸인 투명 패널 (52) 이, 피검안이 케이스 (5) 내부에 시표를 관찰하기 위한 정시창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차폐부 (53) 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5) 의 내부 구조가 보이기 어려워진다. 물론, 정시창에는 투명 패널 (52) 만으로 구성되고, 차폐부 (53)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투명 패널 (52) 로부터 디스플레이 (45) 까지의 사이의 광로의 상부를 덮는 상방 차폐 부재 (차폐 커버 (6))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투명 패널 (52) 로부터 디스플레이 (45) 까지의 사이의 광로의 측방을 덮는 측방 차폐 부재 (차폐 커버 (6)) 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들과 같은 차폐 부재의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형광등 등에 의한 외란광이 장치 내의 광학 부재에 입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폐 커버 (6) 가 상방 차폐 부재와 측방 차폐 부재를 겸용하는 구성이지만, 각각 다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 상방 차폐 부재와 측방 차폐 부재의 일방만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광로 전환 수단>
또한, 시표 정시 장치 (1) 는, 원용 검사용 광로와, 오목면 미러 (50) 의 반사를 통하지 않고 피검안으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도광하는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하는 광로 전환 수단과, 디스플레이 (45) 화면의 경사 각도를 원용 검사와 근용 검사에서 변경하는 각도 변경 수단을 구비한다.
각도 변경 수단은, 광로 전환 수단에 의해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로 전환할 때에, 피검안이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을 본 경우에, 기준축 (L1) 에 대해 화면이 대략 수직에 위치하는 화면으로서 관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광로 전환 수단은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사이에 삽탈 가능한 반사 부재 (반사 미러) (62) 를 갖고,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사이에 반사 부재 (62) 를 삽탈함으로써,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하는 광로 전환 유닛 (60) 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부재 (62) 로는, 평면 미러, 볼록면 미러, 오목면 미러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각도 변경 수단은 근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또, 원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광로 전환 수단은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반사하여 피검안에 도광하는 반사 부재를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사이의 광로에 삽탈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를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사이의 광로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광로 전환을 실시한다. 이로써, 원용 검사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의 전환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 광로의 전환에 수반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광로의 전환을 실시했을 경우에도,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할 수 있다. 이로써,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 변용예로서, 예를 들어, 광로 전환 유닛 (60) 이, 반사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반사 부재용 경사 각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광로 전환 유닛 (60) 은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사이에 반사 부재 (62) 를 삽입한 상태로, 반사 부재 (62) 를 기준축 (L1) 상에서 이동시키고, 또한, 반사 부재용 경사 각도 변경 수단에 의해 반사 부재 (62)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여, 근용 검사용 광로의 근용 검사 거리를 변화시킨다. 또, 각도 변경 수단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45)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이로써, 원용 검사 및 근용 검사뿐만 아니라, 중거리용 검사도 가능하다.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측정 유닛 (8) 은 시기능 검사에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피검안의 눈 앞의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에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에는 지지 수단 (예를 들어, 지지 아암 (20)) 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수단은 측정 유닛 (8) 을 피검안의 눈 앞의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은, 제 1 유지 부재 (지주 (支柱)) (10a), 지주 (10a) 로부터 연장된 제 2 유지 부재 (상부 지주) (10b) 로 구성된다. 지주 (10a) 는 검사 위치에 놓여진 측정 유닛 (8) 에 대해,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케이스 (5) 를 유지한다. 상부 지주 (10b) 는 지주 (10a) 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45) 를 유지하기 위해 케이스 (5) 의 상방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수단은 상부 지주 (10b) 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은, 지지 아암 (20), 지지 부재 (예를 들어, 지주) 를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수단에 지지 아암 (20) 을 사용하는 경우, 지지 아암 (20) 이 상부 지주 (10b) 에 연결되고, 연결 위치 (O) (도 7 참조) 를 중심으로 선회 (旋回) 가능한 구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아암 (20) 은, 지지 아암 (20) 의 회선 (回旋) 에 의해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로써, 장치의 컴팩트화로 이어져, 보다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연결 위치 (O) 는 시표 정시 장치 (1) 의 중심축 (C) 상으로부터 지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위치에서 연결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 위치 (O) 를 시표 정시 장치 (1) 의 중심축 (C) 으로부터 어긋나게 한 위치에서 연결함으로써, 보다 작은 가동 범위로,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가동 범위가 작기 때문에, 검자에게 접촉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또, 지지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지지 부재는 상하 이동 수단 (예를 들어, 주지의 텔레스코픽 파이프 기구) 을 구비한 지지 부재로서, 상부 지주 (10b) 에 장착된다.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보다 상방의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해,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측정 유닛 (8) 이 검자의 얼굴을 가로지르지 않게 되므로, 검자에게 접촉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정 유닛 (8) 과 연결된 지지 수단이 유지 유닛 (10) 을 개재하여 시표 정시 유닛 (3) 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을 개재하지 않고, 지지 수단이 시표 정시 유닛 (3) 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시표 정시 장치 (1) 의 외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시표 정시 장치 (1) 를 도 1 상의 X 방향에서 관찰한 시표 정시 장치 (1) 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 의 시표 정시 장치 (1) 의 정면도는,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8) 을 퇴피 위치에 배치했을 경우의 시표 정시 장치 (1) 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는 후술한다). 도 3 은, 시표 정시 장치 (1) 를 도 2 의 A-A 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측정 유닛 (8) 에 대해서는 생략되었다.
시표 정시 장치 (1) 는 검안 테이블 유닛 (2) 과, 시표 정시 유닛 (3) 과,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8) (이하, 측정 유닛 (8) 으로 생략한다) 을 구비한다. 검안 테이블 유닛 (2) 은 테이블 (2a) 과 테이블 (2a) 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 유닛 (2b) 과, 테이블 (2a) 의 상하 이동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높이 조절 스위치 (2c) 를 구비한다. 상하 구동 유닛 (2b) 은 모터 등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구동원이 스위치 (2c) 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45) 를 갖는 시표 표시부 (4) 와, 오목면 미러 (50) 가 수납된 케이스 (5) 와, 외관 커버 (차폐 커버) (6) 와, 후술하는 광로 전환 유닛 (60) 을 구비한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테이블 (2a) 에 세워서 형성한 지주를 갖는 유지 유닛 (10) 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바람직한 유지 유닛 (10) 의 예로서, 테이블 (2a) 의 가장자리에 세워 형성된 제 1 유지 부재 (지주) (10a) 에 케이스 (5) 가 장착되어 유지되고 있다. 유지 유닛 (10) 은 지주 (10a) 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45) 를 유지하기 위해서 케이스 (5) 의 상방으로부터 피검자측 (케이스 (5) 의 전측) 으로 연장된 제 2 유지 부재 (상부 지주) (10b) 를 갖고, 상부 지주 (10b) 의 전방 부분에 시표 표시부 (4) 가 장착되어 있다.
또, 측정 유닛 (8) 은 측정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지 유닛 (10) 에 유지되고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측정 유닛 (8) 은 지지 부재 (예를 들어, 지지 아암) (20) 를 개재하여 측정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부 지주 (10b) 에 지지되고 있다. 시표 정시 유닛 (3), 검안 테이블 유닛 (2) 및 측정 유닛 (8) 은 일체형의 시표 정시 장치 (1) 를 구성한다. 그러나, 시표 정시 장치 (1) 는 측정 유닛 (8) 을 구비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측정 유닛 (8) 은 피검안에 굴절력을 부여하는 여러 가지의 광학 소자 (구면 렌즈, 원주 렌즈, 보조 렌즈 등) 가 좌우의 검사창 (81) 에 전환 배치되는 좌우 1 쌍의 렌즈실 유닛 (80) 을 구비한다. 또, 측정 유닛 (8) 은, 검사창 (81) 에 대해 피검안을 소정의 위치 관계로 하기 위한 이마 고정부 (82) 를 구비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유닛 (8) 이 측정 위치에 위치할 때,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시표가 정시되는 소정의 기준축 (L1) 의 높이에 검사창 (81) 이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케이스 (5) 의 외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시켜 피검안을 향하게 하고, 광학적으로 소정의 원용 검사 거리 (예를 들어, 5 m 의 검사 거리) 에서 시표를 정시한다. 또, 시표 정시 유닛 (3) 은 오목면 미러 (50) 와 피검안 사이에 반사 미러 (62) 가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시켜 피검안을 향하게 하고, 소정의 근용 검사 거리 (예를 들어, 40 ㎝) 에서 시표를 정시하는 근용 시표 정시 유닛으로 전환된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시표 광속의 광량 손실이 큰 빔 스플리터를 통하지 않고 시표를 정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큰 광량을 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력 검사 등에 필요시되는 휘도를 확보한 검사를 적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케이스 (5) 는 빔 스플리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5) 의 박형이 도모되어, 보다 공간 절약적인 시표 정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시표 표시부>
도 3 에 있어서, 시표 표시부 (4) 는 지지부 (41),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45) 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45) 는 지지부 (41) 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지지부 (41) 는, 후술하는 샤프트 (회전축) (42) 를 개재하여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베이스 (65) 는 유지 유닛 (10) 에 지지된다. 이로써, 시표 표시부 (4) 는 유지 유닛 (10) 에 의해 지지된다. 디스플레이 (45) 에는, 랜돌트 고리 시표 등의 검사 시표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로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나 유기 EL (Electro Luminescence)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45) 로서 LCD 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의 설명을 실시한다.
도 4 는, 시표 표시부 (4) 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45) 는 지지부 (41) 에 지지되고 있고, 지지부 (41) 에는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45) 의 기판 등이 배치된다. 지지부 (41) 의 표면에는 기판 등의 부재를 덮기 위한 마스크판 (커버) (49) 이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판 (49) 은 디스플레이 (45) 화면의 주위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45) 주위의 여분의 물체가 피검안에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마스크판 (49) 은, 예를 들어, 흑색의 아크릴 수지나 검은 도장이 도포된 철판 등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피검안에 정시되는 시표의 화면 이외에, 디스플레이 (45) 주변의 기판 등의 비침을 방지한다. 또, 흑색의 마스크판 (49) 을 사용함으로써, 투영되는 시표의 배경을 흑색으로 할 수 있어, 시표를 확인하기 쉬워진다. 물론, 마스크판 (49) 은 흑색이 아니어도 된다.
도 5 는, 디스플레이 (45) 의 배치 위치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45) 는 피검자가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들여다 보며 시표를 관찰했을 때에, 검사창 (81) 으로부터의 소정의 시야각 (α1) 의 범위 밖이 되도록 배치된다. 즉, 시야각 (α1) 은, 피검안이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통하여 정면을 볼 때의 기준축 (L1) 을 중심으로 한 시야각으로, 측정 유닛 (8) 에 있어서 피검안보다 먼 측에 형성된 검사창 (81) 의 개구의 크기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된다. 측정 유닛 (8) 의 시야각 (α1) 은, 예를 들어, 기준축 (L1) 을 중심으로 40 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준축 (L1) 의 상하 위치는,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의 측정 광축 (검사창 (81) 에 배치되는 구면 렌즈의 광축) 과 대략 동일한 위치이다. 또, 기준축 (L1) 의 좌우 위치는, 좌우의 검사창 (81) 의 좌우 중앙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이다. 소정 위치에 놓여지는 피검안의 정면 방향의 기준축 (L1) 상에 오목면 미러 (50) 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면 미러 (50) 는, 기준축 (L1) 밖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피검안을 향하여 반사시키기 위해서, 오목면 미러 (50) 의 광축 (O1) (오목면 미러 (50) 의 곡면의 법선 방향) 이 기준축 (L1) 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면 미러 (50) 에 있어서의 기준축 (L1) 의 반사축인 축 (L2) 상에 디스플레이 (45) 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45) 화면에 수직인 축 (법선 방향) 이 축 (L2) 의 방향이 되도록, 기준축 (L1) 에 대한 디스플레이 (45) 화면의 경사각이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피검안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45) 화면을 보았을 때에, 그 화면을 기준축 (L1) 에 대해 수직에 위치하는 화면으로서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45) 의 상하 위치는, 시야각 (α1) 의 범위 밖에서, 또한 기준축 (L1) 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검사창 (81) 보다 상방 위치에서, 측정 유닛 (8) 의 이마 고정부 (82) (즉, 피검자의 이마) 의 부근에 배치되고, 피검안측으로부터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여 시표 광속을 출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45) 의 좌우 방향의 배치 위치는, 피검자가 오목면 미러 (50) 와 정면으로 마주할 때의 중앙 위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준축 (L1) 에 대한 오목면 미러 (50) 의 광축 (O1) 의 경사 각도는 5˚ 로 되어 있다. 즉,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되고, 피검안에 도광될 때의 반사각은 5˚ 로 되어 있다. 또, 광축 (O1) 에 대한 디스플레이 (45) 의 축 (L2) 의 경사 각도는 5˚ 로 되어 있다. 즉,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이 오목면 미러 (50) 에 입사될 때의 입사각은 5˚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 및 오목면 미러 (50) 의 경사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검안에 정시되는 시표의 왜곡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45) 를 피검자의 이마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여 출사했을 때에, 오목면 미러 (50) 에 대한 입사각과 오목면 미러 (50) 로부터 반사될 때의 반사각을 작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표의 왜곡을 작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사각 5˚, 반사각 5˚ 라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표 왜곡 발생이 적은 입사각 및 반사각으로 구성하면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45) 의 하부에 조그마한 차폐벽 (69)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암실 등에서 본 장치를 사용할 때의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직접, 피검안에 입사되는 광속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폐벽 (69) 은 차폐 커버 (6) 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차폐 커버 (6) 가 디스플레이 (45) 의 하부에 돌출되어 있어, 차폐벽 (69) 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45) 의 배치에 의해 피검자에 대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피검자는 시표 정시창 (투명 패널 (52)) 을 통해 케이스 (5) 의 내부에 원용 시표를 관찰할 때에, 보호 패널 (51) 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여분의 구조물인 디스플레이 (45) 를 보는 경우가 없어진다. 이로써, 피검자가 디스플레이 (45) 를 주시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원용 검사시에 시표 이외의 구조물을 보는 것에 의한 피검안의 조절의 개입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호한 정밀도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검사창 (81) 의 시야각은, 약 40˚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입이 상이한 측정 유닛 (8) 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검사창 (81) 의 사이즈나 형상은 다양하고, 각 타입의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으로부터의 시야각은 상이하다. 또, 시야각은, 피검안으로부터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까지의 거리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이들로부터, 시야각에 따라, 디스플레이 (45) 의 배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마 고정부 (82) 에 피검자의 이마를 댐으로써, 피검안으로부터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있다.
<광로 전환 유닛>
광로 전환 유닛 (60) 은 지지부 (61), 반사 미러 (예를 들어, 평면 미러) (62), 손잡이 (63) 를 구비한다. 광로 전환 유닛 (60) 은 반사 미러 (62) 를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기준축 (L1) 상에 삽탈하는 구성에 의해,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케이스>
도 6 은, 케이스 (5) 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의 (a) 는, 각 부재의 광학 배치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의 (b) 는, 보호 커버 (51) 에 의한 표면 반사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케이스 (5) 는, 오목면 미러 (50) 를 수납하는 케이스이다. 케이스 (5) 는, 오목면 미러 (50) 의 앞측 (반사면측) 에 배치된 보호 패널 (51) 을 갖는다. 보호 패널 (51) 은 아크릴 수지나 유리판 등의 투명 부재로 구성된 투명 패널 (52) 과, 투명 패널 (52) 의 주위에 배치된 차폐부 (53) 를 구비한다. 투명 패널 (52) 은 케이스 (5) 의 외부에 배치된 시표 표시부 (4)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통과시키고,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시표 광속을 통과시켜, 케이스 (5) 의 외부로 출사한다 (꺼낸다).
또한, 케이스 (5) 로는 수납하는 케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 (5) 는, 적어도 오목면 미러 (50) 의 반사면이 먼지나 외부로부터의 접촉으로부터 보호되는 구성이면 되고, 케이스상의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오목면 미러 (50) 의 일부를 덮지 않는 케이스여도 된다. 이 경우, 오목면 미러 (50) 의 이면이 덮여 있지 않은 구성을 들 수 있다. 오목면 미러 (50) 는, 적어도 오목면 미러 (50) 의 주위의 어느 위치에서 케이스에 의해 유지되고, 오목면 미러 (50) 의 앞측에는 보호 패널이 배치된다. 또, 유지 유닛 (10) 에 의해 케이스 (5) 가 구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투명 패널 (52) 은 피검자가 케이스 (5) 의 내부에 시표를 관찰할 때의 시표 정시창의 역할을 한다. 시표 정시 장치 (1) 는 정시창 (투명 패널 (52)) 으로부터 적어도 20 ㎝ 이상 떨어진 피검안에 대해 검사 시표를 정시한다. 피검자는, 시표창의 투명 패널 (52) 을 통하여 중앙에 시표를 본다. 차폐부 (53) 는, 예를 들어, 그 이면 (케이스 내부) 측에 흑색의 도장이나 흑색의 필터가 붙여져 있다. 또, 케이스 (5) 의 내부는 흑색으로 도장되어 있어, 내부 구조가 보이기 어렵게 하고 있다. 보호 패널 (51) 을 갖는 케이스 (5) 에 의해, 고정밀도로 구성된 오목면 미러 (50) 에 먼지가 부착되거나 상처가 나거나 하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오목면 미러 (50) 는,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기준축 (L1) 상에 배치된다. 오목면 미러 (50) 는, 오목면 미러의 광축 (O1) 이 기준축 (L1) 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45) 와 피검안의 광학 거리를 5 m 의 검사 거리로 하도록 그 초점 거리가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 패널 (52) 은, 기준축 (L1) 에 대한 투명 패널 (52) 면의 법선 (법선 방향) (L3) 의 경사 각도 (θ) 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10˚이상) 가 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도 (θ) 는, 시표 표시부 (4)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광이 투명 패널 (52) 의 표면에서 반사되었을 때에, 그 반사광이 피검안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을 향하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45) 는 강한 광을 발하기 때문에, 투명 패널 (52) 에 의해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45) 의 광이 피검안에 입사되면, 그 반사광은 오목면 미러 (50) 를 통하여 정시되는 시표 관찰의 방해가 된다. 또, 피검자의 후방 배경의 외란광 및 장치 (1) 상방의 외란광이 투명 패널 (52) 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안에 입사되는 경우에도, 피검자의 시표 관찰의 방해가 된다. 본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은 각도 (θ) 의 설정에 의해 이들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어,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상방 차폐 부재>
상방 차폐 부재 (6) 는, 정시창 (52) 에 대한 피검자 (피검안) 측 상방으로부터 정시창 (52) 에 입사되는 외란광 (예를 들어, 형광등으로부터의 광) (G1, G2) (도 1 ∼ 3 참조) 을 차광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정시창에서의 외란광의 비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방 차폐 부재 (6) 는 시표 정시 유닛 (3) 이 갖는 광학 부재 (디스플레이 (45), 반사 미러 (62), 보호 패널 (51) 및 오목면 미러 (50)) 로의 외란광의 입사를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상방 차폐 부재 (6) 는, 예를 들어, 정시창 (52) 의 전면 (52a) (도 3 참조) 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연장되는 면 구조를 갖는다. 면 형상으로는 평면 형상, 곡면 형상, 돔 형상이어도 된다.
상방 차폐 부재 (6) 는 제 1 차폐 부재 (6a) 와 제 2 차폐 부재 (6b) 중 적어도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 1 차폐 부재 (6a) 와 제 2 차폐 부재 (6b) 는 동일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별개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차폐 부재 (6a) 는, 예를 들어, 기준축 (상세하게는, 정시창 (52) 과 눈을 연결하는 축선) (L1) 에 대해 상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 1 차폐 부재 (6a) 는, 피검자측 대각선 상방으로부터 정시창 (52) 을 덮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차폐 부재 (6a) 의 가로폭으로는, 정시창 (52) 의 가로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5) 와 동일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차폐 부재 (6b) 는, 예를 들어, 기준축 (L1) 에 대해 대각선 상측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 2 차폐 부재 (6b) 는 피검자측 대각선 상측방으로부터 정시창 (52) 을 덮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제 1 차폐 부재 (6a) 는 상부 지주 (10b) 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차폐 부재 (6b) 는 측방 위치에 배치된다. 상방 차폐 부재 (6) 는 장치의 상방, 및 기준축 (L1) 보다 상방의 측방을 덮는다.
<하방 차폐 부재>
하방 차폐 부재 (7) 는 정시창 (52) 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의 피검자의 시계를 차폐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검사시에 불필요한 피검안의 조절 (근접성 조절) 을 유인하는 외란광 (정시창 (52) 의 하방으로부터 피검안을 향하는 광) (G3) (도 3 참조) 이 차광된다. 하방 차폐 부재 (7) 는, 예를 들어, 정시창 (52) 의 하방에 형성되고, 정시창 (52) 의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눈 (E) 의 시선 (V1) (도 3 참조) 을 덮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방 차폐 부재 (7) 의 가로폭으로는, 정시창 (52) 의 가로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5) 와 동일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방 차폐 부재 (7) 는, 정시창 (52) 의 하방에 형성되고, 기준 축에 대해 수직인 면 구조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하방 차폐 부재 (7) 는, 예를 들어, 정시창 (52) 의 하방에 형성되고, 정시창 (52) 과 테이블 (2a) 사이의 간극을 차폐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테이블 (2a) 이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정시창 (52) 의 하방을 지나 피검안에 입사되는 외란광이 작아지도록, 하방 차폐 부재 (7) 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방 차폐 부재>
측방 차폐 부재 (9) 는, 정시창 (52) 의 측방 영역에 있어서의 피검자의 시계를 차폐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검사시에 불필요한 피검안의 조절 (근접성 조절) 을 유인하는 외란광 (정시창 (52) 의 측방으로부터 피검안을 향하는 광) (G4) (도 7 참조) 이 차광된다. 측방 차폐 부재 (9) 는, 예를 들어, 정시창 (52) 의 측방에 형성되고, 정시창 (52) 의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눈 (E) 의 시선 (V2) (도 7 참조) 을 덮도록 배치된다. 측방 차폐 부재 (6) 는, 예를 들어, 정시창 (52) 의 전면 (52a) (도 3 참조) 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연장되는 면 구조를 갖는다. 면 형상으로는 평면 형상, 곡면 형상, 돔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측방 차폐 부재 (9) 는, 정시창 (52) 의 측방에 형성되고, 기준축 (L1) 에 대해 측방에 배치된다. 측방 차폐 부재 (9) 는, 예를 들어, 검사창 (81) 의 정시창 (52) 의 좌방 및 우방의 각각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연장되도록 면 구조를 갖도록 해도 된다. 측방 차폐 부재 (9) 는, 적어도 정시창 (52) 으로부터 피검자측을 향하는 소정 거리의 공간을 측방으로부터 차폐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측방 차폐 부재 (9) 는, 정시창 (52) 의 측방으로부터 피검자의 시계에 입사되는 외란광을 차폐한다. 요컨대, 측방 차폐 부재 (9) 는, 검안의 방해가 되는 외란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측방 차폐 부재 (9) 는 연직 방향으로 상부 지주 (10b) 로부터 테이블 (2a) 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는 후술한다).
상방 차폐 부재 (6) 및 하방 차폐 부재 (7), 측방 차폐 부재 (9) 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적어도 검안 위치에 있는 피검안의 소정의 시야각의 범위 내에서 동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어두운 색이 좋다. 소정의 시야각으로는, 예를 들어, 검사창 (81) 을 들여다 보았을 때의 시야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야각이 ±20 도이다. 단, 이것은 일례이며, 검사창 (81) 의 시야각은 검사 유닛 (8) 에 따라 상이한 것이다. 또 검사창 (81) 의 시야각의 범위 내가 반드시 동색이 아니어도 된다. 또, 정시창 (52) 의 주변은 단차가 작아 경계부가 눈에 띄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색의 차이나 광의 반사에 의한 거리감을 유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동색이란, 콘트라스트 차이가 적은 동계색이어도 되고, 엄밀하게 동일한 색이 아니어도 된다.
또, 상방 차폐 부재 (6), 하방 차폐 부재 (7), 및 측방 차폐 부재 (9) 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눈 (E) 에 시인 가능한 영역에 있어서, 케이스 (5) 의 피검자측 케이스면과 동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어두운 색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시표 정시 장치 (1) 는, 상방 차폐 부재 (6) 및 하방 차폐 부재 (7), 측방 차폐 부재 (9)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구비한다. 이로써, 피검안에 입사되는 외란광이 억제된다. 그리고, 정시창 (52) 주변의 배경이나 그림자, 테이블 (2a) 면의 반사광 등으로 시선이 유도되거나, 경계부를 느끼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근접성의 눈의 조절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 검사 정밀도가 향상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45) 가 케이스 (5) 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케이스 (5) 를 향하는 시표 광속이 외란광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상방 차폐 부재 (6) 에 의해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케이스 (5) 를 향하는 시표 광속의 광로가 상방으로부터 차폐됨으로써, 시표 광속에 외란광이 포함될 가능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방 차폐 부재 (6) 및 하방 차폐 부재 (7), 측방 차폐 부재 (9) 는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시표 정시 장치가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차폐 부재 (6, 7, 9) 중 어느 것을 제거함으로써, 시표 정시 장치의 외관이 간소화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하방 차폐 부재 (7) 는 정시창 (52) 과 테이블 (2a) 사이의 간극을 차폐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하방 차폐 부재 (7) 는 정시창 (52) 과 테이블 (2a) 사이의 간극을 완전하게 차폐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 차폐 부재 (7) 는 정시창 (52) 의 하방을 일부 차폐하면 된다. 이로써, 검사시에 불필요한 피검안의 조절을 유인하는 외란광을 차광할 수 있으면 된다. 또, 측방 차폐 부재 (9) 는 연직 방향으로 상부 지주 (10b) 로부터 테이블 (2a) 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측방 차폐 부재 (9) 는 상부 지주 (10b) 와 테이블 (2a) 사이를 완전하게 차폐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 차폐 부재 (9) 는 정시창 (52) 의 측방을 차폐해도 된다. 이로써, 검사시에 불필요한 피검안의 조절을 유인하는 외란광을 차광할 수 있으면 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상방 차폐 부재 (6) 및 하방 차폐 부재 (7), 측방 차폐 부재 (9) 는, 적어도 검안 위치에 있는 피검안의 소정의 시야각의 범위 내에서 동색인 것으로 하였다. 또한, 정시창 (52) 의 근처로서, 적어도 검안 위치에 있는 피검안의 소정 시야각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테이블 (2a) 의 표면도 차폐 부재 (6, 7, 9) 와 동색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차폐 부재 (6, 7, 9) 와 테이블 (2a) 의 색의 차이에 의한 거리감을 유인하기 어려워진다.
<차폐 커버>
또, 시표 정시 유닛 (3) 이 갖는 광학 부재 (디스플레이 (45), 반사 미러 (62), 보호 패널 (51) 및 오목면 미러 (50)) 로의 외란광의 입사를 억제하기 위해서, 차폐 커버 (6) 는 유지 유닛 (10) 의 상부 지주 (10b) 의 상방 위치 및 측방 위치에 배치된다. 차폐 커버 (6) 는 장치의 상방 및 기준축 (L1) 보다 상측의 측방을 덮음으로써, 형광등 등에 의한 외란광이 장치 내의 광학 부재에 입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폐 커버 (6) 가 상방 위치 및 측방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폐 커버 (6) 는 바람직하게는 상방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측방 위치의 차폐 커버 (6) 가 없는 구성이어도 된다.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의 이동 기구>
측정 유닛 (8) 은 지지 아암 (20) 에 의해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이 이루는 면의 중심축 상의 상방 위치에서 유지 유닛 (10) 에 지지된다. 물론, 지지 아암 (20) 이 지지하는 위치는, 검사창 (81) 이 이루는 면의 중심축 상의 상방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정 유닛 (8) 의 어느 위치에서 지지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면 된다.
또, 지지 아암 (20) 은,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선할 수 있도록) 유지 유닛 (10) 에 연결된다. 이로써, 지지 아암 (20) 에 지지되는 측정 유닛 (8) 이 유지 유닛 (10) 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검자는 측정 유닛 (8) 을 피검안의 눈 앞의 검사 위치에 배치한다. 피검자는, 측정 유닛 (8) 의 이마 고정부 (82) 에 이마를 맞춤으로써, 일정한 위치에 피검안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로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통해 시표를 관찰하고 시기능의 검사를 실시한다.
또, 측정 유닛 (8) 은 지지 아암 (20) 에 의해, 유지 유닛 (10) 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은, 측정 유닛 (8) 의 퇴피 수단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의 (a) 는,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 (측정 위치) 에 배치한 경우의 장치의 정면도와, 장치를 F 방향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의 (b) 는, 측정 유닛 (8) 을 퇴피 위치에 배치한 경우의 장치의 정면도와, 장치를 F 방향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측정 유닛 (8) 은, 지지 아암 (20) 과 유지 유닛 (10) 의 연결 위치 (O) 를 중심하고, 원호 상으로 회선 이동시킨다. 즉, 측정 유닛 (8) 을 지지 아암의 연결 위치 (O) 를 중심으로 회선 이동시킴으로써 측정 유닛 (8) 이 기준축 (L1) (오목면 미러 (50)) 에 대해,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의 이동이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연결 위치 (O) 를 중심축 (C) 상에 위치시켰을 경우,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차폐 커버 (6) 나 유지 유닛 (10) 과 간섭하지 않도록, 측정 유닛 (8) 과 차폐 커버 (6) 또는 유지 유닛 (10) 의 거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즉,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원호 이동을 할 때의 가동 범위를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지 아암 (20) 의 길이 (W) 를 보다 길게 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의 평면도에 있어서, 연결 위치 (O) 는 장치의 중심축 (C) 상으로부터 지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위치에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 위치 (O) 를 장치의 중심축 (C) 으로부터 어긋나게 한 위치에서 연결함으로써, 보다 작은 가동 범위에서,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지지 아암의 길이 (W) 를 짧게 하고, 측정 유닛 (8) 의 가동 범위를 작게 해도, 차폐 커버 (6) 나 유지 유닛 (10) 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평면도 상에 있어서, 연결 위치 (O) 를 중심축 (C) 보다 상방향 (정면도의 지면에 대해 좌방향) 에 위치시켰을 경우, 측정 유닛 (8) 을 피검안의 좌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그 회선 이동의 가동 범위는 작아진다. 또, 평면도 상에 있어서, 연결 위치 (O) 를 중심축 (C) 보다 하방향 (정면도의 지면에 대해 우방향) 에 위치시켰을 경우, 측정 유닛 (8) 을 피검안의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그 회선 이동의 가동 범위는 작아진다.
이상과 같이, 측정 유닛 (8) 을 시표 정시 유닛 (3) 에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연결 위치 (O) 는 장치의 중심축 (C) 상으로부터 어긋나게 함으로써, 보다 작은 가동 범위에서 측정 유닛 (8) 을 퇴피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장치의 컴팩트화로 이어져, 보다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가동 범위가 작기 때문에, 검자에게 접촉될 가능성이 적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지주 (10b) 에 연결된 지지 아암 (20) 이 연결 위치를 중심으로 회선 (선회)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지지 아암 (20) 의 회선 이동에 의해,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지 유닛 (10) 의 상부 지주 (10b) 에 상하 이동 수단을 장착하여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보다 상방의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 (8) 은, 주지의 텔레스코픽 파이프 기구에 의해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도록, 유지 유닛 (10) 에 연결된다. 그리고, 측정 유닛 (8) 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측정 유닛 (8) 을 퇴피시킨다. 이로써,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측정 유닛 (8) 이 검자의 얼굴을 가로지르지 않게 되므로, 검자에게 접촉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측정 유닛 (8) 을 상하 이동에 의해 퇴피시켰을 경우, 피검안의 시야 내에 측정 유닛 (8) 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지지 아암 (20) 에 대해 측정 유닛 (8) 이 상하동 가능한 구성을 형성하여, 측정 유닛 (8) 이 상하 이동되도록 해도 된다. 물론, 상하 이동과 회선 이동이 조합되어 퇴피 수단이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
도 8 은, 시표 정시 장치 (1) 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어부 (70) 에는, 측정 유닛 (8), 디스플레이 (45), 컨트롤러 (90), 메모리 (72) 등이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72) 에는, 랜돌트 고리 시표 등의 검사 시표의 데이터가 다수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력값 0.1 ∼ 2.0 의 시표 데이터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 (70) 는, 컨트롤러 (90) 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메모리 (72) 로부터 해당하는 시표 데이터를 호출하고, 디스플레이 (45) 의 표시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시표를 표시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 (90) 로부터의 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을 통하여 제어부 (70) 에 입력되지만,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광로 전환>
본 장치에는, 시표 정시 유닛 (3) 의 시표 정시에 있어서,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하기 위한 광로 전환 유닛 (60) 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광로 전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는,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의 전환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의 (a) 는 원용 검사용 광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의 (b) 는 근용 검사용 광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 에 있어서 측정 유닛 (8) 은 생략되어 있다.
원용 검사용 광로에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여 출사하고,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시표 광속을 피검안에 정시시킨다. 피검자는 정시된 시표를 관찰하고 원용의 시기능 검사를 실시한다.
근용 검사용 광로에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반사 미러 (62) 를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사이의 기준축 (L1) 상에 배치한다. 또,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미러 (62) 에 의해 반사된 축 (L4) 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45)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은, 오목면 미러 (50) 를 개재하지 않고 기준축 (L1) 을 따라 피검안에 도광된다. 시표 광속이 오목면 미러 (50) 를 개재하지 않고, 피검안에 도광됨으로써 검사 거리가 근거리 (예를 들어, 40 ㎝) 가 된다.
또한, 원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축 (L2) 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45)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이하, 광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은, 시표 표시부 (4) 및 광로 전환 유닛 (60) 부분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의 (a) 는, 원용 검사용 광로시의 시표 표시부 (4) 및 광로 전환 유닛 (60)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의 (b) 는, 근용 검사용 광로시의 시표 표시부 (4) 및 광로 전환 유닛 (60)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시표 표시부 (4) 는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샤프트 (42), 회전 제한부 (돌기부 (44a), 스토퍼 (44b)) (44), 디스플레이 (45), 돌기부 (46), 스프링 (47) 을 구비한다. 시표 표시부 (4) 의 각 부재는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디스플레이 (45) 는 지지부 (41) 를 개재하여 샤프트 (42) 에 연결된다. 샤프트 (42) 는 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이로써, 유지 유닛 (10) 에 대해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가 변경 가능해진다.
또, 샤프트 (42) 에는 스프링 (47) 이 연결되고, 샤프트 (42) 는 스프링 (47) 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 스프링력은, 샤프트 (42) 를 항상 B1 방향 (도 9 참조) 으로 회전시키는 힘 (디스플레이 (45) 를 경사지게 하는 힘) 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 회전 제한부 (44) 에 의해 회전량이 제한된다. 즉,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가 회전 제한부 (44) 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제한된다. 회전 제한부 (44) 는 돌기부 (44a), 스토퍼 (44b) 로 구성된다. 돌기부 (44a) 는 샤프트 (42) 에 형성된다. 스토퍼 (44b) 는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샤프트 (42) 가 소정량 회전하면, 샤프트 (42) 에 형성된 돌기부 (44a) 가 스토퍼 (44b) 에 끼워져, 샤프트 (42) 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45) 가 소정의 경사 각도 (근용 검사용 LCD 경사 각도) 까지 각도 변경이 가능해진다 (도 10 의 (a), (b) 참조). 또한, 원용 검사를 실시할 때에는, 반사 미러 (62) 의 지지부 (61) 에 의해 디스플레이 (45) 의 지지부 (41) 에 형성된 돌기부 (46) 가 B2 방향으로 가압되어,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의 변경이 억제되고 있다 (도 10 의 (a) 참조).
광로 전환 유닛 (60) 은 지지부 (61), 반사 미러 (예를 들어, 평면 미러) (62), 손잡이 (63), 샤프트 (회전축) (66), 회전 제한부 (돌기부 (67a), 스토퍼 (67b)) (67), 자석 (68) 을 구비한다. 광로 전환 유닛 (60) 의 각 부재는 시표 표시부 (4) 와 동일하게 하고, 베이스 (65) 를 개재하여 유지 유닛 (10) 에 의해 지지된다.
반사 미러 (62) 는, 지지부 (61) 를 개재하여 샤프트 (66) 에 연결된다. 샤프트 (66) 는 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이로써, 유지 유닛 (10) 에 대해 지지부 (61) 의 경사 각도가 변경 가능해지고, 반사 미러 (62) 의 광로 (L1) 에 대한 삽탈이 가능해진다. 이 때, 경사 각도의 변경량은 시표 표시부 (4) 와 동일하게 하여, 회전 제한부 (67) (돌기부 (67a), 스토퍼 (67b)) 에 의해 제한된다. 즉, 회전 제한부 (67) 에 의해 반사 미러 (62) 의 삽입 위치가 설정된다.
또, 반사 미러 (62) 에는 손잡이 (63) 가 연결되어 있고, 검자는 손잡이 (63) 를 조작하여 반사 미러 (62) 의 삽탈을 실시한다. 원용 검사시에는, 반사 미러 (62) 는 자석 (68) 의 자력에 의해 시표 표시부 (4) 의 광로로부터 퇴피된 퇴피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도 10 의 (a) 참조). 또한, 자석 (68) 에 의한 자력은 시표 표시부 (4) 의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스프링 (47) 의 스프링력보다 강한 힘이다. 이 때문에, 자석 (68) 은 반사 미러 (62) 를 퇴피 위치로 유지함과 함께, 돌기부 (46) 를 개재하여 지지부 (41) 를 가압하고, 디스플레이 (45) 를 원용 검사시의 경사 각도 (배치 위치) 로 유지하고 있다. 검자에 의해 손잡이 (63) 가 조작되어 반사 미러 (62) 가 삽입되면, 돌기부 (46) 를 가압하고 있던 자석 (68) 의 자력이 없어진다. 이로써, 스프링 (47) 의 스프링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45) 의 기준축 (L1) 에 대한 경사 각도가 변경된다 (도 10 의 (b) 참조).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는 피검안이 기준축 (L1) 방향에서 반사 미러 (62) 에 의해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45) 화면을 보았을 때에, 그 화면 (허상의 화면) 이 기준축 (L1) 에 대해 수직인 화면으로 하여 보이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근용 검사용 광로로부터 원용 검사용 광로로 전환하는 경우, 검자는 손잡이 (63) 를 들어 올려 퇴피 위치까지 반사 미러 (62) 를 이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석 (68) 을 사용하여, 반사 미러 (62) 를 퇴피 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 미러 (62) 를 퇴피 위치에서 유지 가능한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래치 등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용 검사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의 전환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 광로의 전환에 수반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광로의 전환을 실시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할 수 있다. 이로써,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시표 정시에 의한 검사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검자는 측정 유닛 (8) 의 이마 고정부 (82) 에 피검자의 이마를 대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이마 고정부 (82) 와 이마를 맞춤으로써 일정한 위치에 피검안을 위치시킨다. 원용 검사시에는, 반사 미러 (62) 가 기준축 (L1) 에서 벗어난 상태로,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기준축 (L1) 상에 오목면 미러 (50) 를 통하여 시표를 정시하고, 피검자에게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통해 정시되는 시표를 관찰시켜 시기능의 검사를 실시한다. 제어부 (70) 는 컨트롤러 (90) 에 의해 입력되는 원용 시표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표시를 제어하고, 원용 시표를 디스플레이 (45) 에 표시시킨다. 상방 차폐 부재 (6) 및 하방 차폐 부재 (7), 측방 차폐 부재 (9) 에 의해 외란광이 차단된다. 그 때문에, 피검자는 배경이나 그림자, 여분의 광에 시선이 유도되거나 경계부를 느껴 근접성의 눈의 조절을 일으키지 않고, 양호한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근용 검사시에는, 상기와 같이 반사 미러 (62) 를 기준축 (L1) 에 삽입함과 함께 디스플레이 (45) 의 각도를 변경한다. 제어부 (70) 는, 컨트롤러 (90) 에 의해 입력되는 근용 시표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표시를 제어하고, 근용 시표를 디스플레이 (45) 에 표시시킨다.
<변용 형태>
제 1 실시형태의 변용 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 는 본 변용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변용 형태는 하방 차폐 부재 (7) 가 정시창 (52) 의 하방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연장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하방 차폐 부재 (7) 는 적어도 정시창 (52) 으로부터 피검자측을 향하는 소정 거리의 공간을 차폐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요컨대, 검사시에 정시창 (52) 하방의 간극을 지나 피검안에 입사되는 외란광을 차광하고, 불필요한 피검안의 조절 (근접성 조절) 을 제거 (저감) 할 수 있다.
1 : 시표 정시 장치
2 : 검안 테이블 유닛
3 : 시표 정시 유닛
4 : 시표 표시부
5 : 케이스
6 : 상방 차폐 부재
7 : 하방 차폐 부재
8 :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9 : 측방 차폐 부재
10 : 유지 유닛
20 : 지지 아암
45 : 디스플레이
50 : 오목면 미러
51 : 보호 커버
52 : 투명 패널
53 : 차폐부
60 : 광로 전환 유닛
62 : 반사 미러
70 : 제어부
72 : 메모리
81 : 검사창
90 : 컨트롤러

Claims (5)

  1. 검사 시표를 프레임 내에 정시하는 정시창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정시창으로부터 적어도 20 ㎝ 이상 떨어진 피검안에 대해 상기 시표를 정시하는 시표 정시 장치로서,
    상기 피검안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정시창에 입사되는 외란광을 차광하기 위해서 배치된 상방 차폐 부재와,
    상기 정시창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의 피검자의 시계를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정시창의 하방을 차폐하는 하방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표 정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차폐 부재 및 상기 하방 차폐 부재는, 적어도 검안 위치에 있는 상기 피검안의 소정의 시야각의 범위 내에서 동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표 정시 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시창의 좌방 및 우방의 각각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피검안이 상기 정시창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측을 향하는 소정 거리의 공간을 차폐하는 측방 차폐 부재로서, 적어도 상기 검안 위치에 있는 상기 피검안의 소정의 시야각의 상기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상방 차폐 부재 및 상기 하방 차폐 부재와 동색의 상기 측방 차폐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시표 정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차폐 부재는, 상기 정시창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피검안이 상기 정시창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측을 향하는 소정 거리의 공간을 차폐하는 시표 정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오목면 거울을 갖고,
    상기 케이스의 밖에 배치되어, 상기 오목면 거울을 향하여 시표 광속을 투영하는 시표 투영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표 광속을 상기 오목면 거울을 통하여 피검안에 투영하는 시표 정시 장치로서,
    상기 상방 차폐 부재는, 상기 시표 광속의 광로를 상방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표 정시 장치.
KR1020130160042A 2012-12-28 2013-12-20 시표 정시 장치 KR20140086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6484A JP5924259B2 (ja) 2012-12-28 2012-12-28 視標呈示装置
JPJP-P-2012-286484 2012-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849A true KR20140086849A (ko) 2014-07-08

Family

ID=4994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042A KR20140086849A (ko) 2012-12-28 2013-12-20 시표 정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14744B2 (ko)
EP (1) EP2749206B1 (ko)
JP (1) JP5924259B2 (ko)
KR (1) KR201400868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8429B2 (en) 2008-03-27 2013-01-08 Doheny Eye Institut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evice, method, and system
US11839430B2 (en) 2008-03-27 2023-12-12 Doheny Eye Institut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based ophthalmic test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EP3884844A1 (en) 2008-07-18 2021-09-29 Doheny Eye Institut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based ophthalmic test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US9226856B2 (en) 2013-03-14 2016-01-05 Envision Diagnostics, Inc. Inflatable medical interfaces and other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772497B2 (en) * 2014-09-12 2020-09-15 Envision Diagnostics, Inc. Medical interfaces and other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ye exams
JP6582536B2 (ja) * 2014-06-02 2019-10-02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EP3349642B1 (en) 2015-09-17 2020-10-21 Envision Diagnostics, Inc. Medical interfaces and other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ye exams
FR3048601A1 (fr) * 2016-03-14 2017-09-15 Duhil De Benaze Henri Francois Guy Banc d'optique pour la mise en oeuvre de la methode pnv (pedagogie neuro visuelle)
EP3448234A4 (en) 2016-04-30 2019-05-01 Envision Diagnostics, Inc.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OCULAR EXAMINATIONS AND OCULOMETRY
JP6930095B2 (ja) * 2016-12-01 2021-09-01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JP7059517B2 (ja) * 2017-03-31 2022-04-26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JP6962016B2 (ja) * 2017-06-15 2021-11-05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WO2019055504A1 (en) * 2017-09-13 2019-03-21 Oculogica Inc. EYE TRACKING SYSTEM
JP2020049144A (ja) *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CN109820475A (zh) * 2019-02-25 2019-05-31 上海雄博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内读式投影视力仪的光路结构
USD993414S1 (en) * 2020-10-01 2023-07-25 Topcon Corporation Table for optometr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842A (en) 1981-11-04 1983-09-13 Oculus Optikgeraete Gmbh Apparatus for testing twilight vision and blinding sensitivity
JPH0591603U (ja) * 1992-03-30 1993-12-14 株式会社トプコン 視標指示装置
JP3354964B2 (ja) * 1992-08-11 2002-12-09 株式会社トプコン 視機能検査装置
JP2972044B2 (ja) 1992-11-12 1999-11-08 株式会社トプコン 視力表表示装置
US6652102B2 (en) 2000-10-20 2003-11-25 Nidek Co., Ltd Visual function test apparatus
JP3953977B2 (ja) 2003-04-30 2007-08-08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JP2006014766A (ja) * 2004-06-30 2006-01-19 Nidek Co Ltd 視機能検査装置
JP5079546B2 (ja) 2008-02-29 2012-11-21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JP5079575B2 (ja) 2008-03-31 2012-11-21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JP5250071B2 (ja) * 2009-09-07 2013-07-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視機能検査装置
JP2011072432A (ja) * 2009-09-29 2011-04-14 Nidek Co Ltd 視標呈示用ミラーボックス及びこれを備える視標呈示装置
JP5646870B2 (ja) 2010-04-14 2014-12-24 一夫 市川 色覚検査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前記色覚検査装置の制御方法
US8591031B2 (en) * 2010-11-19 2013-11-26 Ziemer Ophthalmic Systems A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9206B1 (en) 2017-05-17
EP2749206A2 (en) 2014-07-02
JP5924259B2 (ja) 2016-05-25
US20140185012A1 (en) 2014-07-03
EP2749206A3 (en) 2014-09-17
JP2014128315A (ja) 2014-07-10
US9414744B2 (en)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6849A (ko) 시표 정시 장치
CN108209855B (zh) 主观式验光装置
JP2016010679A (ja) 視標呈示装置
JP6197274B2 (ja) 視標呈示装置
KR102099472B1 (ko) 검안 장치
JP6057056B2 (ja) 検眼装置
JP6146011B2 (ja) 視標呈示システム
JP6798287B2 (ja) 自覚式検眼装置
KR102099473B1 (ko) 검안 장치
KR102378394B1 (ko) 자각식 검안 장치
JP2020018715A (ja) 自覚式検眼装置及び自覚式検眼プログラム
JP6079989B2 (ja) 検眼装置
JP7162480B2 (ja) 検眼装置
JP2014028068A (ja) 検眼装置
JP7095364B2 (ja) 検眼装置
JP6885201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7021538B2 (ja) 視標呈示装置
JP2019177046A (ja) 視標呈示装置
JP2021029424A (ja) 自覚式検眼装置及び自覚式検眼プログラム
JPH11174986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H089290A (ja) 頭部固定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