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966A -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2966A KR20140082966A KR1020147008380A KR20147008380A KR20140082966A KR 20140082966 A KR20140082966 A KR 20140082966A KR 1020147008380 A KR1020147008380 A KR 1020147008380A KR 20147008380 A KR20147008380 A KR 20147008380A KR 20140082966 A KR20140082966 A KR 201400829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ing
- housing
- elevating
- force
- brak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0—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rotatable eccentrically-moun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승강 설비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레일(6)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실(2)이 배치되며, 이 승강실(2)에는 바람직하게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갖춘 제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동 하우징(21) 및 힘 저장부(24)를 포함한다. 제동 하우징(21)은 제1 위치(B1)와 제2 위치(B2) 사이에서 수직으로 또는 제동 방향에 평행한 종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힘 저장부(24)는 제동 하우징(21)에 작용하며 제2 위치(B2)의 방향으로 제동 하우징을 밀어낸다. 또한,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동 하우징(21)에 작용 가능하며 제1 위치(B1)에 상기 제동 하우징(21)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액추에이터(32)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액추에이터는 제1 설정(P1)에서 힘 저장부(24)의 힘(F24)에 대해 제1 위치(B1)에 제동 하우징(21)을 유지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제2 설정(P2)에서 제2 위치(B2) 안으로 제동 하우징(21)의 밀어내기를 가능하게 한다. 제동 요소(25)는 이로써 제동 레일(7)과 접촉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실(lift cage)을 제동하기 위한 작동 기능 또는 작동 장치를 갖춘 제동 장치, 이 제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이러한 종류의 제동 장치를 갖춘 승강 설비에 관한 것이다.
승강 설비는 건물 내에 설치된다. 이 설비는 지지 수단에 의해 균형추 또는 제2 승강실과 연결되는 승강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승강실은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승강실 또는 균형추에 직접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승강 설비는 단층 또는 여러 층에 걸쳐 건물 내부에서 사람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승강 설비는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승강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승강실을 제동할 수 있는 제동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독일특허공보 제2139056호에 이러한 유형의 제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동 장치는 편심기(eccentric)와 유사한 제어 캠을 포함한다. 작동을 위해, 이 제어 캠은 가이드 레일과 맞물리게 되도록 중심에 대해 회전한다. 이 제어 캠은 기계식 속도 제한기로부터 연결 장치를 통해 작동된다. 이러한 유형의 기계식 속도 제한기는 고가이며 많은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
미국특허공보 제6425462호에는 다른 제동 장치가 개시된다. 이와 관련, 승강실 중량이 수직 이동가능 힘 요소 및 연관된 제동 플레이트 상의 가압 레버를 통해 작용하며, 이로써 필요한 경우 가이드 레일에 대해 압박된다. 이에 의해 하중 종속 제동 작용이 발생한다. 트리거 레버(trigger lever), 힘 요소 및 연관된 베어링 포인트는 필요한 제동력에 따라 상당히 하중을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유형의 제동 장치의 새로운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대안의 작동 장치는 전기기계식으로 작동가능하며 간단한 방식으로 재설정 가능해야 한다. 또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가능한 한 현존 제동 장치와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아래에 설명하는 해결 수단은 상기한 필요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필요한 경우 제동 레일과 협력하여 승강실을 지연 및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승강 제동 장치가 제안된다. 바람직하게, 이 승강 제동 장치는 승강기의 이동체(travelling body), 예컨대 승강실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균형추 상에도 배치되며, 이를 위해 제동 레일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과 협력할 수 있다. 이 제동 레일은 이동체의 안내를 위해 다기능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승강 제동 장치가 구동부의 영역 내에 또한 배치될 수 있으며, 제동 레일은 제동 디스크일 수 있거나 제동 케이블일 수도 있다.
승강 제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제동 하우징은 제동을 위해 제동 레일과 맞물려지기에 적합한 부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승강 제동 장치는 이를 위해 예컨대 쐐기 또는 편심기 또는 다른 형상의 확대 곡면부에 의해 자가 작동(self-energising)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요소를 포함한다. 이 제동 요소는 바람직하게 제동 하우징 내에 일체화된다. 자가 작동은 제동 요소가 초기 힘에 의해 제동 레일까지 위로 이동된 후 자동으로 승강 제동 장치와 제동 레일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제동 설정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동 하우징이 제2 위치 바람직하게 상부 위치로 수직 방향으로 가압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유형의 초기 힘은 필요한 경우 제동면에 대해 제동 요소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힘 저장부에 의해 제공된다.
승강 제동 장치는 유사하게 제동 하우징에 작용할 수 있고 제1 위치 바람직하게 하부 위치에 제동 하우징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제1 위치는 시작 위치에서 승강 설비의 작동 위치와 대응한다. 이 작동 위치에서 승강 제동 장치는 제동 맞물림 상태로 배치되지 않으며, 승강 설비 또는 그 이동체가 작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제1 설정에서 힘 저장부의 힘에 대항하여 제1 위치에 제동 하우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설정에서 액추에이터는 제동 하우징을 제2 위치로 밀어낼 수 있다. 제2 위치로의 제동 하우징의 변위로 인해, 예컨대 상기 제동 요소와 같은 승강 제동 장치의 제동 부품이 이제 제동 레일과 맞물리게 되어, 제동이 시작되고 실행된다.
제동 하우징은 이를 위해 제1 위치 바람직하게 하부 위치와 제2 위치 바람직하게 상부 위치 사이에서 제동 방향과 평행한 종축 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 제동 방향은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한편으로 액추에이터가 제1 위치에 유지시키는 경우 이동체의 비제동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필요하다면, 액추에이터는 제동 하우징을 해제시켜서, 힘 저장부가 제동 하우징을 제2 위치로 가져오게 할 수 있고, 이 결과 제동이 시작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승강 제동 장치는 승강 설비의 이동체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일체화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이 지지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동 하우징의 실질적인 수직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수직 가이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현존 승강기 내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승강기 개념에도 설치될 수 있는 경제적 모듈식 해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승강 제동 장치의 힘 저장부는 제동 하우징에 작용하며 바람직하게 지지부와 제동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공압식, 유압식 또는 예컨대 구동부와 같은 고정체에서의 배치의 경우에, 또한 중량-기반식 힘 저장부가 명확히 문제가 된다.
변형예에서, 제동 하우징은 제동 요소를 포함하며, 이 제동 요소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제동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또한, 제동 요소는 지지부를 위한 연결 부재와 연결되어 제동 하우징의 수직 변위의 경우에 이 제동 요소가 지지부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이 제동 요소는 제동 레일과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입증된, 기존 제동 부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경제적이고 고객의 수용을 촉진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편으로 수직 가이드는 제동 요소를 제동 레일과 확실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충분히 긴 가이드 길이를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수직 가이드는 제동 설정에서 제동력이 지지부 안으로 신뢰성 있게 도입될 수 있도록 한계가 정해진다. 이러한 한계결정은 바람직하게 상부 및 하부 수직 인접부에 의해 달성되며, 이들 인접부는 가이드 길이를 한정하고 필요한 경우 이동체에 제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제동 요소에는 이 제동 요소를 작동 위치에 유지시키는 센터링 장치(centering device)가 제공된다. 따라서, 승강 제동 장치가 제동 레일에 대해 충분한 주행 유극(transit play)을 제공할 수 있어서 승강 설비의 방해없는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승강실 또는 균형추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동 요소와 제동 레일 사이의 작동 위치에 존재하는 공기 간극을 주행 유극이라 한다. 센터링 장치가 제동 요소를 영(zero) 포인트 위치 또는 작동 위치로 잡아 당기거나 가압하는 인장 또는 압축 스프링이라는 것이 문제가 된다. 대안으로, 센터링 장치는 스냅 장치 또는 멈춤쇠 장치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변형예에서, 승강 제동 장치는 승강 설비의 이동체를 이동 방향으로 제동시키고 이동체를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제동력을 제2 위치에서 생성한다. 또한, 승강 제동 장치는 이동 방향과 반대로 해제 이동에 의해 재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시스템은 승강 제동 장치의 해제 또는 그의 클램핑 메커니즘에 필요한 재설정 힘이 힘 저장부의 힘 보다 큰 방식으로 적응된다.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승강 제동 장치를 재설정하자마자 제동 하우징은 그에 따라 힘 저장부를 압박한다. 동시에 액추에이터는 제1 위치에서 제동 하우징을 다시 파지하고 유지할 수 있다. 재설정 이동을 통해 액추에이터가 다시 기하학적으로 제1 설정에 위치되므로 액추에이터 자체는 이 경우 재설정을 위한 어떠한 추가의 에너지도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액추에이터는 예컨대 액추에이터의 레버가 탄성 구조이거나 예컨대 클램핑 전자석의 연결점이 탄성 및 감쇠 지지부에 의해 고정된다는 점에서 탄성적으로 감쇠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재설정 시에 발생하는 것과 같은 충격이 감쇠된다.
변형예에서, 제동 하우징은 지지부가 수평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보유된다. 따라서 승강 제동 장치는 제동이 발생할 때 제동 레일에 대해 자동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동체의 가이드 요소 상의 극한의 측면 로딩이 따라서 방지된다.
변형예에서, 제동 요소는 회전 베어링에 대해 편심으로 또는 편심기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중심 클램핑 영역을 구비한다. 이와 관련해서, 회전 베어링으로부터 클램핑 영역까지의 방사상 간격이 회전 각도에 걸쳐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대안으로, 제동 요소는 제어 캠을 갖는 제어 편심기를 포함한다. 제어 캠은 회전 베어링으로부터 제어 캠까지의 방사상 간격이 회전 각도에 걸쳐서 증가하도록 회전 베어링에 대해 편심으로 또는 편심기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제어 캠의 회전과 제어 편심기의 회전을 통해 제동 레일에 대해 제동 슈(brake shoe)가 가압된다. 따라서, 승강 제동 장치의 양호한 자가 작동이 달성될 수 있고 내측 잡아당김(pull-in) 신뢰성이 높다. 외부 작동력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승강 제동 장치는 제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이 제동 플레이트는 제동 레일 또는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이 제동 요소와 제동 플레이트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관련해서 제동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제동 스프링에 의해 제동 하우징 내에 고정된다. 이것은 필요한 로드로 승강 제동 장치를 간단히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마모에 대한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전기자 플레이트를 갖는 클램핑 전자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동 하우징은 제1 위치에 전자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설정에서, 전자기 플레이트는 이 경우 클램핑 전자석에 지지하며 이 클램핑 전자석에 의해 유지된다. 클램핑 전자석의 힘은 힘 저장부의 힘과 반대로 작용한다. 클램핑 전자석이 비활성화되면 힘 저장부는 제동 하우징을 상방으로 압박한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동 하우징이 복귀 이동할 때 클램핑 전자석의 무전류 상태에서조차도 전자기 플레이트는 클램핑 전자석과 강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 전자석이 승강 제동 장치를 재설정하기 위해 공기 간극에 걸쳐 가교할 필요가 없으므로 특히 유리한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래치 해결안이 명확히 또한 선택될 수 있는데, 여기서 재설정을 위한 래치는 예컨대 제 위치에 구속적으로 걸리게 되지만 여전히 잠기지는 않는다. 잠금은 예컨대 승강 설비의 정확한 기능설정을 확인하는 제어 회로의 스위치 온(switch-on) 후에만 오로지 실행된다.
변형예에서 액추에이터는 보조 중량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동반기(entrainer) 바람직하게 액추에이터의 블로킹 롤러가 제동 하우징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도록 적절하게 형상화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액추에이터는 이 액추에이터의 블로킹 롤러 또는 동반기를 제동 하우징과 접촉 상태로 유지시키는 보조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블로킹 롤러는 제동 하우징의 무마찰 측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며 보조 중량물 또는 보조 스프링은 승강 제동 장치의 재설정 시에 액추에이터 예컨대 클램핑 전자석이 그의 초기 위치로 설정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 결과, 단순히 클램핑 전자석의 코일 전류가 스위치 온 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가 직접 고정된다.
변형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제동 하우징의 제1 위치의 설정이 정밀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전자기 플레이트가 설정 스크루에 의해 고정된다는 점에서 가능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승강 제동 장치는 승강 설비에 바람직하게 직접 승강실을 갖는 승강 설비 내에 설치하거나 또는 승강 설비에 부착된다. 제동 레일은 바로 가이드 레일의 부품이며, 승강 제동 장치는 정지와 제동을 위해 가이드 레일의 웨브를 클램핑한다.
바람직하게, 승강실에는 2개의 승강 제동 장치가 제공되며, 이들 승강 제동 장치는 승강실의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에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 2개의 승강 제동 장치는 동기화 로드에 의해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각각의 승강 제동 장치는 각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중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 나머지 액추에이터가 동기화 로드에 의해 2개의 승강 제동 장치를 동기적으로 작동시키므로 승강 제동 장치의 신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에서의 제동이 방지된다. 또한 승강 설비의 균형추에 대응하는 제동 장치가 명확히 장착될 수 있다.
아래에, 도면과 연관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실례로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승강 설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승강 설비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비작동 위치의 승강 제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제2 작동 위치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제2 제동 위치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재설정 위치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용 액추에이터의 대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s는 제1 비작동 위치의 승강 제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8f는 도 8s의 승강 제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s는 제2 작동 위치의 도 8s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f는 도 9s의 승강 제동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승강 설비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비작동 위치의 승강 제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제2 작동 위치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제2 제동 위치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재설정 위치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용 액추에이터의 대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s는 제1 비작동 위치의 승강 제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8f는 도 8s의 승강 제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s는 제2 작동 위치의 도 8s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f는 도 9s의 승강 제동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모든 도면에서 균등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승강 설비(1)의 전체 도면을 도시한다. 승강 설비(1)는 건물 내에 설치되며 건물 내에서 사람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이 승강 설비는 가이드 레일(6)을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실(2)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승강실(2)에는 대해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가능한 정밀하게 승강실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슈(8)가 제공된다. 승강실(2)은 도어를 통해 건물에서 접근가능하다. 구동부(5)는 승강실(2)을 구동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구동부(5)는 예컨대 건물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승강실(2)은 예컨대 지지 케이블 또는 지지 벨트와 같은 지지 수단(4)에 의해 구동부(5)에 매달린다. 지지 수단(4)은 구동부(5)에 의해 균형추(3)를 향해 안내된다. 균형추는 구동부(5)가 주로 승강실(2)과 균형추(3) 사이에서 단지 불균형한 중량을 보상하기만 하면 되도록 승강실(2)의 질량 비율의 균형을 유지한다. 실례에서, 구동부(5)는 건물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또는 이 구동부는 건물 내의 다른 위치에, 또는 승강실(2) 또는 균형추(3)의 영역에 또한 배치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승강실(2)에는 예기치 않게 이동하는 경우 또는 과속의 경우에 승강실(2)를 보호 및/또는 지연시키기에 적합한 제동 장치가 장착된다. 실례에서, 제동 시스템은 승강실(2) 아래에 배치되며, 예컨대 모니터링 모듈(11)에 의해 전기식으로 작동된다(도시 안됨). 이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기계식 속도 제한기가 제거될 수 있다.
이 구조는 승강실 또는 균형추의 아래 방향으로의 과도한 속도를 소위 안전 제동 장치와 같이 방지하는 승강 제동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도 2는 도 1의 승강 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동 시스템은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포함한다. 본 실례에서, 이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는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가 함께 작동하도록 동기화 로드(1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일측에서의 의도치 않은 제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는 바람직하게 구조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거울 대칭으로 구현되며, 이들은 필요한 경우 승강실(2)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동 레일(7)에 작용한다. 본 실례에서 이 제동 레일(7)은 가이드 레일(6)과 동일하다. 이들은 승강 제동 장치(20)와 협력하여 승강실(2)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동기화 로드(15) 없이도 가능하다. 그러나, 승강실의 양측 상에 배치되는 승강 제동 장치(20)의 동시적인 촉발을 보장하는 전기적 동기화 수단이 이때 제안된다.
도 3 내지 도 6의 개략도에서 승강 제동 장치(20)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여러 작동 위치에 있는 동일한 승강 제동 장치(20)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위치(B1)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이 위치는 또한 승강 제동 장치의 정상 위치와 대응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이동체(2, 3) 또는 승강실(2)이 이동될 수 있다.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동하지 않는다. 제동 하우징(21)이 지지부(9) 내에 설치된다. 지지부(9)는 이동체(2, 3), 통상적으로 승강실(2)에 부착된다. 대안으로, 지지부(9)가 승강실의 직속 부품일 수도 있다. 제동 하우징(21)은 본 실례에서, 한편으로 예컨대 슬롯 내에서와 같이 수직 가이드(50)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 가이드 로드(22) 및 슬라이딩 가이드(23)에 의해 측방향으로도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슬라이드 연결부(22, 23, 50)를 통해 지지부(9) 내에 고정된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로드(22)는 수직 가이드(50)의 슬롯 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조절 스프링(52)은 바람직하게 설정 가능한 인접부(43)에 대해 제동 하우징(21)을 가압한다. 조절 스프링(52)은 압축 스프링, 인장 스프링 또는 다른 힘 요소일 수 있다. 개별 스프링 대신, 복수의 스프링도 명확히 사용될 수 있다. 조절 스프링(52)에 의해 생성되는 조절 힘이 이동체의 가능한 이동 상태 또는 가속 상태와 무관하다는 것이 중요하다.
힘 저장부(24)는 힘(F24)에 의해 제동 하우징(21)을 상방으로 압박한다. 그러나, 이러한 힘(F24)은 액추에이터(32)와 반작용한다. 본 실례에서, 액추에이터(32)는 클램핑 전자석(36)이다. 이 클램핑 전자석(36)은 스위치-온 상태(P1)에서 제동 하우징을 제1 위치(B1)에 유지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자기 유지력(F36)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이를 위해 제동 하우징(21)에 대해 이상적 접착 상태를 보장하는 전기자 플레이트(37)가 제동 하우징(21)에 배치된다. 또한 이 제동 하우징(21)은 명확히 전기자 플레이트(37)를 자체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자 플레이트(37)의 크기는 클램핑 전자석(36)의 크기 보다 크게 선택된다. 따라서, 제조와 조립에 있어 부정확도가 균등화될 수 있다. 제동 요소(25)가 제동 하우징(21) 내에 배치된다. 본 실례에서, 제동 요소(25)는 회전 축선(28a)을 중심으로 또는 대응하는 회전 베어링(28)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 제동 요소(25)는 연결 부재(46)에 의해 지지부(9)와 연결되며 센터링 장치(42), 예컨대 인장 장치 또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동시에 탄성적으로 위치된다. 제동 요소(25)의 위치는 따라서 제동 하우징(21)의 위치 또는 회전 축선(28a)의 위치, 연결 부재(46)의 외형 및 센터링 장치(42)의 힘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연결 부재(46)는 베어링 포인트(47)에 의해 지지부(9)와 연결되고 고정 포인트(48)에 의해 제동 요소와 연결된다. 연결 부재(46)는 슬롯(49)의 형태인 프리휠(freewheel)을 포함하며 이 기능은 아래에 설명한다.
제동 요소(25)는 회전 축선(28a)으로부터 클램핑 영역(26)까지의 방사상 간격(R)이 회전 각도에 걸쳐 증가하도록 회전 축선(28a)에 대해 편심으로 형성되는 중심 클램핑 영역(26)을 구비한다. 제동 영역(27)은 변이 없이 클램핑 영역(26)과 연결된다. 클램핑 영역(26)은 가이드 레일(6)에 대한 클램핑 영역(26)의 가압의 경우에 제동 요소(25)가 자동으로 동반되거나 추가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클램핑 영역(26)은 예컨대 널링(knurling)된다. 승강 제동 장치(20)의 도시된 정상 위치에서, 연결 부재(46), 센터링 장치(42) 및 제동 요소(25)의 위치는 제동 요소와 가이드 레일(6) 사이에 주행 유극(S1)이 설정될 수 있도록 서로 부합된다. 이러한 비제동 배치에서 제동 요소(25)의 위치는 도 3에서 도면부호 25a로 지시된다. 제동 하우징(21)은 제동 역-라이닝(brake counter-lining)으로서 구성되는 제동 플레이트(30)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6) 또는 제동 레일(7)의 두께에 주행 유극(S1)의 양의 2배를 더한 것에 대응하는 중간 공간이 도면 부호 25a에 따른 비제동 배치에서 제동 요소(25)와 제동 플레이트(30) 사이에 존재한다. 주행 유극(S1)은 대체로 약 1.5 mm (밀리미터) 내지 3.0 mm (밀리미터)에 이른다.
승강 설비(1)의 모니터링 모듈(11)이 이제 승강 제동 장치(20)의 맞물림을 필요로 하는 승강 설비 내의 고장을 검출한다면, 모니터링 모듈(11)은 액추에이터(32)의 가동을 중지시키거나 클램핑 전자석(36)으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한다. 바람직하게 모니터링 모듈은 이 경우 클램핑 전자석(36)으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될 뿐만 아니라 자기장이 신속히 붕괴되는 방식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승강 제동 장치의 신속한 응답이 달성된다. 자기장의 감소의 결과로, 도 4에서 명확하듯이 클램핑 전자석(36)의 보유력(F36)이 제거되고 힘 저장부(24)가 제1 중간 위치(B2')로 상방으로 회전 축선(28a)과 함께 제동 하우징(21)을 압박한다. 이것은 제동 하우징 또는 제동 요소(25)의 회전 축선(28a)이 제동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직으로 변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위는 수직 가이드(5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제동 요소(25)는 이제 고정 포인트(48)에서 연결 부재(46)에 의해 구속되어, 회전 축선(28a)을 중심으로 제동 요소(25)가 회전하게 된다. 이것은 제동 요소(25)의 클램핑 영역(26)이 가이드 레일(6)과 접촉해 있거나 가이드 레일(6)에 대하여 가압되는 동안 발생한다. 이러한 제동 요소(25)의 위치는 도 4에서 도면 부호 25b로 지시된다. 이동체(2, 3)가 하방 이동 상태인 한에 있어서, 또는 이동체가 예컨대 하방으로 미끄러지자 마자, 제동 요소(25)가 가이드 레일(6)로부터 추가로 클램핑 영역(26)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고, 이로써 제동 플레이트(30)와 가이드 레일(6) 사이의 변이 간극(S1')이 제거될 때까지 그리고 추가로 제동 요소(25)의 제동 영역(27)이 도달할 때까지 제동 하우징(21)이 측면으로 멀리 이동된다.
제동 하우징(21) 또는 제동 요소(25)의 회전 축선(28a)은 이제 도 5에 도시되는 제2 위치(B2)에 도달하였다. 제동 요소는 도 5에서 도면부호 25c로 지시된 제동 위치에 도달하였다. 지지부(9) 내의 제2 위치(B2)는 수직 가이드(50)의 형상과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직 가이드(50)는 하부 수직 인접부(50u) 및 상부 수직 인접부(50o)로 경계가 정해진다. 제동 영역(27)은 이동체를 안전하게 제동 및 유지하기 위해 제동 플레이트(30)와 함께 필요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제동력은 가이드 로드(22)와 수직 가이드(50)의 경계를 통해, 또는 본 실례에서, 상부 수직 인접부(50o)를 통해 지지부(9)로 전달되고 이동체(2, 3)로 향한다. 제동 요소(25)에서의 고정 포인트(48)는 연결 부재(46)의 슬롯(49) 내에서 유사하게 하방으로 이동되었다. 이것은 클램핑 영역(26)과 가이드 레일(6) 사이의 클램핑과 수직 가이드(50)의 또는 대응하는 수직 인접부의 경계의 도달이 발생했을 경우 연결 부재(46)는 부하가 없어지고 관성 회전으로 전환된다.
승강 설비를 재설정하기 위해 또는 승강 제동 장치(20)를 완화시키기 위해 이동체(2, 3)가 이제 상승된다. 이것은 대개 승강 설비(1)의 구동부(5)의 도움으로 실행되거나, 이것이 결함이 있다면, 다른 도움 또는 승강 장치에 의해 또한 실행된다.
제동 플레이트(30)와 함께 제동 요소(25)가 가이드 레일(6)에 전과 같이 클램핑되므로, 지지부(9)는 도 6에 명확하듯이 수직 가이드(5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제동 하우징(21)은 원래 제1 위치(B1)를 회복하고 액추에이터(32)가 클램핑 전자석(36)으로 안내된다. 모니터링 모듈(11)이 적절한 자유를 부여하는 한에 있어서, 클램핑 전자석(36)의 자기장은 스위치 온 될 수 있고, 이로써 제동 하우징(21)이 다시 이 제1 위치(B1)에 유지될 수 있다. 이동체가 상방으로 추가로 이동하는 경우에, 전과 같이 클램핑하는 제동 요소(25)는 도 3에 도시된 정상 위치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뒤로 회전한다. 이 경우 전기자 플레이트(37)와 클램핑 전자석(36) 사이의 접촉 영역에는 예컨대 제동 하우징(21)의 측면 재설정을 촉진하는 슬라이딩 층이 제공된다. 제동 요소(25)의 형태는 실례를 통해 명확하다. 다른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들 형태는 대개 시험에 의해 결정되거나 최적화된다.
상기한 실례에서 알려진 승강 제동 장치(20)의 대안의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된다. 상술한 실시예와 반대로 액추에이터(32)는 레버 메커니즘에 의해 구성된다. 직접 전자석 구속 대신에, 제동 하우징(21)과 이에 따른 제동 요소(25)의 회전 축선(28a)은 블로킹 롤러(33)에 의해 제1 위치(B1)에 유지된다. 블로킹 롤러(33)는 받침부(34)에 장착되는 블로킹 레버(35) 상에 배치된다. 블로킹 레버(35)는 이제 제1 위치(P1)에서 부속된 전기자 플레이트(37)를 갖는 클램핑 전자석(36)에 의해 유지된다. 클램핑 전자석(36)의 힘(F36)을 제거하면, , 블로킹 롤러(33)가 편향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힘 저장부(24)가 회전 축선(28a)과 함께 제동 하우징(21)을 제2 위치(B2', B2)로 상방으로 압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완화(relaxation)가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블로킹 롤러(33) 및 전기자 플레이트(37)와 함께 블로킹 레버(35)가 예컨대 보조 중량물(38) 또는 보조 스프링(39)에 의해 재설정되어, 전기자 플레이트(37)가 액추에이터의 제1 설정(P1)과 제1 위치(B1)에 도달할 때 클램핑 전자석(36)에 지지된다.
이 경우 제동 하우징(21)의 측면 변위는 블로킹 롤러(33)가 사실상 변환에 대한 측면 저항을 발생시키기 않으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전자석(36)의 필요한 힘(F36)이 레버 메커니즘의 선택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클램핑 전자석(36)의 필요한 전자기력이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대안의 실시예가 명확히 존재한다. 따라서, 예컨대, 수직 가이드(50) 대신에 수평 배열식 피봇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거나, 추가의 확대를 생성시키는 역-제동 쐐기가 제동 플레이트(3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승강 제동 장치(20)의 다른 실시예를 도 8s, 도 8f 및 도 9s, 도 9f에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독일특허공보 제2139056호에서 기본 형태로 공지된 바와 같은 제동 장치가 실례로 사용된다. 도 8s 및 도 8f는 제1 위치(B1)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도시하며, 도 8s는 측면도이고 도 8f는 정면도이다. 도 9s 및 도 9f는 제2 위치(B2)의 동일한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낸다. 도 8s 및 도 8f에 도시된 제1 위치(B1)는 다시 승강 제동 장치(20)의 정상 위치에 대응한다. 이 위치에서 이동체(2, 3) 또는 승강실(2)이 이동될 수 있다. 승강 제동 장치가 제동하지 않는다. 제동 하우징(21)은 다시 지지부(9) 내에 설치된다. 이 지지부(9)는 이동체(2, 3)에 부착된다. 대안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9)는 명확히 승강실의 또는 이동체의 직속 부품일 수도 있다.
본 실례에서, 제동 하우징(21)은 여기서 슬롯 형태인 수직 가이드(50)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수직 가이드(50) 내의 개별의 가이드 로드(22)를 통해 지지부(9) 내에 고정된다. 본 실례에서 마찬가지로 수직 가이드(50)는 수직 인접부(50u, 50o)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제동 하우징(21)의 제2 단부에는 가이드 로드(22)와 수직 가이드(50)의 대응하는 수직 인접부와 협력하여 제동 하우징(21)으로부터 지지부(9)로 필요한 제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조화된 팁핑 인접부(tipping abutment; 51)가 배치된다. 동시에, 제동 하우징(21)은 가이드 로드(22)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명확하게 또한 장착된다. 본 실례에서 마찬가지로, 재설정 스프링(52)은 설정식 인접부(43)에 대해 제동 하우징(21)을 압박한다. 이 설정식 인접부(43)는 예컨대 지지부(9) 안으로 나사 결합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9) 내의 제동 하우징(21)의 측면 위치를 결정하는 인접부 스크루이다.
본 실시예에서 또한 힘 저장부(24)는 상방으로 힘(F24)에 의해 제동 하우징(21)을 압박한다. 본 실례에서 2개의 압축 스프링이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스프링의 개수는 별로 중요치 않다. 그러나, 이 힘(F24)은 액추에이터(32)와 상반된다. 액추에이터(32)는 다시 클램핑 전자석(36)이다. 스위치 온 상태(P1)에서, 클램핑 전자석(36)은 제동 하우징 인접부(21')를 통해 제1 위치(B1)에서 제동 하우징(21)을 유지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자기 보유력(F36)을 생성시킨다. 본 실례에서 클램핑 전자석(36)은 블로킹 레버(35)와 이 블로킹 레버 상에 배치되는 블로킹 롤러(33)를 통해 제동 하우징 인접부(21')에 작용한다. 블로킹 레버(35)는 블로킹 레버(35)의 받침부(34)에 의해 결정되는 레버 병진운동을 통해 작용한다.
제동 요소(25)는 제동 하우징(21) 내에 다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동 요소(25)는 제어 편심기(44) 및 제동 슈(45)를 포함한다. 제어 편심기(44)는 대응하는 회전 베어링(28)을 중심으로 또는 회전 축선(28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어 편심기(44)는 연결 부재(46)를 통해 지지부(9)와 연결되며 동시에 센터링 장치(42)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어 편심기(44)의 위치는 제동 하우징(21)의 위치 또는 회전 축선(28a)의 위치, 연결 부재(46)의 형상 및 센터링 장치(42)의 힘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연결 부재(46)는 베어링 포인트(47)에 의해 지지부(9)와 연결되며 고정 포인트(48)에 의해 제동 요소(25) 또는 제어 편심기(44)와 연결된다. 연결 부재(46)는 슬롯(49) 형태의 프리휠을 포함하며, 이 기능은 상기한 실례에서 이미 원리를 설명하였다.
제어 편심기(44)는 회전 축선(28a)으로부터 제어부 또는 제어 캠(44')까지의 방사상 간격(R)이 회전 각도에 걸쳐 증가하도록 회전 축선(28a)에 대해 형성되는 제어 캠(44')을 포함한다. 승강 제동 장치의 작동 동안, 도 9s 및 도 9f에서 명확하듯이, 클램핑 전자석(36)의 가동이 중지된다. 모니터링 모듈(11)은 이를 위해 예컨대 클램핑 전자석(36')으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한다. 이로써 클램핑 전자석(36)의 보유력(36)이 감쇠하고 힘 저장부(24)가 회전 축선(28a)과 함께 제동 하우징을 상방으로, 결국 제2 위치(B2)로 압박한다. 이것은 제어 편심기(44), 제어 캠(44') 및 제동 슈(45)와 함께 제동 하우징 또는 제동 요소(25)의 회전 축선(28a)이 지지부(9) 내에 수직으로 변위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위는 수직 가이드(5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 편심기(44)는 이제 고정 포인트(48)에서 연결 부재(46)에 의해 구속되며, 이로써 회전 축선(28a)을 중심으로 제어 편심기(44)의 회전이 발생한다. 이것은 제어 편심기(44)의 제어 캠(44')이 가이드 레일(6)과 접촉해 있거나 또는 가이드 레일(6)에 대해 가압되는 동안 발생한다. 이동체(2, 3)가 하방 이동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또는 예컨대 이동체가 하방으로 미끄러지자마자, 제어 편심기(44)는 자동으로 추가로 회전되며, 이로써 제동 하우징(21)은 제동 플레이트(30)와 가이드 레일(6) 사이의 주행 유극이 제거될 때까지 측방향으로 밀린다. 또한, 제어 편심기(44)의 회전을 통해 제동 슈(45)가 가이드 레일(6)과 접촉하게 되거나 가이드 레일(6)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동 설정을 달성하였다. 슬롯(49)에서의 전체 기능성과 힘 전달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발생한다.
승강 설비의 재설정을 위해 또는 승강 제동 장치(20)를 완화시키기 위해 이동체(2, 3)가 이제 상승된다. 제동 슈(45) 및 제동 플레이트(30)와 함께 제동 요소(25) 또는 제어 편심기(44)가 전과 같이 가이드 레일(6) 상에 클램핑되고, 지지부(9)가 수직 가이드(5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동 하우징(21)은 따라서 원래 제1 위치(B1)를 얻고, 블로킹 레버(35) 또는 필요하다면 블로킹 레버 상에 배치되는 전기자 플레이트(37)는 클램핑 전자석(36)까지 오게 된다. 모니터링 모듈(11)이 대응하는 자유를 부여하는 한, 클램핑 전자석(36)의 자기장은 스위치 온 될 수 있고, 이로써 제동 하우징(21)이 다시 제1 위치(B1)에 유지될 수 있다. 상방으로 이동체의 추가의 이동 시에, 전과 같이 클램핑하는 제동 요소(25)는 도 8s 및 도 8f에 도시된 정상 위치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뒤로 회전한다. 이와 관련하여 수직 가이드(50)는 추가로, 재설정 동안 이동체(2, 3)가 승강 제동 장치의 클램핑 저항과 무관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수직 가이드(50)의 제1 단부에 도달할 때 이동체(2, 3)의 이동 에너지가 승강 제동 장치의 재설정을 보조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구성은 전문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동부는 승강실(2)의 위 또는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동 쌍이 승강실(2)에 사용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또한 여러 승강실을 갖는 승강 설비에 명확히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승강실 각각은 상술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제동 장치를 구비한다. 필요하다면, 제동 장치는 또한 균형추(3)에 부착될 수 있거나, 자체 추진 승강실에 부착될 수 있다.
Claims (15)
-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동 레일(7), 바람직하게 가이드 레일(6) 내에 일체화된 제동 레일(7) 상에서 승강 설비의 이동체(2, 3)를 제동하기 위한 승강 제동 장치(20)로서,
제1 위치(B1)와 제2 위치(B2) 사이의 수직 가이드(50) 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이동체(2, 3) 내에 배치되는 제동 하우징(21), 및
힘(F24)에 의해 제동 하우징(21)에 작용하며 상기 제2 위치(B2)의 방향으로 상기 제동 하우징(21)을 압박하는 힘 저장부(24)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1 설정(P1)에서 상기 제1 위치(B1)에 상기 제동 하우징(21)을 유지시키는 전환식 액추에이터(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에 의해 생성되는 제동력이 상기 수직 가이드(50)의 경계를 통해 상기 이동체(2, 3)에 전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2 설정(P2)에서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제동 하우징을 자유롭게 하여, 상기 제2 위치(B2)의 방향으로 상기 제동 하우징(21)의 밀어내기가 발생하고, 상기 제2 위치(B2)의 방향으로 상기 제동 하우징(21)의 밀어내기를 통해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의 제동 요소(25)가 제동 레일(7)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상기 승강 설비의 이동체(2, 3)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일체화되는 지지부(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9)는 상기 제1 위치(B1)와 상기 제2 위치(B2) 사이에서 상기 제동 하우징(21)의 실질적으로 수직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수직 가이드(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B1)는 바람직하게 하부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B2)는 바람직하게 상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저장부(24)는 상기 제동 하우징(21)에 작용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9)와 상기 제동 하우징(21)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25)는 회전 축선(28a)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제동 하우징(21)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지지부(9)에 대한 상기 제동 하우징(21)의 수직 변위가 발생할 때 상기 제동 요소(25)가 회전을 경험하도록 상기 지지부(9)에 대한 연결 부재(46)와 연결되어, 상기 제동 요소(25)가 상기 제동 레일(7)과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25)에는 준비 설정에 상기 제동 요소(25)를 유지시키는 센터링 장치(4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B2)에서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이동 방향으로 상기 승강 설비의 이동체(2, 3)를 제동하고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상기 이동 방향과 반대로 해제 이동에 의해 재설정 가능하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를 해제하는데 필요한 재설정 힘은 상기 힘 저장부(24)의 힘(F24) 보다 커서,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가 상기 제2 위치(B2)로부터 뒤로 상기 제1 위치(B1)로 재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동 하우징(21)이 상기 힘 저장부(24)를 압박하고 상기 액추에이터(32)가 상기 제1 위치(B1)에 상기 제동 하우징(21)을 고정 및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회전 축선(28a)으로부터 클램핑 영역(26)까지의 방사상 간격(R)이 회전 각도에 걸쳐 증가하도록 상기 회전 축선(28a)에 대해 편심으로 또는 편심기에 유사하게 형성되는 중심 클램핑 영역(26)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회전 축선(28a)으로부터 제어 캠(44')까지의 방사상 간격(R)이 회전 각도에 걸쳐 증가하도록 상기 회전 축선(28a)에 대해 편심으로 또는 편심기에 유사하게 형성되는 제어 캠(44')을 갖춘 제어 편심기(4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편심기(44)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동 레일(7)에 대해 제동 슈(45)가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상기 제동 레일(7) 또는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6)이 상기 제동 요소(25)와 제동 플레이트(30) 사이에서 클램핑되도록 배치되는 제동 플레이트(30)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 플레이트(30)는 바람직하게 제동 스프링(31)에 의해 상기 제동 하우징(21)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제1 위치(B1)에 상기 제동 하우징(21)을 전자기적으로 유지시키는 전기자 플레이트(37)를 갖춘 클램핑 전자석(3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P1)에서 상기 전기자 플레이트(37)는 상기 클램핑 전자석(36)에 지지되며 상기 클램핑 전자석(36)에 의해 전자기적으로 보유되고, 상기 전기자 플레이트(37)는 상기 제2 위치(B2)로부터 상기 제1 위치(B1)로의 상기 제동 하우징의 복귀 이동 시에 상기 클램핑 전자석(36)의 무전류 상태에서조차 상기 클램핑 전자석(36)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제동 하우징(21)과 접촉 상태로 동반기 바람직하게 블로킹 롤러(33)를 유지시키는 보조 중량물(38)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제동 하우징(21)과 접촉 상태로 동반기 바람직하게 블로킹 롤러(33)를 유지시키는 보조 스프링(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제동 장치. - 승강실(2), 상기 승강실(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구비하는 승강 설비로서,
제동 레일(7)이 상기 가이드 레일(6) 내에 일체화되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필요한 경우 상기 가이드 레일(6)의 상기 제동 레일(7)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2)에는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가 제공되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상기 승강실(2)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6)에 작용가능하며, 상기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는 동기화 로드(15)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 -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동 레일(7), 바람직하게 가이드 레일(6) 내에 일체화된 제동 레일(7) 상에서 제동을 위해 승강 제동 장치(20)가 제공되는 승강 설비의 이동체(2,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제1 위치(B1)와 제2 위치(B2) 사이의 수직 가이드(50) 내에서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체(2, 3) 내에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의 제동 하우징(21)이 배치되고,
상기 제동 하우징(21)이 전환식 액추에이터(32)에 의해 상기 제1 위치(B1)에 유지되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의 힘 저장부(24)가 힘(F24)에 의해 상기 제동 하우징(21)에 작용하여, 상기 제동 하우징(21)이 상기 제2 위치(B2)의 방향으로 압박되고,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이 상기 수직 가이드(50)의 경계를 통해 상기 이동체(2, 3)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의 이동체의 승강 제동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식 액추에이터(32)는 필요한 경우 상기 제동 하우징을 해제시켜서, 상기 제동 하우징(21)은 상기 제2 위치(B2)의 방향으로 상기 힘 저장부(24)의 힘(F24)에 의해 밀리게 되고, 상기 제2 위치(B2)의 방향으로 상기 제동 하우징(21)의 밀림을 통해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의 상기 제동 요소(25)가 상기 제동 레일(7)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의 이동체의 승강 제동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1183388 | 2011-09-30 | ||
EP11183388.5 | 2011-09-30 | ||
PCT/EP2012/068639 WO2013045359A1 (de) | 2011-09-30 | 2012-09-21 | Bremseinrichtung mit elektromechanischer betätigungseinrichtu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2966A true KR20140082966A (ko) | 2014-07-03 |
KR101997300B1 KR101997300B1 (ko) | 2019-10-01 |
Family
ID=4687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08380A KR101997300B1 (ko) | 2011-09-30 | 2012-09-21 |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9457989B2 (ko) |
EP (1) | EP2760777B1 (ko) |
KR (1) | KR101997300B1 (ko) |
CN (1) | CN103648953B (ko) |
BR (1) | BR112013018423B1 (ko) |
ES (1) | ES2547452T3 (ko) |
MX (1) | MX348031B (ko) |
WO (1) | WO2013045359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9349B1 (ko) | 2019-03-21 | 2019-08-12 | 그린엘리베이터(주) |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KR20200093738A (ko) | 2019-01-28 | 2020-08-06 | 윤창열 |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KR20200136544A (ko) | 2019-05-27 | 2020-12-08 |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13753A2 (de) * | 2010-03-18 | 2011-09-22 | Inventio Ag | Aufzugsanlage mit bremseinrichtung |
MX341637B (es) * | 2011-09-30 | 2016-08-25 | Inventio Ag | Dispositivo de freno con actuacion electromecanica. |
MX348031B (es) * | 2011-09-30 | 2017-05-23 | Inventio Ag | Dispositivo de frenado con dispositivo de actuación electromecánico. |
PT2828188T (pt) * | 2012-03-20 | 2017-08-21 | Inventio Ag | Paraquedas numa instalação de elevador |
CA2891747C (en) * | 2012-11-27 | 2020-09-15 | Inventio Ag | Safety catch for a traveling body of an elevator system |
ES2622712T3 (es) * | 2012-12-13 | 2017-07-07 | Inventio Ag | Dispositivo paracaídas para una planta de ascensor |
EP2837592A1 (en) | 2013-08-13 | 2015-02-18 | Aplicaciones Electromecanicas Gervall, S.A. | Driving system for a lift safety gear |
ES2713691T3 (es) * | 2014-06-12 | 2019-05-23 | Otis Elevator Co | Mecanismo de accionamiento del miembro de freno |
CN106458511B (zh) | 2014-06-12 | 2019-04-12 | 奥的斯电梯公司 | 用于悬挂结构的制动系统重置机构 |
EP3197811B1 (de) * | 2014-09-24 | 2018-07-18 | Inventio AG | Aufzugbremse |
EP3233707A1 (de) * | 2014-12-17 | 2017-10-25 | Inventio AG | Dämpfereinheit für einen aufzug |
US10486939B2 (en) | 2015-09-27 | 2019-11-26 | Otis Elevator Company | Breaking system for a hoisted struc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braking a hoisted structure |
US10584014B2 (en) | 2015-12-07 | 2020-03-10 | Otis Elevator Company | Robust electrical safety actuation module |
DE102016200593A1 (de) * | 2016-01-19 | 2017-07-20 | Thyssenkrupp Ag | Bremsein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s Aufzugsystems |
US20170275136A1 (en) * | 2016-03-24 | 2017-09-28 | Home Conveyance Safety Ltd. | Emergency fall arresting system |
US10889468B2 (en) | 2016-12-13 | 2021-01-12 | Otis Elevator Company | Electronics safety actuator |
US10569993B2 (en) * | 2017-03-29 | 2020-02-25 | Otis Elevator Company | Safety brake actuation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
US10562739B2 (en) * | 2017-08-25 | 2020-02-18 | Otis Elevator Company | Synchronized electronic safety actuator |
US11434104B2 (en) | 2017-12-08 | 2022-09-06 | Otis Elevator Company | Continuous monitoring of rail and ride quality of elevator system |
CN110356944B (zh) * | 2018-03-26 | 2021-08-03 |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 电梯制动装置 |
CN110356945B (zh) * | 2018-03-26 | 2021-03-16 |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 直线运动组件的磨损检测设备及电梯制动装置 |
US10889467B2 (en) | 2018-05-08 | 2021-01-12 | Otis Elevator Company | Synchronization based on distance of magnet assembly to rail |
US11078045B2 (en) * | 2018-05-15 | 2021-08-03 | Otis Elevator Company | Electronic safety actuator for lifting a safety wedge of an elevator |
EP3604196B1 (en) * | 2018-08-03 | 2023-04-26 | Otis Elevator Company | Electronic safety actuator assembly for elevator system |
US10822200B2 (en) * | 2018-10-12 | 2020-11-03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afety actuator systems |
CN109358553B (zh) * | 2018-11-09 | 2020-08-18 | 浙江国自机器人技术有限公司 | 升降机运动控制方法及装置、升降机控制器及升降机系统 |
CN111170114B (zh) * | 2018-11-13 | 2021-05-25 |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 快速响应电梯制动装置及电梯 |
AU2019406965B2 (en) * | 2018-12-21 | 2023-05-11 | Inventio Ag | Lift system arrangement with a lift brake device |
EP3674248B1 (en) * | 2018-12-31 | 2022-09-07 | KONE Corporation | An elevator car parking brake |
CN112758798B (zh) * | 2019-11-06 | 2024-07-30 | 奥的斯电梯公司 | 升降机轿厢的稳定装置和升降机系统 |
US11472671B2 (en) * | 2019-11-07 | 2022-10-18 | Otis Elevator Company | Inspection assembly for elevator system |
EP3831759A1 (de) * | 2019-12-02 | 2021-06-09 | Inventio AG | Vorrichtung zum führen und bremsen eines entlang einer führungsschiene zu verlagernden fahrkörpers einer aufzuganlage |
JP2023506189A (ja) * | 2019-12-12 | 2023-02-15 |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 移動方向においてガイドレールに沿って案内されるように移動可能な走行体を制動するための、例えばくさび形制動要素を有する制動装置 |
JP2023506904A (ja) * | 2019-12-17 | 2023-02-20 |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 エレベータ用安全ブレーキ |
EP4347471A1 (en) | 2021-06-03 | 2024-04-10 | Wurtec, Incorporated | Elevator guide rail block assembly |
CN113860113B (zh) * | 2021-08-30 | 2023-02-14 | 伟龙意程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 一种电梯用偏心轮型安全钳结构 |
CN115092789B (zh) * | 2022-08-25 | 2022-11-11 | 河南起升智能科技有限公司 | 防意外移动装置、防意外移动组件和电梯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25462B1 (en) * | 2000-11-03 | 2002-07-30 | Su The Tran | Gravity-assisted elevator brake/clutch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06361A (en) * | 1970-07-21 | 1972-12-19 | Dresser Ind | Safety brake |
US3783978A (en) * | 1972-07-24 | 1974-01-08 | Elevator Safety Co | Stop control for elevators |
FI85129C (fi) * | 1989-12-14 | 1992-03-10 | Kone Oy | Faongapparat. |
JP2529771B2 (ja) * | 1990-11-06 | 1996-09-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ロ―プレスリニアモ―タエレベ―タ― |
JP2710464B2 (ja) * | 1990-11-30 | 1998-02-10 |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 電磁ブレーキ |
JPH04365771A (ja) * | 1991-06-13 | 1992-12-17 | Toshiba Corp | エレベータ |
JP3090809B2 (ja) * | 1993-03-05 | 2000-09-25 | 株式会社東芝 | 自走式エレベータ |
US6499933B2 (en) * | 1997-04-03 | 2002-12-31 | Tokyo Electron Limited | Elevating mechanism, carrier conveying apparatus and heat treatment installation |
ATE226554T1 (de) * | 1997-08-21 | 2002-11-15 | Aufzugstechnologie Schlosser G | Bremsfangvorrichtung |
US5819879A (en) * | 1997-11-06 | 1998-10-13 | Otis Elevator Company | Safety brake |
US6173813B1 (en) * | 1998-12-23 | 2001-01-16 | Otis Elevator Company | Electronic control for an elevator braking system |
JP2001019292A (ja) * | 1999-06-25 | 2001-01-23 | Inventio Ag | 鉛直搬送装置の荷重支持手段の鉛直方向変位と鉛直方向振動とを防止する装置および方法 |
JP4987213B2 (ja) * | 2001-06-29 | 2012-07-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
JP2004262652A (ja) * | 2002-09-23 | 2004-09-24 | Inventio Ag | エレベータ用の安全装置 |
MY135853A (en) * | 2003-02-04 | 2008-07-31 | Inventio Ag |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
US7080717B2 (en) * | 2003-03-24 | 2006-07-25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
CN100515916C (zh) * | 2003-06-16 | 2009-07-22 | 因温特奥股份公司 | 电梯的缆索制动器 |
US7575099B2 (en) * | 2003-10-07 | 2009-08-18 | Otis Elevator Company | Remotely resettable ropeless emergency stopping device for an elevator |
PT1749784E (pt) * | 2004-05-25 | 2012-04-03 | Mitsubishi Electric Corp | Dispositivo de paragem de emergência de elevador |
EP1817251B1 (en) * | 2004-12-03 | 2015-03-04 | Otis Elevator Company | Safety device for use in an elevator system |
EP1972593A4 (en) * | 2006-01-10 | 2017-10-04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ES2363443T3 (es) * | 2006-11-08 | 2011-08-04 | Otis Elevator Company | Dispositivo de frenado de ascensor. |
MY143851A (en) * | 2006-12-05 | 2011-07-15 | Inventio Ag | Braking device for holding and braking a lift cabin in a lift facility |
JP2010514645A (ja) * | 2007-01-05 | 2010-05-06 |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 エレベーターボックスの領域内にこのエレベーターボックスを保持および制動するためのブレーキ装置を配置したエレベーターボックスを有する昇降システム及びこの形式のエレベーターボックスを保持および制動する方法 |
CN101605713B (zh) * | 2007-02-15 | 2011-12-07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的安全装置 |
JP5414526B2 (ja) * | 2007-09-28 | 2014-02-12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ES2365255T3 (es) * | 2007-11-12 | 2011-09-27 | Thyssenkrupp Elevator Ag | Aparato de frenado para frenar una cabina. |
US9169104B2 (en) * | 2010-12-17 | 2015-10-27 | Inventio Ag | Activating a safety gear |
KR20140042769A (ko) * | 2010-12-17 | 2014-04-07 | 인벤티오 아게 | 비상정지장치를 구동시키고 리셋시키기 위한 장치 |
ES2526325T3 (es) * | 2010-12-17 | 2015-01-09 | Inventio Ag | Dispositivo de vigilancia para detectar un desplazamiento no deseado de una cabina de ascensor desde una parada |
MX348031B (es) * | 2011-09-30 | 2017-05-23 | Inventio Ag | Dispositivo de frenado con dispositivo de actuación electromecánico. |
WO2013060597A1 (de) * | 2011-10-27 | 2013-05-02 | Inventio Ag |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einen aufzug |
EP2785626B1 (de) * | 2011-11-29 | 2015-10-14 | Inventio AG | Sicherheitsbremse mit zurückstellung |
WO2013084312A1 (ja) * | 2011-12-07 | 2013-06-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取付方法 |
US20130175120A1 (en) * | 2012-01-06 | 2013-07-11 | Thyssenkrupp Access Manufacturing, Llc | Residential elevator |
EP2814769B1 (de) * | 2012-02-17 | 2015-12-30 | Inventio AG | Bremssystem mit variabler reibung |
PT2828188T (pt) * | 2012-03-20 | 2017-08-21 | Inventio Ag | Paraquedas numa instalação de elevador |
-
2012
- 2012-09-21 MX MX2014003699A patent/MX348031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2-09-21 EP EP12759769.8A patent/EP2760777B1/de active Active
- 2012-09-21 ES ES12759769.8T patent/ES2547452T3/es active Active
- 2012-09-21 WO PCT/EP2012/068639 patent/WO2013045359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9-21 CN CN201280033466.0A patent/CN103648953B/zh active Active
- 2012-09-21 KR KR1020147008380A patent/KR101997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9-21 BR BR112013018423-0A patent/BR112013018423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2-09-24 US US13/625,385 patent/US945798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25462B1 (en) * | 2000-11-03 | 2002-07-30 | Su The Tran | Gravity-assisted elevator brake/clutch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3738A (ko) | 2019-01-28 | 2020-08-06 | 윤창열 |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KR102009349B1 (ko) | 2019-03-21 | 2019-08-12 | 그린엘리베이터(주) |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KR20200136544A (ko) | 2019-05-27 | 2020-12-08 |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547452T3 (es) | 2015-10-06 |
KR101997300B1 (ko) | 2019-10-01 |
US9457989B2 (en) | 2016-10-04 |
WO2013045359A1 (de) | 2013-04-04 |
EP2760777A1 (de) | 2014-08-06 |
CN103648953B (zh) | 2016-06-15 |
CN103648953A (zh) | 2014-03-19 |
MX2014003699A (es) | 2014-07-22 |
BR112013018423B1 (pt) | 2021-03-16 |
US20130081908A1 (en) | 2013-04-04 |
EP2760777B1 (de) | 2015-06-17 |
MX348031B (es) | 2017-05-23 |
BR112013018423A2 (pt) | 2016-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82966A (ko) |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 |
KR102068846B1 (ko) |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 |
KR101393877B1 (ko) | 승강기 설비의 승강실을 유지 및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및 승강기 설비의 유지 및 제동 방법 | |
AU2013351429B2 (en) | Safety catch for a traveling body of an elevator system | |
CN108473279B (zh) | 用于升降系统的轿厢的制动装置 | |
US7299898B2 (en) | Progressive safety device | |
US8991561B2 (en) | Elevator braking equipment | |
US9919899B2 (en) | Actuation of a safety brake | |
US11884514B2 (en) | Safety brake device and safety brake method | |
WO2008057116A1 (en) | Elevator braking device | |
AU2019406965B2 (en) | Lift system arrangement with a lift brake device | |
US11807496B2 (en) | Catching device for a traveling body, elevator system having a catching device and method for unblocking a catch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