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349B1 -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349B1
KR102009349B1 KR1020190032360A KR20190032360A KR102009349B1 KR 102009349 B1 KR102009349 B1 KR 102009349B1 KR 1020190032360 A KR1020190032360 A KR 1020190032360A KR 20190032360 A KR20190032360 A KR 20190032360A KR 102009349 B1 KR102009349 B1 KR 102009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levator
car
coupled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규
윤창열
Original Assignee
그린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그린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19003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93Suspension locking or inhibiting means to avoid movement when car is stopped at a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에 멈춘 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및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결합이 용이하고, 구동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는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에 멈춘 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및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결합이 용이하고, 과부하가 방지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카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동패드가 엘리베이터실의 수직한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하중이 증감되어 상기 카가 한쪽으로 치우치더라도 상기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안정적으로 압착에 의한 결합 및 압착에 의한 결합이 해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카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동패드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오작동에 따른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설비는 건물 내에 설치된다. 이 설비는 지지 수단에 의해 균형추 또는 제2엘리베이터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엘리베이터실은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엘리베이터실 또는 균형추에 직접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설비는 단층 또는 여러 층에 걸쳐 건물 내부에서 사람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승강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은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86호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와이어가 끊어졌을 경우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유압발생부 연결되어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될 경우 별도로 구비된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를 물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면 피스톤이 조를 상향가압하여 조가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에 밀착 가압되어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카(본 발명의 '카'와 대응됨.)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하는 제동부가 항상 와이어와 연결되고, 와이어에 제동력을 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카에 적재되는 중량물에 의한 엘리베이터카의 중량 증대로 인하여 와이어가 쳐지거나 건물의 플로어 바닥과 엘리베이터카의 바닥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비는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엘리베이터카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동부와 함께 비상시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제동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로 이동되거나 외부로 이동되는 중량물의 이동 발생시 엘리베이터카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전후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쳐져 기울어짐으로, 엘리베이터카의 수평레벨 유지가 어려워 사고의 원인이되며, 엘리베이터카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 또한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상제동 장치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75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2966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에 대한 일정의 제동력을 가하는 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장치는 대부분 상기 카에 대한 승하강력을 형성시키는 와이어를 강력하게 파지시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카가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의 바닥면의 수평위상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도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엘리베이터의 카에 비상제동 장치가 구비되어도, 탑승 및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및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경우, 상기 카가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 또한 기울어져 상기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기울어져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패드의 톱니와 제동패드의 톱니가 어긋나 맞닿게 되어 정상적으로 압착되어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동패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패드에 압착시키는 구동모터가 센서에 의해 제어되므로 상기 제동패드의 압착 및 압착 해제시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센서의 고장 발생시 상기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과부하에 따른 오작동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설치되고, 후방감지센서와 전방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타측에 일측이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베이스플레이트에 수평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푸쉬로드 및 상기 푸쉬로드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패드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감지센서 또는 전방감지센서에 푸쉬로드가 감지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커플링은 기설정된 토크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커플링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패드와 제동패드 각각의 압착면에는 엘리베이터실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푸쉬로드는 타측면에 일측이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타측면에 상기 결합축의 타측이 돌출되도록 패드홈이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동패드는 상기 결합축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드홈에 일측이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더는 상기 결합축에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푸쉬로드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는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를 타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드홈은 상기 제동패드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상하부에 상기 제동패드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유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패드홈의 양측 상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유격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동패드의 회전시 상기 제동패드를 탄성지지하는 플런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동패드는 양측면 상하부에 상기 플런져의 말단이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은 엘리베이터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상기 푸쉬로드가 일측에 내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홀더가 타측에 내입되어 장착되며, 하부가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상기 푸쉬로드가 일측에 내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홀더가 타측에 내입되어 장착되며,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정위치에 정차될 때, 고정패드와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정차된 카를 엘리베이터실에 견고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 카에 승객이 많이 탑승하거나, 화물,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탑재되더라도, 승객, 화물, 지게차 또는 화물차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와이어쳐짐 및 카의 하강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엘리베이터의 카에 승객이 탑승 또는 하차되거나, 화물, 지게차, 화물차가 탑재 또는 하역될 때, 상기 카의 하중변화가 일측에서 치우쳐 발생되는 경우에도 고정패드와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안정된 클램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카를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된 상태로 정차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동패드와 고정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구동모터가 감지센서에 의해 제어되되, 상기 감지센서의 고장 발생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구동모터의 사용수명 저하 및 과부하에 따른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에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내벽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고정패드가 엘리베이터실의 내벽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내벽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압착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동패드의 정위치(a), 우측방향으로 회전(b), 좌측방향으로 회전(c)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동패드의 톱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플런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내벽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압착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멈춘 후 탑승 및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및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결합이 용이하고, 과부하가 방지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설치되고,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a) 타측에 일측이 커플링(32)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는 볼스크류(40)와, 상기 볼스크류(40)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베이스플레이트(20)에 수평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푸쉬로드(50) 및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후방감지센서(21) 또는 전방감지센서(22)에 푸쉬로드(50)가 감지되는 경우 정지되되, 상기 커플링(32)이 토크 리미터 커플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가 에러 또는 고장이 발생된 경우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을 볼스크류(40)와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고장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설치되고,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a) 타측에 일측이 커플링(32)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는 볼스크류(40);와 상기 볼스크류(40)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베이스플레이트(20)에 수평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푸쉬로드(50); 및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후방감지센서(21) 또는 전방감지센서(22)에 푸쉬로드(50)가 감지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커플링(32)은 기설정된 토크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커플링(32)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 각각의 압착면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푸쉬로드(50)는 타측면에 일측이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축(51);과 상기 결합축(51)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타측면에 상기 결합축(51)의 타측이 돌출되도록 패드홈(52a)이 형성되는 홀더(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동패드(60)는 상기 결합축(51)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드홈(52a)에 일측이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더(52)는 상기 결합축(51)에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50)는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52)를 타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드홈(52a)은 상기 제동패드(6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상하부에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유격홈(52a-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52)는 상기 패드홈(52a)의 양측 상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유격홈(52a-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동패드(60)의 회전시 상기 제동패드(60)를 탄성지지하는 플런져(5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동패드(60)는 양측면 상하부에 상기 플런져(52b)의 말단이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6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61)은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상기 푸쉬로드(50)가 일측에 내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홀더(52)가 타측에 내입되어 장착되며, 하부가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하우징(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상기 푸쉬로드(50)가 일측에 내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홀더(52)가 타측에 내입되어 장착되며,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공지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엘리베이터의 카(200)(이하, '카(200)'라 통칭한다.)가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정위치되며 정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에 포함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 카(200)를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종의 공법으로 만들어진 건축물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실(110)에 시설되고,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승객의 탑승, 하차 및/또는 화물의 탑재, 하역이 이루어지는 카(200), 상기 카(200)와 일측이 연결되는 일정의 길이의 와이어(210), 상기 카(200)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와이어(210)의 타측에 연결되는 균형추(220), 상기 와이어(210)에 이송력을 가하여 상기 카(200)에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권상기(230) 및 상기 와이어(210) 또는 카(2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200)는 건축물의 복수 플로어(120)에 각각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맞추어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와 카(200)의 사이에는 여닫힘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출입문(140)이 마련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는 카(200)가 흔들림을 최소화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건축물의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레일(100)이 설치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카(200)에는 레일(100)에 대한 승하강의 용이성 및 흔들림 방지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가이드슈 및/또는 가이드 롤러와 같은 장치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레일(100)은 H자형 빔 형태, T자형 빔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 3과 같이, 상기 레일(100)은 T자형 빔의 것을 일실시예로 설명하고, 상기 T자형 빔의 중간부분에 돌출된 리브를 '중앙리브(101)'라 칭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은 건축물의 건축 공법의 종류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형강 구조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레일(100)은 엘리베이터실(110)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고,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각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정위치'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바닥면과 상기 특정 플로어(120)의 바닥이 동일한 수평 위상을 가지도록 정차된 위치를 일컫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쳐짐'이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내외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특히, 카(200)의 내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상기 카(200)가 플로어(120)의 수평레벨보다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일컫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기울어짐'이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내외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특히, 카(200)의 내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상기 카(200)가 플로어(120)의 수평레벨보다 하부로 이동되되, 엘리베이터 출입문(140)을 정면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만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일컫는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패드(10)는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구비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동패드(60)가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어 상기 카(200)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패드(10)는 도 2와 같이 건축물의 높이방향(이하, '수직방향'으로 함)으로 상기 레일(100)을 내재시키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일정부분에 장착되어,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멈춘 경우에 카(200)에 구비된 제동패드(60)와 일정의 압착력을 형성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고정패드(10)는 하기의 제동패드(60)와 연계되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경우에 압착력을 형성시킴으로써, 카(200)가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예로는 압착면이 평평한 상태를 가지는 판상의 블록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후에 설명될 제동패드(6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와 대응되는 톱니(11)가 압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착면은 하기 제동패드(60)의 압착면과 대응 압착되어 카(200)에 탑승 혹은 하차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 지게차, 화물차(이하, '중량물'이라 칭한다.)의 하중에 의하여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의 처짐을 방지시키며, 카(200)의 내부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패드(10)는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에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패드(1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고정패드(10)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라 함은 도 1과 도 2와 같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멈췄을 때, 카(200)의 상부, 중간부,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플레이트(2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200)에 수평방향 즉,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인 수직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고정설치되고,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후에 설명될 구동모터(30) 및 하우징(70)이 엘리베이터의 카(200)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일측면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설치되어 이후에 설명될 푸쉬로드(50)의 수평방향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푸쉬로드(5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30)의 구동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덧붙여, 상기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센서 등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푸쉬로드(50)는 상기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에 대응되어 감지될 수 있는 감지부(50a)를 포함하여 구성됨은 자명할 것이며,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에 의해 감지되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구동이 중지되어 과부하 발생이 방지된다.
부가하여, 상기 감지부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푸쉬로드(50)의 수평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푸쉬로드(50)가 내입되어 설치되는 하우징(70)에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30)는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푸쉬로드(50) 즉, 제동패드(60)를 고정패드(10)에 압착시키기 위해 타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상기 감지부가 전방감지센서(22)에 의해 감지되어 구동이 정지되며,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푸쉬로드(50) 즉, 제동패드(60)를 고정패드(10)에 압착 해제시키기 위해 일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상기 감지부가 후방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되어 구동이 정지되어 과부하 발생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동패드(60)를 구동모터(30)에 의해 고정패드(10)에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압착 해제시켜 제동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동패드(60)를 고정패드(10)에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킬 때, 기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제동패드(60)가 이동되도록 구동모터(30)를 전방감지센서(22)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며, 상기 제동패드(60)를 고정패드(10)로부터 압착 해제시켜 제동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때, 기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제동패드(60)가 이동되도록 구동모터(30)를 후방감지센서(21)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구동모터(3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200)에 고정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서, 정방향 회전 즉, 구동되면 이후에 설명될 푸쉬로드(50) 즉, 상기 푸쉬로드(50)에 설치되는 제동패드(60)를 타측방향인 고정패드(1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에 압착되도록 하고, 역방향 회전 즉, 구동되면 이후에 설명될 푸쉬로드(50) 즉, 상기 푸쉬로드(50)에 설치되는 제동패드(60)를 일측방향인 고정패드(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에 압착된 것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동모터(30)는 베이스플레이트(20)에 구동력 즉, 회전력(토크:torque)을 증폭시키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감속기(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정방향 및 역방향의 구동 즉, 제동패드(60)가 설치된 푸쉬로드(50)에 대한 왕복 이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으면 종래의 어떠한 모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감속기(31)는 구동모터(30)가 엘리베이터실(110)에 설치될 때, 많은 공간 즉, 엘리베이터실(11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웜감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구동모터(30)는 구동력을 감속기(31)에 전달하고, 상기 감속기(31)는 회전축(31a)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을 이후에 설명될 볼스크류(40)에 커플링(32)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쪽 편에만 구비되는 구성을 하거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이때,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패드(10) 및 이후에 설명될 제동패드(60)가 설치된 푸쉬로드(50), 볼스크류(40), 구동모터(30) 역시 카(200)를 중심으로 양쪽 편에 각각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볼스크류(40)는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a) 즉, 감속기(31)의 회전축(31a) 타측에 일측이 커플링(32)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속기(31)에 의해 구동모터(30)의 증폭된 회전력을 커플링(32)에 의해 연결되어 전달받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타측에 결합된 이후에 설명될 푸쉬로드(50)를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볼스크류(40)는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a) 즉, 감속기(31)의 회전축(31a)의 타측과 커플링(32)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복수 개의 볼이 내측에 구비된 볼스크류하우징(41)이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볼스크류하우징(41)은 상기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외측에 설치된 이후에 설명될 푸쉬로드(50)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본 발명의 볼스크류(40)는 일예로, 구동모터(30)의 정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볼스크류하우징(41)이 타측방향 즉, 고정패드(10) 방향으로 이동되고, 구동모터(30)의 역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볼스크류하우징(41)이 일측방향 즉, 고정패드(10)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하우징(41)의 외측에 일측이 설치되고, 제동패드(60)를 타측에 구비하는 이후에 설명될 푸쉬로드(50)가 상기 볼스크류하우징(41)과 함께 타측방향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에 압착 또는 압착 해체되어 카(200)에 제동력이 발생되거나 제동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이 볼스크류(40)는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타측에 설치되는 푸쉬로드(5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드 스크류와 같은 스크류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크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에 압착되었을 경우 제동력에 의해 카(200)의 하중이 전달되어 마찰력이 증가되면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카(200)의 하중이 전달되어도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볼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플링(32)은 기설정된 토크 즉, 회전력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볼스크류(4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커플링(32) 즉, 토크 리미터 커플링은 앞서 설명된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가 오작동 또는 충격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어 감지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구동모터(30)가 연속적으로 구동되어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과부하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지속적으로 볼스크류(40)에 전달되면 볼스크류(40) 뿐만 아니라 상기 볼스크류(40)의 타측에 설치된 부품 즉, 볼스크류하우징(41), 푸쉬로드(50), 제동패드(60) 및 하우징(70) 등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볼스크류(4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일예로, 본 발명의 커플링(32)의 회전력 차단은 전방감지센서(22)가 고장이 발생되어 감지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을 때,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면 구동모터(30)가 정방향으로 작동되어 볼스크류(4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되고,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하우징(41) 및 이와 연결된 푸쉬로드(50), 제동패드(60)가 수평방향인 타측방향 즉, 고정패드(10) 방향으로 이동되며, 기설정된 거리만큼 제동패드(60)가 이동되어도 전방감지센서(22)가 고장이므로 구동모터(30)가 연속적으로 구동되어 과부하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플링(32)에 의해 구동모터(30)의 토크 즉, 회전력이 기설정된 회전력을 초과하게 되면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볼스크류(4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됨으로써, 제동패드(60)가 기설정된 일정거리만큼 이동되어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후방감지센서(21)가 고장이 발생되어 감지부를 감지하는 못하는 경우 즉, 구동모터(3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커플링(32)에 의해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차단되어 제동력의 해제와 제동패드(60)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동모터(30)는 상기 커플링(32)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된 일예에서 커플링(32)에 의해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볼스크류(4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되면 구동모터(30)가 정지되어 전방감지센서(22)가 고장인 경우에도 다시 구동모터(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각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카(200)에 비상제동력이 발생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커플링(32) 즉, 토크 리미터 커플링은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음부(32a)가 미끄러져 구동모터(30)이 회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아닌 떨어지도록 하여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커플링(32)에 의해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이음부(32a)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동모터(30)를 정지시키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 커플링(32)의 이음부(32a)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동모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감지부(3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비상감지부는 웜감속기(41)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앞서 설명된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플링(32)의 이음부(32a)의 이동을 원활하게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비상감지부는 설치위치가 커플링(32)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이음부(32a)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데, 이는 설치위치가 꼭 베이스플레이트(20)에만 국한되지 않고, 상기 커플링(21)의 이음부(32a)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동모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푸쉬로드(50)는
상기 볼스크류(40)의 타측 즉, 상기 볼스크류(40)의 타측에 설치된 볼스크류하우징(41)의 외주연이 내입되도록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하우징(41)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베이스플레이트(2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되, 베이스플레이트(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푸쉬로드(50)는 상기 볼스크류하우징(41)이 볼스크류(40)를 따라 일측방향 즉, 고정패드(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볼스크류(40)의 타측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내입공간(미표시)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후에 설명될 제동패드(60)가 설치되며, 상기 제동패드(60)는 상기 푸쉬로드(50)와 함께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고정패드(10)에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푸쉬로드(5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된 거리를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에 의해 감지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감지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모터(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후방감지센서(21) 또는 전방감지센서(22)에 푸쉬로드(50)가 감지되는 경우 즉, 상기 푸쉬로드(50)의 감지부가 감지되는 경우 정지됨으로써,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에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될 때,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는 앞서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푸쉬로드(50)의 감지부가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에 감지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된 것이 감지된 경우 구동모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구동모터(30)의 사용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부하가 발생된 상태로 구동모터(30)가 작동되어 웜감속기(31), 볼스크류(40), 푸쉬로드(50), 제동패드(60), 고정패드(10) 등의 부품에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동패드(60)는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됨으로써, 카(200)에 제동력을 발생 또는 카(200)에 발생된 제동력을 해제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쉬로드(50)와 함께 구동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한 즉,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한 왕복 이동가능성으로 상기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여부가 결정되고, 구동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한 가압력으로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력이 형성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동패드(6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압착면과 대응되는 압착면에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카(200)가 엘리베이터실(110)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동안에는 상기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이 해제된 상태를 가지며,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어 멈춘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모터(30)의 정방향 회전 작동에 의하여 푸쉬로드(50)와 함께 고정패드(10) 방향으로 이동되어 압착된다.
이때,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멈춘 상태의 카(200)가 다시 승강 또는 하강이동되도록 작동되면, 카(200)의 승하강 이전에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와 반대로 제동패드(60)를 고정패드(10)에서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즉, 고정패드(10)의 반대방향으로 푸쉬로드(50)를 함께 이동시키는 역방향 회전으로 작동되어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 간의 압착을 해제시킨다.
부가하여,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는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하며 멈출 경우, 상기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 쪽으로 수평이동되어 압착력이 형성되고, 상기 상태에서 카(200)에 중량물이 탑재되더라도 상기 카(2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도로 와이어(210)에 대한 인장력이 전혀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카(200)를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에 의한 카(200) 멈춤은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에 대한 하중을 전혀 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210)의 중량물의 탑재에 의한 와이어(210)의 쳐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와이어(210) 쳐짐으로 인한 카(200)의 순간 또는 계속적인 하방으로 쳐짐으로 인하여 카(200)의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 즉, 쳐짐이 발생되는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는 상호 압착력을 형성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에서는 앞서 고정패드(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의 압착면에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직교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패드(10)이 톱니(11)와 제동패드(60)의 톱니(11)는 상기 제동패드(60)가 상기 고정패드(10)로 압착되는 경우 상호 대응되어 맞물려 압착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톱니(11)는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돌출되거나 파인 형태로 구성될 있고, 내구성을 고려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톱니(11)의 길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고정패드(10) 및 제동패드(60)의 폭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거나 복수로 나누어지는 구성을 할 ㅅ ndlT고, 상기 톱니(11)는 고정패드(10) 및 제동패드(60)의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형성하며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톱니(11)는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정차되었을 경우, 고정패드(1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가 상호 맞닿으며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고정패드(10)에 형성된 톱니(11)와 제동패드(60)에 형성된 톱니(11) 간의 끼움에 의한 간섭으로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 간의 압착력이 증대되어, 카(200)가 보다 견고하게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카(200)의 내부에 중량물이 균형을 이루며 탑재 또는 하역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어 탑재 또는 하역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플로어(120)에 정차된 카(200)는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동패드(60)가 카(200)와 함께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패드(100)에 압착되면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60)의 톱니(11)가 맞닿게 된 후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가 억지끼움되며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맞물려 끼워지게되므로,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와 고정패드(10)의 톱니(11)가 파손되고, 지속적으로 파손이 발생된 경우 압착력이 저하되어 제동력이 안정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푸쉬로드(50)는 타측면에 일측이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축(51)과, 상기 결합축(51)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타측면에 상기 결합축(51)의 타측이 돌출되도록 패드홈(52a)이 형성되는 홀더(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동패드(60)는 상기 결합축(51)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드홈(52a)에 일측이 내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60)가 카(200)와 함께 일정각도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압착되면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기울어진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맞닿게 된 후 상기 제동패드(40)가 상기 결합축(51)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전되며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대응되어 맞물려져 압착력이 발생되므로,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루어진 카(200)를 플로어(120)에 정위치로 복귀시키며 상기 카(200)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량의 불균형적인 탑재 혹은 하역에 의하여 카(200)가 일정각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카(200)에 장착된 제동패드(60)는 카(200)와 함께 엘리베이터의 출입문(140)을 정면으로 기준할 때,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60)는 구동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하여 푸쉬로드(50)와 함께 고정패드(10) 방향으로 수평이동되고, 상기 고정패드(1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의 말단과 제동패드(6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의 말단이 맞닿게 되며, 고정패드(10)의 톱니(11)는 고정되어 있고, 제동패드(60)의 톱니는 결합축(51)을 중심으로 제동되패드(60)가 회전되므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제동패드(40)는 상기 가압에 의해 결합축(5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에 끼워지게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제동패드(60)는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들이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 즉, 빈공간으로 이동에 의하여 일정각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위상이 변하게되고, 그 결과 제동패드(60)가 구비된 푸쉬로드(50) 및 구동모터(30), 구동모터(30)가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20)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가 체결된 카(200)가 일괄적으로 일정각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중량물의 불균형된 탑재에 의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던 카(200)가 정위치로 즉,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카(200)가 정위치로 즉,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복귀되는 것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홀더(52)에 설치되는 플런져(52b)에 의해 제동패드(60)가 원위치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중량물의 중량이 상기 제동패드(60)가 플런져(52b)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되는 복귀력보다 큰 경우 카(200)가 정위치로 회전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되므로, 쳐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톱니(11)의 크기, 형태 및 돌출높이 또한 톱니(11)들의 사이 즉, 피치의 간격 등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의 용도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덧붙여, 상기 톱니(11)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톱니의 말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패드(10)로 제동패드(60)가 이동되어 압착될 때, 카(200)가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거나,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어 일정갇도 기울어짐이 발생되는 경우 제동패드(40)의 톱니(11)의 말단이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말단과 맞닿게 되면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의 만곡된 말단면과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만곡된 말단면에 의해 제동패드(60)가 자연스럽게 결합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와 같이 카(200)가 정위치로 더욱더 원활하게 복귀됨과 동시에 안정적인 제동력이 발생되는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50)의 결합축(51)은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면에 일측이 내입되어 고정결합됨으로써, 상기 푸쉬로드(50)와 함께 수평으로 왕복이동되고, 상기 홀더(52)는 중앙에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축(51)이 관통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홀더(52)는 상기 결합축(51)에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50)는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52)를 타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완충부재(52)에 의해 상기 홀더(52)가 타측방향 즉, 고정패드(10) 방향으로 홀더(52)가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홀더(52)의 패드홈(52a)에 설치된 제동패드(60)가 탄성지지되고, 상기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에 압착될 때, 완충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동패드(60)와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의 결합 즉, 안정적인 압착에 의한 제동력이 발생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홀더(52)는 중앙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이용하여 결합축(51)에 결합되되,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고정결합되지 않고, 상기 복수 개의 완충부재(53)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이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3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50)가 고정패드(10)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 즉, 홀더(52)의 타측면에 형성된 패드홈(52a)에 결합된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와 맞닿을 때, 상기 완충부재(53)에 의해 완충력이 발생되어 안정적으로 압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5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홀더(52)를 타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으면 종래에 사용되는 완충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어떠한 장치 또는 부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홀더(52)의 패드홈(52a)은 상기 제동패드(60)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상하부에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유격홈(52a-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격홈(52a-1)은 상기 패드홈(52a)이 상기 제동패드(6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4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동패드(60)는 결합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고정패드(10)에 압착되지만, 상기 카(200)가 기울어지는 오차범위는 규정상 계산된 한정범위 안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동패드(60)가 최대로 회전되는 일정각도를 상기 한정범위보다 같거나 작게 제한하여도 상기 일정각도가 상기 한정범위안에 포함되므로 원활하게 고정패드(10)에 압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패드홈(52a)은 제동패드(60)의 일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동패드(60)의 일측이 내입되어 상기 홀더(52)를 관통하여 돌출된 결합축(5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유격홈(52a-1)이 형성되고, 상기 유격홈(52a-1)은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유격 즉, 회전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며,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된 제동패드(60)는 앞서 설명한 규정된 한정범위 안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며 고정패드(10)에 압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유격홈(52a-1)은 상기 패드홈(52a)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되, 측면 중앙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확장경사면(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동패드(60)가 결합축(51)l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홀더(52)는 상기 패드홈(52a)의 양측 상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유격홈(52a-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동패드(60)의 회전시 상기 제동패드(60)를 내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플런져(5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플런져(52b)에 의해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에 회전되며 압착되면 상기 회전된 제동패드(60)를 복원시킴으로써, 기울어진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52)는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52a)의 양측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홀에 상기 플런져(52b)의 타측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플런져(52b)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설치홀에 타측이 결합되는 결합몸체(미표시)와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미표시) 및 상기 탄성부재의 말단에 구비되는 볼(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이 제동패드(6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되면 상기 볼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60)가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기울어진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동패드(60)는 상기 플런져(52b)의 말단 즉, 볼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6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61)에 의해 제동패드(60)가 회전되어도 상기 플런져(52b)의 말단 즉, 볼이 안정적으로 상기 제동패드(6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제동패드(60)가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61)은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런져(52b)의 말단 즉, 볼이 상기 제동패드(60)의 측면에 접촉되는 위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상기 플런져(52b)의 탄성력을 제공받기 위함이고, 상기 가이드홈(61)의 형성 길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되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플런져(52b)의 볼이 상기 제동패드(60)의 측면에 접촉되는 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플로어(120)에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카(200)의 하중이 제동패드(60)와 푸쉬로드(50)를 통하여 볼스크류(40)에 직접 가해지고, 그 결과 상기 카(200)의 하중에 의하여 구동모터(30), 웜감속기(31) 및 커플링(3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제동패드(6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을 상기 푸쉬로드(50)와 홀더(52)의 외측에 결합되는 하우징(70)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 푸쉬로드(50)가 일측에 내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홀더(52)가 타측에 내입되어 장착되며, 하부가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하우징(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70)으로 제동패드(6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이 유도되어 상기 카(200)의 하중이 구동모터(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일실시예의 하우징(70)은 하부에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가이드(71)와, 상부에 상기 레일가이드(71)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결합되는 레일(7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레일가이드(71)와 레일(72)에 의해 푸쉬로드(50)가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카(200)의 하중이 구동모터(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하우징(70)은 상기 홀더(52)가 타측에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완충부재(53)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공간(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홀더(52)가 상기 가이드공간(73)에 내입되어 하우징(70)에 의해 지지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 제동패드(6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이 볼스크류(40), 커플링(32), 웜감속기(31) 및 구동모터(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70)은 볼스크류(40)로 카(200)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푸쉬로드(50)가 내입되어 고정 설치되어 홀더(52)로부터 전달되는 카(200)의 하중이 하우징(70)으로 전부 전달되는 것이 아니므로, 결합축(51)을 통해 전달되는 카(200)의 하중을 다시한번 하우징(70)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카(200)의 하중이 볼스크류(40), 커플링(32), 웜감속기(31) 및 구동모터(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간(73)은 상기 홀더(52)의 외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내측면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상기 홀더(52)의 수평이동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패드(6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을 상기 푸쉬로드(50)와 홀더(52)의 외측에 결합되는 하우징(70)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70)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 푸쉬로드(50)가 일측에 내입되어 이동 가능하아도록 장착되고, 상기 홀더(52)가 타측에 내입되어 장착되며,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70)은 일실시예의 하우징(70)과 마찬가지로 상기 푸쉬로드(50)가 일실시예와 다르게 일측에 내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상기 홀더(52)가 일실시예와 다르게 타측에 내입되어 상기 푸쉬로드(50)의 슬라이딩과 함께 슬라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가이드공간(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공간(73)은 일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푸쉬로드(50)가 슬라이딩되는 후방가이드공간(미표시)과 홀더(52)가 슬라이딩되는 전방가이드공간(미표시)으로 구획되어 푸쉬로드(50)의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푸쉬로드(50)에 전달되는 카(200)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동패드(6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동패드(60)의 폭이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큰 경우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에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60)의 톱니(11)가 맞닿으면 제동패드(60)의 중량에 의해 제동패드(60)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찰력도 증가되어 지속적인 구동모터(30)의 작동 즉, 볼스크류(4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구동모터(30)에 과부하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제동패드(6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는 양측말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미표시)를 절삭가공하여 형성되는 유도경사면(1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도경사면(11a)은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에 또한 제동패드(60)의 폭이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맞닿으면 더욱더 원활하게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제동패드(60)가 고정패드(10)에 더욱더 원활하게 맞물려 압착되어 보다 용이하게 카(200)를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다시한번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는 경우 제동패드(60) 또한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60)의 톱니(11) 각각의 말단이 맞닿게 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60)의 톱니(11)의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가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된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며 클램핑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는 경우 즉,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동패드(60) 또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고정패드(60)의 톱니(11) 각각의 말단이 서로 어긋나며 맞닿게 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제동패드(60)가 상기 홀더(52)에 결합축(51)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제동패드(60)의 톱니(11)가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좌측상하부 또는 우측상하부로 회전되어 이동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울어짐이 발생된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며 클램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카(200)가 어느 하나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중량물이 상기 카(20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정위치 상태인 카(200)는 와이어(210)와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에 의해 플로어(120)와 동일한 수평레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하방으로의 쳐짐 또는 좌측 또는 우측 하방으로의 쳐짐 즉, 기울어짐이 방지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카(200)에 쳐짐 혹은 기울어짐이 발생되어도, 제동패드(60)가 홀더(52)의 패드홈(52a)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카(200)의 쳐짐 혹은 기울어짐이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플런져(52b)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인 카(200)의 클램핑 효과르 실현케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 간의 압착에 의한 결합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비상시에 비상제동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구동모터(30)의 작동을 위한 제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하여 통합 관리될 수 있고, 특히, 구동모터(30)의 작동에 의한 고정패드(10)에 대한 제동패드(60)의 압착 및 압착해제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위치된 상태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잇고,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고정패드 11 : 톱니
20 : 베이스플레이트 21 : 후방감지센서
22 : 전방감지센서 30 : 구동모터
32 : 커플링 40 : 볼스크류
50 : 푸쉬로드 51 : 결합축
52 : 홀더 52a : 패드홈
52a-1 : 유격홈 52b : 플런져
53 : 완충부재 60 : 제동패드
61 : 가이드홈 70 : 하우징
100 : 레일 110 : 엘리베이터실
200 : 엘리베이터의 카

Claims (12)

  1.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설치되고, 후방감지센서(21)와 전방감지센서(22)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a) 타측에 일측이 커플링(32)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는 볼스크류(40);와
    상기 볼스크류(40)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베이스플레이트(20)에 수평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푸쉬로드(50); 및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후방감지센서(21) 또는 전방감지센서(22)에 푸쉬로드(50)가 감지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플링(32)은
    기설정된 토크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커플링(32)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60) 각각의 압착면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푸쉬로드(50)는
    타측면에 일측이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축(51);과
    상기 결합축(51)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타측면에 상기 결합축(51)의 타측이 돌출되도록 패드홈(52a)이 형성되는 홀더(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동패드(60)는
    상기 결합축(51)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드홈(52a)에 일측이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52)는
    상기 결합축(51)에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푸쉬로드(50)의 타측면과 일측면이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50)는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52)를 타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홈(52a)은
    상기 제동패드(6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상하부에 상기 제동패드(6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유격홈(52a-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52)는
    상기 패드홈(52a)의 양측 상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유격홈(52a-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동패드(60)의 회전시 상기 제동패드(60)를 탄성지지하는 플런져(5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60)는
    양측면 상하부에 상기 플런져(52b)의 말단이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6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61)은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 푸쉬로드(50)가 일측에 내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홀더(52)가 타측에 내입되어 장착되며, 하부가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하우징(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 푸쉬로드(50)가 일측에 내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홀더(52)가 타측에 내입되어 장착되며,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190032360A 2019-03-21 2019-03-21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09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60A KR102009349B1 (ko) 2019-03-21 2019-03-21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60A KR102009349B1 (ko) 2019-03-21 2019-03-21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349B1 true KR102009349B1 (ko) 2019-08-12

Family

ID=6762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360A KR102009349B1 (ko) 2019-03-21 2019-03-21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4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544A (ko) * 2019-05-27 2020-12-08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WO2022019531A1 (ko) * 2020-07-23 2022-01-27 김영기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CN113998564A (zh) * 2021-10-22 2022-02-01 中建新疆建工集团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建筑工地用模块化型钢落地卸料平台
CN114314250A (zh) * 2020-10-09 2022-04-12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阻尼装置和电梯系统
WO2022073495A1 (en) * 2020-10-09 2022-04-14 Schindler (China) Elevator Co. Ltd. Elevator car damping arrangement and elevator system
KR102553523B1 (ko) 2023-02-24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53526B1 (ko) 2023-03-06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66204B1 (ko) 2023-04-12 2023-08-10 윤진근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KR102596055B1 (ko) 2023-03-08 2023-11-01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506A (ko) 1999-06-25 2001-01-26 브뢰흐레 한스 수직 컨베이어의 하중 운반수단이 수직 변위 및 수직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05486B1 (ko) 1999-05-17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120025140A (ko) * 2010-09-07 2012-03-15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20140082966A (ko) 2011-09-30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KR101832428B1 (ko) * 2017-06-15 2018-02-26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486B1 (ko) 1999-05-17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010007506A (ko) 1999-06-25 2001-01-26 브뢰흐레 한스 수직 컨베이어의 하중 운반수단이 수직 변위 및 수직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25140A (ko) * 2010-09-07 2012-03-15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20140082966A (ko) 2011-09-30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KR101832428B1 (ko) * 2017-06-15 2018-02-26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544A (ko) * 2019-05-27 2020-12-08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197421B1 (ko) * 2019-05-27 2021-01-04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WO2022019531A1 (ko) * 2020-07-23 2022-01-27 김영기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CN114314250A (zh) * 2020-10-09 2022-04-12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阻尼装置和电梯系统
WO2022073495A1 (en) * 2020-10-09 2022-04-14 Schindler (China) Elevator Co. Ltd. Elevator car damping arrangement and elevator system
CN114314250B (zh) * 2020-10-09 2023-02-17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阻尼装置和电梯系统
CN113998564A (zh) * 2021-10-22 2022-02-01 中建新疆建工集团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建筑工地用模块化型钢落地卸料平台
CN113998564B (zh) * 2021-10-22 2024-03-29 中建新疆建工集团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建筑工地用模块化型钢落地卸料平台
KR102553523B1 (ko) 2023-02-24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53526B1 (ko) 2023-03-06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96055B1 (ko) 2023-03-08 2023-11-01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66204B1 (ko) 2023-04-12 2023-08-10 윤진근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49B1 (ko)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1832428B1 (ko)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A2819149C (en) Actuation of an intercepting apparatus
JP5478247B2 (ja) カウンタウェイトを有さないエレベータにおける機構
EP1409389A1 (en) Elevator rope braking system
US9663326B2 (en) Brake device for a travel body of an elevator system
KR101011024B1 (ko) 로프 제동장치
US6092630A (en) Arresting brake device for elevators
US20090032341A1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CN101486424B (zh) 电梯绳索止振装置
CN114275716A (zh) 升降装置及抹灰设备
KR102197421B1 (ko)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US20040251455A1 (en) Hoisting and stabilization system for suspended load support
CN115285888A (zh) 载货台及堆垛机
KR102173779B1 (ko)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WO2021038731A1 (ja) 搬送装置
KR101583530B1 (ko) 슬라이드 장치의 안전장치
JP4882081B2 (ja) エレベータ
KR20210006870A (ko) 승강식 개폐문의 가속 시 비상정지장치
CN110054057B (zh) 电梯装置
KR102340759B1 (ko)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KR20110130776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CN114364627B (zh) 施工用升降机
US20010047910A1 (en) Concrete rail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