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544A -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544A
KR20200136544A KR1020190062028A KR20190062028A KR20200136544A KR 20200136544 A KR20200136544 A KR 20200136544A KR 1020190062028 A KR1020190062028 A KR 1020190062028A KR 20190062028 A KR20190062028 A KR 20190062028A KR 20200136544 A KR20200136544 A KR 2020013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pad
brak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421B1 (ko
Inventor
윤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Priority to KR102019006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42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93Suspension locking or inhibiting means to avoid movement when car is stopped at a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에 멈춘 후 상기 카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및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양측으로 수평이동되는 이동제동부에 구비되는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패드와 제동패드의 압착면에 엘리베이터실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카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정위치로 멈춘 후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압착되어 복수 개의 랙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카의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카의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시켜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상기 카를 건축물의 플로어에 정위치시키며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Elevator's fixed position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preventing opening and deflection of do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에 멈춘 후 상기 카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및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양측으로 수평이동되는 이동제동부에 구비되는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패드와 제동패드의 압착면에 엘리베이터실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카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정위치로 멈춘 후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압착되어 복수 개의 랙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카의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카의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시켜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상기 카를 건축물의 플로어에 정위치시키며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설비는 건물 내에 설치된다. 이 설비는 지지 수단에 의해 균형추 또는 제2엘리베이터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엘리베이터실은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엘리베이터실 또는 균형추에 직접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설비는 단층 또는 여러 층에 걸쳐 건물 내부에서 사람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승강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은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86호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와이어가 끊어졌을 경우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유압발생부 연결되어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될 경우 별도로 구비된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를 물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면 피스톤이 조를 상향가압하여 조가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에 밀착 가압되어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카(본 발명의 '카'와 대응됨.)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하는 제동부가 항상 와이어와 연결되고, 와이어에 제동력을 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카에 적재되는 중량물에 의한 엘리베이터카의 중량 증대로 인하여 와이어가 쳐지거나 건물의 플로어 바닥과 엘리베이터카의 바닥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카의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출발되어도 상기 제동부가 와이어 또는 수직바를 단순히 물고 있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을 완전히 방지하기 어려워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발차에 의한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75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2966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에 대한 일정의 제동력을 가하는 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장치는 대부분 상기 카에 대한 승하강력을 형성시키는 와이어를 강력하게 파지시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카가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카의 바닥면과 건출물 플로어의 바닥면의 수평위상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고,
단순히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을 와이어를 강력하게 파지시키기 때문에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하중이 증가된 경우 상기 카의 이동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도 카의 바다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카의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카가 발차(發車)되는 경우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할 수 없어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당 하중의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재될 수 있는데, 이때 카에 가해지는 화물, 지게차, 화물차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카가 연결된 와이어가 하방으로 처지게되어,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고, 그 결과 상기 지게차, 화물차가 카의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카의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카가 발차(發車)되면 상기 카에 탑승 중인 승객과 상기 카의 내부에 탑승한 승객 모두 위험에 노출되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동패드를 양측으로 수평이동시켜 고정패드에 압착 및 압착 해제시켜 효율적으로 구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가 센서에 의해 제어되므로 상기 제동패드의 압착 및 압착 해제시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센서의 고장 발생시 토크 리미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엘리베이터실 내부에 설치되어 카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돌기 양측에 고정패드를 설치하고, 분기부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패드에 한 쌍의 제동패드가 압착 및 압착 및 압착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돌기 양측으로 한 쌍의 제동패드를 분기하여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상제동력이 치우쳐 발생되지 않고 상기 카의 중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비상제동력이 발생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엘리베이터실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고정패드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고정제동부와 엘리베이터의 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상기 카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상기 고정패드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를 구비하는 한 쌍의 이동제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와 제동패드 각각의 압착면에는 엘리베이터실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랙(rack)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과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2구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플링은 기설정된 토크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커플링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수직감속기와 상기 수직감속기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이동제동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는 엘리베이터의 카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돌기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제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카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수평이동되고, 말단에 제동패드가 결합되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동패드는 상기 수평이동부의 말단에 이격되어 결합되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방에 복수 개의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이동부는 엘리베이터의 카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돌기 양측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제동패드가 결합되는 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되어 정차될 때, 복수 개의 랙(rack)이 형성된 고정패드와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정차된 카를 엘리베이터실에 견고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 카에 승객이 많이 탑승하거나, 화물,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탑재되더라도, 승객, 화물, 지게차, 또는 화물차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와이어처짐 및 카의 하강을 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카가 발차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당 하중의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재되더라도 카의 하강이 발생하지 않아,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카가 발차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 중인 승객과 탑승한 승객에게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카를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된 상태로 정차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동패드를 양측으로 수평이동시켜 고정패드에 압착 또는 압착해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구동모터가 감지센서에 의해 제어될 때, 상기 감지센서의 고장 발생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의 사용수명 저하 및 과부하에 따른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돌기 양측에 고정패드를 설치하고, 분기부에 의해 상기 고정패드에 한 쌍의 제동패드가 압착 및 압착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상의 제동패드를 상기 가이드돌기 양측으로 분기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돌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설치가 용이한 효과 및 상기 카의 중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에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내벽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고정패드가 엘리베이터실의 내벽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단차적응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수평이동부 실시예1(a), 수평이동부 실시예2(b)).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수평이동부 실시예1(a), 수평이동부 실시예2(b)).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 장치가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고정패드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장치가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의 고정패드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제동 장치가 엘리베이터실의 가이드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200)(이하, '카(200)'라 통칭 한다.)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멈춘 후 상기 카(200)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카(2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탑승 및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및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12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양측에 설치되고, 고정패드(11)를 구비하는 고정제동부(10)와, 상기 카(20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하나의 구동모터(21)를 구비하는 구동부(20)와, 상기 카(20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상기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 해제되는 제동패드(3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이동제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의 압착면에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의 랙(11a, rack)이 형성되어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카(200)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카(200)가 발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탑승 중인 승객과 탑승한 승객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카(200)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카(200)의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 시켜 상기 카(200)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상기 카(200)를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정위치시키며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21)를 이용하여 한 상의 이동제동부(30)를 수평이동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센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1)에 과부하가 발생시 토크 리미트를 이용하여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21)를 정지시켜 상기 구동모터(21)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돌기(101) 양측으로 고정패드(11)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제동부(10)를 설치하고, 한 쌍의 제동패드(31)가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돌기(101) 양측에 설치된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 해제될 수 있도록 이동제어부(30)에 분기부(33a)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200)에 설치가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카(200)의 중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비상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고정패드(11)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고정제동부(10);와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21)를 구비하는 구동부(20);와 상기 카(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20)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상기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3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이동제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21) 각각의 압착면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랙(11a, rack);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모터(21)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구동축(21a);과 상기 제1구동축(21a)과 커플링(21c)에 의해 결합되는 제2구동축(21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플링(21c)은 기설정된 토크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 커플링(21c)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제2구동축(21b)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수직감속기(22);와 상기 수직감속기(2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구동축(21b)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이동제동부(3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23)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11)는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돌기(101)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제동부(30)는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이송스크류(32);와 상기 카(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수평이동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는 수평이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동패드(31)는 상기 수평이동부(33)의 말단에 이격되어 결합되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방에 복수 개의 탄성부재(31a)가 결합되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이동부(33)는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돌기(101) 양측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는 분기부(33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2 내지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공지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정위치되며, 정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에 포함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 상기 카(200)를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종의 공법으로 만들어진 건축물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실(110)에 시설되고,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승객의 탑승, 하차 및/또는 화물의 탑재, 하역이 이루어지는 카(200), 상기 카(200)와 일측이 연결되는 일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210), 상기 카(200)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와이어(210의 타측에 연결되는 균형추(220), 상기 와이어(210)에 이송력을 가하여 상기 카(200)에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권상기(230) 및 상기 와이어(210) 또는 카(2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200)는 건축물의 복수 플로어(120)에 각각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맞추어 정차하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와 카(200)의 사이에는 여닫힘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출입문(140)이 마련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는 카(200)가 흔들림을 최소화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건축물의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100)이 설치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카(200)에는 가이드레일(100)에 대한 승하강의 용이성 및 흔들림 방지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가이드슈 및/또는 롤러와 같은 가이드장치(30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H자형 빔 형태, T자형 빔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4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카(200)에 설치된 가이드장치(300)와 대응되는 중간 부분이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T자형 빔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상기 T자형 빔의 중간 부분에 돌출된 리브를 '가이돌기(101)'라 칭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은 건축물의 건축 공법의 종류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형강 구조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양측 중앙에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에 수직한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구성을 하며, 한 쌍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장치(300)에 의해 카(200)가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구성르 하고,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각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정위치'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바닥면과 상기 특정 플로어(120)의 바닥이 동일한 수평 위상을 가지도록 정차된 위치를 일컫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처짐'이라 함은 상기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상기 카(200)의 내외부로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이 이동될 때, 특히, 상기 카(200)의 내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상기 카(200)가 플로어(120)의 수평레벨보다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일컫는다. 이때, 상기 '처짐'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 이외에도 승객 또는 일반적인 화물이 카(200)의 내부로 이동될 때에도 발생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개문발차'라 함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와 카(200)의 사이에 여닫힘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출입문(1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오작동으로 인해 상부 또는 하부로 발차 즉, 이동되는 것을 일컫는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제동부(10)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고정패드(1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복수 개가 즉, 복수의 플로어(120)마다 설치되어 카(200)가 특정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일 경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기 카(200)에 설치되는 이동제동부(30)의 제동패드(3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고정패드(11)가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동패드(31)가 상기 고정패드(11)에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어 상기 카(200)에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고정제동부(10)는 도 4와 같이, 건축물의 높이방향(이하, '수직방향'이라 함.)으로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일정 부분에 장착되어,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경우에 상기 카(200)에 구비된 제동패드(31)와 일정의 압착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고정패드(11)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다라 비상제동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고정제동부(10)는 도 10과 같이,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중앙 양측에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상기 카(200)에 설치된 가이드장치(300)를 통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00)의 후면 즉, 엘리베이터실(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판(미표시)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즉, 엘리베이터실(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내측면 중간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101)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는 고정패드(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측면이 크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패드(11)가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내측면에 직접 고정설치될 수 있으므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고정제동부(10)는 상기 고정패드(11)를 주요 구성으로 하여 하기의 제동패드(31)와 상기 고정패드(11)가 연계되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경우에 압착력을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패드(11)는 상기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예로는 압착면이 평평한 상태를 가지는 판상의 블록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후에 설명될 제동패드(31)의 압착면에 형성된 랙(11a. rack)과 대응되는 랙(11a, rack)이 압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착면은 하기 제동패드(31)의 압착면과 대응 압착되어 상기 카(200)에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 지게차, 화물차(이하, '중량물'이라 칭한다.)의 하중에 의하여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의 처짐을 방지시키며, 상기 카(200)의 내부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패드(11)는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플로어(120)마다 설치되고, 각각의 고정패드(11)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라 함은 도 1과 도 2와 같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정차하였을 때, 카(200)의 상부, 중간부,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를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는 카(200)의 상부에 구동부(20)와 이동제어동부(30)가 설치되므로, 카(200)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구동부(20)는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21)를 하나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모터(21)가 정방향 회전 즉, 구동되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이동제동부(30)의 이송스크류(32)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제동부(30)를 수평방향 즉, 카(2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동패드(31)를 고정패드(11)에 압착되도록 하고, 역방향 회전 즉, 구동되면 상기 이송스크류(3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제동부(30)를 수평방향 즉, 카(2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동패드(31)를 고정패드(11)로부터 압착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동부(20)는 카(200)의 상부에 하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력(토크:torque) 즉, 구동력을 증폭시키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수직감속기(22) 및 상기 수직감속기(2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이동제동부(30)의 이송스크류(32)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연결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1)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구동축(21a)과, 상기 제1구동축(21a)과 커플링(21c)에 의해 결합되는 제2구동축(21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플링(21c)은 기설정된 토크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구동부(20)는 상기 구동모터(21)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구동모터(21)의 제1구동축(21a)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구동축(21a)과 커플링(21c)에 의해결합된 제2구동축(21b)이 회전되며, 상기 제2구동축(21b)에 수직감속기(22)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감속기(2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연결부(23)가 회전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이동제동부(30)의 이송스크류(32)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감속기(22)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벨기어가 구비되는 웜감속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웜감속기에 의해 하나의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양측으로 전달하여 한 쌍의 이동제동부(3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는 한 쌍의 이동제동부(30)를 하나의 구동모터(21)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카(200)에 비상제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수직감속기(22)는 달리 설명하면, 상기 제2구동축(21b)에 연결되어 제1구동축(21a)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2구동축(21b)에 의해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사익 연결부(23)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커플링(21c)은 기설정된 토크 즉, 회전력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1)가 헛돌게 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1)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커플링(21c) 즉, 토크 리미터 커플링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이동제동부(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압착되는 경우 완전히 밀착되어 압착되었을 때, 상기 구동모터(21)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나,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구동모터(21)가 헛돌게 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1)에 발생되는 과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21c) 즉, 토크 리미터 커플링은 상기 이동제동부(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로부터 압착 해제되는 경우 더이상 이동되지 않는 한계점에 이르렀을 때, 상기 구동모터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가 헛돌게 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1)에 발생되는 과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21)의 작동 즉, 제어는 이후에 설명될 이동제동부(30)에 구비되는 압착센서(42) 및 압착해제센서(44)로 구성되는 감지센서(40)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될 때,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되나, 상기 감지센서(40)가 오작동 또는 손상된 경우 상기 구동모터(21)에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커플링(21c) 즉, 토크 리미터 커플링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1)에 2차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동모터(21)는 상기 커플링(21c)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21c)에 의해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되는 제1구동축(21a)의 회전력이 제2구동축(21b)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되면 상기 커플링(21c)에서 기설정된 토크보다 높은 토크가 발생된 신호가 구동모터(21)에 전달되고, 상기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1)가 정지되어 감지센서(40) 중 압착센서(42) 혹은 압착해제센서(44)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경우에도 다시 구동모터(21)가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각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카(200)에 비상제동력이 발생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커플링(21c) 즉, 토크 리미터 커플링은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음부(미표시)가 미끄러져 구동모터(21)의 구동력 즉, 제1구동축(21a)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아닌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1구동축(21a)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커플링(21c)에 의해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이음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동모터(21)를 정지시키기 위함이며, 이때, 이음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미도시)가 상기 커플링(21c)에 구비됨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이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21)를 정지시킬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21)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이동제동부(3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때, 상기 이동제동부(30)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구동을 정지시키는 전자식브레이크(21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자식브레이크(21d)를 이용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이 다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연결부(23)는 상기 수직감속기(2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구동축(21b)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이동제동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제동부(30)의 이송스크류(32)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제동부(3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23)는 단순히 바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제동부(30)의 이송스크류(32)와 커플링(미표시)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하나,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감속기(22)와 이송스크류(32)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는 도 6과 같이, 상기 수직감속기(22)와 이동제동부(30)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는 경우 설치가 용이하도할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상기 연결부(23)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는 카(200)의 하중 수용용량에 따라 상기 카(200)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카(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직감속기(22)와 이동제동부(30)의 거리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더욱더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이동제동부(30)는
상기 카(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20)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상기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 해제되는 제동패드(3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카(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20)에 비상제동력이 안정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동제동부(30)는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이송스크류(32)와, 상기 카(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수평이동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는 수평이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스크류(32)는 상기 구동부(20)의 수직감속기(22)에 설치되는 연결부(23)와 커플링(미표시)에 의해 연결되거나, 상기 연결부(23)가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되는 경우 유니버셜 조인트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카(200)의 상부에 수평방향 즉, 상기 카(200)의 내측방향과 외측방향으로 상기 수평이동부(33)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이동부(33)의 말단에 결합된 제동패드(31)를 고정제동부(10)의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카(200)에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32)는 상기 수평이동부(33)와 결합되는 부분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이동부(33)와 나사산에 의해 결합됨으로서,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부(33)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일반적인 리드 스크류로 구성되거나, 상기 수평이동부(33)와 결합되는 사이에 복수 개의 볼이 구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부(33)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볼스크류(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수평이동부(33)는 상기 이송스크류(32)가 볼스크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송스크류(32)와 대응되는 볼스크류하우징(미표시)이 구비됨은 자명할 것이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이송스크류(32)는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수평이동부(3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드 스크류와 같은 스크류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크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압착되었을 경우 비상제돌력에 의해 카(200)의 하중이 전달되어 마찰력이 증가되면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카(200)의 하중이 전달되어도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볼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수평이동부(33)는 상기 카(20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송스크류(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즉,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것으로서,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어 상기 제동패드(31)를 함께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200)에 비상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동패드(31)는 상기 수평이동부(33)의 말단에 이격되어 결합되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방에 복수 개의 탄성부재(31a)가 결합되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탄성부재(31a)는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압착될 때, 충격을 완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압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31a)는 상기 수평이동부(33)와 제동패드(31)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동패드(31)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홈(미표시)에 일측이 내입되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이동부(33)의 전면에 밀접되어 상기 제동패드(31)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수평방향 즉, 카(2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33)와 함께 제동패드(31)가 이동되어 고정패드(11)에 압착될 때 상기 제동패드(31)가 후방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며 충격이 완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패드(11)에 압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평이동부(33)는 세가지의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이동되도록 연결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33b)의 말단에 제동패드(31)가 직접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33b)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와 압착 및 압착 해제될 수 있도록 카(20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하우징(33c)을 더 포함하여 구성(실시예1)되거나,
상기 결합부(33b)에 결합되되, 카(200)의 상부에 레일(33e)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33b)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와 압착 및 압착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몸체(33d)를 더 포함하여 구성(실시예2)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3b)에 결합되되,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돌기(101) 양측방향으로 분기되어 돌출되는 분기부(33a)와, 상기 분기부(33a)에 결합되되, 카(200)의 상부에 레일부(33g)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33b)의 이동에 따라 분기부(33a)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와 압착 및 압착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본체(33f)를 더 포함하여 구성(실시예2)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33b)는 내측면에 이송스크류(32)의 종류에 따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볼이 설치될 수 있는 볼스크류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 7과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수평이동부(33)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 7의 좌측에 도시된 본 발명의 수평이동부(33)의 실시예1은 앞서 설명된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이동되도록 연결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3b)와, 상기 결합부(33b)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동패드(31) 및 카(20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결합부(33b)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정하우징(3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3b)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에 이송스크류(32)가 내입되어 연결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33b)는 전방에 제동패드(31)의 후방이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제동패드(31)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홈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압착되어 전달되는 카(200)의 하중이 상기 제동패드(31)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200)의 하중이 상기 결합부(33b)로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제동패드(31)와 고정패드(11)의 압착된 상태를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제동패드(31)는 상기 이송스크류(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33b)가 이동됨과 동시에 함께 이동되어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 해제되고, 이에 따라 카(200)에 비상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31)는 후방에 복수 개의 탄성부재(31a)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31a)는 상기 결합부(33b)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동패드(31)를 결합부(33b)의 전방 즉, 카(200)의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고정하우징(33c)은 상기 카(20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3b)가 이동가능하도록 내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결합부(33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제동패드(31)로부터 전달된 카(200)의 하중이 상기 결합부(33b)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제동패드(31)와 고정패드(11)의 압착된 상태가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고정하우징(33c)은 내측으로 윤활제가 투입되도록 윤활제투입부(미표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33b)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도면 7의 우측에 도시된 본 발명의 수평이동부(33)의 실시예2는 앞서 설명된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이동되도록 연결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3b)와, 상기 결합부(33b)에 결합되는 베이스몸체(33d)와, 상기 베이스몸체(33d)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동패드(31) 및 카(200)의 상부에 수평방향 즉,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고정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베이스몸체(33d)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레일(33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3b)는 실시예1과 같이 이송스크류(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몸체(33d)는 상기 레일(33e)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말단 즉, 전방에 제동패드(31)의 후방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은 앞서 실시예1에서 설명된 결합부(33b)의 결합홈과 같이,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압착되어 전달되는 카(200)의 하중이 상기 제동패드(31)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31)와 고정패드(11)의 압착된 상태를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레일(33e)은 상기 카(200)의 하중이 상기 제동패드(31)로부터 상기 베이스몸체(33d)에 전달되면 함께 카(200)의 하중이 분산되므로, 상기 베이스몸체(33d)와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를 통해 상기 베이스몸체(33d)와 결합됨은 자명할 것이며, 보다 효율적으로 카(2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면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수평이동부(33)의 실시예3은 앞서 고정제동부(10)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패드(11)가 가이드레일(110)의 가이드돌기(110)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이 설치되는 경우와 대응되는 구성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수평이동부(33)의 실시예3은 앞서 설명된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이동되도록 연결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3b)와, 상기 결합부(33b)에 결합되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돌기(101) 양측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는 분기부(33a) 및 카(200)의 상부에 수평방향 즉,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고정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분기부(33a)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레일(33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상기 분기부(33a)는 카(20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결합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본체(33f)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본체(33f)는 상기 레일부(33g)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말단 즉, 전방에 제동패드(31)의 후방이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앞서 실시예1,2에서 설명된 결합부(33b)와 베이스몸체(33d)와 같이,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압착되어 전달되는 카(200)의 하중이 상기 제동패드(31)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31)와 고정패드(11)의 압착된 상태를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레일부(33g)는 앞서 실시예2에서 설명된 레일(33e)과 같이, 상기 카(200)의 하중이 상기 제동패드(31)로부터 상기 베이스본체(33f)에 전달되면 함께 카(200)의 하중이 분산되므로, 상기 베이스본체(33f)와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를 통해 상기 베이스본체(33f)와 결합됨은 자명할 것이며, 보다 효율적으로 카(2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즉, 복수 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는 베이스본체(33f)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인 베이스본체(33f)의 이동을 위해 상기 베이스본체(33f) 각각의 하부에 레일부(33g)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이동제동부(30)는 카(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1)의 정방향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수평이동부(33)의 이동을 감지하는 압착센서(42)와 상기 구동모터(21)의 역방향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수평이동부(33)의 이동을 감지하는 압착해제센서(44)로 구성되는 감지센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압착센서(42)는 수평이동부(33)가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즉, 이송스크류(32)의 회전에 의해 카(2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에 견고하게 압착되는 상기 수평이동부(33)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카(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해제센서(44)는 이송스크류(32)의회전에 의해 카(2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로부터 압착 해제되는 상기 수평이동부(33)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카(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센서(40) 즉, 상기 압착센서(42)와 상기 압착해제센서(44)는 상기 카(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수평이동부(33)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부(33)의 수평이동을 감지함으로써, 구동모터(21)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21)의 구동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덧붙여, 상기 감지센서(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센서 등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수평이동부(33)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감지센서(40)와 대응되어 감지될 수 있는 감지부(33h)를 포함하여 구성됨은 자명할 것이며,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 감지부(33h)가 상기 감지센서(40)에 으해 감지되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구동이 앞서 설명된 전자식브레이크(21d)를 통해 중지되어 과부하 발생이 방지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21)는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이동제동부(30)의 제동패드(31)를 고정패드(11)에 압착시키기 위해 타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상기 감지부(33h) 압착센서(42)에 의해 감지되어 구동이 정지되며,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이동제동부(30)의 제동패드(31)를 고정패드(11)로부터 압착 해제시키기 위해 일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상기 감지부(33h)가 압착해제센서(44)에 의해 감지되어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과부하 발생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의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동패드(31)를 구동모터(31)에 의해 고정패드(11)에 압착시켜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압착 해제시켜 비상제동력을 해제하고, 상기 제동패드(31)를 고정패드(11)에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킬 때, 기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제동패드(31)가 이동되도록 구동모터(31)를 압착센서(42)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며, 상기 제동패드(31)를 고정패드(11)로부터 압착 해제시켜 비상제동력을 해제할 때, 기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제동패드(31)가 이동되도록 구동모터(21)를 압착해제센서(44)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여 과부하에 따른 사용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모터(21)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과부하가 발생된 상태로 구동모터(21)가 작동되어 수직감속기(22), 연결부(23), 이송스크류(32), 수평이동부(33), 제동패드(31), 고정패드(11) 등의 부품에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제동패드(31)는 상기 이동제동부(3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 해제됨으로써, 카(200)에 비상제동력을 발생 또는 카(200)에 발생된 비상제동력을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제동부(30)와 함께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한 즉, 이송스크류(32)의 회전에 의한 왕복 이동가능성으로 상기 고정패드(11)에 대한 압착여부가 결정되고,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한 가압력으로 고정패드(11)에 대한 압착력이 형성되어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동패드(31)는 상기 고정패드(11)의 압착면과 대응되는 압착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카(200)가 엘리베티어실(110)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동안에는 상기 고정패드(11)에 대한 압착이 해제된 상태를 가지며,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모터(21)의 정방향 회전 작동에 의하여 상기 이동제동부(30)와 함께 고정패드(11) 방향으로 이동되어 압착된다.
이때,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지된 상태의 카(200)가 다시 승강 도는 하강이동되도록 작동되면, 카(200)의 상하강 이전에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와 반대로 제동패드(31)를 고정패드(11)에서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즉, 고정패드(11)의 반대방향인 카(2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제동부(30)와 제동패드(31)를 함께 이동시키는 역방향 회전으로 작동되어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 간의 압착을 해제시킨다.
부가하여,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는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하며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동패드(31)가 고정패드(11) 방향으로 수평이동되어 압착력이 형성되고, 상기 상태에서 카9200)에 중량물이 탑재되더라도 상기 카(2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도로 와이어(210)에 대한 인장력이 전혀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카(200)를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에 의한 카(200) 멈춤은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에 대한 하중을 전혀 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210)의 중량물의 탑재에 의한 와이어(210)의 쳐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와이어(210) 쳐짐으로 인한 카(200)의 순간 또는 계속적인 하방으로 처짐으로 인하여 카(200)의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 즉, 처짐이 발생되는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는 상호 압착력을 형성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의 압착면에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직교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랙(11a, rac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의 길이방향(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랙(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패드(11)의 랙(11a)과 제동패드(31)의 랙(11a)은 상기 제동패드(31)가 상기 고정패드(11)로 압착되는 경우 상호 대응되어 맞물려 압착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랙(11a)은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의 압착면에 돌출되거나 파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내구성을 고려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랙(11a)의 길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고정패드(11) 및 제동패드(31)의 폭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거나 복수로 나누어지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랙(11a)는 고정패드(11) 및 제동패드(31)의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형성하며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랙(11a)은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정차되었을 경우, 고정패드(11)의 압착면에 형성된 랙(11a)과 제동패드(31)의 압착면에 형성된 랙(11a)이 상호 맞닿으며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고정패드(11)에 형성된 랙(11a)과 제동패드(31)에 형성된 랙(11a) 간의 끼움에 의한 간섭으로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 간의 압착력이 증대되어, 카(200)가 보다 견고하게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12)가 상호 맞닿으며 끼워져 결합되는 결과는 카(200)를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 시킴으로써,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인해 출입문(140)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200)가 발차 즉, 이동되는 경우, 상기 카(200)에 강한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 한다.
아울러, 상기 랙(11a)의 크기, 형태 및 돌출높이, 랙(11a)들의 사이 즉, 피치의 등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의 용도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덧붙여, 상기 랙(11a)은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랙의 말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패드(11)로 제동패드(31)가 이동되어 압착될 때, 카(200)가 중량물에 의해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 제동패드(31)의 랙(11a)의 말단이 고정패드(11)의 랙(11a)의 말단과 맞닿게 되면 상기 제동패드(31)의 랙(11a)의 만곡된 말단면과 상기 고정패드(11)의 랙(11a)의 만곡된 말단면에 의해 제동패드(31)가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패드(11)에 압착되어 카(200)가 정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더욱더 카(200)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적인 비상제동력이 발생되는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다시 한번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 제동패드(31) 또한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정패드(11)의 랙(11a)과 제동패드(31)의 랙(11a) 각각의 말단이 맞닿게 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고정패드(11)의 랙(11a)과 제동패드(31)의 랙(11a)의 마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동패드(31)의 랙(11a)이 상기 고정패드(11)의 랙(11a)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더이상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된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며 클램핑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카(200)가 상방으로 단차가 발생되도록 특정 플로어(120)에서 멈춤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작동이 이루어져 상기 카(200)가 정위치되로 복원되며 클램핑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중량물이 상기 카(20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정위치 상태인 카(200)는 와이어(210)와 본 발명의 비상제동 장치에 의해 플로어(120)와 동일한 수평레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하방으로 처짐이 방지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어 출입문(1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카(200)가 발차 즉, 이동되는 것을 제동패드(31)의 랙(11a)과 고정패드(11)의 랙(11a)의 결합을 통해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21)를 이용하여 한 쌍의 이동제동부(30)를 수평이동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구성으로 작동되므로,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시공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0)이 상기 카(200)의 양측 중앙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중간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돌기(101)에 가이드장치(300)가 설치되어 상기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200)의 상부 중앙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분기부(33a)를 형성하고, 그 결과 상기 가이드장치(300)와 연계되어 설치가 용이하므로, 현장에서 더욱더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분기부(33a)에 의해 상기 카(20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으로 상기 카(2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며 비상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31) 간의 압착에 의한 결합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비상시에 비상제동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구동모터(21)의 작동을 위한 제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하여 통합 관리될 수 있고, 특히, 구동모터(21)의 작동에 의한 고정패드(11)에 대한 제동패드(31)의 압착 및 압착해제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위치된 상태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잇고,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가이드레일 101 : 가이돌기
110 : 엘리베이터실 200 : 엘리베이터 카
10 : 고정제동부 11 : 고정패드
11a : 랙 20 : 구동부
21 : 구동모터 21a : 제1구동축
21b : 제2구동축 21c : 커플링
22 : 수직감속기 23 : 연결부
30 : 이동제동부 31 : 제동패드
31a : 탄성부재 32 : 이송스크류
33 : 수평이동부 33a : 분기부

Claims (10)

  1.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고정패드(11)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고정제동부(10);와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21)를 구비하는 구동부(20);와
    상기 카(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20)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상기 고정패드(11)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3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이동제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드(11)와 제동패드(21) 각각의 압착면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랙(11a, rack);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1)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구동축(21a);과
    상기 제1구동축(21a)과 커플링(21c)에 의해 결합되는 제2구동축(21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플링(21c)은
    기설정된 토크보다 높은 토크 발생시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 커플링(21c)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제2구동축(21b)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수직감속기(22);와
    상기 수직감속기(2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구동축(21b)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이동제동부(3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드(11)는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돌기(101)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동부(30)는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이송스크류(32);와
    상기 카(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수평이동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는 수평이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31)는
    상기 수평이동부(33)의 말단에 이격되어 결합되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방에 복수 개의 탄성부재(31a)가 결합되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33)는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00)의 가이드돌기(101) 양측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제동패드(31)가 결합되는 분기부(33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190062028A 2019-05-27 2019-05-27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19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28A KR102197421B1 (ko) 2019-05-27 2019-05-27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28A KR102197421B1 (ko) 2019-05-27 2019-05-27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44A true KR20200136544A (ko) 2020-12-08
KR102197421B1 KR102197421B1 (ko) 2021-01-04

Family

ID=7377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028A KR102197421B1 (ko) 2019-05-27 2019-05-27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00B1 (ko) * 2021-05-07 2021-06-29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KR102553523B1 (ko) 2023-02-24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506A (ko) 1999-06-25 2001-01-26 브뢰흐레 한스 수직 컨베이어의 하중 운반수단이 수직 변위 및 수직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05486B1 (ko) 1999-05-17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140082966A (ko) 2011-09-30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KR102009349B1 (ko) * 2019-03-21 2019-08-1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486B1 (ko) 1999-05-17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010007506A (ko) 1999-06-25 2001-01-26 브뢰흐레 한스 수직 컨베이어의 하중 운반수단이 수직 변위 및 수직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82966A (ko) 2011-09-30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KR102009349B1 (ko) * 2019-03-21 2019-08-1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421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49B1 (ko)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N107337063B (zh) 自推进电梯和电梯制动系统
KR102197421B1 (ko)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US6651273B2 (en) Lift bed
KR101832428B1 (ko)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US9695011B2 (en) Elevator with a safety brake
KR101011024B1 (ko) 로프 제동장치
US6848544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evacuation of lift passengers
TW200817270A (en) Method of checking lift braking equipment, a method for placing a lift installation in operation and equipment for carrying out placing in operation
EP1673302B1 (en) Method for mounting a car drive machine, especially for elevators without any machine room, and elevator obtained
KR100954275B1 (ko)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CN101357727B (zh) 电梯的轿厢固定装置
KR100506789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
KR101564880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유지장치
CN212450169U (zh) 一种用于电梯井的电梯防护装置
KR102173779B1 (ko)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WO2015081423A9 (en) An elevator system (for silos, reservoirs, wind aeolian structures, electric towers, radio towers and frequency signals transmission towers, any other towers and any other high structures) with two emergency breaking safety device, a shock-proof system, a motorised (or engine or electric) winch and two lateral guiding tracks
KR101646393B1 (ko)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KR100889280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
KR20060018938A (ko) 엘리베이터의 에어식 로프스토퍼 구조
KR101324543B1 (ko)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CN111362092B (zh) 一种带紧急制动功能的客梯
US20220089407A1 (en) Elevator system
US6981575B2 (en) Concrete rail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ar
KR101117340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