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779B1 -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779B1
KR102173779B1 KR1020190010704A KR20190010704A KR102173779B1 KR 102173779 B1 KR102173779 B1 KR 102173779B1 KR 1020190010704 A KR1020190010704 A KR 1020190010704A KR 20190010704 A KR20190010704 A KR 20190010704A KR 102173779 B1 KR102173779 B1 KR 10217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levator
car
braking
sa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738A (ko
Inventor
윤창열
Original Assignee
윤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열 filed Critical 윤창열
Priority to KR102019001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7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36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에 멈춘 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결합이 용이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카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멈출 경우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동패드가 엘리베이터실의 수직한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하중이 증감되어 상기 카가 한쪽으로 치우치더라도 상기 제동패드가 상기 고정패드에 의해 회전되며 안정적으로 압착에 의한 결합 및 압착에 의한 결합이 해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카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equipped with rotary braking pad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에 멈춘 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결합이 용이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카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멈출 경우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동패드가 엘리베이터실의 수직한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하중이 증감되어 상기 카가 한쪽으로 치우치더라도 상기 제동패드가 고정패드에 안정적으로 압착에 의한 결합 및 압착에 의한 결합이 해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카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설비는 건물 내에 설치된다. 이 설비는 지지 수단에 의해 균형추 또는 제2엘리베이터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엘리베이터실은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엘리베이터실 또는 균형추에 직접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설비는 단층 또는 여러 층에 걸쳐 건물 내부에서 사람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승강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은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86호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와이어가 끊어졌을 경우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유압발생부 연결되어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될 경우 별도로 구비된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를 물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면 피스톤이 조를 상향가압하여 조가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에 밀착 가압되어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카(본 발명의 '카'와 대응됨.)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하는 제동부가 항상 와이어와 연결되고, 와이어에 제동력을 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카에 적재되는 중량물에 의한 엘리베이터카의 중량 증대로 인하여 와이어가 쳐지거나 건물의 플로어 바닥과 엘리베이터카의 바닥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비는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엘리베이터카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잇는 제동부와 함께 비상시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제동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로 이동되거나 외부로 이동되는 중량물의 이동 발생시 엘리베이터카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전후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쳐져 기울어짐으로, 엘리베이터카의 수평레벨 유지가 어려워 사고의 원인이되며, 엘리베이터카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 또한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상제동 장치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75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2966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에 대한 일정의 제동력을 가하는 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 장치는 대부분 상기 카에 대한 승하강력을 형성시키는 와이어를 강력하게 파지시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카가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의 바닥면의 수평위상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도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엘리베이터의 카에 비상제동 장치가 구비되어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경우, 상기 카가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 또한 기울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기울어져 레일 또는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패드의 톱니와 제동패드의 톱니가 어긋나 맞닿게 되어 정상적으로 압착되어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엘리베이터의 카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 또는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이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패드홈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에 의해 상기 홀더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와 제동패드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톱니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동패드는 상기 고정패드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드와 홀더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에 고정체결되는 전방하우징과 상기 전방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피스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은 상기 홀더가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드홈은 상기 제동패드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설치홀은 상기 패드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동패드를 탄성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플런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동패드는 상기 플런져의 말단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홀은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정위치에 정차될 때, 고정패드와 제동패드가 상호 압착되어 정차된 카를 레일 또는 엘리베이터실에 견고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 카에 승객이 많이 탑승하거나, 화물,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탑재되더라도, 승객, 화물, 지게차 또는 화물차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와이어쳐짐 및 카의 하강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당 하중의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재되더라도 카의 하강이 발생하지 않아,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엘리베이터의 카에 승객이 탑승 혹은 하차되거나, 화물, 지게차, 화물차가 탑재 혹은 하역될 때, 상기 카의 하중변화가 일측에서 치우쳐 발생되는 경우에도 고정패드와 제동패드의 상호 압착되어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안정된 클램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카를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된 상태로 정차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고정패드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제동패드의 톱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플런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멈춘 후 탑승 혹은 하차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결합이 용이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20)와, 상기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32)이 형성되는 홀더(30) 및 상기 패드홈(32)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41)에 의해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20);와 상기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32)이 형성되는 홀더(30); 및 상기 패드홈(32)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41)에 의해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톱니(11)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드(22)와 홀더(30)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30)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카(200)에 고정체결되는 전방하우징(21);과 상기 전방하우징(21)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2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피스톤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21)은 상기 홀더(30)가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21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드홈(32)은 상기 제동패드(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격홈(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홀더(30)는 상기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32)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3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설치홀(36)은 상기 패드홈(32)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동패드(40)를 탄성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플런져(3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동패드(10)는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홀(14)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공지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엘리베이터의 카(200)(이하, '카(200)'라 통칭한다.)가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정위치되며 정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에 포함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 카(200)를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종의 공법으로 만들어진 건축물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실(110)에 시설되고,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승객의 탑승 혹은 하차 및/또는 화물의 탑재 혹은 하역이 이루어지는 카(200), 상기 카(200)와 일측이 연결되는 일정의 길이의 와이어(210), 상기 카(200)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와이어(210)의 타측에 연결되는 균형추(220), 상기 와이어(210)에 이송력을 가하여 상기 카(200)에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권상기(230) 및 상기 와이어(210) 또는 카(2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200)는 건축물의 복수 플로어(120)에 각각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맞추어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와 카(200)의 사이에는 여닫힘이 가능한 엘리베이이터 출입문(140)이 마련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는 카(200)가 흔들림을 최소화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건축물의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레일(100)이 설치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카(200)에는 레일(100)에 대한 승하강의 용이성 및 흔들림 방지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가이드슈 및/또는 가이드 롤러와 같은 장치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레일(100)은 H자형 빔 형태, T자형 빔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 3과 같이, 상기 레일(100)은 T자형 빔의 것을 일실시예로 설명하고, 상기 T자형 빔의 중간부분에 돌출된 리브를 '중앙리브(101)'라 칭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은 건축물의 건축 공법의 종류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형강 구조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레일(100)은 엘리베이터실(110)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고,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각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정위치'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바닥면과 상기 특정 플로어(120)의 바닥이 동일한 수평 위상을 가지도록 정차된 위치를 일컫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쳐짐'이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내외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특히, 카(200)의 내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상기 카(200)가 플로어(120)의 수평레벨보다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일컫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기울어짐'이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내외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특히, 카(200)의 내부로 중량물이 이동될 때, 상기 카(200)가 플로어(120)의 수평레벨보다 하부로 이동되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만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일컫는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패드(10)는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구비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동패드(40)가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어 상기 카(200)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패드(10)는 도 2와 같이, 건축물의 높이방향(이하, 수직방향으로 함.)으로 승강 및 하강 이동되는 카(200)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상기 레일(100) 또는 상기 레일(100)을 내재시키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일정부분에 장착되어,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멈춘 경우에 카(200)에 구비된 제동패드(40)와 일정의 압착력을 형성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고정패드(10)는 하기의 제동패드(40)와 연계되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경우에 압착력을 형성시킴으로써, 카(200)가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착면이 평평한 상태를 가지는 판상의 블록 형태로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착면은 하기 제동패드(40)의 압착면과 대응 압착되어 카(200)에 탑승 혹은 하차하는 승객 또는 탑재 혹은 하역되는 화물, 지게차, 화물차(이하, '중량물'이라 칭한다.)의 하중에 의하여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의 쳐짐을 방지시키고, 카(200)의 내부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패드(10)는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에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패드(1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고정패드(10)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100)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100)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라 함은 도 2와 같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멈췄을 때, 카(200)의 상부, 중간부,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패드(10)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동패드(40)가 결합되는 홀더(3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고정패드(10)와 상기 제동패드(40)가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일정부분이 상기 카(200)에 고정체결되고, 외부의 공압, 유압 또는 전원을 공급받아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된 상기 제동패드(40)가 설치된 홀더(30)의 고정패드(10)에 대한 왕복 이동여부를 조절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레일(100)의 일부분인 중앙리브(101)를 중심으로 중앙리브(101)의 어느 한쪽 편에만 구비되는 구성을 하거나, 중앙리브(101)의 양쪽 편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액추에이터(20)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패드(10) 및 제동패드(40)가 설치된 홀더(30) 역시 상기 중앙리브(101)를 중심으로 양쪽 편에 각각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홀더(30)는
상기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32)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에 형성된 패드홈(32)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동패드(40)가 레일(1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고정패드(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동패드(40)에 전달되는 엘리베이터 카(200)의 하중 전달이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 및 피스톤부(23)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20)와 설치된 다수의 패킹(미표시)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원활하게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30)는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부(23)의 전방에 돌출된 로드(22)의 말단에 후방이 복수 개의 결합볼트(미표시)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부(23)의 전진과 후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동패드(40)는
상기 홀더(30)의 패드홈(32)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41)에 의해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30)와 함께 액추에이터(20)에 의한 왕복 이동가능성으로 상기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여부가 결정되고, 액추에이터(20)에 의한 가압력으로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력이 형성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40)는 후면에 베어링(미표시)이 결합되어 홀더(3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된다.
즉,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압착면과 대응되는 압착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카(200)가 엘리베이터실(110)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동안에는 상기 고정패드(10)에 대한 압착이 해제된 상태를 가지며,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멈춘 상태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하여 홀더(30)와 함께 고정패드(10) 쪽으로 이동되어 압착된다.
이때,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멈춘 상태의 카(200)가 다시 승강 또는 하강이동되도록 작동되면, 카(200)의 승하강 이전에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와 반대로 제동패드(40)를 고정패드(10)에서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홀더(30)와 함께 이동시켜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 간의 압착을 해제시킨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는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하며 멈출 경우, 상기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 쪽으로 수평이동되어 압착력이 형성되고, 상기 상태에서 카(200)에 중량물이 탑재되더라도 상기 카(2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도로 와이어(210)에 대한 인장력이 전혀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카(200)를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카(200) 멈춤은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에 대한 하중을 전혀 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210)의 중량물의 탑재에 의한 와이어(210)의 쳐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와이어(210) 쳐짐으로 인한 카(200)의 순간 또는 계속적인 하방으로의 쳐짐으로 인하여 카(200)의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 즉, 쳐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는 상호 압착력을 형성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는 상기 제동패드(40)가 상기 고정패드(10)로 압착되는 경우 상호 대응되어 맞물려 압착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톱니(11)는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돌출되거나 파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내구성을 고려하여 도 6과 같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톱니(11)의 길이는 당업자의판단에 의해 고정패드(10) 및 제동패드(40)의 폭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거나 복수로 나누어지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톱니(11)는 고정패드(10) 및 제동패드(40)의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형성하며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톱니(11)는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정차되었을 경우, 고정패드(1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가 상호 맞닿으며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고정패드(10)에 형성된 톱니(11)와 제동패드(40)에 형성된 톱니(11) 간의 끼움에 의한 간섭으로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 간의 압착력이 증대되어, 카(200)가 보다 견고하게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카(200)의 내부에 중량물이 균형을 이루며 탑재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어 탑재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플로어(120)에 정차된 카(200)는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동패드(40)가 카(200)와 함께 일정각도 기울어진상태로 고정패드(10)에 압착되면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기울어진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맞닿게 된 후 상기 제동패드(40)가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대응되어 맞물려져 압착력이 발생되므로,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진 상태의 카(200)를 플로어(120)에 정위치로 복귀시키며 카(200)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와 같이, 중량물의 불균형적인 탑재 혹은 하역에 의하여 카(200)가 일정각도 기울어진 경우, 상기 카(200)에 장착된 제동패드(40)는 카(200)와 함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패드(10)에 대응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40)는 액추에이터(20)의 작동력에 의하여 홀더(30)와 함께 고정패드(10) 쪽으로 전진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패드(1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의 말단과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의 말단이 맞닿게 되며, 고정패드(10)의 톱니(11)는 고정되어 있고, 제동패드(40)의 톱니(11)는 결합축(41)을 중심으로 제동패드(40)가 회전되므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동패드(40)는 결합축(3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의 경우, 상기 제동패드(40)는 압착면에 형성된 톱니(11)들이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 즉, 빈공간으로 이동에 의하여 일정각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위상이 변하게되고, 그 결과 제동패드(40)가 구비된 홀더(30) 및 액추에이터(20)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20)가 체결된 카(200)가 일괄적으로 일정각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중량물의 불균형된 탑재에 의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던 카(200)가 정위치로 즉,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톱니(11)의 크기, 형태 및 돌출높이 또한 톱니(11)들의 사이 즉, 피치의 간격 등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의 용도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부가하여, 상기 톱니(11)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톱니의 말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패드(10)로 제동패드(40)가 이동되어 압착될 때, 카(200)가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거나,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어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짐이 발생되어 제동패드(40)의 톱니(11)의 말단이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말단과 맞닿게 되면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의 만곡된 말단면과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만곡된 말단면에 의해 제동패드(40)가 자연스럽게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와 같이 카(200)가 정위치로 더욱더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20)는 상기 홀더(3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고정패드(10)에 대한 제동패드(40)의 압착 및 압착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플로어(120)에 정차된 카(200)의 하방으로의 쳐짐을 방지시킬 수 있을 정도의 로드(22) 가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면, 공압 방식, 유압 방식 또는 모터 방식 등과 같은 방식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카(200)에 일측이 고정체결되는 전방하우징(21)과, 상기 전방하우징(21)의 내부공간(이하, '실린더실(24)'이라 함)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2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피스톤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하우징(21)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2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공압 또는 유압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32)가 내입되는 전방하우징(21)의 내부공간 즉, 실린더실(24)은 전방하우징(21)의 외부와 기밀의 상태를 유지하여, 공압 또는 유압이 전방하우징(21)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전방하우징(21)과 로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실린더실(24)에 공압 또는유압이 가해질 수 있는 액추에이터(20)의 실린더실(24) 후방 즉, 상기 전방하우징(21)의 후방에는 내부에 링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컵 스프링 등과 같은 제2탄성부재(26)가 구비되는 후방하우징(25)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26)에 의한 복원력과 공압/유압에 의한 가압력이 상호 번갈아가며 제동패드(40)를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방하우징(21)은 실린더실(24)이 형성되고, 후방하우징(25) 또한 실린더실(미표시)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하우징(21)의 실린더실(24)에는 고압 또는 유압이 가해지며, 상기 후방하우징(25)의 실린더실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26)가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26)의 전방은 피스톤부(23)의 후방을 지지하고, 후방은 후방하우징(25)의 실린더실의 후방 내벽에 지지되는 구성을 하여 상기 제2탄성부재(26)가 지속적으로 상기 피스톤부(23)를 전방으로 밀어 로드(22)가 전방으로 전진하려는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성의 액추에이터(20)는 카(200)가 승하강 이동할 때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홀더(30)와 제동패드(40)를 액추에이터(20)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압착해제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카(200)가 플로어(120)의 정위치에 정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하우징(21)의 실린더실(24)에 가해졌던 공압 또는 유압이 해제되어 제2탄성부재(26)에 의한 복원력이 피스톤부(23) 즉, 로드(22)를 전방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로드(22)에 구비된 홀더(30)에 의해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26)에 의한 복원력은 카(200)를 플로워(120)에 정위치 클램핑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압착력이 고정패드(10)과 제동패드(40) 간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플로어(120)에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카(200)의 하중이 제동패드(40)와 홀더(30)를 통하여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직접 가해지고, 그 결과 상기 카(200)의 하중에 의하여 액추에이터(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제동패드(4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을 상기 액추에이터(20)의 하우징 즉, 전방하우징(21)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하우징(21)은 상기 홀더(30)가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 즉, 실린더실(24)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2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홀더(30)가 상기 가이드공간(21a)에 내입되어 상기 전방하우징(21)에 지지되며 슬라이딩되면 제동패드(4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이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간(21a)은 상기 홀더(30)의 외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내측면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상기 홀더(30)의 슬라이딩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카(200)의 하중에 의하여 액추에이터(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드(22)와 홀더(30)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30)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탄성부재(34)에 의해 로드(22)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력은 제동패드(4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카(200)의 하중이 제동패드(40)를 통하여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직접 가해지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30)의 후면과 로드(22)의 전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34)의 전방 및 후방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홈(미표시)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동패드(40)는 제1탄성부재(34)에 의하여 로드(22)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력을 전달받아 고정패드(10)에 대하여 압착 및 압착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카(200)를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력은 상기 가이드공간(21a)을 통하여 액추에이터(20)의 전방하우징(21)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1탄성부재(34)에 의하여 상기 제동패드(40)와 로드(22)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로드(22)의 전방에는 앞서 설명된 홀더(30)에 제동패드(40)를 결합시키는 결합축(41)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축(41)에는 상기 홀더(30)가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축(41)은 제동패드(40)의 전방에서 상기 제동패드(40)와 홀더(30) 및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까지 결합되어 상기 제동패드(40)와 홀더(30) 및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까지 연결시킨다.
즉, 상기 결합축(41)은 제1탄성부재(34)에 의하여 로드(22)의 전방에 연결되는 홀더(30)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전방하우징(21)의 가이드홈(21a)의 형성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후방이 상기 로드(22)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30)와 제동패드(40)는 상기 결합축(41)의 중간 또는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 쪽으로 전진이동되어 제동패드(40)의 압착면과 고정패드(10)의 압착면이 상호 압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결합축(41)은 제동패드(40)의 압착면에서 돌출되지 아니한 상태를 가져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30)와 제동패드(40)는 상기 결합축(41)이 관통되거나 내입 또는 체결될 수 있을 정도의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는 상기 결합축(41)의 외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거나 정공의 형태로 구성되어, 카(200)의 기울어짐에 의한 로드(22)를 중심한 제동패드(40)의 기울어짐(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동패드(40)의 폭이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큰 경우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1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에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맞닿으면 제동패드(40)의 중량에 의해 제동패드(40)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찰력도 증가되어 지속적인 액추에이터(20)의 작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액추에이터(20)에 과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제동패드(4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는 도 10과 같이, 양측말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미표시)를 절삭가공하여 형성되는 유도경사면(1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도경사면(11a)은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1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에 또한 제동패드(40)의 폭이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맞닿으면 더욱더 원환하게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고정패드(10)의 톱니(11)의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제동패드(40)가 고정패드(10)에 더욱더 원활하게 맞물려 압착되어 보다 용이하게 카(200)를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상기 홀더(30)의 패드홈(32)은 상기 제동패드(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격홈(32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패드홈(32)이 상기 제동패드(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4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1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동패드(40)는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고정패드(10)에 압착되지만, 상기 카가 기울어지는 오차범위는 계산된 한정범위안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동패드(40)가 최대로 회전되는 일정각도를 상기 한정범위보다 같거나 크게 제한하여도 원활하게 고정패드(10)에 압착된다.
이때, 상기 패드홈(32)은 도 9와 같이, 제동패드(40)의 후방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동패드(40)의 후방이 내입되어 결합축(4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유격홈(32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격홈(32a)은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하고,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된 제동패드(40)는 앞서 설명한 한정범위 안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며 고정패드(10)에 압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격홈(32a)은 상기 패드홈(32)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되, 측면 중앙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확장경사면(미표시)을 포하여 구성됨으로써, 제동패드(40)가 결합축(41)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홀더(30)는 상기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32)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3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홀(36)은 상기 패드홈(32)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동패드(40)를 탄성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플런져(36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플런져(36a)에 의해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지되되, 중량물에 의해 편심되어 기울어진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동패드(40)가 액추에이터(20)에 의해 고정패드(10)에 회전되며 압착되면 상기 회전된 제동패드(40)를 복원시킴으로써, 기울어진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런져(36a)는 상기 설치홀(36)에 타측이 결합되는 결합몸체(미표시)와,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미표시) 및 상기 탄성부재의 말단에 구비되는 볼(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이 제동패드(4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면 상기 볼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동패드(40)가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서, 기울어진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 즉, 볼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홀(44)에 의해 제동패드(40)가 회전되어도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 즉, 볼이 안정적으로 상기 제동패드(4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제동패드(40)가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홀(14)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 즉, 볼이 상기 제동패드(40)의 측면에 접촉되는 위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상기 플런져(36a)의 탄성력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사이드홀(14)은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다시한번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는 경우 제동패드(40) 또한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 각각의 말단이 맞닿게 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의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된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며 클램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되는 경우, 즉, 카(200)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동패드(40) 또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정패드(10)의 톱니(11)와 제동패드(40)의 톱니(11) 각각의 말단이 서로 어긋나며 맞닿게 되어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 제동패드(40)가 상기 홀더(30)에 결합축(41)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제동패드(40)의 톱니(11)가 상기 고정패드(10)의 톱니(11)에 의해 좌측상하부 또는 우측상하부로 회전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상호 압착에 의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울어짐이 발생된 카(200)가 정위치로 복원되며 클램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카(200)가 어느 하나의 플로어(120)에 정위치 상태에서 중량물이 상기 카(20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정위치 상태인 카(200)는 와이어(210)와 본 발명의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의해 플로어(120)와 동일한 수평레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하방으로의 쳐짐 또는 좌측 또는 우측 하방으로 쳐짐 즉, 기울어짐이 방지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카(200)에 쳐짐 혹은 기울어짐이 발생되어도, 제동패드(40)가 홀더(30)의 패드홈(3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카(200)의 쳐짐 혹은 기울어짐이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정위치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인 카(200)의 클램핑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 간의 압착에 의한 결합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비상시에 비상제동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20)의 작동을 위한 제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하여 통합 관리될 수 있고, 특히,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한 고정패드(10)에 대한 제동패드(40)의 압착 및 압착해제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위치된 상태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잇고,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고정패드 11 : 톱니
14 : 가이드홀 20 : 액추에이터
21 : 전방하우징 21a : 가이드공간
22 : 로드 23 : 피스톤부
30 : 홀더 32 : 패드홈
32a : 유격홈 34 : 제1탄성부재
36 : 설치홀 36a : 플런져
40 : 제동패드 41 : 결합축
100 : 레일 110 : 엘리베이터실
200 : 엘리베이터의 카

Claims (10)

  1.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드(10);와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20);와
    상기 액추에이터(20)의 로드(2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패드홈(32)이 형성되는 홀더(30); 및
    상기 패드홈(32)에 후방이 내입되고, 결합축(41)에 의해 상기 홀더(30)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패드(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동패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드홈(32)은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드(10)와 제동패드(40)의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톱니(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11)는
    말단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고정패드(10)의 폭보다 작은 폭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2)와 홀더(30)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30)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카(200)에 고정체결되는 전방하우징(21);과
    상기 전방하우징(21)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2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피스톤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하우징(21)은
    상기 홀더(30)가 내입되어 슬라이딩되되,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21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홈(32)은
    상기 제동패드(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제동패드(4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격홈(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는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패드홈(32)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설치홀(3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홀(36)은
    상기 패드홈(32)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동패드(40)를 탄성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플런져(3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40)는
    상기 플런져(36a)의 말단이 내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44)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190010704A 2019-01-28 2019-01-28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17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04A KR102173779B1 (ko) 2019-01-28 2019-01-28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04A KR102173779B1 (ko) 2019-01-28 2019-01-28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738A KR20200093738A (ko) 2020-08-06
KR102173779B1 true KR102173779B1 (ko) 2020-11-04

Family

ID=7204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704A KR102173779B1 (ko) 2019-01-28 2019-01-28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5945B1 (en) 2022-11-28 2024-05-07 Otis Elevator Company Frictionless safety brake actu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28B1 (ko) * 2017-06-15 2018-02-26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486B1 (ko) 1999-05-17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JP2001019292A (ja) 1999-06-25 2001-01-23 Inventio Ag 鉛直搬送装置の荷重支持手段の鉛直方向変位と鉛直方向振動とを防止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997300B1 (ko) 2011-09-30 2019-10-01 인벤티오 아게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28B1 (ko) * 2017-06-15 2018-02-26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5945B1 (en) 2022-11-28 2024-05-07 Otis Elevator Company Frictionless safety brake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738A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49B1 (ko)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1832428B1 (ko)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A2892539C (en) Catching device for a traveling body of an elevator system
CN102421695B (zh) 提升式手推运货车
WO2019176160A1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20140082942A (ko)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KR20080052449A (ko) 승강기 설비의 승강실을 유지 및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및 승강기 설비의 유지 및 제동 방법
EP1409389A1 (en) Elevator rope braking system
KR102038516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 케이지 처짐방지장치
KR102173779B1 (ko)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US11498803B2 (en) Elevator car parking brake
US11618647B2 (en) Elevator car parking brake
CN113213316B (zh) 具有基于负荷的牵引力的爬升电梯
KR102197421B1 (ko)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20210048864A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AU2019406965B2 (en) Lift system arrangement with a lift brake device
KR20220110220A (ko) 엘리베이터용의 안전 브레이크
KR20210059380A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KR20060018938A (ko) 엘리베이터의 에어식 로프스토퍼 구조
CN111362092B (zh) 一种带紧急制动功能的客梯
KR102214527B1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CA2874369A1 (en) Damping unit for a lift
US6981575B2 (en) Concrete rail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ar
KR102340759B1 (ko)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KR102553523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