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527B1 -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527B1
KR102214527B1 KR1020200091719A KR20200091719A KR102214527B1 KR 102214527 B1 KR102214527 B1 KR 102214527B1 KR 1020200091719 A KR1020200091719 A KR 1020200091719A KR 20200091719 A KR20200091719 A KR 20200091719A KR 102214527 B1 KR102214527 B1 KR 102214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elevator
plunger
clamp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20009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527B1/ko
Priority to PCT/KR2021/008594 priority patent/WO2022019531A1/ko
Priority to CN202180045750.9A priority patent/CN11573493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34Safe lift clips; K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93Suspension locking or inhibiting means to avoid movement when car is stopped at a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와 승강로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함체와 가이드레일에 있어, 상기 함체에 구비되는 실린더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 및 고정하는 클램프를 구비하여 도어 개방 시, 상기 가이드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승하차 시 엘리베이터 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특히 정지시에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소형 지게차 등의 중장비 진입 시,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로프의 연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하강함으로서 느끼는 작업자의 공포 및 불안감을 해소하고, 미연의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 FOR ELEVATOR GUIDE RAIL}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와 승강로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함체와 가이드레일에 있어, 상기 함체에 구비되는 실린더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 및 고정하는 클램프를 구비하여 도어 개방 시, 상기 가이드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승하차 시 엘리베이터 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특히 정지시에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소형 지게차 등의 중장비 진입 시,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로프의 연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하강함으로서 느끼는 작업자의 공포 및 불안감을 해소하고, 미연의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설비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실은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엘리베이터실 또는 균형추에 직접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승강로에 구비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설비는 단층 또는 여러 층에 걸쳐 건물 내부에서 사람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승강실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2173호 "승강기의 브레이크 장치"(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공개특허 제10-1995-0031859호 "엘리베이터의 안전정지장치"(이하 '종래기술2'라 함.), 특허공보 제10-1994-0003953호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등록특허 제10-0879681호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이하 '종래기술4'라 함.)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승강기가 서비스층에 정지해 있을때 승강기의 도어 포켓에 설치된 도어록스위치(13)를 도어(7) 개폐시의 기계적인 기구장치로 작동시켜서 상기 도어록 스위치(13) 내부의 전기적인 접점을 이용한 전기적 신호로서 승강기 상부의 권상기에 설치되 브레이크(14)를 작동시킴으로서 승강기의 도어(7)가 닫히면 도어록스위치(13)가 기계적인 방식으로 작동하여 상기 도어록스위치(13) 내부의 전기적인 접점의 단락을 이용하여 제어부(15)에 전기적인 신호를 주어 제어부(15)에서 권상기에 설치된 브레이크(14)를 작동시켜서 승강기가 서비스층에서 승강기의 도어(7)가 열린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승강로 벽의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있는 안전고리와, 승강차의 상면에 설치되어 조속기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완충기 트리거와, 상기 완충기 트리거에 의해 승강차의 과속주행시 상기 안전고리 쪽으로 이동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기가 안전고리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안전고리와 결합되어 승강차를 정지시키는 완충기고리로 구성되는 본 발명을 제공하여 고층에서 승강차가 과속으로 추락하게 될 때 낙하하는 승강차를 승강로로 추락되지 않게하고, 승강로에 일정하게 설치되어 있는 안전고리 중 가장 인접된 안전고리 설치부위에서 안전하게 정지토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3은 제동장치의 고장검출을 제빨리 행하여 비상제동을 걸므로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제시하고 있고,
상기 종래기술4는 복잡한 제어를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동 동작시의 감속도를 완화시켜, 승객에 불쾌감을 주거나 승강체나 균형추에 손상을 주지 않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를 얻을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에 따라 승강하고, 승객을 태우는 승강 엘리베이터 칸과 이 승강 엘리베이터 칸을 지지하는 틀을 가지는 승강체와, 이 승강체에 설치되고, 비상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상기 승강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로 이동하는 쐐기편과, 이 쐐기편을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압하는 가압체를 구비하고, 승객의 승강에 의해 변화하는 승강체의 적재 질량이 커지면, 쐐기편의 가압력을 작게 하고, 승강체의 적재 질량이 작아지면, 쐐기편의 가압력을 크게 하는 가압력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과 같이,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는 사용자의 안전문제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나, 엘리베이터가 견뎌야 하는 하중을 감안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보다 낮추고 안전한 승하차를 제시하는 반면, 구조를 간단히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승강로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이 활주하도록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에 구비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해 도어 개방 시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 승하차 시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고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특히 엘리베이터 카에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가 진입할 때에도 엘리베이터 카가 하강 또는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클램프를 전진시키도록 구비되는 실린더의 플런저 선단에 라운드부를 형성하여 밀착력 및 전진하는 힘을 높여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클램프와 플런저 사이에 탄성부재를 더 도입하여,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클램프 중 어느 한 쪽이 먼저 밀착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이 먼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가이드레일 양측의 클램프가 동시에 가이드레일에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것으로, 승강로 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이 활주하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플런저가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플런저의 선단이 인입되는 내삽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의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함체와, 이 함체에 구비되어 실린더를 통해 승강로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을 가압 및 고정하는 클램프를 통하여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가 엘리베이터 승하차 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흔들림, 보다 정확하게는 엘리베이터 카를 지탱하는 로프의 연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약간 하강하는 움직임을 방지하여 안정감을 느끼게 해줌과 동시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더 나아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함으로서 강한 압력으로 가이드레일을 가압 및 고정함에 따라 정지시에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소형 지게차 등의 중장비 진입 시,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로프의 연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하강함으로서 느끼는 작업자의 공포 및 불안감을 해소하고, 미연의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선단에 밀착되어 함께 전진함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선단에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클램프 후단에 상기 라운드부에 밀착되는 곡면부를 형성하여 상호간의 밀착력을 높이고, 더 나아가 전진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가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클램프와 플런저 사이에 탄성부재를 더 도입하여,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클램프 중 어느 한 쪽이 먼저 밀착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이 먼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가이드레일 양측의 클램프가 동시에 가이드레일에 가압력을 전달함에 따라 가이드레일이 어느 한 방향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측면 반투영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실린더의 또 다른 측면의 반투영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실린더 및 클램프의 상세 반투영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구비되어, 승하차 시 엘리베이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카 정지 중 카 내부로 지게차와 같이 중장비가 진입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고정 및 해정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함체(10)와, 이 함체(10)에 구비되는 실린더(20) 및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가 진입할 때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을 뿐, 건설장비, 농기구, 차량, 선박 및 해상 구조물 등과 같이 매우 무거운 무게를 지니는 화물을 의미하는 "중량물"을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진입시키는 경우를 포함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먼저, 엘리베이터는 와이어 또는 로프와 무게추를 통하여 승강로 내에서 승하강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상기 승강로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GR)이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GR)을 수용하는 가이드쇼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상기 가이드레일(GR)은 공지된 바와 같이, 승강로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GR1)와, 상기 고정부(GR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쇼에 인입되는 레일부(GR2)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은 일종의 가이드쇼를 변형한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GR), 보다 정확하게는 레일부(GR2)가 활주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133)를 갖는 함체(10)로 구성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함체(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함체(10)는 엘리베이터 카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도어를 제외한 세 벽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133)가 형성된 가이드쇼부(13)와, 상기 가이드쇼부(13)에 구비되는 실린더(20) 및 클램프를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의 열림 및 닫힘 동작과 함께 연동되도록 구동하는 별도의 구동장치(M)가 구비될 수 있는 설치부(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11)에는 상기 실린더(20)에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P)가 구비되고, 체크밸브(M1), 압력계(M2), ON/OFF 밸브(M3), 압력스위치(M4), 어큐물레이터(Accumulator)(M5), 릴리프밸브(Relief valve)(M6)가 설치되게 되며, 상기 실린더(20)는 유압실린더(20)로 이루어져, 강한 압력을 전달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펌프(P) 또한 유압펌프(P)로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여기서 체크밸브(M1)는 상기 실린더(20)의 동작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어큐물레이터(M5)는 유압을 저장하는 장치로, 회로내에 미량의 누유가 발생하더라도 실린더(20)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구동장치(M)(체크밸브(M1), 압력계(M2), ON/OFF 밸브(M3), 압력스위치(M4), 어큐물레이터(Accumulator)(M5), 릴리프밸브(Relief valve)(M6))의 동작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신호를 받으면 펌프(P)가 ON 되어 실린더(20)가 동작하여 가이드레일(GR)을 클램프가 고정하게 되며, 일정압(설정압력 70 ~ 100Kg/Cm)에 도달하면 압력스위치(M4)에 의해 펌프(P)가 OFF 되어 실린더(20)에 유체의 공급을 끊게 된다. 일단 회로내에 유입된 유체는 체크밸브에 의해 역류하지 못함에 따라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은 어큐물레이터(M5)를 구비함으로서 어큐물레이터(M5)에 축압된 압축유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GR)을 장시간 클램핑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시,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가 닫히는 신호를 받으면 ON/OFF 밸브가 ON 상태로 되고, 상기 실린더(20)에 공급된 유체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클램프가 가이드레일(GR)을 가압하지 않도록 하며, 후술하는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되어 가이드레일(GR)압을 해제하게 되며, 가압이 해제된다는 의미는 상기 실린더(20)에 의해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신호에 따라 가이드레일(GR)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승하차 시 엘리베이터 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정지 시에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가 진입하여 중량의 변화가 있더라도 상기 가이드레일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 특징인 가이드레일(GR)을 가압 및 고정하는 실린더(20)와 클램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클램프 및 실린더(20)는 도1 내지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GR)의 양측에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하로 2단 또는 3단으로 구비되어,(도면에는 2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안정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GR)을 가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레일(GR) 양측에 각각 두 개의 실린더(20)가 하나의 클램프를 상하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가압력을 높이고 가압시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전방(선단)과 후방은 상기 가이드레일(GR)이 수용되는 수용부(133) 방향을 전방이라 지칭하고, 상기 플런저(23)의 이동 방향을 토대로 후방을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체(1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GR)이 활주할 때, 상기 가이드레일(GR)과 밀착되어 공회전하는 롤러(R)를 더 구비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가이드쇼부(13)에는 복수의 지지봉(132)이 더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20) 및 클램프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살 역할을 통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실린더(20)는 상기 함체(10)의 가이드쇼부(13)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20)는 동작부(212)가 형성된 케이싱(21)과, 상기 동작부(212) 내에서 유압에 의해 전진 하는 플런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20)는 상기 펌프(P)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으로 인하여, 상기 플런저(23)가 강한 힘으로 전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21)은 상기 함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10)의 일측, 즉 함체(10)를 구성하는 프레임(131)에는 상기 펌프(P)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 이송관과 연결되는 연결부(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21)에는 상기 연결부(131a)와 연통되며, 유입된 유체를 상기 플런저(23)가 내장되는 동작부(212)로 공급하는 유입공(21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유체가 상기 동작부(212)로 공급되면 동작부(212)에 구비되는 플런저(23)의 후단을 상기 유체가 밀어 플런저(23)가 전진되게 되며, 이 때 플런저(23)의 후단에는 리스홈(235)이 형성되어 공급된 유체가 임시적으로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플런저(23) 후단에 고른 힘으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23)의 외면에는 상기 케이싱(21)의 내벽면과의 밀폐력을 높이고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20)의 플런저(23)는 유체의 공급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이 전진하는 힘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전진시켜 클램프의 밀착부가 상기 가이드레일(GR)의 레일부(GR2)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단에는 상기 플런저(23)의 선단이 인입되는 내삽공간부(31)가 형성되고, 전단은 상기 가이드레일(GR)의 레일부(GR2)에 밀착되기 위한 평탄형의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클램프는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와 같은 경질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클램프에는 두 개의 실린더(20)가 상하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클램프 후단에는 두 개의 내삽공간부(31)가 상하로 이격되어 구비되게 된다.
다시, 플런저(23)와 내삽공간부(31)의 형상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런저(23)의 선단은 원통형이 아니라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도록 외면에 라운드부(231)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내삽공간부(31)는 상기 라운드부(23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벽면에 곡선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23)가 전진하면 점진적으로 상기 클램프를 전진시키고, 가압력이 정확한 위치에 전달되도록 하며 더 나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압력을 사방으로 전달하여 힘의 분산을 통해 가이드레일(GR)을 고르게 가압하여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클램프의 후단이 평탄하고 상기 플런저(23)의 선단(전방)이 평탄하면 플런저(23)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클램프가 전진적으로 천천히 가압되는 것은 동일하나, 힘은 직선방향으로만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플런저(23)와 밀착되는 부분에만 직선방향으로 가압력이 전달되어 가이드레일(GR)의 면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으며, 플런저(23) 전진 시 클램프 또는 플런저(23)의 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23)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삽공간부(31) 또한 이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지면, 플런저(23)가 클램프 후단의 정확한 위치를 가압할 수는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힘이 직선으로만 전달됨에 따라 가압력이 집중되는 한계가 발생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와 같이 플런저(23)의 선단에 라운드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내삽공간부(31)에 곡선부(33)가 형성되면, 플런저(23)에서 가해지는 힘은 상기 곡선부(33)를 통해서도 전달됨에 따라 클램프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어 가이드레일(GR)의 일면에 힘이 분산되어 전해짐으로서 가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런저(23)에는 탄성체내장부(232)가 더 구비되고, 이 탄성체내장부(232)에 탄성부재(37)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플런저(23)와 상기 클램프 사이에 탄성력을 더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때 이 탄성부재(37)가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내삽공간부(31)에서 상기 곡선부(33) 전방에는 평탄형의 평탄지지부(35)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내장부(232)에는 후단지지부(234)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7)의 양단이 평탄지지부(35) 및 후단지지부(234)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7)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레일(GR) 양측에 구비되는 총 4개의 실린더가 동시에 가압력을 전달받아 클램프(30)가 동시에 가이드레일(GR)의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클램프(30) 중 어느 한 쪽이 가이드레일(GR)에 선 접촉 되더라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은 전달되지 않으며, 실린더(20)에 유체가 공급되어 전진하게 되면 이 탄성부재(37)가 완전히 압축된 이후에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클램프(30)가 가이드레일(GR)의 양측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후술하는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2중으로 탄성력이 부여됨에 따라 실린더(20)의 힘이 완벽하게 동시에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20)에 공급되는 유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20)의 플런저(23)를 원위치 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복귀유닛(4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귀유닛(40)은 상기 함체(10) 일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함체(10)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프와 고정되는 복귀부재(43)와, 상기 함체(10) 일측에 복귀부재(43)의 일부에 외삽되어 상기 함체(10)의 외면과 복귀부재(43)의 단부 사이를 지지하는 복귀유도스프링(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압축된 복귀유도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클램프가 복귀부재(43) 및 이에 연결되는 클램프가 후퇴하게 되며, 상기 클램프가 후퇴함으로서 상기 실린더(20)의 플런저(23) 또한 원위치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37)가 또 다른 역할을 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런저(23)가 후퇴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싱(21) 내부에 인입된 유체가 배출되어야 하며, 복귀유도스프링(41)의 복원속도와 유체의 배출 속도는 차이가 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37)가 압축되면서 이 속도를 맞추어 안정적으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는 상기 클램프(30) 및 실린더(20)가 구비되는 하부체와, 상기 펌프 등이 구비되는 상부체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상호 고정볼트(MB)를 통해 체결함에 따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고 2단 구조로 최소의 면적에서 장착할 수 있도록 공간효율성을 높였으며, 하부체에 장착되는 실린더(20)의 유입공(211) 주변에 오일링(OR)을 더 구비하여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결합 할 때, 상부체 및 하부체에 구비되어 유체가 이동하는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경로 사이에도 오일링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볼팅결합하면, 상기 오일링에 의해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기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함체(10)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상기 함체(10)를 고정함에 있어, 보다 손쉽게 고정하고 펌프(P)의 교체나 유지보수 시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탈착블록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탈착블록유닛은 안착블록, 인입블록 및 회전유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외면에는 안착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함체(10)의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설치부(11)의 일측에는 인입블록이 구비되어, 상기 안착블록에 인입블록을 삽입 시키는 동작에 따라 상기 함체(10)를 보다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탈착블록유닛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5a 및 도5b는 앞서 언급한 탈착블록유닛(BU)의 실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외면에 구비되며 끼움홈부(B21)가 형성된 안착블록(B2)과, 상기 설치부(1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부(B21)에 인입되는 회전바(B13)를 구비한 인입블록(B1) 및 상기 안착블록(B2)에 구비되어 하부믈록에 인입된 회전바(B13)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입블록(B1)의 회전바(B13)가 상기 끼움홈부(B21)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끼움홈부(B21)의 상부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안착블록(B2)과 인입블록(B1)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도5a 및 도5b의 [A] 내지 [D]는 인입블록(B1)과 안착블록(B2)의 결합 순서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면을 살펴보면 인입블록(B1)은 상기 설치부(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부바디(B11)와, 상기 상부바디(B11)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삽입돌기(B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B12) 단부에 후술하는 회전바(B1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기 삽입돌기(B12)는 서로 이격된 돌기가 한 쌍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이 돌기 단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봉(B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축봉(B15)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안착블록(B2)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외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인입되는 끼움홈부(B21)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안착블록 상부에 연통되어 상기 회전바(B13) 및 삽입돌기(B12)가 삽입되는 삽입홈(B212)과, 상기 삽입홈(B212)에 연통되며 상기 안착블록 내부에서 일정 공간을 갖는 회전유도홈(B211)과, 상기 회전유도홈(B211) 상부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도수단(B3)은 상기 안착블록(B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홈(B213)의 일단에 인근 배열되는 제1마그넷(B31)과, 회전유도홈(B211)의 하부 일단에 인접배열되는 제2마그넷(B32),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을 회전시키며 상기 안착블록(B2) 상부에 돌출되는 제1푸쉬바(B36), 상기 회전바(B1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과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B13)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B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그넷(B31)은 인입홈(B213) 단부에 위치하는 S극과 상기 S극 하부에 구비되는 N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회전유도홈(B211) 일단 하부에 위치하는 N극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S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모두 N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유도홈(B211)에 삽입되면,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과 제2자석(B35)의 N극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B12)로부터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이 상기 제1자석(B34)의 N극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인입홈(B213)에 인입되어 상기 인입블록(B1)과 안착블록(B2)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먼저 안착블록(B2)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착블록(B2)은 엘리베이터 카의 외면에 구비되는 블록형 부재로, 끼움홈부(B21)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회전유도홈(B211), 삽입홈(B212) 및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도홈(B211)은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기 안착블록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바디(B11) 상부에 노출되는 삽입홈(B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유도홈(B211) 일측 상부에 연장되는 인입홈(B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B212) 하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홈이 더 형성되게 된다.
상기 회전바(B13)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B131)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홀(B131)에 상기 회전축봉(B15)이 끼워져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하여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되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도수단(B3)은 제1마그넷(B31), 제2마그넷(B32), 제1푸쉬바(B36), 제1자석(B34), 제2자석(B3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먼저 제1마그넷(B31)은 S극과 N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인입홈(B213) 단부에 S극이 인접배열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N극과 S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 하부 일측에 N극이 인접배열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B31)과 제2마그넷(B32)에는 제1축봉(B311)과 제2축봉(B3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푸쉬바(B36)는 상기 안착블록 일측에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바로,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블록(B2)에는 제1푸쉬홈(B22)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제1푸쉬바(B36)의 하부에는 스프링(B363)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 때 상기 제1푸쉬바(B36)의 외면에는 제1톱니부(B361)와 제2톱니부(B36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톱니부(B361)는 제1축봉(B311)과 톱니결합되고, 제2톱니부(B362)는 제2축봉(B321)과 톱니결합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상기 제1축봉(B311) 및 제2축봉(B321)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전하여 극성의 위치가 바꿔질 수 있다.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상기 회전바(B13)에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 N극을 띄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회전바(B13)가 삽입돌기(B12)와 나란할 때를 기준으로 상부 단부에 제1자석(B34)이 구비되고 하부 단부에 제2자석(B3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봉(B15)에는 탄성체(B16)를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운동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탄성체(B16)는 일정 사점을 통과하면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체(B16)로 한정한다.
나아가 상기 탄성체(B16)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B13), 보다 정확하게는 슬라이딩홀(B131)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바(B13)에 탄성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바(B13)가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도 탄성력을 부여함에 있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5a의 [A]와 [B] 및 도5b의 [C]와 [D]를 통하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A]는 인입블록(B1)의 삽입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B]도면과 함께 인입블록(B1)을 삽입하면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상기 삽입홈(B212)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이 상기 제2자석(B35)에 N극에 인접배열되어 둘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척력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을 넘으면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C]와 같은 상태로 상기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된다. 이 때 제2푸쉬바(B37)를 밀면서 회전하게 되며, 제2푸쉬바(B37)는 상기 회전유도홈(B211)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블록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푸쉬바(B37)가 [C]와 같이 상승하면 별도의 걸림돌기 등에 의해 외력 없이는 원위치 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제2푸쉬홈(B23)이 안착블록 타측에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다시 [C]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과 제1자석(B34)의 N극이 가까워지고, 이들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좌측으로 [D]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인입블록(B1)과 안착블록(B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인입블록(B1)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푸쉬바(B36)를 누르게 되는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회전하여 제1자석(B34)과 제1마그넷(B31)의 N극이 인접배열되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게 되며, 이 때 보조푸쉬바를 누르면 상기 회전바(B13)의 단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이 지나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이 S극과 제2자석(B35) 사이의 인력에 의해(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른 상태이다.) 상기 회전바(B13)는 [B]와 같이 원위치 되며,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블록(B1)을 위로 분리시키면 자연스럽게 상기 인입블록(B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결합시에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클램핑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클램핑 장치 GR : 가이드레일
GR1 : 고정부 GR2 : 레일부
R : 롤러
10 : 함체 11 : 설치부
13 : 가이드쇼부 131 : 프레임
131a : 연결부 132 : 지지봉
133 : 수용부
20 : 실린더 21 : 케이싱
211 : 유입공 212 : 동작부
23 : 플런저 231 : 라운드부
232 : 탄성체내장부 234 : 후단지지부
235 : 리스홈 237 : 패킹부재
30 : 클램프 31 : 내삽공간부
33 : 곡선부 35 : 평탄지지부
37 : 탄성부재
40 : 복귀유닛 41 : 복귀유도스프링
43 : 복귀부재
M : 구동장치 M1 : 체크밸브
M2 : 압력계 M3 : ON/OFF 밸브
M4 : 압력스위치 P : 펌프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것으로, 승강로 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이 활주하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플런저가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플런저의 선단이 인입되는 내삽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의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의 플런저 선단은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곡선형의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의 내삽공간부에는 상기 플런저 선단의 라운드부에 대응되는 곡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의 선단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공간부의 곡선부 전방에는 평탄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에는 후단지지부가 형성된 탄성체내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체내장부에 인입되며 양단부가 상기 평탄지지부 및 후단지지부에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가이드레일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상기 클램프에 연동되는 복귀부재와, 상기 복귀부재에 외삽되어 상기 함체 외측을 지지하는 복귀유도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유닛;이 더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복귀유닛에 의해 클램프가 후퇴하여 상기 가이드레일과 클램프가 비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KR1020200091719A 2020-07-23 2020-07-23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KR10221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19A KR102214527B1 (ko) 2020-07-23 2020-07-23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PCT/KR2021/008594 WO2022019531A1 (ko) 2020-07-23 2021-07-06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CN202180045750.9A CN115734937A (zh) 2020-07-23 2021-07-06 电梯用导轨的夹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19A KR102214527B1 (ko) 2020-07-23 2020-07-23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527B1 true KR102214527B1 (ko) 2021-02-09

Family

ID=7455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719A KR102214527B1 (ko) 2020-07-23 2020-07-23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14527B1 (ko)
CN (1) CN115734937A (ko)
WO (1) WO20220195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31A1 (ko) * 2020-07-23 2022-01-27 김영기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423Y1 (ko) * 2000-02-24 2000-07-15 한재호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2281B2 (ja) * 2006-04-19 2012-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H700929B1 (de) * 2007-02-06 2010-11-15 Henseler H Ag Aus der Liftkabine wartbarer Antrieb für eine Liftkabine.
KR102009349B1 (ko) * 2019-03-21 2019-08-1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214527B1 (ko) * 2020-07-23 2021-02-09 김영기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423Y1 (ko) * 2000-02-24 2000-07-15 한재호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31A1 (ko) * 2020-07-23 2022-01-27 김영기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531A1 (ko) 2022-01-27
CN115734937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0165B2 (en) Elevator with a braking device
CN207108168U (zh) 一个电梯的制动系统
CN1469835A (zh) 电梯绳索制动系统
US9975733B2 (en) Elevator safety device
KR102214527B1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레일의 클램핑 장치
JPH08500569A (ja) 油圧リフト用マルチラムアセンブリ及び再生型駆動装置
CN105329737A (zh) 采用电气控制的防坠落系统、运载平台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207203A (zh) 液压助力的导轨制动器
US4548298A (en) Rotor and screw elevator equipped with a fail-safe control system
CN104355199B (zh) 一种柔性罐道智能控制防坠器
CN106660742A (zh) 具有制动装置的电梯
JP2022522801A (ja) エレベータ用の運行システム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運行システム
CN104098043A (zh) 制动器和电梯
CN102923547A (zh) 一种无绳电梯的辅助制动装置及其控制方法
WO2009085861A1 (en) Tension holder for load lifting
KR20210059380A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CN103269967B (zh) 具有双层轿厢的电梯设备
CN101665208A (zh) 一种无机房电梯对重驱动曳引装置
CN207468077U (zh) 棘轮棘爪制动的液压提升绞车
KR101337721B1 (ko) 인원 이송 시스템 및 그 제동 성능 검사 방법
CN102976215A (zh) 外挂式起重机高空整体平移装置及平移方法
KR100682039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KR100469942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N105173981A (zh) 一种安全可靠的曳引式乘客电梯及其安全控制方法
KR200332658Y1 (ko)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