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658Y1 -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658Y1
KR200332658Y1 KR20-2003-0027395U KR20030027395U KR200332658Y1 KR 200332658 Y1 KR200332658 Y1 KR 200332658Y1 KR 20030027395 U KR20030027395 U KR 20030027395U KR 200332658 Y1 KR200332658 Y1 KR 200332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elevator
rope
pump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아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아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아전기
Priority to KR20-2003-0027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제동이 고압가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비상 제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유압장치가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짐으로 취급 및 관리가 획기적으로 용이함과 아울러 전동모터를 이용하는 자동식펌프와 수동식펌프를 두루 갖추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모터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운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를 압착 록킹하기 위한 브라켓에 장착 고정된 고정슈(Shoe)와, 상기 고정슈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피스톤 측으로는 유압 오일이 충진되고 피스톤 반대 방향으로는 고압가스가 충진되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로프를 압착제동 및 해제하기 위한 유동 브레이크슈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하여 펌프가 구비되는 유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600)는 수동식펌프(6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기는 수동식펌프(620)와 자동식펌프(630)가 모두 구비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A BRAKES FOR ROPE OF ELEVATOR APPARATUS}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로프의 제동이 고압가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비상 제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유압장치가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짐으로 취급 및 관리가 획기적으로 용이함과 아울러 전동모터를 이용하는 자동식펌프와 수동식펌프를 두루 갖추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모터의 작동이불가능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운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장치에는 엘리베이터가 정지상태에서 구동롤러의 마모로 인한 로프의 슬립현상, 조속기의 브레이크 고장 등으로 엘리베이터가 돌발상승 및 돌발하강하는 경우, 로프를 록킹 홀딩하는 것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의 미끄럼이나 돌발상승, 하강 과속을 제지하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로프 제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로프 제동장치(10)는 그 설치상태가 도시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상기(20)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에 걸린 로프(3)를 제동하도록 설치되고 엘리베이터(2)의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된다.
도 2a는 종래 기술의 로프 제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가변 제동상태도이다. 종래 기술의 로프 제동장치(10)는 도 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가닥의 로프에 대응하는 록킹홈이 형성된 고정슈(Shoe)(11)와 유동 브레이크슈(Shoe)(12) 사이에 로프(3)가 끼워져 록킹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고정슈(11)는 브라켓(13)에 고정되고 유동 브레이크슈(12)는 유압실린더(14)의 피스톤(14a)에 결합되어 피스톤이 전진하여 로프(3)를 고정슈(11) 측으로 밀어붙이며 압착하여 결국 로프(3)가 고정슈와 유동 브레이크슈 사이에 잡힘으로 하강과 상승 양방향 모두 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거나 정지상태에서 미끄러지듯이 서서히 이동되는 이상운행시에는 상향 및 하향을 막론하고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록킹시키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몇가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의 유압실린더(14)는 오일의 유입이 램(14b)의 후방에서 유입되어 피스톤(14a)을 전진시켜 유동 브레이크슈(12)가 작동되는데 램(14b)의 전방에는 피스톤 복귀를 위한 스프링(14c)이 설치되어 있음으로 이 스프링(14c)을 가압하면서 램(14b)을 밀어 결국 유동 브레이크슈(12)가 작동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지체됨으로 즉각 제동이 되지 않고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서 제동이 걸리기까지는 약 2 ∼ 3 초가 지체되고 이 동안에 엘리베이터는 5 ∼ 6 M 이상, 한 층 이상을 움직이게 되어 안전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무게가 1.5톤 내지 2톤에 달하며 급속하강 또는 급상승하는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기 위하여 로프를 잡아주는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장치는 적어도 10톤 이상의 강력한 힘이 발휘될 수 있어야 된다.
이와 같은 강력한 힘을 발휘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를 구동하는 종래 기술의 유압장치(15)는 모터(15a), 펌프(15b), 오일 탱크(15c), 밸브(15d) 등 여러 품목이 조립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그 규모가 크고 중량물이 된다.
따라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장치가 크고 무거워 설치 및 취급이 어렵고,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10-2003-0013112호,실용신안출원(이중) 제20-2003-0006190호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를선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 20-0314056-0000로 개시된바 있다.
본 출원인의 상기 선출원 기술(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를 압착 록킹하기 위한 록킹홈이 형성되고 브라켓에 장착 고정된 고정슈(Shoe)(200)와, 상기 고정슈(200)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로프를 압착제동 및 해제하기 위한 유동 브레이크슈(300)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400)는 피스톤(41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램(420)을 기준으로 실린더 내부공간의 피스톤(410) 측으로는 유압 오일(O)이 충진되고, 피스톤 반대 방향으로는 고압가스(G)가 충진되어 구성되며,
상기 유압장치(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탱크(510)에 모터(520)가 내설되고, 상기 모터(520)의 샤프트(521)에 구비되는 편심캠(540)과, 상기 편심캠(540)에 의하여 토출작동되는 펌핑밸브(550)가 오일탱크(510) 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523)은 모터의 로터, (525)는 고정자이다.
상기 유압실린더(400)는 피스톤(410)이 출입하는 전방으로 오일출입구(430)가 구비되어 오일의 유입 및 배출이 전방에서 이루어지고 오일(O)이 배출되면 피스톤(410)이 고압가스(G)의 팽창에 의하여 전진하게 되어 상기 유동 브레이크슈(300)를 압착 제동시키고 오일(O)이 실린더(400)에 유입되면 피스톤(410)이 후퇴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00)의 특징은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지 않고 대신에 오일의 유입이 복귀수단이 되고 유동 브레이크슈(300)의 제동작동을 위하여 피스톤(410) 및 램(420)을 후방에서 밀어주는 것은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인 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엘리베이터 로프(3)를 압착 록킹하여 제동토록 하는 유동 브레이크슈(300)의 작동이 유압실린더(400)에 오일이 채워져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오일이 빠져나가고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작동소요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 비상 제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유압장치(500)가 오일탱크(510) 내부에 모두 구성되는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짐으로, 종래 기술에서 모터, 유압펌프, 오일탱크, 밸브가 각각 구성되고 이들이 연결되었던 것에 비하여 부품수가 현저히 감축되어 부품비용 및 조립공수가 현저히 감축됨은 물론이고, 무게와 체적이 획기적으로 경량, 소형화되어(종래 기술 체적의 3분지 1에 불과함)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점유공간도 작아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은 상기 유압장치가 전동모터 구동에 의한 자동식펌프만 구비됨으로써 몇가지 보완해야 될 점이 발견되었다.
예컨대, 제동장치가 작동되어 유동 브레이크슈(300)가 로프(3)를 록킹하고 있는 가운데 수리가 이루어진 후, 록킹을 해제해야 되는 상황에서 유압장치의 모터가 고장 또는 정전 등으로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유동 브레이크슈의 복귀를 위한 오일복귀 펌핑이 불가능하여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제동이 고압가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비상 제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유압장치가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짐으로 취급 및 관리가 획기적으로 용이함과 아울러,
전동모터를 이용하는 자동식펌프와 수동식펌프를 두루 갖추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모터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운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a는 종래 기술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가변 제동상태도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기술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기술의 유압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유압장치의 유압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유압장치의 유압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의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2: 엘리베이터 3: 로프
10: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14: 종래 기술의 유압실린더 15: 종래 기술의 유압장치
100: 브라켓 200: 고정슈
300: 유동 브레이크슈 400: 유압실린더
410: 피스톤 420: 램
430: 오일 출입구 500: 유압장치
510: 오일 탱크 520: 모터
540: 편심캠 550: 펌핑밸브
600: 본 고안에 따른 유압장치 601: 전진측 회로
602: 후진측 회로 610: 오일탱크
620: 수동식펌프 630: 자동식펌프
631: 전동모터 640: 압력게이지
650: 솔레노이드밸브 660: 조정밸브
670: 체크밸브 O: 오일
G: 가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를 압착 록킹하기 위한 브라켓에 장착 고정된 고정슈(Shoe)와, 상기 고정슈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피스톤 측으로는 유압 오일이 충진되고, 피스톤 반대 방향으로는 고압가스가 충진되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로프를 압착제동 및 해제하기 위한 유동 브레이크슈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하여 펌프가 구비되는 유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는 수동식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압장치는 수동식펌프와 자동식펌프가 모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를 압착 록킹하기 위한 브라켓에 장착 고정된 고정슈(Shoe)와, 상기 고정슈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피스톤 측으로는 유압 오일이 충진되고, 피스톤 반대 방향으로는 고압가스가 충진되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로프를 압착제동 및 해제하기 위한 유동 브레이크슈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하여 펌프가 구비되는 유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600)는 오일탱크(610)에 수동식펌프(6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식펌프(620)는 수동레버를 상하 또는 좌우로 반복적으로 움직임으로 유체를 강제 이송시키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동식펌프(620)가 구비되는 상기 유압장치(600)의 유압회로는 도 5의 a도에 오일이 실린더(400)로 유입되는 전진측 회로(601) 개방상태(솔레노이드 밸브 정상닫힘상태) 및 b도에 오일이 실린더(400)로부터 오일탱크(610)로 유입되는 후진측 회로(602) 개방상태(솔레노이드밸브 정상열림상태)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식펌프(620)를 기준으로 유압실린더(400)로 유입되는 전진측 회로(601)에 압력게이지(640)가 연결되고, 후진측 회로(602)에는 투웨이 솔레노이드밸브(6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440)은 가스밸브, (680)은 에어 출입구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압장치(600)는 수동식펌프(620)와 자동식펌프(630)가 모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의 a도는 수동식펌프(620)와 자동식펌프(630)가 모두 구비된 경우의 오일이 실린더(400)로 유입되는 전진측 회로(601) 개방상태(솔레노이드 밸브 정상닫힘상태), b도는 오일이 실린더(400)로부터 오일탱크(610)로 유입되는 후진측 회로(602) 개방상태(솔레노이드 밸브 정상열림상태)를 보이는 유압회로도이다.
수동식펌프(620)와 자동식펌프(630)가 모두 구비되는 상기 유압장치(600)의 유압회로는 도 6의 a도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631)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식펌프(630)를 기준으로 유압실린더(400)로 유입되는 전진측 회로(601)에 체크밸브(670)와 압력게이지(640)와 설정압 이상으로 압력상승시 후진측 회로로 개방되는 조정밸브(660)가 연결되고, 후진측 회로(602)에는 유압실린더(400)로부터 투웨이 솔레노이드 밸브(650)와 조정밸브(660))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수동식펌프(620)가 상기 조정밸브(660)와 솔레노이드밸브(650) 사이, 전진회로(601)와 후진회로(602)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속도에 이상이 감지되면 솔레노이드밸브(650)가 열리고 동시에 실린더(400)의 고압가스가 팽창되면서 실린더(400)로부터 오일이 오일탱크로 자동유입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400)의 램 및 유동 브레이크수가 전진하여 로프를 압착 록킹한다.
그리고 록킹해제시, 고압가스를 다시 압축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로 오일을 복귀유입시키기 위한 펌핑이 이루어져야 되는데, 이 때 전동모터(631)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자동식펌프(630)를 구동시키고, 전동모터의 구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동식펌프(620)를 이용하여 펌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동모터(631)를 이용하는 자동식펌프와 수동식펌프를 공히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 전동모터가 작동불가능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지장을 받지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의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제동이 고압가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 비상 제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유압장치가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짐으로 취급 및 관리가 획기적으로 용이함과 아울러,
전동모터를 이용하는 자동식펌프와 수동식펌프를 두루 갖추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모터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운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를 압착 록킹하기 위한 브라켓에 장착 고정된 고정슈(Shoe)와, 상기 고정슈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피스톤 측으로는 유압 오일이 충진되고, 피스톤 반대 방향으로는 고압가스가 충진되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로프를 압착제동 및 해제하기 위한 유동 브레이크슈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하여 펌프가 구비되는 유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600)는 수동식펌프(6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600)는 수동식펌프(620)와 자동식펌프(630)가 모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600)의 유압회로는 수동식펌프(620)를 기준으로 유압실린더(400)로 유입되는 전진측 회로에 압력게이지(640)가 연결되고, 후진측회로에는 솔레노이드밸브(6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500)의 유압회로는 전동모터(631)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식펌프(630)를 기준으로 유압실린더(400)로 유입되는 전진측 회로(601)에 체크밸브(670)와 압력게이지(640)와 설정압 이상으로 압력상승시 후진측 회로로 개방되는 조정밸브(660)가 연결되고, 후진측 회로(602)에는 유압실린더(400)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650)와 조정밸브(660))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수동식펌프(620)가 상기 조정밸브(660)와 솔레노이드밸브(650) 사이, 전진회로(601)와 후진회로(602) 사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KR20-2003-0027395U 2003-08-26 2003-08-26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KR200332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395U KR200332658Y1 (ko) 2003-08-26 2003-08-26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395U KR200332658Y1 (ko) 2003-08-26 2003-08-26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658Y1 true KR200332658Y1 (ko) 2003-11-07

Family

ID=4941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395U KR200332658Y1 (ko) 2003-08-26 2003-08-26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6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51B1 (ko) 2003-12-08 2006-04-07 (주)동광사우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KR100624093B1 (ko) 2005-01-24 2006-09-20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의 안전제동장치용 유압발생장치
KR100756533B1 (ko) 2004-08-26 2007-09-10 주식회사 케이.알 엘리베이터용 에어식 로프스토퍼의 제어방법
KR101348911B1 (ko) * 2012-02-02 2014-01-09 주식회사 이고 친환경 자전거용 공기주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51B1 (ko) 2003-12-08 2006-04-07 (주)동광사우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KR100756533B1 (ko) 2004-08-26 2007-09-10 주식회사 케이.알 엘리베이터용 에어식 로프스토퍼의 제어방법
KR100624093B1 (ko) 2005-01-24 2006-09-20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의 안전제동장치용 유압발생장치
KR101348911B1 (ko) * 2012-02-02 2014-01-09 주식회사 이고 친환경 자전거용 공기주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2115B1 (en)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coupled to gear drive assembly
CN1469835A (zh) 电梯绳索制动系统
KR102655986B1 (ko)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능성 시험 방법
CN112340630B (zh) 一种应急液压系统
KR200332658Y1 (ko)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EP3097038B1 (en) Method and mechanism for releasing hydraulic elevator brakes
CN212225830U (zh) 一种电动缸液压盘形制动系统
KR200314056Y1 (ko)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US200501035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 lift
CN105417421B (zh) 一种强夯机自由落体卷扬安全控制系统
JPH0215898A (ja) プレスアクチュエータにおける圧力供給方法及び装置
JP6201683B2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5734937A (zh) 电梯用导轨的夹持装置
KR200398484Y1 (ko) 스프링 포켓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KR20180022768A (ko) 유압 기계 유닛 및 유압 기계 유닛의 작동 방법
KR10048241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
CN110775854A (zh) 一种卷扬机脚踩制动系统和强夯机
KR100269685B1 (ko)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FI76026B (fi) Bromskraftsmodulator.
KR101090978B1 (ko) 엘리베이터 비상 로프 브레이크
CN217051416U (zh) 一种绞车液压系统及绞车控制系统
KR200335854Y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CN210162985U (zh) 液压升降机
CN114084771B (zh) 电梯导轨制动装置和电梯
CN211283553U (zh) 一种卷扬机脚踩制动系统和强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2

Year of fee payment: 3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