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864A -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8864A KR20210048864A KR1020190133072A KR20190133072A KR20210048864A KR 20210048864 A KR20210048864 A KR 20210048864A KR 1020190133072 A KR1020190133072 A KR 1020190133072A KR 20190133072 A KR20190133072 A KR 20190133072A KR 20210048864 A KR20210048864 A KR 202100488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elevator
- elevator car
- auxiliary
-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93—Suspension locking or inhibiting means to avoid movement when car is stopped at a fl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처짐을 방지하여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승강공간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시설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상에서 수직상으로 안내되면서 승강운동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승강공간에 고정 및 분리하도록 된 엘이베이터 보조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측 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공이 형성된 결속본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본체의 결속공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결속봉과,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결속봉을 선택적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가동부재를 가지는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제공한다.
건축물의 승강공간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시설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상에서 수직상으로 안내되면서 승강운동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승강공간에 고정 및 분리하도록 된 엘이베이터 보조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측 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공이 형성된 결속본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본체의 결속공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결속봉과,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결속봉을 선택적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가동부재를 가지는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엘리베이터카에 화물을 적재할 때, 엘리베이터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처짐을 방지하여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모터부와 권상기 및 로프, 풀리 등이 구비되어 이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으로 운행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모터 구동에 따른 로프의 견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모터의 구동 및 정지 여부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카가소정 층 승강장에 정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견인하는 로프는, 부하 변동(적재하중:승객/화물)에 따라 임의로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가 정확히 제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하는 승객이 늘어나거나 다량의 화물을 싣게 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지탱하는 로프의 장력으로 인해 로프가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 위치로부터 로프가 늘어난 만큼 하측으로 쳐지게 되면서, 승강장 턱과 카 내의 턱이 불일치됨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장 턱과 카 내의 턱이 불일치됨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 및 화물의 적재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승강장 턱과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대한 불일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하는 보조결속장치이 제안되어 있으며;
한국실용신안출원번로 제20-2012-0011712호(명칭: 엘리베이터의 정지위치 고정장치/2012.12.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상측에는 선택적으로 레일에 밀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 및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을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코일을 포함하는 위치 고정장치가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속도지령 및 브레이크 출력을 체크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상태를 확인한 후, 정지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이 레일에 밀착되게 상기 브레이크 코일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인가 함에 따라, 카 내의 부하와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가 고정되게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정지위치 고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통해 브레이크 라이닝이 구동하여 레일과 밀착되면서 마찰찰력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카를 레일에 고정하도록 된 것으로, 정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시에는, 전원공급의 중단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구동이 정지되어 고정상태라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큰 하중의 화물들을 적재할 때 발생되는 순간하중에 따라, 상기 레일에서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이 미끄러져 엘리베이터카의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화물적재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엘리베이터카에 화물을 적재할 때, 엘리베이터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처짐을 방지하여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특히, 정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엘리베이터카를 레일에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상의 안정성을 구현하도록 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는, 건축물의 승강공간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시설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상에서 수직상으로 안내되면서 승강운동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승강공간에 고정 및 분리하도록 된 엘이베이터 보조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측 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공이 형성된 결속본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본체의 결속공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결속봉과,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결속봉을 선택적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가동부재를 가지는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본체는, 상기 승강공간의 내벽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고정되는 거치대들의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결속본체의 중앙에 상기 레일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봉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상면에 고정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안내관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엘이베이터 보조결속장치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엘리베이터카에 화물을 적재할 때, 엘리베이터카가 정위치에 정차된 상태에서 결속공에 결속봉이 끼움되어 결속되어 엘리베이터카를 확고히 고정하도록 됨에 따라, 승차 및 화무르이 적재시에 엘리베이터카에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엘리베이터카의 처짐을 방지하여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정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결속봉이 결속공에서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고 결속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상의 안정성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구성하는 결속본체를 보인 일부 절췌 개략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구성하는 결속봉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절췌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의 제어관계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구성하는 결속본체를 보인 일부 절췌 개략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구성하는 결속봉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절췌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의 제어관계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는, 건축물의 승강공간(A)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시설되는 레일(L)과; 상기 레일(L)상에서 수직상으로 안내되면서 승강운동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카(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C)를 상기 승강공간(A)에 고정 및 분리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카(C)를 원하는 승강공간(A)상에 확고히 고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C)에 승객 및 화물을 적재할 때, 탑승하는 승객 및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따른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처짐을 방지하여 탑승과 화물적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에 특히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는, 상기 승강공간(A)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C)측 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공(21)이 형성된 결속본체(2)와; 상기 엘리베이터카(C)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본체(2)의 결속공(21)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결속봉(31)과, 전원공급부(4)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5)의 제어를 통해 상기 결속봉(31)을 선택적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가동부재(32)를 가지는 가동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엘리베이터카(C)를 고정하는 승강공간(A)들은, 건축물에서 승객 및 화물이 탑승 및 적재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동수단(3)의 가동부재(32)를 통해 상기 결속봉(31)을 직선왕복운동시켜 상기 결속본체(2)의 결속공(21)에 끼움 및 분리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카(C)를 상기 승강공간(A)에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객 및 화물이 탑승 및 적재되는 상기 승강공간(A)에서의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고정이 확고히 이루어져 탑승하는 승객 및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따른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처짐을 방지하여 탑승과 화물적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본체(2)는, 상기 승강공간(A)의 내벽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고정되는 거치대(22)들의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결속본체(2)의 중앙에 상기 레일(L)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22)들이 승객 및 화물이 탑승 및 적재되는 승강공간(A)들로 형성되어 승객 및 화물이 탑승 및 적재되는 상기 승강공간(A)에서의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고정이 확고히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에서, 상기 결속봉(31)은,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상면에 고정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안내관(33)을 관통하면서 배치되어; 상기 결속봉(31)의 직선운동을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상기 결속공(21)과의 결속 및 해제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결속봉(31)들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봉(rod)' 형상의 '원형봉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안내관(33)은, 상기 엘리베이터카(C)에 용접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에서, 상기 가동부재(32)는, 일단이 상기 결속봉(31)의 일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상면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가동휠(34)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연결대(35)와; 종단이 상기 가동휠의 일단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가동로드(R)를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5)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가동로드(R)를 직선왕복운동시키어 상기 가동휠(34)을 정역회전시키도록 된 가동실린더(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수단(5)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동실린더(S)가 구동되어 상기 가동로드(R)가 직선왕복운동하면, 상기 가동휠(34)이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결속봉(31)이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결속공(21)과의 결속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가동휠(34)에는,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되며 일 부위에 상기 가동로드(R)의 종단이 축결합하는 장공이 형성된 연장편(36)이 구비되어, 상기 가동로드(R)가 직선운동할 때 상기 가동휠(34)이 회전하면서 상기 결속봉(31)을 직선운동시키도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에서, 상기 결속본체(2)에는, 복수의 상기 결속공(21)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결속봉(31)들은, 상기 엘리베이터카(C)에서 상기 결속공(21)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속봉(31)들의 단부들이 양단에 각각 고정된 보조대(37)의 일부위에는, 상기 연결대(35)의 일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실린더(S)의 구동시 상기 결속봉(31)들이 동시에 상기 결속공(21)들에 각각 결속 및 결속해제 되도록 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C)에 대한 확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더욱 안정적인 탑승 및 적재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에서, 상기 가동휠(34)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쌍의 상기 결속본체(2)들과, 한 쌍의 2개1조의 상기 결속봉(31)들과, 한 쌍의 상기 연결대(35)들이 대칭되는 방향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승강공간(A)상에 상기 엘리메이터카(C)를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레일(L)들에 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양측부위에서 각각 결속 및 결속해제하도록 될 수 있다.
즉, 단일의 상기 가동실린더(S)의 구동을 통해 2개 l조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상기 결속봉(31)들이 동시에 상기 결속공(21)들에 각각 결속 및 결속해제 되도록 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양측에서 확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더욱 안정적인 탑승 및 적재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는, 별도의 미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운행)시스템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C)가 원하는 승강공간(A)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면, 이를 인지하는 상기 제어수단(5)의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가동실리더(S)를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C)를 정위이체 확고히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카(C)가 원하는 승강공간(A)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어수단(5)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동실린더(S)가 구동되어 상기 가동로드(R)가 직선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동휠(34)이 회전하면서 상기 결속봉(31)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결속공(21)과의 결속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내부에 승객 및 화물이 탑승 및 적재할 때, 탑승하는 승객 및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따른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처짐에 대응하여 상기 결속봉(31)이 상기 결속공(21)에 확고히 결속됨에 따라, 탑승과 화물적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1)를 구성하는 결속봉(31)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결속봉(31)의 저면에서 상기 결속공(21)에 끼움결속되는 부위는, 상향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면(3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봉(31)에서 상기 결속공(2!)의 내측저면과 접촉하는 부위는 수평면(312)을 가지고 상기 수평면(312)의 종단에서 외측으로 상기 경사면(311)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공(21)에서 상기 결속봉(31)이 분리될 때, 승객탑승 및 화물적재에 따른 무거운 하중이 상기 엘리베이터카(C)의 자체하중의 증대에 따라, 상기 결속공(21)에서 상기 결속봉(31)에 과도한 하중이 부여되어 마찰력이 증대됨에 따라, 분리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불안정한 분리동작을 상기 경사면(311)을 통한 마찰력의 상쇄를 통해 방지하여; 안정적인 분리동작이 구현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보조결속장치
2 : 결속본체
21 : 결속공 22 : 거치대
3 : 가동수단 31 : 결속봉
311 : 경사면 312 : 수평면
32 : 가동부재 33 : 안내관
34 : 가동휠 35 : 연결대
36 : 연장편 37 : 보조대
4 : 전원공급부 5 : 제어수단
A : 승강공간 C : 엘리베이터카
L : 레일 R : 가동로드
S : 가동실린더
21 : 결속공 22 : 거치대
3 : 가동수단 31 : 결속봉
311 : 경사면 312 : 수평면
32 : 가동부재 33 : 안내관
34 : 가동휠 35 : 연결대
36 : 연장편 37 : 보조대
4 : 전원공급부 5 : 제어수단
A : 승강공간 C : 엘리베이터카
L : 레일 R : 가동로드
S : 가동실린더
Claims (3)
- 건축물의 승강공간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시설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상에서 수직상으로 안내되면서 승강운동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승상공간에 고정 및 분리하도록 된 엘이베이터 보조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측 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공이 형성된 결속본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본체의 결속공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결속봉과,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결속봉을 선택적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가동부재를 가지는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본체는,
상기 승강공간의 내벽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고정되는 거치대들의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결속본체의 중앙에 상기 레일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봉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상면에 고정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안내관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베이터 보조결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072A KR102296058B1 (ko) | 2019-10-24 | 2019-10-24 |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072A KR102296058B1 (ko) | 2019-10-24 | 2019-10-24 |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864A true KR20210048864A (ko) | 2021-05-04 |
KR102296058B1 KR102296058B1 (ko) | 2021-09-01 |
Family
ID=7591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3072A KR102296058B1 (ko) | 2019-10-24 | 2019-10-24 |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605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3526B1 (ko) | 2023-03-06 | 2023-07-07 | 윤진근 |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장치 |
KR102596055B1 (ko) | 2023-03-08 | 2023-11-01 | 윤진근 |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
KR102566204B1 (ko) | 2023-04-12 | 2023-08-10 | 윤진근 |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201A (ko) * | 2009-09-22 | 2011-03-30 | 김종원 | 승강기 안전장치 |
-
2019
- 2019-10-24 KR KR1020190133072A patent/KR1022960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201A (ko) * | 2009-09-22 | 2011-03-30 | 김종원 | 승강기 안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6058B1 (ko) | 2021-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45565B2 (ja) | 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 |
JP5122953B2 (ja) | エレベータ | |
JP4882659B2 (ja) |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 |
US10221042B2 (en) |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rrangement | |
JP5873884B2 (ja) | エレベータ | |
KR20210048864A (ko) |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
US20200207581A1 (en) | Elevator safety device | |
JP5577275B2 (ja) |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 |
US6305499B1 (en) |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 |
JP6813041B2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KR102308534B1 (ko) |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 | |
KR20120130087A (ko) | 이단 승강기 장치 | |
KR100870389B1 (ko) | 승강기 장치 | |
KR20210059380A (ko) |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
WO2013001587A1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CN107207195A (zh) | 用于致动电梯轿厢制动器的组件 | |
JPH1081463A (ja) | サイドフォーク型エレベーター | |
KR102007089B1 (ko) | 엘리베이터의 저층부 탑승 시 종진동 저감장치 | |
JP5528592B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999098B1 (ko) | 층 맞춤 기능을 갖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 |
CN110054057B (zh) | 电梯装置 | |
JP2580884B2 (ja) |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 | |
KR20210002863A (ko) |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 저감 장치 | |
JP6678814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CN215479071U (zh) | 一种停电应急平层电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