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28B1 -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28B1
KR101832428B1 KR1020170075919A KR20170075919A KR101832428B1 KR 101832428 B1 KR101832428 B1 KR 101832428B1 KR 1020170075919 A KR1020170075919 A KR 1020170075919A KR 20170075919 A KR20170075919 A KR 20170075919A KR 101832428 B1 KR101832428 B1 KR 10183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car
elevator
flo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Priority to KR102017007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36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에 멈춘 후 탑승되는 승객 또는 탑재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상기 카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출 경우 상기 카 또는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마찰부재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엑추에어터에 구비된 제2마찰부재가 상호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카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시킬 수 있고, 상기와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상기 카를 건축물의 플로어에 정위치시키며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Positional clamping and emergency braking device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에 멈춘 후 탑승되는 승객 또는 탑재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상기 카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 플로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출 경우 상기 카 또는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마찰부재와 상기 카에 장착되는 엑추에어터에 구비된 제2마찰부재가 상호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카 바닥면의 수평위상과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클램핑시킬 수 있고, 상기와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상기 카를 건축물의 플로어에 정위치시키며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엘리베이터 설비는 건물 내에 설치된다. 이 설비는 지지 수단에 의해 균형추 또는 제2엘리베이터실과 연결되는 엘리베이터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엘리베이터실은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엘리베이터실 또는 균형추에 직접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설비는 단층 또는 여러 층에 걸쳐 건물 내부에서 사람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엘리베이터 설비는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승강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다음은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486호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와이어가 끊어졌을 경우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유압발생부 연결되어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될 경우 별도로 구비된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를 물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면 피스톤이 조를 상향가압하여 조가 보조와이어 또는 수직바에 밀착 가압되어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카(본 발명의 '카'와 대응됨.)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하는 제동부(12)가 항상 와이어와 연결되고, 와이어에 제동력을 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카에 적재되는 중량물에 의한 엘리베이터카의 중량 증대로 인하여 와이어가 쳐지거나 건물의 플로어 바닥과 엘리베이터카의 바닥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486호(2006.01.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7506호(2001.01.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2966호(2014.07.03.)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에 대한 일정의 제동력을 가하는 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 장치는 대부분 상기 카에 대한 승하강력을 형성시키는 와이어의 강력하게 파지시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카가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카에 승객 또는 화물로 인한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의 바닥면의 수평위상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도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당 하중의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재될 수 있는데, 이때 카에 가해지는 화물, 지게차, 화물차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카가 연결된 와이어가 하방으로 쳐지게 되어, 카의 바닥면과 건축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고, 그 결과 상기 지게차, 화물차가 카의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엘리베이터의 카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 또는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1마찰부재; 상기 카에 장착되는 엑추에이터의 로드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마찰부재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2마찰부재; 상기 복수 개의 제1마찰부재는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정위치에 정차될 때 상기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가 상호 압착되어 정차된 카를 레일 또는 엘리베이터실에 견고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카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로 멈춘 상태에서 카에 승객이 많이 탑승하거나, 화물,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탑재되더라도, 상기 승객, 화물, 지게차 또는 화물차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와이어 쳐짐 및 카의 하강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당 하중의 화물을 적재한 지게차 또는 화물차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재되더라도 카의 하강이 발생하지 않아, 카의 바닥면과 건출물 플로어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주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에도 카를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정위치된 상태로 정차시킬 수 있는 비상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가 레일과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마찰부재에 랙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마찰부재에 랙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마찰부재에 돌출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마찰부재에 돌출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의 압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제1마찰부재 돌출구에 대하여 제2마찰부재의 돌출구가 끼워 맞춰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도.
도 11,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제1마찰부재가 쇄기 형태의 블럭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엑추에이터에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엑추에이터에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엑추에이터에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엑추에이터에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A-A부분 단면도.
도 1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엑추에이터에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B-B부분 단면도.
도 16a, 1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의 제2마찰부재에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되고, 엑추에이터에 스위치가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멈춘 후 탑승되는 승객 또는 탑재되는 화물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카(20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1마찰부재(10);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엑추에이터(30)의 로드(3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마찰부재(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2마찰부재(20); 상기 복수 개의 제1마찰부재(10)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100)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6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공지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엘리베이터의 카(200)(이하, '카(200)'라 칭함.)가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정위치되며 정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에 포함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경우, 카(200)를 비상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력을 가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종의 공법으로 만들어진 건축물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실(110)에 시설되고,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승객의 탑승 및/또는 화물의 탑재가 이루어지는 카(200), 상기 카(200)와 일측이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와이어(210), 상기 카(200)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와이어(210)의 타측에 연결되는 균형추(220), 상기 와이어(210)에 이송력을 가하여 상기 카(200)에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권상기(230) 및 상기 와이어(210) 또는 카(2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200)는 건축물의 복수 플로어(120)에 각각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130)에 맞추어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30)와 카(200)의 사이에는 여닫힘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출입문(140)이 마련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는 카(200)가 흔들림을 최소화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실(110)의 길이방향(건축물의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레일(100)이 설치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카(200)에는 레일(100)에 대한 승하강의 용이성 및 흔들림 방지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가이드슈 및/또는 가이드 롤러와 같은 장치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레일(100)은 H자형 빔 형태, T자형 빔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레일(100)은 T자형 빔의 것을 일실시예로 설명하고, 상기 T자형 빔의 중간부분에 돌출된 리브를 '중앙리브(101)'라 칭하겠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실(110)은 건축물의 건축 공법의 종류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형강 구조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레일(100)은 엘리베이터실(110)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고,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각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0)의 '정위치'라 함은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상태에서, 카(200)의 바닥면과 상기 특정 플로어(120)의 바닥이 동일한 수평 위상을 가지도록 정차된 위치를 일컫는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는 거시적으로 제1마찰부재(10), 제2마찰부재(20) 및 상기 제2마찰부재(20)를 제1마찰부재(10) 쪽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10)는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서, 도 2와 같이 건축물의 높이방향(이하, 수직방향으로 함.)으로 승강 및 하강 이동하는 카(200)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상기 레일(100) 또는 상기 레일(100)을 내재시키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 일정부분에 장착되어, 카(200)가 복수의 플로어(120) 중 특정의 플로어(120)에 멈춘 경우에 카(200)에 구비된 하기 제2마찰부재(20)와 일정의 압착력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마찰부재(10)는 하기의 제2마찰부재(20)와 연계되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차된 경우에 압착력을 형성시킴으로써 카(200)가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착면이 평평한 상태를 가지는 판상의 블럭 형태로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착면은 하기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과 대응 압착되어 카(200)에 탑승하는 승객 또는 탑재되는 화물, 지게차, 화물차(이하, '중량물'이라 칭함.)의 하중에 의하여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의 쳐짐을 방지시키고, 카(200)의 내부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마찰부재(10)는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에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마찰부재(1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제1마찰부재(10)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100)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100)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라 함은 도 2와 같이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멈췄을 때, 카(200)의 상부, 중간부 또는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엑추에이터(30)의 로드(3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마찰부재(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구성으로서, 엑추에이터(30)에 의한 왕복 이동 가능성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10)에 대한 압착여부가 결정되고, 엑추에이터(30)에 의한 가압력으로 제1마찰부재(10)에 대한 압착력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과 대응되는 압착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카(200)가 엘리베이터실(110)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마찰부재(10)에 대한 압착이 해제된 상태를 가지며,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멈춘 상태에서는 상기 엑추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하여 제2마찰부재(20)가 제1마찰부재(10) 쪽으로 이동되어 압착된다.
이때, 상기 특정의 플로어(120)에 멈춘 상태의 카(200)가 다시 승강 또는 하강이동되도록 작동되면, 카(200)의 승하강 이전에 상기 엑추에이터(30)는 상기와 반대로 제1마찰부재(10)를 제2마찰부재(20)에서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간의 압착을 해제시킨다.
더불어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판상 또는 블럭 형태의 제2마찰부재 블럭(20a)과 상기 제2마찰부재 블럭(20a)에 고정체결되거나 결착되는 라이닝 패드(20b)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면은 상기 라이닝 패드(20b)의 일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엑추에이터(30)는 일정부분이 상기 카(200)에 고정체결되고, 외부의 공압, 유압 또는 전원을 공급받아 엑추에이터(30)의 로드(32)에 구비된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제1마찰부재(10)에 대한 왕복 이동여부를 조절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엑추에이터(30)는 상기 레일(100)의 일부분인 중앙리브(101)를 중심으로 중앙리브(101)의 어느 한쪽 편에만 구비되는 구성을 하거나, 중앙리브(101)의 양쪽 편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엑추에이터(30)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마찰부재(10) 및 제2마찰부재(20) 역시 상기 중앙리브(101)를 중심으로 양쪽 편에 각각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는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하며 멈출 경우, 상기 제2마찰부재(20)가 제1마찰부재(10) 쪽으로 수평이동되어 압착력이 형성되고, 상기 상태에서 카(200)에 중량물이 탑재되더라도 상기 카(2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도로 와이어(210)에 대한 인장력이 전혀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카(200)를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에 의한 카(200)의 멈춤은 카(200)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210)에 대한 하중을 전혀 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210)의 중량물의 탑재에 의한 와이어(210)의 쳐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와이어(210) 쳐짐으로 인한 카(200)의 순간 또는 계속적인 하방으로의 쳐짐으로 인하여 카(200)의 바닥면과 플로어(12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150)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는 상호 압착력을 형성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각각의 압착면에는 도 6, 7과 같이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랙(11, rack)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럭 또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에는 상호 대응될 수 있는 압착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는데, 이때, 각각의 압착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랙(11)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랙(11)은 평평한 상태의 압착면에서 돌출되거나 파인 형태로 구성되고,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중량물의 하중으로 인한 카(200)의 하강이동을 제한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랙(11)의 길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제1마찰부재(10) 및 제2마찰부재(20)의 폭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거나 복수로 나누어지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랙(11)은 제1마찰부재(10) 및 제2마찰부재(20)의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형성하며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성의 랙(11)은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정차되었을 경우,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랙(11)과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랙(11)이 상호 맞닿으며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제1마찰부재(10)에 형성된 랙(11)과 제2마찰부재(20)에 형성된 랙(11) 간의 끼움에 의한 간섭으로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간의 압착력이 증대되어, 카(200)가 보다 견고하게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또한 제2실시예로서,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각각의 압착면에는 도 8, 9a, 9b, 10과 같이 외주가 만곡된 형태의 돌출구(12a, 22a) 복수 개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럭 또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에는 상호 대응될 수 있는 압착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는데, 이때, 각각의 압착면에 만곡된 형태로 돌출된 돌출구(12a, 22a) 복수 개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구(12a, 22a)는 압착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하되, 외주면은 반구형, 반타원형 등과 같은 형태로 만곡되어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면,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돌출구(12a)는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 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고,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돌출구(22a)는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 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카(200)가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되며 정차되었을 경우,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엑추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하여 제1마찰부재(10) 쪽으로 수평이동되고,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22a)는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12a) 사이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으로 끼워 들어가며 돌출구(22a)와 돌출구(12a) 간의 간섭력을 형성시키며 제1마찰부재(10)에 제2마찰부재(20)를 압착 체결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12a)와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22a)는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12a)들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22a)들이 적절하게 끼워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배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9b, 10과 같이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12a)와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22a) 각각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렬하며 돌출구열(13a, 23a)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출구열(13a, 23a)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출구행(13b, 23b)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돌출구(12a, 22a)들은 수평방향으로는 돌출구열(13a, 23a)을 형성하고, 수직방향인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는 돌출구행(13b, 23b)을 형성하는 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돌출구(12a)들과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돌출구(22a)들 각각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상호 직교를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직교 상태를 이루는 돌출구(12a, 22a)들 사이사이에는 상호 직교 상태를 이루는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직교 상태를 이루는 빈공간들에는 직교 상태를 이루는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돌출구(22a)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열과 행을 이루며 규칙적으로 끼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여,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간의 압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또한 카(200)의 내부에 중량물이 균형을 이루며 탑재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어 탑재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플로어(120)에 정차된 카(200)는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돌출구(12a)들이 돌출구열(13a)과 돌출구행(13b)을 이루며 형성되고,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돌출구(22a)들이 돌출구열(23a)과 돌출구행(23b)을 이루며 형성되면, 제2마찰부재(20)에 형성된 돌출구(22a)들이 제1마찰부재(10)에 형성된 돌출구(12a)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을 적절하게 안내되며 끼워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일정각도 편심되어 기울어진 상태의 카(200)를 플로어(120)에 정위치로 복귀시키며 카(200)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도 10과 같이 중량물의 불균형적인 탑재에 의하여 카(200)가 일정각도 기울어진 경우, 상기 카(200)에 장착된 제2마찰부재(20)는 카(200)와 함께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제1마찰부재(10)에 대응된다. 이때, 엑추에이터(30)의 작동력에 의하여 제2마찰부재(20)가 제1마찰부재(10) 쪽으로 전진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돌출구열(23a)과 돌출구행(23b)을 이루며 형성된 돌출구(22a)들 각각은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돌출구열(13a)과 돌출구행(13b)을 이루며 형성된 돌출구(12a)들 각각의 외주면 일정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돌출구(12a)들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있던 제2마찰부재(20)의 만곡된 형태의 돌출구(22a)들은 엑추에이터(30)의 계속된 작동력에 의하여 제1마찰부재(10)의 만곡된 형태의 돌출구(12a)들의 외주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빈공간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의 경우,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압착면에 형성된 돌출구(22a)들의 빈공간으로 이동에 의하여 일정각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위상이 변하게 되고, 그 결과 제2마찰부재(20)가 구비된 엑추에이터(30) 및 상기 엑추에이터(30)가 체결된 카(200)가 일괄적으로 일정각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중량물의 불균형된 탑재에 의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던 카(200)가 정위치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만곡된 형태의 돌출구(12a)의 하부의 외주연(압착면과 돌출구(12a, 22a)의 연결부)에서 돌출구(12a, 22a)의 중심으로의 반경에 따라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돌출구(22a)의 이동 허용 간격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돌출구(22a)의 이동 허용 간격은 제2마찰부재(20)에 대한 제1마찰부재(1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만곡된 형태의 돌출구(12a, 22a)의 크기, 형태 및 돌출높이 또한 돌출구(12a, 22a)들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의 간격 등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용도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실시예로서,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는 도 11, 12와 같이 각각이 경사진 형태의 압착면이 형성된 쇄기와 같은 블럭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블럭은 상호 쇄기 결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마찰부재(10)는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도록 하향하며 경사진 압착면이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된 쇄기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엑추에이터(30)는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양쪽 측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엑추에이터(30)에 각각 구비된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은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제1마찰부재(10)는 도 11과 같이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더 큰 형태를 가지는 쇄기 형태의 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형태의 제1마찰부재(10)의 양쪽 측면에는 하향하며 경사진 압착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엑추에이터(30)는 도 11과 같이 상기 구성의 제1마찰부재(10)의 양쪽 측부에 하나씩 위치되도록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엑추에이터(30) 각각에는 제2마찰부재(20)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며, 각각의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은 제1마착부재의 경사진 측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진 상태의 압착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즉, 도 11과 같이 카(200)가 승하강 이동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엑추에이터(30)에 각각 구비된 제2마찰부재(20)들은 제1마찰부재(10)의 양쪽 측면 각각에서 이격된 상태를 가져, 한 쌍의 제2마찰부재(20)의 사이로 제1마찰부재(10)가 통과되어 카(200)의 승하강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도 12와 같이 카(200)가 플로어(120)에 정위치된 상태로 정차하면 상기 한 쌍의 엑추에어터에 각각 구비된 제2마찰부재(20)들은 엑추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10)쪽으로 수평이동되어, 제1마찰부재(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경사진 상태의 압착면 각각에 제2마찰부재(20)들 각각의 경사진 상태의 압착면이 압착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한 쌍의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 상부에 형성된 이격 간격은 한 쌍의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 하부에 형성된 이격 간격보다 좁은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중량물의 하중에 의한 카(200)의 하방 쳐짐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엑추에이터(30)는 상기 제2마찰부재(2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제1마찰부재(10)에 대한 제2마찰부재(20)의 압착 및 압착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플로어(120)에 정차된 카(200)의 하방으로의 쳐짐을 방지시킬 수 있을 정도의 로드(32) 가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면, 공압 방식, 유압 방식 또는 모터 방식 등과 같은 방식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엑추에이터(30)는, 상기 카(200)에 일측이 고정체결되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3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로드(32);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3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공압 또는 유압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32)가 내입되는 하우징(31)의 내부공간(이하, '실린더실(33)'이라 칭함.)은 하우징(31)의 외부와 기밀의 상태를 유지하여, 공압 또는 유압이 하우징(31)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하우징(31)과 로드(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실린더실(33)에 공압 또는 유압이 가해질 수 있는 엑추에이터(30)의 실린더실(33) 내부에는 링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컵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34)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탄성부재(34)에 의한 복원력과 공압/유압에 의한 가압력이 상호 번갈아가며 제2마찰부재(20)를 제1마찰부재(10)에 압착 및 압착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3과 같이 상기 실린더실(33)은 실린더실(33)에 내입된 상태를 가지는 로드(32)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피스톤부(35)에 의하여 전방실린더실(33a)과 후방실린더실(33b)로 구획되고, 상기 전방실린더실(33a)에는 공압 또는 유압이 가해지며, 상기 후방실린더실(33b)에는 상기 탄성부재(34)가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4)의 전방은 피스톤부(35)의 후방을 지지하고 후방은 후방실린더실(33b)의 후방 내벽에 지지되는 구성을 하여, 탄성부재(34)가 계속적으로 상기 피스톤부(35)를 전방으로 밀어 로드(32)가 전방으로 전진하려는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구성의 엑추에이터(30)는 카(200)가 승하강 이동할 때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제2마찰부재(20)를 엑추에이터(30)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2마찰부재(20)가 제1마찰부재(10)에 압착해제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카(200)가 플로어(120)의 정위치에 정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실린더실(33a)에 가해졌던 공압 또는 유압이 해제되어 탄성부재(34)에 의한 복원력이 로드(32)를 전방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로드(32)에 구비된 제2마찰부재(20)가 제1마찰부재(10)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4)에 의한 복원력은 카(200)를 플로어(120)의 정위치에 클램핑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압착력이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간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상기 전방실린더실(33a)에 상기 탄성부재(34)가 내입되고, 상기 후방실린더실(33b)에는 공압 또는 유압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탄성부재(34)에 의한 복원력은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간의 압착해제력으로 작용되고,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한 가압력은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간의 압착력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플로어(120)에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카(200)의 하중이 제2마찰부재(20)를 통하여 엑추에이터(30)의 로드(32)에 직접 가해지고, 그 결과 상기 카(200)의 하중에 의하여 엑추에이터(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제2마찰부재(20)에 가해지는 카(200)의 하중을 상기 엑추에이터(30)의 하우징(31)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로드(32)를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31) 전방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블럭(36)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블럭(36)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32)와 제2마찰부재(20)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37)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블럭(36)은 도 14, 15a 내지 15d와 같이 하우징(31)의 일정부분에 구비되어 하우징(31)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32)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된 상태로 복수 개의 가이드 블럭(36)이 하우징(31)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가이드 블럭(36)은 도 15a와 같이 하우징(31)에 구비된 로드(32)를 중심으로 하우징(31)의 양쪽 측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가이드 블럭(36)의 후방은 상기 하우징(31)의 전방 측부 또는 측부에 체결되며, 가이드 블럭(36)의 전방은 하우징(3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마찰부재(10) 쪽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엑추에이터(30)에 구비되는 제2마찰부재(20)는 판상 또는 블럭 형태로 구성되되,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블럭(36)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수평방향(하우징(31)의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가이드 블럭(36)이 하우징(31)의 측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양쪽 측부 일부분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럭(36)에 각각 지지되며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로드(32)의 전후 방향 왕복 이동에 의하여 제2마찰부재(20)가 한 쌍의 가이드 블럭(36)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로드(32)와 제2마찰부재(20)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3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로드(32)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력은 제2마찰부재(2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특정의 플로어(120)에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카(200)의 하중이 제2마찰부재(20)를 통하여 엑추에이터(30)의 로드(32)에 직접 가해지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제2마찰부재(20)는 탄성체(37)에 의하여 로드(32)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력을 전달받아 제1마찰부재(10)에 대하여 압착 및 압착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카(200)를 특정의 플로어(120)에 정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력은 상기 가이드 블럭(36)을 통하여 엑추에이터(30)의 하우징(31)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탄성체(37)에 의하여 상기 제2마찰부재(20)와 로드(32)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로드(32)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38)이 더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핀(38)에는 상기 제2마찰부재(20)가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핀(38)은 탄성체(37)에 의하여 로드(32)의 전방에 연결되는 제2마찰부재(20)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핀(38)은 상기 가이드 블럭(36)과 동일한 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후방이 상기 로드(32)의 전방에 연결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상기 가이드핀(38)의 중간 또는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2마찰부재(20)가 제1마찰부재(10)와 쪽으로 전진이동되어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과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이 상호 압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핀(38)은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서 돌출되지 아니한 상태를 가져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마찰부재(20)에서는 상기 가이드핀(38)이 관통되거나 내입될 수 있을 정도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는 상기 가이드핀(38)의 외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거나 장공의 형태로 구성되어, 카(200)의 기울어짐에 의한 로드(32)를 중심한 제2마찰부재(20)의 기울어짐(회전된 상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마찰부재(10) 및 제2마찰부재(20)의 계속적인 제1마찰부재(10) 또는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이 마모된 경우에는, 제1마찰부재(10) 또는 제2마찰부재(20)를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제1마찰부재(10) 또는/및 제2마찰부재(20)의 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40)가 상기 제2마찰부재(20)에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거리측정센서(40)는 레이저 센서와 같은 종류의 센서로 구성되어, 제2마찰부재(20)와 제1마찰부재(10) 간의 간격을 지속적으로 센싱하고, 제2마찰부재(20) 또는/및 제1마찰부재(10)가 압착면부터 마모되어 얇아진 경우에는 상기 제2마찰부재(20)와 제1마찰부재(10) 간의 간격이 좁아진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 의한 제2마찰부재(20) 또는/및 제1마찰부재(10) 교체의 필요성을 인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거리측정센서(40)는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2마찰부재(20)의 측부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고, 거리측정센서(40)의 센싱부가 상기 제1마찰부재(1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제2마찰부재(20)와 제1마찰부재(10) 간의 간격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리측정센서(40)에서 측정된 센싱값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부로 전달되어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작동상태, 즉, 플로어(120)에 정위치로 카(200)가 정차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마찰부재(10)에 제2마찰부재(20)가 정상적으로 압착되었는지 또는 카(200)가 승하강 이동되기 시작되거나 이동될 때 상기 제1마찰부재(10)에 제2마찰부재(20)가 정상적으로 압착해제되었는지를 작업자가 인지하거나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엑추에이터(30)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45)가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45)는 상기 거리측정센서(40)와 같은 원리를 가지는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버튼 스위치(45)와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위치(45)는 엑추에이터(30)의 전방 또는 측부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에 의하여 작동 및 비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스위치(45)가 버튼 스위치(45)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버튼 스위치(45)는 엑추에이터(30)의 전방 또는 측부에 해당하는 하우징(31)의 일정부분에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측부 또는 후방부에 의하여 눌리거나 눌림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마찰부재(20)가 전진이동하여 제1마찰부재(10)와 압착되는 경우, 상기 버튼 스위치(45)는 눌림해제되어 제1마찰부재(10)에 대한 제2마찰부재(20)의 정상적인 압착 상태를 제어부 또는 관리자에 전달하고, 상기와 반대로 제2마찰부재(20)가 후진이동하여 제1마찰부재(10)와 압착해제되는 경우, 상기 버튼 스위치(45)는 눌린 상태가 되어 제1마찰부재(10)에 대한 제2마찰부재(20)의 정상적인 압착해제 상태를 제어부 또는 관리자에게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의 경우, 상기 엑추에이터(30)의 하우징(31) 측부 또는 후방에는 별도의 누름쇠(46)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상기 누름쇠(46)로서 상기 버튼 스위치(45)를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누르거나 누름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누름쇠(46)는 카(200)의 편심 기울어짐에 의한 제2마찰부재(20)의 기울어짐에 대응되어 상기 버튼 스위치(45)를 제2마찰부재(20)의 다양한 기울어짐 상태에서도 제2마찰부재(20)의 일정부분에 의하여 눌러질 수 있도록, 버튼 스위치(45)의 버튼보다 더 큰 면적의 누름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쇠(46)의 일측은 상기 엑추에이터(30)의 하우징(31)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47) 체결되고, 상기 누름쇠(46)의 타측은 상기 버튼 스위치(45)의 버튼에 위치되며,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일정부분(또는 제2마찰부재(20)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누름핀(48))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46)의 중간부분이 눌러지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누름쇠(46)의 힌지(47)부에는 누름쇠(46)가 누름쇠(46)의 일측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정회전 및 역회전하며 버튼 스위치(45)를 작동시키거나 작동해제시킬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장치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간의 압착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된 브레이크장치가 고장 또는 손상된 비상시에 비상제동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엑추에이터(30), 거리측정센서(40) 및 스위치(45)의 작동을 위한 제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하여 통합 관리될 수 있고, 특히, 엑추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한 제1마찰부재(10)에 대한 제2마찰부재(20)의 압착 및 압착해제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에 카(200)가 정위치된 상태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고,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제1마찰부재 11 : 랙
12a : 돌출구 13a : 돌출구열
13b : 돌출구행 20 : 제2마찰부재
20a : 제2마찰부재 블럭 20b : 라이닝 패드
22a : 돌출구 23a : 돌출구열
23b : 돌출구행 30 : 엑추에이터
31 : 하우징 32 : 로드
33 : 실린더실 33a : 전방실린더실
33b : 후방실린더실 34 : 탄성부재
35 : 피스톤부 36 : 가이드 블럭
37 : 탄성체 38 : 가이드핀
40 : 거리측정센서 45 : 스위치
46 : 누름쇠 47 : 힌지
48 : 누름핀 100 : 레일
101 : 중앙리브 110 : 엘리베이터실
120 : 플로어 130 : 엘리베이터 출입구
140 : 엘리베이터 출입문 150 : 단차
200 : 엘리베이터의 카 210 : 와이어
220 : 균형추 230 : 권상기

Claims (10)

  1. 엘리베이터의 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100) 또는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1마찰부재(10); 상기 카(200)에 장착되는 엑추에이터(30)의 로드(32)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마찰부재(10)에 압착 및 압착해제되는 제2마찰부재(20); 상기 복수 개의 제1마찰부재(10)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레일(100) 또는 건축물의 플로어(120)의 수평위상과 동일한 부분 또는 인접된 부분의 엘리베이터실(110)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엑추에이터(30)는,
    상기 카(200)에 일측이 고정체결되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32)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로드(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로드(32)를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31) 전방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블럭(36)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마찰부재(20)는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블럭(36)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32)와 제2마찰부재(20)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37)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각각의 압착면에는,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랙(11, rack)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10)와 제2마찰부재(20) 각각의 압착면에는,
    외주가 만곡된 형태의 돌출구(12a, 22a)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12a)와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구(22a) 각각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렬하며 돌출구열(13a, 23a)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출구열(13a, 23a)은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출구행(13b, 23b)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10)는,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더 큰 형태를 가지는 쇄기 형태로 구성되고, 경사진 양쪽 측면 각각에 압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엑추에이터(30)는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양쪽 측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엑추에이터(30)에 각각 구비된 제2마찰부재(20)의 압착면은 상기 제1마찰부재(10)의 압착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32)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38)이 더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핀(38)에는 상기 제2마찰부재(20)가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부재(20)에는,
    센싱부가 상기 제1마찰부재(10) 방향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거리측정센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3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45)는 상기 제2마찰부재(20)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에 의하여 작동 및 비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170075919A 2017-06-15 2017-06-15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183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19A KR101832428B1 (ko) 2017-06-15 2017-06-15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19A KR101832428B1 (ko) 2017-06-15 2017-06-15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428B1 true KR101832428B1 (ko) 2018-02-26

Family

ID=6153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919A KR101832428B1 (ko) 2017-06-15 2017-06-15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42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349B1 (ko) * 2019-03-21 2019-08-1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20200093738A (ko) * 2019-01-28 2020-08-06 윤창열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20230076285A (ko) * 2021-11-24 2023-05-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지게차의 화물 추락 방지 장치
KR102553523B1 (ko) 2023-02-24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53526B1 (ko) 2023-03-06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66204B1 (ko) 2023-04-12 2023-08-10 윤진근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KR20230147778A (ko) * 2022-04-14 2023-10-24 주식회사케이베츠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스태빙 시스템, 및 스태빙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자켓구조물 설치방법
KR102596055B1 (ko) 2023-03-08 2023-11-01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986A (ja) * 2012-02-01 2012-06-21 Line Works:Kk 昇降体落下防止装置とそれを装備した昇降体落下防止装置付き作業機器
KR101665520B1 (ko) *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점차 작동식 비상정지장치
CN106256745A (zh) * 2016-09-07 2016-12-28 周礼斌 电梯防剪切保护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986A (ja) * 2012-02-01 2012-06-21 Line Works:Kk 昇降体落下防止装置とそれを装備した昇降体落下防止装置付き作業機器
KR101665520B1 (ko) *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점차 작동식 비상정지장치
CN106256745A (zh) * 2016-09-07 2016-12-28 周礼斌 电梯防剪切保护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738A (ko) * 2019-01-28 2020-08-06 윤창열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173779B1 (ko) * 2019-01-28 2020-11-04 윤창열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09349B1 (ko) * 2019-03-21 2019-08-1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20230076285A (ko) * 2021-11-24 2023-05-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지게차의 화물 추락 방지 장치
KR102628649B1 (ko) 2021-11-24 2024-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지게차의 화물 추락 방지 장치
KR20230147778A (ko) * 2022-04-14 2023-10-24 주식회사케이베츠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스태빙 시스템, 및 스태빙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자켓구조물 설치방법
KR102600428B1 (ko) 2022-04-14 2023-11-10 주식회사 케이베츠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스태빙 시스템, 및 스태빙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자켓구조물 설치방법
KR102553523B1 (ko) 2023-02-24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53526B1 (ko) 2023-03-06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96055B1 (ko) 2023-03-08 2023-11-01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66204B1 (ko) 2023-04-12 2023-08-10 윤진근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428B1 (ko)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09349B1 (ko)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AU782430B2 (en) Safety brake and method for unlocking a safety brake
JP4732342B2 (ja) エレベータ装置
FI107728B (fi) Hissikorin turvalaite
US8006806B2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US20150298937A1 (en) Safety brake for a travel body of an elevator system
US4047625A (en) Gravity roller conveyors
CN109923056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US11498803B2 (en) Elevator car parking brake
JP2019156567A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20090122934A (ko) 승강기
KR20190031171A (ko)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CN107108157B (zh) 电梯
KR102296058B1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WO2001058796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travailler sur une cage d'ascenseur
CN102933481B (zh) 具有锁定机构的后备制动器
KR102173779B1 (ko)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200437138Y1 (ko)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US5908088A (en) Hydraulic drive mechanism for a vertical conveyor
JP4510989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101324543B1 (ko)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KR20210059380A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US249076A (en) Elevator-stop
US5238088A (en) Pit buffer assembly for high speed elev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