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523B1 -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523B1
KR102553523B1 KR1020230024774A KR20230024774A KR102553523B1 KR 102553523 B1 KR102553523 B1 KR 102553523B1 KR 1020230024774 A KR1020230024774 A KR 1020230024774A KR 20230024774 A KR20230024774 A KR 20230024774A KR 102553523 B1 KR102553523 B1 KR 10255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locker
fixing device
position fixing
fix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창
윤진근
Original Assignee
윤진근
박근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근, 박근창 filed Critical 윤진근
Priority to KR102023002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36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93Suspension locking or inhibiting means to avoid movement when car is stopped at a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에 적재되었던 화물의 하역으로 인해 카의 행정이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착상구간에서 카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트 플레이트로부터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매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 구간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및 엘리베이터 카가 승하강하는 승강로 내측에 일정 층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스톱퍼에 대해 전방 끝단 부분이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가 되도록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힌지축을 매개로 일정 각도 회전동작 후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직선동작하도록 무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락커;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Device for locking a freight elevator car into the right position}
이 발명은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에 적재되었던 화물의 하역으로 인해 카의 행정이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착상구간에서 카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일반 화물의 운반을 위해 설치되는 일반 화물용 엘리베이터, 자동차를 운반하기 위해 주차 빌딩 등에 설치되는 자동차 운반용 엘리베이터, 화물을 지게차 또는 산업용트럭에 실은 채 적재되는 산업용 엘리베이터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 또는 화물이 적재되는 방식 등에 따라 승객 이동용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에 비해서 화물 적재시 또는 화물 하역시에 순간적으로 걸리는 최대하중이 매우 크게 된다.
따라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화물 적재시 또는 화물 하역시에 순간적으로 걸리는 최대하중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 구동 제동장치(brake), 비상 제동장치(emergency brake) 이외에도 카(evlevator car)의 하부 양방향을 지지하여 보정해주는 고정장치(locking device)가 설치되어야 한다.
화물용 엘리베이터에서 제동장치는 주로 카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권상기에 부착되어 상시 작동하는 브레이크로 과속이 발생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움직일 경우에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데 사용되는 독립 장치이며, 비상 제동장치는 구동 브레이크가 고장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신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예비 브레이크이다.
한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car locking device)는 카에서 화물의 하역으로 인해 카의 행정이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착상구간에서 카를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며,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양방향 바닥 맞춤 보정장치(bidirectional leveling device)는 적재 및 하역 시에 카가 착상구간에 못 미치거나 지나친 경우에 자동으로 착상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 또는 비상 제동장치와는 구조 및 기능에서 차이점이 있다(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 2020.09.22. 제정 화물용 엘리베이터 제조 및 설치 표준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및 양방향 바닥 맞춤 보정장치는 카에서의 화물 하역으로 인해 카의 행정이 최대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더라도 카의 하강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카가 개방되기 전에 작동이 완료되어야 하며,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엘리베이터 카를 잡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832428(2018.02.26. 공고)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2009349(2019.08.12. 공고)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665520(2016.10.13. 공고)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2197421(2021.01.04. 공고)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이 된 것으로서,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에 적재되었던 화물의 하역으로 인해 카의 행정이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착상구간에서 카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 정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이 발명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트 플레이트로부터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매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 구간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무빙 플레이트; 및 엘리베이터 카가 승하강하는 승강로 내측에 일정 층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스톱퍼에 대해 전방 끝단 부분이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가 되도록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힌지축을 매개로 일정 각도 회전동작 후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직선동작하도록 무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락커;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서 실린더는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선단은 무빙 플레이트에 형성된 작동공을 통해 락커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제1힌지축과 결합되며, 락커의 후방 끝단 부분에 설치되는 제2힌지축은 무빙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 상으로 결합된 링크의 일단에 결합되고, 링크의 다른 일단은 제3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서 락커의 전방 부분 하면에 대응하는 무빙 플레이트 상에는 일정 높이의 락커 지지턱이 돌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무빙 플레이트 사이의 가이드 레일 상에는 탄성 스프링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무빙 플레이트 간에는 상단이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 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서 승강로 내측에 고정 설치된 스톱퍼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 됨을 인지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서 마운트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락커의 회전 작동시 락커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 됨을 인지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에 화물을 싣는 과정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하중 변화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의 행정이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착상구간에서 카를 안정되게 기계적으로 고정시켜주고 필요에 따라서는 안정되게 보정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가 적용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작동 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가 적용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였을 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도면.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도면.
도7 및 도8은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9 및 도10은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 의해서 락킹이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가 적용된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작동 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가 적용된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였을 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도면이고,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5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10은 이 발명이 적용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우선,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화물용 엘리베이터 장치(10)는 정면 또는 후면에 카 도어(14)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12)가 권상기(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로(30)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카(12)가 정차하는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도어(40, landing door)가 설치된다. 승강장 도어(40)은 엘리베이터 카(14)가 정지한 후 카 도어(14)가 열리거나 닫힐 때 연동하여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된다.
이 발명이 적용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장치(10)에서는 각 층에 마련된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카(12)가 정차할 때 엘리베이터 카(12)의 하부가 위치되는 승강로(30)의 내측 양쪽에는 각각 스톱퍼(200)가 고정 설치된다. 즉, 스톱퍼(200)는 엘리베이터 카(12)가 승하강하는 승강로(30) 내측에 일정 층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다.
특히, 이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카(12)의 하부에는 전술한 스톱퍼(200)에 대해 락킹(locking)된 상태 또는 언락킹(unlocking)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가 부가 설치된다.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카(12)에 화물을 상차하거나 엘리베이터 카(12)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하중의 변화로 카의 행정이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착상구간에서 엘리베이터 카(13)를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승강로(30)에 일정 층간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스톱퍼(200)에 대해 락킹 또는 언락킹이 된 상태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카(12)의 하부의 전후방 양쪽에, 스톱퍼(200)는 승강로(30)의 내측면 양쪽에 각각 설치된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가 스톱퍼(200)에 대하여 언락킹된 상태로 승강로(30)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12)가 승강 또는 하강 작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반면에,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가 스톱퍼(200)에 대하여 락킹이 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카(12)는 승강장에 정지된 상태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의 프레임(110)은 엘리베이터 카(12)의 하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2)는 승강 또는 하강 작동 시에 승강로(30) 내측에 고정 설치된 스톱퍼(200)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도3에서 보이는 것처럼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인 락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락커(140)는 일정 구간 또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직선이동 또는 회전동작에 의해서 위치가 변동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고정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카(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2)가 승하강하는 승강로(30) 내측에 일정 층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스톱퍼(200)에 대해 락커(140)의 작동 상태가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가 되도록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락커(140)는 스톱퍼(200)에 대해서는 걸림이 언락킹이 되도록 프레임(110) 내측에 은닉되게 작동된 상태인 제1 작동상태, 락커(140)의 끝단 부분이 스톱퍼(200)의 수직 상방의 일정 높이를 향하여 위치가 변경되도록 작동된 상태인 제2 작동상태 및 제2 작동상태의 락커(140)가 스톱퍼(200)에 대하여 일정 구간 더 하강하여 스톱퍼(200)에 밀착하게 되는 제3 작동상태를 거치면서 스톱퍼(200)를 락킹하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에 따른 락커(140)는 프레임(110) 대하여 승하강되도록 움직임이 제한되는 무빙 플레이트(130) 상에 복수의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 일정 각도 회전 작동에 의하여 제1 작동상태와 제2 작동상태를 거친 후, 일정 구간 하향 작동에 의하여 제3 상태에 이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3 내지 도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작동상태에서 제2 작동상태로의 변동은 복수의 힌지축에 의해서 회전 작동하는 구조의 락커(140)에 의해서 일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경우를 보인 것이나, 제1 작동상태에서 제2 작동상태로의 변동은 별도 구성되는 제1 수단에 의해서 또는 별도로 구성되는 제1 수단과 제2 수단의 연속적인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작동상태로 프레임(110) 내측에 은닉된 상태의 락커(140)가 일정 구간 전진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단과, 제2 작동상태에 있는 락커(140)가 일정 구간 하향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단의 조합을 통해 동작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제1 수단과 제2 수단은 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제1 수단과 제2 수단은 별도로 구성되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서는 제1 수단과 제2 수단이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3 내지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의 프레임(11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의 판 구조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12)의 하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마운트 플레이트(112), 마운트 플레이트(112)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마운트 플레이트(112)에 대하여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120)을 매개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마운트 플레이트(1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4)가 사각판 구조로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면 가이드 레일(120)은 4개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의 프레임의 내측에, 더 구체적으로는 마운트 플레이트(112)와 베이스 플레이트(114) 사이에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일정 구간 이동이 가능한 무빙 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 이 무빙 플레이트(130) 상에는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에서 핵심 구성요소인 락커(140)가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무빙 플레이트(130) 상에 설치되는 락커(14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동작 후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직선동작하도록 락커(140)의 중간부분 하부에는 제1힌지축(160)을 매개로 실린더 로드(172)의 선단에 연결되는 조인트(174)와 결합된다.
전술한 락커(140)의 중간 부분에 제1힌지축(160)을 매개로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172)는 베이스 플레이트(114)의 하측에 설치되는 실린더(170)의 구동에 의해서 도면 상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이 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 로드(172)는 베이스 플레이트(114)와 무빙 플레이트(130) 사이에 인출된 상태에 있게 되고, 실린더 로드(172)의 선단에 조립된 조인트(174)는 무빙 플레이트(130)의 상부 측에 있게 된다.
무빙 플레이트(130)의 중간 부분에는 실린더 로드(172)의 선단에 연결된 조인트(174)의 연결부가 통과하기 위한 작동공(132)이 관통 형성된다. 실린더 로드(172)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또는 실린더 로드(172)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실린더(170)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실린더 로드(172)와 연결된 조인트(174)의 연결부는 작동공(132)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전술한 실린더(170)의 작동에 따라서 무빙 플레이트(130) 상에 설치된 락커(14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안정되게 회전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락커(140)의 후방 부분은 무빙 플레이트(130)에 힌지결합된 링크(150)를 매개로 조립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락커(140)의 후방 끝단 부분은 제2힌지축(162)을 매개로 링크(150)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링크(150)의 하단부는 제3힌지축(164)을 매개로 무빙 플레이트(130)에 힌지 결합된다. 링크(15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힌지축(162) 제3힌지축(164)이 상호 수직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14) 하측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170)가 인입 모드로 작동하게 되면 제2힌지축(162) 기점으로 락커(140)는 일정각도 회전 작동이 되고, 일정 시점 이후에는 락커(140)가 무빙 플레이트(130)와 함께 하향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170)가 인입 모드로 작동하게 됨에 따라 락커(140)가 일정각도 회전 동작한 후, 실린더 로드(172)가 하향하는 방향에 따라 락커(140)가 직선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락커(140)의 전방 부분 하면에 대응하는 무빙 플레이트(130) 상에는 일정 높이의 락커 지지턱(13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의 무빙 플레이트(130)가 베이스 플레이트(114)에 대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14)와 무빙 플레이트(130) 사이에 있는 가이드 레일(120) 상에는 탄성 스프링(180)이 설치된다. 이때 탄성 스프링(180)의 압축 강도는 베이스 플레이트(114)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170)가 인입 모드로 작동할 때 락커(140)가 먼저 일정각도 회전 작동한 후에 비로서 락커(140)가 하측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는 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70)가 인출 모드로 작동할 경우에는 무빙 플레이트(130)가 먼저 직선방향으로 상승 작동한 후 회전 동작할 수 있는 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4 및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4)와 무빙 플레이트(130) 간에는 상단이 무빙 플레이트(130)에 고정된 가이드 핀(18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핀(182)의 상단은 무빙 플레이트(130)이 나사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고, 가이드 핀(182)의 하단을 이루는 가이드 핀 헤드(182a)는 베이스 플레이트(114)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4)의 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무빙 플레이트(130)는 가이드 핀(182)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14)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위치하도록 구속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탄성 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에서 승강로(30) 내측에 고정 설치된 스톱퍼(200)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 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하기 위한 제1 리미트 스위치(19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리미트 스위치(190)가 작동됨에 따라 화물용 엘리베이터 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부에서는 락커(140)가 스톱퍼(200)에 안정되게 락킹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거나 실린더(170)의 작동을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에서 마운트 플레이트(112)의 하측에는 락커(140)의 회전 작동시 락커(140)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 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하기 위한 제2 리미트 스위치(19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락커(140)의 전방 부분이 제2 리미트 스위치(192)를 건드려 작동시키게 되면, 이 발명이 적용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장치(10)의 제어부에서는 락커(140)가 스톱퍼(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언락킹된 상태가 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되거나 실린더(170)의 이후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도면이고, 도7 및 도8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9 및 도1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 의해서 락킹이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발명이 적용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장치(10)의 엘리베이터 카(12)가 정차가 예정된 층의 승강장에 도착하여 제동장치에 의해서 제동이 되면,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가 도6 내지 도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즉, 실린더(170)가 실린더 로드(172)의 인입 모드로 작동하게 됨에 따라서 락커(140)는 도6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힌지축(160) 기점으로 일정각도 회전 작동하게 된다. 락커(140)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작동하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락커(140)의 하부는 락커 지지턱(134)에 닿게 된 상태가 되지만, 락커(140)의 선단은 스톱퍼(200)에 대하여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이다.
이후, 실린더(170)에서 가해지는 힘이 실린더 로드(172)와 락커(140)를 통해 무빙 플레이트(130)의 상부 측에서 하측을 향해 가해지게 되면서 무빙 플레이트(130)는 탄성 스프링(180)을 압축하면서 일정 스트로크 범위 하향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락커(140)의 선단은 스톱퍼(200)에 닿게 되고, 락커(140)의 일측에 부착된 제1 리미트 스위치(190)가 작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로(30)의 내측 벽에 고정 설치된 스톱퍼(200)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카(1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가 작동하여 락킹(locking)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카(12)가 승강로(30) 내측에 고정된 스톱퍼(200)에 락킹이 이루어짐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12)에서의 화물 하역으로 인해 카의 행정이 최대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더라도 카의 하강 움직임은 보다 안정적으로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2)에서의 화물 하역이 종료되어 작업 관리자자 또는 이용자가 엘리베이터가 승강 또는 하강 작동하도록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카 정위치 고정장치(100)에 의해서 락킹되어 있던 상태가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해제되면서 엘리베이터 카(12)의 승강 또는 하강 작동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에 화물을 싣는 과정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하중 변화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의 행정이 착상 정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착상구간에서 카를 안정되게 기계적으로 고정시켜주고 필요에 따라서는 안정되게 보정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의 구성 및 작동상태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 : 화물용 엘리베이터 장치 12 : 엘리베이터 카
14 : 카 도어 20 : 권상기
30 : 승강로 40 : 승강장 도어
100 : 카 정위치 고정장치
110 : 프레임 112 : 마운트 플레이트
114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가이드 레일
130 : 무빙 플레이트 132 : 작동공
134 : 락커 지지턱 140 : 락커
150 : 링크 160 : 제1힌지축
162 : 제2힌지축 164 : 제3힌지축
170 : 실린더 172 : 실린더 로드
174 : 길린더 로드 조인트 180 : 탄성 스프링
182 : 가이드 핀 190 : 제1 리미트 스위치
192 : 제2 리미트 스위치 200 : 스톱퍼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승하강하는 승강로 내측에 일정 층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스톱퍼에 대해 락커의 작동 상태가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가 되도록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고정장치로서,
    상기 락커가 프레임 내측에 은닉되어 상기 스톱퍼에 대한 걸림이 언락킹된 제1 작동상태, 상기 락커의 끝단 부분이 스톱퍼의 수직 상방의 일정 높이를 향하여 위치가 변경되도록 작동된 상태인 제2 작동상태 및 상기 락커가 상기 스톱퍼를 향하여 하강하여 상기 스톱퍼에 밀착되는 제3 작동상태를 거치면서 상기 스톱퍼를 락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커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되도록 움직임이 제한되는 무빙 플레이트 상에 복수의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 일정 각도 회전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작동상태와 상기 제2 작동상태를 거친 후 일정 구간 하향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3 작동상태에 이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트 플레이트;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하부에 일정높이 구간에 걸쳐 설치되고, 중간 구간에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매개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에는 상기 락커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린더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선단은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형성된 작동공을 통해 상기 락커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제1힌지축과 결합되며, 상기 락커의 후방 끝단 부분에 설치되는 제2힌지축은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 상으로 결합된 링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의 다른 일단은 제3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의 전방 부분 하면에 대응하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 상에는 일정 높이의 락커 지지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무빙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는 탄성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무빙 플레이트 간에는 상단이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 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측에 고정 설치된 상기 스톱퍼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 됨을 인지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10.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상기 락커의 회전 작동시 상기 락커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 됨을 인지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0230024774A 2023-02-24 2023-02-24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5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774A KR102553523B1 (ko) 2023-02-24 2023-02-24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774A KR102553523B1 (ko) 2023-02-24 2023-02-24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523B1 true KR102553523B1 (ko) 2023-07-07

Family

ID=8715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774A KR102553523B1 (ko) 2023-02-24 2023-02-24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52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169A (ja) * 1995-11-29 1997-06-24 Otis Elevator Co 後退させる前にエレベータのかご/フロアロック装置から負荷を除去するプレトルク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80076066A (ko) * 2007-02-14 2008-08-20 이한성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KR20150007458A (ko) * 2013-07-11 2015-01-21 (주)새한트라비스엘리베이터 리프트 레벨 스톱퍼
KR101665520B1 (ko)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점차 작동식 비상정지장치
KR20160136700A (ko) * 2015-05-20 2016-11-30 임무섭 브러쉬를 이용한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분리장치
KR101832428B1 (ko) 2017-06-15 2018-02-26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09349B1 (ko) 2019-03-21 2019-08-1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N210655733U (zh) * 2019-10-22 2020-06-02 国新电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坠功能的电梯结构
KR102197421B1 (ko) 2019-05-27 2021-01-04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169A (ja) * 1995-11-29 1997-06-24 Otis Elevator Co 後退させる前にエレベータのかご/フロアロック装置から負荷を除去するプレトルク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80076066A (ko) * 2007-02-14 2008-08-20 이한성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KR20150007458A (ko) * 2013-07-11 2015-01-21 (주)새한트라비스엘리베이터 리프트 레벨 스톱퍼
KR20160136700A (ko) * 2015-05-20 2016-11-30 임무섭 브러쉬를 이용한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분리장치
KR101665520B1 (ko)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점차 작동식 비상정지장치
KR101832428B1 (ko) 2017-06-15 2018-02-26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엘리베이터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009349B1 (ko) 2019-03-21 2019-08-1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KR102197421B1 (ko) 2019-05-27 2021-01-04 주식회사 현대클러치 개문발차 방지 및 처짐 방지용 엘리베이터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CN210655733U (zh) * 2019-10-22 2020-06-02 国新电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坠功能的电梯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9963C (en) Safety device arrangement
WO2019176160A1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4664370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停止装置
CN109890737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US11560291B2 (en) Elevator arrangement to open the roof of an elevator car
KR101274421B1 (ko)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로크장치
US11655121B2 (en) Elevator car
CN113716431A (zh) 电梯轿厢、电梯和方法
US5816368A (en) Elevator cars switch hoistways while traveling vertically
KR101564880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유지장치
KR102553523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1400806B1 (ko)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KR102553526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장치
JP201004740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EP3530605B1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KR102596055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65777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KR102566204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KR100616017B1 (ko) 덤웨이터의 카 고정장치
CN115315403A (zh) 电梯的底坑梯子装置
CN216737087U (zh) 电梯防沉降装置及电梯轿厢控制装置
CN114249210A (zh) 电梯防沉降装置及电梯轿厢控制装置
KR102511910B1 (ko)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추락 및 처짐방지용 랙-기어형 제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