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846B1 -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846B1
KR102068846B1 KR1020137027155A KR20137027155A KR102068846B1 KR 102068846 B1 KR102068846 B1 KR 102068846B1 KR 1020137027155 A KR1020137027155 A KR 1020137027155A KR 20137027155 A KR20137027155 A KR 20137027155A KR 102068846 B1 KR102068846 B1 KR 10206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actuator
lifting
housing
brak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942A (ko
Inventor
다니엘 메이에르한스
파룩 오스만바시크
마르쿠스 쥬니그
마이클 게이슈에슬러
니콜라스 그레마우드
조세프 에이. 머프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8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0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rotatable eccentrically-mount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4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guide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승강 설비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가이드 레일(6)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실(2)이 배치되며, 이 승강실(2)에는 바람직하게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갖춘 제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동 요소(25), 제동면(7)에 대해 제동 요소(25)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힘 저장부(24), 및 제동 요소(25)에 작용할 수 있고 제1 작동 설정(B1)에서 상기 제동면(7)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힘 저장부(24)의 힘에 대해 상기 제동 요소(25)를 압박하거나 상기 제동면(7)으로부터의 간격에 상기 제동 요소(25)를 유지시키고, 제2 작동 설정(B2)에서 상기 제동면(7)에 대해 상기 제동 요소(25)의 가압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32)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제동면(7)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와 상기 제동면(7)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32)가 상기 제1 작동 설정(B1)와 대응하는 재설정 위치(B3)로 복귀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BRAKE DEVICE WITH ELECTROMECHANICAL ACTUATION}
본 발명은 승강실(lift cage)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 승강실을 제동하기 위한 방법, 및 승강실과 이러한 종류의 제동 장치를 갖는 승강 설비에 관한 것이다.
승강 설비는 건물 내에 설치된다. 이 설비는 지지 수단에 의해 균형추 또는 제2 승강실과 연결되는 승강실로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이 승강실은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승강실 또는 균형추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이 승강 설비는 단층 또는 여러 층에 걸쳐 건물 내부에서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승강 설비는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이 고장나는 경우 승강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승강실을 제동할 수 있는 제동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럽특허 제2058262호에 이러한 유형의 제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동 장치는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래치가 조절력에 대한 제동 모듈을 구속한다. 이 제동 장치는 래치가 제동 모듈과 분리된다는 점에서 작동된다. 이 래치는 재설정을 위해 다시 잠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실을 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제동 장치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해야 하며 간단한 방식으로 재설정 가능해야 한다. 또한, 검증된 기술에 기초해야 하며 단순해야 한다.
아래에 설명된 해결 수단은 상기한 요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필요한 경우 제동면과 협력하여 승강실을 지연 및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승강 제동 장치가 제안된다. 유리하게, 이 승강 제동 장치는 승강기의 카 예컨대 승강실 상에 배치되며, 이를 위해 제동면이 제공되는 가이드 레일과 협력할 수 있다. 제동면은 카의 안내를 위해 다기능적으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 승강 제동 장치는 구동부의 영역 내에 유사하게 또한 배치될 수 있으며, 제동면은 제동 디스크의 표면 또는 예컨대 케이블 면과 같은 케이블의 표면일 수도 있다.
승강 제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요소를 포함한다. 이 제동 요소는 자가-작동(self-energising)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동 요소는 편심기와 유사한 형상 또는 곡면을 확대시키는 다른 형태를 포함한다. 자가 작동은 제동 요소가 초기 힘에 의해 제동면까지 위로 이동된 후 자동으로 승강 제동 장치와 제동면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제동 세팅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제동 요소는, 바람직하게 회전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동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회전 베어링으로부터 곡면의 방사상 간격이 회전 각도에 걸쳐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 이 결과, 자가 작동은 제동 요소가 회전하는 경우 달성된다. 제동면까지 제동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초기 힘은 힘 저장부에 의해 제공된다. 이 힘 저장부는 바람직하게 압축형 스프링이다. 공압식, 유압식 또는, 각 사용 분야에 따라, 중량식 힘 저장부도 또한 분명히 고려된다. 승강 제동 장치는 제동 요소에 작용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정상 작동에서, 액추에이터는 제1 작동 설정에서 제동 요소를 유지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액추에이터는 제동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힘 저장부의 힘에 대해 제동 요소를 가압하거나, 제동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동 요소를 유지시킨다. 카의 비제동 이동이 따라서 가능하게 된다. 필요하다면, 액추에이터는 제동 요소를 풀어 주어, 힘 저장부가 제동 요소를 제2 작동 설정에 이르게 할 수 있고, 제동면에 대해 제동 요소를 가압하는 것이 일어날 수 있다. 제동 요소가 제동면에 대해 가압되자 마자, 제동 요소는 승강 제동 장치와 제동면 사이의 상대 이동이 동반된다. 이러한 동반을 통해 제동 요소는 이어서 제1 작동 설정과 대응하는 재설정 위치로 액추에이터를 복귀시키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다시 정상 작동과 대응하는 원래 위치로 배치된다. 이것은 제1 작동 설정과 대응하는 이러한 재설정 위치에서 액추에이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예컨대 전자석 또는 래치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유지 메커니즘만이 스위치 온되어야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추가의 재설정 작동 없이 재설정된다. 이에 따라 유지 메커니즘이 경제적인 디자인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동 요소는 제동 하우징 내에 병합된다. 힘 저장부 및 액추에이터는 이들이 제동 하우징을 통해 제동 요소에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이와 관련하여 제동 하우징은 수평으로 변위가능하고, 예컨대 지지부 내에 장착되고 유지되며, 액추에이터는 유사하게 이 지지부 내에 장착된다. 이것은 현재 채용되는 많은 승강 제동 장치가 심지어 이미 수평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흔히 장착되는 제동 하우징을 이미 구비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따라서, 제안되는 실시예는 공지된 승강 제동 장치에 부가함에 있어서 제동 하우징이 단순히 액추에이터에 의해 고정되고 힘 저장부에 의해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동 요소 자체는 제동면에 대해 수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제동 하우징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힘 저장부 및 액추에이터는 이들이 제동 요소에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이와 관련하여 제동 요소는 수평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제동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유리하게 제동 하우징 내에 유사하게 장착되는 액추에이터는 이제 제동면에 대해 제동 하우징 내에서 제동 요소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제동 요소의 자가 작동 특성으로 인해, 연속 작동의 경우에 제동 요소는 제동 하우징 내에 재설정되거나 뒤로 밀리게 되고 액추에이터가 이러한 재설정 이동을 따를 수 있어서, 제동 요소는 다시 원래의 정상 위치로 놓이게 된다.
변형 실시예에서 승강 제동 장치의 제동 요소는 회전 베어링에 의해 제동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동 요소의 곡선 형상은 예컨대 회전 베어링에 대해 편심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어 캠으로 형성되는 중심 클램핑 영역을 형성하여, 회전 베어링으로부터 클램핑 영역의 서로 따라가는 곡선 섹션까지의 간격이 회전 각도에 걸쳐 증가한다. 따라서, 회전 베어링의 축선이 제동 요소의 회전 동안 뒤로 변위하므로, 승강 제동 장치와 제동면 사이의 상대 이동의 경우에 자가 작동이 일어난다. 제1 변위 후에, 회전 베어링의 축선은 다시 제1 작동 설정에 대응하는 원래 위치에 도달하며 액추에이터는 이러한 재설정 이동을 뒤따를 수 있어서, 다시 원래의 정상 위치에 놓이게 된다.
승강 제동 장치와 제동면 사이의 추가의 상대 이동은 제동 요소가 다시 회전하는 효과를 가져서, 추가의 확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추가의 확대는 무엇보다 예컨대 충분한 클램핑 힘과 대응하는 제동력이 달성될 때까지 제동면과 마주하는 제동 플레이트가 제동 반대면을 향하여 끌려지고 다시 클램핑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추가의 확대는 명확히 회전 베어링의 축선이 다시 뒤로 변위되는 효과를 갖는다. 액추에이터가 대체로 제1 작동 설정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미 도달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작동 위치에서 제동 요소 또는 제동 하우징과 액추에이터 사이에 유극이 발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명백히 유지 메커니즘은 대응하는 후방 압박이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또한 장착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제동 요소는 중심 클램핑 영역과 연결되는 제1 제동 영역을 구비한다. 이것은 보다 높은 속도의 경우에 유리하다. 따라서, 편심기는 전체 제동 이동에 걸쳐 돌아갈 필요가 없지만, 제도 영역이 롤링과 확대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카가 제동 영역과 반대편 제동 플레이트의 제동력에 의해 정지된다. 제동 요소는 바람직하게 제1 제동 영역과 마주하는 중심 클램핑 영역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제동 영역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동 요소가 이동 방향에 따라 필연적으로 정확하게 이동되므로 양측에 작용하는 승강 제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의 변형예에서, 제동 요소는 제1 제동 영역 대신에 제동 슈를 구비한다. 제동 슈는 회전을 통해 예컨대 제동 요소의 제어 편심기에 의해 제동면에 대해 가압된다.
변형예에서, 승강 제동 장치는 제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이 제동 플레이트는 제동면 또는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이 제동 요소와 제동 플레이트 사이에 제 위치에 클램핑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유리하게 이 제동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스프링에 의해 제동 하우징 내에 고정된다. 제동 스프링은 제동되어야 하는 카의 질량에 따라 설계된다. 제동 요소의 기하학적 배치과 제동 스프링의 결과적인 항복(yielding)을 고려하면 강성도 또는 스프링 상수와 그 편향(bias)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 맞물림과 재설정 기능성이 제동 요소의 형상에 의해 촉발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제동력이 제동 스프링을 갖는 제동 플레이트의 디자인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전기자 플레이트를 갖는 클램핑 전자석을 포함한다. 제1 작동 설정에서 전자기 플레이트는 클램핑 전자석에 지지되며 이에 의해 전자기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제1 작동 설정에 유지되며 이에 따라 제동 요소가 제동면에 대해 주행 유극(transit play)을 가지면서 유지된다. 주행 유극이라는 것은 작동 위치에서 승강실 또는 균형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동 요소와 브레이크 레일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간극이다. 전자기 플레이트는 바로 전자석에 놓인다. 따라서, 필요한 자기장과 유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낮은 전류로 충분하다. 전자석의 전류 회로가 중단되면, 자기장이 약해지고 제동 요소가 제동면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는 제1 작동 설정과 대응하는 재설정 위치로 다시 오게 되는 방식으로 승강 제동 장치와 제동면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이동된다. 이 경우 전자기 플레이트는 전자석의 전류-전도 상태와 무관하게 클램핑 전자석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후속하는 승강 제동 장치의 재설정은 단순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단순히 전자석에 대한 전류 회로가 스위치 온 될 수 있다. 전자기 플레이트가 이미 전자석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전자기 플레이트 및 이에 따른 액추에이터가 즉시 고정된다. 전자석과 전자기 플레이트 사이의 공기 간극을 극복할 필요가 없다. 카의 후방 이동 및 이에 따른 승강 제동 장치의 후방 이동을 통해 제동 요소가 편향된 제동 위치에서 벗어나 제1 작동 설정으로 바로 이동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제1 작동 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제동면과 제동 요소 사이의 주행 유극이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액추에이터는 보조 중량물을 포함한다. 이 보조 중량물은 지속적으로 힘 저장부의 작용과 반대로 액추에이터를 압박하여 동반기(entrainer), 바람직하게 블로킹 롤러를 제동 요소 또는 제동 하우징과 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보조 중량물은 예컨대 이미 전자기 플레이트 자체의 중량일 수 있거나 또는 명확히 추가의 중량 요소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동 요소 또는 제동 하우징과 접촉 상태로 동반기, 바람직하게 블로킹 롤러를 유지시키는 보조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승강 제동 장치가 승강실을 갖는 승강 설비에 설치 또는 부착되고, 유리하게는 승강실에 직접 설치 또는 부착된다. 제동면은 가이드 레일의 직속 부품이며, 승강 제동 장치는 유지와 제동을 위해 가이드 레일의 웨브를 클램핑한다.
유리하게, 승강실에는 2개의 승강 제동 장치가 제공되며, 이들 승강 제동 장치는 승강실의 서로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에 작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들 2개의 승강 제동 장치는 동기화 로드에 의해 연결되며, 유리하게 각각의 승강 제동 장치는 각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중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 나머지 액추에이터가 동기화 로드에 의해 2개의 승강 제동 장치를 동기적으로 작동시키므로 승강 제동 장치의 안전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에서의 제동이 방지된다.
아래에, 도면과 연관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실례로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승강 설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승강 설비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작동 설정 상태의 승강 제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제2 작동 설정 상태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작동 설정에 대응하는 재설정 위치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클램핑 설정 상태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동 설정 상태의 도 3의 승강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구현된 승강 제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작동 설정 상태의 도 8의 제동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제1 작동 설정 상태의 도 8의 제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2 작동 설정 상태의 도 8의 제동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제2 작동 설정 상태의 도 8의 제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동 설정 상태의 도 8의 제동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제동 설정 상태의 도 8의 제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모든 도면에서 균등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승강 설비(1)의 전체 도면을 도시한다. 승강 설비(1)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건물 내에서 사람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이 승강 설비는 가이드 레일(6)을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실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승강실(2)에는,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가능한 한 정밀하게 승강실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슈(8)가 제공된다. 승강실(2)은 도어를 통해 건물에서 접근 가능하다. 구동부(5)는 승강실(2)을 구동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구동부(5)는 예컨대 건물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승강실은 예컨대 지지 케이블 또는 지지 벨트와 같은 지지 수단(4)에 의해 구동부(5)에 매달린다. 지지 수단은 구동부(5)에 의해 균형추(3)를 향해 안내된다. 균형추는 구동부(5)가 우선적으로 승강실(2)과 균형추(3) 사이에서 단지 불균형한 중량을 보상만 하도록 승강실(2)의 질량 성분을 보상한다. 실례에서, 구동부(5)는 건물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 구동부는 건물 내의 다른 위치에, 또는 승강실(2) 또는 균형추(3)의 영역에 또한 배치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승강실(2)에는 예기치 않게 이동하는 경우 또는 과속의 경우에 승강실(2)를 보호 및/또는 지연시키기에 적합한 제동 시스템이 장착된다. 실례에서, 제동 시스템은 승강실(2) 아래에 배치되며 전기식으로 작동된다(미도시). 이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기계적 속도 제한기가 제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승강 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동 시스템은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포함한다. 본 실례에서, 이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는 동기화 로드(15)에 의해 연결되어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는 함께 작동된다. 따라서, 일측면에서의 의도치 않은 제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는 바람직하게 구조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거울 대칭으로 구현되며, 이들은 필요한 경우 승강실(2)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작용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5)은 승강 제동 장치(20)와 협력하여 승강실(2)의 제동을 실행시킬 수 있는 제동면(7)을 포함한다. 동기화 로드(15)를 생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승강실의 양측에 배치되는 승강 제동 장치의 동시적인 촉발을 보장하는 전기적 동기화 수단이 이때 제안된다.
도 3은 승강 제동 장치(20)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동면(7)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동면(7)은 가이드 레일(6)의 부품이다.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1 작동 설정(B1)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설정에서,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동하지 않고, 즉 승강실(2)은 이동할 수 있다. 승강 제동 장치(20)는 슬라이드 연결부에 의해 미끄러지게 지지부(9) 내에 배치되는 제동 하우징(21)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지지부(9) 내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23)를 포함하며, 제동 하우징(21)은 가이드 로드(22)에 의해 이 슬라이딩 가이드(23) 내에 장착된다. 지지부(9)는 승강실(2)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 지지부(9)는 승강실(2)의 부품이다. 따라서, 승강실(2) 및 지지부(9)는 가이드 슈(8)에 의해 가이드 레일(6)을 따라 안내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 연결부가 명확히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제동 하우징(21)은 예컨대 지지부(9)의 슬라이드 트랙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거나, 피봇 베어링에 의해 승강실(2) 또는 지지부(9)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동 하우징(21)은 제동면(7)에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동 요소(25)가 제동 하우징(21) 내에 배치된다.
제동 요소(21)는 회전 베어링(28)에 의해 제동 하우징(21)과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동 요소(25)는 제1 클램핑 영역(26)을 구비한다. 제1 작동 설정(B1)에서 제동 요소(25)는 중앙 위치에 배치된다. 이 중앙 위치는 예컨대 중심 스프링(42)에 의해 설정된다. 도 3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중심 스프링(42)은 제동 요소(25)에 맞물려서 이 제동 요소(25)를 중심 위치로 낮은 힘으로 잡아 당긴다. 클램핑 영역(26)은 종축선(28a)으로부터 클램핑 영역(26)으로 방사상 간격(R)이 중심 위치에서부터 회전 각도(α)에 걸쳐 증가하는 방식으로 회전 베어링(28)의 종축선(28a)에 대해 구현되거나 곡선 형상을 그린다. 제동 영역(27.1, 27.2)이 클램핑 영역(26)과 연결된다. 이 제동 영역(27.1, 27.2)은 클램핑 영역(26)의 접선 연속부로서 클램핑 영역(26)과 꼭 맞게 인접한다. 본 실례에서, 제동 요소(25)는 클램핑 영역(26)의 2개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제동 영역(27.1) 및 제2 제동 영역(27.2)을 구비한다. 이 제동 요소는 양쪽 이동 방향으로의 제동을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영역(26)에는 제동면(7)을 갖는 클램핑 영역(26)의 양호한 파지(gripping)을 보장하도록 횡방향 홈(groove) 또는 널링(knurling)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제동 영역(27.1, 27.2)은 제동 라이닝으로 구현된다. 이것은 예컨대 세라믹, 소결된 물질 또는 경화된 브레이크 슈와 같은 특수 제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9) 내에는 액추에이터(32) 및 힘 저장부(24)가 배치된다. 이 액추에이터(32)는 블로킹 롤러(33) 또는 대응하는 동반기(entrainer)를 통해 제동 하우징(21)에 대해 따라서 제동 요소(25)에 대해 인접부를 형성한다. 힘 저장부(24)(실례에서 압축 스프링)는 제동 하우징(21) 및 이에 따른 제동 요소(25)를 액추에이터(32)에 대해 가압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6)에 대한 그리고 이에 따른 제동(7)에 대한 제동 요소(25)의 위치가 결정된다. 액추에이터(32)의 위치와 이에 따른 제동 요소(25)의 위치는 필요하다면 적합한 설정 수단에 의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2)는 유지 장치, 실례에서 클램핑 전자석(36) 및 연관된 전기자 플레이트(37)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동 요소(25)의 맞은 편에 제동 플레이트(30)가 배치된다. 제동 플레이트(30)는 제동 하우징(21) 내에 배치되며 제동 스프링(31)에 의해 제동 하우징(21) 내에 지지된다. 제동 플레이트(30)는 제동 플레이트(30) 및 제동 요소(25)에 의해 형성된 중간 공간 안으로 가이드 레일(6)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제동 플레이트(30)와 제동 요소(25) 사이의 공간은 가이드 레일(6) 또는 대응하는 제동면에 대해 충분한 주행 유극(S1, S1')이 보장되도록 제1 작동 위치(B1)에서 선택된다. 대안으로 제동 플레이트(30)는 제동 스프링에 의한 탄성 지지 없이 고정식 카운터-라이닝(counter-lining)으로서 명확하게 또한 구현될 수 있거나, 제동 쐐기(brake wedg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이동 방향에 따라 제동력의 추가의 확대를 달성할 수도 있다.
작동하는 경우 제동 요소(25)가 제동면(7)에 대해 강력하게 가압되어 제동면(7)과 제동 하우징(21) 사이의 상대 이동 시에 안전하게 동반되도록, 힘 저장부(24)의 압축력(pressing-on force)(F24)이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를 위해 적어도 대략 85 N(뉴튼)의 힘이 필요하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의 실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로드(15)에 의해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가 결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처럼 마찰 손실을 고려한다면, 본 실례에서, 액추에이터(32)의 유효 유지력(F32)은 대략 1000 N(뉴튼)이다. 따라서, 승강 제동 장치(20)가 진동으로 인해 작동되지 않도록 충분한 안전이 존재하며, 동시에 힘 저장부(24)는 어떠한 경우에도 승강 제동 장치(20)의 신뢰성 있는 작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히 강력하게 규모화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2)에서 대략 1:4의 레버 비율을 고려하면, 요구되는 자기 유지력(F36)은 대략 250 N이 된다. 대응하는 클램핑 전자석은 대략 20 mm(밀리미터)의 구조적 높이에 대해 대략 25 mm(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작동 시스템은 작은 규모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거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들 값의 상세 사항은 확실히 유용하다. 전문가는 관련되는 부품의 형상적 그리고 구조적 구현에 기초하여 이들을 형성할 것이다.
도 4에 명확하듯이 제1 단계에서 승강 제동 장치(20)의 작동에 대해, 클램핑 전자석(36)은 전류가 없도록 전환되며 전체 액추에이터(32)와 함께 전자기 플레이트가 자유롭다. 이로써 힘 저장부(24)의 압축력(F24)은 없고 대응하는 압축력(F21')에 의해 가이드 레일(6) 또는 대응하는 제동면(7)에 대항하여 제동 하우징(21) 및 이에 따른 제동 요소(25)를 가압한다. 회전 베어링(28)의 종축선(28a)은 따라서 주행 유극(S1)의 양으로 조절된다. 본 실례에서, 전체 제동 하우징(21)은 제동 요소(25)와 함께 변위되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의 반대측 상의 주행 유극(S2)이 따라서 증가한다.
제동면(7)과 제동 하우징(21) 사이의 후속하는 상대 이동에서, 압축력(F24)은 클램핑 영역(26)이 제동면(7)에 의해 동반되는 효과를 갖는다. 클램핑 영역(26)은 이를 위해 유리하게 구조화되거나 널링(knurling)된다. 클램핑 영역(26)을 동반하는 것을 통해 제동 요소(25)는 회전 축선(2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종축선(28a)으로부터 클램핑 영역(26)으로 방사상 간격(R)이 증가함에 따라 종축선(28a)은 원래 제1 작동 설정의 방향에서 뒤로 밀린다. 도 5에서, 뒤로 밀리는 도중에 종축선(28a)과 이에 따라 또한 제동 하우징(21)이 제1 작동 설정과 대응하는 위치를 어떻게 회복하는지가 명확하다. 액추에이터(32)의 중량 부합(weight matching)으로 인해 전기자 플레이트(37)는 다시 클램핑 전자석(36)에 놓인다. 이 중량 부합은 레버(35)의 배치, 전기자 플레이트(37) 및 가능한 보조 스프링(39) 또는 대응하는 보조 중량물(38)의 영향에 기인한다.
그러나, 도 6에 명확하듯이 클램핑 영역(26)은 추가로 회전하며,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플레이트(30)가 가이드 레일(7)에 대해 유사하게 놓이고 제동 영역(27.1)이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제동 하우징(21)을 뒤로 밀어낸다. 이러한 작용 지점까지 종축선(28)과 이에 따라 동일하게 제동 하우징(21)은 추가로 재설정되었고, 이로써 결국 제동 플레이트(30)의 제동 스프링(31)이 인장된다. 이 방식으로 형성되는 레일(6)의 제동면(7)에 대한 제동 플레이트(30)와 제동 영역(27.1)의 압축력을 통해, 승강실(2)의 제동이 최종적으로 발생한다.
도 6 및 도 7에 명확하듯이, 액추에이터(32)가 재설정 위치에 도달한 후에, 즉 전기자 플레이트(37)가 클램핑 전자석(36)에 놓이면, 제동 하우징(21)은 필요하다면 액추에이터(32) 또는 그의 블로킹 롤러(33)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승강 제동 장치(20)의 제동 설정에서 액추에이터(32)가 제1 작동 설정과 대응하는 재설정 위치(B3)에 다시 있게 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승강 제동 장치(20)가 이제 정지되는 한에 있어서, 제1 단계와 같이 클램핑 전자석(36)의 유지 전류가 스위치 온(switch on)될 수 있다. 이로써 액추에이터(32)는, 클램핑 전자석(36)이 공기 간극 또는 다른 형태의 재설정 에너지를 생성할 필요 없이, 고정되거나 유지된다.
재설정을 위해, 상기한 제동 방향과 반대로 단순히 승강실(2)을 뒤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요소(25)는 뒤로 회전하고 제동 하우징(21)은 힘 저장부(24) 및 고정된 액추에이터(32)에 의해 제1 작동 설정(B1)으로 설정된다. 제동 요소(25)는 그 자체가 예컨대 중심 스프링(42)에 의해 중심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도 8 내지 도 14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예컨대 독일특허공보 제2139056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안전 제동 장치가 승강 제동 장치 내에 일체화된다. 승강 제동 장치(20)는 승강실(2)의 구조 내로 일체화된다. 승강실(2)은 또한 가이드 레일(도시 안됨)을 따라 승강실의 안내를 위해 제공되는 가이드 슈(8)를 포함한다. 승강 제동 장치(20)는 회전 축선(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동 하우징(21) 내에 장착되는 제어 편심기(25.1) 및 제동 슈(25.2)의 형태로 클램핑 영역을 갖는 제동 요소(25)를 포함한다. 동기화 레버(16)를 갖는 동기화 로드(15)는 승강실(2)의 다른 쪽에 배치된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연결한다. 이로써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동기화 로드에 제어 편심기(25.1)의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중심부(도시 안됨)를 선택적으로 또한 제공할 수 있고, 동기화 로드의 회전과 이에 따른 승강 제동 장치(20)의 작동 설정을 생성시킬 수 있는 스위치(도시 안됨)가 제공될 수 있다.
제동 하우징(21)은 지지부(9)를 통해 승강실(2)에 고정되며, 여기서 가이드 로드(22)는 지지부(9) 및 가이드 레일(6)에 대해 제동 하우징(21)의 측면 또는 수평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정상 작동 또는 제1 작동 설정(BP1)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요소(25) 및 제동 플레이트(30)는 가이드 레일(6)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9는 이와 관련된 후방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1 작동 설정(BP1)에서의 승강 제동 장치(2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액추에이터(32)는 클램핑 전자석(36)에 의해 고정되며 액추에이터(32)의 블로킹 롤러(33)는 제1 작동 설정에서 힘 저장부(24)에 의해 생성된 유효 힘(F24)에 대해 설정식 인접부(21.1)를 통해 제동 하우징(21)을 유지한다. 설정식 인접부(21.1)의 대안으로서, 제동 하우징(21)의 위치는 블로킹 롤러(33)를 통해 또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로킹 롤러(33)는 예컨대 편심으로 형성된 축에 의해 블로킹 레버(35)에 고정될 수 있다. 블로킹 롤러(33)의 이러한 축의 회전을 통해, 지지부(29) 내의 제동 하우징(21)의 측면 위치와 이에 따른 제동면(7) 또는 가이드 레일(6)에 대한 위치가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다.
클램핑 전자석(36)은 승강 제동 장치의 작동을 위해 스위치 오프된다. 결국,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 롤러는 더 이상 블로킹 힘을 제공할 수 없고, 이로써 힘 저장부(35)는 가이드 레일(6)의 제동면(7)에 대해 제동 요소(25)와 함께 제동 하우징(21)을 압박할 수 있다. 제동 하우징의 조절로 인해 제동 요소(25)와 제동면(7) 사이의 유극이 제거되는 반면, 제동 플레이트(30)와 레일(6) 사이의 유극(S1+S1')이 제1 작동 단계에서 증가되는 것이 또한 명확하다.
제동 요소(25)와 가이드 레일(6) 사이의 상대 이동을 통해, 제동 요소(25)의 제어 편심기(25.1)가 회전하고 제동 슈(25.2)가 가이드 레일(6)의 제동면(7)에 대해 제어 편심기(25.1)에 의해 가압되어(도 8 참조), 승강실(2)의 제동이 발생한다. 명확하게, 이와 관련하여 제동 플레이트(30)는 제동 하우징(21)을 통해 위로 당겨져서, 가이드 레일(6)이 제동 플레이트(30)와 제동 슈(25.2) 사이에서 제 위치에 클램핑되고 동시에 제동 하우징(21)이 제1 작동 설정의 방향으로 다시 뒤로 밀리게 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32)의 보조 중량물(38)은 액추에이터(32)가 정상 작동과 대응하는 원래 위치에 다시 배치될 때까지 액추에이터(32)가 이러한 재설정을 따르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제1 작동 설정(B1)과 대응하는 이러한 재설정 위치(B3)에 액추에이터를 고정하기 위한 예컨대 전자석 또는 래치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유지 메커니즘이 단지 스위치 온되어야 하며, 이로써 액추에이터(32)가 추가의 재설정 작용 없이 재설정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유지 메커니즘은 경제적 디자인이 될 수 있다. 승강 제동 장치(20)가 도 13 및 도 14에 제동 설정 상태로 도시되며,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는 정상 작동에 해당하는 위치(B3)로 복귀하여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은 전문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동부는 승강실(2)의 위 또는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제동 쌍이 승강실(2)에 사용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또한 여러 승강실을 갖는 승강 설비에 분명히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승강실 각각은 상술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제동 장치를 구비한다. 필요하다면, 제동 장치는 또한 균형추(3)에 부착될 수 있거나, 자체 추진 승강실에 부착될 수 있다.

Claims (14)

  1. 제동면(7) 상에서, 가이드 레일(6) 내에 일체화된 제동면(7) 상에서 승강실(2)을 제동하기 위한 승강 제동 장치(20)로서,
    제동 하우징(21),
    회전 베어링(28)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동 하우징(21)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베어링(28)으로부터 곡선부(25.1, 26)까지의 방사상 간격(R)이 회전 각도(α)에 걸쳐 증가하도록 상기 회전 베어링(28)에 대해 형상화되는 곡선부 형상(25.1, 26)을 갖는 제동 요소(25),
    제동면(7)에 대한 힘(F24)에 의해 상기 제동 요소(25)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힘 저장부(24), 및
    제1 작동 설정(B1)에서 상기 제동면(7)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힘 저장부(24)의 힘에 대해 상기 제동 요소(25)를 압박하거나 상기 제동면(7)으로부터의 간격에 상기 제동 요소(25)를 유지시키고, 제2 작동 설정(B2)에서 상기 제동면(7)에 대해 상기 제동 요소(25)의 가압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동 요소(25)에 작용하는 액추에이터(32)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제동면(7)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와 상기 제동면(7)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32)가 상기 제1 작동 설정(B1)와 대응하는 재설정 위치(B3)로 복귀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되는, 승강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제동 하우징(21) 내에 병합되고, 상기 힘 저장부(24) 및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제동 하우징(21)을 통해 상기 제동 요소(25)에 작용하는, 승강 제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하우징(21)은 지지부(9) 내에 수평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 및 유지되며,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지지부(9) 내에 장착되는, 승강 제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회전 베어링(28)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동 하우징(21)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동 요소(25)의 곡선부 형상은 상기 회전 베어링(28)으로부터 중심 클램핑 영역(26)까지의 방사상 간격(R)이 회전 각도(α)에 걸쳐 증가하도록 상기 회전 베어링(28)에 대해 편심으로 형상화되는 중심 클램핑 영역(26)을 구비하는, 승강 제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중심 클램핑 영역(26)과 연결되는 제1 제동 영역(27.1)을 구비하며,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제1 제동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중심 클램핑 영역(26)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제동 영역(27.2)을 구비하는, 승강 제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회전 베어링(28)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동 하우징(21) 내에 장착되며 곡선 형상을 갖는 제어 편심기(25.1)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편심기(25.1)의 곡선 형상은 상기 제어 편심기(25.1)의 곡선 형상으로부터 상기 회전 베어링(28)의 방사상 간격(R)이 회전 각도(α)에 걸쳐 증가하도록 상기 회전 베어링(28)에 대해 편심으로 형상화되며, 제동 슈(25.2)는 상기 제어 편심기(2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동면(7)에 대해 가압될 수 있는, 승강 제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제동면(7) 또는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6)이 상기 제동 요소(25)와 제동 플레이트(30)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동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는, 승강 제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플레이트(30)는 제동 스프링(31)에 의해 상기 제동 하우징(21) 내에 고정되는, 승강 제동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전기자 플레이트(37)를 갖춘 클램핑 전자석(3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 설정(B1)에서 상기 전기자 플레이트(37)는 상기 클램핑 전자석(36)을 지지하며 상기 클램핑 전자석(36)에 의해 전자기적으로 유지되며, 상기 전기자 플레이트(37)는 상기 액추에이터(32)가 복귀 이동이 일어날 때 상기 제1 작동 설정(B1)과 대응하는 상기 재설정 위치(B3)로 오게 되는 경우 상기 클램핑 전자석(36)의 무전류 상태에서 상기 전기자 플레이트(37)과 또한 접촉하게 되는, 승강 제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제1 작동 설정(B1)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정 가능한, 승강 제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제동 요소(25) 또는 상기 제동 하우징(21)과 접촉 상태로 동반기, 블로킹 롤러(33)를 유지시키는 보조 중량물(38)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제동 요소(25) 또는 상기 제동 하우징(21)과 접촉 상태로 동반기, 블로킹 롤러(33)를 유지시키는 보조 스프링(39)을 포함하는, 승강 제동 장치.
  12. 승강실(2), 상기 승강실(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및 제6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승강 제동 장치(20)를 구비하는 승강 설비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6) 내에 제동면(7)이 일체화되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필요한 경우 상기 가이드 레일(6)의 제동면(7)에 작용하는, 승강 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2)에는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가 제공되며, 상기 승강 제동 장치(20)는 상기 승강실(2)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6)에 작용가능하며, 상기 2개의 승강 제동 장치(20)는 동기화 로드(15)와 연결되는, 승강 설비.
  14. 가이드 레일(6) 내에 일체화된 제동면(7) 상에서 승강 설비 내의 승강실(2)을 제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추에이터(32)를 정지시키는 단계,
    힘 저장부(24)에 의해 제동면(7)에 대해 제동 요소(25)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제동 요소(25)가 상기 액추에이터(32)를 상기 액추에이터(32)의 제1 작동 설정과 대응하는 재설정 위치(B3)로 강제로 복귀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제동 요소(25)와 상기 제동면(7)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제동 요소(25)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32)는 제1 작동 설정(B1)에서 상기 제동면(7)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힘 저장부(24)의 힘에 대해 상기 제동 요소(25)를 압박하거나 상기 제동면(7)으로부터의 간격에 상기 제동 요소(25)를 유지시키고, 제2 작동 설정(B2)에서 상기 제동면(7)에 대해 상기 제동 요소(25)의 가압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동 요소(25)는 상기 제동면(7)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동 요소(25)와 상기 제동면(7)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32)가 상기 제1 작동 설정(B1)에 대응하는 상기 재설정 위치(B3)로 복귀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되는, 승강 설비 내의 승강실을 제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37027155A 2011-09-30 2012-09-21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KR102068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3387 2011-09-30
EP11183387.7 2011-09-30
PCT/EP2012/068636 WO2013045358A1 (de) 2011-09-30 2012-09-21 Bremseinrichtung mit elektromechanischer betätig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942A KR20140082942A (ko) 2014-07-03
KR102068846B1 true KR102068846B1 (ko) 2020-01-21

Family

ID=4687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155A KR102068846B1 (ko) 2011-09-30 2012-09-21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120643B2 (ko)
EP (1) EP2760776B1 (ko)
KR (1) KR102068846B1 (ko)
CN (1) CN103648954B (ko)
BR (1) BR112013018122B1 (ko)
ES (1) ES2566063T3 (ko)
MX (1) MX341637B (ko)
WO (1) WO2013045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3754A1 (de) * 2010-03-18 2011-09-22 Inventio Ag Aktuator zu einer bremseinrichtung und eine aufzugsanlage
EP2688825A4 (en) * 2011-03-22 2014-12-03 Otis Elevator Co ELEVATOR BRAKE SYSTEM
BR112013024797A2 (pt) * 2011-05-30 2016-12-20 Inventio Ag freio de elevador controlável
AU2012344215B2 (en) * 2011-11-29 2017-08-03 Inventio Ag Safety brake with resetting means
KR102036941B1 (ko) * 2012-03-20 2019-11-26 인벤티오 아게 리프트 시스템에서의 캐치 디바이스
BR112015011997B1 (pt) * 2012-11-27 2022-01-18 Inventio Ag Freio de segurança para um sistema de elevador com pelo menos um corpo móvel e método para a frenagem e retenção de um corpo móvel de um sistema de elevador
ES2622712T3 (es) * 2012-12-13 2017-07-07 Inventio Ag Dispositivo paracaídas para una planta de ascensor
EP2837592A1 (en) 2013-08-13 2015-02-18 Aplicaciones Electromecanicas Gervall, S.A. Driving system for a lift safety gear
DE102014206461A1 (de) * 2014-04-03 2015-10-08 Thyssen Krupp Elevator Ag Aufzug mit einer Bremsvorrichtung
CN106687404B (zh) * 2014-09-24 2019-09-10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制动器
DE102014116281A1 (de) * 2014-11-07 2016-05-12 Thyssenkrupp Ag Aufzug mit einer Bremsvorrichtung
EP3233707A1 (de) * 2014-12-17 2017-10-25 Inventio AG Dämpfereinheit für einen aufzug
CN107848750B (zh) * 2015-08-04 2020-04-07 奥的斯电梯公司 用于致动电梯安全制动器的装置和方法
GB2544112B (en) * 2015-11-09 2018-01-03 Ford Global Tech Llc Sliding door brake assembly
CN108367892B (zh) * 2015-12-07 2020-05-26 奥的斯电梯公司 鲁棒性电气安全致动模块
DE102016200593A1 (de) * 2016-01-19 2017-07-20 Thyssenkrupp Ag Bremsein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s Aufzugsystems
CN207078874U (zh) * 2016-02-08 2018-03-09 刘伟强 一个保持电梯轿厢于垂直位置的系统
JP6525363B2 (ja) * 2016-03-04 2019-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動装置
US20170275136A1 (en) * 2016-03-24 2017-09-28 Home Conveyance Safety Ltd. Emergency fall arresting system
DE202016103895U1 (de) * 2016-07-19 2017-10-20 Wittur Holding Gmbh Betätigungsorgan für eine Aufzugs-Bremseinrichtung
CN106276619B (zh) * 2016-10-18 2017-12-26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起吊设备的安全绳保护装置及起吊设备
US10889468B2 (en) 2016-12-13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s safety actuator
US10569993B2 (en) * 2017-03-29 2020-02-25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actuation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US10562739B2 (en) * 2017-08-25 2020-02-18 Otis Elevator Company Synchronized electronic safety actuator
US11078045B2 (en) * 2018-05-15 2021-08-03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actuator for lifting a safety wedge of an elevator
CN110857210B (zh) * 2018-08-22 2023-07-07 通力股份公司 电梯安全制动器、电梯和用于测试电梯安全制动器的方法
US10822200B2 (en) 2018-10-12 2020-11-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actuator systems
CN111170114B (zh) * 2018-11-13 2021-05-2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快速响应电梯制动装置及电梯
EP3670414B1 (en) * 2018-12-20 2023-06-14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safety gear trigger and reset system
EP3898481A1 (de) * 2018-12-21 2021-10-27 Inventio AG Aufzugssystem-anordnung mit einer aufzugsbremseinrichtung
DE102019104339A1 (de) * 2019-02-20 2020-08-20 Thyssenkrupp Ag Auslösesystem für eine Fangvorrichtung,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US11912535B2 (en) 2019-09-30 2024-02-27 Inventio Ag Brake device
KR20220084065A (ko) * 2019-10-31 2022-06-21 인벤티오 아게 총합 부하 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브레이크 디바이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의 그의 용도, 및 방법
WO2021242193A1 (en) * 2020-05-29 2021-12-02 Bulut Maki̇na Asansör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A brake synchronization mechanism for dual rail lifts
CN114704565A (zh) * 2022-03-17 2022-07-05 安波福连接器系统(南通)有限公司 制动件、制动装置和制动系统
CN115092789B (zh) * 2022-08-25 2022-11-11 河南起升智能科技有限公司 防意外移动装置、防意外移动组件和电梯
CN115973892A (zh) * 2023-02-09 2023-04-18 宁波梅港码头有限公司 一种集装箱装卸设备监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6361A (en) * 1970-07-21 1972-12-19 Dresser Ind Safety brake
US3783978A (en) * 1972-07-24 1974-01-08 Elevator Safety Co Stop control for elevators
FI85129C (fi) * 1989-12-14 1992-03-10 Kone Oy Faongapparat.
JP2529771B2 (ja) * 1990-11-06 1996-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プレスリニアモ―タエレベ―タ―
JP2710464B2 (ja) * 1990-11-30 1998-02-10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電磁ブレーキ
JPH04365771A (ja) * 1991-06-13 1992-12-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3090809B2 (ja) * 1993-03-05 2000-09-25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
US5467850A (en) * 1993-12-16 1995-11-21 Otis Elevator Company Permanent magnet, magnetodynamic safety brake for elevators and the like
US6499933B2 (en) * 1997-04-03 2002-12-31 Tokyo Electron Limited Elevating mechanism, carrier conveying apparatus and heat treatment installation
DE59806027D1 (de) * 1997-08-21 2002-11-28 Aufzugstechnologie Schlosser G Bremsfangvorrichtung
US5819879A (en) * 1997-11-06 1998-10-13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US6173813B1 (en) * 1998-12-23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control for an elevator braking system
JP2001019292A (ja) * 1999-06-25 2001-01-23 Inventio Ag 鉛直搬送装置の荷重支持手段の鉛直方向変位と鉛直方向振動とを防止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4987213B2 (ja) * 2001-06-29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JP2004262652A (ja) * 2002-09-23 2004-09-24 Inventio Ag エレベータ用の安全装置
MY135853A (en) * 2003-02-04 2008-07-31 Inventio Ag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EP1607359B1 (en) * 2003-03-24 2009-1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ATE508980T1 (de) * 2003-06-16 2011-05-15 Inventio Ag Seilbremse für einen aufzug
ES2357573T3 (es) * 2003-10-07 2011-04-27 Otis Elevator Company Dispositivo de parada de emergencia sin cables que se puede reiniciar de forma remota para un ascensor.
CA2543381C (en) * 2004-03-30 2009-06-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 apparatus
GB0410841D0 (en) * 2004-05-14 2004-06-16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A parking brake assembly
CN1795137B (zh) * 2004-05-25 2011-12-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紧急停止装置
ES2537756T3 (es) * 2004-12-03 2015-06-11 Otis Elevator Company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so en un sistema de elevador
ATE504532T1 (de) * 2006-11-08 2011-04-15 Otis Elevator Co Aufzugbremsvorrichtung
MY143851A (en) * 2006-12-05 2011-07-15 Inventio Ag Braking device for holding and braking a lift cabin in a lift facility
US8517150B2 (en) * 2007-01-05 2013-08-27 Inventio Ag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nd braking an elevator car
JP2010514645A (ja) * 2007-01-05 2010-05-06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エレベーターボックスの領域内にこのエレベーターボックスを保持および制動するためのブレーキ装置を配置したエレベーターボックスを有する昇降システム及びこの形式のエレベーターボックスを保持および制動する方法
KR101124931B1 (ko) * 2007-09-28 2012-03-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DE502007007014D1 (de) * 2007-11-12 2011-06-01 Thyssenkrupp Elevator Ag Bremsvorrichtung zum Bremsen eines Fahrkorbs
WO2011113754A1 (de) * 2010-03-18 2011-09-22 Inventio Ag Aktuator zu einer bremseinrichtung und eine aufzugsanlage
US9169104B2 (en) * 2010-12-17 2015-10-27 Inventio Ag Activating a safety gear
EP2651810B1 (de) * 2010-12-17 2015-03-25 Inventio AG Einrichtung für die betätigung und die rückstellung einer fangvorrichtung
CA2816359C (en) * 2010-12-17 2019-02-19 Inventio Ag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unintended departure of a lift cage from standstill
KR101997300B1 (ko) * 2011-09-30 2019-10-01 인벤티오 아게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WO2013060597A1 (de) * 2011-10-27 2013-05-02 Inventio Ag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einen aufzug
AU2012344215B2 (en) * 2011-11-29 2017-08-03 Inventio Ag Safety brake with resetting means
US9598264B2 (en) * 2011-12-07 2017-03-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afety device mounting method
US20130175120A1 (en) * 2012-01-06 2013-07-11 Thyssenkrupp Access Manufacturing, Llc Residential elevator
WO2013120824A1 (de) * 2012-02-17 2013-08-22 Inventio Ag Bremssystem mit variabler reibung
KR102036941B1 (ko) * 2012-03-20 2019-11-26 인벤티오 아게 리프트 시스템에서의 캐치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66063T3 (es) 2016-04-08
CN103648954B (zh) 2016-01-20
CN103648954A (zh) 2014-03-19
US20150329324A1 (en) 2015-11-19
WO2013045358A1 (de) 2013-04-04
KR20140082942A (ko) 2014-07-03
EP2760776B1 (de) 2015-06-03
BR112013018122B1 (pt) 2021-03-09
MX341637B (es) 2016-08-25
US9120643B2 (en) 2015-09-01
US20130081907A1 (en) 2013-04-04
MX2014003700A (es) 2014-07-28
US9828213B2 (en) 2017-11-28
BR112013018122A2 (pt) 2016-11-08
EP2760776A1 (de)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846B1 (ko)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KR101997300B1 (ko)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CN108473279B (zh) 用于升降系统的轿厢的制动装置
CA2892539C (en) Catching device for a traveling body of an elevator system
JP5026743B2 (ja) プログレッシブ安全装置
CA2441989C (en) Safety gear for elevators
US9688511B2 (en) Brake
US9919899B2 (en) Actuation of a safety brake
JP2016540705A (ja) エレベータ用の安全ブレーキ
KR20140002760A (ko) 엘리베이터 제동 시스템
CN109019229B (zh) 电梯制动控制装置及电梯
KR20090122934A (ko) 승강기
JP2006341953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AU2019406965B2 (en) Lift system arrangement with a lift brake device
AU2020402079B2 (en) Brake device, e.g. with a wedge-shaped brake element, for braking a travelling body that can be moved in a guided manner along a guide rail in a movement direction
CN109775508B (zh) 紧急制动装置及具有该紧急制动装置的电梯系统
CN113879935A (zh) 安全钳装置、电梯系统和用于操作电梯系统的安全钳的方法
EP3517473A1 (en) Inertia brake for braking a governor rope of a governor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