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666A - 수면의 질 개선제 - Google Patents

수면의 질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666A
KR20140082666A KR1020147007817A KR20147007817A KR20140082666A KR 20140082666 A KR20140082666 A KR 20140082666A KR 1020147007817 A KR1020147007817 A KR 1020147007817A KR 20147007817 A KR20147007817 A KR 20147007817A KR 20140082666 A KR20140082666 A KR 2014008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extract
quality
improving
dihydroquerce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우라데
토시오 고키타
이쿠코 카마다
키와무 스즈키
미치아키 무라코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신체에의 안전성이 보증되어 있는 수면의 질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주물푸레나무 등의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또는 나링게닌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및, 상기 수면의 질 개선제를 함유하는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면의 질 개선제{AGENT FOR IMPROVING QUALITY OF SLEEP}
본 발명은, 수면(睡眠)의 질(質)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수면은, 대뇌의 활동이 거의 정지하고 있는 논렘수면과 전신은 탈력(脫力) 상태에 있지만 뇌의 일부는 활발하게 활동하고 꿈을 꾸고 있는 렘수면의 2종으로 대별된다. 이 2종의 잠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고, 잠이 형성된다(도 1). 양질의 수면에는, 취침부터 논렘수면 출현까지의 시간(입면잠시(入眠潛時))이 짧고, 충분한 논렘수면시간과 깊은 논렘수면, 특히 수면 초기의 충분히 깊은 논렘수면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근래, 24시간 사회화가 진행함에 따라, 일본인의 평균 수면시간은 크게 감소하고, 그와 함께, 수면에의 불만을 호소하는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1996년의 건강 만들기에 관한 의식(意識) 조사에 의하면, 21.4%의 사람이 어떠한 수면에의 불만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고령자에게서는 저연령자와 비교하여 논렘수면시간이 크게 감소하고 있고, 나이를 먹음에 따라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수면에 대한 불만으로서, 예를 들면, 잠들기가 어려운, 악몽을 꾸는, 아침 일어난 때 졸음이 오는, 푹 잔 느낌이 들지 않고, 아침에 일어나도 피로가 남아 있는, 주간에 졸음을 느끼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일의 효율이 저하되거나, 생각지 않은 사고에 이어지거나 한다. 이들의 원인으로서, 수면시간이 짧은 것만이 아니라, 양질의 수면을 얻을 수가 없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취침부터 논렘수면 출현까지의 시간(입면잠시)이 길거나, 논렘수면의 시간이 짧거나, 깊은 논렘수면을 얻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들에 대해 의약품인 수면약의 사용이 생각된다. 그러나, 수면약을 이용할 때에는 의사의 진단이 필요하다. 수면약에는 잠깨기 어려움, 기억 장애, 의존성 등의 부작용이 있다. 이와 같이 수면약은, 간단하게 안전하게 이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또한, 의약품의 수면약의 중에는, 벤조디아제핀계 수면약, 바르비투르산계 수면약과 같이, 논렘수면을 감소시키는 의약품도 있어서,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일도 있다.
의약품 이외로는, 천연 성분이나 음식품으로부터의 수면 개선제의 연구 개발이 왕성하게 행하여지고 있고, 여러가지의 수면 개선제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면 개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지과 위자니아속 식물 유래 성분(특허 문헌 1), 추망초(秋忘草)의 발효 처리물(특허 문헌 2), 차잎 유래의 테아민(특허 문헌 3), 고려 인삼 엑기스(비특허 문헌 1)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입면잠시나 논렘수면의 시간과 깊이에 대한 이들의 성분의 효과는 분명하지가 않고,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작용은 충분하지가 않다.
물푸레나무속 식물(fraxinus)은, 북반구에 분포한 목서(木犀)과의 쌍자엽 식물이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중, 구주물푸레나무의 종자의 추출 엑기스에 포함되는 세코이리도이드류는, 혈압 강하 작용, 체중 감소 작용, 체지방 감소 작용, 인슐린 분비의 조정 작용 등의 생리 작용을 가지며, 메티볼릭신드롬, 2형(型)당뇨병, 고인슐린혈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 문헌 4).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6-2805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2006-62998호 공보 특허 문헌 3 : 국제공개 제2005/097101호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표 2011-503009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 Young Ho Rhee, et al., Psychopharmacology, 101, p. 486-488(1990)
그렇지만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가, 수면의 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신체에의 안전성이 보증되어 있는 수면의 질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물푸레나무속 식물 및 그 추출 엑기스에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발견하였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및 그 성분인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에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의거한 것이다.
[1]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2]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3] 물푸레나무속 식물이 구주물푸레나무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4]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가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5]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가, 구주물푸레나무의 종자의 추출 엑기스인 상기 [4]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6]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7]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8] 입면잠시를 단축하는 상기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9]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을 깊게 하는 상기 [1] 내지 [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0] 수면시간 전체에 차지하는 논렘수면시간의 비율을 증가하는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1]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을 개선하는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2] 잠들기와 숙면감을 개선하는 상기 [1] 내지 [1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3] 꿈 꾸기를 개선하는 상기 [1] 내지 [1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4] 피로감을 개선하는 상기 [1] 내지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5] 수면시간의 만족감을 개선하는 상기 [1] 내지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6] 상기 [1] 내지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를 함유하는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
[17]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18]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19]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이하와 같다.
[1-1]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1-2] 물푸레나무속 식물이 구주물푸레나무인 상기 [1-1]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3]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가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인 상기 [1-1]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4] 입면잠시를 단축하는 상기 [1-1] 내지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5]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을 깊게 하는 상기 [1-1] 내지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6] 수면시간 전체에 차지하는 논렘수면시간의 비율을 증가하는 상기 [1-1] 내지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7]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을 개선하는 상기 [1-1] 내지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8] 잠들기와 숙면감을 개선하는 상기 [1-1] 내지 [1-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9] 꿈 꾸기를 개선하는 상기 [1-1] 내지 [1-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10] 피로감을 개선하는 상기 [1-1] 내지 [1-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11] 수면시간의 만족감을 개선하는 상기 [1-1] 내지 [1-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12]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가, 구주물푸레나무의 종자의 추출 엑기스인 상기 [1-1] 내지 [1-1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1-13] 상기 [1-1] 내지 [1-1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를 함유하는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
[1-14]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이하와 같다.
[2-1]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2-2]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2-3]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을 개선하는 상기 [2-1] 또는 [2-2]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2-4] 잠들기와 숙면감을 개선하는 상기 [2-1] 내지 [2-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2-5] 꿈 꾸기를 개선하는 상기 [2-1] 내지 [2-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2-6] 피로감을 개선하는 상기 [2-1] 내지 [2-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2-7] 수면시간의 만족감을 개선하는 상기 [2-1] 내지 [2-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
[2-8] 상기 [2-1] 내지 [2-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를 함유하는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
[2-9]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2-10]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으로서 유용한, 수면의 질 개선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의 성분인,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신체에의 안전성도 보장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면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례 1-1 및 비교례 1-1에서의, 샘플 투여 후 8.5시간의 마우스의 누적 행동량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례 1-2 및 비교례 1-2의, 각각의 수면 스테이지의 비율(각성 및 논렘수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비교례 1-3에 대한 실시례 1-3의, 입면잠시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비교례 1-3에 대한 실시례 1-3의, 수면 초기의 델타파 파워값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비교례 1-3에 대한 실시례 1-3의, 인자(I)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비교례 1-3에 대한 실시례 1-3의, 인자(Ⅱ)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비교례 1-3에 대한 실시례 1-3의, 인자(Ⅲ)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비교례 1-3에 대한 실시례 1-3의, 인자(Ⅳ)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비교례 1-3에 대한 실시례 1-3의, 인자(V)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비교례 1-3에 대한 실시례 1-3의, 피로감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례 2-1 및 비교례 2-1에서의, 샘플 투여 후 6시간의 마우스의 누적 행동량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례 2-2 및 비교례 2-2에서의, 샘플 투여 후 6시간의 마우스의 누적 행동량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비교례 2-3에 대한 실시례 2-3의, 인자(I)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비교례 2-3에 대한 실시례 2-3의, 인자(Ⅱ)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비교례 2-3에 대한 실시례 2-3의, 인자(Ⅲ)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비교례 2-3에 대한 실시례 2-3의, 인자(Ⅳ)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비교례 2-3에 대한 실시례 2-3의, 인자(V)의 점수의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로서는,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로서는,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로서는,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를 들 수 있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이란 물푸레나무속의 식물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하고,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란, 물푸레나무속 식물로부터 추출된 엑기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효 성분으로서, 물푸레나무속 식물, 및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투여의 용이성 및 제제화의 용이성의 면에서,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푸레나무속(Fraxinus속)식물은, 목서(木犀)과(Oleaceae)의 쌍자엽 식물이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에는, 낙엽 및 상록의 것, 고목 및 저목의 것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은 예를 들면 북반구(예를 들면 유럽, 동아시아, 서아시아, 북미 및 지중해 지방)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 이외의 지역에 분포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천연에 서식하는 것이라도 인공적으로 재배된 것이라도 좋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예로서는, 아메리카물푸레(F. americanaL.), 차이나물푸레(F. chinensis Roxb.), 구주물푸레나무(F. excelsiorL., 관용명 CommonAsh 또는 European Ash), 시마물푸레(F. griffithⅡC. B. Clarke), 물푸레(F. japonicaBl.), 히메물푸레(F. bungeanaDC.) 케아오다모(F. lanuginosaKoid.), 야치다모(F. mandshuricaRupr. var. japonicaMaxim.), 만나노키(F. ornusL.), 시오지(F. spaethianaLingelsh.), 말바아오다모(F. sieboldianaBl.), 니구라물푸레(F. nigraMarsh.) 및 F. paxianaLingelsh. 등이 있다. 이 중, 구주물푸레나무(FraxinusexcelsiorL.)가 바람직하다. 구주물푸레나무는, 화서(花序)를 측생(側生)하는 낙엽 고목의 식물이다. 구주물푸레나무는 주로 유럽부터 서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 이외에 분포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천연에 서식하는 것이라도 인공적으로 재배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으로서의 물푸레나무속 식물은,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식물체의 일부 및 전부의 어느것이라도 좋고,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종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식물체의 일부 및 전부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고, 그들에 농축, 건조, 분쇄 등의 가공을 시행한 것이라도 좋다. 투여의 용이성 및 제제화의 용이성 때문에는, 건조 및 분쇄 후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분말, 페이스트라도 좋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은 1종을 사용하여도 좋고, 식물종 또는 식물체의 부위가 다른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는, 물푸레나무속 식물(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부위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식물체의 전부라도 좋고, 일부(예를 들면 잎, 수피(樹皮), 목부(木部), 종자, 꽃)라도 좋지만, 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유기용매(예를 들면, 알코올, 아세톤 등에서 선택되는 1종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물, 물과 알코올과의 혼합액, 및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알코올로서는, 에탄올, 메탄올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 및 온도는,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부위, 용매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추출 시간은, 약 2시간 내지 약 24시간이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50℃ 내지 70℃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는, 물푸레나무속 식물로부터 추출된 조(粗)추출 엑기스라도 좋고, 조추출 엑기스에 농축, 건조, 분쇄 등이 가공을 시행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분배법에 의한 처리, 정제 처리(예를 들면, 이온 교환 수지, 칼럼 등을 이용하여 흡착 처리 후, 용매에 의한 용출, 그 후 필요에 의해 다시 농축 처리)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분말, 페이스트라도 좋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는 1종을 사용하여도 좋고, 추출 조건 등이 다른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유효 성분으로서의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는, 구주물푸레나무의 종자 또는 그 추출 엑기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주물푸레나무의 종자의 추출 엑기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는 시판되고 있고,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주물푸레나무의 추출 엑기스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fraxipure(상품명)」(NATUREX사) 등을 들 수 있다.
시베리아낙엽송(Larixsibirica)은, 소나무과(Pinaceae)의 침섭 식물이다. 시베리아낙엽송은 시베리아 및 극동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 이외의 지역에 분포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천연에 서식하는 것이라도 인공적으로 재배된 것이라도 좋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는, 시베리아낙엽송의 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추출된 엑기스를 의미한다. 시베리아낙엽송의 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시베리아낙엽송의 추출 부위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식물체의 전부라도 좋고, 일부(예를 들면 잎, 수피, 목부, 종자, 꽃)라도 좋지만, 수피, 목부가 바람직하고, 목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유기용매(예를 들면, 알코올, 아세톤 등에서 선택되는 1종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물, 물과 알코올과의 혼합액, 및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알코올로서는, 에탄올, 메탄올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 및 온도는, 시베리아낙엽송의 추출 부위, 용매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는, 시베리아낙엽송으로부터 추출된 조추출물이라도 좋고, 조추출물에 농축, 건조, 분쇄 등이 가공을 시행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분배법에 의한 처리, 정제 처리(예를 들면, 이온 교환 수지, 칼럼 등을 이용하여 흡착 처리 후, 용매에 의한 용출, 그 후 필요에 의해 다시 농축 처리)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러시아 특허 제2091076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베리아낙엽송을 미세하게 분쇄하고, 얻어지는 분쇄물을 수증기로 축축하게 한 후, 아세톤으로 추출하고, 정제하여 얻어지는 산물을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분말, 페이스트라도 좋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는 1종을 사용하여도 좋고, 추출 조건 등이 다른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는 시판되고 있고,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쿠베르틴(상품명)」(후라빌; 이르쿠츠쿠시, 러시아) 등을 들 수 있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은, 모두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의 성분이고, 모두 플라반 골격을 갖는 폴리페놀이다. 시베리아낙엽송에는 디히드로퀘르세틴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고,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의 함유량은 적다. 본 발명에서의 유효 성분이,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의 어느것이라도 좋고, 2종 이상의 조합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이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디히드로퀘르세틴 단독, 및 디히드로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조합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히드로퀘르세틴 단독이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 합성 등에 의해 인공적으로 제조된 것이라도 좋고, 시베리아낙엽송 또는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로부터 추출, 정제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의 투여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히 제한은 없고, 또한 적응되는 피투여 생체의 연령, 상태 등의 요인에 의해 적절히 바꿀 수 있다. 목적하는 효과를 얻는 바람직한 투여량은, 이하와 같다.
유효 성분이 구주물푸레나무인 경우, 구주물푸레나무의 1일당의 양으로서, 통상 0.045g 내지 18g이고, 0.2g 내지 13.5g이 바람직하고, 0.45g 내지 9g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이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인 경우,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의 1일당의 양으로서, 통상 10㎎ 내지 4000㎎이고, 50㎎ 내지 3000㎎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2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이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인 경우,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의 1일당의 양으로서, 통상 3㎎ 내지 1000㎎이고, 15㎎ 내지 500㎎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200㎎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120㎎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이 디히드로퀘르세틴인 경우, 디히드로퀘르세틴의 1일당의 양으로서, 통상 2.7㎎ 내지 900㎎이고, 13.5㎎ 내지 450㎎이 바람직하고, 18㎎ 내지 180㎎이 보다 바람직하고, 27㎎ 내지 108㎎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이 디히드로켐페롤인 경우, 디히드로켐페롤 1일당의 양으로서, 통상 2.7㎎ 내지 900㎎이고, 13.5㎎ 내지 450㎎이 바람직하고, 18㎎ 내지 180㎎이 보다 바람직하고, 27㎎ 내지 108㎎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이 나링게닌인 경우, 나링게닌의 1일당의 양으로서, 통상 1일 2.7㎎ 내지 900㎎이고, 13.5㎎ 내지 450㎎이 바람직하고, 18㎎ 내지 180㎎이 보다 바람직하고, 27㎎ 내지 108㎎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그대로의 형태로 제제화하고, 최종 제품(예를 들면, 음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음식품용의 첨가제, 의약용의 첨가제, 의약부외품용의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에,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있으면 좋고, 이들 이외의 성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기타의 성분의 한 예로서는, 주로 저장 및 유통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성분(예를 들면 보존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목적하는 최종 제품(예를 들면, 음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을 구성하는 여러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종류의 성분(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종류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종류 정도)를 미리 함유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 이외의 성분과 조합시켜서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푸레나무속 식물, 및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 이외의 성분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형제, 붕괴제, 결합제, 활택제, 코팅제, 착색제, 발색제, 교미제, 착향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정미제, 산미제, 감미제, 강화제, 비타민제, 팽창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수면의 질 개선 효과, 제제에 필요한 여러 특성(예를 들면, 제제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최종 제품의 제형에 응한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은,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갖는 성분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 이외의 성분은, 1종이라도 2종 이상의 조합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기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의 투여량의 설명 중에서 나타낸,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타파 나링게닌의 양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은, 그대로의 형태로, 최종 제품(예를 들면, 음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음식품용의 첨가제, 의약용의 첨가제, 의약부외품용의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에,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 및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예를 들면, 구강내 투여, 설하 투여 등), 비경구 투여(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경피 투여, 경비 투여, 경폐 투여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그 중에서도 침습성이 적은 투여 형태가 바람직하고, 경구 투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음식품으로서 경구 투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 및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의 제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구 투여될 때의 제형의 예로서는, 액상(액제), 시럽상(시럽제), 고형상(정제), 캡슐상(캡슐제), 분말상(과립, 세립), 소프트 캡슐상(소프트 캡슐제), 반액체상, 크림상, 페이스트상을 들 수 있다. 비경구 투여하는 경우의 제형의 예로서는, 액제(주사제, 점비제), 안개상(분무제, 흡입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 및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의 투여 시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취침 전에 투여되고, 취침 3시간 전부터 취침까지의 사이에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취침 2시간 전부터 취침의 사이에 투여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취침 1시간 전부터 취침의 사이에 투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취침 1시간 전에 투여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의 유효 성분은, 현저한 수면의 질 개선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수면의 질」이란, 수면에 의해 피로해진 신체 및 뇌를 휴식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수면시간이 길어도 수면의 질이 수반되지 않으면, 피로를 충분히 없앨 수가 없다. 수면의 질을 재는 지표로서는, 예를 들면, 취침부터 논렘수면 출현까지의 시간(이하, 입면잠시라고 한다),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의 깊이, 수면시간 전체에 차지하는 논렘수면시간의 비율,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 잠들기 및 숙면감, 꿈 꾸기, 수면시간의 만족감 및 피로감을 들 수 있다. 이 중, 입면잠시,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의 깊이, 수면시간 전체에 차지하는 논렘수면시간의 비율,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 잠들기 및 숙면감, 꿈 꾸기, 수면시간의 만족감 및 피로감이 바람직하다.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이란, 취침 직후부터 렘수면의 출현 전에 출현하는 논렘수면을 의미한다. 입면잠시는, 실시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침 중의 뇌파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뇌파 기록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의 깊이는, 실시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면중의 뇌파의 델타파 파워값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델타파 파워값이 커지면 수면의 깊이는 깊어진다. 수면시간 전체에 차지하는 논렘수면시간의 비율도, 실시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침 중의 뇌파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뇌파 기록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 잠들기 및 숙면감, 꿈 꾸기, 수면시간의 만족감 및 피로감은, 실시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SA 수면 조사표 MA판(야마모토 유카리, 다나카 히데키, 다카세 미키, 야마자키 가츠오오, 아즈미 카즈오, 시라카와 슈이치로 : 중고년·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OSA 수면 조사표(MA판)의 개발과 표준화. 뇌와 정신의 의학 10 : 401-409, 1999.)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피로감은, 실시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본 피로 학회가 특정 보건용 식품의 항피로 임상 평가에서의 피로감의 평가 방법의 가이드 라인에 나타내고 있는 일본 피로 학회 추천의 Visual Analogue Scale(VAS) 검사용지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수면의 질을 개선한다」란, 상기한 수면의 질이 개선 또는 향상한 것을 의미한다. 수면의 질이 개선되어 있는 것은, 예를 들면, 입면잠시가 단축되는 것,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이 깊은 것, 수면시간 전체에 차지하는 논렘수면시간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이 개선되어 있는 것, 잠들기와 숙면감이 개선되어 있는 것, 꿈 꾸기가 개선되어 있는 것(예를 들면, 빈번하게 꿈을 꾸는 것 또는 악몽을 꾸는 일이 없어지는), 수면시간의 만족감이 개선되어 있는 것, 및 피로 회복감의 증가(피로감의 경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수면의 질이 개선되어 있는 것은, 실시례의 조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에 의하면, 효과적으로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물푸레나무속 식물(구주물푸레나무 등)은, 종래부터 강장, 만성 류머티즘, 손발의 통풍의 치료용, 또는 한방약으로서, 일부 지역(모로코의 남동 지역 등)에서는 식품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는, 러시아 동부의 선주민의 식력(食曆)이 있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도, 시베리아낙엽송에 포함되는 성분이고, 식물의 2차 대사 산물의 일종이다. 따라서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생체에 대해 안전하고, 이용자는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하기한 실시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면중의 중도각성(中途覺醒) 시간을 감소시켜서 수면시간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피로 회복에 더욱 현저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의 질 저하가 관련되는 질병, 예를 들면, 당뇨병, 심 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알츠하이머 등의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의 응용이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음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의 최종 제품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 또는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의 섭취 대상자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잠이 얕다고 느끼고 있는 대상자, 기상시에 졸음이 남아 있다고 느끼고 있는 대상자, 잠들기가 어렵다고 느끼고 있는 대상자, 숙면감이 부족하다(깊게 잘 수 없다)고 느끼고 있는 대상자, 꿈 꾸기가 나쁘다고 느끼고 있는 대상자,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대상자, 수면 후에도 피로가 없어지지 않는다고 느끼고 있는 대상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한 문제가 없는 대상자라도, 수면의 질 개선 또는 유지를 목적으로 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각종 음식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음료(청량음료, 탄산음료, 영양음료, 분말음료, 과실음료, 유(乳)음료, 젤리음료 등), 과자류(쿠키, 케이크, 껌, 캔디, 태블릿, 구미, 만두, 양갱, 푸린, 젤리, 아이스크림, 셔벗 등), 수산 가공품(어묵, 생선살 꼬치구이, 한펜 등), 축산 가공품(햄버거, 햄, 소시지, 비엔나, 치즈, 버터, 요구르트, 생크림, 마가린, 발효유 등), 수프(분말상 수프, 액상 수프 등), 주식류(밥류, 면(건면, 생면), 빵, 시리얼 등), 조미료(마요네즈, 쇼트닝, 드레싱, 소스, 조미한 국물, 간장 등)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는,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식품(서플리먼트), 특정 보건용 식품, 의료용 식품, 환자용 식품, 유아용 식품, 간호용 식품, 고령자용 식품 등의 음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례]
이하, 본 발명을 실시례에 의해 설명한다.
1. 수면 유발 효과의 평가(실시례 1-1 및 비교례 1-1 : 마우스 행동량 측정)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의 수면 유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표 1에 나타내는 각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하였다.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실시례 1-1의 샘플)는, NATUREX사제의 「fraxipure(상품명)」를 사용하였다. 컨트롤으로서는, 0.5질량% 메틸셀룰로스 수용액(비교례 1-1의 샘플)을 사용하였다.
샘플이 수면을 유발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 샘플을 투여하면 반드시 행동량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샘플 용액을 마우스에게 투여하여 행동량이 저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에 의해, 샘플의 수면 유발 효과를 평가하였다.
8주령(週齡) 또는 9주령 웅성(雄性) C57BL/6 마우스를 일본 SLC 주식회사에서 구입하고, 3 내지 6일 순화(馴化)하였다. 순화중의 행동량에 의해, 투여군 나눔을 실시하였다. 암기(暗期) 시작 직전에,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마우스 체중당 3g/㎏(실시례 1-1), 0.5질량% 메틸셀룰로스 수용액 마우스 체중당 10㎖/㎏(비교례 1-1)를 경구 투여하고, 투여 후 24시간 행동량을 측정하였다. 각 투여군은 8필로 하였다(n=8).
행동량을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케이지에 마우스를 개별적으로 기르고, 그 위쪽에 적외선 카메라를 설치하였다.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64구획으로 나누고, 이 구획을 가로지른 회수를 측정하였다. 이 회수를 30분마다 집계하였다.
표 1에, 실시례 1-1 및 비교례 1-1의 샘플의 종류 및 투여 후 8.5시간의 누적 행동량(회/8.5시간)을 나타낸다. 도 2에, 각 실시례 및 비교례에서의, 샘플 투여 후 8.5시간의 마우스의 누적 행동량을 나타낸다. 도 2 중 「**」는, p<0.01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 및 도 2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를 사용한 실시례 1-1은, 컨트롤 용액을 투여한 비교례 1-1에 비하여, 투여 후 8.5시간의 누적 행동량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다.
이 결과는,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는 수면 유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 수면의 질 개선 효과의 평가(실시례 1-2 및 비교례 1-2 : 마우스의 뇌파 측정)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가 수면의 질에 주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하의 시험을 행하여 뇌파를 측정하였다. 즉, 마우스 두부에 전극을 장착하고, 기록용 챔버 내에서 자유 행동하의 마우스 뇌파를 기록하고, 「각성」 「렘수면」 「논렘수면」의 각 시간을 측정하였다.
일본 SLC에서 구입한 8주령 웅성 C57BL/6 마우스에게, 뇌파 및 근전용(筋電用)의 전극을 장착하였다. 전극 장착 후, 회복 챔버에서 10일간 회복시켰다. 그 후, 기록용 챔버에 옮기고, 케이블을 접속하였다. 뇌파 해석 소프트인 SleepSign(등록상표) Ver 3.0(키세이콤텍 주식회사)에서 뇌파 판별 가부를 확인 후, 3일간 순화 시켰다. 그 후, 뇌파를 24시간 측정하고, 수면 각성 리듬이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투여군 나눔을 실시하였다. 각 투여군은 6필로 하였다(n=6). 암기 시작 직전에,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를 0.5질량% 메틸셀룰로스 수용액에 현탁하여 조제하고,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로서 3g/㎏ 또는 컨트롤 용액을 10㎖/㎏ 경구 투여하고, 24시간 뇌파를 기록하였다. 컨트롤 용액은, 0.5질량% 메틸셀룰로스 수용액이다. 기록 후, 뇌파를 SleepSign(등록상표) Ver 3.0에 의해 자동 해석을 행하고, 평가 실시자가 그 자동 해석의 결과를 확인하고, 각성, 렘수면 및 논렘수면의 각 수면 스테이지로 분류하였다. 뇌파 측정 시간(9시간) 전체에 대한 각 수면 스테이지의 시간의 비율을, 백분율로서 산출하고, 투여 직후 9시간의 수면 스테이지의 비율로 하였다. 6필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표 2 및 도 3).
[표 2]
Figure pct00002
표 2 및 도 3으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를 사용한 실시례 1-2는, 컨트롤 용액을 투여한 비교례 1-2에 비하여, 각성 시간이 감소하고, 논렘수면이 증가하고 있다.
이 결과는,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의 투여에 의해, 수면시간 전체에 차지하는 논렘수면시간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수면의 질이 개선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중도각성을 감소하고, 수면시간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난다.
3. 수면의 질 개선 효과의 평가(실시례 1-3 및 비교례 1-3 : 인간의 뇌파 측정 및 수면감 조사)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가 인간의 수면의 질에 주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표 3에 나타내는 각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례 1-3의 샘플로서,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를 배합한 정제(2캡슐 중의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 함유량 : 500㎎)을 준비하였다. 또한, 비교례 1-3의 샘플로서,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를 포함하지 않는 플라시보의 캡슐을 준비하였다. 각 조성의 상세는,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3]
Figure pct00003
미리 피츠버그 수면 조사표로 조사하고, 비교적 수면 상태가 좋지 않은 성인 남녀 12명을 패널러로 하였다. 이들 12명의 패널러에게 상기 실시례 1-3의 샘플을 취침 1시간 전에 경구 섭취하게 하고, 2전극 방식의 휴대형 뇌파 측정기를 장착하고, 취침 중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같은 패널러 12명에 비교례 1-3의 샘플을 취침 1시간 전에 경구 섭취하게 하고, 2전극 방식의 휴대형 뇌파 측정기를 장착하고, 취침 중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이튿날 아침, 패널러가 수면감 조사표 및 피로감 VAS 검사용지에 회답하였다. 각 샘플의 투여 및 측정의 실시 회수는, 패널러 각 1인에 대해 각각 4회로 하였다. 또한, 각 패널러의 평균 수면시간은, 6.5시간이고, 가장 수면시간이 짧은 패널러의 수면시간과 가장 수면시간이 긴 패널러의 수면시간의 차는, 2시간이고, 큰 차는 없었다.
(뇌파 해석)
뇌파는 스리푸웰(주)에 의뢰하여 해석하였다. 취침(뇌파 측정 시작)부터 논렘수면 출현까지의 시간을 입면잠시로 하였다. 수면의 깊이는 수면 중 뇌파의 델타파 파워값에 의해 알 수 있고, 델타파 파워값이 클수록 수면의 깊이는 깊다. 취침 직후에 논렘수면이 출현하고, 그 후 렘수면이 출현한다. 렘수면이 출현하기 까지의 취침 직후의 논렘수면중의 델타파 파워값을, 수면 초기의 델타파 파워값으로 하였다.
입면잠시의 값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입면잠시를 패널러마다 4회 측정하고, 4회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패널러마다의 플라시보 섭취에 대한 입면잠시의 변화율(%)을 하기 식(1-1)에 의해 산출하였다(표 4 및 도 4).
[식(1-1)]
입면잠시의 변화율(%)=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 섭취 후의 입면잠시의 평균치)/(플라시보 섭취 후의 입면잠시의 값의 평균치)}×100-100
델타파 파워값도, 입면잠시와 마찬가지로 개개인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델타파 파워값을 패널러마다 4회 측정하고, 4회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패널러마다의 플라시보 섭취에 대한 델타파 파워값의 변화율(%)을 하기 식(1-2)에 의해 산출하였다(표 4 및 도 5).
[식(1-2)]
델타파 파워값의 변화율(%)=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 섭취 후의 델타파 파워값의 평균치)/(플라시보 섭취 후의 델타파 파워값의 평균치)}×100-100
(수면감 조사)
수면감의 조사에는, OSA 수면 조사표 MA판(야마모토 유카리, 다나카 히데키, 다카세 미키, 야마자키 가츠오오, 아즈미 카즈오, 시라카와 슈이치로 : 중고년·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OSA 수면 조사표(MA판)의 개발과 표준화. 뇌와 정신의 의학 10 : 401-409, 1999.)를 이용하였다. OSA 수면 조사표 MA판은, 20항목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자(I) : 기상시 졸림(즉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 인자(Ⅱ) : 입면과 수면 유지(즉 좋은 잠들기와 숙면감의 좋음), 인자(Ⅲ) : 꿈을 꾸기(즉 꿈 꾸기의 좋음), 인자(Ⅳ) : 피로 회복(즉 피로감의 없음), 인자(V) : 수면시간(즉 수면시간의 만족감)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법이다.
각 인자의 점수(點數)를 계산하고, 각 패널러에 관해, 섭취 샘플별로 4회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패널러마다의 플라시보 섭취에 대한 각 인자의 점수의 변화율(%)을 하기 식(1-3)에 의해 산출하였다. 패널러 12명의 변화율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표 5, 도 6 내지 10).
[식(1-3)]
각 인자의 점수의 변화율(%)=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 함유 효모 섭취 후의 값의 평균치)/(플라시보 섭취 후의 값의 평균치)}×100-100
(피로감 조사)
피로감의 조사에는, 일본 피로 학회가 특정 보건용 식품의 항피로 임상 평가에서의 피로감의 평가 방법의 가이드 라인에 나타내고 있는 일본 피로 학회 추천의 Visual Analogue Scale(VAS) 검사용지를 이용하였다. 즉, 일정한 길이의 수평한 직선의 좌단(左端)을 「피로를 전혀 느끼지 않는 최선의 감각」, 우단을 「아무것도 할 수 없을만큼 완전히 지친 최악의 감각」으로 하고, 패널러가 아침 일어난 때의 감각을, 직선의 좌우 양단에 나타낸 감각을 참고로 이 직선상에 ×표로 회답하였다.
직선의 좌단부터 ×표까지의 거리를 재고, 거리의 수치가 작은 쪽이 피로를 느끼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각각의 패널러가 섭취 샘플마다, 4회의 측정을 행하고 그들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패널러마다의 플라시보 섭취에 대한 변화율(%)을 하기 식(1-4)에 의해 산출하였다. 패널러마다의 변화율에 관해, 패널러 12명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표 6 및 도 11).
[식(1-4)]
피로감의 변화율(%)=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 섭취 후의 값의 평균치)/(플라시보 섭취 후의 값의 평균치)}×100-100
(뇌파 해석의 결과)
[표 4]
Figure pct00004
표 4, 도 4 및 도 5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의 캡슐을 경구 섭취시킨 실시례 1-3에서는, 플라시보 캡슐을 경구 섭취시킨 비교례 1-3에 비하여, 입면잠시가 단축하였다. 또한, 수면 초기의 델타파 파워값이 커지고,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이 충분 깊어졌다.
이 결과는,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의 투여에 의해, 입면잠시가 단축하고,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이 깊어지고, 수면의 질이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면감 조사의 결과)
[표 5]
Figure pct00005
표 5, 도 6 내지 10으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의 캡슐을 경구 섭취시킨 실시례 1-3에서는, 플라시보 캡슐을 경구 섭취시킨 비교례 1-3에 대한 인자(I)(기상시의 졸림의 없음)의 변화율이 높았다. 또한, 인자(Ⅱ)(입면과 수면 유지)의 점수의 변화율, 인자(Ⅲ)(꿈을 꾸는 상태)의 점수의 변화율, 인자(Ⅳ)(피로 회복) 및 인자(V)(수면시간의 길이)의 점수의 변화율도 마찬가지였다. 이 결과는,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의 투여에 의해,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기상시의 졸음을 개선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잠들기와 숙면감을 개선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꿈을 꾸는 상태를 개선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피로 회복감을 증가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수면의 질 개선과 더불어, 수면시간의 장기화 효과도 발휘되는(수면시간의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로감 조사의 결과)
[표 6]
Figure pct00006
표 6 및 도 11으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의 캡슐을 경구 섭취시킨 실시례 1-3에서는, 플라시보 캡슐을 경구 섭취시킨 비교례 1-3에 대한 피로감의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이 마이너스로 변화하고 있다. 이 결과는,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의 투여에 의해,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피로를 느끼지 않는(피로감이 경감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 및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의 처방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처방례 1-1 : 정제(1-1))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 10㎎, 젖당 60㎎, 결정 셀룰로스 8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 5㎎, 자당지방산에스테르 5㎎을 일상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처방례 1-2 : 정제(2-2))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 250㎎, 결정 셀룰로스 4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 5㎎, 자당지방산에스테르 5㎎을 일상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처방례 1-3 : 정제(2-3))
이하의 원료를 사용하여, 일상방법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였다.
조립품(108㎎),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20㎎), 소르비톨(110㎎), 부분α화전분(15㎎), 인산마그네슘(75㎎), 스테아린산칼슘(3㎎), 멘톨 입자(40㎎), 아스파르템(5㎎)을 일상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립품은, 에리스리톨(1935g) 및 콘스타치(300g)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6질량% 수용액(4000g)을 가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조립품의 평균 입경은 290㎛이였다.
(처방례 1-4 : 소프트 캡슐)
이하의 원료를 사용하여, 일상방법에 의해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우선, 이하의 원료를 혼합하여 내용물을 조제하였다 :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20㎎), 식물유지(110㎎),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10㎎), 밀랍(10㎎)
상기 내용물과, 돼지 젤라틴을 사용하여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4. 수면 유발 효과의 평가(실시례 2-1, 실시례 2-2, 비교례 2-1 및 비교례 2-2 : 마우스 행동량 측정)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및 디히드로퀘르세틴의 수면 유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표 7 및 표 8에 나타내는 각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하였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실시례 2-1의 샘플)는, 후라빌사제의 「디쿠베르틴(상품명)」를 사용하였다. 또한, 디히드로퀘르세틴(실시례 2-2의 샘플)은, 시약(MP바이오사)을 사용하였다. 컨트롤로서는, 0.5질량% 메틸셀룰로스 수용액(비교례 2-1 및 2-2의 샘플)을 사용하였다.
샘플이 수면을 유발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 샘플을 투여하면 반드시 행동량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샘플 용액을 마우스에게 투여하여 행동량이 저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에 의해, 샘플의 수면 유발 효과를 평가하였다.
8주령 또는 9주령 웅성 C57BL/6 마우스를 일본 SLC 주식회사에서 구입하고, 3 내지 6일 순화하였다. 순화중의 행동량에 의해, 투여군 나눔을 실시하였다. 암기 시작 직전에,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마우스 체중당 3g/㎏, 디히드로퀘르세틴 마우스 체중당 2.7g/㎏, 0.5질량% 메틸셀룰로스 수용액 10㎖/㎏를 경구 투여하고, 투여 후 24시간 행동량을 측정하였다. 각 투여군은, 실시례 2-1 및 비교례 2-1은 8필(n=8), 실시례 2-2 및 비교례 2-2는 4필(n=4)로 하였다.
행동량을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케이지에 마우스를 개별적으로 기르고, 그 위쪽에 적외선 카메라를 설치하였다.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64구획으로 나누고, 이 구획을 가로지른 회수를 측정하였다. 이 회수를 30분마다 집계하였다.
표 7에, 실시례 2-1 및 비교례 2-1의 샘플의 종류 및 투여 후 6시간의 누적 행동량(회/6시간)을 나타낸다. 도 12에, 각 실시례 및 비교례에서의, 샘플 투여 후 6시간의 마우스의 누적 행동량을 나타낸다. 도 12 중 「**」는, p<0.01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7]
Figure pct00007
표 7 및 도 12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이용한 실시례 2-1은, 컨트롤 용액을 투여한 비교례 2-1과 비교하여, 투여 후 6시간의 누적 행동량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다.
이 결과는,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는 수면 유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 8에, 실시례 2-2 및 비교례 2-2의 샘플의 종류 및 투여 후 6시간의 누적 행동량(회/6시간)을 나타낸다. 도 13에, 각 실시례 및 비교례에서의, 샘플 투여 후 6시간의 마우스의 누적 행동량을 나타낸다. 도 13 중 「**」는, p<0.01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8]
Figure pct00008
표 8 및 도 13으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디히드로퀘르세틴을 이용한 실시례 2-2는, 컨트롤 용액을 투여한 비교례 2-1과 비교하여, 투여 후 6시간의 누적 행동량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다.
이 결과는, 디히드로퀘르세틴은 수면 유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5. 수면의 질 개선 효과의 평가(실시례 2-3 및 비교례 2-3 : 수면감 조사)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가 인간의 수면의 질에 주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표 9에 나타내는 각 샘플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례 2-3의 샘플로서,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배합한 정제(6정중의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함유량 : 60㎎)를 준비하였다. 또한, 비교례 2-3의 샘플로서,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포함하지 않는 플라시보의 캡슐을 준비하였다. 각 조성의 상세는,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9]
Figure pct00009
미리 피츠버그 수면 조사표에서 조사하고, 비교적 수면 상태가 좋지 않은 성인 남녀 12명을 패널러로 하였다. 이들 12명의 패널러에게 상기 실시례 2-3의 샘플을 취침 1시간 전에 경구 섭취하게 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같은 패널러 12명에 비교례 2-3의 샘플을 취침 1시간 전에 경구 섭취하게 하였다. 이튿날 아침, 패널러가 수면감 조사표 및 피로감 VAS 검사용지에 회답하였다. 각 샘플의 투여 및 측정의 실시 회수는, 패널러 각 1인에 대해 각각 4회로 하였다. 또한, 각 패널러의 평균 수면시간은, 6.5시간이고, 가장 수면시간이 짧은 패널러의 수면시간과 가장 수면시간이 긴 패널러의 수면시간의 차는, 2시간이고, 큰 차는 없었다.
수면감의 조사에는, OSA 수면 조사표 MA판(야마모토 유카리, 다나카 히데키, 다카세 미키, 야마자키 가츠오오, 아즈미 카즈오, 시라카와 슈이치로 : 중고년·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OSA 수면 조사표(MA판)의 개발과 표준화. 뇌와 정신의 의학 10 : 401-409, 1999.)를 이용하였다. OSA 수면 조사표 MA판은, 20항목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자(I) : 기상시 졸림(즉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 인자(Ⅱ) : 입면과 수면 유지(즉 좋은 잠들기와 숙면감의 좋음), 인자(Ⅲ) : 꿈 꾸기(즉 꿈 꾸기의 좋음), 인자(Ⅳ) : 피로 회복(즉 피로감의 없음), 인자(V) : 수면시간(즉 수면시간의 만족감)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법이다.
각 인자의 점수를 계산하고, 각 패널러에 관해, 섭취 샘플별로 4회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패널러마다의 플라시보 섭취에 대한 각 인자의 점수의 변화율(%)을 하기 식(2-1)에 의해 산출하였다. 패널러 12명의 변화율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표 10, 도 14 내지 18).
[식(2-1)]
각 인자의 점수의 변화율(%)=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함유 효모 섭취 후의 값의 평균치)/(플라시보 섭취 후의 값의 평균치)}×100-100
[표 10]
Figure pct00010
표 10, 도 14 내지 18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샘플로서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의 캡슐을 경구 섭취시킨 실시례 2-3에서는, 플라시보 캡슐을 경구 섭취시킨 비교례 2-3에 대한 인자(I)(기상시의 졸림의 없음)의 변화율이 높았다. 또한, 인자(Ⅱ)(입면과 수면 유지)의 점수의 변화율, 인자(Ⅲ)(꿈을 꾸는 상태)의 점수의 변화율, 인자(Ⅳ)(피로 회복) 및 인자(V)(수면시간의 길이)의 점수의 변화율도 마찬가지였다. 이 결과는,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의 투여에 의해,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기상시의 졸음을 개선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잠들기와 숙면감을 개선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꿈을 꾸는 상태를 개선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발휘되어, 피로 회복감을 증가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수면의 질 개선과 더불어, 수면시간의 장기화 효과도 발휘된(수면시간의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의 질 개선제 및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의 처방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처방례 2-1 : 정제(2-1))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10㎎, 젖당 60㎎, 결정 셀룰로스 8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 5㎎, 자당지방산에스테르 5㎎을 일상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처방례 2-2 : 정제(2-2))
이하의 원료를 사용하여, 일상방법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였다.
조립품(108㎎),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20㎎), 소르비톨(110㎎), 부분α화전분(15㎎), 인산마그네슘(75㎎), 스테아린산칼슘(3㎎), 멘톨 입자(40㎎), 아스파르템(5㎎)을 일상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립품은, 에리스리톨(1935g) 및 콘스타치(300g)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6질량% 수용액(4000g)을 가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조립품의 평균 입경은 290㎛이였다.
(처방례 2-3 : 소프트 캡슐)
이하의 원료를 사용하여, 일상방법에 의해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우선, 이하의 원료를 혼합하고 내용물을 조제하였다 :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20㎎), 식물유지(110㎎),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10㎎), 밀랍(10㎎)
상기 내용물과, 돼지 젤라틴을 사용하여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Claims (19)

  1. 물푸레나무속 식물,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푸레나무속 식물이 구주물푸레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푸레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가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5. 제4항에 있어서,
    구주물푸레나무 엑기스가, 구주물푸레나무의 종자의 추출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6. 제1항에 있어서,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7. 제1항에 있어서,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면잠시를 단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 초기의 논렘수면을 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시간 전체에 차지하는 논렘수면시간의 비율을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상시의 졸림의 없음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들기와 숙면감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꿈 꾸기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로감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시간의 만족감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의 질 개선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의 질 개선 조성물.
  17. 물푸레나무속 식물 또는 그 추출 엑기스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시베리아낙엽송 엑기스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디히드로퀘르세틴, 디히드로켐페롤 및 나링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7007817A 2011-10-06 2012-10-09 수면의 질 개선제 KR201400826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2256 2011-10-06
JP2011222255 2011-10-06
JP2011222256 2011-10-06
JPJP-P-2011-222255 2011-10-06
PCT/JP2012/076088 WO2013051727A1 (ja) 2011-10-06 2012-10-09 睡眠の質改善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477A Division KR20190055258A (ko) 2011-10-06 2012-10-09 수면의 질 개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666A true KR20140082666A (ko) 2014-07-02

Family

ID=480438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817A KR20140082666A (ko) 2011-10-06 2012-10-09 수면의 질 개선제
KR1020197013477A KR20190055258A (ko) 2011-10-06 2012-10-09 수면의 질 개선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477A KR20190055258A (ko) 2011-10-06 2012-10-09 수면의 질 개선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48383A1 (ko)
JP (1) JP6100692B2 (ko)
KR (2) KR20140082666A (ko)
CN (2) CN107496469A (ko)
WO (1) WO20130517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696A1 (ko) * 2018-10-17 2020-04-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프락시누스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4604A (zh) * 2015-12-22 2016-06-01 内蒙古满洲里森诺生物科技有限公司 落叶松树皮提取物饮料及其制备方法
EP3777869A4 (en) 2018-03-28 2021-12-08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SLEEP-PROMOTING COMPOSITION, AND MEDICINAL COMPOSITION AND FOOD AND BEVERAGE COMPOSITION USING THE SAID SLEEP-PROMOTING COMPOSITION
JP7279085B2 (ja) 2018-06-26 2023-05-22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ジタル印刷システム用の中間転写部材
SG11202101521VA (en) * 2018-08-21 2021-03-30 Japan Tobacco Inc Core body temperature reducing agent, food product, and sleep improving agent
US11166128B2 (en) 2019-04-04 2021-11-02 Motorola Mobility Llc User state-based handling of calls and alerts
US11507169B2 (en) * 2019-04-04 2022-11-22 Motorola Mobility Llc User state-based device power conserv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2656B2 (en) 2004-04-06 2014-10-07 Taiyokagaku Co., Ltd. Sleep improvement composition
WO2005115547A2 (en) * 2004-05-18 2005-12-08 Bright Future Pharmaceutical Laboratories Ltd. Myricitrin compounds for sleeping disorders
JP2006028051A (ja) 2004-07-14 2006-02-02 Lion Corp 起床時疲労感改善剤、起床時疲労感改善用組成物、及びこれらを含む起床時疲労感改善用飲食物
JP4874532B2 (ja) 2004-08-25 2012-02-15 株式会社琉球バイオリソース開発 睡眠改善剤
JP5414192B2 (ja) * 2007-03-29 2014-02-12 江崎グリコ株式会社 概日リズム調整組成物
JP5354741B2 (ja) * 2007-05-29 2013-11-27 公益財団法人大阪バイオサイエンス研究所 睡眠改善剤
US8142826B2 (en) * 2007-11-05 2012-03-27 Naturex, Inc. Extract of Fraxinus excelsior seed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for
JP2010064992A (ja) * 2008-09-11 2010-03-25 Hayashibara Biochem Lab Inc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核内受容体α活性化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696A1 (ko) * 2018-10-17 2020-04-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프락시누스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3133A (ko) * 2018-10-17 2020-04-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프락시누스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8383A1 (en) 2014-09-04
CN107496469A (zh) 2017-12-22
CN103857404A (zh) 2014-06-11
WO2013051727A1 (ja) 2013-04-11
JP6100692B2 (ja) 2017-03-22
JPWO2013051727A1 (ja) 2015-03-30
KR20190055258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974B1 (ko) 수면의 질 개선제
JP6100692B2 (ja) 睡眠の質改善剤
KR101933232B1 (ko)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제
WO2014017243A1 (ja) 睡眠の質改善剤
US11596664B2 (en) Plant extracts made of Sideritis and use thereof to boost cognitive performance
JPH0832631B2 (ja) 精神安定用飲食物
KR101808944B1 (ko) 생강 추출물의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통 및 조기분만진통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8997A (ko) 백발생성 억제 또는 흑모생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864964B2 (ja) 経口睡眠改善剤
KR20210085011A (ko) 숙잠 및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90126565A (ko)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0681B1 (ko) 호프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WO2021106857A1 (ja) 尿意ストレス予防または緩和用組成物及び睡眠改善用組成物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23070130A (ja) 睡眠の質の改善剤
KR101735275B1 (ko) 베타-라파촌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161190A1 (en) Core body temperature reducing agent, food product, and sleep improving agent
CN114557997A (zh) 一种用于防治牙痛的水芹菜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23234A (zh) 睡眠质量提升用组合物
CN112999218A (zh) 一种具有镇静助眠功效的组合物及用途
KR20170133821A (ko) 안면홍조 또는 골다공증 증상 완화용 조성물
Korzeniowska et al. Oedema induced by Glycyrrhiza glabra–case report Obrzęk indukowany przez lukrecję gładką–opis przypadk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