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372A - 커피 로스터 - Google Patents

커피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372A
KR20140082372A KR1020120152254A KR20120152254A KR20140082372A KR 20140082372 A KR20140082372 A KR 20140082372A KR 1020120152254 A KR1020120152254 A KR 1020120152254A KR 20120152254 A KR20120152254 A KR 20120152254A KR 20140082372 A KR20140082372 A KR 2014008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ffee beans
roaster
chamb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054B1 (ko
Inventor
이근활
Original Assignee
이근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활 filed Critical 이근활
Priority to KR102012015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0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로 된 커피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로스팅할 커피 원두를 투입하여 투입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챔버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동시에 커피 원두에 열을 가하는 전기식 히터를 구비하고 가열되는 커피 원두를 섞어주도록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블레이드를 가지며 로스팅 완료된 커피 원두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히팅챔버; 상기 히팅챔버의 배출구 하부에 연통되며 하부 개구된 배출통로; 상부 개구되어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받아 수용하여 커피 원두를 상온에서 냉각시키며 커피 원두 껍질을 조각내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도록 다수의 분리배출구가 형성되며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망체컵과, 상기 망체컵 내에 수용된 커피 원두를 고루 섞어주는 회전블레이드를 갖는 교반컵과, 상기 교반컵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망체컵으로부터 분리배출되는 커피 원두 껍질 조각들을 회수하는 회수받침컵을 갖는 냉각분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발명은 커피원두를 로스팅하는 공정시에 외기의 영향이나 챔버가 가열된 잠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로스팅 및 배출을 하게 되므로 커피 원두에서 작용받는 가열 온도 및 시간의 제어를 조작 스위치부를 통해 종전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정확히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커피 원두 메이커로서 더욱 신뢰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커피 로스터{A coffee roaster}
본 발명은 커피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원두를 투입하여 원두를 볶는 로스팅 공정과 로스팅된 원두를 냉각하면서 껍질을 분리하는 공정을 커피 원두의 고유 매뉴얼에 맞춰 정확한 로스팅 공정을 행할 수 있고 원두를 냉각하면서 연소된 껍질가루를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사용이 간편한 새로운 구조로 개선된 커피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로스터는 커피 원두(생두)를 볶아주는 로스팅 기구를 일컫는 것으로서, 종래에 로스팅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과 냉각을 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로스팅 및 냉각 공정을 일련적으로 할 수 있는 커피 로스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커피 로스터는 통상적인 박스형 기기 내부에 히팅 챔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히팅챔버의 내부에 회전구동축에 연결된 교반날개가 구비되어 상기 교반날개가 회전하면서 내부로 투입되어 가열되어 볶이고 있는 생두를 고루 섞어주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로스팅을 행하는 공정을 마치면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히팅챔버 내부에서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커피 로스터는 로스팅시 챔버의 상부, 즉 챔버의 뚜껑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온도 보전상의 차폐성이 안 좋아 커피 원두를 가열하는 온도 제어의 신뢰성이 양호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고온의 온도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챔버 뚜껑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될 우려를 갖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커피 로스터는 로스팅 공정을 마친 상태에서 커피 원두의 냉각시에도 내열재료(금속제)로 된 히팅챔버 내부가 쉽게 식지 않아 커피 원두가 원하는 것보다 좀 더 익게 되는 등 커피 원두의 품질을 원하는 바대로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커피 원두의 경우에는 로스팅하는 온도 및 시간 뿐 아니라 냉각공정도 그 향과 맛을 좌우하는 요소가 될 수 있는데 열이 쉽게 식지 않는 히팅챔버 내부 온도에 의해 커피 원두 자체에 가열된 잠열이 쉽게 사라지지 않게 되어 원두가 원하지 않게 너무 타게 되거나 이러한 문제를 반영하여 가열시간 제어로써 보정하려 하면 원두를 설 볶게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피 로스터는 투입된 커피 원두가 로스팅 시간 뿐 아니라 냉각하는 공정시간까지도 히팅챔버 내에 오랜 시간동안 존재하게 되므로 그만큼 커피 원두의 껍질이 날려서 히터에 달라붙거나 챔버 내부에 달라붙어 빠른 시간에 오염되어 그만큼 오염을 제거하는 보수를 자주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히, 히팅챔버 내부에서 냉각하는 과정에서 송풍에 의한 급기를 하게 되므로 탈피 분리된 커피 원두의 껍질이 날려서 히터에 접촉하여 오염이 가속화될 우려가 큰 구조적 문제점을 갖고 있고, 또한 가열된 연소가루를 원두에 혼합시키게 될 수 밖에 없는 오염의 우려가 있음으로 인해 최고 품질의 커피 원두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히팅챔버 내에서 커피원두의 로스팅,냉각(껍질 분리 포함) 공정을 연이어 행하도록 된 구성이기 때문에 원두의 냉각시간 만큼 로스팅을 할 수 없음으로 인해 다량의 원두를 로스팅 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커피 원두를 투입하여 원두를 볶는 로스팅 공정과 로스팅된 원두를 냉각하면서 껍질을 분리하는 공정을 보다 정확히 행할 수 있고 원두를 냉각하면서 연소된 껍질가루를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커피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서, 본 발명은 커피 원두 껍질이 로스팅 공정에서 히터에 의해 연소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로스팅 공정에서 이어지는 열(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로스팅 메커니즘과 별개로 로스팅된 원두를 냉각시키는 메커니즘을 마련하여 로스팅 온도 및 시간 제어에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커피 품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커피 로스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스팅과 별개로 냉각을 행하도록 하여 종전보다 로스팅을 연속하는 시간 간격을 짧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단위시간 당 로스팅 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피 로스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에 의하여 상술한 문제들을 해소하는 다양한 목적을 갖고 있음이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당연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스터본체(10)의 상부로부터 챔버투입구(41)를 통해 투입된 커피 원두에 열을 가하는 전기식 히터(H)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되는 커피원두를 섞어주도록 모터(M1)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블레이드(43)를 가지며, 로스팅 완료된 커피 원두를 배출하는 챔버배출구(46) 및 상기 챔버배출구(46)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히팅챔버(40);
상기 히팅챔버(40)의 챔버배출구(46)의 하부에 연통되며 하부 개구되게 상기 로스터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통로(48);
상부 개구되어 상기 배출통로(48)를 통해 배출되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 원두를 상온 냉각시키며 커피 원두의 껍질 조각들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다수의 분리배출구(63a)들이 형성되며 모터(M2)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는 망체컵(63)과, 상기 망체컵(63) 내에 수용된 커피 원두를 고루 섞어주기 위한 냉각교반블레이드(65b)를 갖는 교반수단(65)과, 상기 교반수단(65)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망체컵(63)으로부터 분리배출되는 커피 원두 껍질 조각들을 회수하는 회수받침컵(61)을 갖는 냉각분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분리부의 측방에 껍질 제거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가 장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냉각된 커피 원두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그 작용효과들이 더욱 첨가되어 포함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커피원두를 로스팅하는 공정시에 외기의 영향이나 챔버가 가열된 잠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로스팅 및 배출을 하게 되므로 커피 원두에서 작용받는 가열 온도 및 시간의 제어를 조작 스위치부(S) 및 디스플레이부(D)를 통해 종전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D)를 통해 모니터링하면서 스위치부(S)를 정확히 조작하는 것에 의해 종전보다 커피 원두 메이커로서의 품질 신뢰성을 더욱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피로스터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상세히 보인 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커피원두를 로스팅하는 히팅챔버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히팅챔버에서 로스팅 완료된 커피 원두를 배출하는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피로스터 내부에 장착되는 히팅챔버 및 히팅챔버를 강제냉각하는 부분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히팅챔버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커피원두를 냉각하는 냉각부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망체컵의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 중 교반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히팅챔버 내,외부 구조를 보인 일부발췌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교반블레이드가 비대칭 배치되는 구조를 보인 히팅챔버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스터본체(10)의 상부로부터 챔버투입구(41)를 통해 투입된 커피 원두에 열을 가하는 전기식 히터(H)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되는 커피원두를 섞어주도록 모터(M1)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블레이드(43)를 가지며, 로스팅 완료된 커피 원두를 배출하는 챔버배출구(46) 및 상기 챔버배출구(46)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히팅챔버(40)와; 상기 히팅챔버(40)의 챔버배출구(46)의 하부에 연통되며 하부 개구되게 상기 로스터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통로(48)와; 상부 개구되어 상기 배출통로(48)를 통해 배출되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 원두를 상온 냉각시키며 커피 원두의 껍질 조각들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다수의 분리배출구(63a)들이 형성되며 모터(M2)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는 망체컵(63), 상기 망체컵(63) 내에 수용된 커피 원두를 고루 섞어주기 위한 냉각교반블레이드(65b)를 갖는 교반수단(65) 및 상기 교반수단(65)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망체컵(63)으로부터 분리배출되는 커피 원두 껍질 조각들을 회수하는 회수받침컵(61)을 갖는 냉각분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M1)은 구동축 상에 클러치 스프링(SP)이 결합되어 클러치스프링(SP)의 상부로 돌출된 핀이 상기 회전축(43a)에 가로질러 삽입고정된 구동핀(44)에 회전방향의 물리력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회전축(43a)에 결합된 교반블레이드(43)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망체컵(63)은 하부에 모터(M2)의 구동축과 동력 연결되어 망체컵 하부에 형성된 치합돌기형성부(63b)와 치합되는 치합돌기(61b)를 갖고 있다. 도 7에서 상기 회전치합결합구(72)는 나사(sc) 체결에 의해 하부의 다른 회전치합결합구(73a)와 결합되어 모터 구동축의 축결된 회전치합결합구(73b)에 치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치합결합구들의 회전하는 모든 면은 컵(61)의 중심공(61a) 및 그 주변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며, 회수받침컵(61)은 모터(M2)의 상부에 위치한 로스터본체(10)의 바닥상부면에 안치되며 망체컵(63) 하부에 형성된 치합돌기형성부에 간섭받지 않고서 로스터본체(10) 바닥상부면에 고정되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교반부(65)는 그 상부가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상기 회수받침컵(61)의 상부에 결합되어 서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망체컵(63)은 고정된 회수받침컵(61)과 교반부(65) 사이의 위치에서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교반부(65)에 마련된 냉각교반블레이드(65b)에 의해 커피 원두가 망체컵(63) 상부에서 이동하면서 구멍(63a)들에 의해 제공되는 높이 단차로 인해 껍질이 쉽게 벗겨지면서 분쇄되어 껍질 조각들이 회수받침컵(61)으로 회수되고 망체컵(63)에는 껍질이 깨끗하게 제거된 원하는 커피 원두만 남게 되는 것이다.
또, 도 2, 도 5, 도 6 등의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히팅챔버(40)에는 상기 챔버투입구(41)와 별개로 로스팅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터수단(49)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필터수단은 통과되는 연기를 중화시켜 연기를 감소시키는 촉매성분을 포함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며 이와같이 연기를 감소시키는 필터수단은 커피로스터 분야에서 오랜시간 적용되어온 공지된 필터수단을 사용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로스터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분리부의 측방에 껍질 제거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90)가 장치되어 있다. 상기 그라인더(90)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그라인더 구조로서 하부에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를 작동시키면 그라인더 날로 원두를 그라인딩 하도록 한 것이며, 이는 일반적 구성의 단순 전용에 불과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에서 그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도 1, 도 2 등의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커피로스터와 다른 구조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상기 로스터본체(10)의 상부에는 힌지축(24)에 의해 결합되어 로스터본체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커버부(20)를 구비하되, 상기 개폐커버부(20)는 하부측에 상기 챔버투입구(41)를 개폐하는 챔버개폐판(21), 상부측에 외부 연통되는 배기구(22a,22b), 및 손잡이(23)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로스터본체(10) 내부 깊숙한 위치에 히팅챔버(40)가 위치하게 하면서 히팅챔버(40)의 투입구 뚜껑를 로스터본체 내부에서 여닫게 할 수 있으므로 히팅챔버의 직접적인 외부 노출을 막아 로스팅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열변화에 대한 손실을 줄이고 사용자 접근시에 화상 등의 위험요소를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도 2, 도 6, 도 7, 도 9 등의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교반블레이드(43) 및 상기 냉각교반블레이드(65b)는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코일스프링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로스팅,냉각 공정 작동시의 커피 원두의 교반을 행함에 있어서 커피 원두가 교반블레이드(43,65b)와 주변의 틈새에 끼이지 않게 탄성적으로 작용하면서 동시에 커피 원두를 살짝 팅겨내게 하는 작용을 하여 교반 작동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교반블레이드(43) 및 상기 냉각교반블레이드(65b)는 두 개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바와같이 두 개가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복수 개가 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교반블레이드(43)는 챔버 바닥면의 방향과 평행하게 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데, 다르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높이로서 대향되지 않게 설치되어 원두에 교반력을 작용하는 높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교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이와 비슷한 기술 개념으로서, 상기 냉각교반블레이드(65b)는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종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블레이드가 가상의 회전중심축과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냉각 및 껍질 분리시에 블레이드에 접촉하는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냉각 및 껍질 분리를 위한 교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교반 효율성이 높아지면 교반 시간이 짧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시간 및 온도 제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커피 원두의 산지마다 특성이 있는 커피원두의 고유한 맛을 유지할 수 있는 로스팅 제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 등의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히팅챔버(40)는 그 외벽의 일부에 에어홀(AH)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홀을 통해 송풍팬(84)으로 연이어지는 에어덕트로 연통되어 팬(84)의 송풍에 의해 강제냉각되게 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에도 채택된 바 있으나 종래에는 로스팅 완료된 커피 원두가 히팅챔버(40) 내에 들어있는 상태로 커피원두와 히터를 동시에 냉각시키는 구조이므로 냉각 중에는 커피원두를 분리 배출할 수 없는 문제와 전술된 바와 같이 커피원두의 껍질이 날려서 히팅챔버 내부가 심하게 오염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단 로스팅이 끝난 커피 원두는 바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 상술한 종래의 구조는 로스팅을 마치면 원두를 배출하여 빈 상태로 가열되어 있는 히팅챔버(40)를 빨리 냉각할 수 있다. 즉, 커피 원두의 로스팅을 위한 가열을 제어하기 위한 요소로서 시간 제어 및 온도감지에 의한 온도제어 부분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히팅챔버를 냉각한 상태로 원두를 투입하여야 일관된 규칙성 있는 로스팅 제어를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빠른 히팅챔버(40)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사이에도 로스팅을 행하는하부위치에서는 로스팅된 원두의 냉각 및 껍질 제거가 이루어지고 있고 연속하여 빠른 로스팅 준비를 하게 될 수 있어 히팅챔버(40) 내부 체적 당 로스팅 량의 증대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피 로스터의 새로운 설계에 의하여 커피 원두를 깨끗이 로스팅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스위치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이와 연계되는 로스터 본체 내의 히터, 전자석, 모터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제어 온도, 타이밍을 포함하는 제어 시이퀀스는 생두의 품종, 섭취하려는 원두의 맛,향 등의 조건에 맞춰 최적하게 프로그래밍하면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시예의 내용에서 설명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이에 한정하기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하여 도면 및 명세서의 부호의 설명에 의해 당업자로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기술사상이 미친다고 할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추가는 물론이고 자명한 치환이나 고의적 생략에까지도 본 발명의 범위가 미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0- 로스터본체 11- 방열구 D - 디스플레이부 S - 스위치부
20 - 개폐커버부 21 - 챔버개폐판 22a,22b - 배기구 23- 손잡이 24 - 힌지축
20- 투입부 22a,22b - 배기구
40- 히팅챔버 41 - 챔버투입구 42 - 히터 고정구 43- 교반블레이드 43a - 회전축 M1- 로스팅부 모터
SP - 클러치스프링 44 - 회전구동핀 46- 챔버배출구
48- 배출통로 49 - 필터수단
51 - 개폐판 52- 플런저 53 - 힌지축 54 - 전자석 55 - 복귀스프링
60 - 냉각분리부
61 - 회수받침컵 61a - 중심공
63 - 망체컵 63a - 분리배출구 63b - 치합돌기형성부
65 - 교반수단 65a - 교반블레이드 지지부 65b- 냉각교반블레이드
71(sc) - 나사 72(61b) - 회전치합결합구 73a,73b - 회전치합결합구
M2 - 냉각분리부 모터
AH - 에어홀 82a,82b,82c - 에어덕트 84 - 송풍팬 90 - 그라인더

Claims (10)

  1. 로스터본체(10)의 상부로부터 챔버투입구(41)를 통해 투입된 커피 원두에 열을 가하는 전기식 히터(H)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되는 커피원두를 섞어주도록 모터(M1)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블레이드(43)를 갖으며, 로스팅 완료된 커피 원두를 배출하는 챔버배출구(46) 및 상기 챔버배출구(46)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히팅챔버(40);
    상기 히팅챔버(40)의 챔버배출구(46)의 하부에 연통되며 하부 개구되게 상기 로스터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통로(48);
    상부 개구되어 상기 배출통로(48)를 통해 배출되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 원두를 상온 냉각시키며 커피 원두의 껍질 조각들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다수의 분리배출구(63a)들이 형성되며 모터(M2)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는 망체컵(63)과, 상기 망체컵(63) 내에 수용된 커피 원두를 고루 섞어주기 위한 냉각교반블레이드(65b)를 갖는 교반수단(65)과, 상기 교반수단(65)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망체컵(63)으로부터 분리배출되는 커피 원두 껍질 조각들을 회수하는 회수받침컵(61)을 갖는 냉각분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M1)은 구동축 상에 클러치 스프링(SP)이 결합되어 클러치스프링(SP)의 상부로 돌출된 핀이 상기 회전축(43a)에 가로질러 삽입고정된 구동핀(44)에 회전방향의 물리력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회전축(43a)에 결합된 교반블레이드(43)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분리부의 측방에 껍질 제거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90)가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챔버(40)에는 상기 챔버투입구(41)와 별개로 로스팅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터수단(4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본체(10)의 상부에는 힌지축(24)에 의해 결합되어 로스터본체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커버부(20)를 구비하되, 상기 개폐커버부(20)는 하부측에 상기 챔버투입구(41)를 개폐하는 챔버개폐판(21), 상부측에 외부 연통되는 배기구(22a,22b), 및 손잡이(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블레이드(43) 및 상기 냉각교반블레이드(65b)는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코일스프링 형태의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블레이드(43) 및 상기 냉각교반블레이드(65b)는 두 개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블레이드(43)는 챔버 바닥면의 방향과 평행하게 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가 서로 대향되도록 설지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서 대향되지 않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9.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교반블레이드(65b)는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종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블레이드가 가상의 회전중심축과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챔버(40)는 그 외벽의 일부에 에어홀(AH)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홀을 통해 송풍팬(84)으로 연이어지는 에어덕트로 연통되어 팬(84)의 송풍에 의해 강제냉각되게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KR1020120152254A 2012-12-24 2012-12-24 커피 로스터 KR10145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254A KR101457054B1 (ko) 2012-12-24 2012-12-24 커피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254A KR101457054B1 (ko) 2012-12-24 2012-12-24 커피 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372A true KR20140082372A (ko) 2014-07-02
KR101457054B1 KR101457054B1 (ko) 2014-10-31

Family

ID=5173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254A KR101457054B1 (ko) 2012-12-24 2012-12-24 커피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089A1 (ko) * 2016-08-04 2018-02-08 주식회사 테쿰 생두 로스팅 장치
KR102568125B1 (ko) * 2022-09-14 2023-08-17 이창용 액상커피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상커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18A1 (ko) * 2016-03-30 2017-10-05 오세훈 커피원두 로스팅 및 분쇄장치
KR101971999B1 (ko) * 2018-11-02 2019-08-16 유대현 모듈형 스마트 커피 로스터기
CN211129689U (zh) * 2019-07-02 2020-07-31 金文� 一种分体式咖啡豆烘焙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274A (ja) * 2000-05-23 2001-11-27 Dainichi Co Ltd コーヒー豆焙煎器
JP2002034536A (ja) * 2000-07-18 2002-02-05 Dainichi Co Ltd コーヒー豆焙煎器
JP4523434B2 (ja) * 2005-01-31 2010-08-11 明興産業株式会社 コーヒー豆焙煎粉砕装置
KR101130547B1 (ko) * 2010-06-30 2012-03-27 (주)한선 커피 로스터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089A1 (ko) * 2016-08-04 2018-02-08 주식회사 테쿰 생두 로스팅 장치
CN109310138A (zh) * 2016-08-04 2019-02-05 特库株式会社 生豆烘焙装置
EP3494802A4 (en) * 2016-08-04 2020-03-04 Tecum Co., Ltd. DEVICE FOR ROASTING RAW COFFEE BEANS
CN109310138B (zh) * 2016-08-04 2021-12-28 特库株式会社 生豆烘焙装置
US11219237B2 (en) 2016-08-04 2022-01-11 Tecum Co., Ltd. Apparatus for roasting green bean
KR102568125B1 (ko) * 2022-09-14 2023-08-17 이창용 액상커피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상커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054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054B1 (ko) 커피 로스터
JP4643678B2 (ja) コーヒーロースター
KR100679674B1 (ko) 곡물볶음장치
KR101217086B1 (ko) 커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KR101192741B1 (ko) 회전식 탈지 구이장치
WO2020015504A1 (zh) 一种咖啡豆的烘焙设备
US11559164B2 (en) Coaxial microwave rotary applicator for material processing
WO2021169183A1 (zh) 一种咖啡豆的烘焙设备
CN219397009U (zh) 烘烤装置和料理机
KR101972401B1 (ko) 커피 로스터
KR101294264B1 (ko)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커피 원두 로스팅용 케틀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101217087B1 (ko) 곡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EP1665943A1 (en) Roaster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JP3016031B2 (ja) コーヒ豆の焙煎装置
KR101445983B1 (ko) 커피원두 볶음장치
KR100306058B1 (ko) 전자동커피메이커
KR101854990B1 (ko) 커피 로스팅 냉각장치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커피 로스팅 시스템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20010025521A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JP2005110557A (ja) 珈琲豆焙煎装置
WO2018026089A1 (ko) 생두 로스팅 장치
JPH07255446A (ja) コーヒー豆焙煎機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