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515A - 화상형성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515A
KR20140076515A KR1020130154380A KR20130154380A KR20140076515A KR 20140076515 A KR20140076515 A KR 20140076515A KR 1020130154380 A KR1020130154380 A KR 1020130154380A KR 20130154380 A KR20130154380 A KR 20130154380A KR 20140076515 A KR20140076515 A KR 2014007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ouble
sided printing
paper
p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요시 쿠라카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5/00Recirculating articles, i.e. feeding each article to, and delivering it from, the same machine work-station more than o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9Refeeding path for composite cop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인쇄 잡에 따라 인쇄 지시를 행한 복수의 페이지 중,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 단면 인쇄가 지시되고,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는 양면 인쇄가 지시된 경우와, 또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와 다른,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상기 양면 인쇄에 사용하고, 상기 단면 인쇄에서는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를 거쳐서 상기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도록, 상기 인쇄 잡이 실행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반전 기구를 사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상형성장치가 단면 인쇄를 행할 경우, 인쇄용지의 단면(윗면)에 인쇄한 후, 페이지순이 되도록, 인쇄용지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기구를 통해서 인쇄면을 아래로 해서 출력하였다. 또한, 양면 인쇄를 행할 경우, 인쇄용지의 표면에 인쇄한 후, 그 인쇄용지를 양면 인쇄용의 반송로를 통과시키고, 그 이면을 인쇄해서 출력한다. 또한, 양면 인쇄용의 반송로가 복수존재할 경우에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반송 경로를 선택하여서 양면 인쇄를 행하는 화상형성장치도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5186호).
화상형성장치에 투입된 인쇄 잡(job)에 따른 인쇄에,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상수한 인쇄 잡을 실행하고,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를 연속해서 실행할 경우에는, 양면 인쇄에 있어서는, 양면 인쇄용의 반송로를 사용해서 인쇄하고, 단면 인쇄에 있어서는, 양면 인쇄용의 반송로의 반전 기구에 의해 인쇄용지를 반전하고나서 배출한다.
그렇지만, 단면 인쇄된 인쇄용지를 반전 기구에서 반전시키고 있는 동안에, 후속하는 양면 인쇄용의 인쇄용지가 반전 기구에 들어가고, 선행하는 인쇄용지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급지 간격을 충분하게 두지 않으면 안되어, 인쇄 완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가 혼재하는 인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은, 인쇄용지에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갖고, 복수의 인쇄용지에 단면 인쇄를 행할 경우에는,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의 반전 기구를 사용하여 각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인쇄 잡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와 다른,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한 상기 인쇄 잡에 따라 인쇄 지시를 행한 복수의 페이지 중,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 단면 인쇄가 지시되고,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는 양면 인쇄가 지시된 경우와, 또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상기 양면 인쇄에 사용하고, 상기 단면 인쇄에서는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를 거쳐서 상기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도록,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는 실행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은, 인쇄용지에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갖고, 복수의 인쇄용지에 단면 인쇄를 행할 경우에는,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의 반전 기구를 사용하여 각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인쇄 잡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와 다른,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인쇄 잡에 따라 인쇄 지시를 행한 복수의 페이지 중,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 단면 인쇄가 지시되고,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는 양면 인쇄가 지시된 경우와, 또 상기 판정 단계에서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상기 양면 인쇄에 사용하고, 상기 단면 인쇄에서는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를 거쳐서 상기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도록,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가 혼재하는 인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인쇄용지 반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반송로 상에 인쇄용지가 동시에 존재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양면 인쇄할 경우의 급지 및 인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후처리장치의 반전 패스(path)를 사용할 경우의 급지 및 인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후처리장치의 반전 패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급지 및 인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항에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어 있는 상기 국면들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이때,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102)는, 예를 들면 범용적인 PC이며, 화상형성장치(101)에 대하여, 인쇄 잡 및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 화상형성장치(101)는, 인쇄 기능을 갖춘 범용적인 프린터이며, 호스트 컴퓨터(102)로부터 수신한 인쇄 잡 또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용지등의 인쇄 매체(이하, 인쇄용지라고 한다)에 인쇄를 행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1)는, 피니셔(finisher)장치등에 접속 가능한 프린터이어도 되고, 스캐너나 팩스 등이 일체화된 다기능형 프린터(MFP)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102)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1)에 송신된 인쇄 잡은,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문서에 대해 인쇄를 지시하는 인쇄 잡이며, 일부의 페이지에는 단면 인쇄가 지시되고, 또 일부의 페이지에는 양면 인쇄가 지시되어 있다. 호스트 컴퓨터(102)는, 인쇄 잡 및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의 이외에, 화상처리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화상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1)와 호스트 컴퓨터(102)는, 네트워크(103)를 거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101)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와, 후처리장치(213)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200)는 급지된 인쇄용지에 인쇄를 행하고, 후처리장치(213)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00)로 인쇄된 인쇄용지를 배지해서 대량으로 축적할 수 있다. 후처리장치(213)는, 배지기능뿐만 아니라, 제본, 천공 등의 피니싱 기능도 구비되어도 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제어부(201)는, 화상형성장치(101) 전체를 제어한다. 조작부(202)는, 디스플레이나 각종 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고, 유저로부터의 화상형성장치(101)에 대한 지시를 접수할 수 있다. 토너 공급부(203)는, 화상형성장치(101)의 화상형성부(204)에 대하여, 기록제인 토너를 공급한다. 토너 공급부(203)에는 개폐 덮개가 설치되어 있어, 유저가 개폐 덮개를 통해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204)는, 토너 공급부(203)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사용하여, 인쇄 잡의 설정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고, 이것을 중간 전사 벨트(205)에 전사한다. 그 중간 전사 벨트(205)에 전사된 화상은, 인쇄용지에 전사된다. 정착 장치(206)는, 중간 전사 벨트(205)에 의해 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에 열 및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인쇄용지에 토너를 정착시킨다. 중간 전사 벨트(205)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되지 않은 토너는, 잉여 토너 회수부(207)에 축적된다.
급지부(208)는, 인쇄용지를 반송로에 공급한다. 급지부(208)로부터 급지된 인쇄용지는, 인쇄용지 반송부(209)를 지나가서 중간 전사 벨트(205)에 의해 전사 위치까지 반송되어(운반되어), 토너의 전사 및 정착 처리가 실행된다. 스위치백(switchback)부(210)는,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시킬 수 있는 경로(반전 기구)이다. 투입구(211)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인쇄용지를 받는다. 배출부(212)는, 정착 처리된 인쇄용지를 후처리장치(213)에 배출한다. 투입구(214)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00)로부터 투입된 인쇄용지를 받는다. 스위치백부(215)는,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시킬 수 있는 경로(반전 기구)이다.
트레이(217)는 인쇄된 인쇄용지를 받기 위한 트레이다. 배출부(219)는 어떠한 후단의 장치에도 인쇄용지를 배출하는 배출부다. 그리고, 스택 트레이(221)는 인쇄용지가 적재되는 스택 트레이다. 반송로(216, 218, 220)는, 각각, 트레이(217), 배출부(219) 및 스택 트레이(221)에 인쇄용지를 배출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모터(222, 223)는, 스택 트레이(221)를 상하로 이동하고, 배출 위치(224)에서 인쇄용지는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제어부(2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제어부(201)는, 네트워크(303)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102)등의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하다. 또한, 전화 회선(304)을 통해 외부장치와 전화 회선 접속을 행할 수 있다. CPU(305)는, 화상형성장치(101)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AM(306)은, CPU(305)가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된다. 또한, RAM(306)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수신 버퍼와, RIP에 의해 래스터화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화상 데이터 버퍼 등으로서도 사용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307)는, 조작부(202)와 제어부(201)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8)는, 제어부(201)와 네트워크(303)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모뎀(309)은, 제어부(201)와 전화 회선(304)을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ROM(310)은, CPU(30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격납한다. 하드 디스크(HDD)(311)는, 비휘발성의 기억매체이며, 화상형성장치(101)의 기능 및 실행을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데이터를 보존한다. CPU(305)로부터 HDD(311)까지의 부분들은, CPU 버스(312)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RIP(321)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페이지 기술 데이터를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RIP 인터페이스(314)는, 화상전송 버스(318)를 통해 RIP(321)와 이미지 버스(324)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또한, RIP(321)는, 제어부(201)안에 구성되어도 좋다. 데이터 압축부(315)는, 화상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에 대하여 JPEG등의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 처리를 실행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16)는, 데이터 버스(319)를 통해 급지 배지부(322)와 이미지 버스(324)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급지 배지부(322)는, 도 2의 인쇄용지 반송부(209)와 급지부(208), 도 4에서 후술하는 각 반송 롤러 등을 구비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16)는, 데이터 버스(320)를 통해 인쇄부(323)와 이미지 버스(324)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인쇄부(323)는, 도 2의 토너 공급부(203), 화상형성부(204), 및 중간 전사 벨트(205)를 포함한다.
화상처리부(317)는, RIP(321)에 의해 생성된 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관해 회전이나 편집 등의 각종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처리부(317)는, 2페이지의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1페이지의 비트맵 화상 데이터로 합성하는 레이아웃 처리를 실행한다. RIP 인터페이스(314)로부터 화상처리부(317)까지의 모든 부분은, 이미지 버스(324)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미지 버스 인터페이스(313)는, CPU 버스(312)와 이미지 버스(324)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데이터 구조를 변환한다.
CPU(305)는, 조작부(202) 또는, 호스트 컴퓨터(102)등의 외부장치로부터 네트워크(303)를 통한 지시 신호에 따라, 데이터 버스319 또는 320을 통해 인쇄부(323) 및 급지 배지부(322)에 인쇄를 행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해서 인쇄를 행한다.
도 4는, 인쇄용지 반송부(209)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접수구(receiving port)(401)로부터 반송 롤러(421)까지의 부분들은,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에 구성되고, 반송 롤러422로부터 반송 롤러433가지의 부분들은 후처리장치(213)에 구성된다.
접수구(401)는, 외부에서 반송로에 투입되는 인쇄용지를 받기 위한 접수구다. 접수구(402)는, 급지부(208)로부터 반송로에 급지되는 인쇄용지를 받기 위한 접수구다. 반송 롤러(403∼421)는, 인쇄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상에 설치된 반송 롤러다. 반송 롤러(403∼421)는, 인쇄용지가 반송되어야 할 반송 경로에 따라, 제어부(201)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이때, 반송 롤러411 및 412를 포함하는 반송로는, 도 2의 스위치백부(210)에 대응하고, 반송 롤러411 및 412는, 스위치백 동작을 행할 때에, 역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반송 롤러406 및 411에는, 인쇄용지의 반송 경로를 바꾸기 위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422∼433)는, 인쇄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상에 설치된 반송 롤러다. 반송 롤러422∼433도, 반송 롤러403∼421과 같이, 인쇄용지가 반송되어야 할 반송 경로에 따라, 제어부(201)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이때, 반송 롤러425 및 426을 포함하는 반송로는, 도 2의 스위치백부(215)에 대응하고, 스위치백 동작을 행할 때에, 반송 롤러425 및 426은, 역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반송 롤러422 및 428에는, 인쇄용지의 반송 경로를 바꾸기 위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의 각각의 경우의 인쇄용지의 반송 경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인쇄용지의 단면에만 인쇄를 행하고 나서, 인쇄면을 위로 해서 스택 트레이(221)에 배출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01)는, 반송 롤러403, 404, 405, 406, 407, 421, 422, 423, 428, 434의 순서로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에 의해, 인쇄용지가 스택 트레이(221)까지 반송된다. 그렇지만, 인쇄면을 위로 해서 페이지순으로 출력하면, 뒤에서의 페이지가 위를 향하고, 앞의 출력물의 위에 놓이므로, 마무리된 페이지 순서가 바람직하지 않게 반전된다. 이에 따라, 인쇄면을 위로 해서 출력하는 방법은, 인쇄용지를 한 장만 출력하는 경우에 행해진다.
한편, 인쇄용지의 단면에만 인쇄를 행하고, 인쇄면을 아래로 해서 반전한 후 스택 트레이(221)에 배출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이 방법들 중 일 방법은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안에서 인쇄용지를 반전하는 방법이고, 다른 방법은 후처리장치(213)안에서 인쇄용지를 반전하는 방법이다.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안에서, 인쇄용지를 반전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반송 롤러403, 404, 405, 406, 408, 409, 410, 411, 412, 411, 413, 421, 422, 423, 428, 434의 순서로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에 의해, 인쇄용지를 스택 트레이(221)까지 반송한다. 즉, 화상형성장치 본체(200)내의 반송 롤러406, 408, 409, 410, 411, 412, 411, 413, 421의 제어의 영역에서 인쇄용지를 반전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인쇄면을 아래로 해서 스택 트레이(221)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 본체(200)내의 반송 롤러406, 408, 409, 410, 411, 412, 411, 413, 421을,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안의 반전 패스라고 부른다.
후처리장치(213)안에서, 인쇄용지를 반전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반송 롤러403, 404, 405, 406, 407, 421, 422, 424, 425, 426, 425, 427, 428, 434의 순서로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에 의해, 인쇄용지를 스택 트레이(221)까지 반송한다. 즉, 후처리장치(213)내의 반송 롤러422, 424, 425, 426, 425, 427, 428의 제어의 영역에서 인쇄용지를 반전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인쇄면을 아래로 해서 스택 트레이(221)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처리장치(213)내의 반송 롤러422, 424, 425, 426, 425, 427, 428을 후처리장치(213)안의 반전 패스라고 부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컴퓨터(102)로부터 수신한 인쇄 잡내에 단면 인쇄의 지정과 양면 인쇄의 지정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반전 패스 또는 후처리장치(213)의 반전 패스의 어느 한쪽을 통한 반송 경로를 사용할지를 판정한다. 그 판정의 기준으로서, 예를 들면, 반전 패스가 구성되어 있는 후처리장치(213)가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에 접속되어 있으면, 후처리장치(213)의 반전 패스를 통한 반송 경로를 사용한다. 한편, 반전 패스가 구성된 후처리장치(213)가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에 접속되지 않고 있으면,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반전 패스를 통한 반송 경로를 사용한다. 후처리장치(213)의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에의 접속은, CPU(305)가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후처리장치(213)의 반전 패스를 통한 반송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면 인쇄의 페이지의 반전 동작을 후처리장치(213)에서 행하므로,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반송로를 양면 인쇄의 페이지용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01)는, 반송 롤러403∼406, 408∼410, 411, 412, 411, 415∼420, 403∼407, 421∼423, 428, 434의 순서로 제어하여, 인쇄용지를 스택 트레이(221)까지 반송한다. 도 5는, 상기의 양면 인쇄시에, 반송로상에 인쇄용지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쇄용지(501∼505)는, 표면의 인쇄후, 이면의 인쇄를 위해 반송로상에서 대기하고 있다.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가 혼재한 인쇄 잡에서, 단면 인쇄의 페이지를 위해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반전 패스를 사용하면, 도 5의 인쇄용지(504 및 505)의 위치가 양면 인쇄의 대기위치로서 사용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반송로를 양면 인쇄의 페이지용에만 사용할 수 있으면, 반송로상에서의 대기 매수를 많이 할 수 있어서, 인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양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인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에 인쇄하기 위한 접수구401 또는 402로부터의 급지와, 이면에 인쇄하기 위한 전사 위치에의 재반송을, 교대로 행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총 14페이지를 양면 인쇄하는 경우와, 또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대기위치가 5개소일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급지와 인쇄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제3, 제5, 제7 및 제9 페이지를 제2 페이지의 인쇄에 앞서 1페이지 간격으로 반송로에 급지해서 인쇄해둔다. 그리고, 제2 페이지의 인쇄의 타이밍으로부터, 표면에 인쇄하기 위한 접수구401 또는 402로부터의 급지에 따른 표면의 인쇄와, 이면의 인쇄를, 교대로 행한다. 제2 페이지가 인쇄되는 타이밍인 제1 페이지가 인쇄된 인쇄용지가 전사 위치에 재반송되는 타이밍은, 도 6b에서는 8페이지 간격이지만, 이것은 반송로의 길이인 요인에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페이지순으로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단면 인쇄된 인쇄용지에 대해서는, 반전해서 인쇄면을 아래로 해서 배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처리장치(213)안에 반전 패스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반전 동작은, 후처리장치(213)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반송 롤러406, 408, 409, 410, 411, 412, 411, 413, 421의 경로를 양면 인쇄의 대기위치로서 사용한다. 즉, 도 5의 인쇄용지(501∼505)의 위치를 양면 인쇄용의 대기위치로서 사용한다.
후처리장치(213)내에 반전 패스가 구성되어 있고,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면 인쇄 및 양면 인쇄가 혼재한 인쇄 잡에 따라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페이지와 제16 페이지에 관해서는 단면 인쇄가 행해지고, 그 밖의 페이지에 관해서는 양면 인쇄가 행해진다. 도 7b는 그 경우의 급지와 인쇄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화살표는 인쇄순서를 가리킨다.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제4, 제6, 제8 및 제10 페이지에 대해서는, 제1 페이지의 인쇄전에 인쇄해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수구401 또는 402로부터 급지되고나서, 전사 위치에 재반송될 때까지의 타이밍은, 적어도 8페이지 간격으로 설정된다. 도 6a 및 도 6b에 따른 설명에서와 같이, 제10 페이지가 인쇄된 시점에서, 제2 페이지가 인쇄된 인쇄용지는, 전사 위치에 재반송되는 대기위치(인쇄용지501)에 있다. 따라서, 제10 페이지의 인쇄에 후속하는 제1 페이지의 인쇄를 행한다. 그리고, 이것에 후속하여서, 제2 페이지가 인쇄된 인쇄용지의 이면에 제3 페이지가 인쇄된다. 그리고, 12, 5, 14, 7, 17, 9, 19, 11, 21, 13, 23 및 15페이지에 대해서, 표면에 인쇄하기 위한 접수구401 또는 402로부터의 급지에 따른 표면의 인쇄와, 이면의 인쇄를, 교대로 행한다. 제15 페이지가 인쇄되면, 제16 페이지가 단면 인쇄된다. 제16 페이지가 인쇄된 시점에서는, 제17 페이지가 인쇄되고나서 8페이지 간격이 경과하므로, 제18 페이지의 인쇄를 행한다. 이후, 25, 20, 27, 22, 29, 24, 26, 28 및 30페이지에 대해서는, 표면에 인쇄하기 위한 접수구401 또는 402로부터의 급지에 따른 표면의 인쇄와, 이면의 인쇄를, 교대로 행한다.
도 7b에 나타낸 제1 페이지와 제16 페이지가 단면 인쇄된 인쇄용지는, 후처리장치(213)의 반전 패스를 거쳐서 스택 트레이(221)에 배출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반전 패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양면 인쇄시에 보다 많은 대기위치를 달성할 수 있고, 인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후처리장치(213)내에 반전 패스가 구성되어 있지 않고,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면 인쇄 및 양면 인쇄가 혼재한 인쇄 잡에 따라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도 7a와 같다. 도 8b는, 급지와 인쇄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화살표는, 인쇄순서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단면 인쇄된 제1 페이지와 제 16페이지의 인쇄용지에 대해서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00)내의 반전 패스를 사용하므로, 양면 인쇄시에 사용가능한 대기위치는, 도 5에 나타낸 인쇄용지(501∼503)의 위치뿐이다.
따라서,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제4 및 제6 페이지는, 제1 페이지의 인쇄전에 인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수구401 또는 402로부터 급지되고나서, 전사 위치에 재반송될 때까지의 타이밍은, 8페이지 간격으로 설정된다. 제6 페이지가 인쇄된 후에, 제1 페이지를 인쇄한다. 그후, 제2 페이지가 인쇄되고나서 8페이지 간격의 뒤에, 제2 페이지의 이면에 제3 페이지를 인쇄한다. 그리고, 페이지 8, 5, 10, 7, 12, 9, 14, 11, 17, 13, 19, 15, 21에 대해서, 표면에 인쇄하기 위한 접수구401 또는 402로부터의 급지에 따른 표면의 인쇄와, 이면의 인쇄를, 교대로 행한다. 제21 페이지의 인쇄의 직전에 제15 페이지가 인쇄되어 있으므로, 제21 페이지가 인쇄된 후에 계속해서 제16 페이지를 단면 인쇄한다. 이어서, 페이지 18, 23, 20, 25, 22, 27, 24, 29, 26, 28, 30에 대해서, 표면에 인쇄하기 위한 접수구401 또는 402로부터의 급지에 따른 표면의 인쇄와, 이면의 인쇄를, 교대로 행한다. 도 8b와 도 7b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7b쪽이, 모든 페이지의 인쇄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짧아진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9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면, CPU(305)가 화상형성장치(101)의 각 부를 제어함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CPU(305)는, 호스트 컴퓨터(102)로부터 인쇄 잡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인쇄 잡은,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문서의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인쇄 잡이며, 단면 인쇄의 지시와 양면 인쇄의 지시가 혼재하고 있는 인쇄 잡이라고 한다(S901). 다음에, 수신한 인쇄 잡에 따라 인쇄를 실행할 때에, 반전 패스를 갖는 후처리장치(213)가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902). 여기에서,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S903에 있어서, 단면 인쇄의 페이지에 대해서, 후처리장치(213)의 반전 패스를 사용해서 인쇄를 행한다. S903에 있어서의 급지 및 인쇄의 순서는,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S902에 있어서 접속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S904에 있어서, 단면 인쇄의 페이지에 대해서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반전 패스를 사용해서 인쇄를 행한다. S904에 있어서의 급지 및 인쇄의 순서는,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5)

  1. 인쇄용지에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갖고, 복수의 인쇄용지에 단면 인쇄를 행할 경우에는,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의 반전 기구를 사용하여 각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인쇄 잡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와 다른,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한 상기 인쇄 잡에 따라 인쇄 지시를 행한 복수의 페이지 중,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 단면 인쇄가 지시되고,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는 양면 인쇄가 지시된 경우와, 또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상기 양면 인쇄에 사용하고, 상기 단면 인쇄에서는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를 거쳐서 상기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도록,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는 실행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한 상기 인쇄 잡에 따라 인쇄 지시가 행해진 복수의 페이지 중,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 단면 인쇄가 지시되고,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는 양면 인쇄가 지시된 경우와, 또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없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실행 유닛은,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상기 양면 인쇄에 사용하고, 또 상기 단면 인쇄에서는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의 반전 기구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도록,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유닛은, 상기 양면 인쇄시에, 인쇄용지의 표면에 대한 인쇄와, 이미 표면이 인쇄된 인쇄용지의 이면에 대한 인쇄를, 한 장씩 교대로 행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를 갖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 판정을 행하는, 화상형성장치.
  5. 인쇄용지에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갖고, 복수의 인쇄용지에 단면 인쇄를 행할 경우에는,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의 반전 기구를 사용하여 각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인쇄 잡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와 다른,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인쇄 잡에 따라 인쇄 지시를 행한 복수의 페이지 중,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 단면 인쇄가 지시되고, 일부의 페이지에 대하여는 양면 인쇄가 지시된 경우와, 또 상기 판정 단계에서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양면 인쇄하기 위한 반송로를 상기 양면 인쇄에 사용하고, 상기 단면 인쇄에서는 상기 인쇄용지의 표리를 반전해서 배지하기 위한 반송로를 거쳐서 상기 인쇄용지를 반전해서 배지하도록,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한, 제어 방법.
KR1020130154380A 2012-12-12 2013-12-12 화상형성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40076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1780 2012-12-12
JP2012271780A JP2014113811A (ja) 2012-12-12 2012-12-12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515A true KR20140076515A (ko) 2014-06-20

Family

ID=4972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380A KR20140076515A (ko) 2012-12-12 2013-12-12 화상형성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61477A1 (ko)
EP (1) EP2743088A1 (ko)
JP (1) JP2014113811A (ko)
KR (1) KR20140076515A (ko)
CN (1) CN1038696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2722A (ja) * 2014-09-02 2016-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56038B2 (ja) * 2014-10-17 2018-07-1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JP6757208B2 (ja) * 2016-08-10 2020-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21187138A (ja) 2020-06-04 2021-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検査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0272A (ja) * 1987-05-12 1988-11-17 Canon Inc 記録装置
US5655208A (en) * 1995-08-24 1997-08-05 Ravi & Associates Modular multi-function image-forming apparatus for printing mixed sided and mixed color copy sets
US5598257A (en) * 1995-09-29 1997-01-28 Xerox Corporation Simplex and duplex printing system using a reversible duplex path
US6397023B1 (en) * 2000-06-06 2002-05-28 Hewlett-Packard Company Techniques for achieving correct order in printer output
JP2002135541A (ja) * 2000-10-25 2002-05-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6550762B2 (en) * 2000-12-05 2003-04-22 Xerox Corporation High speed printer with dual alternate sheet inverters
JP3937769B2 (ja) * 2001-08-16 2007-06-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28350A (ja) * 2001-10-30 2003-05-08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15186A (ja) * 2003-06-27 2005-01-2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8112044A (ja) * 2006-10-31 2008-05-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US8090284B2 (en) * 2008-06-23 2012-01-03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method
US8128088B2 (en) * 2009-03-30 2012-03-06 Xerox Corporation Combined sheet buffer and inverter
JP2011197240A (ja) * 2010-03-18 2011-10-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EP2388651B1 (en) * 2010-05-17 2021-02-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mproved in operability for print job involving single-sided printing and double-sided printing
JP5713590B2 (ja) * 2010-07-01 2015-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2168275A (ja) * 2011-02-10 2012-09-06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コントローラ
JP5843076B2 (ja) * 2013-09-04 2016-01-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61477A1 (en) 2014-06-12
CN103869673A (zh) 2014-06-18
EP2743088A1 (en) 2014-06-18
JP2014113811A (ja)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9420B2 (ja) 画像形成装置
US798358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JP516219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73022A5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181636A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76515A (ko) 화상형성장치 및 제어 방법
JP532267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US20070263232A1 (en) Image forming system
JP538906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99022A5 (ko)
JP486696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0279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8911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20257230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rea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4636119B2 (ja) 画像形成装置
JP656189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1298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93223A (ja)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JP201518285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507420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20607A (ja) 印刷システム
JP72900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16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1117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93301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