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060A -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060A
KR20140072060A KR1020147008022A KR20147008022A KR20140072060A KR 20140072060 A KR20140072060 A KR 20140072060A KR 1020147008022 A KR1020147008022 A KR 1020147008022A KR 20147008022 A KR20147008022 A KR 20147008022A KR 20140072060 A KR20140072060 A KR 20140072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isture
fine
rice
rotary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후쿠모리
히데노리 미즈노
게이지 모토오카
가즈노부 가지하라
쓰토무 하코
요지 가시와
고지 후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14007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8Conditioning grain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수세 단계 및 침지 단계에 의한 배수가 생기지 않고, 또한 쌀의 경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도록 한 미분 제조의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수분이 13.0~16.0 %(w.b.%)의 범위에 있는 원료 정백미에 대하여 저습도의 에어를 송급하고, 수분을 11.0~13.0 %(w.b.%)의 범위로 조정하여 수분을 균질화하는 수분 균질화 단계와,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를 통과시킨 정백미에, 수분이 20.0~45.0 %(w.b.%)까지의 가수 및 상기 가수 후의 정백미의 미립 중심부로의 수분 흡수의 촉진을 행하는 조질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PRE-MILLING TREATMENT METHOD FOR PRODUCING RICE FLOUR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미분(米粉) 제조를 위한 제분(製紛) 전처리(前處理)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분의 제조 방법으로서, 정백미(精白米)를 수세하고, 상기 수세한 정백미를, 2시간 이상 24시간 이내의 침지 처리를 행하여 함수(含水)시킨 후, 워터-그라인딩(water-grinding)이나 기류 제분(air current flour milling) 등으로 제분하는 것이 예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수세한 후의 정백미에 상기 장시간의 침지 처리를 행함으로써, 입도가 미세한 상질의 미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정백미의 장시간의 침지 처리는, 미립(米粒; rice grains) 내의 수분 분포를 균일화하는 동시에, 상기 미립을 연질화(軟質化)하기 위해 행해진다. 한편, 정백미는, 침지 처리가 단시간 밖에 행해지지 않으면, 미립 내의 수분 분포가 불균일해져, 흡수가 적은 개소(箇所)가 많이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정백미는, 미립 내에서의 흡수가 적은 개소에서는 제분 시에 조분(粗紛)으로 되고, 조분의 비율이 많은 입도의 미분(米紛)으로 된다. 그러므로, 제분 전의 수세, 침지의 각각의 단계가 미분의 품질 상, 극히 중요한 의의를 가지게 된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제조 방법에서의 제분 전의 수세 단계 및 침지 단계에서 사용한 배수(排水)는, 그대로 하천이나 하수도 등으로 방류되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호기성(好氣性) 생물 처리나 혐기성(嫌氣性) 생물 처리 등의 배수 처리 설비에 의해 정화시킨 후에 외부로 방출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에는, 이 배수 처리에 관한 이니셜 비용(initial cost) 및 러닝 비용(running cost)에 대하여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었다.
구라사와 후미오 저, 「최신 식품 가공 강좌 쌀과 그 가공」, 가부시키가이샤 겐하쿠샤, 쇼와 57년 11월 25일 초판 발행, P.221-22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세 단계 및 침지 단계에 의한 배수가 생기지 않고, 또한 쌀의 경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도록 한 미분 제조의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분이 13.0~16.0 %(w.b.%)의 범위에 있는 원료 정백미에 대하여 저습도의 에어를 송급(送給)하고, 수분을 11.0~13.0 %(w.b.%)의 범위로 조정하여 수분을 균질화하는 수분 균질화 단계(moisture homogenizing step)와,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를 통과시킨 정백미에, 수분이 20.0~45.0 %(w.b.%)까지의 가수(加水) 및 상기 가수 후의 정백미의 미립 중심부로의 수분 흡수의 촉진을 행하는 조질 단계[調質段階; moisture conditioning step]를 포함하는 미분 제조를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하였다.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와 상기 조질 단계 사이에,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에 의해 수분이 균질화된 정백미에, 수분을 첨가하여 호분층(糊粉層) 부분을 연질화시키고, 이 정백미를 알갱이들끼리 마찰시킴으로써 호분층 부분의 제강(除糠)을 행하는 제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원료로 되는 정백미의 수분은 15.5 %(w.b.%)로서 알려져 있지만(예를 들면, 5번째 증보 식품 성분표 2006), 실제로는, 햅쌀이라면 14.0~16.0 %(w.b.%), 묵은 쌀이라면 13.0~15.0 %(w.b.%)이며, 신선도나 보관 상태에 따라서 불균일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먼저, 수분 균질화 단계에 있어서, 수분이 13.0~16.0 %(w.b.%)의 범위에 있는 원료 정백미에 대하여 저습도의 에어를 송급하고, 수분을 11.0~13.0 %(w.b.%)의 범위로 조정하여 수분을 대략 균질화하는 것이다. 이로써, 거의 모든 정백미의 수분이 균질화되고, 또한 정백미의 미립의 표면에는, 미세한 균열이 다수 형성되고, 미립의 표면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조질 단계에 있어서는, 전술한 수분 균질화 단계를 통과시킨 정백미에 수분이 20.0~45.0 %(w.b.%)가 될 때까지 가수를 행한다. 이 조질 단계에 있어서, 미립 표면에 부착된 부착수가, 미세한 균열로부터 전분층(starch layer)에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분층에서는, 세포벽 조직(組織)의 침투압에 의해 전분 복립(複粒)[compound starch granule]에 대한 흡수가 행해진다. 그 결과, 급속한 팽윤(澎潤)에 의해 세포벽 조직의 변형량이 증가하여, 견고한 세포벽 조직이 파괴되기 쉽게 되어 있고, 쌀의 경도가 저하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후속 단계의 제분 단계에서는 세포벽 조직이 간단하게 파괴되어, 전분 단립(單粒)[single starch granule]까지 정밀하게 파쇄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에서는, 용기 내에 물을 채워서 미립을 장시간 침지하도록 한, 충분한 침지 처리(fully soaking step)나, 미립을 미리 수세하는 처리가 불필요하므로, 다량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배수 처리 설비가 불필요해지므로, 러닝 비용도 대폭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속 단계의 제분 단계에서는, 세포벽 조직이 간단하게 파괴되고 전분 단립까지 정밀하게 파쇄되므로, 제분 단계에서의 동력 삭감이 가능해져, 손상 전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와 상기 조질 단계 사이에,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에 의해 수분이 균질화된 정백미에, 수분을 첨가하여 호분층 부분을 연질화시키고, 이 정백미를 알갱이들끼리 마찰시킴으로써 호분층 부분의 제강을 행하는 제강 단계를 포함하므로, 원료로서 미립 표면에 약간 쌀겨가 부착된 정백미를 사용하는 경우나, 원료로서 외국산의 장립종(長粒種)(예를 들면, 태국산의 장립종)을 사용하는 경우에, 미립 표면에 대한 가수에 의해 호분층 부분을 연질화시킨 후, 미립끼리의 알갱이들의 마찰을 행하여 제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며, 미분으로 분쇄했을 때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을 구체화한 제조 장치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을 구체화한 제조 장치의 플로우차트이다.
원료로 되는 쌀은, 도정 후의 정백미이면 특히 산지, 품종, 보존 방법, 도정방법은 상관없다. 쌀의 도정의 정도는, 통상의 정미 수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미도(rice milling degree)가 94% 이하이면 된다. 원료 정백미의 수분은, 13.0~16.0 %(w.b.%)가 바람직하다. 원료 정백미의 수분이 높은 것은, 양식미값(good taste value)으로 되는 경향이 높으므로, 미분의 음식맛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수분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싸라기, 사료 쌀, 묵은 쌀 등도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현저하게 품질이 나쁜 것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최초의 수분 균질화 단계(도 1의 단계 1)에 있어서, 수분이 13.0∼16.0 %(w.b.%)의 범위에 있는 원료 정백미에 대하여, 온도가 40~60 ℃, 상대 습도 10% 이하의 저습도의 에어를 약 10~20 분간 송급하여 건조를 행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수분이 11.0~13.0 %(w.b.%)의 범위로 조정되어, 수분 분포가 대략 균질화된다.
수분 균질화 단계에서의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2의 부호 "10"으로 나타낸 유하식(流下式) 건조기[falling drying machine]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성, 타버리는 것(burning)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유하식 건조기(10)는, 희망하는 마무리 수분에 따라, 온도, 풍량, 건조 시간 등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정백미는, 거의 모든 정백미의 수분이 균질화되고, 또한 정백미의 미립의 표면에는, 미세한 균열이 다수 형성되고, 미립의 표면으로부터 수분이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정백미는, 제강 단계에 도달하고(도 1의 단계 2), 가수에 의해 호분층 부분이 연질화된 후, 미립끼리의 알갱이들끼리 마찰이 행해지고, 미립의 호분층 부분이 비비어 내져(rubbed off) 제강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원료로서 정백미 표면의 쌀겨를 미리 제거한, 이른바 씻지 않은 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강 단계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품질의 나쁜 외국산 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분 균질화 단계의 전단(前段)에 제강 단계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강 단계에서의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가습식 연미기(硏米機)(20)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성, 효율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가습식 연미기(20)의 압력은, 통상의 압력으로 되고, 가수량 및 통과 시간은, 희망하는 마무리 수분이나 백도(百度)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미립은 조질 단계에 도달하고(도 1의 단계 3), 상기 조질 단계에 있어서 미립의 수분이 20.0∼45.0 %(w.b.%)로 되도록 가수된다. 이 조질 단계에 있어서는, 미립 표면에 부착된 부착수가, 미립 표면의 미세한 균열로부터 전분층에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분층에서는, 세포벽 조직의 침투압에 의해 전분 복립에 대한 흡수가 행해지게 된다. 그 결과, 급속한 팽윤에 의해 세포벽 조직의 변형량이 증가하여, 견고한 세포벽 조직이 파괴되기 쉬워져, 쌀의 경도가 저하된 상태로 된다.
조질 단계에서의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회전 드럼식의 조질기(30)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성, 효율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조질기의 가수량은, 희망하는 마무리 수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수 후의 템퍼링 시간도 희망하는 마무리 수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 1의 단계 4는, 제분 단계이며, 미립을 분쇄하여 가루로 할 수 있으면 되고, 그 방식, 입자 직경에 한정은 없다. 미분의 입자 직경에 맞추어 분쇄 방식이나 입자 직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의 단계 5는, 미분을 기류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이며, 예를 들면, 8.0~14.0 %(w.b.%)의 범위로 되도록, 건조 시간이나 기류의 온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이면, 용기 내에 물을 채우고 미립을 장시간 침지하도록 한, 이른바, 충분한 침지 처리나, 미립을 미리 세미(洗米)하는 처리가 불필요하므로, 다량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배수 처리 설비가 불필요해져, 러닝 비용도 대폭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한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하식 건조기(10), 가습식 연미기(20) 및 회전 드럼식 조질기(30)로 구성된다.
유하식 건조기(10)의 전단에는, 원료 투입 탱크(2), 송출 밸브(3) 및 반송(搬送) 장치(4)가 배치되어 있고, 반송 장치(4)로부터는 유하식 건조기(10)에 이르는 배관(5)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원료 쌀을 소정량씩 유하식 건조기(10)에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유하식 건조기(10)는, 미립을 저류(貯留)하는 저류 탱크부(6), 미립을 저습도의 에어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부(7) 및 미립을 기외로 배출하는 배출부(8)를 중설(重設)한 구성이다.
건조부(7)는, 다공판(7a, 7a)에 의해 형성되는 미립 유하로(7b, 7b)를 좌우 한 쌍 설치하고, 이 한 쌍의 미립 유하로(7b, 7b)로 에워싸인 공간에, 저습도 공기를 상기 미립 유하로(7b, 7b)를 향해 송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구(7c)가 설치되고, 미립 유하로(7b, 7b)와 건조부(7)의 기기 프레임으로 에워싸인 공간에, 각각의 미립 유하로(7b, 7b)를 통과한 공기를 기외로 배풍(排風)하는 배풍로(7d, 7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풍로(7d, 7d)에는 배풍팬(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배풍팬의 작동에 의해 미립 유하로(7b, 7b)를 통과한 공기를 기외로 배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배출부(8)는, 각각의 미립 유하로(7b)의 하단에 배치한 로터리 밸브(8a, 8a)와, 상기 로터리 밸브(8a, 8a)로부터 송출된 미립을 집합시키는 깔때기부(8b, 8b)와, 상기 깔때기부(8b, 8b)에 의해 집합된 미립을 기외로 반송하는 하부 스크루(8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별도 승강기 등의 반송부(搬送部)를 설치하여 배출부(8)와 저류 탱크부(6)를 연락(連絡)하여, 미립을 재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유하식 건조기(10)의 후단(後段)에는, 반송 장치(11)가 배치되어 있고, 반송 장치(11)로부터는 가습식 연미기(20)에 이르는 배관(12)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거의 모든 수분이 균질화되므로 미립을 소정량씩 습식 연미기(20)에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원료가, 정백미 표면의 쌀겨를 미리 제거한, 이른바 씻지 않은 쌀의 경우에는, 습식 연미기(20)에 이르는 배관(12) 대신에, 회전 드럼식 조질기(30)에 이르는 배관(13)을 선택하여, 제강 처리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습식 연미기(20)는, 미립을 일시 저류하는 저류 탱크부(21)와, 상기 저류 탱크부(21)로부터의 미립을 가로 반송하는 컨베이어(22)와, 상기 컨베이어(22)에 의해 가로 반송된 미립을 연미하는 연미부(23)와, 상기 연미부(23)에서 연미된 미립을 배출하는 배미부(排米部)(24)와, 상기 연미부(23)에서의 연미에 의해 박리된 쌀겨를 집강(集糠)하는 집강부(25)와, 상기 연미부(23) 내의 미립에 가습을 행하는 가수부(26)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컨베이어(22)는, 하우징(22a) 내에서 베어링(22b, 22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22c)의 일단측에 반송 나선(螺旋)(22d)을 장착한 구성이며, 저류 탱크부(21)로부터 유하된 미립을 연미부(23)를 향해 반송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미부(23)는, 가로로 설치한 다공벽 제강 정백통(精白筒)(23a) 내에, 상기 회전축(22c)의 타단측에 장착한 정백 롤러(23b)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구성이며, 상기 다공벽 제강 정백통(23a)의 내측에 있어 상기 정백 롤러(23b)와의 간극(間隙)을 정백실(23c)로 하고, 상기 제강 정백통(23a)의 외측을 제강실(23d)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강실(23d)과 연통되는 상기 연미부(23)의 하방측에 연미에 의해 박리된 쌀겨를 집강하는 집강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정백 롤러(23b)는 중공형을 이루고, 배미부(24) 측은 가수부(26)와 연통되는 한편, 저류 탱크부(21) 측은 폐쇄되고, 연미부(23)의 영역에서 물방울이 방출되도록 한 수분 첨가공(23e)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수부(26)는, 수관, 조절 밸브 및 물 탱크(모두 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22)로부터 미립이 연미부(23) 내를 향해 반송되면, 가습부(26), 정백 롤러(23b)의 중공부 및 수분 첨가공(23e)을 경유한 수분의 첨가에 의해 순간적으로 미립 표면이 습윤 연질화된다. 그리고, 다공벽 제강 정백통(23a) 및 정백 롤러(23b)에 의해, 미립끼리의 마찰이 행해진다. 이 때, 미립 표면의 박층을 박리함으로써 제강이 행해지고, 미립은 배미부(24)로부터 기외로 배출되게 된다.
가습식 연미기(20)의 후단에는, 회전 드럼식 조질기(30)에 이르는 배관(27)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 드럼식 조질기(30)는, 통부의 중심을 축심(軸心)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통부의 장척(長尺) 방향의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한 회전 드럼(31)과, 상기 회전 드럼(31)이 탑재되는 가대(架臺)(32)와, 상기 회전 드럼(31) 내에 미립을 투입하기 위한 미립 투입 호퍼(33)와, 상기 미립 투입 호퍼(33)에 연락되어 회전 드럼(31)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가수부(34)와, 상기 회전 드럼(31)으로부터의 미립을 배출하기 위한 유하통(35)과, 상기 회전 드럼(31)으로부터 배출된 미립의 조질을 행하는 무단(無端) 벨트 컨베이어(36)로 주요부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 드럼(31)을 탑재하는 가대(32) 상에는, 회전 드럼(31)의 통부의 장척 방향 중간부를 지지하고, 또한 장척 방향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지점(支点)(37)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31)의 일단측을 상하 이동시켜 장척 방향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잭(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잭(38)의 구동에 의해, 지점(3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드럼(31)의 경사 각도가 예를 들면, 0°(수평 위치)에서 10°까지 변경 가능해진다. 이로써, 회전 드럼(31)에 투입된 미립의 체류량 또는 유량을 증감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드럼(31)의 가대(32) 상에는, 회전 드럼(31)을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기어 모터(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드럼(31)의 통형상은, 원통형상라도, 다각 통형상이라도 되지만, 미립 투입 호퍼(33)로부터 투입된 미립과 가수부(34)로부터 공급된 물을 혼합·교반시키기 위해, 교반 효과가 높은 형상, 즉 다각 통형상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반 효과가 약한 원통형상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원통 내부에 교반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드럼(31)으로부터의 미립을 배출하기 위한 유하통(35)은, 그 내부에 미립의 완화기(loosening device;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완화기에 의해 가수가 행해진 미립을 흩어지게 하여 다음 단계의 무단 벨트 컨베이어(36)의 벨트(36a) 상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무단 벨트 컨베이어(36)의 벨트(36a)는, 통상의 벨트나, 수분 제거나 통풍에 적절한 메쉬 벨트 등 어느 형태의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비용 등을 고려하면 통상의 벨트를 채용하면 된다. 즉, 이 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드럼(31)에서의 가수량을 미립 표면에 부착수가 생길 정도로 제한하고 있어, 벨트(36a)가 무단 궤도 상을 10∼30 분간 걸쳐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미립 중심부로 수분 이행시키는 것이며, 남은 물이 생기도록 한 대량의 가수는 아니기 때문에,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부호 "40"은 무단 벨트 컨베이어(36)를 주행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 모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 실시예 ]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원료가 변경된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제분 전처리 방법에 의해 품질의 차이가 생기는지 여부의 확인 시험을 행하였다.
공시(供試) 원료로서는,
일본산(단립종) 멥쌀 테스트 1,
일본산(단립종) 싸라기 테스트 2,
타이산(장립종) 멥쌀 테스트 3,
타이산(장립종) 싸라기 테스트 4
의 4 종류로 하였다. 이 4종의 공시 원료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분 전처리 방법을 행하고, 얻어진 미립을, 같은 조건의 하에서 제분을 행하고, 손상 전분의 정도, 입도 분포 및 수분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테스트 1, 테스트 2, 테스트 3 및 테스트 4와 같이 원료가 변경되었다고 해도, 제분 전 수분 및 제분 후 수분을 검증한 결과, 품종 간에서 큰 차이는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입도 분포를 검증한 결과, 입자 직경의 누적 50%를 고찰해 보면, 35.0㎛(테스트 2)∼41.6㎛(테스트 3)∼42.6㎛(테스트 4)∼55.7㎛(테스트 1)라는 분포로 추이하고 있고, 품종 간에서 큰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신경 전달 물질의 일종으로서 알려진 γ―아미노 부티르산(GABA)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미립을 원료로서 사용하고, 용기 내에 물을 채우고 미립을 장시간 침지하도록 한, 이른바, 충분한 침지 처리법(종래의 제분 전처리 방법)과, 본 발명의 제분 전처리 방법을 비교하고, 어느쪽의 처리 방법으로 제분한 미분에 의해 많은 GABA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검증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에 대해서는 표 2에 나타내고, GABA 함유량의 분석 방법 및 분석 장치는 표 3에 나타내고, GABA 함유량의 측정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4에서, 본 발명의 제분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정미 처리 후로부터 제분 처리 후에 도달할 때까지 GABA 함유량의 큰 감소는 볼 수 없었다. 한편, 종래의 제분 전처리 방법(충분한 침지법)에 있어서는, 침지 처리 이후에 GABA 함유량의 현저한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제분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수세 단계 및 침지 단계에 의한 배수를 배출하지 않는 방식인 것으로 생각된다. GABA는 수용성 물질이므로, 종래의 제분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침지 처리에 있어서 GABA가 외부로 유출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분이 13.0~16.0 %(w.b.%)의 범위인 원료 정백미에 대하여 저습도의 에어를 송급하고, 수분을 11.0~13.0 %(w.b.%)의 범위로 조정하여 수분을 균질화하는 수분 균질화 단계와,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를 통과시킨 정백미에, 수분이 20.0~45.0 %(w.b.%)까지의 가수 및 상기 가수 후의 정백미의 미립 중심부로의 수분 흡수의 촉진을 행하는 조질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 제조를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했으므로, 조질 단계에서의 급속한 팽윤에 의해 세포벽 조직의 변형량이 증가하여, 견고한 세포벽 조직이 파괴되기 용이해져, 쌀의 경도가 저하된 상태로 되므로, 후속 단계의 제분 단계에서는 세포벽 조직이 간단하게 파괴되어 전분 단립까지 정밀하게 파쇄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용기 내에 물을 채우고 미립을 장시간 침지하도록 한, 충분한 침지 처리나, 미립을 미리 세미하는 처리가 불필요하며, 다량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배수 처리 설비가 불필요해지므로, 러닝 비용도 대폭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속 단계의 제분 단계에서는, 세포벽 조직이 간단하게 파괴되어 전분 단립까지 정밀하게 파쇄되므로, 제분 단계에서의 동력 삭감이 가능해져, 손상 전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신경 전달 물질의 일종으로서 알려진 γ-아미노 부티르산(GABA)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미립을 원료로서 사용하고,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전처리를 행하여 제분 처리를 행하면, 수세 단계 및 침지 단계에 의한 배수를 배출하지 않으므로, GABA 성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GABA 함유량이 높은 미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쌀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또한 보리, 곁 등의 곡물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은 적절히 가능하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은, 배수 처리 설비가 불필요하며, 미분 제조 플랜트를 건설하는 데 있어서, 건설 비용를 염가로 하고, 또한 신경 전달 물질의 일종으로 알려진 γ-아미노 부티르산(GABA) 등 기능성 성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미립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수가 생기지 않으므로, 기능성 성분의 외부로의 유출이 없어, 이용 가능성이 극히 높아진다.
1 제분 전처리 장치
2 원료 투입 탱크
3 송출 밸브
4 반송 장치
5 배관
6 저류 탱크부
7 건조부
7a 다공판
7b 미립 유하로
7c 공기 공급구
7d 배풍로
8 배출부
8a 로터리 밸브
8b 깔때기부
8c 하부 스크루
10 유하식 건조기
11 반송 장치
12 배관
13 배관
20 습식 연미기
21 저류 탱크부
22 컨베이어
22a 하우징
22b 베어링
22c 회전축
22d 반송 나선
23 연미부
23a 다공벽 제강 정백통
23b 정백 롤러
23c 정백실
23d 제강실
24 배미부
25 집강부
26 가습부
27 배관
30 회전 드럼식 조질기
31 회전 드럼
32 가대
33 미립 투입 호퍼
34 가수부
35 유하통
36 무단 벨트 컨베이어
37 지점
38 잭
39 기어 모터
40 기어 모터

Claims (5)

  1. 수분이 13.0~16.0 %(w.b.%)의 범위에 있는 원료 정백미(精白米)에 대하여 저습도의 에어를 송급(送給)하고, 수분을 11.0~13.0 %(w.b.%)의 범위로 조정하여 수분을 균질화하는 수분 균질화 단계(moisture homogenizing step); 및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를 통과한 정백미에, 수분이 20.0~45.0 %(w.b.%)까지의 가수(加水) 및 상기 가수 후의 정백미의 미립(米粒) 중심부로의 수분 흡수의 촉진을 행하는 조질 단계(調質段階; moisture conditioning step);
    를 포함하는 미분(米粉) 제조를 위한 제분(製紛) 전처리(前處理)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와 상기 조질 단계 사이에, 상기 수분 균질화 단계에 의해 수분이 균질화된 정백미에, 수분을 첨가하여 호분층(糊粉層) 부분을 연질화(軟質化)시키고, 상기 정백미를 알갱이들끼리 마찰시킴으로써 상기 호분층 부분의 제강(除糠)을 행하는 제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
  3. 저류(貯留) 탱크로부터 소정량씩 미립 유하로(流下路)에 흘러내리게 하면서 온도가 40~60 ℃, 상대 습도 10% 이하의 저습도의 에어를 약 10~20 분간 송급하고, 수분이 13.0~16.0 %(w.b.%)의 범위에 있는 미립을 수분 11.0~13.0 %(w.b.%)의 범위로 균질화하는 유하식(流下式) 건조기; 및
    수분이 11.0~13.0 %(w.b.%)의 범위로 균질화된 미립에 수분이 20.0~45.0 %(w.b.%)로 되도록 가수한 후, 10~30 분간의 슬리핑(sleeping) 처리를 행하는 회전 드럼식 조질기;
    를 포함하는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하식 건조기와 상기 회전 드럼식 조질기 사이에, 가수에 의해 미립 표면의 호분층 부분을 연질화한 후, 미립끼리의 마찰이 행해져 제강을 행하는 가습식 연미기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식 조질기가, 통부의 중심을 축심(軸心)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통부의 장척(長尺) 방향의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한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가수부와,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미립을 벨트 상에 탑재하고, 상기 벨트가 무단(無端) 궤도 상을 10~30 분간에 걸쳐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미립 표면에 부착된 부착수를 미립 중심부로 수분 이행시키는 형태의 무단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장치.
KR1020147008022A 2011-09-29 2012-08-08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72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3800A JP5828443B2 (ja) 2011-09-29 2011-09-29 米粉製造のための製粉前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JP-P-2011-213800 2011-09-29
PCT/JP2012/070198 WO2013046945A1 (ja) 2011-09-29 2012-08-08 米粉製造のための製粉前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060A true KR20140072060A (ko) 2014-06-12

Family

ID=4799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022A KR20140072060A (ko) 2011-09-29 2012-08-08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762232B1 (ko)
JP (1) JP5828443B2 (ko)
KR (1) KR20140072060A (ko)
CN (1) CN103842087B (ko)
BR (1) BR112014007463A2 (ko)
ES (1) ES2775195T3 (ko)
IN (1) IN2014CN03046A (ko)
TW (1) TWI537056B (ko)
WO (1) WO20130469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08A1 (ko) * 2015-06-15 2016-12-22 유미원 주식회사 기류식 분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9877B2 (en) 2013-03-29 2020-02-04 Yoshino Kogyosho Co., Ltd. Laminated bottle
JP6372093B2 (ja) * 2014-02-26 2018-08-15 株式会社サタケ 製粉前処理装置
RU2614805C1 (ru) * 2015-12-12 2017-03-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женерных технологий" (ФГБОУ ВО "ВГУИТ").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и рекуперации теплоты в мукомольном производств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арокомпрессионного теплового насоса
CN113522458B (zh) * 2021-07-05 2022-07-19 安徽省东全米业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脱水功能的大米粉磨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8774A (en) * 1963-03-29 1966-01-11 Procter & Gamble Process for removing strong flavor components from roasted peanuts
JPS495752A (ko) * 1972-04-21 1974-01-18
JPH0463555A (ja) * 1990-06-29 1992-02-28 Niigata Pref Gov 米粉の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食品
JPH07100002B2 (ja) * 1991-03-18 1995-11-01 新潟県 微細粒米粉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当該微細粒米粉を使用した加工食品
JPH095752A (ja) * 1995-06-15 1997-01-10 Toshiba Corp 液晶素子
CO5300421A1 (es) * 2000-03-15 2003-07-31 Satake Eng Co Ltd Metodo de y aparto para fabricar cereal que no contiene salvado
JP2002017276A (ja) * 2000-06-30 2002-01-22 Kubota Corp 既洗浸漬米の製造方法
CA2341827C (en) * 2001-03-22 2006-07-18 Ochi International Co., Ltd. Surface treating method of polished rice or the like
JP2004049036A (ja) * 2002-07-17 2004-02-19 Hayashibara Biochem Lab Inc 米粉の製造方法
JP2004097081A (ja) * 2002-09-09 2004-04-02 Kyoto Grain System Kk 白米粉の製造方法
JP4409879B2 (ja) * 2003-08-04 2010-02-0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γ−アミノ酪酸を富化させ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穀物
JP2007014330A (ja) * 2005-06-10 2007-01-25 Nishi:Kk 粳餅様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供食方法並びに粳餅様食品
JP2007111044A (ja) * 2005-09-22 2007-05-10 Satake Corp 早炊き米の製造方法
JP5454886B2 (ja) * 2009-10-13 2014-03-26 株式会社サタケ インスタントライス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08A1 (ko) * 2015-06-15 2016-12-22 유미원 주식회사 기류식 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7463A2 (pt) 2017-04-04
EP2762232B1 (en) 2020-01-01
IN2014CN03046A (ko) 2015-07-03
JP5828443B2 (ja) 2015-12-09
EP2762232A4 (en) 2015-06-03
JP2013071093A (ja) 2013-04-22
ES2775195T3 (es) 2020-07-24
EP2762232A1 (en) 2014-08-06
WO2013046945A1 (ja) 2013-04-04
TWI537056B (zh) 2016-06-11
TW201313320A (zh) 2013-04-01
CN103842087A (zh) 2014-06-04
CN103842087B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2060A (ko) 미분 제조를 위한 제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4483625A (en) Continuous solid particulate mixer conveyor having variable capacity
CN1040624C (zh) 连续润湿谷物的方法和设备及润湿设备的应用
JPH01317549A (ja) 製粉方法及びその装置
TW319735B (ko)
KR101862636B1 (ko) 곡물발아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곡물 제조방법
DE102011111273A1 (de) Mälzereivorrichtung zum Mälzen von Keimgut
JP2013006163A (ja) 簡易型製粉プラント
JP2788050B2 (ja) 製粉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027950A (ja) パーボイル米の製造方法
CN110788109A (zh) 一种泥状有机质快速好氧发酵工艺
JP2003190921A (ja) 有機廃棄物分解装置及び分解方法
CN100409945C (zh) 免淘米制造装置
CN113732043A (zh) 一种重金属污染介质强化淋洗装置及方法
EP3648621B1 (en) Feed and food production system
JP4372036B2 (ja) 米粒群用乾燥装置
CN111448895A (zh) 一种谷物脱粒储存装置
CN110028205A (zh) 一种废水深度处理装置
JP2006284142A (ja) 乾燥装置
CN219168287U (zh) 水处理药剂的混合输送装置
JPH10216539A (ja) 精白穀粒洗浄方法及び精白穀粒洗浄システム
JP2005053738A (ja) 縦型2槽堆肥化装置
JP2875367B2 (ja) 酵母を利用した米糠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223117A (ja) 米粒被覆装置
JP2002205038A (ja) 有機廃棄物処理用の水平式攪拌、生成タンクと、及び該水平式攪拌、生成タンクを利用した有機廃棄物の攪拌、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