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022A - 펑크 수리 키트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022A
KR20140069022A KR1020147007782A KR20147007782A KR20140069022A KR 20140069022 A KR20140069022 A KR 20140069022A KR 1020147007782 A KR1020147007782 A KR 1020147007782A KR 20147007782 A KR20147007782 A KR 20147007782A KR 20140069022 A KR20140069022 A KR 2014006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nnection
inner lid
compressed air
blow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679B1 (ko
Inventor
노리오 다니구치
츠토무 고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29C73/025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fe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Abstract

내부 덮개의 제거를 확실화하면서, 내부 덮개와 캡 본체의 감합 정밀도를 완화한다. 보틀 용기의 마우스부에 추출캡을 부착한 펑크 수리 키트용의 보틀 유닛에서, 상기 추출캡은, 압축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보틀 용기 내에 취입하는 제1 유로와, 보틀 용기로부터 펑크 수리액과 압축 공기를 순차 취출하는 제2 유로와, 연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폐쇄하는 제1 및 제2 폐쇄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추출캡은, 상기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제2 폐쇄 수단을 해제하고 이 제2 유로를 개방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펑크 수리 키트{FLAT TIRE REPAIR KIT}
본 발명은, 펑크난 타이어에 펑크 수리액과 압축 공기를 순차 주입하여 펑크를 응급적으로 수리하는 타이어의 펑크 수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보틀 용기(a)의 마우스부(a1)에 추출캡(b)을 부착한 펑크 수리 키트용의 보틀 유닛(c)이 기재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보틀 유닛(c)에 이용되는 추출캡(b)은, 캡 본체(g)와 내부 덮개(h)로 구성된다. 상기 캡 본체(g)는, 압축기(d)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보틀 용기(a) 내에 취입하는 제1 유로(e)와, 이 압축 공기의 취입에 의해 상기 보틀 용기(a)로부터 펑크 수리액과 압축 공기를 순차 취출하는 제2 유로(f)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부 덮개(h)는, 상기 제1 및 제2 유로(e, f)를 동시에 폐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 본체(g)는, 보틀 용기(a)의 마우스부(a1)를 나사 부착하는 부착 오목부(g1)와, 상기 부착 오목부(g1)의 바닥면으로부터 융기하는 보스부(g2)를 구비한다. 상기 보스부(g2)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유로(e, f)의 상측 개구부(e1, f1)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 덮개(h)는, 상기 보스부(g2)의 외주면에 끼워맞춤(嵌着)되는 내부 덮개 본체(ha)와, 상기 상측 개구부(f1)에 끼워맞춤되는 마개축부(hb)를 일체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보틀 유닛(c)은, 사용 전에서는, 상기 내부 덮개(h)에 의해 제1 및 제2 유로(e, f)가 폐쇄된 상태로 차량에 보관된다. 또한 펑크 수리시에는, 이 상태의 추출캡(b)에 배관을 실시하여 압축기(d)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축 공기가 제1 유로(e)를 거쳐 내부 덮개 본체(ha) 내에 유입되고, 그 내압 상승에 의해, 상기 내부 덮개(h)를 자동적으로 제거하고, 제1 및 제2 유로(e, f)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덮개(h)에는, 보관시에는 떨어지지 않고, 반대로 펑크 수리시에는 압축 공기에 의해 용이하게 떨어지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상기 내부 덮개(h)와 캡 본체(g) 사이의 감합 치수의 정밀도를 높여, 내부 덮개(h)와 캡 본체(g) 사이의 감합력을 고정밀도로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구조에서는, 상기 내부 덮개 본체(ha)와 마개축부(hb)의 쌍방을 끼워맞춤시키기 때문에, 쌍방에 감합 변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감합 치수에 따라 한층 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수율률의 저하 및 제품 검사 공정에서의 행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덮개(h)에서는, 상기 내부 덮개 본체(ha)의 감합, 및 마개축부(hb)의 감합이 동시에 풀리는 것이 필요하다. 예컨대 마개축부(hb)가 먼저 떨어져 간극이 생긴 경우에는, 내부 덮개 본체(ha)내의 압축 공기가, 그 간극으로부터 제2 유로(f)에 유출된다. 이 때문에 내부 덮개 본체(ha)의 내압이 상승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내부 덮개 본체(ha)가 먼저 떨어져 간극이 생긴 경우에는, 그 간극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보틀 용기(a) 내로 누출된다. 그 결과, 보틀 용기(a)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내부 덮개 본체(ha)의 내외의 압력차가 감소한다. 따라서, 어느 경우에나, 내부 덮개(h)가 보스부(g2)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 덮개 본체(ha)와 마개축부(hb)가 동시에 떨어지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도 고정밀도가 필요한 요인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3123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내부 덮개의 제거를 확실화하면서, 내부 덮개와 캡 본체의 감합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어, 추출캡의 수율률의 저하 및 제품 검사 공정의 행정 비용의 상승 등을 억제할 수 있는 펑크 수리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청구항 1의 발명은, 압축 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 공기 토출구부를 구비하는 압축기,
펑크 수리액을 수용한 보틀 용기의 마우스부에, 추출캡을 부착한 보틀 유닛,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보틀 유닛의 추출캡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 고정할 수 있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펑크 수리 키트로서,
상기 추출캡은, 압축기의 상기 압축 공기 토출구부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보틀 용기 내로 제1 유로를 통해 취입하는 취입구부와, 이 압축 공기의 취입에 의해 상기 보틀 용기로부터 펑크 수리액과 압축 공기를 제2 유로를 통해 순차 취출하는 취출구부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폐쇄하는 제1 및 제2 폐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공기 토출구부와 취입구부 중 한쪽은, 다른쪽을 향해 돌출하는, 접속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쪽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접속 노즐이 삽입되고 이 접속 노즐과 밀하게 접속되는, 노즐 수용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추출캡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제2 폐쇄 수단을 해제하고 이 제2 유로를 개방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서는, 상기 추출캡은, 상기 보틀 용기의 마우스부에 상단이 부착되고 보틀 용기 내로 연속되는 내측 구멍을 갖는, 관형 부분의 하단을 바닥 부분에 연결한 몸통부와, 상기 바닥 부분으로부터 상기 관형 부분과 동심으로 융기하고 상기 제1 유로를 이루는 중심 구멍을 갖는 송풍관을 일체로 구비하는 캡 본체, 및
상기 송풍관에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측에서 삽입되어 유지되는 피복관(sheath pip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폐쇄 수단이 상기 피복관과 일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피복관에 설치되며, 상기 취입구부가 상기 바닥 부분에 아래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서는,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피복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바닥 부분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해제용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해제용 돌출편이 압축기에 접촉하여 상기 피복관을 위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제2 폐쇄 수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서는,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피복관과 관형 부분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환형의 종방향 유로부와, 이 종방향 유로부에 교점(P)에서 연속되고 이 교점(P)으로부터 상기 취출구부의 선단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횡방향 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 부분은, 상기 내측 구멍이 대직경을 이루는, 대직경 벽부와, 이 대직경 벽부에 단차부를 통해 하방측으로 연속되는, 소직경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대직경 벽부는 상기 교점(P)보다 상방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서는, 상기 제2 폐쇄 수단은, 상기 피복관에 일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소직경 벽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교점(P)보다 상방측과 하방측에서 상기 세로의 유로부를 폐쇄하는 상측 및 하측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시일 부재는, 상기 피복관의 밀어 올림에 의해 상기 단차부를 넘어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대직경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서는, 상기 송풍관의 상단은, 상기 펑크 수리액의 액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에서는, 상기 제1 폐쇄 수단은 상기 송풍관의 상단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내부 덮개이며, 이 내부 덮개는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 공기에 의한 제1 유로의 내압에 의해 떨어져 나와 제1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에서는, 상기 송풍관은 그 상단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서 상기 송풍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제1 계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덮개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계지 돌기를 타넘을 수 있는 환형의 제2 계지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제2 계지 돌기가 제1 계지 돌기와는 그 하측에서 계합하는 제1 계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에서는,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피복관을 통해 상기 제1 계합 상태로부터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제2 계지 돌기가 제1 계지 돌기보다 상방측에서 상기 송풍관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어 유지되는 제2 계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0에서는, 상기 제1 폐쇄 수단은 상기 송풍관의 상단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내부 덮개이며, 이 내부 덮개는,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피복관을 통해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상기 상단부로부터 떨어져 나와, 제1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1에서는, 상기 송풍관은 상기 송풍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제1 계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덮개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계지 돌기를 타넘을 수 있는 환형의 제2 계지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제2 계지 돌기가 제1 계지 돌기와 그 하측에서 계합하는 제1 계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펑크 수리 키트는, 추출캡을 압축기에 연결할 때의 상기 연결에 수반하여 제2 폐쇄 수단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별도로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유로가 별개로 개방된다. 이 때문에, 제1 폐쇄 수단인 내부 덮개와 캡 본체의 감합 정밀도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추출캡의 수율률의 저하 및 제품 검사 공정의 행정 비용의 상승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관시에, 상기 내부 덮개가 떨어져 나와 액 누설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시에, 내부 덮개가 떨어져 나오지 않게 되어, 펑크 수리 작업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펑크 수리 키트의 연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펑크 수리 키트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연결 전의 상태 및 연결 상태에서의 제1 폐쇄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연결 전의 상태 및 연결 상태에서의 다른 실시예의 제1 폐쇄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추출캡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펑크 수리 키트(1)의 연결 전의 상태(Y1)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펑크 수리 키트(1)는, 압축기(3)와 보틀 유닛(6)과 연결 수단(7)을 구비한다. 상기 압축기(3)는, 압축 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 공기 토출구부(2)를 구비한다. 상기 보틀 유닛(6)은, 펑크 수리액(T)을 수용한 보틀 용기(4)와, 이 보틀 용기(4)의 마우스부(4A)에 부착하는 추출캡(5)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 수단(7)은, 상기 압축기(3)와, 상기 보틀 유닛(6)의 추출캡(5)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 수단(7)은, 상기 압축기(3)에 형성되는 압축기측 연결 부분(7A)과, 상기 추출캡(5)에 형성되는 추출캡측 연결 부분(7B)을 포함한다. 펑크 수리시, 펑크 수리 현장에서 양자(7A, 7B)가 연결됨으로써, 압축기(3)와 보틀 유닛(6)이 일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펑크 수리 작업 중에 보틀 유닛(6)이 뒤집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는, 예컨대 모터, 피스톤, 실린더 등을 이용한 주지 구조의 가동부를 갖는다. 본 예에서는, 압축기(3)의 상면(3S) 측에, 상기 압축 공기 토출구부(2) 및 압축기측 연결 부분(7A)이 배치된다.
다음에, 상기 보틀 유닛(6)은, 보틀 용기(4)와 추출캡(5)을 포함한다. 상기 보틀 용기(4)는, 펑크 수리액(T)을 수용하는 용기부(4B)와, 상기 용기부(4B)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소직경 원통형의 마우스부(4A)를 구비한다.
상기 추출캡(5)은, 취입구부(9)와, 취출구부(11)와, 제1 및 제2 폐쇄 수단(12, 13)을 구비한다. 상기 취입구부(9)는, 압축기(3)에 접속되어, 이 압축기(3)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취입한다. 상기 취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취입구부(9)에 연속되는 제1 유로(8)를 거쳐 보틀 용기(4) 내에 유입된다. 또한 상기 압축 공기의 취입에 의해, 상기 보틀 용기(4)로부터, 펑크 수리액과 압축 공기가, 제2 유로(10)를 거쳐 상기 취출구부(11)로부터 순차 취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폐쇄 수단(12, 13)은, 상기 연결 수단(7)에 의한 연결 전의 상태(Y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로(8, 10)를 폐쇄한다. 또한 상기 추출캡(5)은, 상기 연결 수단(7)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제2 폐쇄 수단(13)을 해제하고 제2 유로(10)를 개방하는 해제 수단(19)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예의 추출캡(5)은, 도 2에 확대하여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캡 본체(14)와 피복관(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 본체(14)는, 몸통부(16)와 송풍관(17)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몸통부(16)는, 상기 보틀 용기(4)의 마우스부(4A)에 상단이 기밀하게 부착하는 관형 부분(16A)과, 그 하단을 연결하는(폐쇄하는) 바닥 부분(16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풍관(17)은, 상기 바닥 부분(16B)으로부터 융기한다. 상기 관형 부분(16A)의 내측 구멍(16H)은, 보틀 용기(4) 내로 연속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마우스부(4A)와 관형 부분(16A)이, 용착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여도 좋고, 또한 나사 부착에 의해 양자를 고정하는 등, 여러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송풍관(17)은, 상기 관형 부분(16A)과 동심으로 융기하고, 동시에 그 중심 구멍(17H)이 상기 제1 유로(8)를 구성한다.
상기 송풍관(17)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유로(8)를 폐쇄하는 내부 덮개(18)(도 1에 도시함.)가 끼워맞춤된다. 즉, 상기 내부 덮개(18)가 상기 제1 폐쇄 수단(12)을 구성한다. 이 내부 덮개(18)는, 본 예에서는, 상기 압축기(3)로부터의 압축 공기에 의한 제1 유로(8)의 내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떨어져 나와, 제1 유로(8)를 개방한다. 또한 송풍관(17)의 상단(17E)은, 펑크 수리액(T)의 액면(Ts)보다 상방 위치에서 종단된다.
상기 피복관(15)은, 상기 송풍관(17)에,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측에서 삽입되어 유지된다. 이 피복관(15)에는, 본 예에서는, 상기 제2 유로(10)를 폐쇄하는 제2 폐쇄 수단(13)과, 이 제2 폐쇄 수단(13)을 해제하는 상기 해제 수단(19)이 설치된다.
상기 해제 수단(19)은, 상기 피복관(15)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바닥 부분(16B)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해제용 돌출편(19A)을 갖는다. 상기 바닥 부분(16B)에, 해제용 돌출편(19A)을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16Bh)이 형성된다. 이 해제용 돌출편(19A)은, 상기 연결 수단(7)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본 예에서는, 노즐 수용부(26)의 상면과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피복관(15)을 위쪽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상기 노즐 수용부(26)의 상면은, 본 예에서는, 압축기(3)의 상면(3S)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로(10)는, 환형의 종방향 유로부(10A)와 횡방향 유로부(10B)를 구비한다. 상기 종방향 유로부(10A)는, 상기 피복관(15)과 관형 부분(16A)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횡방향 유로부(10B)는, 상기 종방향 유로부(10A)에 교점(P)에서 연속되고, 동시에 이 교점(P)으로부터 상기 취출구부(11)의 선단 개구부(11A)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취출구부(11)는, 상기 관형 부분(16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본 예에서는, 취출구부(11)는, 타이어측에 펑크 수리액(T) 및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호스(40)의 접속부(41)로서 형성된다. 상기 호스(40)는, 상기 관형 부분(16A) 주위에 감겨 보관된다.
또한 상기 관형 부분(16A)의 내벽면(W)은, 상기 내측 구멍(16H)이 대직경을 이루는, 대직경 벽부(Wa)와, 이 대직경 벽부(Wa)에 단차부(Wb)를 통해 하방측으로 연속되는, 소직경 벽부(Wc)를 구비한다. 상기 대직경 벽부(Wa)는, 상기 교점(P)보다 상방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직경 벽부(Wc)는, 상기 단차부(Wb)와 교점(P) 사이의 상측 소직경 벽부(WcU)와, 교점(P)보다 하방측인 하측 소직경 벽부(WcL)로 구분된다.
상기 제2 폐쇄 수단(13)은, 상기 피복관(15)에 일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및 하측 링형 시일 부재(20U, 20L)를 구비한다. 상기 상측 및 하측 링형 시일 부재(20U, 20L)는, 상기 소직경 벽부(Wc)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교점(P)보다 상방측 및 하방측에서 상기 종방향 유로부(10A)를 폐쇄한다. 본 예의 시일 부재(20U, 20L)는, 소위 O-링으로서, 상기 피복관(15)의 외주에 형성되는 둘레홈에 의해 유지된다.
이 제2 폐쇄 수단(13)은, 상기 연결 전의 상태(Y1)(도 2에 도시됨.)에서는, 상측 시일 부재(20U)가, 상측 소직경 벽부(WcU)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2 유로(10)가 폐쇄되어, 펑크 수리액(T)이 취출구부(11) 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 상태(Y2)(도 4에 도시됨)에서는, 상기 해제용 돌출편(19A)에 의한 상기 피복관(15)의 밀려 올라감에 의해, 상기 상측 시일 부재(20U)는, 상기 단차부(Wb)를 넘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상측 시일 부재(20U)와 대직경 벽부(Wa)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제2 유로(10)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16)에는, 상기 바닥 부분(16B)에 상기 취입구부(9)가 형성된다. 이 취입구부(9)는, 압축기(3)의 상기 압축 공기 토출구부(2)와, 호스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축 공기 토출구부(2)와 취입구부(9) 중 한쪽은, 다른쪽을 향해 돌출하는 접속 노즐(25)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쪽은, 상기 연결 수단(7)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접속 노즐(25)이 삽입되고 이 접속 노즐(25)과 밀접하게 접속되는 노즐 수용부(26)로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취입구부(9)가, 상기 바닥 부분(16B)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접속 노즐(25)로서 형성되고, 상기 압축 공기 토출구부(2)가 노즐 수용부(26)로서 형성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상기 접속 노즐(25)은, 외경이 일정한 노즐 본체(25A)의 하단 측에, 끝이 가는 콘형상의 테이퍼면부(25B)를 구비한다. 또한 노즐 본체(25A)에는, O-링 등인 예컨대 2개의 시일 링(27)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노즐 수용부(26)는, 상기 시일 링(27)을 통해 노즐 본체(25A)에 기밀하게 감합하는 감합 구멍부(26A)의 하단에, 상기 테이퍼면부(25B)와 대략 같은 경사를 이루는 테이퍼면부(26B)를 구비한다. 이 테이퍼면부(25B, 26B)에 의해, 접속 노즐(25)과 노즐 수용부(26)는, 동심으로 정렬된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측 연결 부분(7A)과 추출캡측 연결 부분(7B)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캡측 연결 부분(7B)은, 본 예에서는, 상기 바닥 부분(16B)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 예컨대 2개의 계지 클로(30: locking claw)를 포함한다. 이 계지 클로(30)는, 상기 바닥부(16B)에 연속되는 메인부(30A) 선단에, 대략 직각 삼각형상의 후크부(30B)를 외향으로 돌출 설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측 연결 부분(7A)은, 상기 후크부(30B)에 계합하여 빠짐 방지되는 클로 계합 구멍(31)을 구비하고, 본 예에서는, 이 클로 계합 구멍(31)은, 노즐 수용부(26)와 일체 형성되는 프레임(32)에 형성된다.
또한 도 5의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송풍관(17)은, 그 상단(17E)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이 송풍관(17)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제1 계지 돌기(3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부 덮개(18)는, 그 내주면에, 약간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2 계지 돌기(34)를 구비한다. 이 제2 계지 돌기(34)는, 상기 제1 계지 돌기(33)를 타넘을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 수단(7)에 의한 연결 전의 상태(Y1)에서, 상기 내부 덮개(18)는, 제1 계합 상태(X1)로 상기 제1 유로(8)의 상단을 폐쇄한다. 상기 제1 계합 상태(X1)에서, 상기 제2 계지 돌기(34)는, 제1 계지 돌기(33)의 하측에서 이 제1 계지 돌기(33)와 계합한다.
상기 연결 전의 상태(Y1)에서는, 상기 피복관(15)의 상단(15E)은, 상기 제1 계합 상태(X1)의 내부 덮개(18)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상기 송풍관(17)의 외주에는, 상기 위치에 제3 계지 돌기(35)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피복관(15)의 상단 위치가 규제되어, 연결 전의 상태(Y1)에서, 상기 피복관(15)이 내부 덮개(18)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송풍관(17)에는, 상기 피복관(15) 사이를 시일하는 O-링 등의 시일 링(36)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내부 덮개(18)는, 연결 상태(Y2)에서는,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복관(15)을 통해 상기 제1 계합 상태(X1)로부터 위쪽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제2 계지 돌기(34)가 제1 계지 돌기(33)보다 상방측이 되는 제2 계합 상태(X2)에서, 상기 제1 유로(8)의 상단을 폐쇄한다. 상기 제1 계합 상태(X1)로부터 제2 계합 상태(X2)로의 이동은, 제2 계지 돌기(34)가 제1 계지 돌기(33)를 타넘음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계합 상태(X2)에서는, 상기 제2 계지 돌기(34)가 송풍관(17)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는 것만으로 내부 덮개(18)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압축 공기에 의한 제1 유로(8)의 내압에 의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제1 계합 상태(X1)에서는, 제2 계지 돌기(34)가 제1 계지 돌기(33)와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공고히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펑크 수리 키트(1)에서는, 연결 수단(7)을 갖기 때문에, 불안정한 보틀 유닛(6)을 압축기(3)에 일체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중 보틀 유닛(6)의 뒤집혀 떨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압축기(3)의 압축 공기 토출구부(2)와, 추출캡(5)의 취입구부(9)가 직접 접속된다. 이 때문에 공기 공급측의 호스를 배제할 수 있어, 펑크 수리 현장에서의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오배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폐쇄 수단(13)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19)이 별도 설치되어, 제1 및 제2 유로(8, 10)가 별개로 개방된다. 이 때문에 제1 폐쇄 수단(12)인 내부 덮개(18)와, 송풍관(17) 사이의 감합 변동만을 고려하면 좋다. 즉, 감합 변동을 종래에 비해 반감할 수 있다. 또한 감합 정밀도를 완화하여, 추출캡의 수율률의 저하 및 제품 검사 공정의 행정 비용의 상승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예에서는, 제1 및 제2 계지 돌기(33, 34)를 설치하고, 연결 전의 상태(Y1)에서는 공고한 제1 계합 상태(X1)에서 내부 덮개(18)를 부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관시에서의 액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상태(Y2)에서는, 내부 덮개(18)가 약한 제2 계합 상태(X2)가 된다. 이 때문에 펑크 수리시, 압축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내부 덮개(18)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계합 상태(X1, X2)가 연결 수단(7)에 의한 연결에 연동하여 전환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8)를 이루는 송풍관(17)에 피복관(15)을 외측에서 삽입되어 유지시키고, 이 피복관(15)에 제2 폐쇄 수단(13)과 해제 수단(19)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계합 상태(X1)로부터 제2 계합 상태(X2)로의 전환 및 제2 폐쇄 수단(13)의 해제[제2 유로(10)의 개방]를, 상기 연결 수단(7)에 의한 연결에 연동시켜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와 같이, 상기 송풍관(17)의 상단(17E)이, 펑크 수리액(T)의 액면(Ts)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서는, 만약 제2 유로(10) 측이 막힌 상태로 압축기(3)를 작동해 버린 경우, 보틀 용기(4) 내의 압력이 매우 높아진다. 그리고 압축기(3)에 맥동이 있는 경우에는, 보틀 용기(4)의 펑크 수리액(T)이 압축기(3) 측에 역류할 우려가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상단(17E)을 액면(Ts)보다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10) 측이 막힌 상태란, 제2 폐쇄 수단(13)의 불량에 의해 제2 내부 덮개(8B)가 떨어져 나오지 않는 경우, 상기 취출구부(11)에 접속되는 호스(40)가 꺾여 막힌 경우, 또는 상기 호스(40) 선단이 캡으로 막혀 있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6의 (A) 및 (B)에 추출캡(5)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3 계지 돌기(33, 35) 간의 거리가 짧다. 이것에 의해, 연결 전의 상태(Y1)에서, 상기 내부 덮개(18) 하단과 피복관(15) 상단(15E)이 근접해 있다. 이 때문에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 수단(7)에 의한 연결시, 상기 내부 덮개(18)는, 피복관(15)을 통해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상기 송풍관(17)의 상단부로부터 떨어져 나와, 제1 유로(8)를 개방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양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펑크 수리 키트, 2: 압축 공기 토출구부, 3: 압축기, 4: 보틀 용기, 4A: 마우스부, 5: 추출캡, 6: 보틀 유닛, 7: 연결 수단, 8: 제1 유로, 9: 취입구부, 10: 제2 유로, 10A: 종방향 유로부, 10B: 횡방향 유로부, 11: 취출구부, 11A: 선단 개구부, 12: 제1 폐쇄 수단, 13: 제2 폐쇄 수단, 14: 캡 본체, 15: 피복관, 16: 몸통부, 16A: 관형 부분, 16B: 바닥 부분, 16H: 내측 구멍, 17: 송풍관, 17H: 중심 구멍, 18: 내부 덮개, 19: 해제 수단, 19A: 해제용 돌출편, 20U: 상측 시일 부재, 20L: 하측 시일 부재, 25: 접속 노즐, 26: 노즐 수용부, 33: 제1 계지 돌기, 34: 제2 계지 돌기, T: 펑크 수리액, Ts: 액면, X1: 제1 계합 상태, X2: 제2 계합 상태, Y1: 연결 전의 상태, Y2: 연결 상태, Wa: 대직경 벽부, Wb: 단차부, Wc: 소직경 벽부

Claims (11)

  1. 압축 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 공기 토출구부를 구비하는 압축기,
    펑크 수리액을 수용한 보틀 용기의 마우스부에, 추출캡을 부착한 보틀 유닛,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보틀 유닛의 추출캡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 고정할 수 있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펑크 수리 키트로서,
    상기 추출캡은, 압축기의 상기 압축 공기 토출구부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보틀 용기 내로 제1 유로를 통해 취입하는 취입구부와, 이 압축 공기의 취입에 의해 상기 보틀 용기로부터 펑크 수리액과 압축 공기를 제2 유로를 통해 순차 취출하는 취출구부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폐쇄하는 제1 및 제2 폐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공기 토출구부와 취입구부 중 한쪽은, 다른쪽을 향해 돌출하는 접속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쪽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접속 노즐이 삽입되고 상기 접속 노즐과 밀접하게 접속되는 노즐 수용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추출캡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제2 폐쇄 수단을 해제하고 상기 제2 유로를 개방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캡은,
    상기 보틀 용기의 마우스부에 상단이 부착되고 보틀 용기 내로 연속되는 내측 구멍을 갖는, 관형 부분의 하단을 바닥 부분에 연결한 몸통부와, 상기 바닥 부분으로부터 상기 관형 부분과 동심으로 융기하고 상기 제1 유로를 이루는 중심 구멍을 갖는 송풍관을 일체로 구비하는 캡 본체, 및
    상기 송풍관에,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측에서 삽입되어 유지되는 피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폐쇄 수단이 상기 피복관과 일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피복관에 설치되며, 상기 취입구부가 상기 바닥 부분에 아래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피복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바닥 부분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해제용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상기 해제용 돌출편이 압축기에 접촉하여 상기 피복관을 위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제2 폐쇄 수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피복관과 관형 부분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환형의 종방향 유로부와, 이 종방향 유로부에 교점(P)에서 연속되고 상기 교점(P)으로부터 상기 취출구부의 선단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횡방향 유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 부분은, 상기 내측 구멍이 대직경을 이루는, 대직경 벽부와, 이 대직경 벽부에 단차부를 통해 하방측으로 연속되는, 소직경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대직경 벽부는 상기 교점(P)보다 상방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 수단은, 상기 피복관에 일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소직경 벽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교점(P)보다 상방측과 하방측에서 상기 종방향 유로부를 폐쇄하는 상측 및 하측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시일 부재는, 상기 피복관의 밀어 올림에 의해 상기 단차부를 넘어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대직경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의 상단은, 상기 펑크 수리액의 액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 수단은, 상기 송풍관의 상단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내부 덮개이며, 이 내부 덮개는,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 공기에 의한 제1 유로의 내압에 의해 떨어져 나와, 제1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펑크 수리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은 그 상단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서 상기 송풍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제1 계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덮개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계지 돌기를 타넘을 수 있는 환형의 제2 계지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제2 계지 돌기가 제1 계지 돌기와 그 하측에서 계합하는 제1 계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피복관을 통해 상기 제1 계합 상태로부터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제2 계지 돌기가 제1 계지 돌기보다 상방측에서 상기 송풍관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어 유지되는 제2 계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10.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 수단은, 상기 송풍관의 상단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내부 덮개이며, 이 내부 덮개는,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에 수반하여 피복관을 통해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상기 상단부로부터 떨어져 나와, 제1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은 상기 송풍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제1 계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덮개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계지 돌기를 타넘을 수 있는 환형의 제2 계지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제2 계지 돌기가 제1 계지 돌기와 그 하측에서 계합하는 제1 계합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키트.
KR1020147007782A 2011-09-20 2012-07-23 펑크 수리 키트 KR101943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4968 2011-09-20
JP2011204968A JP5395865B2 (ja) 2011-09-20 2011-09-20 パンク修理キット
PCT/JP2012/068585 WO2013042448A1 (ja) 2011-09-20 2012-07-23 パンク修理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022A true KR20140069022A (ko) 2014-06-09
KR101943679B1 KR101943679B1 (ko) 2019-01-29

Family

ID=4791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782A KR101943679B1 (ko) 2011-09-20 2012-07-23 펑크 수리 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65000B2 (ko)
EP (1) EP2746033B1 (ko)
JP (1) JP5395865B2 (ko)
KR (1) KR101943679B1 (ko)
CN (1) CN103826834B (ko)
WO (1) WO2013042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8946B2 (en) * 2011-01-28 2015-09-22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Flat tire repair kit
JP5568068B2 (ja) * 2011-09-20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JP5476352B2 (ja) * 2011-09-30 2014-04-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JP5568101B2 (ja) * 2012-02-03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TWM462676U (zh) * 2013-05-03 2013-10-01 Active Tools Int Hk Ltd 輪胎修補機的快速連接分離裝置
CN105658417A (zh) * 2013-11-06 2016-06-08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漏气修理用的瓶单元
JP6259259B2 (ja) * 2013-11-06 2018-01-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用のボトルユニット
JP6259281B2 (ja) * 2013-12-25 2018-01-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用のボトルユニット
WO2015114567A2 (en) * 2014-01-29 2015-08-06 Tek Global S.R.L. Improved sealant liquid container and kit comprising such a container
CN105934334B (zh) * 2014-02-06 2018-12-11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爆胎修理套件
JP5941500B2 (ja) * 2014-07-02 2016-06-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JP5945288B2 (ja) * 2014-02-07 2016-07-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JP5941486B2 (ja) * 2014-02-06 2016-06-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TWI559978B (en) * 2014-12-04 2016-12-01 Wen-San Jhou Sealant dispenser
US10611103B2 (en) * 2017-09-12 2020-04-07 Bell Sports, Inc. Tire repair tool and method of repairing a tire puncture with tire plugs
DE102019217775A1 (de) 2019-11-19 2021-05-2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Druckluft und/oder Dichtmittel in einen Fahrzeugluftreifen und tragbares/transportables System zum Abdichten und Aufpumpen von Fahrzeugluftreif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615A (ja) * 2004-05-06 2005-11-17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パンク応急修理装置に用いる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
JP2006007660A (ja) * 2004-06-28 2006-01-1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送給、抜取り装置
KR20060032416A (ko) * 2004-10-12 2006-04-17 백상열 유동체 수납용기
JP2009023225A (ja) * 2007-07-19 2009-02-05 Sumitomo Rubber Ind Ltd シーリング剤容器と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との組立体
JP2009023123A (ja) 2007-07-17 2009-02-0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パンク応急修理装置に用いる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
JP2010094944A (ja) * 2008-10-20 2010-04-30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145A (en) * 1933-08-17 1935-10-15 William G Dunn Pneumatic liquid dispenser
US3175591A (en) * 1962-12-19 1965-03-30 M R M Company Inc Sanitary dispensing nozzles for filling machines
US4535918A (en) * 1983-06-03 1985-08-20 Heiligman Randy B Dispenser with squeeze-bulb actuator
US5058636A (en) * 1988-06-27 1991-10-22 Link Research & Development, Inc. Liquid flow controlling system
DE3836365A1 (de) * 1988-10-26 1990-05-10 Schering Ag Befuelleinrichtung
US5203384A (en) * 1990-08-15 1993-04-20 Dresser Industries, Inc. Combination casting for a blending dispenser
CA2189290A1 (en) * 1996-10-31 1998-04-30 Ian Savidge Apparatus and method of introducing a free-flowing balancing material within a tire
WO2001083361A1 (en) * 2000-05-03 2001-11-08 Sb Partnership Bottle and bottle coupler
CZ20022938A3 (cs) * 2001-02-16 2003-02-12 Continental Ag Způsob plnění předmětu a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US6761192B2 (en) * 2002-09-19 2004-07-13 Swiftflo, Llc Assembly for automatic vehicle fueling
US7080668B2 (en) * 2004-03-24 2006-07-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er for dispensing liquid into a container
US8701736B2 (en) * 2005-01-18 2014-04-22 Android Industries Llc Inflation work station
US7389800B2 (en) * 2005-03-25 2008-06-24 Accessories Marketing, Inc. Orientation-independent fluid delivery apparatus
JP4519065B2 (ja) * 2005-11-29 2010-08-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4871106B2 (ja) * 2006-06-20 2012-02-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5376754B2 (ja) * 2006-12-21 2013-1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装置
JP4878336B2 (ja) * 2007-06-18 2012-02-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US8020588B2 (en) * 2008-09-11 2011-09-20 Min-Hsieng Wang Tire repair solution can
KR101674230B1 (ko) * 2009-01-07 2016-11-08 트라이델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손상된 팽창 가능 물품을 수리 및 팽창시키기 위한 장치
EP2422960B1 (en) * 2009-04-23 2017-06-28 Bridgestone Corporation Sealing and pump-up device
US8684046B2 (en) * 2009-11-04 2014-04-0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uncture repair kit
DE102010010361B4 (de) * 2010-03-05 2020-12-1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US8297321B2 (en) * 2010-07-02 2012-10-30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US8671995B2 (en) * 2010-07-02 2014-03-18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US9138946B2 (en) * 2011-01-28 2015-09-22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Flat tire repair kit
TWI482908B (zh) * 2011-03-07 2015-05-01 Wen San Chou Air compressor for vehicle
JP5568068B2 (ja) * 2011-09-20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JP5476351B2 (ja) * 2011-09-28 2014-04-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JP5476352B2 (ja) * 2011-09-30 2014-04-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US8746293B2 (en) * 2011-10-12 2014-06-10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JP5568100B2 (ja) * 2012-01-06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EP2815875B1 (en) * 2012-02-16 2018-04-11 Wen-San Jhou Vehicle-mounted air compressor device
DE112013001301B4 (de) * 2012-04-16 2020-01-16 The Yokohama Rubber Co., Ltd. Reifenreparaturvorrichtung und Reifenreparaturverfahren, das diese verwendet
FR2994691B1 (fr) * 2012-08-24 2014-09-05 Philippe Perrier Procede et machine pour le remplissage de recipients
FR2996217B1 (fr) * 2012-10-02 2015-10-30 Cryl Dispositif de transfert d'un liquide
ITMI20131163A1 (it) * 2013-07-10 2015-01-11 Smi Spa Dispositivo di riempimento
US9873557B2 (en) * 2013-08-12 2018-01-23 Tek Global S.R.L. Disposable canister for sealant for inflatable article repair and inflation kit, and production thereof
US9902375B2 (en) * 2014-01-13 2018-02-27 Wai Kan Wong Device used for pressing air and/or tire sealant into a tire and a compression par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615A (ja) * 2004-05-06 2005-11-17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パンク応急修理装置に用いる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
JP2006007660A (ja) * 2004-06-28 2006-01-1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送給、抜取り装置
KR20060032416A (ko) * 2004-10-12 2006-04-17 백상열 유동체 수납용기
JP2009023123A (ja) 2007-07-17 2009-02-0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パンク応急修理装置に用いる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
JP2009023225A (ja) * 2007-07-19 2009-02-05 Sumitomo Rubber Ind Ltd シーリング剤容器と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との組立体
JP2010094944A (ja) * 2008-10-20 2010-04-30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67013A (ja) 2013-04-18
US9365000B2 (en) 2016-06-14
CN103826834B (zh) 2016-04-06
US20140190590A1 (en) 2014-07-10
EP2746033B1 (en) 2020-10-07
EP2746033A1 (en) 2014-06-25
WO2013042448A1 (ja) 2013-03-28
CN103826834A (zh) 2014-05-28
EP2746033A4 (en) 2015-04-29
JP5395865B2 (ja) 2014-01-22
KR101943679B1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679B1 (ko) 펑크 수리 키트
JP5568068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4133945B2 (ja)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送給、抜取り装置
JP5376754B2 (ja) シーリング装置
EP3023239B1 (en) Emergency repair kit for punctured tires
JP5476351B2 (ja)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US9333715B2 (en) Cap unit for puncture repair
JP2020197302A (ja) 車載用空気圧縮機の直列接続フレキシブル管の噴出防止継手構造
JP4773795B2 (ja)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送給、抜取り装置
JP5384317B2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6450642B2 (ja) 付け替え容器
JP2013067014A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2011131547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WO2021208004A1 (zh) 胶料桶和补胎充气装置
JP6259259B2 (ja) パンク修理用のボトルユニット
JP5032297B2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