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852A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852A
KR20140064852A KR1020147006329A KR20147006329A KR20140064852A KR 20140064852 A KR20140064852 A KR 20140064852A KR 1020147006329 A KR1020147006329 A KR 1020147006329A KR 20147006329 A KR20147006329 A KR 20147006329A KR 20140064852 A KR20140064852 A KR 20140064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ressing member
disposed
feed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지 카미쿠보
아키히로 나카하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761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390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76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437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64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23451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미탈곡립을 저감시킨 탈곡 장치를 제공한다. 급동(16)은 급실(15) 내에서 축선(17)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급치(22)는 급동(16)의 축선(17)과 대략 평행한 편평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을 향해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급동(16)의 주위에 설치된다. 급치(22)는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급치(22)끼리의 사이에 선단을 향해서 넓어지는 V형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급동(16)은 곡간을 상향 탈곡식으로 탈곡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짚누름 부재(28)는 급동(16) 및 곡간 반송 기구(11) 사이의 곡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짚누름 부재(28)에는 곡간의 반송 방향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 반송되는 곡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서서히 접근하는 도입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탈곡 장치{THRESHING DEVICE}
본 발명은 곡간의 탈곡을 행하는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탈곡 장치는 곡간을 탈곡하기 위한 급동(扱胴)을 구비한다. 이 급동은 원통형상의 급동 본체의 외주에 다수의 급치(扱齒)를 배열한 것이다. 종래의 탈곡 장치에서는 이 급치는 선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선재로 이루어지는 급치는 곡간의 이삭 끝과의 충돌 빈도가 작아 탈곡의 효율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 V자상의 홈이 형성된 판재에 의해 급치를 형성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탈곡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이 구성에 의해 곡간을 확실하게 탈곡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112614호 공보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탈곡 장치의 급동은 V자형의 홈에 의해 곡간을 끼워 넣어서 회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곡간의 이삭 끝이 급동에 의해 잡아 당겨지기 쉽다. 이 결과 급동과 협액 반송 기구 사이에서 곡간이 떠받친 상태가 된다. 이때문에 급동과 협액 반송 기구 사이의 부분이 급동으로부터 떠올라버려 이 부분의 탈곡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미탈곡립(곡립이 탈곡되지 않고 곡간에 남아버리는 것)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요한 목적은 미탈곡립을 저감시킨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이어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의 탈곡 장치가 제공된다. 즉, 이 탈곡 장치는 급동과, 복수개의 급치와, 곡간 반송 기구와, 짚누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급동은 급실 내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급치는 상기 급동의 축선과 대략 평행한 편평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을 향해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동의 주위에 설치된다. 상기 곡간 반송 기구는 상기 급동의 상기 축선을 따라 곡간을 반송한다. 상기 짚누름 부재는 상기 급동 및 상기 곡간 반송 기구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급치는 상기 급동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급치끼리의 사이에 선단을 향해서 넓어지는 V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동은 상기 곡간을 상향 탈곡식으로 탈곡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짚누름 부재는 상기 급동 및 상기 곡간 반송 기구 사이의 곡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짚누름 부재에는 상기 곡간의 반송 방향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 반송되는 상기 곡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서서히 접근하는 도입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짚누름 부재에 의해 급동과 곡간 반송 기구 사이의 곡간을 하향으로 압박할 수 있으므로 곡간이 급동으로부터 떠올라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탈곡립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짚누름 부재에 도입부를 형성함으로써 곡간이 반송될 때에 짚누름 부재에 의해 상기 곡간을 스무드하게 압박해 갈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짚누름 부재는 상기 곡간의 대략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둥근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둥근 파이프로서 구성된 짚누름 부재에는 곡간에 접촉하는 부분에 날카로운 부분이 없으므로 곡간을 상처 입히는 일 없이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탈곡 장치는 적어도 상기 급동의 상방을 덮는 급실 커버와, 상기 급실 커버의 상기 급동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곡간 안내 부재를 갖는다. 상기 곡간 안내 부재는 상기 V형 홈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곡간 안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곡간을 V형 홈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V형 홈에 의해 곡간을 확실하게 끼워 넣어서 훑을 수 있으므로 미탈곡립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간 안내 부재는 상기 곡간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급동의 후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동의 후반 부분에서는 곡간에 남아있는 이삭의 양은 매우 적기 때문에 나머지 소량의 이삭을 확실하게 분리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급동의 후반 부분에 곡간 안내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나머지 소량의 이삭도 남기지 않고 확실하게 곡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급동의 후반 부분이면 곡간의 이삭 끝의 체적이 작아져 있으므로 상기 곡간을 훑는 것에 의한 급동의 회전 부하는 작다. 따라서, 곡간 안내 부재를 급동의 후반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전반 부분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소비 동력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간 안내 부재는 상기 급동의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급치의 회전 궤적을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간 안내 부재를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곡간 안내 부재를 곡간의 이삭 끝 전체에 대하여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동의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곡간 안내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치의 회전 궤적과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간 안내 부재를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곡간의 이삭 끝을 V형 홈의 내측으로 확실하게 밀어 넣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V형 홈에 의해 곡간의 이삭 끝을 확실하게 훑을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급실 커버는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급실을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짚누름 부재는 상기 급실 커버에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실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곡간 안내 부재 및 짚누름 부재가 급실 커버와 일체적으로 상방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지보수 시 등에는 급실 커버를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급실을 개방함으로써 곡간 안내 부재를 급치로부터 이간시킴과 아울러 짚누름 부재에 의한 곡간의 압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치 및 급동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급실 내로 상기 곡간의 이삭 끝을 도입하기 위한 공급구가 상기 급실의 상기 곡간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구는 상기 급치의 선단의 회전 궤적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탈곡 장치는 상기 공급구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배치된 역류 방지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공급구를 역류 방지 부재에 의해 막음으로써 급실 내에서 발생한 곡립이나 이삭 조각 등이 공급구를 통해 급실의 외부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급구를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했으므로 상기 공급구를 막는 역류 방지 부재는 급치의 선단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곡간이 공급구를 통과할 때에 역류 방지 부재가 크게 변형되었다고 해도 상기 역류 방지 부재가 급동 또는 급치에 접촉해버리는 경우가 없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고정되어 있는 측의 단부보다 상기 곡간의 이삭 끝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를 곡간의 이삭 끝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함으로써 곡간의 반송이 역류 방지 부재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어진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곡간의 반송이 역류 방지 부재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탈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의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탈곡 장치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급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이삭 조각 처리 장치 및 선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짚누름 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곡간 안내 부재 및 급동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B-B 단면의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역류 방지 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풍향 조정 부재를 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풍향 조정 부재를 주로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이어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탈곡 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측부에 설치된 곡간 반송 기구(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기구(11)는 곡간 반송 체인(12)과, 압박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곡간 반송 체인(1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단 환상으로 구성되고,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순환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박 부재(1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체인(12)의 상면에 대하여 압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간(14)은 그 근원 부분을 곡간 반송 체인(12)의 상면과 압박 부재(13) 사이에 끼워 넣어져서 유지된다(도 3 참조). 이 상태에서 곡간 반송 체인(12)을 순환 구동함으로써 곡간 반송 기구(11)는 곡간(14)을 장치 정면측으로부터 장치 후방을 향해서 반송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곡간 반송 기구(11)에 의해 곡간(14)이 반송되는 방향을 간단히 곡간 반송 방향이라고 부른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급실(15)과, 선별 장치(36)와, 폐짚 처리부(21)가 주로 배치되어 있다.
급실(15)은 곡간(14)의 탈곡을 행하기 위한 공간이다. 급실(15) 내에는 급동(16)과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가 배치되어 있다.
급동(16)은 그 축선(17)이 탈곡 장치(1)의 전후 방향(도 2의 좌우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된 통형상의 구성이며, 그 주위에는 후술하는 급치(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정면측(도 1 및 도 2의 좌측)에는 급실(15)의 내부로 곡간(14)의 이삭 끝(14a)을 도입하기 위한 공급구(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방향으로 공급구(25)보다 상류측에는 상기 공급구(25)의 아래 가장자리부에 접속하는 이삭 끝 안내 플레이트(26)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14)의 이삭 끝(14a)의 부분은 이삭 끝 안내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의해 공급구(25)까지 안내된다.
또한, 본체(10)는 급실 커버(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 커버(60)는 급동(16) 및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의 상방을 덮고 있다. 급실 커버(60)는 급실(15)의 내부로 노출하고, 급실(15)의 천정 부분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향의 천정면(61)을 갖고 있다. 이 천정면(61)은 급동(16)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이 급실 커버(60)는 도 3에 나타내는 지지축(63)을 중심으로 해서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실 커버(60)를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급동(16)의 상부를 개방하여 유지보수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공급구(25)는 급실 커버(60)의 하면[천정면(61)]과, 상기 이삭 끝 안내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의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이삭 끝 안내 플레이트(26) 및 천정면(61)은 급동(16)의 외주를 따르도록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 끝 안내 플레이트(26)의 곡간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도 2의 우측의 단부)는 급치(22)의 선단보다 급동(16)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의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공급구(25)는 급치(22)의 회전 궤적의 외측을 따라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구(25)로부터 곡간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천정면(61)이 급치(22)의 선단에 대하여 급동(16)의 반경 방향으로 근접해 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공급구(25)로부터 급실(15) 내에 투입된 곡간(14)의 이삭 끝(14a)을 급동(16)에 대하여 스무드하게 근접해 갈 수 있다.
급동(16)은 축선(17) 둘레로 회전 구동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체인(12)은 평면으로 볼 때 급동(16)의 축선(17)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곡간 반송 기구(11)는 급동(16)의 축선(17)을 따르도록 곡간(14)을 반송한다. 이때, 회전하는 급동(16)의 급치(22)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4)로부터 이삭 끝(14a)의 부분이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이삭 끝(14a)의 부분을 「이삭 조각」이라고 칭한다.
곡간(14) 중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이삭 끝(14a) 부분이 분리된 나머지의 부분을 「폐짚」이라고 부른다. 폐짚은 곡간 반송 기구(11)의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에 있어서 폐짚 반송 기구(18)(도 1 및 도 4)로 운반된다.
이 폐짚 반송 기구(1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짚 반송 체인(19)과, 록킹 반송 벨트(20)를 병렬해서 설치한 구성이다. 폐짚 반송 체인(19)은 무단 환상의 체인으로서 구성되어 순환 구동됨으로써 그 하면에서 폐짚의 근원 부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록킹 반송 벨트(20)는 일정 간격으로 돌기(도시 생략)가 배치된 무단 환상 벨트이며, 상기 록킹 반송 벨트(20)를 순환 구동함으로써 곡간의 이삭 끝 부분을 돌기에 의해 록킹하면서 반송하는 구성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짚 반송 기구(18)의 하방에는 폐짚 처리부(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폐짚 처리부(21)는 폐짚을 가늘게 절단하기 위한 폐짚 커터, 절단된 폐짚을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확산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폐짚 반송 기구(18)에 의해 반송되는 폐짚은 폐짚 처리부(21)에 순차 투입되어 가늘게 재단된 후 포장에 균일하게 방출된다.
이어서, 곡간(14)을 탈곡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동(16)은 금속판으로 대략 8각형 기둥상의 중공상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축선(17)이 장치 전후 방향(도 2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급동(16)의 외주에는 복수개의 급치(22)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치(22)는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급치(22)는 상기 급치(22)끼리가 늘어서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을 구성하도록 편평한(평판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치(22)의 선단부는 선단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대략 V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급치(22)끼리의 사이는 선단을 향해서 폭이 넓어지는 V형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V형 홈(23) 안에는 환형(또는 다각형)의 빠짐 구멍(24)이 상기 V형 홈(23)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급동(16)은 상향 탈곡식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14)은 상방을 향해서 훑어지고, 상기 곡간(14)의 이삭 끝(14a)은 급동(16)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곡간(14)의 이삭 끝은 급치(22)와, 급실 커버(60)의 하면[천정면(61)]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의 축선(17)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천정면(61)의 일부가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을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정면(61)은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에 접근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치(22)의 선단과 천정면(61) 사이의 간극은 10㎜ 정도로 하고 있다.
곡간 반송 기구(11)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4)의 이삭 끝(14a)은 천정면(61)과 급치(22) 사이의 좁은 간극을 지나게 된다. 이때, 이삭 끝(14a)은 천정면(61)에 눌리도록 해서 급치(22)끼리의 사이의 부분[V형 홈(23) 및 빠짐 구멍(24)]에 끼워 넣어진다. 이 상태로 급동(16)이 회전함으로써 곡간(14)이 이삭 끝(14a)을 향해서 훑어지고, 상기 곡간(14)로부터 이삭 끝(14a)의 부분이 잡혀서 이삭 조각이 된다.
이어서,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곡간(14)로부터 분리된 이삭 끝(이삭 조각)의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급실(15) 내에 있어서는 급동(16)의 회전에 따라 이삭 조각 이외에도 곡립이나 짚부스러기 등이 발생한다. 이들의 혼합물을 이하 피처리물이라고 칭한다.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피처리물은 상기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급동(16)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방출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처리물의 낙하 위치에는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가 배치되어 있다.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과, 수망(31)을 구비하고 있다.
처리동(30)은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축선(32)이 회전축으로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리동(30)의 축선(32)은 급동(16)의 축선(17)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과 처리동(30)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처리동(30)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처리치(處理齒)(33)를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처리치(33)는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수망(31)은 처리동(30)의 하반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망(31)은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회전하는 처리치(33)의 선단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은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로 도입된다. 이 피처리물은 회전하는 처리치(33)와 수망(31) 사이에서 완화 작용을 받아 단립화(곡립이 분리되는 것)가 촉진된다. 탈립된 곡립은 수망(31)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한다. 또한, 수망(31)의 종단에는 절삭치(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삭치(49)는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동(30)이 회전함으로써 절삭치(49)끼리의 사이를 처리치(33)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에 투입된 짚부스러기 등이 가늘게 재단된다. 가늘게 재단된 짚부스러기는 수망(31)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한다. 수망(31)으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곡립, 짚부스러기, 이삭 조각 등의 혼합물)을 이하의 설명에서는 피선별물이라고 칭한다. 수망(31)으로부터 낙하한 피선별물은 선별 장치(36)에 투입된다.
한편, 처리동(30)의 축(32)은 급동(16)의 축선(17)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급동(16)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처리물을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에서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한,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는 구획판(34)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획판(34)은 구멍이 없는 금속판을 절곡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획판(34)의 하단부는 수망(31)의 종단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획판(34)을 설치함으로써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이 처리동(30)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급동(16)측으로 튀어나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실(15)의 천정에는 이삭 조각 안내판(46)이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이 이삭 조각 안내판(46)은 처리동(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급동(16)의 회전 방향으로 처리동(30)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 조각 안내판(46)은 급동(16)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방출된 이삭 조각 등의 피처리물이 충돌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이삭 조각 안내판(46)의 하단부는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피처리물을 이삭 조각 안내판(46)에 의해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까지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 등에서 발생한 가는 가루 먼지 등을 흡인해서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흡인팬(64)(도 6)이 곡간 반송 방향으로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의 하류측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선별 장치(36)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선별 장치(36)는 급동(16) 및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선별 장치(3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부(37)와, 바람 선별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 선별부(37)는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및 급동(16)]의 바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요동 선별부(37)는 피드팬(35) 및 채프 시브(chaff sieve)(3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요동 선별부(37)는 피드팬(35) 및 채프 시브(39)를 장치 전후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도시 생략된 요동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피드팬(35)은 곡간 반송 방향으로 채프 시브(39)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채프 시브(39)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피드팬(35)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평판형상의 부재이며, 그 상면이 급동(16)의 하면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드팬(35)은 곡간 반송 방향의 하류측(도 6의 우측, 장치 후방)이 낮아지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로부터의 피선별물은 피드팬(35) 또는 채프 시브(39) 위에 낙하한다. 피드팬(35) 위에 떨어진 피선별물은 상기 피드팬(35)이 요동 구동됨으로써 상기 피드팬(35)의 경사에 의해 곡간 반송 방향의 하류측(장치 후방)을 향해서 반송되고, 상기 피드팬(35)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채프 시브(39) 위에 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드팬(35)의 상면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리드판(피선별물 안내 부재)(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드판(52)은 판형상의 부재이며, 피드팬(35)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리드판(52)은 장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개의 리드판(52)을 서로 평행이 되도록 나란히 피드팬(35)의 상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리드판(52)은 피드팬(35)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피드팬(35)과 일체적으로 요동한다.
도 3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에서 발생한 피선별물은 피드팬(35)의 우측단에 낙하한다. 피드팬(35) 위에 낙하한 피처리물은 상기 피드팬(35)의 요동에 의해 장치 후방을 향해서 반송되지만, 이때 비스듬히 배치된 리드판(52)으로 안내됨으로써 장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이동한다. 이 결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팬(35)의 우측단에 공급된 피선별물을 장치 좌우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드팬(35)에 낙하한 피선별물을 좌우로 분산시켜서 채프 시브(39)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채프 시브(39)에 의한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채프 시브(39)는 장치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횡가설된 복수개의 채프 핀(40)을 장치 전후 방향에 복수개 나란히 배치한 것이다. 복수개의 채프 핀(40)은 서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채프 시브(39)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채프 시브(39) 위의 피선별물 중 곡립 등의 무겁고 작은 피선별물은 채프 핀(40) 사이를 통해 아래로 떨어진다. 한편, 짚부스러기 등의 가볍고 큰 피선별물은 채프 핀(40)에 걸려 남는다. 이와 같이 채프 시브에 의해 피선별물의 조선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채프 핀(40)은 그 상면이 비스듬히 전방측을 향하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채프 핀(40)에 걸린 짚부스러기 등은 채프 시브(39)를 장치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장치 후방(도 6의 우측)을 향해서 반송되어 간다.
이어서, 바람 선별부(38)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바람 선별부(38)는 풍구팬(41)과, 그레인 시브(42)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 선별부(38)는 요동 선별부(3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레인 시브(42)는 망눈상의 프레스 또는 크림프망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채프 시브(39)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그레인 시브(42)의 하방에는 스크루 컨베이어로서 구성된 1번 컨베이어(4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채프 시브(39)의 조선별에 의해 상기 채프 시브(39)로부터 낙하한 무겁고 작은 피선별물(곡립 등)은 그레인 시브(42) 위에 낙하한다.
풍구팬(41)은 곡간 반송 방향으로 하류 방향의 선별풍을 발생시켜서 상기 선별풍을 그레인 시브(42)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그레인 시브(42) 위에 낙하한 피선별물에 대하여 풍구팬(41)이 생기하는 선별풍이 닿는다. 그리고, 이 선별풍에 관계없이 대략 수직으로 낙하하는 비중이 무거운 물, 즉 곡립은 1번물이라고 불린다. 1번물은 1번 컨베이어(43)로 도입되고, 그 이외의 비중이 가벼운 것은 곡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날려보낸다.
1번 컨베이어(43)에 도입된 1번물(곡립)은 상기 1번 컨베이어(43)에 의해 반송되어 예를 들면 도시 생략된 곡간 탱크에 저장된다. 이상에 의해 피선별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해서 인출할 수 있다.
채프 시브(39) 및 그레인 시브(42)의 하류측 단부 하방에는 스크루 컨베이어로서 구성된 2번 컨베이어(44)가 배치되어 있다.
채프 시브(39) 위에 남은 이삭 조각, 짚부스러기 등은 상기 채프 시브(39)의 왕복 요동에 의해 곡간 반송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반송되어 2번 컨베이어(44)에 낙하한다. 또한, 그레인 시브(42)에 낙하한 피처리물 중 풍구팬(41)의 선별풍에 의해 날려보낸 이삭 조각, 짚부스러기 등도 2번 컨베이어(44)에 낙하한다. 바람 선별부(38)는 2번 컨베이어(44)에 낙하하는 피선별물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상측 방향의 바람을 닿게 하는 송풍팬(45)을 갖고 있다.
2번 컨베이어(44)에 낙하하는 피선별물 중 곡립이 부착된 이삭 조각 등은 비교적 무거우므로 송풍팬(45)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낙하해서 2번 컨베이어(44)로 도입된다. 한편, 곡립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짚부스러기 등은 송풍팬(45)의 바람에 의해 날려 흡인팬(64)에 의해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곡립이 부착된 이삭 조각 등은 재처리를 실시해서 곡립을 인출할 여지가 있으므로 회수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재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것을 2번물이라고 칭한다. 바람 선별부(38)에서 선별되어서 2번 컨베이어(44)로 도입된 2번물은 상기 2번 컨베이어(44)에 의해 반송되어 도시 생략된 제 2 환원 컨베이어로 공급된다. 이 제 2 환원 컨베이어는 2번물을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로 리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선별 장치(36)에서 선별된 2번물을 이삭 조각 처리 장치(29)에 의해 재처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편평상으로 형성된 급치(22) 사이에 곡간(14)을 끼워 넣어서 훑음으로써 이삭 끝의 부분을 분리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와 같은 탈곡 장치(1)에서는 곡간(14)을 끼워 넣어서 훑는 구성상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곡간(14)이 급치(22)에 의해 잡아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급동(16)과, 곡간 반송 기구(11) 사이의 부분의 곡간이 떠받친 상태가 되어 곡간이 떠올라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기구(11)와 급동(16) 사이에 짚누름 부재(28)를 배치한 것이다. 이 짚누름 부재(28)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기구(11)와 급동(16) 사이의 곡간(14)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급동(16)의 축선(17)에 직교하는 단면(도 3)에 있어서 곡간 반송 기구(11)가 곡간(14)을 협지하고 있는 점을 지나고, 또한 급동(16)의 외주에 접하는 가상선(57)을 상정했을 때, 짚누름 부재(28)는 상기 가상선(57)에 대하여 간섭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곡간(14)은 짚누름 부재(28)의 하방을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곡간(14)을 급동(16)에 대하여 압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곡간(14)이 급동(16)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탈곡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짚누름 부재(28)는 곡간(14)의 대략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둥근 파이프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짚누름 부재(28)를 둥근 파이프 부재로 했으므로 반송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짚누름 부재(28)의 단면 윤곽에 예리한 부분이 없다. 즉, 짚누름 부재(28)는 곡간(14)과 접촉하는 부분에 예리한 개소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곡간(14)을 상처입히는 일 없이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짚누름 부재(28)를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상기 짚누름 부재(28)에 의해 압박된 상태로 곡간(14)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짚누름 부재(28)는 그 도중부에 굴곡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짚누름 부재(28) 중 굴곡부(28a)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을 도입부(28b), 굴곡부(28a)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을 누름부(28c)라고 부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짚누름 부재(28)의 도입부(28b)는 그 단부(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도입부(28b)의 단부에 있어서 짚누름 부재(28)는 급동(16)과 곡간 반송 기구(11) 사이의 곡간(14)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도록[즉, 가상선(57)에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짚누름 부재(28)의 도입부(28b)는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가상선(57)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서서히 근접해 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곡간 반송 기구(11)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4)에 대하여 짚누름 부재(28)의 도입부(28b)이 상방으로부터 서서히 근접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짚누름 부재(28)에 도입부(28b)를 형성함으로써 곡간(14)을 서서히 압박해 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짚누름 부재(28)에 의한 곡간(14)의 압박을 스무드하게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면으로 볼 때에(도 1) 곡간 반송 체인(12)의 상면의 배치 방향과, 짚누름 부재(28)의 누름부(28c)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짚누름 부재(28)는 누름부(28c)의 부분에 있어서 곡간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곡간(14)을 압박하는 힘을 서서히 강하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짚누름 부재(28)가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것은 이하와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즉, 곡간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서는 곡간(14)에 곡립 등이 대량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급치(22)에 의해 곡간(14)을 훑을 때의 저항이 크다. 따라서, 곡간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있어서 곡간(14)을 급동(16)에 너무 강하게 압박해버리면 급동(16)의 회전 저항이 과대해져 버린다. 반면에 곡간(14)이 반송됨에 따라 탈곡이 진행되므로 곡간(14)에 부착되어 있는 곡립 등은 적어져 간다. 이 결과, 급치(22)에 의해 곡간(14)을 훑을 때의 저항은 작아져 간다. 이와 같이 곡간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서는 상류측에 비해 급동(16)의 회전 저항이 작아지므로 상기 급동(16)에 대하여 곡간을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짚누름 부재(28)가 곡간(14)을 압박하는 힘을 곡간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서서히 강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에 의해 곡간(14)을 급동(16)에 대하여 무리 없이 압박해 갈 수 있으므로 급동(16)의 구동 부하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미탈곡립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짚누름 부재(28)는 급실 커버(60)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짚누름 부재(28)는 도 7에 나타내는 부착 플레이트(58)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 플레이트(58)가 급실 커버(60)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급실 커버(60)는 지지축(63)을 중심으로 해서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짚누름 부재(28)를 급실 커버(60)에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급실 커버(60)를 상방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짚누름 부재(28)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실 커버(60)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짚누름 부재(28)에 의한 곡간(14)의 압박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지보수 시 등에 짚누름 부재(28)에 의한 곡간(14)의 압박을 해제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부착 플레이트(58)는 나사 고정에 의해 급실 커버(60)에 고정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58)에는 상기 나사 고정을 위한 나사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 구멍(59)은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부착 플레이트(58)를 고정할 때에 상기 부착 플레이트(58)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짚누름 부재(28)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짚누름 부재(28)가 곡간(14)을 하향으로 압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과, 복수개의 급치(22)와, 곡간 반송 기구(11)와, 짚누름 부재(28)를 구비한다. 급동(16)은 급실(15) 내에서 축선(17)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급치(22)는 급동(16)의 축선(17)과 대략 평행한 편평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을 향해서 가늘어 지도록 형성되고, 급동(16)의 주위에 설치된다. 곡간 반송 기구(11)는 급동(16)의 축선(17)을 따라 곡간을 반송한다. 짚누름 부재(28)는 급동(16) 및 곡간 반송 기구(11) 사이에 배치된다. 급치(22)는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인접한 급치(22)끼리의 사이에 선단을 향해서 넓어지는 V형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급동(16)은 곡간을 상향 탈곡식으로 탈곡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짚누름 부재(28)는 급동(16) 및 곡간 반송 기구(11) 사이의 곡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짚누름 부재(28)에는 곡간의 반송 방향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 반송되는 곡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서서히 접근하는 도입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짚누름 부재(28)에 의해 급동(16)과 곡간 반송 기구(11) 사이의 곡간을 하향으로 압박할 수 있으므로 곡간이 급동(16)으로부터 떠올라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탈곡립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짚누름 부재(28)에 도입부(28b)를 형성함으로써 곡간이 반송될 때에 짚누름 부재(28)에 의해 상기 곡간을 스무드하게 압박해 갈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가 구비하는 곡간 안내 부재(6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곡간 안내 부재(62)는 곡간(14)을 V형 홈(23)의 내측으로 밀어 넣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안내 부재(62)는 급실 커버(60)의 하면[천정면(61)]으로부터 하방[급동(16)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곡간 안내 부재(62)는 V형 홈(23)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곡간 반송 기구(11)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4)의 이삭 끝(14a)은 곡간 안내 부재(62)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 상기 곡간 안내 부재(62) 아래를 빠져나가도록 해서 이동한다. 이때, 곡간(14)의 이삭 끝(14a)은 곡간 안내 부재(62)에 의해 V형 홈(23)의 내측을 향해서 밀려 상기 V형 홈(23)[또는 이것에 연통하는 빠짐 구멍(24)]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곡간(14)을 확실하게 급치(22)에 끼워 넣어서 훑을 수 있어 미탈곡립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안내 부재(62)를 급동(16)의 후반 부분(곡간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반분)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급동(16)의 후반 부분에서는 곡간(14)의 이삭의 나머지가 적어져서 이삭 끝(14a)의 체적이 작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체적이 작은 이삭 끝(14a)은 천정면(61)과 급치(22) 사이의 좁은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빠져 나가버리므로 V형 홈(23)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지기 어려워진다. 즉, 체적이 작은 이삭 끝(14a)은 V형 홈(23)을 그냥 지나쳐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급동(16)의 후반 부분에 곡간 안내 부재(62)를 설치함으로써 체적이 작아진 이삭 끝(14a)을 확실하게 V형 홈(23)의 내측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얼마 남지 않은 이삭을 확실하게 곡간(14)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미탈곡립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급동(16)의 후반 부분에서는 이삭 끝(14a)의 체적이 작아지고 있으므로 상기 이삭 끝(14a)을 곡간 안내 부재(62)에 의해 강제적으로 V형 홈(23)의 내측으로 밀어 넣었다고 해도 급동(16)의 회전 부하가 과대해질 우려는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급동(16)의 회전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탈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곡간 안내 부재(62)를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곡간 안내 부재(62)를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미탈곡립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곡간 안내 부재(62)는 급치(22)의 회전 궤적을 따라 원호상(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곡간 안내 부재(62)는 이삭 끝(14a)이 통과하는 공간의 형상[천정면(61)과 급동(16) 사이의 공간]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곡간 안내 부재(62)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곡간 안내 부재(62)를 이삭 끝(14a) 전체에 대해서 작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V형 홈(23)에 의해 이삭 끝(14a)의 전체를 확실하게 훑을 수 있으므로 미탈곡립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곡간 안내 부재(62)의 일부는 급치(22)의 회전 궤적의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곡간 안내 부재(62)의 일부가 급치(22)와 급치(22) 사이[V형 홈(23)의 내측]로 밀어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곡간 안내 부재(62)의 하단부[급동(16)측의 단부]가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보다 급동(16)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곡간 안내 부재(62)에 의해 곡간(14)의 이삭 끝(14a)을 확실하게 V형 홈(23)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따라서, 곡간(14)을 확실하게 V형 홈(23)의 내측으로 도입해서 훑을 수 있으므로 미탈곡립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간 안내 부재(62)는 판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곡간 안내 부재(62)는 금속판이며, 천정면(61)의 하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판형상의 곡간 안내 부재(62)는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판형상의 곡간 안내 부재(62)의 단면이 급동(16)의 외주면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급동(16)의 회전 방향으로 곡간 안내 부재(62)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경사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62a)에 의해 곡간 안내 부재(62)의 하단면이 천정면(61)에 대하여 매끄럽게(90°보다 큰 각도로)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곡간 안내 부재(62)의 하단면과 천정면(61)을 매끄럽게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곡간(14)이 곡간 안내 부재(62)에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어 상기 곡간(14)을 스무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급실 커버(60)는 지지축(63)을 중심으로 해서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간 안내 부재(62)는 급실 커버(60)의 하면[천정면(6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급실 커버(60)를 회동시켰을 때에 곡간 안내 부재(62)도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V형 홈(2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곡간 안내 부재(62)를 상기 V형 홈(23)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급치(22)의 유지보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의 상방을 덮는 급실 커버(60)와, 급실 커버(60)의 급동(16)에 대향하는 면[천정면(61)]에 설치된 곡간 안내 부재(62)를 갖고 있다. 곡간 안내 부재(62)는 V형 홈(23)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곡간 안내 부재(62)를 설치함으로써 곡간을 V형 홈(23)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V형 홈(23)에 의해 곡간을 확실하게 끼워 넣어서 훑을 수 있으므로 미탈곡립을 저감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가 구비하는 역류 방지 부재(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공급구(25)를 막는 역류 방지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급구(25)를 역류 방지 부재(50)에 의해 막음으로써 공급구(25)로부터 피처리물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탈곡 장치(1)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역류 방지 부재(50)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역류 방지 부재(50)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50)를 탄성체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역류 방지 부재(50)를 변형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50)의 상단 부분은 고정 브래킷(51)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브래킷(51)은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급실 커버(60)의 하면[천정면(61)]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역류 방지 부재(50)의 하단 부분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50)의 하단측은 이삭 끝 안내 플레이트(26)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 대하여 급실(15)의 내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역류 방지 부재(50)를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천정면(61)과 이삭 끝 안내 플레이트(26) 사이에 형성된 공급구(25)를 역류 방지 부재(50)에 의해 급실(15)의 내측으로부터 막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의해 역류 방지 부재(50)의 하단 부분을 곡간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50)를 변형시킬 수 있다(도 2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즉, 역류 방지 부재(50)를 급실(15)의 내측을 향해서 만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50)를 변형시킴으로써 공급구(25)를 개방할 수 있다.
곡간 반송 기구(11)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4)의 이삭 끝(14a)은 역류 방지 부재(50)를 밀어내도록 해서 변형시키면서 공급구(25)로부터 급실(15) 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곡간(14)에 의해 역류 방지 부재(50)를 밀어낼 수 있으므로 곡간(14)의 반송이 역류 방지 부재(50)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곡간(14)이 공급구(25)를 통과한 후에는 역류 방지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 부재(50)에 의해 공급구(25)가 막힌 상태로 리턴된다. 이것에 의해 급실(15)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이 공급구(25)를 통해 튀어나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역류 방지 부재(50)의 자유단[본 실시형태에서는 역류 방지 부재(50)의 하단부]은 고정 브래킷(51)에 고정되어 있는 측의 단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부)보다 곡간(14)의 이삭 끝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역류 방지 부재(50)는 곡간(14)의 이삭 끝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30°)만큼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곡간(14)의 이삭 끝의 반송 방향이란 이삭 끝 안내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의해 안내되는 이삭 끝의 이동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50)를 비스듬히 배치함으로써 역류 방지 부재(50)가 곡간(14)의 이삭 끝의 반송을 저해하기 어려워지므로 이삭 끝을 보다 스무드하게 급실(15)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구(25)는 급동(16)의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급치(22)의 회전 궤적의 외측을 따라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공급구(25)를 덮기 위한 역류 방지 부재(50)를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보다 급동(16)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50)를 급치(22)의 회전 궤적의 외측에 배치했으므로 반송되는 곡간(14)에 의해 역류 방지 부재(50)가 밀어내어졌을 때에 상기 역류 방지 부재(50)가 급동(16) 및 급치(22)에 접촉해버리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역류 방지 부재(50)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급치(22)가 역류 방지 부재(50)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급동(16)의 회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만곡한 공급구(25)를 무리 없이 덮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의 역류 방지 부재(5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고무판(53, 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역류 방지 부재(50)를 복수개의 고무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역류 방지 부재(50)의 변형의 용이함을 손상하는 일 없이 만곡한 형상의 공급구(25)를 덮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고무판(53, 54)을 그 두께 방향으로 일부 오버랩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2매의 고무판(53, 54)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급실(15) 내의 피처리물이 공급구(25)로부터 튀어나와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급실(15) 내로 곡간의 이삭 끝을 도입하기 위한 공급구(25)가 상기 급실(15)의 곡간 반송 방향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역류 방지 부재(50)는 공급구(25)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배치된다. 공급구(25)는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급구(25)를 역류 방지 부재(50)에 의해 막음으로써 급실(15) 내에서 발생한 곡립이나 이삭 조각 등이 공급구(25)를 통해 급실(15)의 외부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급구(25)를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했으므로 상기 공급구(25)를 막는 역류 방지 부재(50)는 급치의 선단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곡간이 공급구(25)를 통과할 때에 역류 방지 부재(50)가 크게 변형되었다고 해도 상기 역류 방지 부재(50)가 급동(16) 및 급치(22)에 접촉해버리는 일이 없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풍향 조정 부재(76)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에 있어서 급치(22)는 편평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동(16)이 축선(17)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급동(16)의 주위에 강력한 바람이 발생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정면측으로 보았을 때에 급동(16)이 좌측 방향(반시계 방향)이 되도록 급동(16)을 회전 구동하고 있다. 따라서, 급동(16)의 하방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좌방향의 바람이 발생한다. 급동(16)의 하방에 있어서 바람이 발생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좌방향)을 간단히 바람 발생 방향이라고 부른다.
급동(16)의 하방에는 요동 선별부(37)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요동 선별부(37)의 바로 상방에 있어서 장치 좌방향의 바람이 흐르게 된다. 반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요동 선별부(37)에 의한 피선별물의 반송 방향(선별 반송 방향)은 장치 후방향이 되고 있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된 탈곡 장치(1)에서는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의 방향(바람 발생 방향)과, 요동 선별부(37)의 선별 반송 방향이 직교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탈곡 장치에서는 요동 선별부(37)에 의한 피선별물의 반송이 급동(16)의 회전으로 발생한 바람에 의해 저해되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과 요동 선별부(37) 사이에 풍향 조정 부재(76)를 설치한 것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풍향 조정 부재(76)는 판형상의 부재이며, 그 한측 면이 풍향 조정면(77)이 되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조정 부재(76)는 그 풍향 조정면(77)을 바람 발생 방향 상류측(장치 우측)과, 선별 반송 방향 하류측(장치 후방측)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조정 부재(76)를 평면으로 볼 때 장치 전후 방향 및 장치 좌우 방향에 대하여 대략 45°가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풍향 조정 부재(76)를 그 풍향 조정면(77)이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장치 좌방향의 바람은 풍향 조정 부재(76)의 풍향 조정면(77)에 닿음으로써 상기 풍향 조정면(77)을 따르도록 해서 흐르고, 선별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 방향이 되도록 비스듬히 방향을 변경한다(도 11 및 도 12에 굵은 선의 점선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바람의 방향을 선별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요동 선별부(37)에 의한 피선별물의 반송이 바람에 의해 저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요동 선별부(37)에 의한 피선별물의 반송을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동(16)의 축선(17)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풍향 조정 부재(76)의 상단면을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을 따라 대략 원호상으로 잘라낸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풍향 조정 부재(76)의 상단이 회전하는 급치(22)에 간섭하는 것을 피하고 있다. 또한, 상기 노치를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을 따른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풍향 조정 부재(76)의 상단면과 회전하는 급치(22)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바람을 풍향 조정 부재(76)에 확실하게 닿게 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풍향 조정 부재(76)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약간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풍향 조정면(77)이 약간 하향으로 되어 있다.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바람은 풍향 조정면(77)에 닿음으로써 약간 하측 방향으로 흐름을 바꾼다. 이것에 의해 풍향 조정 부재(76)에서 방향을 바꾼 바람은 요동 선별부(37)의 상면에 가볍게 블로잉되므로 상기 바람을 요동 선별부(37)의 상면을 따라 흐르게 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풍향 조정 부재(76)를 피드팬(35)의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팬(35)의 상면에는 리드판(52)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드판(52)은 그 한측 면이 바람 발생 방향 상류측(장치 우측) 및 요동 반송 방향 하류측(장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드판(52)을 평면으로 볼 때 장치 전후 방향 및 장치 좌우 방향에 대하여 대략 45°가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 풍향 조정 부재(76)의 풍향 조정면(77)의 경사와, 리드판(52)의 경사가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풍향 조정 부재(76)를 복수개의 리드판(52) 중 1개와 평면으로 볼 때 겹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풍향 조정 부재(76)와 리드판(52)의 경사를 대략 일치시켜서 배치함으로써 풍향 조정 부재(76)의 풍향 조정면(77)에 닿게 해서 방향을 변경한 바람을 피드팬(35) 위의 리드판(52)을 따라 스무드하게 흘릴 수 있다[리드판(52)을 따라 바람이 흐르는 모양을 도 11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피드팬(35)에 의한 피선별물의 반송을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조정 부재(76)는 탈곡 장치(1)의 본체 프레임(75)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풍향 조정 부재(76)를 본체 프레임(75)에 지지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풍향 조정 부재(76)는 요동하는 피드팬(35)으로부터 독립하고 있다. 따라서, 풍향 조정 부재(76)를 크게 형성했다고 해도 피드팬(35)의 요동 구동에 지장은 없다. 따라서, 충분히 큰 면적의 풍향 조정면(77)을 갖도록 풍향 조정 부재(76)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곡 장치(1)는 거치의 탈곡 장치, 하베스터 내장의 탈곡 장치, 콤바인 내장의 탈곡 장치 등 여러 가지 탈곡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짚누름 부재(28)는 둥근 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그 하면[곡간(14)에 접촉하는 부분]의 단면 융곽 형상으로 뾰족한 부분이 없는 형상이면 좋다.
짚누름 부재(28)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부착 플레이트(58)를 개재하는 일 없이 짚누름 부재(28)를 급실 커버(60)에 직접 부착해도 좋다. 단, 짚누름 부재(28)는 급실 커버(60)에 부착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짚누름 부재(28)에 의해 곡간을 상방으로부터 누를 수 있는 것이면 상기 짚누름 부재(28)는 어디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누름부(28c)는 곡간 반송 체인(1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입부(28b) 및 누름부(28c)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입부(28b) 또는 누름부(28c)가 곡선상으로 만곡하고 있어도 좋다. 요컨대 곡간(14)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할 수 있으면 짚누름 부재(28)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짚누름 부재는 1개의 부재로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도입부(28b)와 누름부(28c)를 각각의 둥근 파이프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곡간 안내 부재(62)를 2개 설치하고 있지만 곡간 안내 부재(62)를 3개 이상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단, 곡간 안내 부재(62)는 1개뿐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개의 곡간 안내 부재(62)를 천정면(6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곡간 안내 부재(62)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간 안내 부재(62)는 급동(16)의 후반 부분(곡간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반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급동(16)의 전반 부분(곡간 반송 방향으로 상류측의 반분)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곡간 안내 부재(62)는 금속판으로서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곡간 안내 부재(62)는 급실 커버(60)로부터 V형 홈(23)의 내측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부재이면 좋다. 요컨대, V형 홈(23)의 내측으로 곡간(14)을 밀어 넣을 수 있으면 좋고, 곡간 안내 부재(62)의 형상이나 소재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곡간 안내 부재(62)는 천정면(61)에 고정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곡간 안내 부재(62)를 천정면(61)으로부터 급동(16)을 향해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하고, 천정면(61)으로부터의 곡간 안내 부재(62)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작업 상태에 따라 V형 홈(23)으로의 곡간(14)의 밀어 넣음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곡간 안내 부재(62)를 설치하고, 각각을 천정면(61)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구성하면 작업 상태에 따라 곡간(14)에 작용하는 곡간 안내 부재(62)의 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곡간 안내 부재(62)의 천정면(61)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작업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역류 방지 부재(50)는 공급구(25)를 완전히 막지 않아도 좋고, 공급구(25)의 개구 부분의 일부만을 막는 구성이어도 피처리물의 역류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공급구(25)의 개구 부분을 가능한 한 넓게 막는 편이 피처리물의 역류 방지의 관점으로부터는 바람직하다.
역류 방지 부재(50)는 변형했을 때에 급치(22) 및 급동(16)에 닿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엄밀하게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역류 방지 부재가 급치(22) 및 급동(16)에 닿지 않은 것이라면 역류 방지 부재(50)의 일부가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들어가 있어도 좋다.
또한, 역류 방지 부재(50)는 곡간의 이삭 끝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삭 끝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만일 역류 방지 부재(50)를 이와 같이 배치되었다고 해도 상기 역류 방지 부재(50)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송되는 곡간의 이삭 끝은 역류 방지 부재(50)를 밀어내서 진행할 수 있다.
단, 역류 방지 부재는 탄성체가 아니어도 좋고, 또한 판형상일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본원발명의 역류 방지 부재를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빗자루상 부재와 같이 하단이 자유단을 이루어서 플렉시블하게 변형하는 무수한 실로 구성해도 좋다. 요컨대, 공급구(25)를 막아서 피처리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송되는 곡간에 의해 밀어낼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1 : 탈곡 장치 10 : 본체
15 : 급실 16 : 급동
22 : 급치 23 : V형 홈
29 : 이삭 조각 처리 장치(처리 장치) 60 : 급실 커버
62 : 곡간 안내 부재

Claims (10)

  1. 급실 내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급동과,
    상기 급동의 축선과 대략 평행한 편평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을 향해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동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급치와,
    상기 급동의 상기 축선을 따라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기구와,
    상기 급동 및 상기 곡간 반송 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짚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급치는 상기 급동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급치끼리의 사이에 선단을 향해서 넓어지는 V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동은 상기 곡간을 상향 탈곡식으로 탈곡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짚누름 부재는 상기 급동 및 상기 곡간 반송 기구 사이의 곡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짚누름 부재에는 상기 곡간의 반송 방향 상류측 단부에 있어서 반송되는 상기 곡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서서히 접근하는 도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짚누름 부재는 상기 곡간의 대략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둥근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급동의 상방을 덮는 급실 커버와,
    상기 급실 커버의 상기 급동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곡간 안내 부재를 갖고,
    상기 곡간 안내 부재는 상기 V형 홈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곡간 안내 부재는 상기 곡간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급동의 후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곡간 안내 부재는 상기 급동의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급치의 회전 궤적을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의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곡간 안내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치의 회전 궤적과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 커버는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급실을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짚누름 부재는 상기 급실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 내로 상기 곡간의 이삭 끝을 도입하기 위한 공급구가 상기 급실의 상기 곡간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급치의 선단의 회전 궤적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급구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배치된 역류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고정되어 있는 측의 단부보다 상기 곡간의 이삭 끝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KR1020147006329A 2011-08-11 2012-08-03 탈곡 장치 KR20140064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76188A JP2013039041A (ja) 2011-08-11 2011-08-11 脱穀装置
JPJP-P-2011-176190 2011-08-11
JPJP-P-2011-176188 2011-08-11
JP2011176190A JP5743799B2 (ja) 2011-08-11 2011-08-11 脱穀装置
JPJP-P-2012-164994 2012-07-25
JP2012164994A JP2014023451A (ja) 2012-07-25 2012-07-25 脱穀装置
PCT/JP2012/004957 WO2013021605A1 (ja) 2011-08-11 2012-08-03 脱穀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852A true KR20140064852A (ko) 2014-05-28

Family

ID=4766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29A KR20140064852A (ko) 2011-08-11 2012-08-03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64852A (ko)
CN (1) CN103732053B (ko)
WO (1) WO20130216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7757A (en) * 1976-03-19 1977-10-03 Yanmar Agricult Equip Thresher
JPS5634991Y2 (ko) * 1976-06-14 1981-08-18
JPS5360058U (ko) * 1976-10-25 1978-05-22
JP2002112614A (ja) * 2000-10-04 2002-04-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02112618A (ja) * 2000-10-04 2002-04-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脱穀装置
CN2495083Y (zh) * 2001-09-06 2002-06-19 北汽福田车辆股份有限公司潍坊农业装备分公司 一种新型脱粒装置
CN2666124Y (zh) * 2003-12-25 2004-12-29 韩中正 一次净自动脱粒机
CN200969767Y (zh) * 2006-09-06 2007-11-07 长春市农业机械研究所 揉搓式玉米脱粒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1605A1 (ja) 2013-02-14
CN103732053A (zh) 2014-04-16
CN103732053B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14653A1 (ja) 脱穀装置
KR20170136990A (ko) 콤바인
JP2007174997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KR20140064852A (ko) 탈곡 장치
JP6667230B2 (ja) コンバイン
JP5781786B2 (ja) 脱穀装置
JP2014233230A (ja) 脱穀装置
JP5763364B2 (ja) 脱穀装置
JP2014023492A (ja) 脱穀装置
JP5743799B2 (ja) 脱穀装置
JP5841773B2 (ja) 脱穀装置
JP6075859B2 (ja) 脱穀装置
KR20140068084A (ko) 탈곡 장치
JP2004008148A (ja) 排藁処理装置
JP4600604B2 (ja) 脱穀装置
JP5836014B2 (ja) 脱穀装置
JP2006006205A (ja) 脱穀選別装置
JP2013039041A (ja) 脱穀装置
JP2008017706A (ja)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6037696B2 (ja) 脱穀装置
JP2006296372A (ja) 脱穀装置
JP4051308B2 (ja) コンバイン
JP2004267022A (ja) コンバイン
JP2012139120A (ja) 脱穀装置
JP2009055825A (ja)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