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990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990A
KR20170136990A KR1020170066570A KR20170066570A KR20170136990A KR 20170136990 A KR20170136990 A KR 20170136990A KR 1020170066570 A KR1020170066570 A KR 1020170066570A KR 20170066570 A KR20170066570 A KR 20170066570A KR 20170136990 A KR20170136990 A KR 20170136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threshing
end side
cut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972B1 (ko
Inventor
마사유키 다카기
데츠지 나가타
겐타 무라야마
요시히로 스즈키
가즈아키 나가오사
다이고 하마스나
마나부 다카히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13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6Sie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박힌 곡립을 회수하기 쉽게 해서, 탈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급치(57)가 설치되고, 급실(K) 내에서 회전 구동하는 급동(52) 및 급동(52)의 하방에 설치된 수망(53)을 갖는 탈곡 장치(50)와, 예취 곡간(W)의 이삭끝측을 급실(K) 안으로 위치시키면서 예취 곡간(W)의 밑동측을 협지하여, 예취 곡간(W)을 탈곡 장치(50)의 전방부측으로부터 후방부측을 향해서 반송하는 피드 체인(55)이 구비되고, 복수의 급치(57) 중, 급동(52)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부측 급치(57b)는 후단부측 급치(57b)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급치(57a)보다 돌출 길이가 길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급치가 설치되고, 급실 내에서 회전 구동하는 급동 및 상기 급동의 하방에 설치된 수망을 갖는 탈곡 장치와,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을 상기 급실 안으로 위치시키면서 상기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협지하여, 상기 예취 곡간을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부측으로부터 후방부측을 향해서 반송하는 피드 체인이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으로서는, 각 급치는 급동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돌출 길이가 동등하게 형성되고, 또한 탈곡 장치의 정면에서 볼 때, 돌출 선단부가, 수망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급동을 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예취 곡간의 밑동을 피드 체인으로 협지해서 급동 축심 방향을 따라 반송함으로써, 급실 내의 급동과 수망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에 급치가 차례차례 접촉하여, 곡립을 급실 내에서 훑어 내릴 수 있다(탈곡 처리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5-180224호 공보(도 1, 도 2)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탈곡립의 대부분은, 수망을 통해서 하방의 선별 장치로 누하한다. 그러나, 탈곡립의 일부는, 피드 체인으로 협지해서 반송되고 있는 예취 곡간의 밑동측으로 쏟아지는 결과, 협지되어 있는 배출 곡간 사이에 끼이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이 현상을 「박힘」이라고 하며, 배출 곡간 사이에 끼인 곡립을 「박힌 곡립」이라고 한다.
상기 박힌 곡립은, 탈곡 후의 배출 곡간과 함께 기 밖으로 배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탈곡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힌 곡립을 회수하기 쉽게 해서, 탈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급치가 설치되고, 급실 내에서 회전 구동하는 급동 및 상기 급동의 하방에 설치된 수망을 갖는 탈곡 장치와,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을 상기 급실 안으로 위치시키면서 상기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협지하여, 상기 예취 곡간을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부측으로부터 후방부측을 향해서 반송하는 피드 체인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급치 중, 상기 급동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부측 급치는, 상기 후단부측 급치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급치보다 돌출 길이가 긴 곳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단부측 급치는, 그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급치보다 돌출 길이가 길기 때문에, 피드 체인으로 협지 반송하고 있는 예취 배출 곡간의 밑동 사이로 보다 깊게 들어간 상태로 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 배출 곡간의 밑동 사이에 끼인 「박힌 곡립」을, 제거 회수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그 급치 위치는, 급동의 후단부이기 때문에, 급실 내에서의 탈곡 처리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 「박힌 곡립」의 제거를 행할 수 있어, 한번 제거된 「박힌 곡립」이 다시 「박힘」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한 탈곡에 의해, 탈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망은 상기 후단부측 급치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전방측 위치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수망은 후단부측 급치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전방측 위치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단부측 급치는, 수망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게 되어, 수망과 후단부측 급치가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급동을 회전시켜서 탈곡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단부측 급치의 돌출 길이의 설정에 있어서, 수망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박힌 곡립」의 제거를 보다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돌출 길이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탈곡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후단부측 급치는, 상기 수망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탈곡 장치의 정면에서 볼 때, 후단부측 급치는, 수망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피드 체인으로 협지 반송하고 있는 예취 배출 곡간의 밑동 사이의 보다 깊은 위치까지 후단부측 급치가 들어갈 수 있어, 밑동 사이에 끼여 있는 「박힌 곡립」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탈곡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은 탈곡부의 회전 축심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4는 1번 스크루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선별부 배면도이다.
도 5는 배출 곡간 처리부를 나타내는, 좌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6은 배출 곡간 처리부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곡간 속립체 방출 장치의 상세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자탈형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에 의해 자주하고,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1)의 전단부에는, 예취 전처리 장치(2)의 전처리 프레임(20)의 기단부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1)에는 상기 예취 전처리 장치(2)의 후방에, 운전 좌석(11)을 갖는 운전부가 설치되고, 또한 그 후방에 좌우로 나란히 탈곡 장치(50) 및 그레인 탱크(13)가 설치되고, 상기 탈곡 장치(50)의 후방측에는 배출 곡간 처리부(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콤바인은, 벼·보리 등의 곡립을 수확하는 것이며, 상기 전처리 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 실린더(2a)에 의해 전처리 프레임(20)을 기체 프레임(1)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전처리 프레임(20)의 상하 요동 조작에 의해, 예취 전처리 장치(2)가 포장면 근처로까지 하강한 작업 위치와, 포장면으로부터 상승측으로 이격한 비작업 위치에, 전처리 프레임(20)의 대지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 장치(2)를 상기 작업 위치로 해서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는 데 수반하여, 예취 전처리 장치(2)의 좌우 양단의 디바이더(2b)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조의 식립 곡간은, 세움 장치(21)에 의해 세움 처리됨과 함께 바리캉형 예취 장치(22)로 예취되고, 그 예취 곡간은, 반송 장치(23)에 의해 기체 후방측으로 반송되어 간다.
상기 반송 장치(23)로부터 공급된 예취 곡간은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0)의 상반부를 구성하는 탈곡부(A)의 급구(54)측에 배치되어 있는 피드 체인(55)으로 협지 반송되면서, 탈곡부(A)의 급실(K)에 구비한 드럼형 급동(52)에서 탈곡 처리된다.
탈곡 처리에 의해 예취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탈곡립은, 탈곡 장치(50)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선별부(B)의 요동 선별 장치(58)에 의해 선별된 후, 1번 스크루 컨베이어(59)에 의해 그레인 탱크(13)로 반송된다. 그리고, 곡립 반출용 오거(14)에 의해 기기 외부로 취출된다(도 1 참조).
한편, 탈곡 처리 후의 배출 곡간은 배출 곡간 처리부(3)로 보내져서 다발모양으로 결속되어 포장으로 배출된다.
배출 곡간 처리부(3)에는 밑동측 반송 기구(30A)와, 이삭끝측 걸림 반송 기구(30B)와, 배출 곡간 커터(30C)와, 배출 곡간 결속 장치(30D)와, 그루 정렬 장치(30E)와, 곡간 속립체 방출 장치(30F)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곡간 처리부(3)에,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체인(55)으로 협지되어 급실(K)로부터 반출되어 온 옆으로 쓰러진 자세의 배출 곡간을 수취해서 후방 또한 기체 중앙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반송하는 배출 곡간 반송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 곡간 반송 장치(30)는 세로로 돌려서 권회된 반송 체인(31)의 하측 경로에 대향해서 협지 레일(32)을 배치한 어퍼 체인형 밑동측 반송 기구(30A)와, 밑동측 반송 기구(30A)에 대하여 기체 중앙측(반송 곡간의 이삭끝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이삭끝측 걸림 반송 기구(30B)로 구성되어 있고, 밑동측 반송 기구(30A)의 협지 레일(32)을 전후 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반송 종단 위치를 반송 방향으로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50)의 후단부에 배출 곡간 커터(30C)가 연결됨과 함께, 이 배출 곡간 커터(30C)의 후방에 배출 곡간 결속 장치(30D)가 배치되고, 배출 곡간 결속 장치(30D)의 밑동측으로, 반입되어 오는 배출 곡간의 그루끝을 좌우로 요동하는 두드림판(33)에 의해 두드려서 정렬시키는 그루 정렬 장치(30E)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 곡간 결속 장치(30D)의 후방에는, 방출되어 온 곡간 다발(R)을 받아내어 비스듬히 후방으로 협지 반송한 후, 그루끝을 하향으로 한 자세로 낙하시켜서 포장에 기립시키는 곡간 속립체 방출 장치(30F)가 배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곡간 속립체 방출 장치(30F)는 배출 곡간 결속 장치(30D)로부터 취출된 동력으로 항상 구동되는 반송 체인(100)과, 반송 체인(100)의 반송면에 대하여 접근 이격 변위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협지 레일(101)과, 반송 종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방출 가이드(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곡간 속립체 방출 장치(30F)는 배출 곡간 결속 장치(30D)로부터 후방으로 배출된 곡간 다발(R)을, 그 밑동을 하향으로 해서 기울기 후방으로 현수하여 협지 반송함과 함께, 협지 레일(101)에 있어서의 종단측에 구비한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저항 돌기(103)에 의해 반송 중인 곡간 다발(R)에 불연속의(강약 변화된) 반송 저항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불연속의 반송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곡간 다발(R)을 자전시키고, 그 자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밑동(하방)를 퍼지게 해서, 밑단 퍼짐으로 된 곡간 다발(R)을 방출 가이드로 안내하면서 지상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저항 돌기(103)끼리의 간격 치수는, 종래의 것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고속으로 자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곡간 다발(R)에 의해 큰 원심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곡간 다발(R)을 포장에 밑단 퍼짐의 기립 자세로 낙하시켜서, 그대로 지상 건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협지 레일(101)은 한 쌍의 지지 로드(104) 및 스프링(105)을 통해서 지지되며, 곡간 다발(R)의 볼륨에 대응해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곡간 다발(R)을 자전시켜서 확실한 밑단 퍼짐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저항 돌기(103)를, 협지 레일(101)의 반송 경로 종단측으로 배치시키고 있다.
저항 돌기(103)는 1개의 스프링재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성형하고, 굴곡 정상부(103a)를 협지 레일(101)에 용접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저항 돌기(103)의 반송 종단측에는 곡간 다발(R)을 방출 가이드(102)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연장부(10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안내 연장부(103b)와 간격을 두고 배열한 위치에, 상기 반송 체인(100)으로부터 연장되는 상태로, 마찬가지의 안내 연장부(100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저항 돌기(103)에 의해 치우친 반송 저항을 받아서 자전한 곡간 다발(R)은, 양 안내 연장부(100b, 103b)에 의해 양측부에 끼이면서 방출 가이드(102) 근처까지 안내되어, 방출 가이드(102)에 저속으로 닿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자세 그대로 포장에 기립 자세로 낙하할 수 있다.
이어서, 탈곡 장치(50)에 대해서 설명한다.
탈곡 장치(50)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반부에 탈곡부(A), 하반부에 선별부(B)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부(A)의 내측이 급실(K)이 되고, 이 급실(K)에는 탈곡 장치(50) 전후 방향의 급동 축심(P) 둘레에, 또한 회전 방향(F)(도 3 참조)으로 구동 가능하게 급동(5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실(K)의 하부에는 급동(52)을 따르게 해서 수망(53)이 설치되어 있다. 급실(K)의 가로측에는, 급구(54)가 전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그 급구(54)의 가로 외측에, 상기 피드 체인(5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드 체인(55)은 반송 방향을 따라 구동 가능하게 형성된 체인체(55a)와, 그 상방을 따르게 해서 배치된 협지 레일(55b)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협지 레일(55b)은 상기 체인체(55a)를 향해서 가압 압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체인체(55a)와 협지 레일(55b) 사이로 보내진 예취 곡간(W)의 밑동(Wb)측을, 이들 양자로 협지하여, 체인체(55a)의 구동에 의해 예취 곡간(W)은 후방측으로 반송된다.
즉, 탈곡부(A)는 콤바인의 예취 전처리 장치(2)로부터의 예취 곡간(W)의 밑동(Wb)측을, 피드 체인(55)에 의해 협지해서 탈곡 장치(50) 후방 방향으로 반송하고, 이에 의해 예취 곡간(W)의 이삭끝(Wa)측을 탈곡 장치(50)의 전방벽에 위치하는 공급구로부터 상기 급실(K)의 급동(52)의 하측에 삽입하고, 급동(52)의 하측으로 들어간 예취 곡간(W)의 이삭끝(Wa)측을 탈곡 장치(50)의 가로 측벽에 위치하는 급구(54)(도 3 참조)에 의해 급동(52)의 급동 축심(P)을 따르는 방향으로 반송해서 이삭끝(Wa)측을 급동(52)과 수망(53)에 의해 탈곡 처리한다. 또한, 탈곡립 등의 탈곡 처리물을 수망(53)의 그물코에서부터 누하시켜서, 탈곡 배출 곡간을 급실(K)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송진구(56)로부터 피드 체인(55)에 의해 배출한다(도 2 참조).
또한, 급동(52)에 의한 탈곡 처리는 급동(52)의 외주부에, 그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상태로 구비된 복수의 급치(57)에 의해 실시되며, 급동(52)과 함께 급치(57)가 급동 축심(P) 둘레로 회전하는 데 수반하여, 예취 곡간(W)의 이삭끝(Wa)측의 곡립을 훑어 내릴 수 있다. 급치(57)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급실(K)의 상벽의 내주부에는, 각 급치(57)의 회전 궤적에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급동측을 향해서 돌출된 짚날(62)이, 급동 축심(P)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짚날(62)은 피드 체인(55)으로부터 빠져서 급동(52)과 함께 회전하는 배출 곡간을 짧게 절단한다.
선별부(B)에는 요동 선별 장치(58)가 구비되어 있는 것 외에, 요동 선별 장치(58)의 전단부의 하방으로 풍구(16)가 설치되고, 요동 선별 장치(58)의 후단부의 상방에는 배진 팬(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50)의 저부에는, 1번 스크루 컨베이어(59) 및 2번 스크루 컨베이어(6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선별부(B)는 수망(53)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58)에 의해 받아내고, 이 요동 선별 장치(58)에 의한 요동 선별과, 풍구(16)에 의해 탈곡 장치(50) 후방 방향으로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한 바람 선별에 의해 곡립과 진애로 선별되고,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58)로부터 낙하시켜서, 진애를 선별풍과 함께 배진 팬(17)을 내장한 배진 케이스의 배출구(18), 혹은 탈곡 장치(50)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진구(19)로부터 탈곡 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1번 스크루 컨베이어(59)는 요동 선별 장치(58)로부터의 곡립 중 1번물을 받아들여서 탈곡 장치(50) 가로 방향으로 반송해서 탈곡 장치(50)의 가로 외측으로 반출한다.
2번 스크루 컨베이어(60)는 요동 선별 장치(58)로부터의 곡립 중 2번물을 받아들여서 탈곡 장치(50) 가로 방향으로 반송해서 탈곡 장치(50)의 가로 외측으로 반출한다. 2번 스크루 컨베이어(60)로부터의 2번물은, 스크루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환원 장치(61)에 의해 탈곡 장치(50)의 가로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환원구로 올려 보내고, 이 환원구로부터 탈곡 장치(50) 안으로 투입해서 요동 선별 장치(58)의 시단측으로 환원한다.
1번 스크루 컨베이어(5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을 탈곡 장치(50)의 우측 외측을 향해서 가로 이송 반송하는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131)와, 탈곡 장치(50)의 우측 측벽부(50A)의 외측에 있어서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131)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상방의 그레인 탱크(13)의 투입부(도시하지 않음)로 반송하는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132)가 구비되어 있다.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131)는 1번물 회수부(29)로 회수된 곡립을 받아내는 홈통상의 적재 안내부(37)와, 적재 안내부(37)로 받아내어진 곡립을 탈곡 장치(50)의 우측 외측을 향해서 가로로 이송하는 1번 스크루(38)로 이루어지고, 1번 스크루(38)는 가로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축(39)과, 회전축(39)의 외주에 용접 고정된 스크루 블레이드(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 구동력은 회전축(39)의 기단부에 일체 연결된 입력 풀리(38a)를 통해서 회전축(39)에 입력된다.
회전축(39)은 탈곡 장치(50)의 좌측 측벽부(50B)와 우측 측벽부(50A)에 걸쳐서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좌우 양측이 축받이 부재로서의 베어링(41)에 의해 축심 방향으로 위치 고정된 상태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39)은 탈곡 장치(50)의 우측 측벽부(50A)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가로측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그 선단측에 구비된 한 쌍의 베벨 기어(42)를 통해서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132)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 되어 있다.
회전축(39)은 그 기단부가 되는 반송 방향 상측 개소(39A)에 외부 삽입되는 상태에서 통상 부재(43)가 구비되어 있다.
통상 부재(43)는 스크루 블레이드(40)의 2피치에 상당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 부재(43)의 일단부가 스크루 블레이드(40)의 시단부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상 부재(43)는 회전축(39)에 대하여 외부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 양단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회전축(39)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크루 블레이드(40)는 시단측에 있어서는 통상 부재(43)의 외주에 용접 고정되고, 그보다 종단측에 있어서는, 회전축(39)의 외주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풀리(38a)측(상측)쪽이, 하측에 비해서 비틀리는 등의 부하가 크게 작용하기 쉽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크루 블레이드(40)의 반송 방향 상측 단부 개소에 있어서, 스크루 블레이드(40)의 용접 개소의 직경이 커져서, 스크루 블레이드(40)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회전축(39)의 강도 그 자체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급동(52)에 고정 부착된 급치(57)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동(52)은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급치(57)는 그 급동(52)의 외주부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각 급치(57)는 급동(52)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상태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각 급치(57)의 배치는 급동(52)의 원주 방향 및 급동 축심(P) 방향의 각각에 간격이 벌어지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급치(57)는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 축심(P) 방향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이 되도록 굴곡 형성된 환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급동(52)의 직경 방향 외측에 대한 돌출 길이를 다르게 한 2종류의 급치(57)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급동(52)의 후단부측의 복수열에 위치하는 후단부측 급치(57b)는, 그들의 후단부측 급치(57b)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급치(57a)보다 돌출 길이가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후단부측 급치(57b)는 수망(53)의 후단부보다 후방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돌출 길이(hb)는 탈곡 장치(50)의 정면에서 볼 때, 톱니끝이 수망(53)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다른 급치(57a)는 수망(53)의 후단부보다 전방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돌출 길이(ha)는 탈곡 장치(50)의 정면에서 볼 때, 톱니끝이 수망(53)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급동(52)이 회전하면, 피드 체인(55)으로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W)의 밑동(Wb)에 가까운 위치를 겨냥해서 급치(57)가 끼어들고, 특히 후단부측 급치(57b)가 위치하는 급동(52)의 후단부 영역에서는, 돌출 길이가 긴 후단부측 급치(57b)가 예취 곡간(W)의 인접하는 배출 곡간끼리의 안쪽 깊숙히까지 끼어들어서 펴서 넓힐 수 있다. 이 펴서 넓히는 작용에 의해, 예취 곡간(W)의 밑동(Wb) 부분에 끼여 있는 「박힌 곡립」을 탈곡의 최종 단계에서 탈락시켜서, 선별부(B)측으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실시 형태의 자탈형 콤바인에 따르면, 후단부측 급치(57b)는 다른 급치(57a)보다 돌출 길이가 길기 때문에, 피드 체인(55)으로 협지 반송하고 있는 예취 배출 곡간(W)의 밑동 사이에 보다 깊게 들어간 상태에서 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 배출 곡간(W)의 밑동 사이에 끼인 「박힌 곡립」을, 제거 회수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그 급치 위치는 급동(52)의 후단부이기 때문에, 급실(K) 내에서의 탈곡 처리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 「박힌 곡립」의 제거를 행할 수 있어, 한번 제거된 「박힌 곡립」이 다시 「박힘」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한 탈곡에 의해, 탈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망(53)과 후단부측 급치(57b)가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급동(52)을 회전시켜서 탈곡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단부측 급치(57b)의 돌출 길이의 설정에 있어서, 수망(53)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박힌 곡립」의 제거를 보다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돌출 길이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탈곡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드 체인(55)으로 협지 반송하고 있는 예취 배출 곡간(W)의 밑동간의보다 깊은 위치까지 후단부측 급치(57b)가 들어갈 수 있어, 밑동 사이에 끼여 있는 「박힌 곡립」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탈곡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급치(57)의 형상이나, 수, 배열, 배치 등은 앞의 실시 형태의 설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급치(57)의 형상은 급동 축심(P) 방향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으로 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급동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곧게 돌출되는 봉상체여도 된다.
또한, 후단부측 급치(57b)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 형상이나, 수, 배열, 배치 등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후단부측 급치(57b)와 다른 급치(57a)의 관계에 관해서, 그 형상이나, 배열, 배치 등을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후단부측 급치(57b)는 앞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0)의 정면에서 볼 때, 반드시 수망(53)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요컨대, 후단부측 급치(57b)는 후단부측 급치(57b)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급치(57a)보다 돌출 길이가 길면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부호를 기재했지만, 해당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당해 콤바인은 그레인 탱크 대신에 패킹 탱크를 탑재한 자탈형의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50 : 탈곡 장치
52 : 급동
53 : 수망
55 : 피드 체인
57 : 급치
57a : 다른 급치
57b : 후단부측 급치
K : 급실
W : 예취 곡간

Claims (3)

  1.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급치가 설치되고, 급실 내에서 회전 구동하는 급동 및 상기 급동의 하방에 설치된 수망을 갖는 탈곡 장치와,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을 상기 급실 안으로 위치시키면서 상기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협지하여, 상기 예취 곡간을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부측으로부터 후방부측을 향해서 반송하는 피드 체인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급치 중, 상기 급동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부측 급치는, 상기 후단부측 급치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급치보다 돌출 길이가 긴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망은 상기 후단부측 급치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전방측 위치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후단부측 급치는 상기 수망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70066570A 2016-06-02 2017-05-30 콤바인 KR102401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1125 2016-06-02
JP2016111125A JP6632473B2 (ja) 2016-06-02 2016-06-02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990A true KR20170136990A (ko) 2017-12-12
KR102401972B1 KR102401972B1 (ko) 2022-05-25

Family

ID=6054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570A KR102401972B1 (ko) 2016-06-02 2017-05-30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32473B2 (ko)
KR (1) KR102401972B1 (ko)
CN (1) CN1074550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0213A (zh) * 2018-01-05 2018-04-27 河南科技大学 一种谷码复脱滚筒、复脱清选装置及联合收割机
KR20200075743A (ko) * 2018-12-18 2020-06-2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탈곡 장치 및 콤바인
KR20200078327A (ko) * 2018-12-21 2020-07-0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424A (ja) * 1993-04-14 1994-10-25 Kubota Corp 脱穀装置
JP2015180224A (ja) 2015-06-12 2015-10-15 株式会社クボタ 脱穀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352U (ko) * 1978-03-11 1979-09-19
JP2528334Y2 (ja) * 1991-06-20 1997-03-12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脱穀装置
JP3736925B2 (ja) * 1997-01-20 2006-01-1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脱穀装置
JP4484779B2 (ja) * 2005-07-14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扱胴構造
JP5443848B2 (ja) * 2009-06-25 2014-03-19 株式会社クボタ 自脱型の脱穀装置
JP2011050326A (ja) * 2009-09-02 2011-03-17 Kubota Corp 自脱型の脱穀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424A (ja) * 1993-04-14 1994-10-25 Kubota Corp 脱穀装置
JP2015180224A (ja) 2015-06-12 2015-10-15 株式会社クボタ 脱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972B1 (ko) 2022-05-25
CN107455069A (zh) 2017-12-12
JP2017212967A (ja) 2017-12-07
JP6632473B2 (ja)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3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ush cutting and baling wood chips formed during land clearing activities
JP6165229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KR20170136990A (ko) 콤바인
JP2005304427A (ja) 全稈投入型脱穀機
JP4695608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4488445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646637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2007236326A (ja) 再脱穀処理装置,脱穀装置及びコンバイン
JP2016178947A5 (ko)
JP6075860B2 (ja) 脱穀装置
JP6075859B2 (ja) 脱穀装置
JP2008178303A (ja)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
KR20160062676A (ko) 콤바인
JP5963833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及び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5643868B2 (ja) 脱穀装置及び脱穀装置を搭載した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2005304426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機駆動装置
JP2004008148A (ja) 排藁処理装置
CN107846844A (zh) 农业收割机的螺旋输送器组件
JP4051308B2 (ja) コンバイン
JP4400056B2 (ja) コンバイン
JP2004229596A (ja) 脱穀装置
JP2010200763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4935601B2 (ja) 脱穀装置
JP2010200762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2004321108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