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084A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084A
KR20140068084A KR1020147007429A KR20147007429A KR20140068084A KR 20140068084 A KR20140068084 A KR 20140068084A KR 1020147007429 A KR1020147007429 A KR 1020147007429A KR 20147007429 A KR20147007429 A KR 20147007429A KR 20140068084 A KR20140068084 A KR 20140068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processing
axis
disposed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지 카미쿠보
아키히로 나카하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5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8360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6402A external-priority patent/JP58360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64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465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6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417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64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6037696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로부터 피처리물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해서 처리 효율을 향상시킨 구성을 제공한다. 급동(16)은 대략 수평으로 설정된 축선(17)을 중심으로 해서 위로 탈곡되는 방식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외주에 복수의 급치(22)를 갖는다. 처리동(30)은 급동(16)의 축선(17)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축선(17)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된 축선(3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과 아울러, 외주에 복수의 처리 톱니(33)를 갖는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하면에 의해 처리동(30)을 향해서 안내한다. 칸막이판(34)은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 배치된다. 칸막이판(34)의 상단은 처리 톱니(33)의 선단의 회전 궤적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된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상기 하면이 칸막이판(34)의 상단보다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탈곡 장치{THRESHING DEVICE}
본 발명은, 탈곡 장치에 있어서 급동(扱胴)에 병설되는 처리 장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곡간(穀稈)을 탈곡하기 위해서 회전하는 급동을 구비한 급실(扱室)과, 이 급실에 인접해서 설치된 처리실을 구비한 구성의 탈곡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 급실 내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은 급동의 회전에 의해 처리실에 투입된다.
이 처리실 내에는 외주에 다수의 처리 톱니를 구비하고 회전하는 처리동이 상기 급동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곡 장치는 처리실 내에 투입된 피처리물을 처리동의 회전에 의해 분쇄 처리하는 구성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02-1126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1-7550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곡 장치와 같이 처리실을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급동으로부터 처리실로 피처리물을 투입하기 위해서 상기 처리실과 급동 사이는 개방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처리동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처리실 내의 피처리물이 미처리인 채로 급동측으로 튀어나가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탈곡 장치 전체의 효율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 특허문헌 2는 크림프망의 좌단부로부터 상측방을 향해서 칸막이판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처리동의 하방 좌측을 피복시킨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 칸막이판은 급동과 처리동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처리동으로부터 급동으로 피처리물이 튀어 나가 버리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칸막이판을 설치한 경우, 급동과 처리실 사이가 일부 막혀 버리게 되므로 급동으로부터 처리실로 피처리물이 스무스하게 투입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처리실로부터의 피처리물의 튀어나감을 막기 위해서 칸막이판을 설치했다고 해도 처리실로 처리물이 스무스하게 투입되지 않는 다는 다른 이유에 의해 결국은 처리 효율이 저하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요한 목적은 처리실로부터 피처리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해서 처리 효율을 향상시킨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이하의 구성의 탈곡 장치가 제공된다. 즉, 이 탈곡 장치는 급동과, 처리동과, 제 1 안내부와 칸막이판을 구비한다. 상기 급동은 대략 수평으로 설정된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위로 탈곡되는 방식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외주에 복수의 급치를 갖는다. 상기 처리동은 상기 급동의 축선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상기 급동의 축선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된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과 아울러 외주에 복수의 처리 톱니를 갖는다.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하면에 의해 상기 처리동을 향해서 안내한다.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급동과 상기 처리동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칸막이판의 상단은 상기 처리 톱니의 선단의 회전 궤적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된다.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하면 또는 그 연장면이 상기 칸막이판의 상단보다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급동과 처리동 사이에 칸막이판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판의 상단을 처리 톱니보다 높은 위치로 했으므로 피처리물이 처리동으로부터 급동을 향해서 날려 버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칸막이판의 상단을 높은 위치에 설치했을 경우, 급동으로부터 처리동으로 향하는 피처리물의 통로가 좁아져 버리지만, 상기와 같이 제 1 안내부에 의해 피처리물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상기 피처리물을 처리동으로 스무스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처리동에서 확실히 처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곡 장치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처리동측을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칸막이판을 비스듬하게 함으로써「리턴」의 효과에 의해 피처리물이 처리동으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칸막이판의 하단부 근방에 상기 처리동의 상기 처리 톱니 사이를 통과하는 절단 톱니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단 톱니를 설치함으로써 피처리물을 미세하게 재단해서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단 톱니는 칸막이판의 하단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절단 톱니에 의해 재단되어서 미세하게 된 피처리물이 비산했다고 해도 그 피처리물이 급동측으로 비산되어 버리는 것을 칸막이판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동의 둘레면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처리동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된 나선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나선 안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처리 장치 내의 피처리물을 처리동의 축 방향을 따라서 반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처리 장치 내에 큰 먼지가 체류하는 것을 막고, 상기 처리 장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나선 안내 부재는 상기 처리 장치 내의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처리동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곡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간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는 급동으로부터 처리 장치에 투입되는 피처리물의 양이 적기 때문에 상기 처리 장치의 처리 능력에 여유가 있다. 그래서, 처리 장치 내의 피처리물을 하류측을 향해서 반송함으로써 처리 장치의 전체 길이를 유효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장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처리 장치의 하방에는 선별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동의 단부에는 상기 처리동과 함께 회전하는 퇴출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퇴출 블레이드의 하방이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처리동의 단부에 있어서 하방을 개방해 둠으로써 나선 안내 부재에 의해 반송된 먼지 등을 처리 장치로부터 선별 장치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큰 먼지 등이 처리 장치 내에 언제까지나 체류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퇴출 블레이드를 설치했으므로 처리 장치로부터 선별 장치로 낙하하는 먼지를 퇴출 블레이드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 등이 덩어리져서 선별 장치에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선별 장치에 큰 덩어리가 낙하해서 상기 선별 장치의 효율을 저하시켜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피처리물을 받아냄과 아울러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을 통과시키는 세퍼레이터를 상기 퇴출 블레이드의 하방에 갖는다. 그리고, 이 탈곡 장치는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받아내어진 상기 피처리물을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퇴출 블레이드에 의해 낙하된 피처리물을 세퍼레이터에 의해 받아내서 곡립을 분리하고, 곡립 이외의 짚 부스러기 등은 기체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급실(扱室)의 케이싱의 천정면은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급치의 선단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이간하는 이간부를 갖는다.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이간부의 개시 위치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처리동은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 1 안내부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케이싱의 천정에 이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천정과 급동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곡간이 급동의 외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급동에 대한 곡간의 휘감김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급동의 회전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은 상기 공간에 방출되게 되지만, 만일 상기 피처리물이 공간 내에서 자유로운 궤적을 그리며 날아가 버리면 상기 피처리물이 처리동으로 스무스하게 들어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제 1 안내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간에 방출된 피처리물을 처리동까지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처리동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단과 상기 천정면의 사이는 폐쇄되어 있다.
제 1 안내부를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급동으로부터 방출된 피처리물을 처리동까지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안내부의 상단과 천정면 사이를 폐쇄시킴으로써 피처리물이 제 1 안내부의 상방을 빠져나가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피처리물을 빠짐없이 제 1 안내부에 의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안내부의 하면에는 그 하면에 대략 직교하는 판 형상의 조정판이 상기 처리동의 축선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어느 1개의 조정판은 상기 처리동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비스듬히 배치된 조정판에 의해 피처리물을 안내함으로써 처리동의 축선 방향에서 피처리물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처리물이 1개소에 모여서 처리동에 공급되는 것을 막고, 처리동을 축선 방향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상기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상면에서 받아내서 상기 처리동을 향해서 안내하는 제 2 안내부를 상기 급동과 상기 처리동 사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안내부를 설치함으로써 미처리의 피처리물이 급동과 처리동 사이를 통과해서 낙하하는 것을 막고, 그 피처리물을 받아내서 처리동까지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안내부는 상기 처리동의 외주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안내부의 상면은 상기 처리동측의 단부가 상기 급동측의 단부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히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2 안내부를 처리동을 향해서 비스듬히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2 안내부의 상면에서 받아낸 피처리물을 처리동을 향해서 자연스럽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부의 상면은 상기 처리동측의 단부가 상기 칸막이판의 상단 부분에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내부를 칸막이판에 접속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처리동으로부터 급동을 향해서 피처리물이 튀어나오기 어려워지므로 처리동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탈곡 장치는 선별 장치와, 2번 환원 기구와, 2번 안내 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피처리물을 재처리가 불필요한 1번물과 재처리가 필요한 2번물에 적어도 선별한다. 상기 2번 환원 기구는 상기 선별 장치에서 선별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처리 장치의 상방까지 반송한다. 상기 2번 안내 통로는 상기 2번 환원 기구의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처리동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처리 장치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2번 안내 통로를 설치함으로써 2번물 환원 기구로부터 방출된 2번물을 처리동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산시켜서 처리 장치에 투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처리 장치를 축 방향에서 균일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처리 장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동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2번 환원 기구의 방출구는 상기 제 1 안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급동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안내부를 2번 환원 기구의 방출구와 급동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안내부에 의해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2번물이 급동측으로 비산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탈곡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기 방출구측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 1 안내부에 대략 직교하는 2번물 조정판이 상기 처리동의 축선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어느 1개의 2번물 조정판은 상기 처리동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처리동의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된 2번물 조정판에 의해 2번물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2번물을 처리동의 축선 방향에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동을 축선 방향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탈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다.
도 2는 탈곡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정면 단면도다.
도 4는 탈곡 장치의 평면 단면도다.
도 5는 급치의 사시도다.
도 6은 선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다.
도 7은 제 1 피처리물 안내판의 사시도다.
도 8은 절단이삭 처리 장치의 사시도다.
도 9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의 측면도다.
도 10은 절단이삭 처리 장치 및 2번 안내 통로의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다.
이어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탈곡 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측부에 설치된 곡간 반송 기구(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기구(11)는 곡간 반송 체인(12)과 압박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곡간 반송 체인(1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단 환상으로 구성되고,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순환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박 부재(1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체인(12)의 상면에 대하여 압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간(14)은 그 밑둥 부분을 곡간 반송 체인(12)의 상면과 압박 부재(13) 사이에 끼워져서 유지된다(도 3 참조). 이 상태에서 곡간 반송 체인(12)을 순환 구동 함으로써 곡간 반송 기구(11)는 곡간(14)을 장치 정면측으로부터 장치 후방을 향해서 반송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곡간 반송 기구(11)에 의해서 곡간(14)이 반송되는 방향을 단지 곡간 반송 방향이라고 칭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급실(15)과, 선별 장치(36)와, 배출짚 처리부(21)가 주로 배치되어 있다.
급실(15)은 곡간(14)의 탈곡을 행하기 위한 공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정면측(도 1 및 도 2의 좌측)에는 급실(15)의 내부로 곡간(14)의 이삭끝(14a)을 도입하기 위한 곡간 투입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곡간 반송 기구(11)에 의해서 반송되는 곡간(14)의 이삭끝(14a)은 곡간 투입부(25)를 통해 급실(15)의 내부에 도입된다. 급실(15) 내에는 급동(16)과 절단이삭 처리 장치(29)가 배치되어 있다.
급동(16)은 그 축선(17)이 탈곡 장치(1)의 전후 방향(도 2의 좌우측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된 통 형상의 구성이며, 그 주위에는 후술의 급치(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동(16)은 축선(17) 둘레에서 회전 구동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반송 체인(12)은 평면으로 볼 때에 급동(16)의 축선(17)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곡간 반송 기구(11)는 급동(16)의 축선(17)을 따르도록 곡간(14)을 반송한다. 이때, 회전하는 급동(16)의 급치(22)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4)으로부터 이삭끝(14a)의 부분이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이삭끝(14a)의 부분을 「절단이삭」이라고 칭한다.
곡간(14) 중 급동(16)의 회전에 의해서 이삭끝(14a)의 부분이 분리된 나머지의 부분을「배출짚」이라고 칭한다. 배출짚은 곡간 반송 기구(11)의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에 있어서 배출짚 반송 기구(18)(도 1 및 도 4)에 전달된다.
이 배출짚 반송 기구(1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짚 반송 체인(19)과 록킹 반송 벨트(20)를 병렬해서 설치한 구성이다. 배출짚 반송 체인(19)은 무한 환상의 체인으로서 구성되고, 순환 구동됨으로써 그 하면에서 배출짚의 밑둥 부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록킹 반송 벨트(20)는 일정 간격으로 타인(도면 생략)이 배치된 무한 환상 벨트이며, 상기 록킹 반송 벨트(20)를 순환 구동함으로써 곡간의 이삭끝 부분을 타인에 의해 록킹하면서 반송하는 구성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짚 반송 기구(18)의 하방에는 배출짚 처리부(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짚 처리부(21)는 배출짚을 미세하게 절단하기 위한 배출짚 커터, 절단된 배출짚을 기체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확산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배출짚 반송 기구(18)에 의해 반송되는 배출짚은 배출짚 처리부(21)에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미세하게 재단된 후, 포장(圃場)에 균일하게 방출된다.
이어서, 곡간(14)을 탈곡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동(16)은 금속판에 의해 대략 팔각형 기둥 형상의 중공 형상 통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축선(17)이 장치 전후 방향(도 2의 좌우측 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급동(16)의 외주에는 복수의 급치(22)가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치(22)는 급동(16)의 축선(17)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급치(22)는 상기 급치(22)끼리가 배열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을 구성하도록 편평한(평판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치(22)의 선단부는 선단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대략 V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급치(22)끼리의 사이는 선단을 향해서 폭이 넓어지는 V형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V형 홈(23)의 안쪽에는 환형(또는 다각형)의 방출 구멍(24)이 상기 V형 홈(23)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는 급실(15)의 천정을 구성하는 천정 플레이트(27)를 갖고 있다. 천정 플레이트(27)의 하면은 급동(16)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의 축선(17)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천정 플레이트(27)는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정 플레이트(27)는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에 접근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급동(16)은 위로 탈곡되는 방식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14)은 상방을 향해서 탈곡되고 상기 곡간(14)의 이삭끝(14a)은 급동(16)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곡간(14)의 이삭끝은 급치(22)와 천정 플레이트(27)의 저면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곡간 반송 기구(11)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4)의 이삭끝(14a)은 천정 플레이트(27)와 급치(22) 사이의 좁은 간격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이삭끝(14a)은 천정 플레이트(27)의 하면에 압박되도록 해서 급치(22)끼리의 사이의 부분[V형 홈(23) 및 방출 구멍(24)]에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급동(16)이 회전함으로써 곡간(14)이 이삭끝(14a)을 향해서 탈곡되고, 상기 곡간(14)으로부터 이삭끝(14a)의 부분이 분리되어 절단이삭으로 된다.
또한, 천정 플레이트(27)는 급동(16)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27a)에 있어서 제 2 천정 플레이트(5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 2 천정 플레이트(52)는 급실(15)의 천정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천정 플레이트(52)는 급동(16)의 축선(17)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급동(16)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급치(22)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이간부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 천정 플레이트(52)와 급치(22) 선단의 회전 궤적 사이에는 공간(53)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천정 플레이트(27)의 단부(27a)를 시점으로 해서 상기 단부(27a)보다 급동(16)의 회전 방향에서 하류측에 있어서 급동(16)의 상방에 공간(5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정 플레이트(27)의 단부(27a)보다 하류측에 있어서 급동(16)의 상방에 공간(53)을 형성했으므로, 단부(27a)보다 하류측에 있어서는 곡간(14)이 급동(16)의 외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간(14)이 급동(16)에 휘감기기 어려워진 결과, 급동(16)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곡간(14)으로부터 분리된 이삭끝(절단이삭)의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급실(15) 내에 있어서는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절단이삭 이외에도 짚 부스러기 등의 먼지나 곡립 등이 발생한다. 이것들의 혼합물을 이하 피처리물이라고 칭한다.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피처리물은 상기 급동(16)의 회전에 의해 급동(16)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방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동(16)의 상방에 공간(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동(16)으로부터 방출된 피처리물은 상기 공간(53)을 향해서 튀어나와서 상기 공간(53) 내를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낙하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처리물의 낙하 위치에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가 배치되어 있다.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과 수망(31)을 구비하고 있다.
처리동(30)은 대략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축선(32) 주위에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리동(30)의 축선(32)은 급동(16)의 축선(17)과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16)과 처리동(30)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처리동(30)은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처리 톱니(33)를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처리 톱니(33)는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수망(31)은 처리동(30)의 하측 절반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망(31)은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회전하는 처리 톱니(33)의 선단 궤적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은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도입된다. 이 피처리물은 회전하는 처리 톱니(33)와 수망(31) 사이에서 비벼 푸는 작용을 받아 단립화(곡립이 분리되는 것)가 촉진된다. 탈립된 곡립은 수망(31)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된다. 또한, 수망(31)의 종단에는 절단 톱니(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 톱니(49)는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동(30)이 회전함으로써 절단 톱니(49)끼리 사이를 처리 톱니(33)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된 짚 부스러기 등이 미세하게 재단된다. 미세하게 재단된 짚 부스러기는 수망(31)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된다. 수망(31)으로부터 낙하되는 낙하물(곡립, 짚 부스러기, 절단이삭 등의 혼합물)을 이하의 설명에서는 피선별물이라고 칭한다. 수망(31)으로부터 낙하된 피선별물은 선별 장치(36)에 투입된다.
또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등에서 발생한 미세한 분진 등을 흡인해서 기체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인 팬(배출 장치)(51)(도 6)이 곡간 반송 방향에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하류측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선별 장치(36)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선별 장치(36)는 급동(16) 및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선별 장치(3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부(37)와 풍선별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 선별부(37)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및 급동(16)]의 바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요동 선별부(37)는 피드 팬(57), 채프 시브(39) 및 세퍼레이터(7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요동 선별부(37)는 피드 팬(57), 채프 시브(39) 및 세퍼레이터(73)를 장치 전후 방향(도 6의 좌우측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도면 생략된 요동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피드 팬(57)은 곡간 반송 방향에서 채프 시브(39)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채프 시브(39)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피드 팬(57)은 판 형상 부재이며, 곡간 반송 방향의 하류측(도 6의 우측, 장치 후방)이 낮아지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약간 기울어서 배치되어 있다.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로부터의 피선별물은 피드 팬(57) 또는 채프 시브(39) 상에 낙하된다. 피드 팬(57) 상에 떨어진 피선별물은 상기 피드 팬(57)이 요동 구동됨으로써 상기 피드 팬(57)의 기울기에 의해 곡간 반송 방향의 하류측(장치 후방)을 향해서 반송되고, 상기 피드 팬(57)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채프 시브(39) 상에 낙하된다.
채프 시브(39)는 장치의 대략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걸쳐진 복수의 채프 핀(40)을 장치 전후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한 것이다. 복수의 채프 핀(40)은 서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채프 시브(39)를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채프 시브(39) 상의 피선별물 중 곡립 등의 무겁고 작은 피선별물은 채프 핀(40) 사이를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진다. 한편, 짚 부스러기 등의 가볍고 큰 피선별물은 채프 핀(40)에 걸려서 남는다. 이와 같이, 채프 시브에 의해 피선별물의 조 선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채프 핀(40)은 그 상면이 비듬하게 전방측을 향하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채프 핀(40)에 걸린 짚 부스러기 등은 채프 시브(39)를 장치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장치 후방(도 6의 우측)을 향해서 반송되어 간다.
또한, 세퍼레이터(73)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이어서, 풍선별부(38)에 대해서 설명한다. 풍선별부(38)는 풍구 팬(41)과 그레인 시브(42)를 구비하고 있다. 풍선별부(38)는 요동 선별부(3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레인 시브(42)는 그물코 형상의 프레스, 또는 크림프망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채프 시브(39)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그레인 시브(42)의 하방에는 스크류 컨베이어로서 구성된 1번 컨베이어(4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채프 시브(39)의 조 선별에 의해 상기 채프 시브(39)로부터 낙하된 무겁고 작은 피선별물(곡립 등)은 그레인 시브(42) 상에 낙하한다.
풍구 팬(41)은 곡간 반송 방향에서 하류 방향의 선별풍을 발생시키고, 그 선별풍을 그레인 시브(42)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그레인 시브(42) 상에 낙하한 피선별물에 대하여 풍구 팬(41)이 일으키는 선별풍이 접촉된다. 그리고, 이 선별풍에 관계없이 대략 수직으로 낙하하는 비중이 무거운 것, 즉 곡립은 1번물이라고 칭한다. 1번물은 1번 컨베이어(43)에 도입되고, 그 이외의 비중이 가벼운 것은 곡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날려 보낸다.
1번 컨베이어(43)에 도입된 1번물(곡립)은 상기 1번 컨베이어(43)에 의해서 반송되고, 예를 들면 도면 생략된 그레인 탱크에 저장된다. 이상에 의해, 피선별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해서 인출할 수 있다.
채프 시브(39) 및 그레인 시브(42)의 하류측 단부 하방에는 스크류 컨베이어로서 구성된 2번 컨베이어(44)가 배치되어 있다.
채프 시브(39) 상에 남은 절단이삭, 짚 부스러기 등은 상기 채프 시브(39)의 왕복 요동에 의해 곡간 반송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반송되고, 2번 컨베이어(44)에 낙하된다. 또한, 그레인 시브(42)에 낙하한 피처리물 중 풍구 팬(41)의 선별풍에 의해 날려 보내진 절단이삭, 짚 부스러기 등도 2번 컨베이어(44)에 낙하한다. 풍선별부(38)는 2번 컨베이어(44)에 낙하하는 피선별물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상향의 바람을 접촉시키는 송풍 팬(45)을 갖고 있다.
2번 컨베이어(44)에 낙하하는 피선별물 중 곡립이 붙은 절단이삭 등은 비교적 무거우므로 송풍 팬(45)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낙하해서 2번 컨베이어(44)에 도입된다. 한편, 곡립이 붙어 있지 않은 짚 부스러기 등은 송풍 팬(45)의 바람에 의해 날려 보내져 흡인 팬(51)에 의해 장치의 밖으로 배출된다.
곡립이 붙은 절단이삭 등은, 재처리를 실시해서 곡립을 인출할 여지가 있으므로 회수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재처리의 대상이 되는 것을 2번물이라고 칭한다. 풍선별부(38)에서 선별되어 2번 컨베이어(44)에 도입된 2번물은 상기 2번 컨베이어(44)에 의해 반송되어 2번 환원 컨베이어(2번 환원 기구)(46)의 단부에 공급된다.
2번 환원 컨베이어(46)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이며, 상기 2번물을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보다 상방까지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 환원 컨베이어(46)에 의해 반송된 2번물은, 상기 2번 환원 컨베이어(46)의 방출구(47)로부터 방출되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선별 장치(36)에서 선별된 2번물을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의해 재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탈곡 장치에서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 내의 피처리물이 처리동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급동측으로 튀어나가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위로 탈곡되는 방식의 급동(16)과 같은 방향으로 처리동이 회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수망(31)의 종단으로부터 급동(16)을 향해서 피처리물이 튀어나가기 쉽다는 사정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 칸막이판(34)을 설치한 것이다.
이 칸막이판(34)은 구멍이 없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피처리물이 이 칸막이판을 통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축선(3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칸막이판(34)은 급동(16)의 축선(17) 및 처리동(30)의 축선(32)을 연결하는 직선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34)은 적어도 급동(16)의 축선(17)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34)의 하단부는 수망(31)의 종단[처리동(30)의 회전 방향에서 하류측의 단부]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를 일부 막도록 칸막이판(34)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이 처리동(30)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급동(16)측으로 튀어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34)의 상단은 처리 톱니(33)의 선단 회전 궤적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판(34)의 상단을 처리 톱니(33)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이 칸막이판(34)의 위를 뛰어 넘어서 급동(16)측으로 튀어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34)의 처리동(30)측을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는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판(34)의 적어도 일부를 연직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함으로써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이 급동(16)측에 튀어나와 버리는 것을 「리턴」의 효과에 의해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칸막이판(34)의 하단은 수망(31)의 종단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망(31)의 종단에는 절단 톱니(49)가 형성되어 있다[따라서, 칸막이판(34)의 하단부 근방에 절단 톱니(49)가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절단 톱니(49)에 의해 피처리물이 절단 처리되므로 상기 절단 톱니(49)의 부분에서 미세한 짚 부스러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해서 발생한 짚 부스러기는, 처리 톱니(33)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비산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절단 톱니(49)로부터 봐서 처리동(30)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칸막이판(34)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절단 톱니(49)에서 미세한 짚 부스러기가 발생해서 비산되었다고 해도, 이것들이 급동(16)측으로 비산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가 구비하는 제 1 피처리물 안내판(제 1 안내부)(35)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은 급동(16)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급동(16)의 상방에 형성된 공간(53)을 향해서 방출된다. 이때, 급동(16)에서 발생한 모든 피처리물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되면 좋지만, 공간(53)에 방출된 피처리물이 예기하지 않는 궤적을 날아 비산하여 버리면 상기 피처리물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되지 않고 탈곡 장치(1) 전체의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에서는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 칸막이판(34)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의 공간이 일부 막혀 있다. 이 결과,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의 입구가 좁아져 있어 피처리물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로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처리동(30)까지 안내하는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을 설치한 것이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단지 「상류측」「하류측」이라고 말했을 때에는 급동(16)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금속제의 판 형상 부재이고,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그 길이 방향이 급동(16)의 축선(17)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급동(16)의 축선(17)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천정 플레이트(27)의 하류측 단부(27a)보다 더욱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급동(16)의 상방에 형성된 이간부의 시점[제 2 천정 플레이트(52)의 상류측의 단부]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급동(16)으로부터 공간(53)으로 방출된 피처리물이 충돌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은 상기 급동(16)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공간(53) 내에 일단 방출된 후,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충돌한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처리동(30)보다 상류측이며 상기 처리동(3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급동(16)측의 면을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동(16)으로부터 방출된 피처리물은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하면(비스듬히 하방을 향한 면)에 충돌하여 그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하단부가 향하는 방향(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안내된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급동(16)측을 향한 면(하면)이 칸막이판(34)의 상단보다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이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하면에 의해 안내되는 피처리물은 확실히 칸막이판(34)의 상방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동(16)으로부터 공간(53)으로 방출된 피처리물을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의해 절단이삭 처리 장치 (29) 내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상단과 급실(15)의 천정면 사이는 폐쇄되어서 간극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상단과 급실(15)의 천정면 사이는 폐쇄 플레이트(55)에 의해 막혀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상방을 피처리물이 빠져 나가 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의해 피처리물을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상단은 상기 폐쇄 플레이트(55)의 하단에 나사 고정(도면 생략)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급실(15)의 케이싱과는 별체로서 구성되고, 또한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상기 나사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착탈 가능하다. 즉,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곡립 등의 피처리물이 빈번하게 충돌하기 때문에 마모되기 쉬운 부재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마모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을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하단은 특히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는 그 하면[급동(16)측을 향하는 면]에 복수의 조정판(56)이 부착되어 있다. 이 조정판(56)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금속제의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급동(16)측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조정판(56)은, 도 4의 평면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축선(32)에 평행한 방향(도 4의 좌우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조정판(56)은 처리동(30)의 축선(32)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급동(16)으로부터 튀어나온 피처리물은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충돌했을 때에 조정판(56)에 의해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도입된다. 이와 같이, 비스듬히 배치된 조정판(56)에 의해 피처리물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을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에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동(30)의 특정 개소에 피처리물이 덩어리져서 공급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동(30)에 공급되는 피처리물의 축 방향의 분포를 균일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를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에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과, 처리동(30)과,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과, 칸막이판(34)을 구비하고 있다. 급동(16)은 대략 수평으로 설정된 축선(17)을 중심으로 해서 위로 탈곡되는 방식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외주에 복수의 급치(22)를 갖는다. 처리동(30)은 급동(16)의 축선(17)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축선(17)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된 축선(3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과 아울러, 외주에 복수의 처리 톱니(33)를 갖는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하면에 의해 처리동(30)을 향해서 안내한다. 칸막이판(34)은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 배치된다. 칸막이판(34)의 상단은 처리 톱니(33)의 선단의 회전 궤적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된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상기 하면이 칸막이판(34)의 상단보다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 칸막이판(34)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판(34)의 상단을 처리 톱니(33)보다 높은 위치로 했으므로, 피처리물이 처리동(30)으로부터 급동(16)을 향해서 날아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의해 피처리물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상기 피처리물을 처리동(30)으로 스무스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처리동(30)에서 확실히 처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곡 장치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가 구비한 제 2 피처리물 안내판(제 2 안내부)(63)에 대해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으로부터 방출된 피처리물을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하면에 의해 안내함으로써 절단이삭 처리 장치(29)까지 안내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현실에는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의 모두가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안내되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들어가는 이상적인 궤적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의 부호 6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처리물이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 이외의 부재에 충돌했을 경우, 상기 피처리물은 예기하지 않는 방향으로 튀어 올라와 버린다. 피처리물이 이상적인 궤적을 그리며 날아가지 못한 경우, 상기 피처리물은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들어갈 수 없고, 처리동(30)과 급동(16) 사이를 통과해서 낙하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상면에서 받아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로 안내하는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을 설치한 것이다.
이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은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급동(16)의 축선(17)의 중심을 지나는 연직선과 처리동(30)의 축선(32)의 중심을 지나는 연직선 사이에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은 급동(16)의 회전 방향에서 처리동(30)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은 급동(16)의 외주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이며, 또한 처리동(30)의 외주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를 통과해서 낙하하려고 하는 피처리물을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의 상면에 의해 받아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은 한 장의 금속판이며, 그 상면은 대략 평활하게 형성되어서 안내면(63a)을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의 안내면(63a)은 수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면(63a)의 처리동(30)측의 단부가 급동(16)측의 단부보다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내면(63a)은 처리동(30)측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내면(63a)에 의해 받아낸 피처리물은 처리동(30)을 향해서 자연히 안내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면(63a)의 처리동(30)측의 단부는 칸막이판(34)의 상단에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안내면(63a)이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내면(63a)에 의해 안내되는 피처리물은 칸막이판(34)의 상방을 통과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안내면(63a)이 받아낸 피처리물을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에 도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상면에서 받아내서 처리동(30)을 향해서 안내하는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을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에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을 설치함으로써 미처리의 피처리물이 급동(16)과 처리동(30) 사이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것을 막고, 상기 피처리물을 받아내서 처리동(30)까지 안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절단이삭 처리 장치(29)가 구비한 나선 안내 부재(65)에 대해 설명한다. 이 나선 안내 부재(65)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 안내 부재(65)는 처리동(30)과 칸막이판(3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 안내 부재(65)는 평판상의 부재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는 상기 나선 안내 부재(65)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나선 안내 부재(65)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나선 안내 부재(65)는 처리동(30)측의 끝면의 윤곽 형상이 처리 톱니(33)의 선단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선 안내 부재(65)는 처리 톱니(33)의 선단의 회전 궤적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선 안내 부재(65)가 회전하는 처리 톱니(33)에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나선 안내 부재(65)는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장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나선 안내 부재(6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나선 안내 부재(65)의 처리동(30)에 대향하는 끝면은 상기 처리동(30)의 축선(32)을 중심으로 한 나선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선 안내 부재(65)는 처리동(30)의 축선(32)을 중심으로 한 좌나사 방향의 나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배치된 나선 안내 부재(65)에 의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은 회전하는 처리동(30) 및 처리 톱니(33)에 딸려 가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를 축선(32) 주위에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축선(32) 주위에서 회전하는 피처리물은 처리동(30)과 칸막이판(34) 사이를 통과할 때에 나선 안내 부재(65)에 의해 안내되고, 그 나선 안내 부재(65)를 따르도록 이동한다. 나선 안내 부재(65)는 처리동(30)의 축선(32)을 중심으로 한 나선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나선 안내 부재(65)에 의해 안내되는 피처리물은 그 나선을 따라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 안내 부재(65)는 좌나사의 나선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이 장치 정면측(앞측)으로부터 보아서 좌회전(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선 안내 부재(65)에 의해 안내되는 피처리물은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를 장치 후방(곡간 반송 방향에서 하류측)을 향해서 반송된다.
이와 같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처리동(30)의 축선(32)을 따라서 반송할 수 있으므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급동(16)으로부터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로 투입되는 피처리물의 양은 장치 앞측(곡간 반송 방향에서 상류측)일수록 많고, 장치 뒷측(곡간 반송 방향에서 하류측)에 투입되는 피처리물의 양은 적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나선 안내 부재(65)에 의해 장치 후방을 향해서 반송함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을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에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를 처리동(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유효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은 장치 후방을 향해서 반송되는 동안에 회전하는 처리 톱니(33)의 작용을 몇번이나 받으므로,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이 단립화됨과 아울러 짚 부스러기가 잘게 잘려진다. 곡립이나, 미세해진 짚 부스러기는 수망(31)을 통과해서 선별 장치(36)에 낙하된다. 한편, 최종적으로 세단화되지 않은 큰 먼지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후단부(곡간 반송 방향에서 하류측의 단부)까지 도달한다.
도 4,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후단부에는 상기 처리동(30)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퇴출 블레이드(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퇴출 블레이드(68)는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하게 배치된 판 형상의 부재이며, 처리동(30)의 주위로부터 돌출되도록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퇴출 블레이드(68)의 부분에는 수망(31)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퇴출 블레이드(68)의 하방은 개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출 블레이드(68)의 하방에는 요동 선별부(37)의 세퍼레이터(73)가 설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7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선상 부재(철사)(69)를 장치 좌우 방향에서 적절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한 구성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73)는 채프 시브(3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를 후단부까지 반송된 피처리물(큰 먼지 등)은 퇴출 블레이드(68)의 회전에 의해 하방을 향해서 퇴출되어 세퍼레이터(73)의 상에 낙하된다. 이때, 큰 먼지 등은 선상 부재(69)에 걸려 세퍼레이터(73)의 상에 남는다. 세퍼레이터(73)의 위의 낙하된 피처리물에 곡립이 혼입되어 있던 경우, 그 곡립은 선상 부재(69)의 사이를 통과하여 채프 시브(39)의 위에 낙하된다. 최종적으로 세퍼레이터(73)의 위에 남은 피처리물(큰 먼지 등)은 흡인 팬(51)에 의해 흡인되어 기체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후단부로부터 낙하하는 피처리물은 퇴출 블레이드(68)의 회전의 기세에 의해 장치 좌우 방향으로 확산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큰 덩어리 형상의 피처리물이 세퍼레이터(73)의 위에 낙하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덩어리 형상의 먼지 중에 곡립이 혼입된 채 분리할 수 없이 기체 밖으로 배출되어버리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에 있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는 처리동(30)의 둘레면에 대향해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처리동(30)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된 나선 안내 부재(6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나선 안내 부재(65)를 설치함으로써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처리동(30)의 축 방향을 따라서 반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에 큰 먼지가 체류하는 것을 막고, 상기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에 있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서 2번물을 처리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2번 환원 컨베이어(46)의 방출구(47)로부터 방출된 2번물을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하는 2번 안내 통로(48)를 설치한 것이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도 4,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 안내 통로(48)는 저면(70)과, 측벽(71)과, 천정(72)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또한, 도 4에 있어서는 2번 안내 통로(48)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해서 천정(72)은 생략되어 있다]. 도 4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 안내 통로(48)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2번 환원 컨베이어(46)의 방출구(47)가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2번 환원 컨베이어(46)에 의해 반송되어 온 2번물은 2번 안내 통로(48) 내로 방출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 안내 통로(48)의 길이 방향은 수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출구(47)는 비스듬히 배치된 2번 안내 통로(48)의 높은 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방출구(47)로부터 방출된 2번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2번 안내 통로(4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낮은 쪽으로 자연히 안내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2번 안내 통로(48)의 길이 방향은 처리동(30)의 축선(32)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방출구(47)로부터 방출된 2번물은 2번 안내 통로(48)에 의해 처리동(30)의 축선(32)을 대략 따르도록 해서 안내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축선(32)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2번 안내 통로(48)의 저면(70)은 일측의 단부는 측벽(71)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타측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저면(70)의 개방되어 있는 측의 단부를 개방단, 측벽(71)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측의 단부를 폐쇄단이라고 칭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축선(32)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저면(70)은 개방단이 폐쇄단보다 낮아지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2번 안내 통로(48) 내를 안내되는 2번물은 저면(70)의 개방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 안내 통로(48)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동(30)의 축선(32)에 직교하는 단면(도 3)에 있어서, 2번 안내 통로(48)의 저면(70)의 개방단은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수망(31)의 시단[처리동(30)의 회전 방향에서 상류측의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면(70)은 그 개방단이 처리동(30)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저면(70)의 개방단으로부터 낙하하는 2번물은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에 투입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2번 안내 통로(48)는 방출구(47)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저면(70)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70)은 개방단이 폐쇄단보다 낮아지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2번 안내 통로(48) 내를 안내되는 2번물은 언젠가는 저면(70)의 개방단으로부터 낙하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방출구(47)로부터 방출된 2번물은 2번 안내 통로(48) 내를 처리동(30)의 축선(32)을 따르는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저면(70)의 개방측 단부로부터 낙하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에 투입된다.
방출구(47)로부터 방출되는 2번물은 그 속도나 방향이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2번물은 방출구(47)에 가까운 위치에서 낙하하고, 어떤 2번물은 방출구(47)로부터 먼 위치에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2번물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되는 위치는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에서 적당히 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2번 안내 통로(48)를 처리동(30)의 축선(32)에 대략 따르도록 설치함으로써 2번 환원 컨베이어(46)의 방출구(47)로부터 방출된 2번물을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에서 분산시킨 뒤,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특정한 위치에 2번물이 덩어리져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를 전체 길이에 걸쳐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 환원 컨베이어(46)의 방출구(47)는 곡간(14)의 반송 방향에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2번물을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2번 안내 통로(48)의 저면(70)은 곡간(14)의 반송 방향에서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저면(70)은 곡간(14)의 반송 방향에서 처리동(30)의 상류측 단부까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즉, 저면(70)은 도중에 단절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2번 안내 통로(48)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상류측에는 2번물을 그다지 공급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2번 환원 컨베이어(46)의 방출구(47)는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을 사이에 두고 급동(16)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방출구(47)와 급동(16) 사이에 상기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방출구(47)로부터 방출된 2번물이 급동(16)측을 향해서 비산했다고 해도 상기 2번물은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충돌하므로 상기 2번물이 급동(16)측으로 튀어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상면[방출구(47)측을 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2번물 조정판(74)이 부착되어 있다. 이 2번물 조정판(74)은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상면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2번물 조정판(74)은 처리동(30)의 축선(32)에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2번물 조정판(74)은 처리동(30)의 축선(32)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2번물 조정판(74)은 상술의 조정판(56)과 같은 효과를 겨냥한 것이다. 즉,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충돌한 2번물은 2번물 조정판(74)에 의해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유도되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도입된다. 이와 같이, 2번물 조정판(74)에 의해 2번물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2번물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되는 위치를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에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를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에서 더욱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곡 장치(1)는 선별 장치(36)와, 2번 환원 컨베이(46)와, 2번 안내 통로(48)를 구비한다. 선별 장치(36)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서 처리된 피처리물을 재처리가 불필요한 1번물과, 재처리가 필요한 2번물로 적어도 선별한다. 2번 환원 컨베이어(46)는 선별 장치(36)에서 선별된 2번물을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상방까지 반송한다. 2번 안내 통로(48)는 2번 환원 컨베이어(46)의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2번물을 처리동(30)의 축선(32)을 따르는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2번 안내 통로(48)를 설치함으로써 2번 환원 컨베이어(46)로부터 방출된 2번물을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산시켜서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에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이삭 처리 장치(29)를 축방향에서 균일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곡 장치(1)는 고정식의 탈곡 장치, 하비스터 내장의 탈곡 장치, 콤바인 내장의 탈곡 장치 등, 다양한 탈곡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그 하면이 칸막이판(34)의 상단보다 상방을 통과한다고 해서 설명했지만,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반드시 칸막이판(34)의 바로 위에 배치되지 않으면 안될 이유는 없다. 즉,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은 칸막이판(34)의 바로 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그 하면의 연장면이 칸막이판(34)의 상단보다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을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급동(16)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이 칸막이판(34)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에 의해 안내할 수 있다.
처리동(30)의 축선(32)에 대한 조정판(56)의 각도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조정판(56)의 각도가 각각 달라도 좋다. 또한, 처리동(30)의 축선(32) 방향에 대하여 조정판(56)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무엇보다도, 이 조정판(56)은 생략할 수도 있다.
천정 플레이(27)와 제 2 천정 플레이트(52)는 일체로 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급치(22)의 선단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서서히 이간하는 이간부가 천정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은 것이고,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칸막이판(34)은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폐쇄 플레이트(55)를 생략하고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상단을 급실(15)의 천정면에 대하여 직접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라도,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의 상단과 천정면 사이가 폐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제 1 피처리물 안내판(35),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은 금속판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했지만, 그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안내부와 칸막이판(34)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판(34)의 상단을 급동(16)측을 향해서 절곡함으로써 제 2 안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제 2 안내부를 간단하게 형성 가능하고, 또한 칸막이판(34)의 상단부에 제 2 안내부가 접속한 상태에서 형성할 수 있다.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은 칸막이판(34)의 상단에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 2 피처리물 안내판(63)과 칸막이판(34)은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나선 안내 부재(65)는 판 형상의 부재로 했지만, 이것에 제한하지 않는다. 나선 안내 부재(65)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나선 형상에 안내할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나선 안내 부재(65)를 평판 형상의 부재로 하고 있으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상기 나선 안내 부재(65)는 엄밀히 나선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나선 안내 부재(65)는 엄밀히 나선을 따라서 배치될 필요는 없다. 나선 안내 부재(65)는 처리동(30)의 축선(32)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의 접선에 대개 따르도록 배치되면 좋고, 이것에 의해,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으로 반송하는 효과를 충분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나선 안내 부재(65)를 처리동(30)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나선 안내 부재(65)는 1개만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 안내 부재(65)는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장치 후방으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단이삭 처리 장치(29) 내의 피처리물을 장치 전방으로 반송하고, 그 절단이삭 처리 장치(29)의 전단부로부터 낙하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세퍼레이터(73)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큰 먼지를 받아내서 곡립을 통과시킬 수 있는 부재이면 좋고, 예를 들면 크림프망 등이라도 좋다.
2번 안내 통로(48)의 구성은 일례이며, 상기의 구성에 한하지 않는다. 2번 환원 컨베이어(46)로부터 방출된 2번물을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면, 2번 안내 통로(48)의 형상 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2번 환원 기구는 스크류 컨베이어식이라고 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적당한 반송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2번물 조정판(74)의 각도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2번물 조정판(74)의 각도가 각각 달라도 좋다. 또한, 처리동(30)의 축선(32)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2번물 조정판(74)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무엇보다도, 이 2번물 조정판(74)은 생략할 수도 있다.
1: 탈곡 장치 16: 급동
22: 급치 29: 절단이삭 처리 장치(처리 장치)
30: 처리동 34: 칸막이판
35: 제 1 피처리물 안내판(제 1 안내부)
63: 제 2 피처리물 안내판(제 2 안내부)

Claims (16)

  1. 대략 수평으로 설정된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위로 탈곡되는 방식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외주에 복수의 급치를 갖는 급동과,
    상기 급동의 축선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상기 급동의 축선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된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과 아울러, 외주에 복수의 처리 톱니를 갖는 처리동과,
    상기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하면에 의해 상기 처리동을 향해서 안내하는 제 1 안내부와,
    상기 급동과 상기 처리동 사이에 배치된 칸막이판을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판의 상단은 상기 처리 톱니의 선단의 회전 궤적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며,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하면 또는 그 연장면이 상기 칸막이판의 상단보다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처리동측을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의 하단부 근방에 상기 처리동의 상기 처리 톱니 사이를 통과하는 절단 톱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동의 둘레면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처리동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된 나선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안내 부재는 상기 처리 장치 내의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처리동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곡간의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반송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의 하방에는 선별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처리동의 단부에는 상기 처리동과 함께 회전하는 퇴출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퇴출 블레이드의 하방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피처리물을 받아냄과 아울러 상기 피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을 통과시키는 세퍼레이터를, 상기 퇴출 블레이드의 하방에 갖고,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받아낸 상기 피처리물을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의 케이싱의 천정면은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상기 급치의 선단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갖고,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이간부의 개시 위치보다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동은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 1 안내부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처리동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단과 상기 천정면 사이는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의 하면에는 그 하면에 대략 직교하는 판 형상의 조정판이 상기 처리동의 축선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어느 1개의 조정판은 상기 처리동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에서 발생한 피처리물을 상면에서 받아내서 상기 처리동을 향해서 안내하는 제 2 안내부를 상기 급동과 상기 처리동 사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부는 상기 처리동의 외주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안내부의 상면은 상기 처리동측의 단부가 상기 급동측의 단부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부의 상면은 상기 처리동측의 단부가 상기 칸막이판의 상단 부분에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피처리물을 재처리가 불필요한 1번물과 재처리가 필요한 2번물로 적어도 선별하는 선별 장치와,
    상기 선별 장치에서 선별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처리 장치의 상방까지 반송하는 2번 환원 기구와,
    상기 2번 환원 기구의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처리동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처리 장치에 투입하는 2번 안내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동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2번 환원 기구의 방출구는 상기 제 1 안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급동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기 방출구측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 1 안내부에 대략 직교하는 2번물 조정판이 상기 처리동의 축선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어느 1개의 2번물 조정판은 상기 처리동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KR1020147007429A 2011-08-26 2012-08-21 탈곡 장치 KR20140068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5093 2011-08-26
JP2011185093A JP5836012B2 (ja) 2011-08-26 2011-08-26 脱穀装置
JPJP-P-2011-186405 2011-08-29
JPJP-P-2011-186399 2011-08-29
JP2011186402A JP5836014B2 (ja) 2011-08-29 2011-08-29 脱穀装置
JP2011186405A JP2013046590A (ja) 2011-08-29 2011-08-29 脱穀装置
JPJP-P-2011-186402 2011-08-29
JP2011186399A JP5841773B2 (ja) 2011-08-29 2011-08-29 脱穀装置
JP2012164998A JP6037696B2 (ja) 2012-07-25 2012-07-25 脱穀装置
JPJP-P-2012-164998 2012-07-25
PCT/JP2012/005220 WO2013031132A1 (ja) 2011-08-26 2012-08-21 脱穀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084A true KR20140068084A (ko) 2014-06-05

Family

ID=4775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429A KR20140068084A (ko) 2011-08-26 2012-08-21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68084A (ko)
CN (1) CN103763913B (ko)
WO (1) WO20130311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3367U (ko) * 1978-02-17 1979-08-29
JP2507741Y2 (ja) * 1989-10-14 1996-08-21 三菱農機株式会社 脱穀機における脱穀物案内装置
JPH08224038A (ja) * 1995-02-21 1996-09-03 Iseki & Co Ltd 脱穀機における脱穀処理装置
JPH1175504A (ja) * 1997-09-02 1999-03-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上扱式脱穀装置
JP2002112618A (ja) * 2000-10-04 2002-04-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脱穀装置
CN2755946Y (zh) * 2004-12-16 2006-02-08 甘学明 一种全喂入纹杆式脱粒机
CN102144455A (zh) * 2011-03-17 2011-08-10 夏发明 一种收割机上置轴流式脱粒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63913A (zh) 2014-04-30
CN103763913B (zh) 2016-07-13
WO2013031132A1 (ja)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14653A1 (ja) 脱穀装置
JP4651027B2 (ja) 再脱穀処理装置,脱穀装置及びコンバイン
KR20140068084A (ko) 탈곡 장치
JP5781786B2 (ja) 脱穀装置
JP4528723B2 (ja) コンバイン
JP2014023492A (ja) 脱穀装置
JP5836012B2 (ja) 脱穀装置
JP5743799B2 (ja) 脱穀装置
KR20140064852A (ko) 탈곡 장치
JP5836014B2 (ja) 脱穀装置
JP5763364B2 (ja) 脱穀装置
JP2013039041A (ja) 脱穀装置
JP6037696B2 (ja) 脱穀装置
JP2004290208A (ja) コンバイン
JP4646004B2 (ja) 再脱穀処理装置,脱穀装置及びコンバイン
JP2016171773A (ja) 脱穀装置
JP2009219399A (ja) コンバイン
JPH1175522A (ja) コンバインの揺動選別装置
JP2010022290A (ja) コンバイン
JP2004267022A (ja) コンバイン
JP2005102542A (ja) 脱穀装置の排ワラ処理部構造
JP2003169532A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JP2003143928A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JP2017158479A (ja) コンバイン
JP2013070647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