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662A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662A
KR20140064662A KR1020130140170A KR20130140170A KR20140064662A KR 20140064662 A KR20140064662 A KR 20140064662A KR 1020130140170 A KR1020130140170 A KR 1020130140170A KR 20130140170 A KR20130140170 A KR 20130140170A KR 20140064662 A KR20140064662 A KR 20140064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utton
control component
lock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824B1 (ko
Inventor
신 마쓰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6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A47J41/0088Inserts; Devices attached to the stop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뚜껑체를 닫는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뚜껑체를 잠금 가능하게 한다.
뚜껑체(12)는, 마개 본체(10)의 잠금 버튼(18)과 걸어맞춤하고, 뚜껑 패킹이 마개 본체(10)에 접촉하여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낸다. 또, 잠금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가동 잠금부재(20)와, 제어 부품(19)을 구비한다. 음용구를 막는 뚜껑 패킹을 마개 본체(10)로 접촉시키는 방향의 힘에 의해, 뚜껑체(12)의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제어 부품(19)의 상 걸어맞춤 조부(71)에 접촉하고, 제어 부품(19)이 회전하여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뒤편으로 이동하며, 제어 부품(19)과 가동 잠금부재(2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가동 잠금부재(20)가 스프링(20)의 힘이 가해짐에 의해 상승하고, 잠금부재(20)가 잠금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뚜껑체(12)가 잠금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뚜껑체(12)를 밀어넣는다고 하는 한 동작에 의해, 뚜껑체(12)를 지수 상태로 하여, 뚜껑체(12)를 잠글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터치의 마개체로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열리는 한쪽 열림 타입의 중간 마개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이들 원터치의 마개체는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열 수 있어 편리성이 우수하지만, 반면 버튼을 누르면 가방 내에서 열려 버릴 우려가 있어,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기구가 다수 채용되고 있다.
상기 잠금기구로서는, 마개 본체 또는 뚜껑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버튼 등을 이용하는 방식(예를 들면 특허 문헌 1~10)이나, 마개 본체에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 버튼을 이용하는 방식(예를 들면 특허 문헌 11)이나, 마개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U자형 링을 뚜껑체에 걸어멈춤하는 방식(예를 들면 특허 문헌 12)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91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3712호 일본 특허공보 제 44497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5005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222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261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84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259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939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114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41799호 일본 특허공보 제 4482940호
상기 각 종래 기술의 것으로는, 각종의 잠금기구를 구비함으로써, 그 조작 버튼 등을 조작하여 뚜껑체의 개폐를 잠글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 잠금기구에서는, 반드시 사용자가 스스로 잠금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고, 사용 상태에 따라서는 잠그는 것을 잊고, 가방에 넣어 버려, 개폐 버튼이 눌려 내용물이 새어 버리기도 했다. 또, 매회, 뚜껑체를 닫은 후에 조작 버튼 등을 조작하여 잠금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잠그는 작업이 귀찮기도 했다.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뚜껑체를 닫는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뚜껑체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점이다.
청구항 1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음료용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마개 본체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에 힌지부를 통하여 뚜껑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체는, 상기 마개 본체에 부착된 잠금 버튼과 걸어맞춰지고, 뚜껑 패킹이 상기 마개 본체에 접촉하여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며, 상기 잠금 버튼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가동 잠금부재와, 이 가동 잠금부재와 걸어맞춤하는 제어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 패킹을 상기 마개 본체로 접촉시키는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뚜껑체가 상기 제어 부품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잠금부재를 잠그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며, 상기 뚜껑체가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가동 잠금부재가 상기 잠금 버튼의 작동을 방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품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품이 상기 가동 잠금부재의 작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버튼과 상기 제어 부품이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뚜껑체를 닫을 때, 뚜껑 패킹이 마개 본체에 접촉한 후, 더 뚜껑체를 밀어넣음으로써, 뚜껑체가 제어 부품에 접촉하여 제어 부품과 가동 잠금부재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가동 잠금부재는 잠그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잠금 버튼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뚜껑체는 잠금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뚜껑체를 뚜껑 패킹에 접촉한 후에 밀어넣는 것은 자연스러운 동작이며, 사용자는 뚜껑체를 밀어넣는다고 하는 한 동작만으로 뚜껑체를 지수(止水)상태로 하는 것과, 뚜껑체와 잠금 버튼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없게 하는 것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 부품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하여 부착할 수 있는데다, 뚜껑체가 닫힌 상태에서도, 가동 잠금부재를 움직임으로써, 뚜껑체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동 잠금부재의 작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이동중 등에 잘못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없어지는데다, 제어 부품을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잠금 버튼 주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잠금 버튼과 제어 부품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잠금기구의 확대 단면도이고, 버튼 걸어맞춤부에 뚜껑측 걸어맞춤편을 걸어맞추어 더 밀어넣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잠금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며,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마개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마개체의 사시도이고, 가동 잠금부재가 아래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상기 마개체의 단면도(도 1과 반대측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마개체의 단면도(도 1과 같은 측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잠금 버튼과 제어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마개체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잠금 버튼과 제어 부품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잠금 버튼과 제어 부품을 일시 조립(temporary assembled)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마개 본체의 장착부의 정면도이고, 가동 잠금부재가 아래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상기 가동 잠금부재를 부착한 상태의 장착부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잠금기구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가동 잠금부재를 도시를 생략하여 일부를 단면으로 한 부착부재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부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금속제 이중 단열 구조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적용한 실시예 1을 도 1~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음료용 용기(1)는, 손으로 휴대할 수 있는 크기의 금속제의 용기 본체(2)와, 상기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 단부(2A)에 피착되는 합성수지제의 마개체(3)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2)는, 내통(4)과 외통(5)의 개구 단부(2A)의 테두리를 일체로 접합하고, 내통(4)과 외통(5)과의 사이의 공간을 진공의 단열층(6)으로 이룬 단열 이중구조로, 외통(5)의 상부 외주에는, 마개체(3)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체(3)는 마개 본체(10)를 구비하고, 이 마개 본체(10)는, 외통(5)의 상부 외주를 둘러싼 통 형상부(8)를 가지며, 이 통 형상부(8)의 내주에 암나사부(9)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9)를 외통(5)의 수나사부(7)에 나사결합하여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에 장착된다. 상기 마개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장착부(11)에는, 뚜껑체(12)가 뚜껑 힌지부(13)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뚜껑 힌지부(13)에 감아 걸려진 고무고리 등의 탄성체(14)에 의해, 뚜껑체(12)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링 형상의 탄성체(14)는, 일단을 마개 본체(10)의 부착부(11)의 부착 받이부(15)에 걸어멈춰짐과 함께, 타단을 뚜껑체(12)의 부착 받이부(16)에 걸어멈춰져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4)는, 뚜껑체(12)를 닫힌 상태로부터 180도 정도 회동한 위치에서 뚜껑체(12)를 유지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또, 일측의 뚜껑 힌지부(13)에 대하여, 용기 본체(2)의 입구부 중심을 축심(도시하지 않음)으로 했을 때 180도의 위치에, 즉 뚜껑 힌지부(13)와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인 타측에는, 뚜껑체(12)의 선단을 걸어멈춤하여 뚜껑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기구(R)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뚜껑 힌지부(13)는 힌지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개 본체(10)는, 상기 통 형상부(8)의 상면에,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를 덮는 천판(17)을 설치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거꾸로 뒤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 형상부(8)의 일측부에는, 잠금기구(R)의 구성 부재인 시소(seesaw)식의 잠금 버튼(18)과, 이 잠금 버튼(18)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시소식의 제어 부품(19)과, 이들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의 아래쪽에서 승강 이동 가능한 가동 잠금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천판(17)의 타측쪽에는 음용구(21)가 위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체(12)에는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설치되고, 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걸어맞춰지는 상(上) 걸어맞춤 조부(爪部)(71)가 상기 제어 부품(19)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 제어 부품(19)의 하부에 하(下) 걸어맞춤 조부(66)를 설치하며, 이 하 걸어맞춤 조부(66)에 걸어맞춰지는 상 걸어맞춤 조부(58)가 상기 가동 잠금부재(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어 부품(19)은, 상부에 상 걸어맞춤 조부(71)가 설치되고, 하부에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설치되며, 측면에서 보아 대략 활 모양을 이룬다.
상기 음용구(21)는, 상기 천판(17)으로부터 음용자가 입에 물기 적합한 굵기로 뚜껑체(12)에 덮여지는 높이의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를 음료의 주출구(21A)로 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용구(21)의 상단면(21B)은, 음용구(21)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선(L)보다 뚜껑 힌지부(13)측이 각도(θ)분 만큼 낮아지도록 경사지어 있고, 뚜껑체(12)의 천판(17)과 대략 같은 각도로, 잠금기구(R) 측이 높게 뚜껑 힌지부(13)측이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음용구(21)의 상부는, 뚜껑을 닫을 때에 뚜껑체(12)에 장착된 뚜껑 패킹(22)으로 밀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개 본체(10)의 통 형상부(8)의 내측에,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와 마개체(3) 사이를 수밀(水密)하게 지수 하는 지수용 패킹(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수용 패킹(23)은, 엘라스토머, 고무 혹은 탄성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고, 마개 본체(10)의 내면에 설치된 패킹(23)의 부착용 오목부(24)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패킹(23)의 부착용 오목부(24)는, 평면이 마개 본체(10)와 동심원 형상인 원환(圓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암나사부(9)와 천판(17)과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서 통 형상부(8)를 따라서 있고, 하 방향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24)를 형성하기 위한 내측에 설치되는 내벽(25)은, 거의 오목부(24)의 가로 폭 정도의 거리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온 마개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수용 패킹(23)은, 용기 본체(2)의 개구 단부(2A)와 상기 오목부(24)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 본체인 지수 돌기부(23A)와, 지수 돌기부(23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온 하방 연장벽(23B)과, 하방 연장벽(23B)의 하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온 내향(內向) 연장면(23C)으로 이루어진다. 지수 돌기부(23A)는 개구 단부(2A)와, 마개 본체(10)의 오목부(24)에 각각 하면 및 상면에서 접하여 지수함으로써, 그 평면은 원환 형상이고, 종단면은 거의 사각형으로서, 그 외주면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는 홈(23D)이 안쪽을 향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며, 지수 돌기부(23A)가 외측이 개구한 단면이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방 연장벽(23B)은 상기 내벽(25)의 외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내향 연장면(23C)은 내벽(25)의 하단을 따라, 내향 연장면(23C)의 하면이, 상기 패킹(23)을 오목부(24)에 부착하는 경우에 누르는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향 연장면(23C)이, 상기 패킹(23)을 떼어내는 경우에 붙잡는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체(12)의 상면(12J)에는, 상기 음용구(21)에 대응하여, 뚜껑 패킹 장착용의 통부(26)가 형성되고, 이 통부(26)는, 뚜껑체(12)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음용구(21)보다 작은 지름으로 상기 음용구(21)와 거의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부(26)에는, 뚜껑체(12)의 내외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27)이 형성되고, 상기 통부(26)의 두께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관통구멍(27)의 상부에는 지름 확대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 패킹(22)은, 엘라스토머, 고무 혹은 탄성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27)에 아래쪽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끼워넣어 부착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착부(28)와, 이 부착부(28)의 하단에 설치된 만곡판 형상의 시일체(29)와, 상기 통부(26)의 외주에 밖에서 끼워지는 테이퍼 형상의 내통부(30)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내통부(30)의 외주와 시일체(29)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시일체(29)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공극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착부(28)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확대부(27A)에 걸어멈춤하는 지름 확대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일체(29)의 외면(하면)은 아래 쪽에 오목한 만곡면 형상을 이루고, 그 시일체(29)의 내면(상면) 주위에는 상기 뚜껑체 내면에 접촉하는 평탄면(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시일체(29)는 상단면(21B)보다 큰 지름이다.
그리고, 뚜껑 패킹(22)을 뚜껑체(12)에 장착하려면, 뚜껑체(12)의 상면(12J)의 내면측으로부터 부착부(28)를 관통구멍(27)에 압입하면, 지름 확대부(28A)가 지름 확대부(27A)에 걸어멈춰지고, 뚜껑체(12)의 내면에 평탄면(32)이 접촉하며, 뚜껑체(12)의 내면과 시일체(29)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극부(31)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12)를 닫으면, 음용구(21)의 상단면(21B)이 시일체(29)에 압접하여 시일체(29)가 탄성변형하고, 잠금 버튼(18)이 뚜껑체(12)에 걸어멈춰진 상태로, 시일체(29)의 내면과 뚜껑체(12)의 내면에 공극부(31)가 생긴다.
상기 잠금기구(R)의 잠금 버튼(18)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표면부인 버튼 본체(33)를 구비하고, 이 버튼 본체(33)의 좌우 테두리부(33F, 33F)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上) 테두리부(33U)는 위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下) 테두리부(33S)는 아래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버튼 본체(33)의 상부 이면에, 상기 뚜껑체(12)의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걸어맞춤하고 상기 뚜껑체(12)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버튼 걸어맞춤부(34)가 안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이 버튼 걸어맞춤부(34)보다 아래쪽으로 버튼 본체(33)의 상부 이면 좌우에 아암부(35, 35)가 안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이들 좌우의 아암부(35, 35)에 가로방향의 축 구멍(35A, 35A)을 뚫어 형성하며, 이들 축 구멍(35A, 35A)에 회전 중심이 되는 축부(36)가 삽입 통과된다. 한편, 버튼 걸어맞춤부(34)는, 잠금 버튼측 상 걸어맞춤부로서, 뚜껑체 측 하 걸어맞춤부인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걸어멈춤한다.
또, 상기 좌우의 아암부(35, 35)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상기 제어 부품(19)의 회전 중심 통부(61)의 양단이 걸어맞춤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오목부(37, 37)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37)는 이면측이 개구되어 있다. 또, 버튼 본체(33)의 이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부착부(39)가 안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이 부착부(39)는 상기 아암부(35)보다 아래쪽으로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부착부(39)에 부세수단인 스프링(40)의 기단측이 부착되고, 잠금 버튼(18)을 마개 본체(10)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스프링(40)의 선단이 상기 통 형상부(8)의 외면에 접촉하여, 압축된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버튼 걸어맞춤부(34)가 상시 뚜껑체(12)를 잠그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상기 잠그는 방향은 오른쪽 방향이다.
상기 버튼 본체(33)의 표면에는, 상기 축 구멍(35A)보다 아래쪽에 누름 조작부(41)가 설치되고, 이 누름 조작부(41)는, 아래쪽을 향하여 앞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에 의해 구성됨과 함께, 하 테두리부(33S)와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보아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 본체(10)의 통 형상부(8)의 뚜껑 힌지부 반대측에는, 상기 잠금기구(R)의 장착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부(42)는 좌우의 벽부(43, 43)를 가지고, 좌우의 벽부(43, 43)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부(8)의 외면은 평탄면(42M)으로 형성되고, 그들 좌우의 벽부(43, 43)의 아래 쪽에는, 상기 가동 잠금부재(20)가 부착부재(44)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부착부재(44)는, 상기 버튼 본체(33)의 하 테두리부(33S)의 형상을 본뜬 가로방향의 앞틀부(45)와 이 앞틀부(45)의 좌우단으로부터 늘어뜨려서 설치된 세로 방향의 안내 틀부(46, 46)를 일체로 가지고, 부착부재(44)는 하부가 개구한 대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안내 틀부(46, 46)가 가동 잠금부재(20)를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부이다. 또, 상기 장착부(42)는, 상기 좌우의 벽부(43, 43)의 하부 내측을, 좌우 방향의 하벽부(47)에 의해 연결되고, 이 하벽부(47)의 앞측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벽부(43, 43) 사이에 있어서 내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48)의 좌우에는, 좌우의 안내 오목부(49, 49)가 각각 세로로 형성되고, 이들 좌우의 안내 오목부(49, 49)는 내측으로 움푹 패여 있다.
상기 가동 잠금부재(20)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안내 틀부(46, 46)에 걸어맞춤하여 슬라이딩하는 안내 받이부인 안내 홈부(51, 51)가 형성되고, 그 가동 잠금부재(20)의 이면 좌우에는, 상기 좌우의 안내 오목부(49, 49)에 걸어 넣는 걸어 넣음부(52, 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틀부(46, 46)에 상기 안내 홈부(51, 51)를 걸어맞춤하여 부착부재(44)에 가동 잠금부재(20)를 장착하고,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부터, 그 부착부재(44)의 안내 틀부(46, 46)를, 상기 좌우의 벽부(43, 43)의 내면을 따르도록 하여 삽입하며, 부착부재 고정 리브(91)가 상기 통 형상부(8)에 형성된 마개체측 고정 리브(90)를 타고 넘어 상하 방향 고정으로 부착됨으로써, 걸어 넣음부(52)가 있는 개미홈 형상의 빠짐 방지상태로 되어, 장착부(42)에 부착되고, 이것에 의해 가동 잠금부재(20)가 안내 틀부(46)를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의 벽부(43, 43)의 내면에는, 상기 안내 틀부(46, 46)를 안내하는 안내 돌출조(92, 92)가 세로로 형성됨과 함께, 이들 안내 돌출조(92, 92)의 상부 후방에 상기 마개체측 고정 리브(90, 9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 돌출조(92)는 평단면이 대략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그 안내 돌출조(92)가 걸어 넣어지는 바깥 안내 홈부(93)를, 상기 안내 틀부(46)의 틀 후부(46K)의 좌우 측면에 각각 형성하고 있고, 이 틀 후부(46K)의 상단에, 상기 부착부재 고정 리브(91)가 뒤로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틀 후부(46K)의 하부는 안내 틀부(46)보다 짧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틀 후부(46K)의 하단(46S)이 상기 하벽부(47)의 상면에 접촉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 틀부(46)의 하단면과 상기 하벽부(47)의 하면이 대략 면 일치하게 됨과 함께, 상기 마개체측 고정 리브(90)의 하부에 상기 부착부재 고정 리브(91)가 걸어멈춰지고, 부착부재(44)가 상하로 빠짐 방지 상태로 장착부(42)에 장착된다. 그리고, 부착부재 고정 리브(91)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고, 그 삼각형의 경사면이 아래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체측 고정 리브(90)를 넘을 때, 부착부재 고정 리브(91)가 탄성변형하여 마개체측 고정 리브(90)의 하부에 걸어멈춰진다.
또, 가동 잠금부재(20)가 상기 앞틀부(45)에 접촉한 위치가 잠금 버튼(18)의 잠금 위치(상한 위치)이고, 이 위치에서 가동 잠금부재(20)의 외면 상부의 잠금부(53)가, 상기 버튼 본체(33)의 내면 하부의 잠금 받이부(54))의 내면 측에 위치하며, 잠금 버튼(18)의 하부를 후측으로 누르면, 잠금 받이부(54)가 잠금부(53)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잠금 버튼(18)에 의한 잠금 해제 동작이 방지된다.
또, 가동 잠금부재(20)의 이면에는, 받이판(55)이 돌출 형성되고, 이 받이판(55)의 하면에 원기둥 형상의 부착부(56)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이 부착부(56)에 부세수단인 스프링(57)의 기단측이 부착되고, 가동 잠금부재(20)를 마개 본체(10)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스프링(57)의 선단이 상기 하벽부(47)의 상면에 접촉하며, 그 스프링(5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동 잠금부재(20)가 잠금 버튼(18)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위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그리고, 가동 잠금부재(20)의 잠금부(53)의 이면측에는, 상기 제어 부품(19)에 걸어맞춰지는 잠금부재측 걸어맞춤부인 상 걸어맞춤 조부(58, 58)가 이면측에 경사져 돌출 형성되고, 이 예에서는, 간격을 두고 좌우로, 대략 갈고리형의 상 걸어맞춤 조부(58, 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 걸어맞춤 조부(58)는, 선단 측에 상면 걸어맞춤부(58U)와 하면 걸어맞춤부(58S)를 가진다.
또, 상기 가동 잠금부재(20)의 표면 하부에는, 누름 조작부(59)가 설치되고, 이 누름 조작부(59)는, 아래쪽을 향하여 앞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고, 정면에서 보아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 본체(33)의 표면은, 누름 조작부(41)를 제외하고, 상기 벽부(43)의 전면(43M) 및 앞틀부(45)의 전면과 대략 면 일치하고, 상기 가동 잠금부재(20)의 표면은, 누름 조작부(59)를 제외하고, 상기 벽부(43)의 전면(43M) 및 앞틀부(45)의 전면과 대략 면 일치한다.
상기 제어 부품(19)은, 회전 중심으로 되는 수평 방향의 회전 중심 통부(61)를 가지고, 이 회전 중심 통부(61) 내의 축 구멍(61H)이 상기 축 구멍(35A, 35A)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아암부(35, 35)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아암부(35, 35A, 35) 내에 상기 축부(36)가 헐겁게 끼워진다. 또, 상기 축부(36)가 상기 좌우의 벽부(43, 43)에 형성된 장착구멍(43A, 43A)에 장착되고, 상기 축부(36)를 중심으로 상기 제어 부품(19) 및 잠금 버튼(18)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제어 부품(19)의 회전 중심 통부(61)에, 좌우의 세로 부재(63, 63)의 상부를 연결하고, 이들 좌우의 세로 부재(63, 63)의 하부를 가로 부재(64)에 의해 연결하며, 그들 틀 형상을 이루는 회전 중심 통부(61), 세로 부재(63, 63) 및 가로 부재(64)의 사이에,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부(65)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65)에, 상기 잠금 버튼(18)의 부착부(39) 및 스프링(40)이 삽입 통과 상태로 수납된다. 또, 상기 가로 부재(64)에는 상기 상 걸어맞춤 조부(58, 58)에 걸어멈춤 하는 제어 부품측 하 걸어맞춤부인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설치되고, 이 하 걸어맞춤 조부(66)는, 대략 갈고리 형상을 이루며, 그 선단 측에, 상기 가동 잠금부재(20)의 상 걸어맞춤 조부(58)의 상면 걸어맞춤부(58U)와 하면 걸어맞춤부(58S)에 걸어맞춰지는 하면 걸어맞춤부(68S)와 상면 걸어맞춤부(68U)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 중심 통부(61)의 좌우에 긴 지름 확대부(67L), 짧은 지름 확대부(67S)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어 부품(19)을 회전 방향으로 회전 방지하는 회전 방지면(67T)을 형성한다. 이들 긴 지름 확대부(67L), 짧은 지름 확대부(67S)에 상기 좌우의 세로 부재(63, 63)의 상부가 연결되고, 그들 긴 지름 확대부(67L)와 짧은 지름 확대부(67S)의 사이에 빈틈(6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긴 지름 확대부(67L)와 짧은 지름 확대부(67S)는 대략 동일지름이고, 긴 지름 확대부(67L)는 짧은 지름 확대부(67S)보다 길다. 또, 짧은 지름 확대부(67S)으로부터 회전 중심 통부(61)의 일단부(61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일단부(61A)가 한쪽의 상기 아암부(35)의 오목부(37)로 걸어 넣어진다. 또한 상기 긴 지름 확대부(67L)의 외단부에는, 회전 부세수단인 코일 스프링(69)을 장착하는 스프링용 오목부(70)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70)로부터 회전 중심 통부(61)의 타단부(61B)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타단부(61B)가 상기 한쪽의 상기 아암부(35)의 오목부(37)에 걸어 넣어진다. 또, 그 타단부(61B)에 코일 스프링(69)을 외장하고, 코일 스프링(69)의 일단(69A)을 오목부(70)에 걸어멈춤하며, 제어 부품(19)을 마개 본체(10)에 장착한 상태로, 코일 스프링(69)의 타단(69B)을 통 형상부(8)의 외면에 걸어멈춤하고, 코일 스프링(6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어 부품(19)의 아래쪽이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어 부품(19)이 회동하며 힘이 가해진다. 한편, 긴 지름 확대부(67L)가 한쪽의 지름 확대부이고, 짧은 지름 확대부(67S)가 다른 쪽의 지름 확대부이다. 한편, 제어 부품(19)은 회전 방지면(67T)이 통 형상부(8)의 외면인 평탄면(42M)에 접촉하여 회전 범위가 규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부품(19)은, 도 3의 위치로부터 시계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방지면(67T)이 평탄면(42M)에 접촉하여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제어 부품(19)이 버튼 본체(33)의 이면측에 닿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 부품(19)의 짧은 지름 확대부(67S)에는, 경사져서 상방으로 표면쪽을 향하여 경사진 상 걸어맞춤 조부(7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 걸어맞춤 조부(71)의 선단은 상기 버튼 걸어맞춤부(34)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또, 상기 상 걸어맞춤 조부(71)는, 제어 부품측 상 걸어맞춤부로서, 상기 뚜껑체(12)의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뚜껑체(12)를 닫는 동작에 수반하여,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의 하 원호면(81A)이 상 걸어맞춤 조부(71) 상 원호면(71A)을 누르며,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이면측으로 후퇴하도록 제어 부품(19)을 회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하 걸어맞춤 조부(66)와 가동 잠금부재(20)의 상 걸어맞춤 조부(58)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한편, 이 예에서는, 짧은 지름 확대부(67S)에만 상 걸어맞춤 조부(71)를 설치했지만, 긴 지름 확대부(67L)에도 형성하거나, 긴 지름 확대부(67L)에만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버튼 본체(33)의 이면에는, 상기 제어 부품(19)의 빈틈(68)에 걸어 넣어지는 걸어 넣음편(73)이 이면측에 대략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넣음편(73)은, 제어 부품(19)의 좌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부로서, 좌우 아암부(35, 35)의 사이에서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버튼(18)의 좌우의 아암부(35, 35)의 오목부(37, 37) 사이에, 제어 부품(19)의 회전 중심 통부(61)를 삽입 배치하면, 상기 걸어 넣음편(73)이 상 걸어맞춤 조부(58)와 짧은 지름 확대부(67S)의 사이에 끼워지고, 다시 관통부(65)에 스프링(57)이 헐겁게 끼워지며, 세로 방향으로, 회전 중심 통부(61)의 양단부(61A, 61B)가 오목부(37, 37)로 걸어 넣어지고, 걸어 넣음편(73)이 상 걸어맞춤 조부(58)와 짧은 지름 확대부(67S)의 사이에 끼워져 제어 부품(19)이 좌우로 위치 결정되며, 이것에 의해, 잠금 버튼(18)에 제어 부품(19)을 일시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42)의 하부에 가동 잠금부재(20)를 조립한 후, 상기 일시 조립된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을, 장착부(42)의 벽부(43, 43) 사이에 삽입 배치하고, 그 벽부(43)의 장착구멍(43A)에 아암부(35)의 축 구멍(35A)을 맞추어, 장착구멍(43A), 축 구멍(35A, 61H, 35A), 장착구멍(43A)에 축부(36)를 삽입하고, 이것에 의해 장착부(42)에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이 장착되며, 이들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은 수평 방향의 상기 축부(36)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도 2 및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12)의 회동단, 즉 뚜껑 힌지부(13)의 반대 측에는, 상기 버튼 걸어맞춤부(34)가 걸어멈춤 가능한 상기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좌우 가로로 향하는 방향의 단차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편(81)의 상부에는, 상기 잠금 버튼(18)의 상기 상 테두리부(33U)를 대략 본뜬 형상을 이루는 덮개부(82)가 뚜껑체(12)에 설치되어 있다. 또, 버튼 걸어맞춤부(34)의 선단 상부에는 상 경사면(34A)이 설치되고, 이 상 경사면(33A)에 대응하여, 상기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하 원호면(81A)이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은 선단 측을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69)의 힘이 가해짐에 의해 제어 부품(19)은 아래쪽이 표면측(외측)을 향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제어 부품(19)은 회전 방지면(67T)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고 있으며, 잠금 버튼(18)의 작동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데다, 뚜껑이 닫혀 있는 경우는 특히 이 제어 부품(19)이 잠금 버튼(18)으로부터 힘을 받지 않는다. 한편, 잠금 버튼(18)은 스프링(40)에 의해 회전하여 힘이 가해지고, 이것에 의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의 상면부(81J)에 버튼 걸어맞춤부(34)의 하면(34K)이 걸어멈춤한다. 이와 같이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과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립하여 회전하여 힘이 가해져 있다.
또, 상기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의 상면부(81J)와 덮개부(82)의 하면과의 간격(K)은, 상기 버튼 걸어맞춤부(34)의 상하 방향의 두께(T)보다 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버튼 걸어맞춤부(34)가 걸어멈춤한 상태에서, 버튼 걸어맞춤부(34)와 덮개부(82)의 사이에는, 내리누르는 간격이 되는 빈틈(S)이 형성되고, 이 상태로 뚜껑 패킹(22)의 시일체(29)는 음용구(21)에 의해 탄성변형하여 상기 음용구(21)에 밀착하고 있지만, 음용구(21)의 상단면(21B)이 닿는 위치의 시일체(29)와 뚜껑체(12)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내리누르는 간격이 되는 빈틈이 있거나, 여기로부터 시일체(29)가 탄성변형하여 후술하는 빈틈의 분만큼 뚜껑체(12)를 밀어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6은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버튼 걸어맞춤부(34)가 걸어멈춤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상기 빈틈(S)과 함께, 상기 뚜껑체(12)의 하 테두리부(12F)와, 이 하 테두리부(12F)에 대응한 마개 본체(10)의 테두리 받이부(83)와의 사이에, 뚜껑체(12)의 내리누르는 간격이 되는 빈틈(S')이 있다. 한편, 뚜껑체(12)를 누르면, 그 하 테두리부(12F)가 테두리 받이부(83)에 닿는다.
상기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의 하 원호면(81A)은, 뚜껑체(12)를 닫는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어 부품(19)의 상 걸어맞춤 조부(71)에 접촉하는 접촉부이다. 그리고, 가동 잠금부재(20)의 상 걸어맞춤 조부(58) 위에, 제어 부품(19)의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걸어맞춤한 상태로, 뚜껑체(12)를 닫으면, 하 원호면(81A)이 상 걸어맞춤 조부(71)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제어 부품(19)이 회동하여, 제어 부품(19)의 하 걸어맞춤 조부(66)와 가동 잠금부재(20)의 상 걸어맞춤 조부(58)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며, 즉, 제어 부품(19)의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이면측(후측)으로 이동하고, 스프링(57)의 힘이 가해짐에 의해, 가동 잠금부재(20)가 상승하며, 잠금 버튼(18)의 잠금 받이부(54)의 이면에 가동 잠금부재(20)의 잠금부(53)가 위치하여 잠금 버튼(18)의 조작이 규제된다. 또한 뚜껑체(12)를 닫고 나서 손을 떼면, 탄성체(14)와 탄성변형한 시일체(2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뚜껑체(12)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받아, 잠금 버튼(18)의 버튼 걸어맞춤부(34)에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걸어멈춤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잠금기구(R)의 조립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부재(44)에 의해 가동 잠금부재(20)를 장착부(42)의 하부에 부착한다. 이 후, 일시 조립된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을, 장착부(42)의 벽부(43, 43) 사이에 삽입 배치하고, 그 벽부(43)의 장착구멍(43A)에 아암부(35)의 축 구멍(35A)을 맞추어, 장착구멍(43A), 축 구멍(35A, 61H, 35A), 장착구멍(43A)에 축부(36)를 삽입하며, 이것에 의해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을 장착부(42)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과 같은 복수의 부재를 공통되는 축부(36)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마개 본체(10)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를 수용할 때는, 우선, 미리 열려 있는 용기 본체(2)의 개구로부터 음료를 용기 본체(2)에 수용하고, 다음에, 개구 단부(2A)에 마개체(3)를 부착한다.
이 후, 뚜껑 힌지부(13)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뚜껑체(12)를 닫도록 회동하면, 버튼 걸어맞춤부(34)의 선단의 상 경사면(34A)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의 하 원호면(81A)의 선단 측에 의하여 눌려지고, 코일 스프링(40)에 저항하여 버튼 걸어맞춤부(34)가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잠금 버튼(18)이 기울어져 움직이며, 또한 뚜껑체(12)를 닫도록 뚜껑체(12)를 누르면, 버튼 걸어맞춤부(34)가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을 눌러 상기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버튼 걸어맞춤부(34)가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을 타고 넘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의 상면부(81J)가 버튼 걸어맞춤부(34)의 하면(34K)에 걸어멈춤하여, 뚜껑체(12)가 마개 본체(10)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음용구(21)에 의해 뚜껑 패킹(22)이 눌려, 시일체(29)가 탄성변형하지만,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의 상면부(81J)가 버튼 걸어맞춤부(34)의 하면(34K)에 걸어멈춰지는 잠금 위치(상부 위치)에서, 버튼 걸어맞춤부(34)와 덮개부(82)의 사이에는, 내리누르는 간격이 되는 빈틈(S)이 있고, 음용구(21)의 상단면(21B)이 닿은 위치의 시일체(29)와 뚜껑체(12)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내리누르는 간격이 되는 빈틈인 공극부(31)가 있으며, 상기 뚜껑체(12)의 하 테두리부(12F)와, 이 하 테두리부(12F)에 대응한 마개 본체(10)의 테두리 받이부(83)와의 사이에, 내리누르는 간격이 되는 빈틈(S')이 있기 때문에, 뚜껑체(12)를 눌러 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뚜껑체(12)의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제어 부품(19)의 상 걸어맞춤 조부(71)를 누르고, 제어 부품(19)이 각도 회동하며,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이면측으로 이동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걸어맞춤 조부(66)의 아래 쪽에 상 걸어맞춤 조부(58)가 접촉하고, 비잠금위치(하부 위치)에 있던 가동 잠금부재(20)가, 코일 스프링(57)의 힘이 가해짐에 의해 상승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잠금부재(20)의 잠금부(53)가 잠금 버튼(18)의 잠금 받이부(54)의 이면측으로 들어가, 잠금 버튼(18)의 하부를 눌러도, 잠금부(53)에 잠금 받이부(54)가 닿기 때문에, 뚜껑측 걸어맞춤편(81)과 버튼 걸어맞춤부(34)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없게 되어, 뚜껑체(12)의 잠금 상태가 얻어진다. 이 위치에서, 가동 잠금부재(20)는 앞틀부(45)에 닿아있다.
그리고, 뚜껑체(12)를 닫는 동작이 완료하고, 뚜껑체(12)로부터 손을 떼면, 뚜껑 패킹(22)의 탄성 복원력과 탄성체(14)의 힘에 의해, 뚜껑측 걸어맞춤편(81)과 버튼 걸어맞춤부(34)가 걸어맞춤한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뚜껑체(12)를 닫는 동작으로, 가동 잠금부재(20)가 상승하지 않았던 경우는, 뚜껑체(12)를 위에서 눌러 주면, 상기 뚜껑체(12)의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제어 부품(19)의 상 걸어맞춤 조부(71)를 눌러, 잠금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도 5의 가동 잠금부재(20)의 잠금 위치와 도 6의 가동 잠금부재(20)의 비잠금위치(하부 위치)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가동 잠금부재(20)를 보면 잠금 상태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뚜껑체(12)를 연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잠금부재(20)의 상 걸어맞춤 조부(58) 위에, 제어 부품(19)의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위치하기 때문에, 가동 잠금부재(20)는 비잠금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도 1,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버튼 걸어맞춤부(34)가 걸어멈춤하여 뚜껑체(12)가 닫히고, 가동 잠금부재(20)가 잠금 위치인 상태에서는, 하 걸어맞춤 조부(66)의 하면 걸어맞춤부(66S)의 선단측과 상 걸어맞춤 조부(58)의 상면 걸어맞춤부(58U)의 선단측이 서로 맞물리도록 걸어맞춰져 있고, 사용자가 가동 잠금부재(20)를 눌러 내릴 때, 코일 스프링(69)의 가압에 저항하여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이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또, 이 클릭감은 저항이기도 함과 동시에, 가동 잠금부재(20)는 스프링(57)에 의해 상시 상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가동 잠금부재(20)가 단순히 외부에 접촉해도, 상기 가동 잠금부재(20)가 비잠금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서로 맞물리도록 걸어맞춤한 하 걸어맞춤 조부(66)의 하면 걸어맞춤부(66S)와 상 걸어맞춤 조부(58) 등에 의해, 가동 잠금부재(20)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오동작 방지 기구를 구성하고, 이 오동작 방지 기구에 의해, 잠금 위치의 가동 잠금부재(20)가 부주의하게 비잠금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가령, 뚜껑체(12)를 연 상태에서, 가동 잠금부재(20)가 잠금 위치가 되어도, 잠금 버튼(18)의 하부를 후측으로 눌러도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뚜껑체(12)를 닫을 수 없어, 사용자는 가동 잠금부재(20)를 아래로 누르고 나서, 뚜껑체(12)를 닫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체(12)를 닫을 때, 음용구(21)가 뚜껑 패킹(22)이 접촉한 후, 더 밀어넣음으로써, 뚜껑체(12)의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제어 부품(19)에 접촉하고, 제어 부품(19)과 가동 잠금부재(2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가동 잠금부재(20)는 잠금 스프링인 스프링(57)에 의해 상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잠금 받이부(54)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잠금 버튼(18)의 뒤편으로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잠금 버튼(18)을 뚜껑체(12)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때까지 밀어넣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마개체 유닛은 잠금 상태가 된다. 또, 일반적으로, 뚜껑체(12)를 뚜껑 패킹(22)에 접촉한 후에 밀어넣는 것은 자연스러운 동작이며, 사용자가 뚜껑체(12)를 밀어넣는다고 하는 한 동작만으로 뚜껑체(12)를 지수 상태로 함으로써, 잠금 버튼(18)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없게 하는 것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이때문에 잠그는 것을 잊어버리지 않고,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통상의 지수 위치로부터 집어넣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지수 위치에서 뚜껑 패킹(22)의 접촉이 약해지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도에서만 뚜껑체(12)의 뚜껑측 걸어맞춤편(81)과 제어 부품(19)의 상 걸어맞춤 조부(71)가 접촉하지만, 이것은 좌측면도에서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 걸어맞춤부(34)가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걸어멈춤한 뚜껑체(12)의 닫힌 상태에서는 탄성체(14)에 의해 여는 방향으로 뚜껑체(12)가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뚜껑체(12)의 뚜껑측 걸어맞춤편(81)과 제어 부품(19)의 버튼 걸어맞춤부(34)와는 접촉되어 있지 않고, 여기에도 약간의 빈틈이 있다. 이와 같이 상시 들고 운반하는 상태에서 약간의 빈틈이 있는 것에 의하여, 뚜껑체(1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제어 부품(19)은 아무런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제어 부품(19)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데다가, 뚜껑체(12)가 닫힌 상태에서도 가동 잠금부재(20)의 걸어맞춤 상태, 해제 상태로의 변환을 가동 잠금부재(20)를 대략 상하 방향 등으로 움직임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제어 부품(19)이 제어 부품 부세 스프링인 코일 스프링(69)에 의해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이동중 등에 잘못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없어진다. 이 부세력은 가동 잠금부재(20)와 제어 부품(19)이 걸어맞춰져 있는 지점에 대하여, 잠금 스프링인 코일 스프링(57)보다 강하여, 가동 잠금부재(20)가 마음대로 닫혀 버리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한,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을 동축으로 함으로써, 잠금 버튼(18) 주의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부품(19)의 한쪽 편을 제어 부세 스프링과 같은 캔틸레버 토션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더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체(12)의 버튼 걸어맞춤부(34)는, 마개 본체(10)에 부착된 잠금 버튼(18)의 상 걸어맞춤 조부(71)와 걸어맞춤하고, 뚜껑 패킹(22)이 마개 본체(10)에 접촉하여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며, 잠금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부세수단인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힘이 가해진 가동 잠금부재(20)와, 이 가동 잠금부재(20)와 동축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 부품(19)을 구비하고, 뚜껑 패킹(22)을 마개 본체(10)의 음용구(21)에 접촉시키는 방향의 힘, 즉 사용자가 뚜껑체(12)를 닫는 힘에 의해, 뚜껑체(12)의 버튼 걸어맞춤부(34)가 제어 부품(19)의 상 걸어맞춤 조부(71)에 접촉하고, 뚜껑체(12)가 제어 부품(19)을 작동함으로써, 가동 잠금부재(20)를 잠그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뚜껑체(12)가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하면 걸어맞춤부(66S)가 상면 걸어맞춤부(58U)에 접촉하며, 가동 잠금부재(20)가 잠금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고,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의 상면부(81J)에 버튼 걸어맞춤부(34)의 하면(34K)이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하 걸어맞춤 조부(66)의 하면 걸어맞춤부(66S)의 선단측과 상 걸어맞춤 조부(58)의 상면 걸어맞춤부(58U)의 선단측이 서로 맞물리도록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뚜껑체(12)를 닫는 조작에 따라서 상기 뚜껑체(12)를 잠금 가능하게 하는 마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여, 음료용 용기 본체(2)에 부착되는 마개 본체(10)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마개 본체(10)에 힌지부인 뚜껑 힌지부(13)를 통하여 뚜껑체(12)가 연결되어 있고, 뚜껑체(12)는, 마개 본체(10)에 부착된 잠금 버튼(18)과 걸어맞춤하며, 뚜껑 패킹(22)이 마개 본체(10)에 접촉하여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고, 잠금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가동 잠금부재(20)와, 이 가동 잠금부재(20)와 걸어맞춤하는 제어 부품(19)을 구비하며, 뚜껑 패킹(22)을 마개 본체(10)에 접촉시키는 방향의 힘에 의해, 뚜껑체(12)가 제어 부품(19)을 작동시킴으로써, 가동 잠금부재(20)를 잠그는 방향으로 작동시켜, 뚜껑체(12)가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가동 잠금부재(20)가 잠금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뚜껑체(12)를 닫을 때, 뚜껑 패킹(22)이 마개 본체(10)에 접촉한 후, 더 밀어넣음으로써, 뚜껑체(12)가 제어 부품(19)에 접촉하여 제어 부품(19)과 가동 잠금부재(2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가동 잠금부재(20)는 잠그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잠금 버튼(18)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뚜껑체(12)가 잠금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뚜껑체(12)를 뚜껑 패킹(22)에 접촉한 후에 밀어넣는 것은 자연스러운 동작이며, 사용자가 뚜껑체(12)를 밀어넣는다고 하는 한 동작만으로 뚜껑체(12)를 지수 상태로 하는 것과, 잠금 버튼(18)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없게 하는 것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대응하여, 제어 부품(19)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을 공간을 절약하여 부착할 수 있는데다, 뚜껑체(12)가 닫힌 상태에도, 가동 잠금부재(20)를 움직임으로써, 잠금과 잠금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에 대응하여, 제어 부품(19)이 가동 잠금부재(20)의 작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동중 등에 잘못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없어지는데다, 제어 부품을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이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버튼(18)의 주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잠금 버튼(18)과 제어 부품(19)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이하, 실시예 상의 효과로서, 상기 좌우의 아암부(35, 35)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상기 제어 부품(19)이 걸어맞춰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오목부(37, 37)를 형성하고, 긴 지름 확대부(67L)와 짧은 지름 확대부(67S)의 사이에 빈틈(6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중심 통부(61)를 가지는 제어 부품(19)을 잠금 버튼(18)의 이면측에 용이하게 일시 조립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제어 부품(19)과 잠금 버튼(18)의 양자를 용이하게 마개 본체(10)에 부착할 수 있다. 또, 제어 부품(19)과 잠금 버튼(18)을 서로 겹쳐 배치함으로써, 컴팩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잠금부재(20)를 별체의 부착부재(44)를 이용하여 장착부(42)에 부착했기 때문에, 마개 본체(10)에 가동 잠금부재(20)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장착부(42)의 벽부(43)의 내면에 마개체측 고정 리브(90)를 형성함과 함께, 부착부재(44)의 틀 후부(46K)에 부착부재 고정 리브(91)를 형성하고, 부착부재(44)의 안내 틀부(46, 46)를, 좌우의 벽부(43, 43)의 내면을 따르도록 상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기 마개체측 고정 리브(90)의 하부에 상기 부착부재 고정 리브(91)가 걸어멈춤춰지고, 이것에 의해 접착이나 다른 부착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부착부재(44)를 장착부(42)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또, 내리누르는 간격이 되는 빈틈(S, S')이 형성되고, 음용구(21)의 상단면(21B)이 닿는 위치의 시일체(29)와 뚜껑체(12)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내리누르는 간격이 되는 빈틈이 있거나, 여기로부터 시일체(29)가 탄성변형하여 후술하는 빈틈의 분만큼 뚜껑체(12)를 밀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뚜껑체(12)를 닫는 동작에 수반하여 가동 잠금부재(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체(12)에는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설치되고, 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걸어맞춰지는 상 걸어맞춤 조부(71)가 상기 제어 부품(19)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 제어 부품(19)의 하부에 하 걸어맞춤 조부(66)를 설치하며, 이 하 걸어맞춤 조부(66)에 걸어맞춰지는 상 걸어맞춤 조부(58)가 상기 가동 잠금부재(20)의 상부에 설치되며, 뚜껑측 걸어맞춤편(81), 상 걸어맞춤 조부(71) 및 하 걸어맞춤 조부(66)가 일측방향(앞쪽)을 향하고, 뚜껑체(12)를 닫는 동작에 의해 뚜껑측 걸어맞춤편(81)이 상 걸어맞춤 조부(71)를 누르며, 버튼 걸어맞춤부(34) 및 상면 걸어맞춤부(58U)는 상기 일측방향과는 반대의 타측방향(뒷쪽)을 향하고, 가동 잠금부재(20)가 비잠금위치에서는 하 걸어맞춤 조부(66)의 하부가 상면 걸어맞춤부(58U)의 상부에 닿고, 가동 잠금부재(20)가 잠금 위치에서는 하 걸어맞춤 조부(66)와 상면 걸어맞춤부(58U)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뚜껑체(12)의 개폐에 의해, 제어 부품(19)이 가동 잠금부재(20)의 상방으로의 이동의 허용과, 이동 방지의 제어를 행할 수 있으며, 게다가, 잠금 버튼(18)에 걸어멈춤하는 뚜껑측 걸어맞춤편(81)에 의해, 제어 부품(19)을 조작을 겸용하기 때문에, 여분의 부품이 불필요하여, 잠금기구(R)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부세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이나 코일 용수철을 예시했지만, 탄성 복원력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것이면,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잠금 버튼, 제어 부품 및 가동 잠금부재는,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제의 것을 예시했지만, 각종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2. 음료용 용기 본체
2. 용기 본체
2A. 개구 단부
3. 마개체
10. 마개 본체
12. 뚜껑체
13. 뚜껑 힌지부(힌지부)
R. 잠금기구
18. 잠금 버튼
19. 제어 부품
20. 가동 잠금부재
21. 음용구
22. 뚜껑 패킹
34. 버튼 걸어맞춤부(잠금 버튼측 상 걸어맞춤부)
36. 축부
40. 스프링(부세수단)
53. 잠금부
54. 잠금 받이부
57. 스프링(부세수단)
58. 상 걸어맞춤 조부(잠금부재측 걸어맞춤부)
66. 하 걸어맞춤 조부(제어 부품측 하 걸어맞춤부)
69. 코일 스프링
71. 상 걸어맞춤 조부(제어 부품측 상 걸어맞춤부)
81. 뚜껑측 걸어맞춤편(뚜껑체측 하 걸어맞춤부)
S. 빈틈
S1. 빈틈

Claims (4)

  1. 음료용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마개 본체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에 힌지부를 통하여 뚜껑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체는, 상기 마개 본체에 부착된 잠금 버튼과 걸어맞춤하고, 뚜껑 패킹이 상기 마개 본체에 접촉하여 닫힌 상태를 만들어 내며,
    상기 잠금 버튼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가동 잠금부재와, 이 가동 잠금부재와 걸어맞춤하는 제어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 패킹을 상기 마개 본체로 접촉시키는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뚜껑체가 상기 제어 부품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잠금부재를 잠그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며, 상기 뚜껑체가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가동 잠금부재가 상기 잠금 버튼의 작동을 방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품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품이 상기 가동 잠금부재의 작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버튼과 상기 제어 부품이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20130140170A 2012-11-19 2013-11-18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98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3626 2012-11-19
JP2012253626A JP5466284B1 (ja) 2012-11-19 2012-11-19 飲料用容器の栓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662A true KR20140064662A (ko) 2014-05-28
KR101498824B1 KR101498824B1 (ko) 2015-03-04

Family

ID=5061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170A KR101498824B1 (ko) 2012-11-19 2013-11-18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66284B1 (ko)
KR (1) KR101498824B1 (ko)
CN (1) CN1038157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030Y1 (ko) * 2014-03-31 2015-12-10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원터치형 물통
JP5955890B2 (ja) * 2014-06-09 2016-07-20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CN105147013B (zh) * 2015-09-10 2017-03-01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一键开启自锁式杯盖及其工作方法
JP6754189B2 (ja) * 2015-12-24 2020-09-09 紅子 片岡 飲料容器の蓋体ロック構造
JP6627588B2 (ja) * 2016-03-14 2020-01-08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CN105996666B (zh) * 2016-07-05 2017-08-29 宁波立羊真空器皿有限公司 一种保温杯
JP6848509B2 (ja) * 2016-08-24 2021-03-2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栓体および飲料容器
CN107399337A (zh) * 2017-07-31 2017-11-28 山东中车华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注水口防尘罩及集便器及使用方法
CN110089899A (zh) * 2019-06-13 2019-08-06 杭州哈尔斯实业有限公司 自动扣锁杯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CN112690671B (zh) * 2021-01-27 2022-01-11 浙江安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壶盖自锁装置及其具有该结构的防冲保温壶
CN113650945B (zh) * 2021-08-24 2023-01-10 宁波乐廷智能科技有限公司 真空米桶
CN114620347B (zh) * 2021-10-28 2023-12-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盖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944A (ja) * 2004-01-07 2005-07-21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06298449A (ja) * 2005-04-22 2006-11-02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蓋体ロック構造
JP4588610B2 (ja) * 2005-10-20 2010-12-01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の蓋構造
JP5375266B2 (ja) * 2009-03-31 2013-12-2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JP2010235137A (ja) * 2009-03-31 2010-10-21 Tiger Vacuum Bottle Co Ltd ボトルの吸気構造
JP5310704B2 (ja) * 2010-11-19 2013-10-0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本体
CN201980548U (zh) * 2011-02-18 2011-09-21 上海调林日用品有限公司 容器杯盖
JP2012050877A (ja) * 2011-12-01 2012-03-1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3173973U (ja) * 2011-12-19 2012-03-01 イシャン ル 飲料容器の栓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6284B1 (ja) 2014-04-09
CN103815741B (zh) 2017-04-12
CN103815741A (zh) 2014-05-28
KR101498824B1 (ko) 2015-03-04
JP2014101128A (ja)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824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4798553B2 (ja) 飲料容器
JP6185279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N107284836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US8167010B2 (en) Fuel filler port closing apparatus
KR10147271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힌지 구조
KR1015621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5955890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310704B2 (ja) 飲料用容器の栓本体
TWI492734B (zh) Drinks for containers
JP201715478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027647B1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50978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4482940B2 (ja) ロック装置及びロック装置を備えた蓋付き飲料容器並びに蓋付き容器
JP5556937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482757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TWI686333B (zh) 蓋體及附蓋容器
JP5503042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3173550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525078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3195450U (ja) 飲料容器の栓体
JP3171651U (ja) 飲料用容器の栓体及びこれを有する飲料用容器
JP3193262U (ja) 飲料容器の栓体
JP6123245B2 (ja) 飲料用容器
JP202403070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