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810A - 리프트 설비 - Google Patents

리프트 설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810A
KR20140053810A KR1020137013166A KR20137013166A KR20140053810A KR 20140053810 A KR20140053810 A KR 20140053810A KR 1020137013166 A KR1020137013166 A KR 1020137013166A KR 20137013166 A KR20137013166 A KR 20137013166A KR 20140053810 A KR20140053810 A KR 2014005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age
roller
lift
pulling means
driv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레나 코토나
프랑키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5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66B11/022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with changeable inter-deck di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66B1/42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Abstract

리프트 설비(1)는 리프트 카 지지대(2)의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이동 공간(3)에서 이동될 수 있는 리프트 카 지지대(2)를 포함한다. 게다가, 리프트 카 지지대(2)에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리프트 카(10)와 제2 리프트 카(11)가 구비되고, 리프트 카 지지대(2)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14)이 구비된다. 게다가,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반대 방향으로 안내되는 제1 유연 구동 수단(22)과 제2 유연 구동 수단(23)을 포함하는 조정 장치(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리프트 카(10)와 제2 리프트 카(11) 사이의 간격(47)이 리프트 카들(10, 11)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상이한 층 간격들에 맞춰지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리프트 설비{LIFT INSTALLATION}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를 가지는 리프트 설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위 2층 리프트 설비(double-decker lift installation)로서 설계되는 리프트 설비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2층 리프트는 일본특허 JP 2007-331871 A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런 알려진 리프트는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케이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해서,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 각각은 케이블 롤러들을 가지는 개별 캐리어의 위에 배치된다. 게다가, 주위에 리프팅 케이블이 안내되는 구동 유닛이 케이지 프레임에 구비된다.
한편으로는 리프팅 케이블은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를 위한 캐리어의 케이블 롤러들의 주위로 안내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의 캐리어의 케이블 롤러들의 주위로 안내된다. 구동 유닛에 의한 리프팅 케이블의 작동을 통해, 이와 같이 현수된 리프트 케이지들은 케이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다.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은 그에 의해 케이스 프레임 내에서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본특허 JP 2007-331871 A로부터 알려진 2층 리프트는 케이지 프레임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이 비교적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관련해서, 상이한 견인력이 한편으로는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에 대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에 대해 리프팅 케이블에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유닛은 충분한 성능을 가져야 한다. 이는 특히, 리프트 케이지들의 상이한 부하 때문에 가능하다. 게다가,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이 최대 부하를 가질 때, 높은 수준의 힘이 구동 유닛의 구동 풀리에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 유닛은 상승하는 힘과 모멘트를 수용하고 심지어 리프트 케이지들의 최대 또는 극히 상이한 수준의 부하로 원하는 조정 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큰 성능을 가져야 한다.
일본특허 JP 2007-331871 A
본 발명은 리프트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리프트 설비를 만드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 배치되는 리프트 케이지들의 조정이 최적화된 방식으로 가능해지고, 특히, 구동 유닛에 대한 요구가 감소되는 리프트 설비를 만드는 것이다.
이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설비에 의해 충족된다.
청구항 제1항에 나타낸 리프트 설비의 유리한 개선은 종속항들에 나타낸 수단에 의해 가능하다.
리프트 설비의 설계에서,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는 유리한 방식으로 리프트 샤프트에 배치될 수 있으며,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의 작동을 위해 역할을 하는 구동 엔진 유닛이 구비된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는 그에 의해 제공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는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와 연결되는 견인 수단에 의해 현수될 수 있다. 견인 수단은 그런 다음에 적당한 방식으로 구동 엔진 유닛의 구동 풀리를 넘어서 안내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견인 수단은 또한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를 작동시키기 위해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로 구동 엔진 유닛의 힘 또는 모멘트를 전달하는 기능과는 별도로,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의 작동에 의해, 이와 관련해서, 특히 리프트 샤프트에서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의 상승이나 하강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런 경우에,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는 리프트 샤프트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들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 대한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의 조정을 위해 역할을 하는 조정 장치는 또한 제1 견인 수단 및 제2 견인 수단과는 별도로, 추가적인 견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몇몇의 견인 수단이 또한 단일의 제1 견인 수단의 대신에 서로 평행하게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의 견인 수단이 또한 단일의 제2 견인 수단의 대신에 서로에 평행하게 안내될 수 있다. 견인 수단은 케이블, 벨트 등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견인 수단은 또한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로 구동 유닛의 구동력 또는 구동 모멘트를 전달하는 기능과는 별도로,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 있는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들이 또한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으로, 제1 견인 수단과 제2 견인 수단은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의 주위로 반대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구동 롤러와 그에 따라 또한 구동 유닛의 전기 모터가 적어도 대체로 모멘트만에 의해 부하를 받으며, 발생된 횡방향 힘이 최소화된다. 구동 유닛의 설계는 그에 의해 단순화된다. 이와 관련해서, 구동 유닛의 작동 중에, 제1 리프트 케이지와 제2 리프트 케이지 사이의 간격은 반대 방향으로 리프트 케이지들의 이동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용어 “롤러” 및 “구동 롤러”는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롤러 또는 구동 롤러는 하나 이상의 부품들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또는 구동 롤러는 또한 풀리의 형태로, 특히 구동 풀리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리프트 케이지가 제2 리프트 케이지의 아래에 있다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유닛은 제1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 배치되며, 특히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서 정지 위치에 고정된다. 게다가, 구동 유닛이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의 크로스빔에 배치된다면 유리하다. 이와 관련해서, 구동 유닛이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 있는 제2 리프트 케이지의 위에 배치된다면 추가적으로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구동 유닛이 배치되는 크로스빔은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로, 구동 유닛의 구동 롤러에 대한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의 편향이 유리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제1 리프트 케이지가 제1 세로방향 측면 및 제1 세로방향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제2 세로방향 측면을 가진다면 또한 유리하며, 제2 리프트 케이지가 제1 세로방향 측면 및 제1 세로방향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제2 세로방향 측면을 가진다면 또한 유리하며, 한편으로 제1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1 견인 수단의 제1 단부 사이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의 제1 세로방향 측면을 따라 제2 리프트 케이지를 지나서 제1 리프트 케이지로 안내된다면 또한 유리하며, 다른 한편으로 제2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2 견인 수단의 제2 단부 사이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의 제2 세로방향 측면을 따라 제2 리프트 케이지를 지나서 제1 리프트 케이지로 안내된다면 또한 유리하다. 콤팩트한 케이블 안내가 그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런 경우에, 한편으로 제1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1 견인 수단의 제1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리프트 케이지의 제1 세로방향 측면을 따라 안내되고/되거나 다른 한편으로 제2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2 견인 수단의 제2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리프트 케이지의 제2 세로방향 측면을 따라 안내된다면 또한 유리하다. 게다가, 한편으로 제2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2 견인 수단의 제1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리프트 케이지의 제1 세로방향 측면을 따라 안내된다면 유리하며/유리하거나 다른 한편으로 제1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1 견인 수단의 제12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리프트 케이지의 제2 세로방향 측면을 따라 안내된다면 유리하다.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은 그에 의해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을 따라 유리한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 내에서 리프트 케이지들에 구비되는 공간은 그에 의해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에 유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지에서 이용 가능한 단면은 또한 그에 의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견인 수단의 제1 단부가 제1 리프트 케이지의 하부측의 영역에서 제1 리프트 케이지와 연결된다면 유리하며/유리하거나 제1 견인 수단의 제2 단부가 제2 리프트 케이지의 하부측의 영역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와 연결된다면 유리하며/유리하거나 제2 견인 수단의 제1 단부가 제2 리프트 케이지의 하부측의 영역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와 연결된다면 유리하며/유리하거나 제2 견인 수단의 제2 단부가 제1 리프트 케이지의 하부측의 영역에서 제1 리프트 케이지와 연결된다면 유리하다.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에 대한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의 유리한 고정은 그에 의해 가능하다. 게다가, 이런 고정은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을 따라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의 비교적 밀착된 안내를 가능하게 하며, 그에 의해 콤팩트한 설계가 초래된다.
그 대신에, 제1 리프트 케이지의 상부측의 영역에서 제1 리프트 케이지와 제1 견인 수단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가능하거나 제2 리프트 케이지의 상부측의 영역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와 제1 견인 수단의 제2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가능하거나 제2 리프트 케이지의 상부측의 영역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와 제2 견인 수단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가능하거나 제1 리프트 케이지의 상부측의 영역에서 제1 리프트 케이지와 제2 견인 수단의 제2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전에 설명된 고정과 비교하여, 특히 짧은 견인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으로 조정 장치가 제1 롤러 장치를 포함한다면 유리하며, 한편으로 제1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1 견인 수단의 제1 단부 사이에서 제1 롤러 장치의 제1 롤러를 통해 안내된다면 유리하며, 다른 한편으로 제2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2 견인 수단의 제1 단부 사이에서 제1 롤러 장치의 제2 롤러를 통해 안내된다면 유리하며, 다른 한편으로 조정 장치가 제2 롤러 장치를 포함한다면 유리하며, 다른 한편으로 제1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1 견인 수단의 제2 단부 사이에서 제2 롤러 장치의 제1 롤러를 통해 안내된다면 유리하며 다른 한편으로 제2 견인 수단이 구동 롤러와 제2 견인 수단의 제2 단부 사이에서 제2 롤러 장치의 제2 롤러를 통해 안내된다면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롤러 장치와 제2 롤러 장치는 유리한 방식으로 구동 유닛이 또한 고정되는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의 크로스빔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구동 유닛은 유리하게도 두 개의 롤러 장치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의 유리한 안내는 그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은 구동 롤러의 주위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안내된다. 구동 롤러와 그에 따른 구동 유닛은 이와 관련하여 발생된 힘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제1 롤러 장치의 제1 롤러와 제1 롤러 장치의 제2 롤러가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를 통해 제1 견인 수단과 제2 견인 수단의 작동으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또한 유리하다. 게다가, 제2 롤러 장치의 제1 롤러와 제2 롤러 장치의 제2 롤러가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를 통해 제1 견인 수단과 제2 견인 수단의 작동으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유리하다. 게다가, 제1 롤러 장치의 제1 롤러와 제2 롤러 장치의 제1 롤러가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를 통해 제1 견인 수단과 제2 견인 수단의 작동으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유리하다. 게다가, 제1 롤러 장치의 제2 롤러와 제2 롤러 장치의 제2 롤러가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를 통해 제1 견인 수단과 제2 견인 수단의 작동으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유리하다. 이와 관련해서, 제1 롤러 장치의 제1 롤러와 제2 롤러는, 예를 들면, 공통 축에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제2 롤러 장치의 제1 롤러와 제2 롤러는 또한 공통 축에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은 그에 의해 두 개의 롤러 장치들을 통해 서로 독립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은 그런 다음에 서로에 반대 방향으로 제1 롤러 장치 또는 제2 롤러 장치를 넘어서 이동된다. 따라서 두 개의 견인 수단에 있는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의 유리한 현수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힘의 유리한 평형이 초래된다.
그런 연결에서, 제1 견인 수단이 위로부터 구동 롤러의 주위로 안내된다면 또한 유리하며, 제2 견인 수단이 아래로부터 구동 롤러의 주위로 안내된다면 또한 유리하다. 또는, 제2 견인 수단이 위로부터 구동 롤러의 주위로 안내된다면 또한 유리하며, 제1 견인 수단이 아래로부터 구동 롤러의 주위로 안내된다면 또한 유리하다. 그 결과로, 반대 방향으로의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의 구동이 유리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두 개의 견인 수단들은 이런 경우에 구동 롤러의 주위로 반대 방향으로 안내된다.
유리한 방식으로 추가적인 조정 장치가 구비되며, 추가적인 조정 장치는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구동 롤러, 추가적인 구동 롤러의 주위로 안내되는 제3 견인 수단 및 제3 견인 수단에 반대 방향으로 추가적인 구동 롤러의 주위로 안내되는 제4 견인 수단을 포함하며, 추가적인 조정 장치의 제3 견인 수단의 제1 단부는 제1 리프트 케이지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추가적인 조정 장치의 제3 견인 수단의 제2 단부는 제2 리프트 케이지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추가적인 조정 장치의 제4 견인 수단의 제1 단부는 제2 리프트 케이지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추가적인 조정 장치의 제4 견인 수단의 제2 단부는 제1 리프트 케이지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추가적인 조정 장치의 추가적인 구동 롤러는 조정 장치의 구동 롤러에 상응하게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조정 장치의 추가적인 구동 롤러는 조정 장치의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그에 의해 두 개의 조정 장치들의 작동을 위해 역할을 한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에서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의 유리한 현수가 추가적인 조정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을 통해 다음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응하는, 세부 사항의 형식으로, 개략적인 사시도로 리프트 설비를 도시한다.
도 1은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의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이동 공간(3)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를 가지는 리프트 설비(1)를 도시한다. 이동 공간(3)은, 예를 들면, 빌딩의 리프트 샤프트에 구비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는 케이블 롤러들(4, 5)을 통해 견인 수단(6)에 현수된다. 또는,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는 또한 단일의 중앙에 배치된 케이블 롤러를 통해 견인 수단(6)에 현수될 수 있다. 게다가, 견인 수단(6)은 구동 엔진 유닛(8)의 구동 풀리(7)를 넘어서 안내된다. 구동 엔진 유닛(8)은 이런 연결에서 리프트 샤프트에 배치된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는 구동 풀리(7)의 순간적인 회전 방향에 상응하여 이동 공간(3)을 통해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제2 리프트 케이지(11)는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관련해서, 제1 리프트 케이지(10)는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아래에 배치된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는 하부 크로스빔(12)과 상부 크로스빔(13)을 포함한다. 상부 크로스빔(13)는 이런 경우에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고정된 위치에서 배치된다. 구동 롤러(15)를 구동하기 위해 역할을 하는 구동 유닛(14)은 상부 크로스빔(13)에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 유닛(14)은 구동 롤러(15)와 함께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위의 상부 크로스빔(13)에 배치된다.
게다가, 제1 롤러(17)와 제2 롤러(18)를 가지는 제1 롤러 장치(16)가 상부 크로스빔(13)에 배치된다. 게다가, 제1 롤러(20)와 제2 롤러(21)를 가지는 제2 롤러 장치(19)가 상부 크로스빔(13)에 배치된다. 구동 유닛(14)의 구동 롤러(15)는 제1 롤러 장치(16)와 제2 롤러 장치(19) 사이에 배치된다.
게다가, 제1 견인 수단(22)과 제2 견인 수단(23)이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해서, 제1 견인 수단(22)의 제1 단부(24)가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하부측(26)의 영역에 있는 고정 포인트(25)에서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연결된다. 나아가, 제1 견인 수단(22)의 제2 단부(27)가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하부측(29)의 영역에 있는 고정 포인트(28)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11)와 연결된다. 제1 견인 수단(22)은 이와 관련해서 한편으로 제1 롤러 장치(16)의 제1 롤러(17)를 통해 안내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견인 수단(22)은 제2 롤러 장치(19)의 제1 롤러(20)를 통해 안내된다. 제1 롤러 장치(16)의 제1 롤러(17)와 제2 롤러 장치(19)의 제1 롤러(20) 사이에서 제1 견인 수단(20)이 구동 롤러(15)를 넘어서 위로부터 안내된다. 더구나, 제1 견인 수단(22)은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제1 세로방향 측면(30)을 따르고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제1 세로방향 측면(31)을 따라 제1 리프트 케이지(10)뿐만 아니라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지나서 안내된다. 제1 리프트 케이지(10)는 또한 제1 세로방향 측면(30)으로부터 떨어진 제2 세로방향 측면(32)을 가진다. 게다가, 제2 리프트 케이지(11)는 제1 세로방향 측면(31)으로부터 떨어진 제2 세로방향 측면(33)을 가진다. 제1 견인 수단(22)은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제2 세로방향 측면(33)을 따라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지나서 고정 포인트(28)로 안내된다.
제2 견인 수단(23)의 제1 단부(34)는 하부측(29)의 영역에 있는 고정 포인트(35)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11)와 연결된다. 게다가, 제2 견인 수단(23)의 제2 단부(36)는 하부측(26)의 영역에 있는 고정 포인트(37)에서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연결된다. 제2 견인 수단(23)은 한편으로 제1 롤러 장치(16)의 제2 롤러(18)를 통해 안내되며, 다른 한편으로 제2 롤러 장치(19)의 제2 롤러(21)를 통해 안내된다. 제1 롤러 장치(16)의 제2 롤러(18)와 제2 롤러 장치(19)의 제2 롤러(21) 사이에서 제2 견인 수단(23)이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아래로부터 안내된다. 더구나, 제2 견인 수단(23)은 한편으로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제1 세로방향 측면(31)을 따라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지나서 안내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견인 수단(23)은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제2 세로방향 측면(33)을 따라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지나고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제2 세로방향 측면(32)을 따라 제1 리프트 케이지(10)를 지나서 고정 포인트(37)로 안내된다.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제2 리프트 케이지(11)는 견인 수단들(22, 23)을 통해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 내에 유리한 방식으로 현수된다. 이와 관련해서, 제1 견인 수단(22)과 제2 견인 수단(23)은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적어도 한번 반대 방향으로 안내된다. 구동 유닛(14)에 의한 구동 롤러(15)의 작동으로 제1 견인 수단(22)과 제2 견인 수단(23)은 서로를 지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런 경우에, 제1 롤러 장치(16)의 제1 롤러(17)와 제2 롤러(18)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더구나, 제2 롤러 장치(19)의 제1 롤러(20)와 제2 롤러(21)는 이런 경우에 또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대한 그리고 서로에 대한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10, 11)의 조정을 위해 역할을 하는 조정 장치(40)가 구성된다. 조정 장치(40)는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구동 롤러(15), 제1 롤러(17)와 제2 롤러(18)를 가지는 제1 롤러 장치(16), 제1 롤러(20)와 제2 롤러(21)를 가지는 제2 롤러 장치(19)뿐만 아니라 제1 견인 수단(22) 및 제2 견인 수단(23)을 포함한다.
제1 리프트 케이지(10)는 출구 수준(45)을 가진다. 나아가, 제2 리프트 케이지(11)는 출구 수준(46)을 가진다. 출구 수준들(45, 46)은 서로로부터의 간격(47)을 가진다. 리프트 케이지들(10, 11) 사이의 간격(47)은 구동 유닛(14)과 조정 장치(40)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구동 롤러(15)의 회전 방향을 따라 그 경우에 간격(47)은 특정한 한계 내에서 커지거나 줄어든다. 예를 들면, 층 간격은 빌딩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로비에 대한 층 간격은 다른 층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프트 케이지들(10, 11) 사이의 간격(47)은 최소 간격(47)으로부터 시작하여, 3 미터까지 증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하부측(29)은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의 중간 크로스빔(48)의 영역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대해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더 하강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도시된 간격(47)은 미리 결정된 최소 간격(47)을 가리킨다. 이와 관련해서, 최소 간격(47)이 견인 수단들(22, 23)의 길이를 통해 특정한 한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대해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상승시키기 위해 구동 롤러(15)가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상승시키기 위해 반시계 방향의 구동 롤러(15)의 구동이 요구된다. 한편으로 제1 롤러 장치(16)와 고정 포인트(35)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견인 수단(23)의 부분이 그에 의해 단축된다. 이런 경우에, 다른 한편으로 제2 롤러 장치(19)와 고정 포인트(37)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견인 수단(23)의 부분의 상응하는 연장이 일어난다. 견인 수단들(22, 23)이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반대 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제1 견인 수단(22)에 대한 효과는 직접적으로 반대이다. 제1 견인 수단(22)은, 특히, 제2 견인 수단(23)에 반대로 이동된다. 따라서, 한편으로 제1 롤러 장치(16)와 제2 고정 포인트(25)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견인 수단(22)의 부분이 연장된다. 따라서, 다른 한편으로 제2 롤러 장치(19)와 고정 포인트(28)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견인 수단(22)의 부분의 단축이 일어난다.
그 결과로, 제1 리프트 케이지(10)는 도 1에 도시된 시작 위치로부터 하강되며, 반면에 제2 리프트 케이지(11)는 도 1에 도시된 시작 위치로부터 상승된다.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제2 리프트 케이지(11) 사이의 간격(47)은 그에 의해 증가된다. 더구나,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조정 이동은 적어도 대략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조정 이동과 동일한 크기이다. 더구나,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10, 11)은 반대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조정된다. 간격(47)의 증가의 경우에, 제1 리프트 케이지(10)는, 특히, 하부로 조정되며 제2 리프트 케이지(11)는 상부로 조정된다.
이와 반대로, 반대 방향으로, 즉 시계 방향으로의 구동 롤러(15)의 구동의 경우에,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하강이 일어나며, 제1 리프트 케이지(10)는 상승된다. 간격(47)은 그에 의해 더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유닛(14)에 의한 구동 롤러(15)의 작동에 의한 간격(47)의 변화는 특정한 한계 내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에 의해 목적 층들의 개별 층 간격에 맞춰지는 것(47)이 가능해진다.
제1 견인 수단(22)과 제2 견인 수단(23)은 장력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구동 롤러(15)에서 작동된다. 이와 같은 장력은, 특히, 리프트 케이지들(10, 11)의 중량의 힘으로부터 초래된다. 이와 관련해서,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10, 11)의 중량의 힘들 사이의 유리한 힘의 평형이 일어난다.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10)가 그런 다음에 다른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11)의 평형추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 롤러(15)는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10, 11) 사이의 균형이 잡히지 않은 중량의 힘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해 충분한 토크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견인 수단들(22, 23)에만 가해야 한다.
견인 수단들(22, 23)은 또한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완전히 각각 안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견인 수단(22)은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적어도 360°를 지나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견인 수단(23)은 또한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적어도 360°를 지나서 안내될 수 있다. 각각의 견인 수단들(22, 23)과 구동 롤러(15) 사이의 양호한 마찰 커플이 그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수단들(22, 23)과 구동 롤러(15) 사이의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
구동 유닛(14)은 웜 기어를 통해 구동 롤러(15)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14)은 그런 다음에 웜 기어를 통해 구동 롤러(15)와 연결된다. 견인 수단들(22, 23)의 작은 이동이 그에 의해 확실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격(47)을 변경하기 위해 리프트 케이지들(10, 11)의 작은 작동 경로들이 성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롤러(15)를 가지는 구동 유닛(14)은 그에 의해 구동 유닛(14)의 통상적인 회전 속도의 경우에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대한 리프트 케이지들(10, 11)의 작은 조정 이동이 또한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조정 장치(40)에 의한 1:1 조정이 또한 가능해질 수 있으며, 작은 마찰 손실이 일어나고 비교적 짧은 견인 수단들(22, 23)로 충분하다.
따라서 구동 유닛(14)은 비교적 작고 최적화된 성능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구동 유닛(14)의 성능에 관련하여, 특히 2 미터 이상의 두 개의 리프트 케이지들(10, 11) 사이의 비교적 큰 조정 경로들이 실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구동 유닛(14)의 작은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1:1 현수가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유닛(14)의 전력은 2 킬로와트 내지 5 킬로와트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그 결과로, 예를 들면, 2,250 킬로그램의 질량을 각각 가지는 리프트 케이지들(10, 11)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 설비(1)에 대한 더 광범위한 사용이 초래된다.
또는, 2:1, 3:1 또는 그 이상의 더 높은 현수 비율이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추가적인 조정 장치(41)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조정 장치(41)는 대체로 조정 장치(40)에 상응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리프트 케이지들(10, 11) 사이의 간격(47)을 설정하기 위해 조정 장치(40)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대체로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3 견인 수단(42)과 제4 견인 수단(43)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되지 않고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의해 가려진 추가적인 구동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견인 수단들(42, 43)은 추가적인 구동 롤러와 작동되게 접촉한다. 이와 관련해서, 구동 유닛(14)의 연결 샤프트(44)가 추가적인 조정 장치(41)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유닛(14)은 그에 의해 조정 장치의 구성요소들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조정 장치(41)의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장치(40)의 제1 견인 수단(22)과 제2 견인 수단(23)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조정 장치(41)의 제3 견인 수단(42)과 제4 견인 수단(43)의 작동은 구동 유닛(14)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4)

  1.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의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이동 공간(3)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 상기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리프트 케이지(10), 상기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프트 케이지(11), 상기 리트프 케이지 캐리어(2)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14)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40)를 가지는 리프트 설비(1)로서,
    상기 조정 장치(40)는, 상기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반대 방향으로 안내되는, 제1 견인 수단(22)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견인 수단(23)을 포함하며, 그 결과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제2 리프트 케이지(11) 사이의 간격(47)이 반대 방향으로 상기 리프트 케이지들(10, 11)의 이동에 의해 조절 가능한, 리프트 설비(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는 상기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 롤러(15)에 의한 상기 제1 견인 수단(22)과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작동으로 상호 반대의 조정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며,
    상기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대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조정 이동과 상기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대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조정 이동은 적어도 대략 동일한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제1 단부(24)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제2 단부(27)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제1 단부(34)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제2 단부(36)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는 제1 세로방향 측면(30) 및 상기 제1 세로방향 측면(30)으로부터 떨어진 제2 세로방향 측면(32)을 가지며,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는 제1 세로방향 측면(31) 및 상기 제1 세로방향 측면(31)으로부터 떨어진 제2 세로방향 측면(33)을 가지며,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은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상기 제1 단부(24) 사이에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상기 제1 세로방향 측면(31)을 따라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지나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로 안내되며,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은 다른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상기 제2 단부(36) 사이에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상기 제2 세로방향 측면(33)을 따라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를 지나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은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상기 제1 단부(24)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상기 제1 세로방향 측면(30)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은 다른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상기 제2 단부(36)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상기 제2 세로방향 측면(32)을 따라 안내되고/되거나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은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상기 제1 단부(34)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상기 제1 세로방향 측면(31)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은 다른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상기 제2 단부(27)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상기 제2 세로방향 측면(33)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상기 제1 단부(24)는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하부측(26)의 영역에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연결되고/되거나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상기 제2 단부(27)는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하부측(29)의 영역에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와 연결되고/되거나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상기 제1 단부(34)는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의 하부측(29)의 영역에서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와 연결되고/되거나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상기 제2 단부(36)는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의 하부측(26)의 영역에서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7.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40)는 한편으로 제1 롤러 장치(1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은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상기 제1 단부(24) 사이에서 상기 제1 롤러 장치(16)의 제1 롤러(17)를 통해 안내되고,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은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상기 제1 단부(34) 사이에서 상기 제1 롤러 장치(16)의 제2 롤러(18)를 통해 안내되며,
    상기 조정 장치(40)는 다른 한편으로 제2 롤러 장치(19)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은 다른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의 상기 제2 단부(27) 사이에서 상기 제2 롤러 장치(19)의 제1 롤러(20)를 통해 안내되며,
    상기 제2 견인 수단(22)은 다른 한편으로 상기 구동 롤러(15)와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상기 제2 단부(36) 사이에서 상기 제2 롤러 장치(19)의 제2 롤러(21)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장치(16)의 상기 제1 롤러(17)와 상기 제1 롤러 장치(16)의 상기 제2 롤러(18)는 상기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 롤러(15)에 의한 상기 제1 견인 수단(22)과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작동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롤러 장치(19)의 상기 제1 롤러(20)와 상기 제2 롤러 장치(19)의 상기 제2 롤러(21)는 상기 구동 유닛(14)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 롤러(15)에 의한 상기 제1 견인 수단(22)과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의 작동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은 상기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위로부터 안내되고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은 상기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아래로부터 안내되거나
    상기 제2 견인 수단(23)은 상기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위로부터 안내되고 상기 제1 견인 수단(22)은 상기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아래로부터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조정 장치(41)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적인 조정 장치(41)는 상기 리프트 케이지 캐리어(2)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구동 롤러, 상기 추가적인 구동 롤러의 주위로 안내되는 제3 견인 수단(42) 및 상기 제3 견인 수단(42)으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추가적인 구동 롤러의 주위로 안내되는 제4 견인 수단(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조정 장치(41)의 상기 제3 견인 수단(42)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추가적인 조정 장치(41)의 상기 제3 견인 수단(42)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추가적인 조정 장치(41)의 상기 제4 견인 수단(43)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리프트 케이지(11)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추가적인 조정 장치(41)의 상기 제4 견인 수단(43)의 제2 단부는 상기 제1 리프트 케이지(10)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추가적인 조정 장치(41)의 상기 추가적인 구동 롤러는 상기 조정 장치(40)의 상기 구동 롤러(15)에 상응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15)는 주위로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수단(22, 23)이 안내되는 회전 축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수단(22, 23)은 상기 구동 롤러(15)의 주위로 적어도 360°를 지나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견인 수단(42, 43)은 상기 추가적인 구동 롤러의 주위로 적어도 360°를 지나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설비.
KR1020137013166A 2010-10-25 2011-10-20 리프트 설비 KR20140053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88732.1 2010-10-25
EP10188732A EP2444352A1 (de) 2010-10-25 2010-10-25 Aufzuganlage
PCT/EP2011/068310 WO2012055747A1 (de) 2010-10-25 2011-10-20 Aufzug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810A true KR20140053810A (ko) 2014-05-08

Family

ID=4370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166A KR20140053810A (ko) 2010-10-25 2011-10-20 리프트 설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800721B2 (ko)
EP (2) EP2444352A1 (ko)
KR (1) KR20140053810A (ko)
CN (1) CN103298727B (ko)
AU (1) AU2011322773B2 (ko)
BR (1) BR112013009854A2 (ko)
CA (1) CA2815762C (ko)
HK (1) HK1188590A1 (ko)
IL (1) IL225920A0 (ko)
MX (1) MX2013004550A (ko)
NZ (1) NZ610157A (ko)
SG (1) SG189522A1 (ko)
WO (1) WO2012055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1144B (zh) * 2009-12-15 2016-02-10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双层的升降机系统
EP2468673A1 (de) * 2010-12-21 2012-06-27 Inventio AG Aufzuganlage mit Doppeldecker
EP2928805B1 (de) * 2012-12-10 2017-01-11 Inventio AG Doppeldecker-aufzug mit verstellbarer interkabinendistanz
US10059566B2 (en) * 2013-05-07 2018-08-28 Otis Elevator Company Connecting cars in a multicar elevator system
EP3077320B1 (de) * 2013-12-05 2018-01-31 Inventio AG Aufzugsanlage
WO2015086251A1 (de) * 2013-12-09 2015-06-18 Inventio Ag Aufzuganlage
WO2015132051A1 (de) * 2014-03-05 2015-09-11 Inventio Ag Antrieb mit mehrfach-umschlingung für eine aufzusanlage
CN104310169B (zh) * 2014-08-20 2016-05-11 山东建筑大学 一种面向网状建筑的电梯
WO2016087532A1 (de) * 2014-12-02 2016-06-09 Inventio Ag Aufzuganlage
WO2017167758A1 (de) 2016-03-31 2017-10-05 Inventio Ag Aufzuganlage
CN105668386A (zh) * 2016-04-25 2016-06-15 上海爱登堡电梯集团股份有限公司 层间距可调式双层电梯的轿厢结构
US10899580B2 (en) * 2018-01-15 2021-01-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 suspension assembly for a double deck elevator
JP6918745B2 (ja) * 2018-05-18 2021-08-1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改修作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5227A (en) * 1929-05-27 1931-05-12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car elevator
JP4270642B2 (ja) * 1999-04-23 2009-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4303842B2 (ja) * 1999-08-10 2009-07-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474788B2 (ja) * 2001-04-04 2010-06-0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かご間隔調整装置
FI116617B (fi) * 2003-08-12 2006-01-13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SG115739A1 (en) * 2004-03-17 2005-10-28 Inventio Ag Equipment for fine positioning of the cages of a multi-stage cage for a lift
EP2014597A1 (en) * 2006-05-01 2009-01-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JP2007331871A (ja) 2006-06-14 2007-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EP2072445A1 (de) * 2007-12-21 2009-06-24 Inventio Ag Betriebsverfahren für einen Aufzug mit zwei Aufzugskabinen und einem Gegengewic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89522A1 (en) 2013-05-31
MX2013004550A (es) 2014-01-24
US8800721B2 (en) 2014-08-12
AU2011322773B2 (en) 2017-02-23
AU2011322773A1 (en) 2013-05-23
US20120097484A1 (en) 2012-04-26
CN103298727B (zh) 2016-06-01
HK1188590A1 (zh) 2014-05-09
EP2444352A1 (de) 2012-04-25
EP2632839A1 (de) 2013-09-04
EP2632839B1 (de) 2016-01-20
CA2815762A1 (en) 2012-05-03
IL225920A0 (en) 2013-07-31
CA2815762C (en) 2018-05-01
WO2012055747A1 (de) 2012-05-03
CN103298727A (zh) 2013-09-11
BR112013009854A2 (pt) 2016-07-26
NZ610157A (en) 201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3810A (ko) 리프트 설비
US6193018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CN105438924B (zh) 升降系统
US11034550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system having an adaptable usable lifting height
JP5889412B2 (ja) エレベータの懸架構造およびガイドシュー構造
WO1999043592A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KR100444936B1 (ko) 엘리베이터장치
FI119240B (fi) Hissijärjes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CN101155745A (zh) 电梯装置
JP201006487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18022B2 (ja) エレベーター
EP1535875B1 (en) Elevator device
US9988243B2 (en) Elevator system
CN106061884A (zh) 用于钢绳提升机的低结构台车
CN110040601B (zh) 用于双层电梯的h形框架
JP62897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191856B (zh) 电梯装置
JP201105173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808399A2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JP65802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36409B2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2000118911A (ja) エレベータ
KR20070039054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50119103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