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103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103A
KR20050119103A KR1020057010886A KR20057010886A KR20050119103A KR 20050119103 A KR20050119103 A KR 20050119103A KR 1020057010886 A KR1020057010886 A KR 1020057010886A KR 20057010886 A KR20057010886 A KR 20057010886A KR 20050119103 A KR20050119103 A KR 2005011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rope body
hoistway
sheav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500B1 (ko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500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은 승강로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하게 된다. 승강로 내에는 한 쌍의 로프체가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는 한 쌍의 구동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각 구동장치는 구동 쉬브를 갖고 있다. 구동 쉬브에는 로프체가 감겨져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는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가 탑재되어 있다. 각 디플렉션 쉬브에는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로프체 하단부에는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가 매달려 있다. 추는 엘리베이터 칸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 장치나 제어반을 승강로 내에 배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로서의 공간 절약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과 평형추가 매달려 있고, 또한 평형추는 엘리베이터 칸과 엇갈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평형추의 평면적인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승강로의 평면 치수를 더욱 작게 하는데 방해가 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로프체,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지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로프체가 감겨진 디플렉션 쉬브(deflection sheave), 및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로프체에 접속되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며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한 쌍의 로프체,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따라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각각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각각 로프체에 감겨진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로프체에 접속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며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로프체,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구동 쉬브의 일측에서 로프체가 감겨진 제1의 디플렉션 쉬브,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구동 쉬브의 타측에서 로프체가 감겨진 제2 디플렉션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로프체에 접속되고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며, 구동장치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디플렉션 쉬브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한 쌍의 로프체, 로프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각각 가지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구동 쉬브의 일측에서 로프체가 감겨진 한 쌍의 제1의 디플렉션 쉬브,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구동 쉬브의 타측에서 로프체가 감겨진 한 쌍의 제2 디플렉션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로프체에 접속되고,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며, 구동장치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디플렉션 쉬브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자주식(self-propelled)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장치(슬라이딩 가이드 슈 또는 가이드 롤러)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이들을 연결하는 직선이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한 쌍의 지지보(supporting beam)(4)가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보(4)에는 로프 고정 부재(4a)가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로프체(5)는, 로프 고정 부재(4a)로부터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각 로프체(5)는, 로프 상단 접속부(6)를 통하여 로프 고정 부재(4a)에 접속되어 있다. 각 로프체(5)는, 1개 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2개)의 로프를 포함하고 있다. 로프로서는, 고마찰 수지재에 의해 외주(外周)가 피복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를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구동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각 구동장치(7)는, 구동 쉬브(8), 및 구동 쉬브(8)를 회전시키는 모터부(9)를 갖고 있다. 구동 쉬브(8)에는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구동장치(7)는 그 축방향의 길이 치수가 구동 쉬브(8)의 지름 치수보다 큰 원통형 권상기(hoisting machine)이다. 또, 구동장치(7)는, 구동 쉬브(8)의 회전축이 수평(또는 대략 수평)이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깊이 방향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10)가 탑재되어 있다. 각 디플렉션 쉬브(10)에는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각 디플렉션 쉬브(10)는, 그 회전축이 수평(또는 대략 수평)이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깊이 방향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디플렉션 쉬브(10)는 구동 쉬브(8)로부터 경사 위쪽으로 뻗는 로프체(5)를 아래쪽으로 전향하는 기능과, 로프체(5)의 구동 쉬브(8)에의 권취(wrapping) 각도(권취량)를 확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그 무게 중심 위치에서 로프체(5)에 의해 매달려 있다. 또,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2조(組)의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로프체(5)의 하단부에는, 로프체(5)에 장력을 부여하는 직방체 형상(블록 형상)의 추(11)가 매달려 있다. 추(11)는, 엘리베이터 칸(3)의 아래쪽에서 로프 하단 접속부(12)를 통하여 로프체(5)에 접속되어 있다. 즉, 2조의 로프체(5)는 공통의 추(1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추(11)는 엘리베이터 칸(3)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추(11)의 중량은 로프체(5)와 구동 쉬브(8)의 사이에 충분한 트랙션(traction)력이 작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추(11)의 진동 방지용의 한 쌍의 추 레일(weight rail)(13)이 설치되어 있다. 추 레일(13)은 추(11)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한다. 추(11)에는 추 레일(13)에 맞물리는 계합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수용하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와, 추(11)를 수용하는 한 쌍의 추 완충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추(11)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를 통과하는 완충기 구멍(11a)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장치(7)의 모터부(9)에 의해 구동 쉬브(8)가 회전되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로프체(5)가 운반되며, 엘리베이터 칸(3)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된다. 추(11)는 트랙션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어도 정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추(11)가 엘리베이터 칸(3)과 엇갈리지 않기 때문에, 추(11)를 엘리베이터 칸(3)의 바로 밑, 즉 엘리베이터 칸(3)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7)를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탑재했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구동용의 로프체(5)와는 별도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를 사용하였으므로, 1대의 구동장치(7)의 부하를 저감하며, 구동장치(7)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매달 수 있다.
그리고 또, 엘리베이터 칸(3)은 그 무게 중심 위치에서 로프체(5)에 의해 매달려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추(11)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를 통과하는 완충기 구멍(11a)을 설치하였으므로, 서로의 간섭을 피하면서 추(11)와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를 승강로(1) 내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1)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추(11)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추 레일(13)을 사용하였으므로, 추(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 추 레일(13)은 추(11)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므로, 로프체(5)에 신장(伸張)이 생긴 경우에도, 로프체(5)에 안정적으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추(11)의 아래쪽에 추 완충기(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만일 추(11)가 낙하해도 그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3)의 중량을 W1, 엘리베이터 칸(3)의 용량을 C, 추(11)의 중량을 W2로 하면, 구동 쉬브(8)보다도 추(11)측의 로프체(5)에 작용하는 장력은 W2/2, 구동 쉬브(8)보다도 엘리베이터 칸(3)측의 로프체(5)에 작용하는 장력은 (W1+C +W)/2로 된다. 이 때문에, 구동 쉬브(8)에 있어서의 트랙션 비율은, {(W1+C +W2)/W2}로 된다.
따라서, 트랙션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11)의 중량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추(11)의 중량이 커지면, 구동장치(7)에 작용하는 축 하중이 증가하고 구동장치(7)가 대형화된다.
이에 대하여, 수지 피복 로프에 의해 로프체(5)를 구성하여 트랙션력을 높임으로써, 추(11)의 중량을 작게 할 수 있고 구동장치(7)를 소형화 할 수도 있다.
또, 구동장치(7)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는, 구동 쉬브(8)의 지름을 D로 하면, D/2×{(W1+C+W2)-W2/2}로 되며, 통상의 트랙션식 엘리베이터보다 더 커진다. 그러나, 트랙션력이 크고 게다가 유연성이 높은 수지 피복 로프를 사용함으로써, 구동 쉬브(8)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구동장치(7)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4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한 쌍의 구동장치(7)는, 구동 쉬브(8)의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10)는 그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에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구동 쉬브(8) 및 디플렉션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추(11)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맞물리는 계합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추 레일(13)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칸(3)의 폭 치수가 작고, 깊이 치수가 큰 경우, 구동 쉬브(8) 및 디플렉션 쉬브(10)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로프체(5)의 추(11)에의 접속부가 엘리베이터 칸(3)과 겹쳐지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3)의 측벽과 승강로(1)의 벽면과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만일 엘리베이터 칸(3)이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4)에 충돌하더라도, 하단 접속부(12)가 엘리베이터 칸(3)에 간섭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승강로(1)의 피트(pit) 깊이를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6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의 엘리베이터 칸(3)에의 탑재 위치가 실시 형태 2와는 반대로 되어 있다. 또, 실시 형태 2의 추(11)와 비교하여, 바닥 면적이 작고, 높이 치수가 큰 추(11)가 사용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4에서는,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가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를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한 경우라 해도, 실시 형태 2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4에서는, 구동장치(7)로서 원통형 권상기를 사용하였으나, 축방향의 길이 치수가 구동 쉬브의 직경 치수보다 작은 박형 권상기를 사용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4에서는,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를 사용하였으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면 3조 이상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구동장치(7) 및 디플렉션 쉬브(10)의 배치 위치를 반대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 5.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구동장치(21)가 탑재되어 있다. 각 구동장치(21)는, 구동 쉬브(22), 및 구동 쉬브(22)를 회전시키는 모터부(23)를 갖고 있다. 구동 쉬브(22)에는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구동장치(21)는, 그 축방향의 길이 치수가 구동쉬브(22)의 지름 치수보다 작은 박형 권상기이다. 또, 구동장치(21)는, 구동 쉬브(22)의 회전축이 수직(또는 대략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와, 한 쌍의 제2의 디플렉션 쉬브(25)가 탑재되어 있다. 각각의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에는, 구동 쉬브(22)의 일측(엘리베이터 칸(3)측)에서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각각의 제2의 디플렉션 쉬브(25)에는, 구동 쉬브(22)의 타측(추(11)측)에서 로프체(5)가 감겨져 있다.
각 디플렉션 쉬브(24, 25)는, 그 회전축이 수평(또는 대략 수평)이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깊이 방향으로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24, 25)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가 제2 디플렉션 쉬브(2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21),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 및 제2 디플렉션 쉬브(25)는, 엘리베이터 칸(3)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추(11)를 엘리베이터 칸(3)의 바로 밑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21)를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탑재하였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승강로(1)의 평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1 디플렉션 쉬브(24)가 제2 디플렉션 쉬브(2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24, 25)로부터 구동 쉬브(22)에 진입하는 로프체(5)의 진입각(플릿 각: fleet angle)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6에서는, 구동장치(21),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25)가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같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21),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 및 제2 디플렉션 쉬브(25)를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한 경우라도, 실시 형태 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5, 6에서는, 2조의 로프체(5), 구동장치(21), 제1의 디플렉션 쉬브(24) 및 제2 디플렉션 쉬브(25)를 사용하였으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면 3조 이상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승강로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로프체,
    상기 로프체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며,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디플렉션 쉬브,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상기 로프체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승강로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한 쌍의 로프체,
    상기 로프체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각각 가지며,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구동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각각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한 쌍의 디플렉션 쉬브,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상기 로프체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수직으로 투영한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로프체,
    상기 로프체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며,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구동 쉬브의 일측에서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제1의 디플렉션 쉬브,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구동 쉬브의 타측에서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제2의 디플렉션 쉬브,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상기 로프체에 접속되고, 상기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는 한 쌍의 로프체,
    상기 로프체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리며,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각각 가지며,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구동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구동 쉬브의 일측에서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한 쌍의 제1의 디플렉션 쉬브,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구동 쉬브의 타측에서 상기 로프체가 감겨진 한 쌍의 제2의 디플렉션 쉬브,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에서 상기 로프체에 접속되고 상기 로프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추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그 무게 중심 위치에서 상기 로프체에 의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로프체,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디플렉션 쉬브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하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수용하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추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를 통과하는 완충기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디플렉션 쉬브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그 축방향의 길이 치수가 상기 구동 쉬브의 지름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인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체는, 고마찰 수지재에 의해 외주가 피복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를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57010886A 2005-06-14 2003-11-1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7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0886A KR100770500B1 (ko) 2005-06-14 2003-11-17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0886A KR100770500B1 (ko) 2005-06-14 2003-11-17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103A true KR20050119103A (ko) 2005-12-20
KR100770500B1 KR100770500B1 (ko) 2007-10-25

Family

ID=3729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886A KR100770500B1 (ko) 2005-06-14 2003-11-1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5011B2 (ja) 2008-10-31 2010-12-0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7957A (en) 1961-07-19 1964-04-07 Donald S Nelson Elevator
US5931265A (en) 1997-03-27 1999-08-03 Otis Elevator Company Rope climbing elevator
CN1342130A (zh) * 1998-02-26 2002-03-27 奥蒂斯电梯公司 采用扁平软性绳索的双滑轮绳索提升器
JP4190641B2 (ja) * 1999-02-10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182667Y1 (ko) * 1999-12-18 2000-05-15 연규석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500B1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255933A5 (ko)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4845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3008318A1 (fr) Dispositif d'ascenseur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23557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7744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0505645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849431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WO2002098782A1 (fr) Dispositif ascenseur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417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7705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402247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505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17185B1 (en) Elevator
KR10101128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504716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827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40289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01771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EP1500620A1 (en) Elevator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