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619A -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619A
KR20140052619A KR1020120118933A KR20120118933A KR20140052619A KR 20140052619 A KR20140052619 A KR 20140052619A KR 1020120118933 A KR1020120118933 A KR 1020120118933A KR 20120118933 A KR20120118933 A KR 20120118933A KR 20140052619 A KR20140052619 A KR 20140052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od composition
composition
vineg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기
임경묵
김수미
조민혜
Original Assignee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619A/ko
Publication of KR2014005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6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로 쇠비름 특유의 쓴맛, 짠맛, 풀냄새, 불쾌취 등의 잡다한 맛이 감소 또는 제거되어 음용이 용이하며, 항균, 항염증, 항암, 항노화, 항비만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comprising Portulaca oleracea extraction liquid and Moromi vinegar}
본 발명은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로 항균, 항염증, 항암, 항노화, 항비만 효과를 가지며 쇠비름추출액의 맛과 향미가 개선되어 섭취가 용이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Portulacaceae)의 한해살이 풀로서, 각지의 들판, 길가, 밭 등에서 자란다. 주요 성분으로는 노르아드레날린, 오메가 3 지방산, 도파민, 도파, 칼륨염, 유기산, 아미노산, 강심 배당체, 안트라퀴논 배당체 등이 있다. 쇠비름은 나물로 해서 먹기도 하고, 민간요법에서 치료제로 쓰여지기도 하며, 건강식으로 즙을 내어 먹기도 한다. 또한 쇠비름은 동의치료('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출판사, 1999년 6월 10일 출판, 227쪽 27-30줄)에서 청열해독, 배농 및 이뇨작용이 있다하여 이질, 장염, 세균성 적리에 달여 먹으며, 종창, 단독, 옴, 습진 등에 달여 먹거나 씻고, 십이지장충증, 벌레독, 뱀독, 여러 가지 곪는 질병과 직장암에 효과가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쇠비름은 하기의 특허 등에서 다양하고 유용한 생리활성 효과 가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① 쇠비름차 및 그 제조방법(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7-0108491호)
②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쇠비름)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1-0059430호)
③ 항암 및 항균효과를 가진 쇠비름 음료(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1999-0025609호)
④ 담배의 유해물질 중 니코틴 제거용 쇠비름 추출물(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1998-0004704호)
⑤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9-0045957호)
⑥ 쇠비름을 이용한 발모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8-0028359호)
⑦ 마치현(쇠비름) 추출물의 항비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6-0112321호)
⑧ 흑미, 검정콩, 검정참께, 익모초, 창포, 도엽 및 마치현(쇠비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출원특허 제10-2003-0062006호)
그러나, 쇠비름은 특유의 쓴맛, 짠맛, 풀냄새, 불쾌취 등의 잡다한 맛으로 인하여, 상기 언급된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에 비하여 기호도가 떨어져 식품조성물의 이용에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쇠비름의 맛과 향미를 개선하고 기호도를 증대시켜, 상기 쇠비름의 유용한 생리활성 작용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품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7-0108491호, 공개일: 2009년 2월 27일, 요약 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1-0059430호, 공개일: 2003년 5월 9일, 요약 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1999-0025609호, 공개일: 2001년 1월 15일, 요약 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1998-0004704호, 공개일: 1998년 4월 30일, 요약 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9-0045957호, 공개일: 2009년 7월 29일, 요약 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8-0028359호, 공개일: 2009년 10월 1일, 요약 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6-0112321호, 공개일: 2008년 2월 26일, 요약 한국출원특허 출원번호 제10-2003-0062006호, 공개일: 2005년 3월 10일, 요약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출판사, 1999년 6월 10일 출판, 227쪽 27-30줄
본 발명의 과제는 맛과 향이 개선되어 높은 빈도로 장기간 섭취가 용이하면서, 쇠비름 특유의 쓴맛, 짠맛, 풀냄새, 불쾌취 등의 잡다한 맛이 감소 또는 제거되어 음용이 용이하며, 항균(대장균, 적리균, 티푸스균 등에 대한 억균작용, 트리코모나스증과 세균성 이질에 대한 치료효과), 항염증, 항암, 항노화, 항비만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고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중량비가 1 : 0.1 ~ 2.0인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Portulacaceae)의 한해살이 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쇠비름추출액은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로써,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하고,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된 추출물이고,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쇠비름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에 가용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쇠비름추출액은 쇠비름 건초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45 내지 120℃의 추출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하고 여과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쇠비름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쇠비름 건초를 정제수로 95℃에서 2시간 추출하고 여과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로미초는 쌀 등의 곡물에 누룩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식초일 수 있다. 상기 누룩은 술을 만드는 효소를 갖는 곰팡이를 곡류에 번식시킨 것일 수 있다. 또한 누룩곰팡이는 빛깔에 따라 황국균, 흑국균, 홍국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로미초는 상기 황국균, 흑국균, 홍국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흑국균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쌀 발효주의 일종인 아와모리 청주 제조에 사용되는 흑국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로미초는 시판 중인 모로미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에서 상기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 : 0.1 ~ 2.0이며, 1 : 0.25 ~ 0.4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비를 갖는 조성물은 쇠비름추출액이 가진 특유의 쓴맛, 짠맛, 풀냄새, 불쾌취 등의 잡다한 맛과 모로미초가 가진 특유의 쿰쿰한 신맛과 떫은 맛이 개선되어, 섭취가 용이해지고 맛과 향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에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혼합 중량비가 1 : 0.1 ~ 2.0 의 비율을 벗어날 경우 미감개선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감미제, 산미제, 기능성 원료, 생약추출물 및 보존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더라도 미감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쇠비름추출액은 향미가 좋지 않아 쇠비름추출액만을 장기간 높은 빈도로 복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상기 쇠비름추출액을 모로미초와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중량비가 1 : 0.1 ~ 2.0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1 : 0.25 ~ 0.45가 되도록 혼합하는 경우, 본원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쇠비름추출액 특유의 맛과 향이 개선되어 복용이 용이해지므로 장기간 복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에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총 함량은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5중량%일 수 있다.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총 함량이 식품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중량% 미만일 경우 식품 조성물의 항균, 항염증, 항암, 항노화, 항비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45중량%을 초과할 경우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혼합에 의한 미감 개선 효과가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에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총 함량이 식품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2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맛 개선 효과가 특히 우수하고, 미감이 좋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모로미초에 포함된 유기산, 아스코르브산(비타민C)에 의해 피로의 원인이 되는 젖산을 인체에 무해한 물과 탄산가스로 분해하고 활성 산소를 제거할 뿐 아니라,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여 피로물질을 막아 피로회복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모로미초를 포함함으로써, 신진대사 촉진, 식욕저하, 혈중 콜레스테롤수치 감소, 혈중 지방감소 등의 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비만 예방, 개선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조성물은 일반 식품은 물론 '건강보조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특히,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 (대한민국 법률 제7428호인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의 제3조 제1호)에 충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즉, 건강한 사람들 또는 반 건강인의 보건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식초, 사과식초 및 현미식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의 맛과 향의 개선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
특히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식초, 사과식초 및 현미식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초의 중량비가 1 : 0.25 ~ 0.45 : 0.15 ~ 0.30일 경우 쇠비름추출액 특유의 맛과 향이 개선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본 발명의 감식초는 감을 숙성시켜 만든 식초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사과식초는 사과를 숙성시켜 만든 식초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현미식초 역시 현미를 발효시켜 만든 식초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는 식품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첨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는 감미제, 산미제, 감미제, 산미제, 착향제, 보존제, 기능성 원료 및 생약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미제, 산미제, 착향제, 보존제는 당업계에서 사용 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감미제로 정백당, 결정과당, 포도당, D-솔비톨, 만니톨, 이소말토올리고당,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착향제로 매실향, 포도향, 사과향, 딸기향, 혼합 과일향, 드링크향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산미제로 무수구연산, DL-사과산, 호박산 및 그의 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존제로 안식향산 및 그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기능성 원료로는 프로폴리스추출액 등이 있고, 생약추출물에는 예를 들어, 생강, 숙지황, 계피, 감초, 작약, 당귀, 오가피, 홍삼, 인삼, 울금, 헤마토코쿠스, 형개, 인진호 등의 생약의 추출물 또는 추출분말 등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신진대사를 촉진 시키는 생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첨가제의 총 함량은 식품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감식초, 프로폴리스추출액, 생강추출물분말, 울금농축액, 형개, 효소처리스테비아, 폴리소르베이트80, 수크랄로스 및 안식향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식품조성물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쇠비름추출액 20 중량%, 모로미초 7.0중량, 감식초 3.0 중량%, 프로폴리스추출액 0.036 중량%, 생강추출물분말 0.04 중량%, 울금농축액 0.0033 중량%, 형개 2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73 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0.01 중량%, 수크랄로스 0.00053 중량% 및 안식향산나트륨 0.01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맛과 향미가 좋아 상기 조성물 자체가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식품첨가제로서 다른 식품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음용 시 물에 희석하여 음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 첨가제를 더 첨가하여 음료로 음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항균, 항염증, 항암, 항노화, 항비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으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스트레스와 우울증 해소, 피로회복, 항산화, 혈압저하, 피부미용(뛰어난 해독 능력으로 독소를 배출효과)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으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은 쇠비름 특유의 쓴맛, 짠맛, 풀냄새, 불쾌취 등의 잡다한 맛이 감소 또는 제거되어 맛과 향이 우수하여 음용이 용이하며, 항균, 항염증, 항암, 항노화, 항비만 효과를 가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만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 포함 조성물의 제조
쇠비름추출액은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쇠비름 건초(국산, 함습도 7% 이하) 100g에 정제수 660mL을 용매로 95℃에서 2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쇠비름추출액 323mL을 얻어서 사용하였으며, 모로미초는 일본의 구매산주소사에서 제조한 '모로미초'(상품명: 모로미초무당)를 사용하였다.
상기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에 여분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는 각각 20중량% 및 7.0중량%이었다. 여기서 중량%는 최종 조성물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 각각의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2 ~ 실시예 1-21.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1 및 표 1-2에 기재한 혼합비에 따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2 내지 1-2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2 ~ 실시예 1-27.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 및 다른 식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2에 기재한 혼합비에 따라, 다른 식초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22 내지 1-27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감식초, 사과식초 및 현미식초는 각각 '경북과학대학 식품공장'에서 제조한 '대학촌 감식초', '제일제당'에서 제조한 '국내산 사과로 만든 백설 2배 사과식초' 및 '제일제당'에서 제조한 '이천쌀 현미로 만든 백설 현미식초'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1-1. 쇠비름추출액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제조
하기 표 1-3에 기재한 혼합비에 따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제조
하기 표 1-3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내지 1-6.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3에 기재한 혼합비에 따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3 내지 1-6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7. 감식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제조
하기 표 1-3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7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z
비교예 1-8. 사과식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제조
하기 표 1-3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8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9. 현미식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제조
하기 표 1-3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9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0 내지 1-12.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제외한 다른 식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3에 기재한 혼합비에 따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10 내지 1-1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1. 실시예(실시예 1-1 내지 1-14)의 각 성분 중량% 및 쇠비름:모로미초 혼합 중량비
Figure pat00001
표 1-2. 실시예(실시예 1-15 내지 1-27)의 각 성분 중량% 및 쇠비름:모로미초 혼합 중량비
Figure pat00002
표 1-3. 비교예(비교예1-1 내지 1-12)의 각 성분 중량% 및 쇠비름:모로미초 혼합 중량비
Figure pat00003
실시예 2.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1.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1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5중량%의 안식향산나트륨 넣어 녹이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73중량% 의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0.00053중량%의 수크랄로스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이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80과 0.0033중량%의 울금농축액, 0.036중량%의 프로폴리스추출액을 넣어 충분히 교반하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중량%의 형개추출물, 0.04중량%의 생강추출물분말을 넣어 교반하였다. 그 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0중량%의 쇠비름추출액, 7.0중량%의 모로미초 및 3.0중량%의 감식초를 넣고, 여분의 정제수를 주입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의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여기서, 중량%는 최종 조성물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각각의 성분의 중량%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갈색/흑갈색을 띠고 있었다.
실시예 2-2.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2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식초를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3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식초 대신 사과식초를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4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식초 대신 현미식초를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5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식초 대신 사과식초를 사용하고, 생강추출물분말 대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4중량%의 계피농축액분말을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6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식초 대신 현미식초를 사용하고, 생강추출물분말 대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4중량%의 계피농축액분말을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7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생강추출물분말 대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4중량%의 계피농축액분말을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8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울금농축액 대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5중량%의 헤마토코쿠스추추물을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감식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첨가하지 않은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2. 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쇠비름추출액 25.0중량% 및 모로미초 2.0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3. 쇠비름추출액 ,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2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쇠비름추출액 20.0중량% 및 모로미초 1.5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4. 쇠비름추출액 ,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3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쇠비름추출액 2.5중량% 및 모로미초 7.0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5. 쇠비름추출액 , 모로미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4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쇠비름추출액 5.0중량% 및 모로미초 12.0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6. 쇠비름추출액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로미초를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7. 쇠비름추출액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로미초를 넣지 않고, 감식초 대신 사과식초를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8. 쇠비름추출액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에 따라, 쇠비름추출액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로미초를 넣지 않고, 감식초 대신 현미식초를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실시예(실시예 2-1 내지 2-8)와 비교예(비교예 2-1 내지 2-8)의 각 성분 중량%
Figure pat00004
실험예1. 조성물의 맛과 향 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1-1 내지 1-27, 실시예 2-1 내지 2-8, 비교예 1-1 내지 1-12, 비교예 2-1 내지 2-8에 대하여, 남녀 평가요원 각 15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색상, 맛, 향 및 전체 기호도로 구분하였으며, 관능검사의 평점은 비교예 1-1을 기준으로 하여 1(비교예 1-1과 동일) 내지 5점(비교예 1-1과 보다 아주 좋음)으로 매기도록 하는 5점 평점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3-1, 3-2, 3-3에 나타내었다.
표 3-1. 관능검사 결과 (실시예 1-1 내지 1-14)
Figure pat00005
표 3-2. 관능검사 결과(실시예 1-15 내지 1-27)
Figure pat00006
표 3-3. 관능검사 결과(비교예 1-1 내지 1-12)
Figure pat00007
상기의 표 3-1 내지 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쇠비름추출액, 모로미초 및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쇠비름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모로미초 및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쇠비름추출물 및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보다 색상, 맛, 향 및 전체 기호도가 우수하여 음용이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은 쇠비름추출액에 사과식초, 감식초 및 현미식초와 같은 다른 식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보다 색상, 맛, 향 및 전체 기호도가 우수하여 음용이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다른 식초들보다 모로미초를 포함할 경우 쇠비름추출물의 식감 개선효과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 : 0.1 ~ 2.0 일 때, 맛과 향 및 전체 기호도가 우수하여 음용이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 : 0.25 ~ 0.45 일 때 특히 맛과 향 및 전체 기호도가 우수하여 음용이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감개선효과와 항균, 항염증, 항암, 항노화, 항비만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총 함량이 식품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5중량%이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2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4. 관능검사 결과(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8 및 비교예 2-1 내지2-8)
Figure pat00008
상기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은 쇠비름추출액 및 사과식초, 감식초 및 현미식초와 같은 다른 식초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보다 다른 첨가제를 추가하여도 맛과 향 등의 마스킹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 : 0.1미만의 조성물 및 모로미초 및 감식초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 : 2.0 초과의 조성물은 다른 첨가제를 추가하여도 맛과 향 등의 마스킹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를 포함하고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중량비가 1 : 0.1 ~ 2.0인 식품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중량비가 1 : 0.25 ~ 0.45인 식품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총 함량이 식품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5중량%인 식품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쇠비름추출액 및 모로미초의 총 함량이 식품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2중량%인 식품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감식초, 사과식초 및 현미식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초를 더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감식초, 프로폴리스추출액, 생강추출물분말, 울금농축액, 형개, 효소처리스테비아, 폴리소르베이트80, 수크랄로스 및 안식향산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KR1020120118933A 2012-10-25 2012-10-25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140052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33A KR20140052619A (ko) 2012-10-25 2012-10-25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33A KR20140052619A (ko) 2012-10-25 2012-10-25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19A true KR20140052619A (ko) 2014-05-07

Family

ID=5088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933A KR20140052619A (ko) 2012-10-25 2012-10-25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6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89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TWI500391B (zh)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JP4163631B2 (ja) 無辛味品種トウガラシの発酵組成物及びその利用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CN104560576B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2062989B1 (ko) 건강식이 분말을 이용한 다이어트용 식초 젤리의 제조방법
CN105124077A (zh) 一种百香果番茄袋茶
KR20120079939A (ko) 고추씨와 고추씨유를 이용한 비빔소스 및 그 제조방법
JP2005027540A (ja) アガリクス飲料
KR20170086198A (ko) 발효 한약재와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고형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형차
KR102235563B1 (ko)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JP3178822B2 (ja) 3α−ヒドロキシステロイドデヒドロゲナーゼ阻害活性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活性剤
JP4822474B2 (ja) 健康飲料の製造方法
KR102100989B1 (ko) 구절초 및 발효옻을 이용한 이너뷰티 음료의 제조방법
KR20140052619A (ko) 쇠비름추출액과 모로미초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200012709A (ko)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1773251B1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90140738A (ko) 자양강장 물질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457306B1 (ko) 피부 개선 및 장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유산균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9180B1 (ko) 마카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CN103190612B (zh) 一种树莓鞣花酸咀嚼片及其加工方法
KR102211759B1 (ko) 카카오닙스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64589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 비타 녹차(냉 온 겸용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핑크 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