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771A - 피가공재 내에 개구의 밀링 방법, 및 개구를 갖는 피가공재 - Google Patents

피가공재 내에 개구의 밀링 방법, 및 개구를 갖는 피가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771A
KR20140044771A KR1020137018520A KR20137018520A KR20140044771A KR 20140044771 A KR20140044771 A KR 20140044771A KR 1020137018520 A KR1020137018520 A KR 1020137018520A KR 20137018520 A KR20137018520 A KR 20137018520A KR 20140044771 A KR20140044771 A KR 2014004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ng
workpiece
milling cutter
peripheral edge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285B1 (ko
Inventor
에크베르트 프렌켄
Original Assignee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Publication of KR2014004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20Making tool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1D37/205Making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20Making tool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752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23Punching tool
    • Y10T83/9437Shear-type female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재료 내에 절취부를 밀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절취부가 서로 각도를 이루며 만나는 코너 영역에 주변 에지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절취부는 작동 중에 엔벨로핑 표면,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을 점유하고 측면 및 단부 면을 가지는 밀링 커터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코너 영역은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의 측면을 생성하는 밀링 커터의 부분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절취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응하는 밀링 커터의 제 1 방위로 먼저 형성된다. 가능한 한 가장 예리한 에지들을 갖는 코너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피가공재 내에 절취부를 밀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추가로 그와 같은 피가공재를 제공하기 위해서, 또한 밀링 커터의 제 2 방위로, 선택적으로 주변 에지부 상에서 그의 크기의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지향된 베벨을 형성하는 동안에, 측면으로의 상기 단부면의 전이부에 대응하는 코너 형상이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의 엔벨로핑 표면의 단부면을 형성하는 밀링 커터의 부분을 사용하여 서로 만나는 주변 에지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피가공재 내에 개구의 밀링 방법, 및 개구를 갖는 피가공재 {METHOD FOR MILLING AN OPENING IN A WORKPIECE AND WORKPIECE COMPRISING AN OPENING}
본 발명은 먼저, 피가공재 내에 절취부(cutout)를 밀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절취부가 각도를 서로 이루며 만나는 코너 영역에 주변 에지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절취부는 작동 중에 엔벨로핑(enveloping) 표면,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을 점유하고 측면 및 단부 면을 가지는 밀링 커터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코너 영역은 측면을 생성하는 밀링 커터의 부분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절취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응하는 밀링 커터의 제 1 방위로 먼저 형성된다.
절취부를 밀링함에 있어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 중에 측면, 예를 들어 원통형 측면을 생성하는 밀링 커터를 사용하여 피가공재 내에 절취부를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의 횡단면 곡률에 대응하는 코너 영역만이 단지 형성될 수 있다. 더 예리한 코너 형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연삭 또는 리밍(reaming)에 따른 차후 기계가공을 필요로 한다.
회전 밀링 커터에 의해서 비교적 예리한 에지 형성된(edged) 코너들을 형성하는 것이 US 2002/0071732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평면도에서 다중 에지 형성된밀링 커터는 회전 툴의 절단 에지의 외측 단부가 피가공재 내의 절취부의 바람직한 코너 형상에 일치하는 변위 경로(displacement path)를 그리는 방식으로 툴의 기저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피가공재에 대해 이동된다. 이러한 방법은 툴의 회전과 동시에 필요한, 툴과 피가공재 사이의 변위 운동을 고려한 비교적 복잡한 기계적 툴을 필요로 한다.
예리한 코너 형상을 가지는 피가공재들 내에, 즉, 특히 밀링 커터에 의해, 또한 바람직하게 공지된 복합 공작기계들(machining centers), 만능 공작기계들, 또는 다축 자동 밀링 기계들을 사용하여 또한 절취부들을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들 형태의 밀링 절취부들을 위한 하나의 적용분야는 예를 들어, 홀 펀치(hole punch)들이다. 이에 관해서, 예를 들어 DE 9315 393 U1 및 DE 93 15 392 U1호가 참조될 수 있다. 장방형 홀들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펀칭 중에 대응하는 장방형 절취부를 갖는 다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장방형 홀 펀치들을 필요로 한다. 대응 다이와 함께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 그와 같은 펀치는 또한 US 3,494,033호로부터 공지된다.
인용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재 내에 절취부를 밀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추가로, 이러한 형태의 피가공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그 방법에 의해 가능한 한 가장 예리한 에지들을 갖는 코너들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접근방법은 본 발명의 제 1 개념에 따라 제공되며, 그 방법에 의해서 밀링 커터의 제 2 방위로, 선택적으로 주변 에지부 상에서 그의 크기의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지향된 베벨을 형성하는 동안에, 측면으로의 상기 단부면의 전이부에 대응하는 코너 형상이 엔벨로핑 표면의 단부면을 형성하는 밀링 커터의 부분, 즉 전방 측을 사용하여 서로 만나는 주변 에지 부분들 사이에 형성된다. 엔벨로핑 표면의 양 부분들, 즉 단부 면뿐만 아니라 측면을 사용함으로써 주변 에지를 형성하기 위해서, 첫째로 본질적으로 측면을 사용하여 밀링 커터의 또한 통상적인 방위로 재료가 커다란 범위로 제거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이러한 방위에서, 그 위치에 언급된 코너 형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단부 면을 형성하는 밀링 커터의 부분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단지 코너 영역들이 추가의 기계가공을 필요로 하는 범위로 절취부를 심화(deepening)시키는데 단부 면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전방 측, 바람직하게 또한 동일한 밀링 커터에 의해 생성되는 엔벨로핑 표면의 단부 면의 전방 측에 의해서, 단부 면과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에 따라 코너 형상화가 그 후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절취부가 폐쇄형 주변 에지로 형성될 때 주변 에지부 상에 그의 크기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향된 베벨을 형성하는 동안에 코너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이러한 기계가공이 예를 들어, 밀링 커터의 적절한 방위로, 예를 들어 피가공재의 창을 통해서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수행될 때, 또는 피가공재가 단지 작은 두께를 가질 때 적합하다. 베벨은 또한 코너 형상화가 절취부에 대해 측면으로부터, 위로부터, 또는 외측에서 수행될 때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제 1 밀링 컷이 만들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가능한 접근방법은 상기 코너 영역이 밀링 커터들에 의해 형성되는 방법에서 제공되며, 상기 밀링 커터들은 그들의 경로들이 교차되며, 홀의 깊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로 지향된 밀링 커터들을 사용하여 단지 절취부의 깊이의 일부에 걸쳐서만, 그러나 절단 구역들의 깊이방향으로 중복되게 각각의 경우에 절단이 수행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링 커터들에 의해 형성된 주변 에지들의 돌기 내에, 절취부의 코너 영역에 바람직한 예리한 에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절취부는 구체적으로 관통 개구이다. 밀링 커터들은 또한 바람직하게 반대 방향들로 서로 평행하게 지향된다. 즉, 밀링 커터들은 그들이 길이방향 축선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식으로 정렬 및 이동된다. 이는 밀링 커터들이 동시에 사용되어야 함을 의미하지 않으나, 밀링 커터들이 그렇게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밀링 커터들은 특히 주변 에지의 베벨이 또한 그와 같은 작동 중에 달성되어야 할 때 서로 비정렬되게 또한 지향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양쪽 밀링 커터들이 주변 에지에 대해서 홀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밀링 커터들은 각각의 경우에 투영시 코너 영역을 지나서 이동하며, 그 후에 도달된다. 밀링 커터들이 밀링 커터들의 언급된 방향으로 단지 한 방위로 코너 영역을 지나 이동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동일한 코너 영역에 대해서, 밀링 커터는 이러한 코너 영역을 형성하는 추가의 주변 에지를 따라서 다른 방위 및 다른 방향으로 이러한 코너 영역을 초과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코너를 초과하는 그와 같은 이동에 의해서 달성된 절단 구역들, 즉 오버-런(over-run) 영역들이 관통 개구, 그러나 오히려 막힌 홀들과 유사한 부분을 그에 따라서 초래한다.
발명의 요지는 추가로, 피가공재, 특히 판금 펀치용 다이에 관한 것이며, 상기 피가공재는 주변 에지 형성된절취부, 바람직하게 코너 영역들에서 서로 만나는, 장방형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주변 에지들을 가지는 절취부를 가지며, 기하학적 예리한 에지로부터 바람직하게 1 mm 미만의 편차를 가지는 코너 영역이 밀링된다.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 기술에 관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 피가공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피가공재에 주변 에지들을 가지는 표면 아래에 주변 에지와 대향하는 개구가 형성된 피가공재에 대해 달성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U 형상으로 연장하는 주변 에지들을 가지는 개구에 의해 제공된다. 언급된 개구는 U 형상 웨브와 대향되게 되는데, 이는 절취부의 깊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그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선택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그의 단부 면을 갖춘 밀링 커터가 코너를 형성하기 위해서 절취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개구 내측으로 그 후에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주변 에지가 단일 평면 내에서 전체적으로 완전히 연장하는 경우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주변 에지와 반대로 위치된 개구는 또한 주변 에지에 대해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옵셋 방식으로 형성되는 개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피가공재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창(window)들을 가질 때의 경우이다. 이들 형태의 창들은 기하학적 관점으로부터 절취부를 갖는 표면에 대해 절단 에지를 형성하는 피가공재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비롯되는 개구들이다. 장방형 또는 정방형 피가공재를 위하여, 이들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평탄한 표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구형 표면, 또는 예각 또는 둔각으로 교차하는 표면들일 수 있다. 언급된 표면들은 또한 공유된 주변 에지에서 서로 만나지 않아야 하며 단지 가상의 기하학적 연장부에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설명된 절차에 대응하여, 코너 형상의 예리한 에지들로부터의 언급된 편차는 단부 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엔벨로핑 표면의 전이부의 특정 형상에 의존한다.
언급된 피가공재가 밀링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밀링 커터들과 동일한 밀링 커터를 본질적으로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대체로 절취부뿐만 아니라 절취부들의 코너 영역들은 단지 밀링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밀링 커터들이 서로 반대로 지향되는 밀링 커터들의 경로들이 교차되는 밀링 커터들의 구동, 또는 밀링 커터의 설명된 제 1 및 제 2 방위는 일련의 단계들로 동일한 밀링 커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특히 다축 자동 밀링 기계의 경우에 적합한 순서로 안내되는 상이한 밀링 커터들을 또한 사용하여 각각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피가공재를 기계가공하기 위해 동기화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밀링 공정들을 사용하여,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밀링 공정들을 사용하여 피가공재 상에 두 개의 개구들이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절취부는 언급한 베벨을 갖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바람직하게 두 개의 주변 에지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개구들은 예리한 에지 형성된 주변 에지를 형성하기 위해서 단지 돌기 내에만 서로 보완되는 주변 에지들을 가질 수 있다.
직선으로 연장하는 주변 에지들이 포함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면, 설명된 절차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주변 에지들이 곡선을 이루는 절취부를 생성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만을 도시한다. 도면들은 다음 사항을 도시한다.
도 1은 판금 펀치용 다이로서 형성되는 피가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아이템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화살표(P) 방향으로 본 도 1에 따른 아이템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라인 Ⅳ-Ⅳ에 따라 절단된 도 1 및 도 3에 따른 아이템을 통한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라인 Ⅴ-Ⅴ에 따라 절단된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며,
도 6은 도 2의 라인 Ⅵ-Ⅵ에 따라 절단된 도 1 및 도 2에 따른 아이템을 통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밀링에 의해 도 1에 따른 피가공재 내에 절취부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을 도시하며,
도 8은 밀링 커터들의 이동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7에 따른 배열체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라인 Ⅸ-Ⅸ에 따라 절단된, 도 8에 따른 배열체를 통한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도 1에 따른 아이템 내에 절취부의 코너를 형성하는 도면을 도시하며,
도 11은 도 10에 따른 배열체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1a는 절취부의 U-형상부 형성을 도시하는,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며,
도 12는 라인 ⅩⅡ-ⅩⅡ에 따라 절단된, 도 11에 따른 배열체를 통한 횡단면도이며,
도 12a는 도 11a의 라인 ⅩⅡa-ⅩⅡa에 따라 절단된, 도 11a에 따른 배열체를 통한 횡단면도이며,
도 13은 라인 ⅩⅢ-ⅩⅢ에 따라 절단된, 도 12에 따른 배열체를 통한 횡단면도이며,
도 14는 하부의 절취부로부터 추가의 밀링 과정에서 도 1에 따른 아이템을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본 도면을 도시하며,
도 15는 도시의 목적을 위해, 펀치될 판금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펀치가 위치되어 있는, 펀치 부속품을 갖춘 수동 프레싱 장치의 (부분)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6은 펀치가 판금 상에 놓여 있는,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며,
도 17은 떨어져 나간 펀치된 파편들을 갖는, 펀칭의 완료 후의 도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판금 펀칭 툴의 다이로서 형성된 피가공재(1)가 도시되며 설명된다(특히 도 1 내지 도 3 참조). 본 문맥에서 이는 바람직하게 스틸 부품이다.
피가공재(1)는 상부 절취부(2), 두 개의 측면 창(3,4)(또한 도 4 및 도 5 참조), 및 하부 절취부(5)를 가진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절취부(2)는 다음과 같이 밀링에 의해 생성된다.
이는 내부 코너들인 4 개의 코너(6 내지 9)들을 갖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 절취부임이 자명하다.
도 7에 따른 구성에서 코너(6 내지 9)들을 갖는 절취부(2)가 밀링 커터(10)에 의해 처음으로 생성되며, 밀링 커터는 통상적인 회전 밀링 운동에서 밀링 커터(10)를 피가공재(1) 내측으로 하강시키고 도 8의 점선(L)의 외측을 따라서 횡단면 내에 한정된 엔벨로핑 표면의 원의 중심점에 대해 밀링 커터(10)를 이동시킴으로써 원통형 엔벨로핑 표면(enveloping surface)을 생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밀링 커터(10)는 전방 측(11)(또한 도 9 참조)으로부터 밀링 커터의 클램핑 지점(도시 않음) 쪽으로 오프셋된 원주 홈-형 셋백(12)(setback)을 가진다. 따라서 회전 중에 밀링 커터(10)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은 이러한 영역의 원통형 표면으로부터의 편차를 가진다. 또한, 그와는 별도로, 측면은 원통형 표면이어서는 안되며 예를 들어, 원뿔형 또는 콘-형상의(cone-shaped) 표면일 수 있다.
홈-형 셋백(12)은 돌기(13)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돌기의 내측 에지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취부(2)의 주변 에지(14 내지 17)들을 형성한다. 그와 같은 돌기, 및 깊이 방향으로 그렇게 제공되는 이러한 종류의 절취부(2)의 인접 확대부가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여기서 설명되는 다이와 관련하여 유리한데, 이는 펀치된 파편(또한 도 15 내지 도 17과 연관된 이후의 설명 참조)이 더욱 아래로 프레스될 때 절취부의 벽으로부터 자유로와 지고 막히거나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베벨(19)이 또한 유리하다.
절취부(2)가 밀링 커터(10)를 사용하여 이러한 구성에서 생성된 후에, 예를 들어 도 8로부터 또한 자명하듯이, 그러나 이 경우에 또한 제 2 밀링 커터일 수 있는 밀링 커터(10)가 측면(18)으로부터 창(3)을 밀링하는데 추가로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시작하는 두 개의 대향 위치된 창(3,4)들이 형성된다.
밀링 커터(10)는, 전방 측(11)이 주변 에지(17)에 맞닿을 때까지, 절취부(2)의 개방 평면에 대해 예각 및/또는 절취부(도 8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밀링 커터의 이전 방위에 대해 예각 또는 둔각(α)(도 12 참조)을 포함한 각도로 밀링 커터(10)의 길이방향 축선(A)의 방위로 창(3)을 통해 전진되며, 그리고 밀링 커터(10)는 전방 측(11)에 의해 형성된 엔벨로핑 표면의 단부 면이 주변 에지(17)와 정렬되는 방식으로 이동되며, 바람직한 코너 형상이 달성된다. 방위는 밀링 커터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단부 면에 놓인 직선이 주변 에지와 정렬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부 면이 바람직하게, 요컨대 주변 에지와 접촉되게 연장하기 때문에, 이는 주변 에지와 일치하는 직선일 수 있다.
두 개의 코너(6,8)들이 하나의 창(4)을 통해서 밀링될 수 있고, 두 개의 다른 코너(9,7)들이 다른 창(3)을 통해서 밀링될 수 있기에 아주 충분한 언급한 두 개의 창(3,4)들을 통해 밀링 커터(10)가 각각의 경우에 이동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절취부(2)의 개방 평면에 대해 밀링 커터(10)의 비스듬한 방위로 인해서, 밀링 커터가 그의 자유 단부에 대해 연장하는 주변 에지에서 원통형 엔벨로핑 표면의 단부 면에 설명된 코너가 형성될 때 대응 베벨[예를 들어, 도 12에서 처럼 주변 에지(17)에 있는 베벨(19)]이 초래된다. 밀링 커터가 예를 들어, 피가공재(1) 내의 설명된 창을 통해서 아래로부터 이동할 때, 이는 깊이 방향(T)의 확대부 방향으로 절취부(2)(또한 도 9 참조)의 베벨이 초래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폐쇄된 절취부가 포함되지 않을 때 밀링 커터는 또한 절취부(2)의 깊이 방향에 수직한 방위로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외측으로부터 대응하는 비스듬한 방위로 이동할 수 있다. 자명하듯이, 따라서 대응 챔퍼들이 주변 에지에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폐쇄된 주변 에지가 존재하지 않는 언급된 경우에 절취부의 깊이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주변 에지가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취부(2)는 밀링에 의해 피가공재(1)의 상부 표면(19)에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는 내부 코너들인 예리한 각도의(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직각) 코너(6 내지 9)들을 가진다. 코너들은 예리한 에지를 가지며, 내부 코너들의 실제 기하학은 이러한 종류의 밀링 커터의 엔벨로핑 표면의 측면과 단부 면 사이의 외부 코너 형상의 실제 기하학에 대응한다. 이런 경우에, 전이부가 예를 들어, 2 mm 또는 그 미만, 예를 들어 또는 0.1 mm 아래로, 그보다 훨씬 더 작은 반경을 갖는 것이 실제로 적절하다.
절취부(5)에 대하여, 처음의 도 7을 한 번 더 참조하면 대체로 밀링 커터(10)와 또한 동일할 수 있으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명히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밀링 커터인 밀링 커터(20)는 제 1 절단 구역(21)을 밀링하기 위해서 절취부(2)를 통해 결합한다. 절단 구역(21)[피가공재의 관련 기저 영역에서 도 9의 밀링 커터(20)의 운동 깊이(T1)참조]은 아직 통과하지 않았으며, 즉 아직 관통 개구를 형성하지 않았다. 절취부(2) 아래의 절취부(5)의 배열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독특한 특징임이 자명하다. 상부 절취부(2)는 또한 절취부(5)에 대해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단지 하나의 절취부(2 또는 5)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이동 선(l)참조]로부터 또한 자명하듯이, 밀링 커터(20)는 형성될 4 개의 코너 영역(22 내지 25)들 각각에서 주변 에지들 중 하나를 따라서 코너 영역을 오버-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밀링 커터(20)가 특별한 코너 영역 쪽으로 이동하는 주변 에지의 방향으로 밀링 커터(20)가 특별한 코너 영역을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도 14로부터 더욱 자명하듯이, 절취부 구역(21)이 밀링된 후에 밀링 커터(20)가 피가공재(1)의 하부측(26)으로부터 시작하는, 밀링 커터의 대향 방향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피가공재를 내측으로 절단하며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는 하부측(26)의 표면으로부터 밀링 커터의 선단부[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밀링 커터(20)의 전방 측(11)]까지의, 이전에 제공된 제 1 깊이(T1)와 깊이(T2)의 총합이 하부 절취부(5)의 영역에서의 피가공재의 두께(D)보다 더 크게 되도록 깊이(T2)에 따라 수행된다. 코너 영역(22 내지 25)들의 오버-런의 영역(27)들에서, 밀링 커터(20)는 단지 그의 각각의 방위에서만 한번 오버-런하여, 관통 개구가 이러한 오버-런 영역을 초래하지 않는다. 밀링 커터(20)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된 오버-런 영역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이러한 영역의 엔벨로핑 표면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원의 반경에 대응한다.
설명된 절차에 의해 예를 들어, 도 2 및 도 6으로부터 자명하듯이, 돌기의 코너 영역들에 있는 또한 하부 절취부(5)의 예리한 에지 형성된 내부 형상을 초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너 영역들에서 이러한 하부 절취부(5)의 주변 에지(28 내지 31)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90°각도들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로부터 자명하듯이, 코너 영역들 사이에, 즉 오버-런 영역(27)들 외측에 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영역들은 절취부(5)의 깊이 방향(T)으로, 그리고 본 경우에 깊이 방향(T)에 평행하게 직선으로 연장한다.
도 11 및 도 12에 따른 구성의 변형예가 도 11a 및 도 12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절취부(2)는 평면도에 대해서 폐쇄되지 않은 둘러싸인 주변 에지(12,13,14)들을 갖는, 평면도에서 U-형상을 가진다. 주변 에지(13)로부터 반대쪽에 개구가 초래되며, 개구를 통해 밀링 커터(10)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언급된 주변 에지들이 하나의 평면 내에서 연장하도록 제공되는 때인 예로서의 한 경우에, 언급된 주변 에지들을 포함한 평면에 평행한 방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주변 에지들의 단지 두 개만이 하나의 평면에서 연장하도록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독특한 특징은 또한, 밀링 커터가 코너를 형성하기 위해서 절취부의 깊이 방향[예를 들어, 도 9의 화살표(T) 참조]에 횡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선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점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깊이 방향(T)으로 본 평면도에서, 절취부는 기저 영역(41)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절취부는 또한 연속적일 수 있다.
판금을 펀칭하기 위한 다이로서 그와 같은 피가공재(1)의 사용은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툴(12)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툴에 의해서 타이 볼트(33)가 수압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툴에 관한 추가의 상세들을 위해서, 미공개 독일 실용신안 출원 202010008228호의 개시 내용이 또한 참조되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공보는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이 선출원의 특징들을 병합할 목적을 포함한, 본 출원의 개시에 모두 포함된다.
타이 볼트(33)는 그의 하부 영역에 실질적으로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 영역이 피가공재(1) 내의 절취부(5) 내측으로 끼워지고 그를 통해 통과한다. 상부 절취부(2)는 언급된 하부 절취부(5)보다 명확히 훨씬 더 크며, 타이 볼트(33)는 또한 상부 절취부를 통해 통과한다. 여기서, 타이 볼트(33)는 주변 에지들에 맞닿지 않는다. 타이 볼트(33)는 또한 천공될 판금(35) 내의 이전에 생성된, 예를 들어 천공된 원형 홀(34)을 통해 통과한다. 펀치(36)는 판금(35)의 상부 측에서 타이 볼트(33)에 부착되며, 그 하부 측에 피가공재(1)가 위치된다. 펀치(36)는 유사하게,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나, 유리한 펀칭을 허용하기 위해서 판금(35)을 향하는 펀치의 측에 프리즘 구성을 가진다.
도 16으로부터 자명하듯이, 펀치(36)는 유지 너트(37)에 의해 타이 볼트(33) 상에 고정되며, 타이 볼트는 그러한 영역에 나사(38)를 가진다. 유지 너트(37)는 미공개 독일 특허출원 10201003648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특별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도 또한, 이에 의해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이 선출원의 특징들을 병합할 목적을 포함한, 본 출원의 개시에 모두 포함된다.
그 후 타이 볼트(33)는 툴(32)에 의해 도 17의 방향(R)으로 이동되어서, 펀치(36)는 판금(35) 내에 장방형 개구(39)를 형성한다. 유지 너트(37)가 풀리고 펀치(36)가 타이 볼트(33)로부터 제거된 후에, 그렇게 형성된 펀치된 파편(40)이 피가공재(1)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타이 볼트로부터 창(3,4)을 통해서 제거되거나 떨어져 나갈 수 있다.
개시된 모든 특징들은 (그 자체로)본 발명에 적절하다. 관련된/첨부된 우선권 서류들(선출원의 사본)의 개시 내용도 또한, 이에 의해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이들 문헌들의 특징들을 병합할 목적을 포함한, 본 출원의 개시에 모두 포함된다. 그들의 선택적인 종속 형태의 하위 청구항들은 특히 이들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분할 출원들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독립 발명의 개량을 특징으로 한다.
1 : 피가공재
2 : 절취부
3 : 창
4 : 창
5 : 절취부
6 : 코너
7 : 코너
8 : 코너
9 : 코너
10 : 밀링 커터
11 : 전방 측
12 : 셋백
13 : 돌기
14 : 주변 에지
15 : 주변 에지
16 : 주변 에지
17 : 주변 에지
18 : 측면 표면
19; 베벨
20 : 밀링 커터
21 : 절단 구역
22 : 코너 영역
23 : 코너 영역
24 : 코너 영역
25 : 코너 영역
26 : 하부측
27 : 오버-런 영역들
28 : 주변 에지
29 : 주변 에지
30 : 주변 에지
31 : 주변 에지
32 : 툴
33 : 타이 볼트
34 : 홀
35 : 판금
36 : 펀치
37 : 유지 너트
38 : 나사
39 : 개구
40 : 펀치된 파편
A : 길이방향 축선
D : 두께
L : 라인
l : 이동 라인
T : 깊이 방향
T1 : 깊이
T2 : 깊이
α : 각도
R : 방향

Claims (8)

  1. 하나의 재료 내에 절취부를 밀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절취부가 각도를 이루며 서로 만나는 코너 영역에 주변 에지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절취부가 작동 중에 엔벨로핑 표면,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을 점유하고 측면 및 단부 면을 가지는 밀링 커터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코너 영역은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의 측면을 생성하는 밀링 커터의 부분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절취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응하는 밀링 커터의 제 1 방위로 먼저 형성되는, 하나의 재료 내에 절취부를 밀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또한 밀링 커터의 제 2 방위로, 선택적으로 주변 에지부 상에서 그의 크기의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지향된 베벨을 형성하는 동안에, 측면으로의 상기 단부면의 전이부에 대응하는 코너 형상이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의 엔벨로핑 표면의 단부면을 형성하는 밀링 커터의 부분을 사용하여 서로 만나는 주변 에지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재료 내에 절취부를 밀링하기 위한 방법.
  2. 바람직하게 폐쇄형 주변 에지를 가지며, 각을 이루며 서로 만나는 코너 영역에 주변 에지 부분들을 가지는 절취부를 피가공재 내에 밀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너 영역이 밀링 커터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밀링 커터들은 그들의 경로들이 절취부의 깊이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들로 교차되어 단지 홀의 깊이의 일부에 걸쳐서만 각각의 경우에 절단이 수행되지만, 절단 구역들의 깊이방향으로의 중복되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부를 피가공재 내에 밀링하기 위한 방법.
  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두 항 또는 특히 그에 따른 항에 있어서,
    밀링 커터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다가 주변 에지에 대해 홀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둘 이상의 항 또는 특히 그에 따른 항에 있어서,
    주변 에지의 연장부로, 밀링 커터가 돌기 내에 한정된 코너 영역을 지나서 오버-런 영역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주변 에지(14-17)를 갖는 절취부(2,5), 바람직하게 코너 영역(22-25)들에서 서로 만나며 장방형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주변 에지(14-17)들을 가지는 절취부(2,5)를 가지며, 코너 영역(22-25)이 밀링에 의해 생성되고 기하학적 예리한 에지로부터 바람직하게 1 mm 미만의 편차를 가지는, 피가공재(1), 특히 판금 펀치용 다이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재가 주변 에지(14-17)들을 가지는 표면 아래에 주변 에지(14-17)와 대향하는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1), 특히 판금 펀치용 다이.
  6. 제 5 항 또는 특히 그에 따른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재(1)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창(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1), 특히 판금 펀치용 다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두 항 또는 특히 그에 따른 항에 있어서,
    창(3,4)은 기하학적 관점으로부터 절취부를 갖는 표면을 구비한 절단 에지를 형성하는 피가공재(1)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1), 특히 판금 펀치용 다이.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둘 이상의 항 또는 특히 그에 따른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절취부(2,5)들이 상이한 밀링 작동들을 사용하여 피가공재(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1), 특히 판금 펀치용 다이.
KR1020137018520A 2010-12-17 2011-12-14 피가공재 내에 개구의 밀링 방법, 및 개구를 갖는 피가공재 KR101945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1321.5 2010-12-17
DE201010061321 DE102010061321A1 (de) 2010-12-17 2010-12-17 Verfahren zum Fräsen einer Ausnehmung in einem Werkstück und Werkstück mit einer Ausnehmung
PCT/EP2011/072686 WO2012080293A2 (de) 2010-12-17 2011-12-14 Verfahren zum fräsen einer ausnehmung in einem werkstück und werkstück mit einer ausnehm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771A true KR20140044771A (ko) 2014-04-15
KR101945285B1 KR101945285B1 (ko) 2019-02-07

Family

ID=4534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520A KR101945285B1 (ko) 2010-12-17 2011-12-14 피가공재 내에 개구의 밀링 방법, 및 개구를 갖는 피가공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561535B2 (ko)
EP (1) EP2651580B1 (ko)
KR (1) KR101945285B1 (ko)
CN (1) CN103260786B (ko)
AU (1) AU2011343379B2 (ko)
BR (1) BR112013014857A2 (ko)
CA (1) CA2816362A1 (ko)
DE (1) DE102010061321A1 (ko)
ES (1) ES2558354T3 (ko)
MX (1) MX2013006784A (ko)
RU (1) RU2585906C2 (ko)
WO (1) WO20120802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5179B2 (en) 2012-06-01 2016-08-16 Wm & Dg, Inc. Medical device, and the methods of using same
US9357905B2 (en) 2012-06-01 2016-06-07 Robert Molnar Airway device, airway assist device and the method of using same
US10272482B2 (en) 2013-12-03 2019-04-30 Gustav Klauke Gmbh Pivoting jaw and motor-actuable handheld apparatus
EP2881192A1 (de) 2013-12-03 2015-06-10 Gustav Klauke GmbH Schwenkbacken und motorisch zu betätigendes Handgerät
US11147442B2 (en) 2014-08-08 2021-10-19 Wm & Dg, Inc.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placement
US10722110B2 (en) 2014-08-08 2020-07-28 Wm & Dg, Inc.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placement
US11633093B2 (en) 2014-08-08 2023-04-25 Wm & Dg, Inc.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placement
US9918618B2 (en) 2014-08-08 2018-03-20 Wm & Dg, Inc.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placement
CN104439448A (zh) * 2014-11-28 2015-03-25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非敞开结构零件的数控加工方法
US10029321B1 (en) 2016-03-28 2018-07-24 Triangle Manufacturing Company, Inc. Repetitive rotary broaching
US11051682B2 (en) 2017-08-31 2021-07-06 Wm & Dg, Inc. Medical devices with camera and methods of placement
US10653307B2 (en) 2018-10-10 2020-05-19 Wm & Dg, Inc. Medical devices for airway management and methods of placement
US11497394B2 (en) 2020-10-12 2022-11-15 Wm & Dg, Inc. Laryngoscope and intubation methods
CN113857779B (zh) * 2021-09-18 2024-03-22 中国航发哈尔滨东安发动机有限公司 一种薄壁渗碳区复杂窗口高效加工方法
FR3133775B1 (fr) * 2022-03-22 2024-02-16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de fraisage par une tête de fraisage d’une pièce porteus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16115A1 (ru) * 1958-02-12 1958-11-30 А.И. Коган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матриц дл прессовани деталей со сложным рельефом и штамп дл осуществлени этого способа
BE637666A (ko) * 1962-09-27
US3494033A (en) 1968-01-26 1970-02-10 Andrew J Bosco Portable panel punch
CH514386A (de) * 1970-10-09 1971-10-31 Jangl Vitezsla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trizen für Stanzen, insbesondere für Blechstanzen, und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3811163A (en) * 1972-12-07 1974-05-21 Gen Dynamics Corp Plunge milling tool
US4648761A (en) * 1984-03-30 1987-03-10 Kennematel, Inc. Machining method
CH672084A5 (ko) * 1986-10-08 1989-10-31 Starrfraesmaschinen Ag
JPS63156604A (ja) * 1986-12-16 1988-06-29 Toshiaki Hosoi フライス加工方法
JPH0379213A (ja) * 1989-08-23 1991-04-04 Nec Corp ミーリングユニット
DE9315393U1 (de) 1993-10-12 1994-11-24 Alfra Werkzeug Und Geraetebau Lochstanze für rechteckförmige Löcher
DE9315392U1 (de) 1993-10-12 1994-02-10 Alfra Werkzeug & Geraetebau Gm Lochstanze
JP3215971B2 (ja) * 1995-10-25 2001-10-09 オークマ株式会社 数値制御工作機械における角穴加工方法
DE19624131A1 (de) * 1996-06-17 1997-12-18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ägeplatten
IL125298A (en) * 1998-07-10 2001-10-31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US6056485A (en) * 1998-09-01 2000-05-02 Kennametal Inc. Ramp plunge and feed milling cutter
US6311597B1 (en) * 1999-05-24 2001-11-06 Humdinger, Inc. Self-guiding punch and die set
JP3884884B2 (ja) * 1999-06-22 2007-02-21 東芝機械株式会社 インコーナ切削加工方法および切削工具
JP4443026B2 (ja) * 2000-12-08 2010-03-31 東芝機械株式会社 インコーナ切削加工方法および数値制御装置
US20040042860A1 (en) * 2002-08-27 2004-03-04 Santosh Ranganath Methods of simulating end-milling operations
JP4608433B2 (ja) * 2003-09-05 2011-01-12 新庄金属工業株式会社 回転切削工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切削方法
JP2004202688A (ja) 2004-03-12 2004-07-22 Enshu Ltd トロコイドによる高速ポケット加工
JP4196206B2 (ja) 2004-04-21 2008-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切削加工方法及び加工経路作成方法
DE102005033568A1 (de) * 2005-07-19 2007-01-2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s Bau-, insbesondere Werkzeugteils
US7390152B2 (en) * 2006-02-10 2008-06-24 G.R.G. Patents Ltd. Milling head particularly useful for cutting sharp interior corners
ATE482050T1 (de) * 2007-06-30 2010-10-15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Maschine zum bearbeiten von werkstücken und verfahren zum maschinellen bearbeiten von werkstücken
JP5172293B2 (ja) * 2007-11-26 2013-03-27 株式会社アルゴグラフィックス プレス金型の加工方法、加工プログラム、加工プログラム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加工装置
EP2177289B1 (de) 2008-10-20 2011-07-06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schinen und Verfahren zum Ausschleusen eines Werkstückteils
DE102010036482A1 (de) 2010-07-19 2012-01-19 Gustav Klauke Gmbh Mutter und Kombination eines Bolzenteils mit einer Mutter
US9011051B2 (en) * 2012-04-12 2015-04-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ulti-spindle mi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61535B2 (en) 2017-02-07
ES2558354T3 (es) 2016-02-03
AU2011343379A1 (en) 2013-05-23
RU2585906C2 (ru) 2016-06-10
AU2011343379B2 (en) 2016-05-26
WO2012080293A3 (de) 2012-08-09
CN103260786A (zh) 2013-08-21
CN103260786B (zh) 2015-09-02
EP2651580B1 (de) 2015-12-09
WO2012080293A2 (de) 2012-06-21
US20140202299A1 (en) 2014-07-24
CA2816362A1 (en) 2012-06-21
KR101945285B1 (ko) 2019-02-07
BR112013014857A2 (pt) 2016-10-18
MX2013006784A (es) 2013-07-29
DE102010061321A1 (de) 2012-06-21
RU2013132936A (ru) 2015-01-27
EP2651580A2 (de)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4771A (ko) 피가공재 내에 개구의 밀링 방법, 및 개구를 갖는 피가공재
EP1812188B1 (en) Milling cutting insert and milling cutter
EP2015885B1 (en) Cutting insert with recessed corners
TW201505801A (zh) 倒角加工方法
EP3542950B1 (en) A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 key
CA3033782C (en) Deburring tool for deburring transverse recesses that branch from a main borehole
EP2910326B1 (en) Stacked material tool and method for machining
CN112296445A (zh) 用于向工件中切削槽形凹部的方法
CN104511604A (zh) 一种多功能刀具
JP4426407B2 (ja) 切削加工装置
JP2010089235A (ja) 立て削り用工具および立て削り加工方法
WO2018078454A1 (en) A method for continuous machining of a surface and a tool for continuous machining of a surface
KR20140038643A (ko) Nct의 휠타입 금형
JP2792919B2 (ja) ドリルによる斜孔の穿孔方法
CN219818069U (zh) 一种双倒角刀具
KR200490404Y1 (ko) 키 웨이 가공용 밀링 커터
JP4608285B2 (ja) 回転切削工具を用いた切削方法
AU2017101695A4 (en) Improvement to multiple tool station cnc turret punch press
CN215880760U (zh) 一种带断屑槽的pcd铣刀夹
JP5802008B2 (ja) レーザー切断装置で切断される加工物及びその加工物から切断される製品部材の面取り方法
TWM511420U (zh) 沖刀結構
JP4604831B2 (ja) 穴内壁面加工方法
KR200221284Y1 (ko) 다용도 모따기 가공기
JP2017164763A (ja) 面取り加工方法及び面取り金型
JP2022158465A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