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700A - 약품 외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약품 외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700A
KR20140044700A KR1020120110981A KR20120110981A KR20140044700A KR 20140044700 A KR20140044700 A KR 20140044700A KR 1020120110981 A KR1020120110981 A KR 1020120110981A KR 20120110981 A KR20120110981 A KR 20120110981A KR 20140044700 A KR20140044700 A KR 20140044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rotary drum
plate
unit
visual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868B1 (ko
Inventor
이구현
Original Assignee
이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현 filed Critical 이구현
Priority to KR102012011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8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약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의 일면을 둘레에 흡착시켜 이송하는 제1 회전드럼 및 제1 회전드럼에서 이송되는 약품을 전달받되 약품의 타면을 둘레에 흡착시켜 이송하는 제2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되, 각 회전드럼의 회전 영역은 흡착구간 및 비흡착구간으로 나눠지고, 각 회전드럼은 흡착구간을 통과하는 둘레의 일 구간 전체에서 에어를 흡입하여 약품의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약품을 흡착시켜 흡착구간 만큼 회전 이송하는 이송드럼유닛; 각 회전드럼의 흡착구간 외곽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흡착된 약품의 표면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유닛; 및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약품 표면의 양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약품 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약품 외관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PPEARANCE OF DRUGS}
본 발명은 약품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정치 않은 간격으로 공급되는 정제약 또는/및 캡슐 등의 외관 검사를 제공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나 캡슐과 같은 약품은 검사장치에 의한 외관 검사과정을 거친 후에 제품으로 최종 출하된다. 외관 검사 과정에서, 표면 불량, 모서리 불량, 각인 불량 등과 같은 흠결을 검사한다.
통상, 약품 외관 검사 장치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제약 또는 캡슐을 촬영하여 표면의 영상을 얻고, 이것을 분석하여 흠결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약품 공급유닛, 약품 이송을 위한 이송드럼유닛, 정제약 또는 캡슐의 촬영을 위한 다수의 카메라 및 조명유닛, 카메라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처리하고 흠결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유닛 등을 포함한다.
이때, 종래의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이송드럼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정제약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홈 내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이송드럼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흡착홈으로 정제약 또는 캡슐을 공급하기 위해 약품 공급유닛에서 일정한 속도와 간격으로 정제약 또는 캡슐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송드럼의 회전속도와 흡착홈으로 공급되는 약품 공급유닛에서의 공급 속도 및 간격이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렵고 복잡해진다. 특히, 정제약 또는 캡슐의 외관 검사 난이도 정도에 따라 약품 별로 검사속도를 달리하기 어렵고, 설사 이송드럼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송드럼의 변경된 회전속도에 맞게 약품 공급유닛의 속도 및 공급 간격을 조정하기가 쉽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6959호 (2001년 7월 1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632호 (2012년 3월 5일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약품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약품을 흡착시켜 이송시키면서 외관을 검사할 수 있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약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의 일면을 둘레에 흡착시켜 이송하는 제1 회전드럼 및 제1 회전드럼에서 이송되는 약품을 전달받되 약품의 타면을 둘레에 흡착시켜 이송하는 제2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되, 각 회전드럼의 회전 영역은 흡착구간 및 비흡착구간으로 나눠지고, 각 회전드럼은 흡착구간을 통과하는 둘레의 일 구간 전체에서 에어를 흡입하여 약품의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약품을 흡착시켜 흡착구간 만큼 회전 이송하는 이송드럼유닛; 각 회전드럼의 흡착구간 외곽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흡착된 약품의 표면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유닛; 및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약품 표면의 양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약품 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각 회전드럼은: 내측에서 축 회전하되 흡착구간을 지나는 둘레의 일 구간으로부터 에어가 흡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회전판; 외측에서 회전판과 동일하게 축 회전하되 회전판과 이격된 외곽판; 및 회전판과 외곽판 사이에서 회전없이 고정되어 회전판 및 외곽판과 함께 에어 흡입공간을 형성하되, 에어 흡입공간 외의 회전판과 외곽판 사이의 나머지 이격 공간을 통한 에어홀로의 에어 흡입을 차단하며, 회전판과 외곽판의 회전에 따른 둘레의 회전 영역을 흡착구간과 비흡착구간으로 나누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차단판은: 에어 흡입공간 외의 회전판과 외곽판 사이의 나머지 이격 공간을 통한 에어홀로의 에어 흡입을 차단하는 차단 평판; 및 회전판 및 외곽판과 함께 에어 흡입공간을 형성하고 차단 평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회전판 및 외곽판 각각의 둘레에 설치된 탄성재질의 밴드에 의해, 상하부 개방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흡착홈이 형성되고, 차단판은 흡착홈 사이를 통해 각 회전드럼의 비흡착구간의 외곽에 형성된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회전드럼의 상부에 제1 회전드럼과 이격되게 제2 회전드럼이 설치되고, 제1 회전드럼의 흡착구간보다 제2 회전드럼의 흡착구간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회전드럼의 흡착구간은 수직 반원의 호이고, 제2 회전드럼의 흡착구간은 제1 회전드럼의 흡착구간이 끝나는 지점부터 내각이 180°초과 270°미만, 바람직하게는 200°이상 24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10°이상 230°이하인 부채꼴의 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촬상유닛은: 제1 및 제2 회전드럼의 흡착구간 외곽에 2세트가 설치되되, 약품의 상면 및 하면의 각인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유닛; 및 제1 및 제2 회전드럼의 흡착구간 외곽에 2세트가 설치되되, 약품의 상하면 및 4 측방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카메라유닛의 각 세트는: 각 회전드럼의 흡착구간 외곽에 설치되되 중심부에 촬상용 홀을 구비하고 촬상용 홀 내부면에 설치된 LED 광원에 의해 약품의 표면을 비추는 제1 LED 조명기; 및 제1 LED 조명기 상부에 설치되되 촬상용 홀을 통해 약품의 상면 또는 하면의 각인 영상을 촬영하는 각인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2 카메라유닛의 각 세트는: 각 회전드럼의 흡착구간 외곽에 설치되되 중심부에 촬상용 홀을 구비하고 촬상용 홀 주위에 설치된 LED 광원에 의해 약품의 표면 및 2방향 측면을 비추는 제2 LED 조명기; 제2 LED 조명기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약품의 서로 반대되는 2방향 측면으로 LED 광원의 조명을 제공하고 2방향 측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2대의 측면 카메라로 제공하는 2대의 반사 미러; 제2 LED 조명기 상부에 설치되되 촬상용 홀을 통해 약품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 및 제2 LED 조명기 상부에 설치되되 2대의 반사 미러에서 반사되는 약품의 2방향 측면의 영상을 촬상용 홀을 통해 촬영하는 2대의 측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약품 배출유닛은: 약품 표면의 불량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불량 약품을 에어로 블로윙하는 제1 에어 블로어; 제1 에어 블로어에 의해 둘레로부터 떨어진 불량 약품을 분리 배출시키는 불량 배출구; 및 약품 표면의 양호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에 의해 흡착 이송되다가 비흡착구간에 들어서는 양품 약품을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양품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약품 배출유닛은: 약품 표면의 양부 판단이 누락되어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누락품 약품을 에어로 블로윙하는 제2 에어 블로어; 및 제2 에어 블로어에 의해 둘레로부터 떨어진 누락품 약품을 분리 배출시키는 누락품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하나의 예에 따르면,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촬상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여 약품 외관의 양부를 판단하고, 양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약품 배출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제1 회전드럼이 설치된 제1 수직 지지판 및 제2 회전드럼이 설치된 제2 수직 지지판이 상하로 연결되어 형성되되 제1 및 제2 회전드럼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1 및 제2 수직 지지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판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판에는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석션홀이 구비된 석션유닛을 더 포함하고, 석션유닛은 각 회전드럼에 형성되되 막히지 않은 에어홀을 통해 흡착구간을 지나는 각 회전드럼의 둘레의 일 구간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제1 회전드럼으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품 공급유닛은 제1 회전드럼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드럼의 직하부에서 제1 회전드럼으로 약품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품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약품을 흡착시켜 이송시키면서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의 하부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의 이송드럼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에서 도 4의 I-I'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의 하부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의 이송드럼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에서 도 4의 I-I'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이송드럼유닛(30), 촬상유닛(50) 및 약품 배출유닛(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지지판 유닛(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를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석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약품 공급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품(1)은 정제약 또는/및 캡슐 등일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의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이송드럼유닛(30)은 제1 회전드럼(30a) 및 제2 회전드럼(30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회전드럼(30a)은 약품 공급유닛(90)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1)의 일면을 둘레(31)에 흡착시켜 이송한다. 또한, 제2 회전드럼(30b)은 제1 회전드럼(30a)에서 이송되는 약품(1)을 전달받되 약품(1)의 타면을 둘레(31)에 흡착시켜 이송한다. 즉, 제2 회전드럼(30b)은 제1 회전드럼(30a)과 반대면으로 약품(1)을 흡착하여 이송시킨다. 약품(1)이 정제약인 경우 일면과 타면의 구분이 명확해진다. 다만, 캡슐인 경우에는 약품(1)의 일면과 타면이 불명확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약품(1)이 캡슐인 경우 제1 회전드럼(30a)에 흡착되는 방향은 약품(1)의 일면을 의미하고, 제2 회전드럼(30b)에 의해 흡착되는 방향은 약품(1)의 타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때, 각 회전드럼(30a, 30b)의 회전 영역은 흡착구간 및 비흡착구간으로 나눠진다. 각 회전드럼(30a, 30b)은 흡착구간을 통과하는 둘레(31)의 일 구간 전체에서 에어를 흡입하여 약품(1)의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약품(1)을 흡착시켜 흡착구간 만큼 회전 이송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송드럼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흡착홈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공급되는 약품만을 흡착시켜 이송시킬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 회전드럼(30a, 30b)의 회전 영역이 흡착구간(A) 및 비흡착구간(B)으로 나눠져, 흡착구간(A)을 통과하는 각 회전드럼(30a, 30b)의 둘레(31) 구간 전체에서 약품(1)의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약품(1)을 흡착시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물인 약품(1)의 외관의 양부 판단의 난이도나 필요 시간에 따라 약품(1)의 공급 속도를 고려할 필요없이 약품(1)의 공급이 적체되지 않는 범위에서 각 회전드럼(30a, 30b)의 회전속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약품(1)이 일정한 공급 간격이 유지되도록 공급되는 경우에도 본 이송드럼유닛(30)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도 3, 4 및/또는 5를 참조하여 이송드럼유닛(3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도 5는 도 4의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차단판(33)도 도시되고 있다. 도 4에서는 차단판(33)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예에서, 각 회전드럼(30a, 30b)은 회전판(35), 외곽판(37) 및 차단판(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판(35)은 각 회전드럼(30a, 30b)의 내측, 즉 각 회전드럼(30a, 30b)이 설치되는 각 수직 지지판(10a, 10b) 측에서 축 회전한다. 또한, 회전판(35)에는 회전축의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의 에어홀(3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다수의 에어홀(35a)은 회전 시 각 회전드럼(30a, 30b)의 회전영역 중 흡착구간(A)을 지나는 회전드럼 둘레(31)의 일 구간으로부터 흡입되는 에어가 통과하여 예컨대, 석션유닛의 석션홀(40)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에어홀(35a)은 각 회전드럼(30a, 30b)의 흡착구간(A)에서의 흡착이 가능하도록 흡입 에어의 통로가 된다. 예컨대, 회전판(35)의 둘레에는 각 회전드럼(30a, 30b)의 둘레(31)에 형성되는 흡착부(31a)를 형성하기 위한 예컨대 고무재질의 원형 밴드가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 및/또는 5를 참조하면, 각 회전드럼(30a, 30b)의 외곽판(37)은 회전판(35)과 이격되게 각 회전드럼(30a, 30b)의 외측에 설치되며 회전판(35)과 동일하게 축 회전한다. 예컨대, 외곽판(37)은 각 회전드럼(30a, 30b)의 케이스가 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각 회전드럼(30a, 30b)의 차단판(33)은 회전판(35)과 외곽판(37) 사이에서 회전없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차단판(33)은 회전판(35) 및 외곽판(37)과 함께 에어 흡입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차단판(33)은 에어 흡입공간 외의 회전판(35)과 외곽판(37) 사이의 나머지 이격 공간을 통한 에어홀(35a)로의 에어 흡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단판(33)은 회전판(35)과 외곽판(37)의 회전에 따른 둘레의 회전 영역을 흡착구간(A)과 비흡착구간(B)으로 나눈다.
이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또 하나의 예에서, 차단판(33)은 차단 평판(33b) 및 지지프레임(33a)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판(33)의 차단 평판(33b)은 에어 흡입공간 외의 회전판(35)과 외곽판(37) 사이의 나머지 이격 공간을 통한 회전판(35)의 에어홀(35a)로의 에어 흡입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평판(33b)은 에어홀(35a)에 가깝게 밀착되어 에어 흡입공간 외의 회전판(35)과 외곽판(37) 사이의 나머지 이격 공간을 통한 에어 흡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판(33)의 지지프레임(33a)은 회전판(35) 및 외곽판(37)과 함께 에어 흡입공간을 형성하고 차단 평판(33b)을 지지한다. 즉, 지지프레임(33a)은 회전판(35)과 외곽판(37) 사이의 이격공간에 2방향의 반지름 방향으로 채워져 회전판(35) 및 외곽판(37)과 함께 에어 흡입공간을 형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33a)은 지지프레임(33a)에 의해 형성된 흡입공간을 제외한 나머지의 회전판(35)과 외곽판(37) 사이의 이격공간에 회전판(35)의 에어홀(35a)에 가까이 밀착되게 설치되는 차단 평판(33b)을 지지한다. 예컨대, 지지프레임(33a)은 회전판(35) 및 외곽판(37)과 함께 에어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반지름방향 프레임뿐만 아니라, 회전판(35) 및 외곽판(37) 각각의 둘레에 형성된 밴드(31)에 의해 형성되는 흡착홈(31a)의 하부를 거의 막는 호타입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회전판(35) 및 외곽판(37) 각각의 둘레에 탄성재질의 밴드(31), 예컨대 원형 고무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밴드(31)가 각 회전드럼(30a, 30b)의 둘레(31)가 된다. 또한, 탄성재질의 밴드(31), 예컨대 원형 고무밴드에 의해, 상하부 개방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흡착홈(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형성된 흡착홈(31a)이 흡착구간(A)을 지나는 동안에 약품(1)을 흡착시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차단판(33)은 흡착홈(31a) 사이를 통해 각 회전드럼(30a, 30b)의 비흡착구간(B)의 외곽에 형성된 고정프레임(39)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39)은 각 수직 지지판(10a, 10b) 상에서 각 회전드럼(30a, 30b)의 비흡착구간(B)의 외곽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판(33)은 회전판(35) 및 외곽판(37)과 달리 회전없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회전드럼(30a)의 상부에 제1 회전드럼(30a)과 이격되게 제2 회전드럼(30b)이 설치되고, 이때, 제1 회전드럼(30a)의 흡착구간(A)보다 제2 회전드럼(30b)의 흡착구간(A)이 길다. 제2 회전드럼(30b)의 흡착구간(A)을 길게 할수록 제1 회전드럼(30a)과 반대 표면의 약품(1)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의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에 따라 계속 흡착시켜 이송하거나 도중에 예컨대 에어 블로어(71, 72) 등으로 블로윙하여 제2 회전드럼(30b)의 둘레(31)에서 떨어뜨릴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회전드럼(30a)의 흡착구간(A)은 수직 반원의 호일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드럼(30b)의 흡착구간(A)은 제1 회전드럼(30a)의 흡착구간(A)이 끝나는 지점부터 내각이 180°초과 270°미만인 부채꼴의 호일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제2 회전드럼(30b)의 흡착구간(A)은 제1 회전드럼(30a)의 흡착구간(A)이 끝나는 지점부터 내각이 200°이상 24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10°이상 230°이하인 부채꼴의 호일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드럼(30b)의 흡착구간(A)이 종료되는 지점에 예컨대, 양품 배출구(7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2 회전드럼(30b)의 직상부 부위에 불량품 분리 배출을 위한 유닛들이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의 촬상유닛(5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촬상유닛(50)은 각 회전드럼(30a, 30b)의 흡착구간(A) 외곽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흡착된 약품(1)의 표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서, 촬상유닛(50)은 제1 카메라유닛(50a, 50d) 및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은 각각 2세트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회전드럼(30a, 30b)의 흡착구간(A)의 외곽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유닛(50a, 50d)은 제1 및 제2 회전드럼(30a, 30b)의 흡착구간(A) 외곽에 2세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유닛(50a, 50d)의 제1 세트(50a)는 제1 회전드럼(30a)의 외곽에 설치되어 약품(1)의 상면의 각인 영상을 촬영하고, 그리고 제1 카메라유닛(50a, 50d)의 제2 세트(50d)는 제2 회전드럼(30b)의 외곽에 설치되어 뒤집어져 이송되는 약품 상부 표면, 즉, 제1 카메라유닛(50a, 50d)의 제1 세트(50a)에 의해 촬영된 면과 반대면의 각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품(1)의 상하면에 대한 각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은 제1 및 제2 회전드럼(30a, 30b)의 흡착구간(A) 외곽에 2세트가 설치되되, 약품(1)의 상하면 및 4 측방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전드럼(30a)의 외곽에 설치된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의 제1 세트(50b)는 제1 회전드럼(30a)에 흡착된 약품(1)의 상면과 서로 반대되는 2방향 측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제2 회전드럼(30b)의 외곽에 설치된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의 제2 세트(50c)는 제1 회전드럼(30a)에서와 반대면으로 흡착된 약품(1)의 상부표면, 즉,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의 제1 세트에 의해 촬영된 면과 반대면과 서로 반대되는 2방향 측면, 예컨대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의 제1 세트에 의해 촬영된 측면과 수직하는 2방향 측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의 구체적인 예를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서, 제1 카메라유닛(50a, 50d)의 각 세트는 제1 LED 조명기(53) 및 각인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LED 조명기(53)는 각 회전드럼(30a, 30b)의 흡착구간(A) 외곽에 설치되되 중심부에 촬상용 홀(53a)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촬상용 홀(53a) 내부면에 설치된 LED 광원(53b)에 의해 약품(1)의 표면을 비출 수 있다. 또한, 각인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는 제1 LED 조명기(53) 상부에 설치되되 촬상용 홀(53a)을 통해 약품(1)의 상면 또는 하면의 각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인 카메라는 제1 카메라유닛(50a, 50d)의 몸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카메라유닛(50b, 50c)의 각 세트는 제2 LED 조명기(53), 2대의 반사 미러(55), 전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 및 2대의 측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 LED 조명기(53)는 각 회전드럼(30a, 30b)의 흡착구간(A) 외곽에 설치된다. 이때, 제2 LED 조명기(53)는 중심부에 촬상용 홀(53a)을 구비하고 촬상용 홀(53a) 주위에 설치된 LED 광원(53b)에 의해 약품(1)의 표면 및 2방향 측면을 비출 수 있다. 예컨대, 제2 LED 조명기(53)는 다음의 2대의 반사 미러(55)를 이용하여 약품(1)의 서로 반대되는 2방향 측면을 비출 수 있다. 또한, 각 세트별 2대의 반사 미러(55)는 제2 LED 조명기(53)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대의 반사 미러(55)는 약품(1)의 서로 반대되는 2방향 측면으로 LED 광원(53b)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대의 반사 미러(55)는 약품(1)의 서로 반대되는 2방향 측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2대의 측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2세트 모두의 4대의 반사 미러(55)는 LED 광원(53b)에서 조사된 빛으로 서로 수직한 측면 방향을 비추고, 또한 서로 수직한 측면 방향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반사시켜 4대의 측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는 제2 LED 조명기(53)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는 촬상용 홀(53a)을 통해 약품(1)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각 세트별 2대의 측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는 제2 LED 조명기(53)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세트별 2대의 측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는 2대의 반사 미러(55)에서 반사되는 약품(1)의 2방향 측면의 영상을 촬상용 홀(53a)을 통해 촬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트별 전면 카메라 및 2대의 측면 카메라는 제2 카메라유닛(50a, 50d)의 몸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의 약품 배출유닛(7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약품 배출유닛(70)은 촬상유닛(50)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약품 표면의 양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30b)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1)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약품 배출유닛(7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서, 약품 배출유닛(70)은 제1 에어 블로어(71), 불량 배출구(77) 및 양품 배출구(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에어 블로어(71)는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약품 표면의 불량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30b)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불량 약품을 에어로 블로윙하여 떨어뜨릴 수 있다. 예컨대, 제1 에어 블로어(71)는 제2 회전드럼(30b)의 직상부 근처에 제2 수직 지지판(10b)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에어 블로어(71)의 설치 높이가 제2 회전드럼(30b)의 둘레(31) 상에 흡착된 불량 약품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제1 에어 블로어(7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불량 배출구(77)는 제1 에어 블로어(71)에 의해 제2 회전드럼(30b)의 둘레(31)로부터 떨어진 불량 약품을 분리 배출시킨다. 예컨대, 이때, 불량 배출구(77)는 떨어지는 불량 약품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호퍼(75c)와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양품 배출구(73)는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약품 표면의 양호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30b)에 의해 흡착 이송되다가 비흡착구간(B)에 들어서는 양품 약품(1)을 전달받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약품 배출유닛(70)은 제2 에어 블로어(72) 및 누락품 배출구(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에어 블로어(72)는 약품 표면의 양부 판단이 누락되어 제2 회전드럼(30b)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누락품 약품을 에어로 블로윙하여 제2 회전드럼(30b)의 둘레(31)에서 떨어뜨린다. 그리고 누락품 배출구(78)는 제2 에어 블로어(72)에 의해 둘레로부터 떨어진 누락품 약품을 분리 배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때, 누락품 배출구(78)는 떨어지는 누락품 약품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 호퍼(75c)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약품 배출유닛(70)은 배출홀(75a, 75b)이 형성된 배출 지지판(7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배출 지지판(75) 상에 형성된 배출홀(75a, 75b)을 통하여 제1 에어 블로어(71) 및 제2 에어 블로어(72)에 의해 떨어지는 약품(1)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지지판(75)은 배출홀(75a, 75b)의 하측에 수용 호퍼(75c)를 구비하여 제1 에어 블로어(71) 및 제2 에어 블로어(72)에 의해 떨어지는 약품(1)을 수용하여 불량 배출구(77) 및 누락품 배출구(78)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를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서,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촬상유닛(50)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여 약품 외관의 양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양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30b)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1)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약품 배출유닛(70)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약품 외관의 양부 판단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부(도시되지 않음)와 소프트웨어부의 판단에 따라 약품 배출유닛(70)을 제어하는 구동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에어 흡입을 위한 진공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키는 유닛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은 또한, 제1 및 제2 회전드럼(30a, 30b)의 속도를 매뉴얼 입력에 따라 또는 양부 판단 및 그에 따라 제어속도를 피드백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지지판 유닛(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 유닛(10)은 제1 회전드럼(30a)이 설치된 제1 수직 지지판(10a) 및 제2 회전드럼(30b)이 설치된 제2 수직 지지판(10b)이 상하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이때, 제1 및 제2 회전드럼(30a, 3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1 및 제2 수직 지지판(10a, 1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드럼(30a, 30b) 사이의 간격은 피검사물인 약품(1)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수직 지지판(10a, 10b) 사이의 간격은 제1 및 제2 수직 지지판(10a, 10b)의 후면에 설치된 간격조절유닛(도시되지 않음)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판(10a, 10b)에는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석션홀(40)이 구비된 석션유닛을 더 포함하고, 석션유닛은 각 회전드럼(30a, 30b)에 형성되되 막히지 않은 에어홀(35a)을 통해 흡착구간(A)을 지나는 각 회전드럼(30a, 30b)의 둘레(31)의 일 구간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약품 공급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품 공급유닛(90)은 제1 회전드럼(30a)으로 약품(1)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약품 공급유닛(90)은 호퍼나 임시 저장소(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약품(1)들을 제공받아 일렬로 정렬시켜 제1 회전드럼(30a)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약품 공급유닛(90)은 미리 설정된 공급간격이 없이 약품(1)들을 일렬로 정렬시켜 공급하거나, 예컨대, 필요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공급 간격 및 공급 속도를 유지하며 일렬로 정렬시켜 공급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약품 공급유닛(90)은 제1 회전드럼(30a)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 회전드럼(30a)의 직하부에서 제1 회전드럼(30a)으로 약품(1)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약품 공급유닛(90)의 약품공급 위치는 제1 회전드럼(30a)의 하부이나, 약품 공급유닛(90)으로 약품(1)을 제공하는 위치 또는 약품 공급유닛(90)의 시작부는 제1 회전드럼(30a)의 직하부가 아닌 제1 회전드럼(30a)의 좌측, 우측, 좌하부 또는 우하부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 : 약품 10 : 지지판 유닛
10a : 제1 수직 지지판 10b : 제2 수직 지지판
30 : 이송드럼유닛 또는 회전드럼 30a : 제1 회전드럼
30b : 제2 회전드럼 31 : 회전드럼의 둘레 또는 밴드
31a : 흡착부 또는 흡착홈 33 : 차단판
33a : 지지프레임 33b : 차단평판
35 : 회전판 35a : 에어홀
37 : 외곽판 39 : 고정프레임
40 : 석션홀 50 : 촬상유닛
50a, 50d : 제1 카메라유닛 50b, 50c : 제2 카메라유닛
53 : LED 조명기 53a : 촬상용 홀
53b : LED 광원 55 : 반사 미러
70 : 약품 배출유닛 71 : 제1 에어 블로어
72 : 제2 에어 블로어 73 : 양품 배출구
75 : 배출 지지판 75a, 75b : 배출홀
75c : 수용 호퍼 77 : 불량 배출구
78 : 누락품 배출구 90 : 약품 공급유닛

Claims (14)

  1. 약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의 일면을 둘레에 흡착시켜 이송하는 제1 회전드럼 및 상기 제1 회전드럼에서 이송되는 상기 약품을 전달받되 상기 약품의 타면을 둘레에 흡착시켜 이송하는 제2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되, 각 회전드럼의 회전 영역은 흡착구간 및 비흡착구간으로 나눠지고, 상기 각 회전드럼은 상기 흡착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둘레의 일 구간 전체에서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약품의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상기 약품을 흡착시켜 상기 흡착구간 만큼 회전 이송하는 이송드럼유닛;
    상기 각 회전드럼의 상기 흡착구간 외곽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흡착된 상기 약품의 표면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유닛; 및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약품 표면의 양부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약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약품 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드럼은:
    내측에서 축 회전하되 상기 흡착구간을 지나는 상기 둘레의 일 구간으로부터 에어가 흡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회전판;
    외측에서 상기 회전판과 동일하게 축 회전하되 상기 회전판과 이격된 외곽판; 및
    상기 회전판과 외곽판 사이에서 회전없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 및 외곽판과 함께 에어 흡입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에어 흡입공간 외의 상기 회전판과 외곽판 사이의 나머지 이격 공간을 통한 상기 에어홀로의 에어 흡입을 차단하며, 상기 회전판과 외곽판의 회전에 따른 상기 둘레의 회전 영역을 상기 흡착구간과 비흡착구간으로 나누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에어 흡입공간 외의 상기 회전판과 외곽판 사이의 상기 나머지 이격 공간을 통한 상기 에어홀로의 에어 흡입을 차단하는 차단 평판; 및 회전판 및 외곽판과 함께 상기 에어 흡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 평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 및 외곽판 각각의 둘레에 설치된 탄성재질의 밴드에 의해, 상하부 개방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흡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은 상기 흡착홈 사이를 통해 상기 각 회전드럼의 상기 비흡착구간의 외곽에 형성된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드럼의 상부에 상기 제1 회전드럼과 이격되게 상기 제2 회전드럼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드럼의 흡착구간보다 상기 제2 회전드럼의 흡착구간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드럼의 흡착구간은 수직 반원의 호이고,
    상기 제2 회전드럼의 흡착구간은 상기 제1 회전드럼의 흡착구간이 끝나는 지점부터 내각이 180°초과 270°미만인 부채꼴의 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상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의 상기 흡착구간 외곽에 2세트가 설치되되, 상기 약품의 상면 및 하면의 각인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의 상기 흡착구간 외곽에 2세트가 설치되되, 상기 약품의 상하면 및 4 측방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유닛;을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유닛의 각 세트는: 상기 각 회전드럼의 상기 흡착구간 외곽에 설치되되 중심부에 촬상용 홀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용 홀 내부면에 설치된 LED 광원에 의해 상기 약품의 표면을 비추는 제1 LED 조명기; 및 상기 제1 LED 조명기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촬상용 홀을 통해 상기 약품의 상면 또는 하면의 각인 영상을 촬영하는 각인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유닛의 각 세트는: 상기 각 회전드럼의 상기 흡착구간 외곽에 설치되되 중심부에 촬상용 홀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용 홀 주위에 설치된 LED 광원에 의해 상기 약품의 표면 및 2방향 측면을 비추는 제2 LED 조명기; 상기 제2 LED 조명기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약품의 서로 반대되는 2방향 측면으로 상기 LED 광원의 조명을 제공하고 상기 2방향 측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2대의 측면 카메라로 제공하는 2대의 반사 미러; 상기 제2 LED 조명기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촬상용 홀을 통해 상기 약품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 및 상기 제2 LED 조명기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2대의 반사 미러에서 반사되는 상기 약품의 2방향 측면의 영상을 상기 촬상용 홀을 통해 촬영하는 2대의 측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품 배출유닛은:
    상기 약품 표면의 불량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불량 약품을 에어로 블로윙하는 제1 에어 블로어;
    상기 제1 에어 블로어에 의해 상기 둘레로부터 떨어진 상기 불량 약품을 분리 배출시키는 불량 배출구; 및
    상기 약품 표면의 양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드럼에 의해 흡착 이송되다가 상기 비흡착구간에 들어서는 양품 약품을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양품 배출구;를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약품 배출유닛은:
    상기 약품 표면의 양부 판단이 누락되어 상기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누락품 약품을 에어로 블로윙하는 제2 에어 블로어; 및
    상기 제2 에어 블로어에 의해 상기 둘레로부터 떨어진 상기 누락품 약품을 분리 배출시키는 누락품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10. 청구항 1 내지 9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상기 촬상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약품 외관의 양부를 판단하고, 상기 양부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약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약품 배출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11. 청구항 1 내지 9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상기 제1 회전드럼이 설치된 제1 수직 지지판 및 상기 제2 회전드럼이 설치된 제2 수직 지지판이 상하로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지지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판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지지판에는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석션홀이 구비된 석션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각 회전드럼에 형성되되 막히지 않은 에어홀을 통해 상기 흡착구간을 지나는 상기 각 회전드럼의 둘레의 일 구간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13. 청구항 1 내지 9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상기 제1 회전드럼으로 상기 약품을 공급하는 상기 약품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약품 공급유닛은 상기 제1 회전드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드럼의 직하부에서 상기 제1 회전드럼으로 상기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
KR1020120110981A 2012-10-05 2012-10-05 약품 외관 검사장치 KR10140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81A KR101404868B1 (ko) 2012-10-05 2012-10-05 약품 외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81A KR101404868B1 (ko) 2012-10-05 2012-10-05 약품 외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700A true KR20140044700A (ko) 2014-04-15
KR101404868B1 KR101404868B1 (ko) 2014-06-27

Family

ID=5065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81A KR101404868B1 (ko) 2012-10-05 2012-10-05 약품 외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8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499A1 (ko) * 2014-10-17 2016-04-21 신용관 약품 하이브리드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KR20160002746U (ko) * 2015-01-29 2016-08-08 신용관 약품검사기용 디스크
KR101667532B1 (ko) * 2015-04-15 2016-10-21 (주)엔클로니 정제외관 검사장치
CN110045072A (zh) * 2019-04-19 2019-07-23 禄根仪器(镇江)有限公司 一种药物吸收系统及其吸收取样方法
KR20190127494A (ko) 2018-05-04 2019-11-13 (주)에스엘티지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KR20220155536A (ko) * 2021-05-14 2022-11-23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약품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404B1 (ko) * 2015-04-17 2017-05-24 (주)엔클로니 정제 검사 장치
KR102271342B1 (ko) 2020-06-15 2021-06-3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캡슐검사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601A (ja) * 1998-04-22 1999-11-02 Takenaka Komuten Co Ltd 錠剤検査計数充填機
JP4035679B2 (ja) * 1999-07-23 2008-01-23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4362239B2 (ja) 2001-02-05 2009-11-11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KR101218764B1 (ko) * 2010-08-23 2013-01-0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499A1 (ko) * 2014-10-17 2016-04-21 신용관 약품 하이브리드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US10782250B2 (en) 2014-10-17 2020-09-22 Yong-Kwan Shin Hybrid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for dosage
KR20160002746U (ko) * 2015-01-29 2016-08-08 신용관 약품검사기용 디스크
KR101667532B1 (ko) * 2015-04-15 2016-10-21 (주)엔클로니 정제외관 검사장치
KR20190127494A (ko) 2018-05-04 2019-11-13 (주)에스엘티지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CN110045072A (zh) * 2019-04-19 2019-07-23 禄根仪器(镇江)有限公司 一种药物吸收系统及其吸收取样方法
CN110045072B (zh) * 2019-04-19 2023-12-05 禄根仪器(镇江)有限公司 一种药物吸收系统及其吸收取样方法
KR20220155536A (ko) * 2021-05-14 2022-11-23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약품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868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868B1 (ko) 약품 외관 검사장치
TWI458963B (zh) The inspection device and the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of the inspection object
KR101669596B1 (ko) 정제 자동검사장치
JP3846532B2 (ja)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該側面検査装置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S60114708A (ja) 固形製剤の搬送装置
KR101738404B1 (ko) 정제 검사 장치
KR20200024799A (ko)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20210127646A (ko)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102324884B1 (ko)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JP2008008897A (ja)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JP2004361223A (ja) キャップの外観検査装置
JP2007039142A (ja) 搬送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JP2000097865A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KR102257955B1 (ko)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KR101726809B1 (ko)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JPH082655A (ja) 容器整列装置
JP7023216B2 (ja) 錠剤印刷装置
KR20220136994A (ko) 캡슐의 외관검사장치
JPH10170446A (ja) 錠剤の姿勢変換機構及び錠剤の外観検査装置
KR101700857B1 (ko) 다수 렌즈 공급용 렌즈 피더
JP2008039645A (ja) 小物品の外観検査方法および外観検査装置
KR101771029B1 (ko) 불량 라벨의 분류를 위한 라벨 검사장치
KR20130023905A (ko) 정제 검사방법 및 장치
KR102326139B1 (ko) 포켓피더가 적용된 공캡슐 검사용 약품 정렬장치
JP2669922B2 (ja) カプセルの目視検査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