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955B1 -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955B1
KR102257955B1 KR1020180052173A KR20180052173A KR102257955B1 KR 102257955 B1 KR102257955 B1 KR 102257955B1 KR 1020180052173 A KR1020180052173 A KR 1020180052173A KR 20180052173 A KR20180052173 A KR 20180052173A KR 102257955 B1 KR102257955 B1 KR 102257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adsorption
unit
belt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494A (ko
Inventor
이구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엘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엘티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엘티지
Priority to KR102018005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9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각 둘레를 따라 형성된 흡착 슬릿이 구비된 제1 및 제2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되, 제1 회전드럼은 물품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형물품들의 일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하고 제2 회전드럼은 제1 회전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소형물품들의 타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하는, 회전드럼유닛;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둘레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벨트를 구비하되, 각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각 회전드럼에 감겨지고 흡착에 의해 벨트에 안착된 소형물품들을 이송하는 흡착이송구간 및 각 회전드럼의 둘레로부터 떨어져 흡착 영향력을 벗어나 벨트에 안착된 소형물품들을 이송하는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는, 회전벨트유닛; 각 회전드럼의 외곽에 설치된 다수 카메라를 구비하여 흡착이송구간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소형물품들의 외관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유닛; 외관 영상을 판독하여 소형물품들의 양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 및 제어유닛의 양부 판단에 따른 제어에 따라, 제2 회전드럼 및 제2 회전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소형물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물품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PPEARANCE OF SMALL ARTICLES}
본 발명은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물품을 흡착시켜 소형물품의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나 캡슐 등의 약품은 검사장치에 의한 외관 검사과정을 거친 후에 제품으로 최종 출하된다. 외관 검사 과정에서, 표면 불량, 모서리 불량, 각인 불량 등과 같은 흠결을 검사한다. 약품 외의 소형물품도 약품과 마찬가지로 외관 검사가 요구될 수 있다.
통상, 소형물품 외관 검사 장치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제(tablet) 또는 캡슐 등의 약품과 같은 소형물품을 촬영하여 표면의 영상을 얻고, 이것을 분석하여 흠결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소형물품 공급유닛,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회전드럼유닛, 소형물품의 촬영을 위한 다수의 카메라 및 조명유닛, 카메라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처리하고 흠결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유닛 등을 포함한다.
이때, 종래의 외관 검사장치는 물품공급장치로부터 정제약과 같은 소형물품을 전달받아 흡착시켜 회전이송하는 하부 회전드럼과 하부 회전드럼으로부터 정제약 등을 전달받아 흡착시켜 회전이송하는 상부 회전드럼을 포함하고 각 회전드럼의 둘레에 정제약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홈 내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하부 회전드럼과 상부 회전드럼 사이의 정제약 등의 소형물품의 전달과정은 회전드럼 구조 상 점 접촉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하부 회전드럼에 흡착된 정제약 등이 하부 회전드럼 상단에 위치 시에 상부 회전드럼의 하단에 흡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검사대상물품이 하부 회전드럼의 상단과 상부 회전드럼의 하단에 동시에 위치되는 지점에서만 점 접촉에 의한 흡착 전달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부 드럼에서 상부 드럼으로의 전달과정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과도한 흡착력이 요구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6959호 (2001년 7월 1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632호 (2012년 3월 5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4700호 (2014년 4월 15일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외관검사대상인 소형물품을 하부 드럼에서 상부 드럼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점 접촉이 아닌 하부 드럼의 전달구간과 상부 드럼의 전달 구간 사이에 구간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는 회전벨트를 구비하여, 전달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이 이루어지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각 둘레를 따라 형성된 흡착 슬릿이 구비된 제1 및 제2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되, 제1 회전드럼은 물품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형물품들의 일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하고 제2 회전드럼은 제1 회전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소형물품들의 타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하는, 회전드럼유닛;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둘레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벨트를 구비하되, 각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각 회전드럼에 감겨지고 흡착에 의해 벨트에 안착된 소형물품들을 이송하는 흡착이송구간 및 각 회전드럼의 둘레로부터 떨어져 흡착 영향력을 벗어나 벨트에 안착된 소형물품들을 이송하는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는, 회전벨트유닛; 각 회전드럼의 외곽에 설치된 다수 카메라를 구비하여 흡착이송구간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소형물품들의 외관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유닛; 외관 영상을 판독하여 소형물품들의 양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 및 제어유닛의 양부 판단에 따른 제어에 따라, 제2 회전드럼 및 제2 회전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소형물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물품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회전벨트의 비흡착이송구간과 제2 회전벨트의 비흡착이송구간이 상하부로 중첩되는 구간에서 소형물품들의 전달을 위해 송형물품들과 점 접촉이 아닌 중첩구간에 의한 구간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제1 회전드럼의 상사점부터 제2 회전드럼의 하사점의 직하부를 지난 수평위치 대응지점까지 제1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고, 제2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제1 회전드럼의 상사점의 직상부 이전 수평위치 대응지점부터 제2 회전드럼의 하사점까지 제2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고,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비흡착이송구간이 상하부로 중첩되는 구간에서 소형물품들이 제1 및 제2 회전벨트에 의해 일측 면과 타측 면이 지지되며 이송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중심축 수평위치는 중첩되는 구간에서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1 회전드럼의 중심축 수평위치가 앞서고 제2 회전드럼의 중심축 수평위치가 뒤따르되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가로 직경폭 구간 중 중첩구간 내에 위치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제1 회전드럼의 가로 직경폭 구간 내 수평위치 대응지점부터 제1 회전드럼의 하사점까지 제3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고, 제3 비흡착이송구간은 물품공급유닛의 물품 공급면과 평행하고, 제2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제2 회전드럼의 상사점 내지 상사점을 지난 지점부터 제2 회전드럼의 가로 직경폭 구간 내 수평위치 대응지점까지 제4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고, 제4 비흡착이송구간은 수평 내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회전벨트 각각은 흡착 슬릿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이격된 2열 벨트로 이루어져 2열 벨트 사이에 소형물품들이 안착되고, 비흡착이송구간 각각의 일단 측은 각 회전드럼의 둘레에서 떨어진 외곽에 설치된 아이들풀리에 감기도록 형성되고, 아이들풀리의 중심축 수평위치는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가로 직경폭 구간 중 중첩구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제1 회전드럼이 설치된 제1 수직지지판 및 제2 회전드럼이 설치된 제2 수직지지판이 상하로 형성되되 제1 및 제2 회전드럼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판유닛; 및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에 구비된 다수의 석션홀을 통해 흡착 슬릿으로 흡착력을 제공하는 석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회전드럼은 서로 반대로 회전하고, 각 회전드럼은 각 수직지지판 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석션홀을 통한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내측 회전판 및 내측 회전판과 사이에 내부이격공간을 형성하며 내측 회전판과 동일하게 축 회전하는 외측 회전판을 포함하고, 흡착 슬릿은 내부이격공간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고, 흡착 슬릿, 에어홀 및 석션홀을 통해 석션유닛으로 에어가 흡입되며 흡착이송구간의 벨트 상에 소형물품들의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다수의 석션홀은 제1 및 제2 회전드럼의 각 중심축과 흡착이송구간에 의해 형성되는 호에 대응하는 각 수직지지판의 호 대응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물품배출유닛은: 제어유닛의 불량 판단에 따른 제어에 따라 제2 회전벨트 상에서 이송되고 있는 외관 불량품을 에어로 블로윙하는 에어 블로어; 에어 블로어에 의해 제2 회전벨트 상에서 떨어지는 외관 불량품을 배출시키는 불량품 배출구; 및 제2 회전벨트 상에서 에어 블러어에 의한 불량품 분리구간을 통과한 외관 양품을 제2 회전벨트로부터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양품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촬상유닛은, 제1 및 제2 회전벨트의 각 흡착이송구간의 외곽에 각각 설치되되 이송되는 각 소형물품의 일측 면과 타측 면인 상하면을 촬영하는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 및 제1 및 제2 회전벨트의 각 흡착이송구간의 외곽에 각각 설치되되 각 소형물품의 측면을 촬영하는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 각각은 각 흡착이송구간의 외곽에 설치되어 각 소형물품의 흡착 반대면을 비추는 제1 LED 조명기 및 제1 LED 조명기에 의해 비춰진 각 소형물품의 흡착 반대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 각각은 이송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 각각에 뒤따르도록 각 흡착이송구간의 외곽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 각각은 제2 LED 조명기, 제2 LED 조명기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 각 소형물품의 측면으로 제공하고 각 소형물품의 측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재반사시키는 미러유닛 및 미러유닛에서 재반사된 반사광으로부터 각 소형물품의 측면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제1 회전드럼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드럼에 흡착되는 소형물품들을 공급하는 물품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소형물품들은 정제 또는 캡슐 타입 약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관검사대상인 소형물품을 하부 드럼에서 상부 드럼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점 접촉이 아닌 하부 드럼의 전달구간과 상부 드럼의 전달 구간 사이에 구간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는 회전벨트를 구비하여, 전달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하부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상부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정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하부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상부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정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회전드럼유닛(10), 회전벨트유닛(30), 촬상유닛(50),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 및 물품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지지판유닛(20) 및 석션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물품공급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드럼유닛(10)은 각 둘레를 따라 형성된 흡착 슬릿(15a)이 구비된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제1 회전드럼(10a)은 물품공급유닛(9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일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하고, 제2 회전드럼(10b)은 제1 회전드럼(10a)으로부터 전달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타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한다. 회전벨트유닛(30)은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각각의 둘레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를 구비하고, 이때, 각 회전벨트(30a, 30b)는 회전에 따라 각 회전드럼(10a, 10b)에 감겨지고 흡착에 의해 벨트에 안착된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을 이송하는 흡착이송구간(31, 31a, 31b) 및 각 회전드럼(10a, 10b)의 둘레로부터 떨어져 흡착 영향력을 벗어나 벨트에 안착된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을 이송하는 비흡착이송구간(33, 33a, 33b)을 형성한다. 촬상유닛(50)은 각 회전드럼(10a, 10b)의 외곽에 설치된 다수 카메라를 구비하여 흡착이송구간(31, 31a, 31b)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외관 영상을 획득한다.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외관 영상을 판독하여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양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물품배출유닛(70)은,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의 양부 판단에 따른 제어에 따라, 제2 회전드럼(10b) 및 제2 회전벨트(30b)에 의해 이송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킨다.
이때,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회전벨트(30a)의 비흡착이송구간과 제2 회전벨트(30b)의 비흡착이송구간이 상하부로 중첩되는 구간에서 소형물품들의 전달을 위해 송형물품들과 점 접촉이 아닌 중첩구간에 의한 구간 접촉이 이루어진다.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에서 검사되는 소형물품(도시되지 않음)은 공정이나 필요에 따라 외관 검사에 필요한 물품으로 회전드럼유닛(10)의 흡착에 의해 흡착 이송되며 촬영될 수 있다. 예컨대, 소형물품(도시되지 않음)은 정제 또는 캡슐 타입 약품일 수 있다. 소형물품이 정제약인 경우 통상 일면과 타면의 구분이 명확해지나, 원통형 캡슐인 경우에는 일면과 타면이 불명확하므로, 소형물품의 일측 면은 제1 회전드럼(10a)에 의해 흡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소형물품의 타측 면은 제2 회전드럼(10b)에 의해 흡착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분말을 제외한 고형 약품은 정제와 캡슐이 있고, 캡슐은 하드캡슐과 소프트캡슐이 있다. 이러한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은 약품은 외관이 훼손되는 경우 용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각인이나 다른 인쇄로 표시된 부분이 훼손되는 경우 약품 식별이 어려워 잘못 처방되거나 복용될 위험 등이 있으므로, 외관에 대한 검사가 중요하다. 실시예에 따라, 정제 또는 캡슐 타입 약품 외의 소형물품도 외관 검사가 요구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들을 회전드럼유닛(10), 회전벨트유닛(30), 촬상유닛(50),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 물품배출유닛(70), 지지판유닛(20), 석션유닛(40) 및 물품공급유닛(90) 순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각 구성들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로의 변형 내지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드럼유닛(10)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회전드럼유닛(10)을 살펴본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예에 따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의 회전드럼유닛(10)의 일부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회전드럼유닛(10)은 각 둘레를 따라 형성된 흡착 슬릿(15a)이 구비된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으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드럼(10a)은 물품공급유닛(90)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일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한다. 제2 회전드럼(10b)은 제1 회전드럼(10a)으로부터 전달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타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한다. 예컨대, 이때,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은 서로 반대로 회전한다. 예컨대, 각 회전드럼(10a, 10b)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흡착 슬릿(15a)은 각 회전드럼(10a, 10b)의 후술되는 내측 및 외측 회전판(11, 13)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이격공간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이격공간은 내측 및 외측 회전판(11, 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예컨대, 각 회전드럼(10a, 10b)은 흡착 슬릿(15a)을 통해 에어를 흡입하여 소형물품의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소형물품을 흡착시켜 회전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물인 소형물품의 외관의 양부 판단의 난이도나 필요 시간에 따라 소형물품의 공급 속도를 고려할 필요없이 소형물품의 공급이 적체되지 않는 범위에서 각 회전드럼(10a, 10b)의 회전속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회전드럼유닛(10)은 소형물품이 일정한 공급 간격이 유지되도록 공급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은 후술되는 지지판유닛(20)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은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20a, 20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a 내지 3b를 참조하여 각 회전드럼(10a, 10b)을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서, 각 회전드럼(10a, 10b)은 내측 회전판(11)과 외측 회전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회전판(11)은 각 수직지지판(20a, 20b) 측에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각 수직지지판(20a, 20b)에 형성된 다수의 석션홀(21)을 통한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측 회전판(11)에 다수의 에어홀(11a)이 형성된다. 즉, 다수의 에어홀(11a)이 형성된 내측 회전판(11) 후방의 수직지지판(20a, 20b)에 다수의 석션홀(21)이 형성되고, 각 회전드럼(10a, 10b)의 회전에 따라 내측 회전판(11)이 회전하며 다수의 에어홀(11a)의 일부가 석션홀(21)과 연통되며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석션홀(21)은 후술되는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의 흡착이송구간(31, 31a, 31b)에서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흡착이송구간(31, 31a, 31b)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비이송구간(34)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회전판(13)은 내측 회전판(11)과 사이에 내부이격공간을 형성하며 내측 회전판(11)과 동일하게 축 회전한다. 이때, 각 회전드럼(10a, 10b)의 흡착 슬릿(15a)은 내부이격공간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각 회전드럼(10a, 10b)의 흡착 슬릿(15a), 내측 회전판(11)의 에어홀(11a) 및 각 수직지지판(20a, 20b)의 석션홀(21)을 통해 후술되는 석션유닛(40)으로 에어가 흡입되며 각 회전벨트(30a, 30b)의 흡착이송구간(31, 31a, 31b) 상에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전드럼(10a)은 후술되는 물품공급유닛(90)의 물품공급면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1 회전드럼(10a) 상부에 제2 회전드럼(1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사이의 수직 간격은 후술되는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의 제1 및 제2 비흡착이송구간(33a, 33b) 사이의 거리이다.
회전벨트유닛(30)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회전벨트유닛(30)을 살펴본다. 회전벨트유닛(30)은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각각의 둘레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를 구비한다. 각 회전벨트(30a, 30b)는 회전에 따라 각 회전드럼(10a, 10b)에 감겨지고 흡착에 의해 벨트에 안착된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을 이송하는 흡착이송구간(31, 31a, 31b) 및 각 회전드럼(10a, 10b)의 둘레로부터 떨어져 흡착 영향력을 벗어나 벨트에 안착된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을 이송하는 비흡착이송구간(33, 33a, 33b)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 각각은 흡착이송구간(31, 31a, 31b) 및 비흡착이송구간(33) 외에 비이송구간(34)을 형성할 수 있다. 비이송구간(34)은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간이다. 예컨대,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 각각은 2개의 비흡착이송구간(33a 내지 33d)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 각각은 2열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 각각은 소형물품들을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홀이 형성된 하나의 벨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a, 3b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회전벨트(30a)는 회전에 따라 제1 흡착이송구간(31a)과 제1 비흡착이송구간(33a)을 형성한다. 제1 흡착이송구간(31a)은 제1 회전드럼(10a)에 감겨지고 제1 회전드럼(10a)의 흡착에 의해 제1 회전벨트(30a)에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어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구간이다. 제1 회전벨트(30a)는 회전에 따라 제1 회전드럼(10a)의 상사점부터 제2 회전드럼(10b)의 하사점의 직하부를 지난 수평위치 대응지점까지 제1 비흡착이송구간(33a)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제1 비흡착이송구간(33a) 중 제2 회전드럼(10b)의 하사점의 직하부에 대응하는 수평위치 지점을 지난 구간에서는 소형물품들이 이미 제2 회전드럼(10b)의 제2 흡착이송구간(31b)으로 전달되었기 때문에 소형물품들이 남아있지 않고 이미 이송이 완료되어 있다. 예컨대, 제1 비흡착이송구간(33a)은 제1 흡착이송구간(31a)을 뒤따라 형성된 구간이다.
또한, 도 3a, 3b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 회전벨트(30b)는 회전에 따라 제2 흡착이송구간(31b)과 제2 비흡착이송구간(33b)을 형성한다. 제2 흡착이송구간(31b)은 제2 회전드럼(10b)에 감겨지고 제2 회전드럼(10b)의 흡착에 의해 제2 회전벨트(30b)에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어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구간이다. 예컨대, 제2 흡착이송구간(31b)은 제2 비흡착이송구간(33b)에 뒤따라 형성된 구간이다. 제2 회전벨트(30b)는 회전에 따라 제1 회전드럼(10a)의 상사점의 직상부 이전 수평위치 대응지점부터 제2 회전드럼(10b)의 하사점까지 제2 비흡착이송구간(33b)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제2 비흡착이송구간(33b) 중 제1 회전드럼(10a)의 상사점의 직상부에 대응하는 수평위치 지점 이전 구간에서는 소형물품들을 아직 제1 회전드럼(10a)의 제1 흡착이송구간(31a)으로부터 전달받지 못하고 제2 비흡착이송구간(33b) 중 제1 회전드럼(10a)의 상사점의 직상부에 대응하는 수평위치 지점부터 소형물품들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비흡착이송구간(33a, 33b)이 상하부로 중첩되는 구간에서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이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에 의해 일측 면과 타측 면이 지지되며 이송된다.
예컨대, 도 3a, 3b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비흡착이송구간(33a, 33b)을 구속하는 제1 회전드럼(10a)의 상사점과 제2 회전드럼(10b)의 하사점은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의 중심축 수평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각각의 중심축 수평위치는 제1 및 제2 비흡착이송구간(33a, 33b)이 상하부로 중첩되는 구간에서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1 회전드럼(10a)의 중심축 수평위치가 앞서고 제2 회전드럼(10b)의 중심축 수평위치가 뒤따르되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각각의 가로 직경폭 구간 중 중첩구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회전벨트(30a)는 제3 비흡착이송구간(33c)을 더 형성하고, 제2 회전벨트(30b)는 제4 비흡착이송구간(33d)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제1 회전벨트(30a)는 회전에 따라 제1 회전드럼(10a)의 가로 직경폭 구간 내 수평위치 대응지점부터 제1 회전드럼(10a)의 하사점까지 제3 비흡착이송구간(33c)을 형성한다. 이때, 제3 비흡착이송구간(33c)은 물품공급유닛(90)의 물품 공급면과 평행하다. 예컨대, 제3 비흡착이송구간(33c)에 뒤따라 제1 흡착이송구간(31a) 및 제1 비흡착이송구간(33a)이 연속 형성된다.
도 3a 내지 3b를 참조하면, 제2 회전벨트(30b)는 회전에 따라 제2 회전드럼(10b)의 상사점 내지 상사점을 지난 지점부터 제2 회전드럼(10b)의 가로 직경폭 구간 내 수평위치 대응지점까지 제4 비흡착이송구간(33d)을 형성한다. 이때, 제4 비흡착이송구간(33d)은 수평 내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2 회전벨트(30b) 상에 제2 비흡착이송구간(33b), 제2 흡착이송구간(31b) 및 제4 비흡착이송구간(33d)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도 1 내지 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 각각은 흡착 슬릿(15a)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이격된 2열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2열 벨트 사이에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각 회전벨트(30a, 30b)의 비흡착이송구간(33) 각각의 일단 측은 각 회전드럼(10a, 10b)의 둘레에서 떨어진 외곽에 설치된 아이들풀리(35)에 감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이들풀리(35)의 중심축 수평위치는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각각의 가로 직경폭 구간 중 중첩구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촬상유닛(50)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촬상유닛(50)을 살펴본다. 촬상유닛(50)은 각 회전드럼(10a, 10b)의 외곽에, 예컨대 각 회전벨트(30a, 30b)의 흡착이송구간(31a, 31b)의 외곽에 설치된 다수 카메라를 구비한다. 이때, 촬상유닛(50)은 각 회전벨트(30a, 30b)의 흡착이송구간(31a, 31b)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외관 영상을 획득한다. 예컨대, 촬상유닛(50)은 후술되는 지지판유닛(20) 상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촬상유닛(50)은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50a, 50b)과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50c, 5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50a, 50b)은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의 각 흡착이송구간(31a, 31b)의 외곽에 각각 설치되되 이송되는 각 소형물품(도시되지 않음)의 일측 면과 타측 면인 상하면을 촬영한다.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50c, 50d)은 제1 및 제2 회전벨트(30a, 30b)의 각 흡착이송구간(31a, 31b)의 외곽에 각각 설치되되 각 소형물품(도시되지 않음)의 측면을 촬영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50a, 50b) 각각은 제1 LED 조명기(53a) 및 제1 카메라유닛(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50a, 50b) 각각의 제1 LED 조명기(53a)는 각 흡착이송구간(31a, 31b)의 외곽에 설치되어 각 소형물품(도시되지 않음)의 흡착 반대면을 비춘다.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50a, 50b) 각각의 제1 카메라유닛(51)은 제1 LED 조명기(53a)에 의해 비춰진 각 소형물품(도시되지 않음)의 흡착 반대면을 촬영한다. 예컨대, 제1 카메라유닛(51) 각각은 2대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음영구역이 없도록 흡착 반대면을 촬영한다.
이때,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50c, 50d) 각각은 이송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50a, 50b) 각각에 뒤따르도록 각 흡착이송구간(31a, 31b)의 외곽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50c, 50d) 각각은 제2 LED 조명기(53b), 미러유닛(55) 및 제2 카메라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LED 조명기(53b)는 소형물품을 조명하기 위한 LED광을 조사한다.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50c, 50d) 각각의 미러유닛(55)은 제2 LED 조명기(53b)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 각 소형물품의 측면으로 제공하고 각 소형물품의 측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재반사시킨다.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50c, 50d) 각각의 제2 카메라유닛(도시되지 않음)은 미러유닛(55)에서 재반사된 반사광으로부터 각 소형물품의 측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각 소형물품의 측면 영상은 4방향 측면 영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전드럼(10a) 외곽에, 구체적으로 제1 회전벨트(30a)의 제1 흡착이송구간(31a)의 외곽에서 회전방향을 따라 제1 상하면촬상유닛(50a, 50b) 및 제1 측면촬상유닛(50c, 50d)이 배치되고, 제2 회전드럼(10b) 외곽에, 구체적으로 제2 회전벨트(30b)의 제2 흡착이송구간(31b)의 외곽에 회전방향을 따라 제2 상하면촬상유닛(50a, 50b) 및 제2 측면촬상유닛(50c, 50d)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유닛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유닛은 촬상유닛(50)에 의해 획득된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외관 영상을 판독하여 소형물품들의 양부를 판단한다.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의 양부 판단에 따라 물품배출유닛(70)에서 불량품과 양품이 분리되며 배출되도록 제어된다.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외관 영상판독은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작동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물품배출유닛(70)
도 1, 2, 3b 및 4를 참조하여 물품배출유닛(70)을 살펴본다. 물품배출유닛(70)은, 제어유닛의 양부 판단에 따른 제어에 따라, 제2 회전드럼(10b) 및 제2 회전벨트(30b)에 의해 이송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킨다. 예컨대, 물품배출유닛(70)은 후술되는 지지판유닛(20)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 2, 3b 및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물품배출유닛(70)은 에어 블로어(도시되지 않음), 불량품 배출구(71) 및 양품 배출구(7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블로어(도시되지 않음)는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의 불량 판단에 따른 제어에 따라 제2 회전벨트(30b) 상에서 이송되고 있는 외관 불량품을 에어로 블로윙한다. 예컨대, 에어 블로어(도시되지 않음)는 제2 회전드럼(10b)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예컨대 제2 수직지지판(20b)의 배면 상에서 수직위치가 제2 회전드럼(10b)의 상부측 대응위치에 형성되어, 제2 회전드럼(10b)의 상사점 구간에서 제2 회전벨트(30b) 상에 흡착된, 예컨대 제2 흡착이송구간(31b)의 상사점 구간에 흡착된, 외관 불량품이나 또는 제2 회전벨트(30b)의 제4 비흡착이송구간(33d) 상에서 이송되는 외관 불량품을 에어로 블로윙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 블로어(도시되지 않음)는 후술되는 제2 수직지지판(20b)에 형성된 블로윙홀을 통해 에어를 제2 흡착이송구간(31b)의 상사점 구간 내지 제4 비흡착이송구간(33d)의 외관 불량품으로 블로윙할 수 있다.
불량품 배출구(71)는 에어 블로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2 회전벨트(30b) 상에서 떨어지는 외관 불량품을 배출시킨다. 그리고 양품 배출구(73)는 제2 회전벨트(30b) 상에서 에어 블러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불량품 분리구간을 통과한 외관 양품을 제2 회전벨트(30b)로부터 전달받아 배출시킨다. 예컨대, 양품 배출구(73)는 제4 비흡착이송구간(33d)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유닛(20)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지지판유닛(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유닛(20)은 제1 회전드럼(10a)이 설치된 제1 수직지지판(20a) 및 제2 회전드럼(10b)이 설치된 제2 수직지지판(20b)이 상하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사이의 간격은 피검사물인 소형물품(도시되지 않음)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때,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20a, 2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사이의 간격은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20a, 20b)의 배면에 설치된 샤프트를 따라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20a, 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하 이동하며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20a, 20b)의 전면에는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 촬상유닛(50), 아이들풀리(35), 불량품 배출구(71), 양품 배출구(73) 등이 설치될 수 있고, 배면에는 에어 블로어(도시되지 않음),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촬상유닛(50)에 연결되는 전원 및 케이블,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 후술되는 석션유닛(4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석션유닛(40)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석션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석션유닛(40)은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20a, 20b)에 구비된 다수의 석션홀(21)을 통해 흡착 슬릿(15a)으로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다수의 석션홀(21)은 제1 및 제2 회전드럼(10a, 10b)의 각 중심축과 흡착이송구간(31a, 31b)에 의해 형성되는 호에 대응하는 각 수직지지판(20a, 20b)의 호 대응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물품공급유닛(90)
또한,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물품공급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품공급유닛(90)은 제1 회전드럼(10a)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드럼(10a)에 흡착되는 소형물품들(도시되지 않음)을 공급한다. 예컨대, 물품공급유닛(90)에서 공급되는 소형물품은 제1회전드럼에 감긴 제1 회전벨트(30a)의 제1 흡착이송구간(31a) 상에 흡착되어 제1 회전드럼(10a)의 회전에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회전드럼유닛 10a: 제1 회전드럼
10b: 제2 회전드럼 11: 내측 회전판
11a: 에어홀 13: 외측 회전판
15a: 흡착 슬릿 20: 지지판유닛
20a: 제1 수직지지판 20b: 제2 수직지지판
21: 석션홀 30: 회전벨트유닛
30a: 제1 회전벨트 30b: 제2 회전벨트
31, 31a, 31b: 흡착이송구간 33, 33a~33d: 비흡착이송구간
35: 아이들풀리 40: 석션유닛
50: 촬상유닛 50a, 50b: 상하면촬상유닛
50c, 50d: 측면촬상유닛 51: 제1 카메라유닛
53a, 53b: LED 조명기 55: 미러유닛
70: 물품배출유닛 71: 불양품 배출구
73: 양품 배출구 90: 물품공급유닛

Claims (12)

  1. 각 둘레를 따라 형성된 흡착 슬릿이 구비된 제1 및 제2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회전드럼은 물품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형물품들의 일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드럼은 상기 제1 회전드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소형물품들의 타측 면을 흡착시켜 회전하는, 회전드럼유닛;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둘레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벨트를 구비하되, 각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각 회전드럼에 감겨지고 흡착에 의해 벨트에 안착된 상기 소형물품들을 이송하는 흡착이송구간 및 상기 각 회전드럼의 둘레로부터 떨어져 흡착 영향력을 벗어나 벨트에 안착된 상기 소형물품들을 이송하는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는, 회전벨트유닛;
    상기 각 회전드럼의 외곽에 설치된 다수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흡착이송구간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소형물품들의 외관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유닛;
    상기 외관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소형물품들의 양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의 양부 판단에 따른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드럼 및 상기 제2 회전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형물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물품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1 회전벨트의 비흡착이송구간과 상기 제2 회전벨트의 비흡착이송구간이 상하부로 중첩되는 구간에서 상기 소형물품들의 전달을 위해 상기 소형물품들과 점 접촉이 아닌 중첩구간에 의한 구간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드럼의 상사점부터 상기 제2 회전드럼의 하사점의 직하부를 지난 수평위치 대응지점까지 제1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드럼의 상사점의 직상부 이전 수평위치 대응지점부터 상기 제2 회전드럼의 하사점까지 제2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비흡착이송구간이 상하부로 중첩되는 구간에서 상기 소형물품들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벨트에 의해 일측 면과 타측 면이 지지되며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중심축 수평위치는 상기 중첩되는 구간에서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회전드럼의 중심축 수평위치가 앞서고 상기 제2 회전드럼의 중심축 수평위치가 뒤따르되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가로 직경폭 구간 중 중첩구간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4.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드럼의 가로 직경폭 구간 내 수평위치 대응지점부터 상기 제1 회전드럼의 하사점까지 제3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비흡착이송구간은 상기 물품공급유닛의 물품 공급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회전벨트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드럼의 상사점 내지 상사점을 지난 지점부터 상기 제2 회전드럼의 가로 직경폭 구간 내 수평위치 대응지점까지 제4 비흡착이송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4 비흡착이송구간은 수평 내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벨트 각각은 상기 흡착 슬릿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이격된 2열 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2열 벨트 사이에 상기 소형물품들이 안착되고,
    상기 비흡착이송구간 각각의 일단 측은 상기 각 회전드럼의 둘레에서 떨어진 외곽에 설치된 아이들풀리에 감기도록 형성되고,
    상기 아이들풀리의 중심축 수평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 각각의 가로 직경폭 구간 중 중첩구간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회전드럼이 설치된 제1 수직지지판 및 상기 제2 회전드럼이 설치된 제2 수직지지판이 상하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판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지지판에 구비된 다수의 석션홀을 통해 상기 흡착 슬릿으로 흡착력을 제공하는 석션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은 서로 반대로 회전하고,
    상기 각 회전드럼은, 각 수직지지판 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석션홀을 통한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내측 회전판 및 상기 내측 회전판과 사이에 내부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 회전판과 동일하게 축 회전하는 외측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슬릿은 상기 내부이격공간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흡착 슬릿, 에어홀 및 석션홀을 통해 상기 석션유닛으로 에어가 흡입되며 상기 흡착이송구간의 벨트 상에 상기 소형물품들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다수의 석션홀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드럼의 각 중심축과 상기 흡착이송구간에 의해 형성되는 호에 대응하는 각 수직지지판의 호 대응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8.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물품배출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의 불량 판단에 따른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벨트 상에서 이송되고 있는 외관 불량품을 에어로 블로윙하는 에어 블로어;
    상기 에어 블로어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벨트 상에서 떨어지는 상기 외관 불량품을 배출시키는 불량품 배출구; 및
    상기 제2 회전벨트 상에서 상기 에어 블로어에 의한 불량품 분리구간을 통과한 외관 양품을 상기 제2 회전벨트로부터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양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9.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촬상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벨트의 각 흡착이송구간의 외곽에 각각 설치되되 이송되는 각 소형물품의 일측 면과 타측 면인 상하면을 촬영하는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벨트의 상기 각 흡착이송구간의 외곽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각 소형물품의 측면을 촬영하는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 각각은 상기 각 흡착이송구간의 외곽에 설치되어 상기 각 소형물품의 흡착 반대면을 비추는 제1 LED 조명기 및 상기 제1 LED 조명기에 의해 비춰진 상기 각 소형물품의 흡착 반대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 각각은 이송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상하면촬상유닛 각각에 뒤따르도록 상기 각 흡착이송구간의 외곽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촬상유닛 각각은, 제2 LED 조명기, 상기 제2 LED 조명기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 상기 각 소형물품의 측면으로 제공하고 상기 각 소형물품의 측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재반사시키는 미러유닛 및 상기 미러유닛에서 재반사된 상기 반사광으로부터 상기 각 소형물품의 측면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11.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회전드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드럼에 흡착되는 상기 소형물품들을 공급하는 물품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12.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소형물품들은 정제 또는 캡슐 타입 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KR1020180052173A 2018-05-04 2018-05-04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KR102257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173A KR102257955B1 (ko) 2018-05-04 2018-05-04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173A KR102257955B1 (ko) 2018-05-04 2018-05-04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494A KR20190127494A (ko) 2019-11-13
KR102257955B1 true KR102257955B1 (ko) 2021-05-28

Family

ID=6853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173A KR102257955B1 (ko) 2018-05-04 2018-05-04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9010B (zh) * 2021-05-18 2022-09-16 郑州轻工业大学 基于机器视觉的零件检测机构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8963A (ja) 2008-02-07 2009-09-17 Ryowa Denshi Kk コンベア反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705U (ja) * 1983-12-22 1985-07-17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円柱状部品の検査装置
JPH01193630A (ja) * 1988-01-28 1989-08-03 Nikka Densoku Kk 粒状物搬送および検査装置
JPH0822688B2 (ja) * 1989-07-05 1996-03-06 ニッカ電測株式会社 粒状物搬送および検査装置
JP4035679B2 (ja) 1999-07-23 2008-01-23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KR101218764B1 (ko) 2010-08-23 2013-01-0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KR101404868B1 (ko) 2012-10-05 2014-06-27 이구현 약품 외관 검사장치
KR101689281B1 (ko) * 2015-04-17 2016-12-27 (주)엔클로니 정제 공급 장치
KR20170017632A (ko) *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
KR102018227B1 (ko) * 2017-06-26 2019-09-04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정제 인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8963A (ja) 2008-02-07 2009-09-17 Ryowa Denshi Kk コンベア反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494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8963B (zh) The inspection device and the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of the inspection object
JP4035679B2 (ja)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3846532B2 (ja)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該側面検査装置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KR101404868B1 (ko) 약품 외관 검사장치
JPH10288583A (ja) 固形製剤の外観検査装置
KR20200024799A (ko)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20210127646A (ko)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102324884B1 (ko)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JP2008008897A (ja)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KR102257955B1 (ko)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JP4310616B2 (ja) 扁平錠剤の外観検査機
JP2004026453A (ja) 多面体検査用フィーダー及び多面体検査装置
JP2000097865A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2007333591A (ja) 検査用照明装置
JP4176390B2 (ja) 搬送装置
JP2005241488A (ja) 直視面と非直視面とを同時に撮影する撮像装置並びにこれを適用した錠剤検査用撮像システム
JP4050942B2 (ja) 外観検査装置
KR20220136994A (ko) 캡슐의 외관검사장치
JP2977640B2 (ja) カプセル検査装置
JP7023216B2 (ja) 錠剤印刷装置
JP5425387B2 (ja) ガラス容器を検査するための機械
JP2011069771A (ja) 樹脂製キャップの照明装置
JP3365545B2 (ja) カプセルの検査方法と装置
JP2017067630A (ja) 外観検査装置
KR101667532B1 (ko) 정제외관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