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532B1 - 정제외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정제외관 검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7532B1 KR101667532B1 KR1020150053187A KR20150053187A KR101667532B1 KR 101667532 B1 KR101667532 B1 KR 101667532B1 KR 1020150053187 A KR1020150053187 A KR 1020150053187A KR 20150053187 A KR20150053187 A KR 20150053187A KR 101667532 B1 KR101667532 B1 KR 101667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t
- tray
- camera
- unit
- photograp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2—Video camer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3—Scanning by mechanical motion of stage
- G01N2201/1035—3D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제1 흡착면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제1 회전트레이; 상기 제1 회전트레이에서 이송된 정제의 제2 흡착면을 흡착하여, 정제를 반전시켜 이송하는 제2 회전트레이; 상기 제1 회전트레이 상의 제1 촬영원점에서 정제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외관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회전트레이 상의 제2 촬영원점에서, 반전 이송된 정제의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2 촬영부;를 포함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제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가 고정되는 부위가 정형화되지 않아, 정제의 공급간격과 무관하게 다수의 정제를 흡착시켜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정제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는 정제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통상적으로, 정제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성분이나 용량으로 인한 불량보다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불량품이 많이 발생 되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부착 또는 오염, 정제 간의 접촉이나 충격에 의한 크랙 또는 부분 손상, 변형이나 인쇄 불량 등과 같은 외관상의 흠결을 검사하는 과정이 요구되었다.
캡슐 또는 타원형이나 원형의 단면을 가진 정제의 외관을 검사하는 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하는 육안검사에서 자동검사장치를 사용하는 자동검사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자동검사를 위한 자동검사장치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것이 제안되었다.
자동검사장치를 사용하여 정제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경우에, 정제의 이송 도중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제를 촬영함으로써 정제의 일측면의 영상을 얻고, 정제의 자세를 반전시켜 이송하는 중에 정제의 타측면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정제의 일측 표면 및 타측 이면의 영상을 처리함으로써 흠결의 존부를 검사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기술의 한 예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51873호에 나타나 있다. 이는 정제의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드럼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정제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홈 내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관 검사장치는 이송드럼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흡착홈에 정제를 공급하기 위해 공급유닛에서 일정한 속도와 간격으로 정제들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송드럼의 회전속도와 공급유닛에서의 공급속도 및 간격을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렵고 복잡해진다. 특히, 정제의 형상 또는 검사의 난이도에 따라 검사속도를 달리하기도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제외관 검사장치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제가 고정되는 부위가 정형화되지 않아, 정제의 공급간격과 무관하게 다수의 정제를 흡착시켜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정제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는 정제외관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흡착방식을 통해 정제를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영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정제의 영상정보의 취득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정제외관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제의 저면을 제외한 외관과, 정제의 저면의 외관을 순차적으로 외관검사하여, 정제의 모든 면의 영상정보가 취득된 후에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정제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비하여, 정제의 불량여부를 연산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정제외관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정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제1 흡착면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제1 회전트레이; 상기 제1 회전트레이에서 이송된 정제의 제2 흡착면을 흡착하여, 정제를 반전시켜 이송하는 제2 회전트레이; 상기 제1 회전트레이 상의 제1 촬영원점에서 정제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외관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회전트레이 상의 제2 촬영원점에서, 반전 이송된 정제의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2 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촬영부는, 경사진 제1 회전트레이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트레이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의 제1 측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정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카메라부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트레이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의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메라부는 상기 제1 카메라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회전트레이 또는 상기 제2 회전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트레이본체; 상기 트레이본체의 둘레방향에 구비되고, 정제가 흡착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 상에 거치되는 이송되는 정제를 흡착하는 흡착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레일은, 상기 트레이본체의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링상의 흡착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트레이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제2 촬영부는, 상기 제1 회전트레이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의 교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트레이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트레이로 반전 이송된 상기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4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카메라부와, 상기 제2 카메라부는, 이송되는 정제의 측면에 배치되어, 정제의 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A방향 카메라; 상기 제1 촬영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A방향 카메라와 상기 제1 회전트레이의 이송면의 연장선상에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제의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한 쌍의 B방향 카메라; 및, 상기 제1 촬영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A방향 카메라와 상기 제1 회전트레이의 이송면의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제의 상면과 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C방향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촬영부는, 상기 제1 회전트레이의 이송면의 상측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정제의 상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3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촬영부에서의 상기 정제의 측면방향 검사는, 상기 A방향 카메라와 상기 B방향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제1 촬영부에서의 상기 정제의 상면향 검사는, 상기 제3 카메라부 또는 상기 C방향 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촬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제는 약품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촬영부에서의 상기 정제의 전후방향 검사는 상기 B방향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제1 촬영부에서의 상기 정제의 상면과 측면방향 검사는 상기 C방향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회전트레이 상의 정제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촬영원점으로 진입하는 정제를 감지하는 정제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제1 촬영부와 상기 제2 촬영부에서 취득된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이송되는 정제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영부에 의해 제1 촬영원점에서 취득된 정제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외관의 영상정보를 먼저 연산하여 정제의 불량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제2 촬영부에 의해 제2 촬영원점에서 취득된 정제의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정제의 불량여부를 2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트레이의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링상의 흡착구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정제가 고정되는 부위가 정형화되지 않아, 정제의 공급간격과 무관하게 다수의 정제를 흡착시켜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정제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트레이에 흡착방식을 통해 정제를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영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정제의 영상정보의 취득시의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제의 저면을 제외한 외관과, 정제의 저면의 외관을 순차적으로 외관검사함으로써, 정제의 모든 면의 영상정보가 취득된 후에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정제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비하여, 정제의 불량여부를 연산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촬영부를 상기 제1 회전트레이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의 교차부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제2 회전트레이 상으로 이송되는 시간을 확보하여 정제의 저면의 영상정보로부터 정제의 저면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제2 회전트레이의 이후에 배치되는 정품정제 수집부와, 불량정제 수집부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외관 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외관 검사장치의 제1 촬영원점에서 제1 촬영부가 정제를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촬영원점에서의 제1 촬영부를 구성하는 제1, 2, 3 카메라부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외관 검사장치의 제2 촬영원점에서 제2 촬영부가 정제를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외관 검사장치의 제1 촬영원점에서 제1 촬영부가 정제를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촬영원점에서의 제1 촬영부를 구성하는 제1, 2, 3 카메라부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외관 검사장치의 제2 촬영원점에서 제2 촬영부가 정제를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외관 검사장치(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외관 검사장치(10)는 제1 회전트레이(200), 제2 회전트레이(300), 제1 촬영부(400) 및, 제2 촬영부(5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정제감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정제(T)의 제1 흡착면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제1 회전트레이(200)와,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에서 이송된 정제(T)의 제2 흡착면을 흡착하여, 정제(T)를 반전시켜 이송하는 제2 회전트레이(300)와,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 상의 제1 촬영원점(P1)에서 정제(T)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외관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1 촬영부(400) 및,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 상의 제2 촬영원점(P2)에서, 반전 이송된 정제(T)의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2 촬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트레이(200)는 정제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정제(T)의 저면인 제1 흡착면을 흡착하여 정제(T)를 고정하여 이송시킬 수 있고, 제2 회전트레이(300)는 정제(T)의 상면을 흡착하여 정제(T)를 고정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T)가 제1 회전트레이(200)와 제2 회전트레이(300)에 흡착방식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영상정보가 취득될 수 있어, 정제(T)의 영상정보의 취득시의 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흡착면은 제1 회전트레이(200)에 흡착되는 정제(T)의 저면이고,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는 제1 회전트레이(200)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의 교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의 저면에 배치된 제2 촬영부(50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트레이(300)는 제1 회전트레이(200)에서 이송된 정제(T)를 반전시켜 이송시킬 수 있고, 제2 회전트레이(300)는 제1 회전트레이(200)에서 이송된 정제(T)의 상면을 흡착하여 정제(T)를 180도 반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T)는 제2 회전트레이(300)에 상면이 흡착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고, 제2 회전트레이(300)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T)의 저면이 촬영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트레이(200)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는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회전트레이(200)와, 2 회전트레이가 경사각을 가지고 배치됨에 따라, 정제외관 검사장치(10)가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트레이(200)와, 2 회전트레이가 경사각을 가지고 배치됨에 따라, 정제(T)의 제1 흡착면이 제1 회전트레이(200)에 흡착된 상태에서, 정제(T)의 제2 흡착면이 제2 회전트레이(300)로 원활하게 흡착되면서 정제(T)가 제1 회전트레이(200)에서 제2 회전트레이(300)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회전트레이(200)와, 2 회전트레이는 상이한 회전반경을 가질 수 있는바, 제1 회전트레이(200)와 제2 회전트레이(300)는 정제(T)가 흡착되는 원주방향 면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촬영부(400)와 제2 촬영부(500)를 구성하는 카메라의 개수와 배치는 비대칭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영부(400)는 제1 회전트레이(200) 상의 제1 촬영원점(P1)에서 정제(T)의 저면인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전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외관상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전면을 포함하는 영역은 정제(T)의 저면을 제외한 정제(T)의 전후면, 좌우면 및, 상면을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촬영부(500)는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 상의 제2 촬영원점(P2)에서,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에서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로 반전 이송된 정제(T)의 저면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부분이다.
제1 회전트레이(200) 상의 제1 촬영원점(P1)에서 정제(T)의 저면을 제외한 영역의 외면을 검사하여 정제(T)의 전면에 가까운 입체적 형상을 우선 연산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하고, 제1 회전트레이(200)와 제2 회전트레이(300)의 교차영역에 인접한 제2 회전트레이(300) 상의 제2 촬영원점(P2)에서 정제(T)의 저면 영역의 외면을 검사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T)의 저면을 제외한 전면에 가까운 입체적 형상을 촬영한 제1 촬영부(400)의 영상정보를 정제(T)가 제1 회전트레이(200)와, 제 2 회전트레이 상으로 이송되는 시간동안 정제(T)의 불량여부를 연산하여 영상정보의 연산을 위한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영부(400)는 제1 카메라부(401) 및, 제2 카메라부(402)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3 카메라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영부(400)는 경사진 제1 회전트레이(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T)의 제1 측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1 카메라부(401)와, 상기 정제(T)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카메라부(401)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T)의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2 카메라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카메라부(402)는 상기 제1 카메라부(401)에 회동가능 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부(402)는 상기 제1 카메라부(401)에 회동가능 하게 장착하는 이유는, 제1 카메라부(401)와 상기 제2 카메라부(402)의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회전트레이(200)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카메라부(401)의 경우에는 정제외관 검사장치(10)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카메라 등의 설비를 보수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카메라부(402)가 제1 회전트레이(200) 상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경우 카메라 등의 설비를 보수가 곤란하다.
따라서, 제2 카메라부(402)는 상기 제1 카메라부(401)에 회동가능 하게 장착하여 제2 카메라부(402)를 제1 회전트레이(200)의 외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등의 설비를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촬영부(500)는, 제1 회전트레이(200)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의 교차영역에서 인접한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 상의 제2 촬영원점(P2)에서 정제(T)의 저면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제2 촬영부(500)는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의 교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로 반전 이송된 상기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4 카메라부(5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카메라부(501)는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의 교차영역인 경계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 회전트레이(300)에 정제(T)의 상면인 제2 흡착면이 흡착된 상태에서 정제(T)의 저면인 제1 흡착면이 촬영될 수 있다.
제1 회전트레이(200)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의 교차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정제(T)의 저면 영역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제2 회전트레이(300) 상으로 이송되는 시간을 확보하여 정제(T)의 저면의 영상정보로부터 정제(T)의 저면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제2 회전트레이(300)의 이후에 배치되는 정품정제(T) 수집부와, 불량정제(T) 수집부로의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4 카메라부(501)는 2D 카메라와 3D 카메라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촬영부(400)와 제2 촬영부(500)를 구성하는 제1 카메라부(401), 제2 카메라부(402), 제3 카메라부(403), 제4 카메라부(501)를 구성하는 카메라의 개수와 배치는 비대칭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부(401)와, 제2 카메라부(402)는 각각 A방향 카메라(410), B방향 카메라(420), C방향 카메라(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부(401)와, 상기 제2 카메라부(402)는, 이송되는 정제(T)의 측면에 배치되어, 정제(T)의 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A방향 카메라(410)와, 상기 제1 촬영원점(P1)을 기준으로, 상기 A방향 카메라(410)와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의 이송면의 연장선상에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제(T)의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한 쌍의 B방향 카메라(420) 및, 상기 제1 촬영원점(P1)을 기준으로, 상기 A방향 카메라(410)와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의 이송면의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제(T)의 상면과 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C방향 카메라(4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 카메라(410)는 A 촬영창(411)을 통해 정제(T)를 촬영하고, B방향 카메라(420)는 B 촬영창(421)을 통해 정제(T)를 촬영하며, C방향 카메라(430)는 C 촬영창(431)을 통해 정제(T)를 촬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 카메라는 제1 회전트레이(200)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정제(T)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정제(T)의 중앙측면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방향 카메라(420)는 제1 촬영원점(P1)을 기준으로 A방향 카메라(410)와 제1 회전트레이(200)의 이송면의 연장선상에서 수평방향으로 20 ~ 30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C방향 카메라(430)는 제1 촬영원점(P1)을 기준으로 A방향 카메라(410)와 제1 회전트레이(200)의 이송면의 수직방향으로 20~30 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B방향 카메라(420), 상기 C방향 카메라(430)는, 개별위치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영부(400)는 상기 제1 회전트레이(200)의 이송면의 상측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정제(T)의 상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3 카메라부(4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카메라부(403)는 정제(T)가 이송되는 제2 회전트레이(300)의 이송경로의 상측에 배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카메라부(403)의 촬영창을 통해 정제(T)의 상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3 카메라부(403)에는 2D 카메라와 3D 카메라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고, 각가의 촬영창이 구비될 수 있다.
정제(T)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정제(T)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측면방향 검사는, 상기 A방향 카메라(410)와 상기 B방향 카메라(420)로 촬영하고, 상기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상면향 검사는, 상기 제3 카메라부(403) 또는 상기 C방향 카메라(430)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측면방향 검사는, 상기 제1 카메라부(401) 및, 상기 제2 카메라부(402)의 상기 A방향 카메라(410)와 상기 B방향 카메라(420)로 촬영하고,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상면방향 검사는, 상기 제3 카메라부(403)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상면검사는, 상기 제3 카메라부(403) 또는 상기 상기 제1 카메라부(401) 및, 상기 제2 카메라부(402)의 상기 C방향 카메라(43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상면검사는,제3 카메라부(403) C방향 카메라(430)를 모두 활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정제(T)는 약품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정제(T)는 약품의 규격에 따라 비정형적인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전후방향 검사는 상기 B방향 카메라(420)로 촬영하고, 상기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상면과 측면방향 검사는 상기 C방향 카메라(430)로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전후방향 모서리검사는 상기 제1 카메라부(401) 및, 상기 제2 카메라부(402)의 상기 C방향 카메라(430)로 촬영하고, 상기 제1 촬영부(400)에서의 상기 정제(T)의 상면검사는 상기 제1 카메라부(401) 및, 상기 제2 카메라부(402)의 상기 C방향 카메라(430)로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정제(T)는 길이방향 양측의 모서리에 만곡부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캡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정제(T)는 높이방향의 양측면에 만곡된 형상을 포함하는 태블릿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외관 검사장치(10)는 제1 회전트레이(200) 상의 정제(T)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촬영원점(P1)으로 진입하는 정제(T)를 감지하는 정제감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제감지부(600)는 제1 회전트레이(200)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T)가 제1 촬영원점(P1)으로 진입되기 이전에 정제(T)의 진입을 감지하여 제1 촬영부(400)가 제1 촬영원점(P1)에서 이송된 정제(T)를 정확히 촬영하기 위한 부재이다.
정제감지부(600)는 제1 회전트레이(200)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T)의 이송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정제감지부(600)에 의해 전달된 이송속도 정보를 활용하여 이송된 정제(T)가 제1 촬영원점(P1)에 위치하는 시간을 연산하고, 연산된 시간에 제1 촬영원점(P1)으로 이송되는 정제(T)를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여러 방향에서 제1 촬영부(400)가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 촬영부(400)에 의해 수집된 다양한 각도의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정제(T)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정제(T)의 외관의 불량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고, 제1 촬영부(400)에서 불량정제(T)로 판단된 정제(T)는 제2 회전트레이(300)를 거쳐 불량정제(T) 수집부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트레이(100) 또는 상기 제2 회전트레이(200)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의 둘레방향에 구비되고, 정제가 흡착되는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 상에 거치되는 이송되는 정제를 흡착하는 흡착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레일은, 상기 트레이본체의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링상의 흡착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트레이(200)는 제1 트레이본체(210), 제1 이송레일(220), 제1 흡착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트레이(200)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 트레이본체(210)와, 상기 제1 트레이본체(210)의 둘레방향에 구비되고, 정제(T)가 흡착되는 제1 이송레일(220)과, 상기 제1 이송레일(220) 상에 거치되는 이송되는 정제(T)를 흡착하는 제1 흡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송레일(220)은, 상기 제1 트레이본체(210)의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링상의 제1 흡착구(2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이송레일(220)은 제1 트레이본체(210)의 둘레방향의 상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흡착구(230)는 제1 트레이본체(210)의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정제(T)가 안착되는 결합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회전트레이에 비해, 정제(T)가 고정되는 부위가 정형화되지 않아, 정제(T)의 공급간격과 무관하게 다수의 정제(T)를 흡착시켜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정제(T)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트레이(300)는 제2 트레이본체(310), 제2 이송레일(320), 제2 흡착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트레이(300)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 트레이본체(310)와, 상기 제2 트레이본체(310)의 둘레방향에 구비되고, 정제(T)가 흡착되는 제2 이송레일(320)과, 상기 제2 이송레일(320) 상에 거치되는 이송되는 정제(T)를 흡착하는 제2 흡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이송레일(320)은, 상기 제2 트레이본체(310)의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링상의 제2 흡착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이송레일(320)은 제2 트레이본체(310)의 둘레방향의 하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흡착구(330)는 제2 트레이본체(310)의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트레이(200)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300)는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정제외관 검사장치(10)는 제1 촬영부(400)와 상기 제2 촬영부(500)에서 취득된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이송되는 정제(T)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촬영부(400)에 의해 제1 촬영원점(P1)에서 취득된 정제(T)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외관의 영상정보를 먼저 연산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제2 촬영부(500)에 의해 제2 촬영원점(P2)에서 취득된 정제(T)의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2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비교대상이 되는 정품정제(T)와 제1 촬영부(400)와 제2 촬영부(500)에 의해 촬영된 정제(T)의 외관을 상호 비교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트레이(200) 상의 제1 촬영원점(P1)에서 정제(T)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영역의 외관을 검사하여 정제(T)의 전면에 가까운 입체적 형상을 우선 연산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하고, 제1 회전트레이(200)와 제2 회전트레이(300)의 교차영역에 인접한 제2 회전트레이(300) 상의 제2 촬영원점(P2)에서 정제(T)의 제1 흡착면의 외관을 검사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T)가 제1 회전트레이(200)와 제2 회전트레이(300)에 흡착방식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영상정보가 취득될 수 있어, 정제(T)의 영상정보의 취득시의 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저감되면서도, 정제(T)의 모든 면의 영상정보가 취득된 후에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비해 제1 회전트레이(200)와, 제 2 회전트레이 상으로 이송되는 시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연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촬영부(400)에 의해 취득된 정제(T)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정제(T)의 전면에 가까운 입체적 형상을 우선 연산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제1 촬영부(400)에 의해 취득된 영상정보는 제1 회전트레이(200)와 제2 회전트레이(300)로 이송되는 과정에 연산이 되면 충분하므로, 정제(T)의 모든 면의 영상정보가 취득된 후에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정제(T)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비해 충분한 시간의 확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2 촬영부(500)에 의해 취득된 정제(T)의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는 정제(T)의 1면의 영상을 연산하는 것으로 족하므로, 정제(T)가 제2 회전트레이(300)를 통해 정품정제(T) 수집부와, 불량정제(T) 수집부로 이송되기 전에 정제(T)의 불량여부가 충분히 판단될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정제외관 검사장치 100: 정제공급부
200: 제1 회전트레이 210: 제1 트레이본체
220: 제1 이송레일 230: 제1 흡착구
300: 제2 회전트레이 310: 제2 트레이본체
320: 제2 이송레일 330: 제2 흡착구
400: 제1 촬영부 401: 제1 카메라부
402: 제2 카메라부 403: 제3 카메라부
410: A방향 카메라 411: A 촬영창
420: B방향 카메라 421: B 촬영창
430: C방향 카메라 431: C 촬영창
500: 제2 촬영부 501: 제4 카메라부
600: 정제감지부 P1: 제1 촬영원점
P2: 제2 촬영원점 T: 정제
200: 제1 회전트레이 210: 제1 트레이본체
220: 제1 이송레일 230: 제1 흡착구
300: 제2 회전트레이 310: 제2 트레이본체
320: 제2 이송레일 330: 제2 흡착구
400: 제1 촬영부 401: 제1 카메라부
402: 제2 카메라부 403: 제3 카메라부
410: A방향 카메라 411: A 촬영창
420: B방향 카메라 421: B 촬영창
430: C방향 카메라 431: C 촬영창
500: 제2 촬영부 501: 제4 카메라부
600: 정제감지부 P1: 제1 촬영원점
P2: 제2 촬영원점 T: 정제
Claims (12)
- 정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제1 흡착면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제1 회전트레이; 상기 제1 회전트레이에서 이송된 정제의 제2 흡착면을 흡착하여, 정제를 반전시켜 이송하는 제2 회전트레이; 상기 제1 회전트레이 상의 제1 촬영원점에서 정제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외관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회전트레이 상의 제2 촬영원점에서, 반전 이송된 정제의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2 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촬영부는, 경사진 제1 회전트레이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트레이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의 제1 측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정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카메라부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트레이 상으로 이송되는 정제의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메라부는 상기 제1 카메라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회전트레이 또는 상기 제2 회전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트레이본체; 상기 트레이본체의 둘레방향에 구비되고, 정제가 흡착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 상에 거치되는 이송되는 정제를 흡착하는 흡착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레일은, 상기 트레이본체의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링상의 흡착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트레이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부는,
상기 제1 회전트레이와 상기 제2 회전트레이의 교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트레이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트레이로 반전 이송된 상기 제1 흡착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4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부와, 상기 제2 카메라부는,
이송되는 정제의 측면에 배치되어, 정제의 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A방향 카메라;
상기 제1 촬영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A방향 카메라와 상기 제1 회전트레이의 이송면의 연장선상에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제의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한 쌍의 B방향 카메라; 및,
상기 제1 촬영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A방향 카메라와 상기 제1 회전트레이의 이송면의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제의 상면과 측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C방향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부는,
상기 제1 회전트레이의 이송면의 상측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정제의 상면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제3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촬영부에서의 상기 정제의 측면방향 검사는, 상기 A방향 카메라와 상기 B방향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제1 촬영부에서의 상기 정제의 상면향 검사는, 상기 제3 카메라부 또는 상기 C방향 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약품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촬영부에서의 상기 정제의 전후방향 검사는 상기 B방향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제1 촬영부에서의 상기 정제의 상면과 측면방향 검사는 상기 C방향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트레이 상의 정제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촬영원점으로 진입하는 정제를 감지하는 정제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부와 상기 제2 촬영부에서 취득된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이송되는 정제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영부에 의해 제1 촬영원점에서 취득된 정제의 제1 흡착면을 제외한 외관의 영상정보를 먼저 연산하여 정제의 불량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제2 촬영부에 의해 제2 촬영원점에서 취득된 정제의 영상정보를 연산하여 정제의 불량여부를 2차적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외관 검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3187A KR101667532B1 (ko) | 2015-04-15 | 2015-04-15 | 정제외관 검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3187A KR101667532B1 (ko) | 2015-04-15 | 2015-04-15 | 정제외관 검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7532B1 true KR101667532B1 (ko) | 2016-10-21 |
Family
ID=5725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3187A KR101667532B1 (ko) | 2015-04-15 | 2015-04-15 | 정제외관 검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75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3616B1 (ko) | 2019-07-22 | 2020-12-21 | 박영선 | 정제 카운팅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070959A1 (en) * | 1999-07-23 | 2001-01-24 | Shionogi Qualicaps Co., Ltd. | Side surface inspecting apparatus for tablet, front and back surface inspecting apparatus for tablet, and tablet appearance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JP2005289584A (ja) * | 2004-03-31 | 2005-10-20 | Ishikawa Seisakusho Ltd | 錠剤・カプセル剤の外観検査装置 |
JP2010230602A (ja) * | 2009-03-30 | 2010-10-14 | Daiwa Machinery Co Ltd | 被検物の画像検査方法および画像検査装置 |
KR20140044700A (ko) * | 2012-10-05 | 2014-04-15 | 이구현 | 약품 외관 검사장치 |
-
2015
- 2015-04-15 KR KR1020150053187A patent/KR1016675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070959A1 (en) * | 1999-07-23 | 2001-01-24 | Shionogi Qualicaps Co., Ltd. | Side surface inspecting apparatus for tablet, front and back surface inspecting apparatus for tablet, and tablet appearance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JP2005289584A (ja) * | 2004-03-31 | 2005-10-20 | Ishikawa Seisakusho Ltd | 錠剤・カプセル剤の外観検査装置 |
JP2010230602A (ja) * | 2009-03-30 | 2010-10-14 | Daiwa Machinery Co Ltd | 被検物の画像検査方法および画像検査装置 |
KR20140044700A (ko) * | 2012-10-05 | 2014-04-15 | 이구현 | 약품 외관 검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3616B1 (ko) | 2019-07-22 | 2020-12-21 | 박영선 | 정제 카운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254762A1 (en) | Automatic pill inspection apparatus | |
KR100982025B1 (ko) | 이차전지용 엑스-레이 검사장치 | |
JP6496453B2 (ja) | 錠剤検査装置 | |
TWI471542B (zh) | Tire shape inspection device and tire shape inspection method | |
KR102296086B1 (ko) |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 | |
JP5896840B2 (ja) | 卵を詰めたパック商品の検査装置 | |
US7898655B2 (en) |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 |
US20090139832A1 (en) | Conveying Apparatus and Conveyed Object Inspection Apparatus | |
TW201937161A (zh) | 用於檢測玻璃片的設備及方法 | |
KR20150074355A (ko) | 강구 분류부를 구비한 강구 검사장치 | |
EP3399302A1 (en) | Egg surface inspection apparatus | |
KR20150054663A (ko) | 외관 검사 장치 | |
US8135206B2 (en) |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 |
JP2004028604A (ja) | 錠剤の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 |
KR101390753B1 (ko) | 강구를 회전 및 직선 운동시키면서 강구의 결함을 검사하는 강구 검사장치 | |
KR20120051108A (ko) | 기어 형상 측정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667532B1 (ko) | 정제외관 검사장치 | |
US9709371B1 (en) | Ammunition inspecting system | |
JP4350553B2 (ja) | 錠剤検査システム | |
KR20160045452A (ko) | 약품 하이브리드 검사시스템 | |
KR102257955B1 (ko) |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 |
KR20160045451A (ko) | 캡슐 검사방법 | |
KR101399066B1 (ko) |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수율의 강구 검사장치 | |
JP7012802B2 (ja) | 錠剤に対する印刷及び検査を行う錠剤印刷及び検査装置ならびに方法 | |
JPH10170446A (ja) | 錠剤の姿勢変換機構及び錠剤の外観検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