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16B1 - 정제 카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카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616B1
KR102193616B1 KR1020190088362A KR20190088362A KR102193616B1 KR 102193616 B1 KR102193616 B1 KR 102193616B1 KR 1020190088362 A KR1020190088362 A KR 1020190088362A KR 20190088362 A KR20190088362 A KR 20190088362A KR 102193616 B1 KR102193616 B1 KR 10219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s
tablet
group
rotar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박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선 filed Critical 박영선
Priority to KR102019008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8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suction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를 카운팅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를 외주면에 흡착하여 제1 회전방향(이송방향)으로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 상기 회전디스크의 원주의 제1 지점부터 상기 이송방향으로 제2 지점까지의 소정 구간에 걸쳐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 상기 제2 지점에서부터 이송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2 배출구;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회전디스크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는 회전 블로워; 및 상기 제2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디스크 원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를 제2 배출구로 배출하는 고정 블로워;를 포함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제 카운팅 장치 {Apparatus for counting tablets}
본 발명은 약품이나 영양제 등의 정제(tablet)를 생산하고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된 정제를 검사하고 계수(카운팅)할 수 있는 정제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분야에서 치료 등의 목적으로 복용하는 정제(또는 캡슐)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을 검사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정제는 자동화 공정에서 생산되는 과정 중에 불량품 검사과정을 통해 이물질의 부착 또는 오염, 정제 간의 접촉이나 충격에 의한 크랙 또는 부분 손상, 변형이나 인쇄 불량 등과 같은 외관상의 흠결이 발생한 정제를 제거하고 있다.
캡슐 또는 타원형이나 원형의 단면을 가진 정제의 외관을 검사하는 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하는 육안검사에서 정제 검사 장비를 사용하는 자동검사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자동검사를 위한 정제검사장치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것이 제안되고 있는데,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 등에 개시된 정제검사장치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제를 촬영함으로써 정제의 여러 측면의 영상을 얻고 이로부터 정제 표면의 흠결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되는 정제를 검사한 후 정상품으로 판정된 정제를 배출구로 다시 배출하여 버리는데, 배출구 후단에서는 정렬되었던 정제들이 다시 무작위로 쌓이게 된다. 정제를 개별 용기마다 소분포장하기 위해서는 정제를 소정 개수만큼 카운팅하고 소분용기마다 주입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정제 카운터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정제 검사 장비의 후단에 정제를 카운팅하고 소분포장하는 장비가 배치되며, 전단의 검사 장비에서 무작위 벌크로 모은 정제를 다시 카운터 호퍼에 부어서 카운팅과 병(용기)에 소분하는 작업을 한다. 그러나 검사 장비를 통과하여 이미 미흠결 정제로서 검사를 마친 정제가 카운팅 및 소분 작업에서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더욱이 검사 공정 이후에도 다수의 공정이 나뉘어져 있어 장비가 복잡해지고 제약 생산의 필수 과정인 공정마다 필요한 검증 비용 등의 여러가지 관리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24377호 (2016년 10월 27일 공개) 특허문헌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7532호 (2016년 10월 21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제 검사 장비에서 이송되는 정제를 일렬로 공급받아서 카운팅하고 소분포장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를 카운팅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로서, 정제를 외주면에 흡착하여 제1 회전방향(이송방향)으로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 상기 회전디스크의 원주의 제1 지점부터 상기 이송방향으로 제2 지점까지의 소정 구간에 걸쳐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 상기 제2 지점에서부터 이송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2 배출구;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회전디스크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는 회전 블로워; 및 상기 제2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디스크 원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를 제2 배출구로 배출하는 고정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를 카운팅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로서, 정제를 외주면에 흡착하여 제1 회전방향(이송방향)으로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 상기 회전디스크의 원주의 제1 지점부터 상기 이송방향으로 제2 지점까지의 소정 구간에 걸쳐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 상기 제2 지점에서부터 이송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2 배출구;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회전디스크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는 제1 회전 블로워;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회전디스크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 회전 블로워; 및 상기 제2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디스크 원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를 제2 배출구로 배출하는 고정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 검사 장비에서 이송되는 정제를 일렬로 공급받아 카운팅하고 소분포장 할 수 있으므로, 정제 카운팅 및 소분포장을 위해 무작위로 쌓인 정제를 다시 일렬로 정렬하는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성으로 정제를 카운팅하고 소분포장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디스크에 흡착된 정제를 하나 이상의 회전 블로워를 사용하여 탈착하기 때문에 블로워와 정제 간의 상대속도를 낮출 수 있어 더 높은 정확도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장치 내구성, 안정성을 높이고 소분 포장의 정확성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를 구비한 정제 검사 장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를 구비한 정제 검사 장비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5 내지 도7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정제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8 내지 도10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정제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정제"(tablet)는 분말의 약을 압축 등의 방법으로 고형화한 것이고 "캡슐"(capsule)은 예컨대 젤라틴 등의 수용체 내에 분말형태의 약이 들어있는 것으로 '정제'와 '캡슐'을 서로 구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제 카운팅 장치 및 카운팅 방법은 정제 뿐만 아니라 캡슐의 카운팅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구별의 실익이 없는 한 정제와 캡슐을 통칭하여 '정제'라 칭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당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를 구비한 정제 검사 장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는 개략적인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다만 도2에서는 도면을 간략히 도시하기 위해 도1의 일부 구성요소(예컨대 복수개의 센서(171~174))를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정제 검사 장비는 공급유닛(10), 제1 검사유닛(20), 제2 검사유닛(30), 제1 촬영부(40), 제2 촬영부(50), 배출유닛(60), 및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유닛(10)은 무작위로 수용된 정제를 일렬로 정렬하여 제1 검사유닛(10)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도시한 것처럼 공급유닛(10)은 경사져서 회전하는 경사 회전판(11)을 구비한다. 회전판(11)의 회전시 회전판(11) 상부에 공급된 정제(P)가 원심력에 의해 외경 측의 이송판(도시 생략)을 향해 이동된 후 이송판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검사유닛(20)으로 공급된다.
제1 검사유닛(20)은 공급유닛(1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21)를 구비한다. 회전디스크(21)의 상부면의 둘레를 따라 흡착구(22)가 형성되어 있어, 공급유닛(10)에서 일렬로 이송되는 정제(P)가 이 흡착구(22)에 부착된다.
제1 검사유닛(20)의 상부에는 정제를 촬영하는 제1 촬영부(40)가 배치된다. 제1 촬영부(40)는 회전디스크(21)의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정제(P)의 각 측면을 촬영하는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카메라로 촬영한 정제 이미지는 이미지 처리수단(도시 생략)으로 전송되고, 이미지 처리수단은 정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정제의 불량 유무를 판단한다.
추가적으로, 제1 촬영부(40)는 회전디스크(21)의 특정 지점을 계속 조사하고 이 지점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는 광센서(도시 생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는 수신한 반사광을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이 반사광에 기초하여 해당 시각 해당 지점에 정제(P)가 존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 정제(P)의 위치나 정제와 정제 사이의 간격을 판단할 수 있다.
제2 검사유닛(30)은 제1 검사유닛(2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31)를 구비한다. 제1 검사유닛(20)의 회전디스크(21)와 제2 검사유닛(30)의 회전디스크(3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디스크(31)에는 측면의 둘레를 따라 흡착구(3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검사유닛(20)의 상부면 둘레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정제(P)를 순차적으로 흡착구(32)로 흡착한다.
제2 촬영부(50)는 제2 검사유닛(3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정제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제2 촬영부(50)는 제1 촬영부(40)와 유사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제어부는 제2 촬영부(50)에서 촬영된 정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정제의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검사유닛(30)의 회전디스크(31)의 원주 둘레를 따라 배출유닛(60)이 배치될 수 있다. 배출유닛(60)의 상부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불량품이나 검사누락품으로 판단한 정제가 분사노즐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제어부가 분사노즐을 제어하여 이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배출유닛(60)의 배출구로 떨어뜨린다.
이상 설명한 정제 검사 장비의 공급유닛(10), 제1 검사유닛(20), 제2 검사유닛(30), 제1 촬영부(40), 제2 촬영부(50), 및 배출유닛(60)은 예를 들어 상기의 특허문헌1이나 특허문헌2 등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삼품으로 판단된 정제들은 배출유닛(60)을 그대로 통과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100)측으로 이송된다. 정제 카운팅 장치(100)는 제2 검사유닛(30)으로부터 이송되는 정제들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배출구로 배출한다. 각 배출구의 반대쪽 단부에는 예컨대 포장 용기가 배치될 수 있고, 정제 카운팅 장치(100)는 정제들을 기설정한 소정 개수만큼 카운팅하면서 배출구로 배출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제 카운팅 장치(100)를 검사 장비 후단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정제 검사 장비 후단에 별도의 카운팅 및 포장용기별 분류 장비를 설치할 필요 없이 다량의 정제를 자동으로 계수하고 소정 개수만큼 용기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정제 카운팅 장치(100)는 제2 검사유닛(30)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회전디스크(110), 제1 및 제2 회전 블로워(120,130), 고정 블로워(140), 제1 및 제2 배출구(150,160), 및 하나 이상의 센서(171~17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3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구성요소의 물리적 배치나 구성을 도시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3에서 회전 블로워(120,130)의 단부의 노즐 및 고정 블로워(140)가 회전디스크(110)의 상부면에 위치한 것처럼 그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예컨대 도1 또는 도2에 도시한 것처럼 배출구(150,16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이해할 것이다.
회전디스크(110)는 제2 검사유닛(3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부에 일정 속도로 회전한다. 제2 검사유닛(30)의 회전디스크(31)와 정제 카운팅 장치(100)의 회전디스크(1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예컨대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 검사유닛(30)의 회전디스크(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정제 카운팅 장치(100)의 회전디스크(1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디스크(110)의 측면에는 외주 둘레를 따라 흡착구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검사유닛(30)의 흡착구(32)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정제(P)를 순차적으로 흡착하여 시계방향으로 이송한다.
제1 및 제2 회전 블로워(120,130)의 각각은 회전디스크(110)의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회전디스크(110)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정제를 배출할 수 있다. 제1 배출구(150)와 제2 배출구(160)의 각각은 회전디스크(110)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디스크(110)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다. 제1 배출구(150)는 회전디스크(110) 원주의 제1 지점부터 회전디스크 회전방향으로 제2 지점까지의 소정 구간에 걸쳐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다. 제2 배출구(160)는 상기 제2 지점에서부터 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다. 고정 블로워(1400는 제2 배출구(160)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디스크(110) 원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를 제2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다.
회전디스크(110)에 흡착되어 회전하는 각 정제(P)의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고 정제를 카운팅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센서(171~174)를 도시하였으며, 각 센서는 예컨대 카메라 또는 광학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센서(171)는 회전디스크(110)에 흡착된 각 정제(P)의 흡착 위치를 감지하고 정제를 카운팅하여 정제 각각의 번호를 매긴다. 회전디스크(110)는 항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센서(171~174)가 회전디스크(110)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정제들의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면, 이 감지된 위치 정보와 회전디스크 속도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경과하거나 또는 회전디스크가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 해당 정제들이 회전디스크(110)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센서(172)는 제1 배출구(150)의 진입 지점보다 상류측, 즉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제1 센서(171)와 제1 배??구(150)의 시작 위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센서(172)는 정제들이 제1 배출구(150)의 구간으로 진입하기 전에 각 정제의 위치(번호) 및 인입 수량을 카운팅하고 확인한다. 제3 센서(173)는 제1 배출구(150)와 제2 배출구(160)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며, 제1 배출구(150)로 배출되어야 할 정제들이 모두 배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제2 배출구(160)로 진입하는 정제의 위치(번호) 및 수량을 카운팅하고 확인한다. 제4 센서(174)는 제2 배출구(160) 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며, 제2 배출구(160)로 배출되어야 할 정제들이 모두 배출되었는지 확인한다.
상술한 제1 내지 제4 센서(171~174)의 각 위치나 기능은 예시적인 것이며,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내지 제4 센서(171~174)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고 다른 추가적인 센서가 부가될 수도 있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회전디스크(110)의 외주면에 흡착력을 부여하는 예시적 구조 및 회전디스크(110)의 회전에 독립적으로 제1 및 제2 회전 블로워(120,130) 각각이 회전할 수 있는 예시적 구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정제 카운팅 장치의 회전디스크(110)는 고정 디스크(1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고정 디스크(101)의 중앙에 제1 회전축(108)이 관통하고 있으며 회전디스크(110)가 결합부재(107)에 의해 제1 회전축(108)에 결합되어 있다. 제1 회전축(108)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기어(109)에 의해 제1 구동모터(106)에 연결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고정 디스크(101)는 내부에 공간(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내부 공간(102)은 진공펌프(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진공 또는 부(-)압이 걸려있다. 고정 디스크(101) 측면의 전체 원주를 따라 좁은 폭의 슬롯(105)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회전디스크(110)의 측면에도 원주를 따라 슬롯(115)이 형성되어 슬롯(115)과 슬롯(105)이 연통한다. 따라서 고정 디스크(101) 내부 공간(102)의 진공 또는 부압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정제들을 회전디스크(110)의 슬롯(115)의 입구부에 흡착시킬 수 있다. 즉 슬롯(115)의 입구 영역이 정제가 흡착되어 안착되는 안착면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 정제가 슬롯(115)의 입구 영역에 흡착되며 접촉할 때 충격에 의해 정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115)의 입구 영역에 예컨대 고무 등의 탄성재질이 부착될 수 있다.
회전디스크(110)의 상부에는 회전디스크(110)의 회전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 블로워(120,130)가 배치된다. 제1 회전 블로워(120)는 제2 회전축(122)의 상단부의 결합부재(121)에 결합되어 마치 시계바늘처럼 제2 회전축(122)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회전 블로워(120)의 끝단의 노즐(125)은 회전디스크(110)의 측면에 부착된 정제를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아래로 절곡되어 회전디스크(110)의 측면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22)은 회전디스크(110)의 제1 회전축(108)과 동축이고 제1 회전축(108)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 회전축(122)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기어(123)에 의해 구동모터(126)에 결합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축(122)은 축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이 내부 공간이 압축공기 탱크(127)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 블로워(130)도 제1 회전 블로워(12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 블로워(130)는 제3 회전축(132)의 상단부의 결합부재(131)에 결합되어 시계바늘처럼 제3 회전축(132)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 있고, 제2 회전 블로워(130)의 끝단의 노즐(135)은 회전디스크(110)의 측면에 부착된 정제를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아래로 절곡되어 있다. 제3 회전축(132)은 제1 회전축(108) 및 제2 회전축(122)과 동축이고 제2 회전축(1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전축(132)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기어(133)에 의해 구동모터(136)에 결합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제3 회전축(132)의 내부도 비어 있으며 이 내부 공간이 압축공기 탱크(137)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 블로워(120)와 제2 회전 블로워(130)는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에도 서로 충돌하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한 거처럼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제1 회전 블로워(120) 보다 위쪽에 배치되며, 두 노즐(125,135)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제1 회전 블로워(120) 보다 다소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정제 카운팅 장치(100)가 하나의 회전 블로워만 구비할 수 있다. 즉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예컨대 제1 회전 블로워(120)만 설치되고 제2 회전 블로워(13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회전 블로워(130)에 관련된 회전축(132), 구동모터(137) 등의 구성요소도 모두 생략된다.
이상 상술한 정제 카운팅 장치(110)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구조이며, 회전디스크(110)의 외주면에 흡착력을 부여하고 제1 및 제2 회전 블로워(120,130) 각각이 회전디스크(110)에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도4에 도시한 구성이 아닌 다른 임의의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5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여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방법과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5 내지 도7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정제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는 하나의 회전 블로워(120)를 사용하는 실시예로서, 한 용기당 많은 수의 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10개의 정제(P)를 한 그룹으로 하여 제1 배출구(150)와 제2 배출구(160)로 배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면에서 회전디스크(110)는 시계 방향(이하에서 “이송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며, 제1 센서(171)는 회전디스크(110)에 흡착된 정제(P)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제어부(도시 생략)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회전디스크(110)의 회전속도와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제의 시간에 따른 위치를 판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회전 블로워(120)의 회전 및 공기 분사 동작을 제어한다고 가정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내지 제4 센서(172~174)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정제(P)들이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흡착되지 않지만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정 간격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이송 방향의 첫번째 정제부터 순서대로 1번, 2번, 3번 등으로 번호를 표시하였고, 10개의 정제씩 묶어 제1 그룹, 제2 그룹 등으로 칭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제4 그룹,… 등으로 소정 개수로 그룹화될 정제들이 회전디스크(110)에 흡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 제3, 그룹, 제5 그룹,… 등의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하고, 고정 블로워(140)는 제2 그룹, 제4 그룹, 제6 그룹,… 등의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2 배출구(160)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도5(a)를 참조하면, 제1 그룹의 1번(첫번째) 정제부터 정제들이 일렬로 회전디스크(110)의 측면에 흡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이 때 제1 배출구(150)는 회전디스크(110)의 소정 원주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 블로워(120)는 배출구(150)의 왼쪽 단부에 인접한 제1 지점(A)에서 위치하고 있다. 이 때 회전 블로워(120)는 정지하고 있을 수도 있고 회전디스크(110)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1 그룹의 1번 정제가 제1 배출구(150)의 영역 내에 들어온 상태에서 회전 블로워(120)가 1번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부터 공기 분사를 개시하여 1번 정제를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한다. 이 때 회전 블로워(120)가 1번 정제를 향해 공기를 정확히 분사하기 위해, 회전 블로워(120)가 1번 정제와 동일 위치(즉,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동일선상의 위치)에 있을 때 회전디스크(110)와 회전 블로워(120)가 서로 동일하거나 비슷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블로워(120)가 회전디스크(110)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디스크 회전속도에 대해 기설정된 소정 속도차 범위 내의 회전속도로(예컨대 회전디스크의 회전속도 대비 +30% 내지 -30% 사이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전 블로워(120)가 1번 정제에 공기를 분사한 직후부터 회전 블로워(120)는 회전디스크(110) 보다 약간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하며 공기를 분사한다. 따라서 회전디스크(110)가 회전 블로워(120) 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도5(b)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2번 정제, 3번 정제,…를 향해 공기를 차례로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한다.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한 정제는 제1 배출구(150)로 배출된 정제를 의미한다.
그 후, 도6(a)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정제들 중 이송 방향의 마지막 정제(즉, 10번 정제)의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 블로워(120)가 회전디스크(110)와 동일한 속도 또는 회전디스크 회전속도 대비 소정 속도차 범위 내의 속도로(예컨대 회전디스크 회전속도 대비 +30% 내지 -30% 사이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회전디스크(110)와 회전 블로워(120)가 서로 동일하거나 비슷한 속도가 된 상태에서 회전 블로워(120)가 10번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한다.
회전디스크(110)의 절대적인 회전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회전 블로워(120)가 회전디스크(110)와 동일 속도 또는 그보다 약간 느리거나 약간 빠른 속도로 같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로 정제를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정제(1번~10번 정제)들을 모두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하면, 도6(b)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 블로워(120)가 도5(a)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블로워(120)는 제3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가 제1 지점(A)에 도달하기 전까지 제1 지점(A) 또는 제1 지점(A)보다 이송방향의 상류측의 임의의 기설정된 지점으로 복귀한다. 회전 블로워(120)의 복귀를 위해 회전 블로워(120)는 회전디스크(110)의 회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복귀할 수도 있고 회전디스크(110)의 회전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복귀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복귀 동작 동안 예컨대 제1 배출구(150)의 후단에서는 제1 그룹의 정제를 담는 소분용기에서 제3 그룹의 정제를 담는 소분용기로 용기를 교체할 수 있다.
그 후 회전 블로워(120)는 제3 그룹의 정제에 대해 도5(a), 도5(b), 및 도6(a)의 동작을 반복한다. 예컨대 도6(b)와 도7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 블로워(120)가 제3 그룹의 1번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부터 공기 분사를 개시하고 그 직후 회전 블로워(120)가 회전디스크(110) 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회전하면서 제3 그룹의 21번 정제, 22번 정제, 23번 정제,…를 향해 공기를 차례로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한다.
한편 고정 블로워(140)는 제2 그룹의 정제(11번~20번)가 자신의 앞에 도달하면 공기를 분사하여 제2 그룹의 정제를 제2 배출구(160)로 배출한다. 또한 제2 그룹의 마지막 정제(20번 정제)를 제2 배출구(160)로 배출한 후 제4 그룹의 첫번째 정제(31번 정제)가 고정 블로워(140)에 도달하기 전에 제2 배출구(160)의 후단에서는 제2 그룹의 정제를 담는 소분용기에서 제4 그룹의 정제를 담는 소분용기로 용기를 교체할 수 있다.
도8 내지 도10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정제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제2 실시예는 두 개의 회전 블로워(120,130)를 사용하는 실시예로서, 한 용기당 적은 수의 정제를 수용하는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10개의 정제(P)를 한 그룹으로 하여 제1 배출구(150)와 제2 배출구(160)로 배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제4 그룹,… 등으로 소정 개수로 그룹화될 정제들이 회전디스크(110)에 흡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 제5 그룹,… 등의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하고, 제2 회전 블로워(130)는 제3 그룹, 제7 그룹,… 등의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하고, 고정 블로워(140)는 제2 그룹, 제4 그룹, 제6 그룹 제8 그룹,… 등의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2 배출구(160)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도8(a), 도8(b), 및 도9(a)를 참조하면, 제1 회전 블로워(120)는 제1 그룹의 정제에 대해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5(a) 내지 도6(a)와 동일하게,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1번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부터 공기 분사를 개시하고 그 직후 제1 회전 블로워(120)가 회전디스크(110) 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회전하면서 제1 그룹의 1번 정제, 2번 정제, 3번 정제,…를 향해 공기를 차례로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한다.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정제들 중 이송 방향의 마지막 정제(10번 정제)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1 회전 블로워(120)가 회전디스크(110)와 동일한 속도로 또는 소정의 속도차이 범위 내의 속도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회전디스크(110)와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서로 동일하거나 비슷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제1 회전 블로워(120)가 10번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한다.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정제를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하는 동안 제2 회전 블로워(130)는 제1 배출구(150)의 제1 지점(A) 또는 이에 인접한 기설정된 지점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 대기 상태에서 제2 회전 블로워(130)는 정지하고 있을 수도 있고 회전디스크(110)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느린 속도로 움직일 수도 있다.
도9(a) 단계까지 진행하여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정제(1번~10번 정제)들을 모두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하면, 도9(b)와 도10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회전 블로워(120)가 도8(a)의 제2 회전 블로워(130)의 위치 또는 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복귀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블로워(120)는 제1 지점(A) 또는 제1 지점(A)보다 이송방향의 상류측의 임의의 기설정된 지점으로 복귀한다. 제1 회전 블로워(120)는 회전디스크(110)의 회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복귀할 수도 있고 회전디스크(110)의 회전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복귀할 수도 있다.
제1 회전 블로워(120)의 복귀 동작 동안 제1 배출구(150)의 후단에서는 제1 그룹의 정제를 담는 소분용기에서 제3 그룹의 정제를 담는 소분용기로 용기를 교체하며, 그 후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제3 그룹의 정제를 제1 배출구(150)에 배출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제3 그룹의 정제에 대해 수행하는 동작은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정제에 대해 수행하는 상술한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예컨대 도9(b)와 도10에 도시한 것처럼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제3 그룹의 첫번째 정제(21번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부터 공기 분사를 개시하고 그 직후부터는 회전디스크(110) 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회전하면서 제3 그룹의 21번 정제, 22번 정제, 23번 정제,…를 향해 공기를 차례로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한다. 또한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제3 그룹의 정제들 중 마지막 정제(30번 정제)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2 회전 블로워(130)가 회전디스크(110)와 동일한 속도로 또는 소정의 속도차이 범위 내의 속도로 회전하여 회전디스크(110)와 제2 회전 블로워(130)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30번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150)로 배출한다.
한편 고정 블로워(140)는 제2 그룹의 정제(11번~20번)가 자신의 앞에 도달하면 공기를 분사하여 제2 그룹의 정제를 제2 배출구(160)로 배출한다. 또한 제2 그룹의 마지막 정제(20번 정제)를 제2 배출구(160)로 배출한 후 제4 그룹의 첫번째 정제(31번 정제)가 고정 블로워(140)에 도달하기 전에 제2 배출구(160)의 후단에서 제2 그룹의 정제를 담는 소분용기에서 제4 그룹의 정제를 담는 소분용기로 용기를 교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제2 그룹, 제4 그룹, 제6 그룹, 제8 그룹,…의 정제를 각기 다른 소분용기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제1 및 제2 회전 블로워(120,130)의 각각의 동작이 제1 실시예의 회전 블로워의 동작과 각각 동일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 제1 회전 블로워(120)는 제1 그룹, 제5 그룹, 제9 그룹…의 정제에 대한 회전 분사 동작을 수행하고 제2 회전 블로워(130)는 제3 그룹, 제7 그룹, 제11 그룹…의 정제에 대한 회전 및 분사 동작을 수행하면 되므로 각 회전 블로워(120,130)의 동작에 시간적 여유를 가진다. 즉 각 회전 블로워의 복귀 시간도 더 많이 주어지므로 장치의 내구성, 안정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제 카운팅 장치를 구비한 정제 검사 장비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정제 검사 장비는 공급유닛(10), 검사유닛(20), 검사 및 카운팅 유닛(200), 제1 촬영부(40), 제2 촬영부(50), 및 배출유닛(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유닛(10)과 검사유닛(20), 그리고 제1 촬영부(40), 제2 촬영부(50), 및 배출유닛(60)의 각각의 구성과 기능은 도1의 실시예의 각 대응 구성요소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과 비교할 때 도11의 제3 실시예는 제2 검사유닛(도1의 30)과 카운팅 장치(도1의 100)가 하나로 통합되어 검사 및 카운팅 유닛(200)으로 구현된 점이 상이하다.
검사 및 카운팅 유닛(200)에 인접하여 제2 촬영부(50)가 배치되고, 정제를 카운팅하여 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들, 즉 하나 이상의 회전 블로워(120), 고정 블로워(140), 제1 및 제2 배출구(150,160), 및 하나 이상의 센서(171~174) 등의 구성요소가 각각 검사 및 카운팅 유닛(100)의 회전디스크(31)의 상부에 결합되거나 상부면 또는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배출구(150)와 제2 배출구(160)는 제2 촬영부(50)와 배출유닛(60) 보다 이송방향(회전디스크(31)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예컨대 도시한 실시예에서 회전디스크(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도면에서 제2 배출구(160)가 제1 배출구(150) 보다 왼쪽에 배치되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회전 블로워(120)는 회전디스크(31)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배출구(150)로 정제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고정 블로워(140)는 제2 배출구(160)로 정제를 배출하도록 제2 배출구(160)의 상방향에 배치된다. 회전 블로워(120)와 고정 블로워(140)를 이용한 정제 카운팅 및 배출 동작은 도5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도1의 제2 검사유닛(30)과 카운팅 장치(100)를 하나의 검사 및 카운팅 장치(200)로 통합하여 구현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더 간단화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공급유닛 20, 30: 검사유닛
40,50: 촬영부 60: 배출부
100: 정제 카운팅 장치 110: 회전디스크
120, 130: 회전 블로워 140, 180: 고정 블로워
150, 160: 배출구 171, 172, 173, 174: 센서
200: 검사 및 카운팅 유닛

Claims (12)

  1. 정제를 카운팅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로서,
    정제를 외주면에 흡착하여 제1 회전방향(이송방향)으로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
    상기 회전디스크의 원주의 제1 지점부터 상기 이송방향으로 제2 지점까지의 소정 구간에 걸쳐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150);
    상기 제2 지점에서부터 이송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2 배출구(160);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회전디스크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는 회전 블로워(120); 및
    상기 제2 배출구(160)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디스크 원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를 제2 배출구로 배출하는 고정 블로워(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개수의 정제로 그룹화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정제가 상기 회전디스크에 흡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회전 블로워(120)는 상기 제1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고 고정 블로워(140)는 상기 제2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2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로워(120)가 상기 제1 그룹의 정제를 제1 배출구에 배출하기 위해,
    회전 블로워가 제1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공기를 분사하면서 회전디스크 보다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하여 제1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부터 마지막에서 두번째 정제까지의 정제들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및
    회전 블로워가 제1 그룹의 정제 중 마지막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회전 블로워가 회전디스크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디스크 회전속도에 대해 소정 속도차 범위 내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며 마지막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로워(120)가 상기 제1 그룹의 정제를 제1 배출구에 배출하기 위해,
    회전 블로워가 제1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회전 블로워가 회전디스크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디스크 회전속도에 대해 소정 속도차 범위 내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며 첫번째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회전 블로워가 회전디스크 보다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하며 제1 그룹의 정제 중 두번째 정제부터 마지막에서 두번째 정제까지의 정제들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및
    회전 블로워가 제1 그룹의 정제 중 마지막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회전 블로워가 회전디스크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디스크 회전속도에 대해 소정 속도차 범위 내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며 마지막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소정 개수의 정제,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소정 개수의 정제, 제3 그룹의 상기 소정 개수의 정제, 및 제4 그룹의 상기 소정 개수의 정제가 상기 회전디스크에 흡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회전 블로워(120)는 제1 그룹의 정제와 제3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고, 고정 블로워(140)는 제2 그룹의 정제와 제4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2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로워(120)가 상기 제1 그룹의 마지막 정제에 공기를 분사한 후, 상기 제3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가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회전 블로워가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1 지점보다 상류측의 임의의 기설정된 지점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7. 정제를 카운팅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로서,
    정제를 외주면에 흡착하여 제1 회전방향(이송방향)으로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
    상기 회전디스크의 원주의 제1 지점부터 상기 이송방향으로 제2 지점까지의 소정 구간에 걸쳐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150);
    상기 제2 지점에서부터 이송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회전디스크의 원주면 하방에 배치된 제2 배출구(160);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회전디스크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는 제1 회전 블로워(120);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회전디스크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 회전 블로워(130); 및
    상기 제2 배출구(160)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디스크 원주면에 흡착된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를 제2 배출구로 배출하는 고정 블로워(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개수의 정제로 그룹화된 제1 내지 제4 그룹의 정제가 상기 회전디스크에 흡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고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제3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고 고정 블로워(140)는 제2 그룹의 정제와 제4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2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상기 제1 그룹의 정제를 제1 배출구에 배출하기 위해,
    제1 회전 블로워가 제1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부터 공기 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 제1 회전 블로워가 회전디스크 보다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제1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부터 마지막에서 두번째 정제까지의 정제들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및
    제1 회전 블로워가 제1 그룹의 정제 중 마지막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제1 회전 블로워가 회전디스크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디스크 회전속도에 대해 소정 속도차 범위 내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며 마지막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상기 제3 그룹의 정제를 제1 배출구에 배출하기 위해,
    제2 회전 블로워가 제3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부터 공기 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 제2 회전 블로워가 회전디스크 보다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하며 제3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부터 마지막에서 두번째 정제까지의 정제들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및
    제2 회전 블로워가 제3 그룹의 정제 중 마지막 정제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제2 회전 블로워가 회전디스크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디스크 회전속도에 대해 소정 속도차 범위 내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며 마지막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개수의 정제로 그룹화된 제1 내지 제8 그룹의 정제가 상기 회전디스크에 흡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제1 그룹의 정제와 제5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고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제3 그룹의 정제와 제7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하고, 고정 블로워(140)는 제2, 제4, 제6, 및 제8 그룹의 정제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2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블로워(120)가 상기 제1 그룹의 마지막 정제에 공기를 분사한 후, 상기 제5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가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제1 회전 블로워가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1 지점보다 이송방향의 상류측의 임의의 기설정된 지점으로 복귀하고,
    상기 제2 회전 블로워(130)가 상기 제3 그룹의 마지막 정제에 공기를 분사한 후, 상기 제7 그룹의 정제 중 첫번째 정제가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제2 회전 블로워가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1 지점보다 이송방향의 상류측의 임의의 기설정된 지점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운팅 장치.
KR1020190088362A 2019-07-22 2019-07-22 정제 카운팅 장치 KR10219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362A KR102193616B1 (ko) 2019-07-22 2019-07-22 정제 카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362A KR102193616B1 (ko) 2019-07-22 2019-07-22 정제 카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616B1 true KR102193616B1 (ko) 2020-12-21

Family

ID=7409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362A KR102193616B1 (ko) 2019-07-22 2019-07-22 정제 카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6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516A (ja) * 2001-10-30 2003-05-1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KR101430555B1 (ko) * 2012-09-28 2014-09-23 주식회사 코사파트너스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KR20150138555A (ko) * 2014-05-29 2015-12-10 주식회사 오성알앤에이천안공장 물체 비전 검사 장치 및 물체 비전 검사 방법
KR101667532B1 (ko) 2015-04-15 2016-10-21 (주)엔클로니 정제외관 검사장치
KR20160124377A (ko) 2015-04-17 2016-10-27 (주)엔클로니 정제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516A (ja) * 2001-10-30 2003-05-1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KR101430555B1 (ko) * 2012-09-28 2014-09-23 주식회사 코사파트너스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KR20150138555A (ko) * 2014-05-29 2015-12-10 주식회사 오성알앤에이천안공장 물체 비전 검사 장치 및 물체 비전 검사 방법
KR101667532B1 (ko) 2015-04-15 2016-10-21 (주)엔클로니 정제외관 검사장치
KR20160124377A (ko) 2015-04-17 2016-10-27 (주)엔클로니 정제 검사 장치
KR101738404B1 (ko) * 2015-04-17 2017-05-24 (주)엔클로니 정제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323A (en) Apparatus for high speed inspection of objects
US8146331B2 (en) Automated packaging, inspection, verification, and counting apparatus
US10525699B2 (en) Tablet printing device
JP4362239B2 (ja)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US20070289660A1 (en) Vacuum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Pills
US20040011806A1 (en) Tablet filler device with star wheel
JP2003530993A (ja) シガレット包装工程を視覚的に検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305908B2 (en) Tablet counter and packaging module and associated method
KR101738404B1 (ko) 정제 검사 장치
JPH01250845A (ja) チップ状部品の自動外観検査機
KR20200146023A (ko) 약 제품 전달 장치 및 방법
JP2017209499A (ja) 制御装置
KR100639576B1 (ko) 정제 약 계수투입기의 비정상 제품 검출장치
JP2009161260A (ja) 錠剤の搬送装置、整列供給装置及び側面外観検査装置
KR102193616B1 (ko) 정제 카운팅 장치
JP2008008897A (ja)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CN108569543B (zh) 可靠地供应合规封口元件的装置和方法
JP2007137635A (ja) 錠剤搬送装置
CN214516056U (zh) 注射器检测设备及注射器加工系统
US20230106500A1 (en) Capsule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JP7115905B2 (ja) 小型物品の処理システム
JPH024601A (ja) 容器内ヘのカプセル充填装置
JP2669922B2 (ja) カプセルの目視検査用装置
KR102468846B1 (ko)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KR101764238B1 (ko) 정량포장이 가능한 약품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