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555B1 -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 Google Patents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555B1
KR101430555B1 KR1020120108920A KR20120108920A KR101430555B1 KR 101430555 B1 KR101430555 B1 KR 101430555B1 KR 1020120108920 A KR1020120108920 A KR 1020120108920A KR 20120108920 A KR20120108920 A KR 20120108920A KR 101430555 B1 KR101430555 B1 KR 101430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tablets
tablet
adsorbed
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315A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사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사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사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2010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5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다수의 정제(錠劑) 또는 캡슐(Capsule)을 계수하고 소분포장하는 소분포장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정제를 일렬로 정렬하여 이송하는 공급벨트; 상기 공급벨트에서 이송되는 정제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를 센싱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센싱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흡착된 정제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요구하는 수량씩 이탈시키는 이탈수단;을 포함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Automatic Tablet and/or Capsule Counting and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정제(錠劑: tablet) 또는 캡슐(capsule)을 자동으로 계수하고 소분(小分) 포장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소분포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를 자동으로 계수하고 소정 개수로 계수된 정제들을 자동으로 소분 용기에 담을 수 있는 정제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자동 소분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블렛이나 캡슐 등과 같은 정제 약품을 생산하는 마지막 단계로서 정제를 소정 개수씩 계수하여 약품 용기(약통)에 담는 과정을 거친다. 그 후 정제를 담은 용기가 포장되고 제품으로서 최종 출하하게 된다.
그런데 정제를 소정 개수씩 계수하는 자동 공정장비로 여러 가지 구조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장의 요구사항에 합리적으로 부응하지 못하거나 장비의 크기가 크고 복잡해서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의 요구사항에 적당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장에서 요구하는 정제 계수의 자동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GMP개념에 부응할 수 있는 정제 자동 소분포장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다량의 정제를 자동으로 계수할 수 있는 정제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다량의 정제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소정 개수만큼 용기에 자동으로 담을 수 있는 정제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정제를 소분포장하는 소분포장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정제를 일렬로 정렬하여 이송하는 공급벨트; 상기 공급벨트에서 이송되는 정제를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를 센싱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센싱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정제를 계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이탈시키는 이탈수단;을 포함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정제를 계수하고 소분 포장하는 장치를 이용한 소분포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제 소분포장 장치의 제어부가, 회전체의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를 센싱한 센싱결과로부터, 상기 정제의 회전체 상에서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이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정제를 상기 회전체에서 이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에 대한 센싱 결과로부터 정제를 계수하고 정제를 이탈함으로써, 다량의 정제를 현존하는 장치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고속으로 자동 소분 포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에 대한 센싱 결과로부터 정제를 계수하고 이탈하여 이를 연결통로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다량의 정제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소정 개수만큼 용기에 자동으로 담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자동 소분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사시도,
도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측면도,
도3a 및 도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사시도,
도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정제가 회전체에 흡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4b는 도4a의 예시적 구성의 평면도,
도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용기로 투입하는 예시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5b는 도5a의 예시적 구성의 평면도,
도5c는 도5a의 예시적 구성의 측면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계수하는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제어부(80)에 의해 정제를 소정 개수만큼 계수하고 용기로 투입하는 일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분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분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0a 및 도10b는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이탈시키는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1a 내지 도11c는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이탈시키는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이탈시키는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는 표현은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직접적 연결을 의미할 뿐 아니라 다른 제3의 구성요소를 매개로 한 간접적 연결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100)는 공급벨트(10), 회전체(20), 카메라(30), 블로워(blower)(40), 연결통로(50), 및 용기 이송벨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벨트(10)는 호퍼와 같은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어지는 다량의 정제 또는 캡슐(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정제"(200)라고 통칭함)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회전체(2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공급벨트(10)는 공지의 벨트, 풀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량의 정제를 일렬로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면 특정 기계적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체(20)는 공급벨트(10) 상에서 공급되는 정제(200)를 흡착하는 흡착수단이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체(20)는 두 개의 회전가능한 원판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부착된 형상을 가진다. 즉 두 원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20)는 이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에 방사상의 내측 방향으로의 흡착력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0)는 회전체(20)의 최하단부가 공급벨트(10)의 단부와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급벨트(10) 상에서 공급되는 정제(200)가 회전체(20)에 접근하면 회전체(20)의 흡착력에 의해 정제(200)가 회전체(20)의 외주면에 흡착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회전체(20)가 반드시 공급벨트(10)의 단부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회전체는 공급벨트(10)의 두 단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회전체(20)는 공급벨트(1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회전체(20)의 최상부의 외주면이 공급벨트(10)의 일 단부의 바로 아래에 인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공급벨트(10)로부터 공급되는 정제가 회전체(20)의 상부 외주면에 흡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공급벨트(10) 상에서 일렬로 정렬된 정제는 서로 이웃하는 정제들과 붙어서 이송될 것이고, 회전체(20)는 공급벨트(10)의 이송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함으로써, 회전체(20)에 흡착된 정제는 서로 이웃하는 정제들과 간격이 약간씩 떨어져서 흡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30)는 회전체(20)의 하부측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회전체(20)의 외주면의 일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다. 카메라(30)는 회전체(20)의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200)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는 제어부(도시 생략)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촬영된 정제(200)가 회전체(20)의 외주면의 어느 부위에 흡착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회전체(20)의 외주면에 흡착된 각 정제(200)의 위치 정보로부터, 회전체의 외주면의 임의의 제1 위치에서부터 임의의 제2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외주면의 호를 따라 흡착된 정제(200)의 개수를 계수(카운트)할 수 있다. 카메라로 정제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정제의 부착 위치를 파악하거나 개수를 카운트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카메라(30) 대신, 회전체(20)에 흡착된 정제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와 같은 다른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회전체(20)에 흡착된 정제들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면 카메라나 센서 등 임의의 감지수단 중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블로워(40)는 회전체(20)에 흡착된 정제(200)를 이탈하기 위한 이탈수단의 하나이다. 블로워(40)는 컴프레서(도시 생략)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소정 공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배출한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블로워(40)가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회전체의 원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주면을 표면을 향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블로워(40) 대신,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200)를 이탈시키는 임의의 다른 이탈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통로(50)는 블로워(40)에 의해 이탈된 정제(200)를 소정 영역으로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연결통로(50)는 통로 입구와 통로 출구를 갖는 도관으로 형성된다. 이 때 통로 입구는, 블로워(40)로부터 배출된 공기압에 의해 회전체(20)에서 이탈되어 떨어지는 정제(200)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통로 출구는 다음 공정을 위한 소정 영역에 정제(200)가 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제(200)가 블로워(40)에 의해 회전체(20)에서 이탈되는 궤적이 항상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연결통로(50)의 통로 입구의 직경이 연결통로(50)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체(20)에서 이탈된 정제(200)가 용기(70) 내에 투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즉 이 실시예에서 연결통로(50)의 통로 출구는 용기 이송벨트(60) 위에 배열된 용기(70) 상부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통로의 통로 출구에는 1차 게이트(51) 및 2차 게이트(52)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바로 수직 하방에 깔때기(53)가 설치되고 그 아래에 용기(70)의 입구가 위치한다.
게이트(51)가 닫혀있는 동안 블로워(40)에 의해 회전체(20)의 외주면에서 이탈된 정제(200)들은 연결통로(50)를 통해 낙하하여 1차 게이트(51) 상부의 연결통로(50) 내부에 쌓이게 되고, 소정 개수만큼 정제의 카운트가 완료되었을 때 1차게이트(51)를 개방하여 정제들을 하부로 투하하게 되면 2차 게이트(52)가 저장하고 있다가 용기(70)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면, 2차 게이트(52)를 개방하여 용기(70) 내로 투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 연결통로(50)로 빠져 나온 정제(200)들이 용기에 담기지 않고 다른 공정에서 처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정제(200)들이 용기(70)에 투입되도록 도시한 실시예는 일 예시에 불과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사시도이고 도2b는 회전체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체(20)는 서로 평행한 제1 원판(21) 및 제2 원판(22)이 이격부재(23)에 의해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원판(21)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있고 진공펌프(27)로부터 나온 흡기관(28)의 일단부가 이 관통공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원판(22)의 중심은 회전체(20)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25)의 구동축(26)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체(20)는 구동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체(2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원판(21) 중심의 관통공 방향으로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체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의 내측 방향으로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체(20)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3a 및 도3b는 이러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3a를 참조하면, 회전체(20)는 두 개의 원형 드럼이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부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이격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회전체(20)는 잘려진 원뿔형 회전체가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부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이격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실시예 외에도 원반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2개의 회전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부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20)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정제가 회전체에 흡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b는 도4a의 예시적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공급벨트(10)의 일 단부의 상부에 회전체(20)가 배치되어 있다. 도4b에 도시하였듯이 일 실시예에서 호퍼(15)로부터 정제(200)들이 공급되고, 이 정제(200)들은 예컨대 소정 각도로 경사진 진동수단(17) 위에서 이동하여 이송벨트(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송벨트(10) 상부에는 회전체(2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가이드(11)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정제(200)들이 회전체(20)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일렬로 정렬하여 이동한다.
도4a 및 도4b의 실시예에서는 호퍼(15), 진동수단(17), 가이드(11) 등에 의해 정제(200)들을 정렬하고 회전체(200)에 흡착시키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방식 외에 다른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정제(200)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이동시켜서 회전체(20)에 흡착시키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2 또는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회전체(20)는 외주면을 따라 흡착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회전체(20)의 하부까지 이동된 정제(200)들은 회전체(20)의 흡착력에 의해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차례로 흡착되고, 회전체(20)는 정제(200)들을 흡착한 채로 소정 속도로 계속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급벨트(10) 상의 정제들은 서로 일렬로 붙어서 이동되고 있지만 회전체(20)에 흡착될 때는 정제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회전체(20)에 흡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용기로 투입하는 예시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b는 도5a의 예시적 구성의 평면도이고, 도5c는 도5a의 예시적 구성의 측면도이다. 당업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5a 내지 도5c에서 공급벨트(10), 카메라(30) 등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회전체(20)에 흡착된 정제를 용기로 투입하기 위해 블로워(40) 및 이에 대응하는 연결통로(50)가 회전체(20)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체(20)의 상부에 두 개의 블로워(40)가 배치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블로워(40)는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회전체의 원판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주면의 표면을 향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2개의 블로워(40)를 도시하였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블로워(4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블로워(40)에 의해 이탈된 정제(200)를 소정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해 연결통로(50)가 또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통로(50)의 통로 입구가 회전체(20)를 기준으로 블로워(40)의 공기 배출구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블로워(40)에 의해 회전체(20)의 외주면에서 이탈된 정제(200)가 연결통로(50)로 유입될 수 있다. 회전체(20), 블로워(40), 및 연결통로(50)간의 배치 거리나 배치 구조는 회전체(20)의 크기나 회전속도, 블로워(4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공기압, 연결통로(50)의 통로 입구의 크기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4는 회전체(20)에서 이탈된 정제(200)가 소정 개수씩 계수되고 회전체(20)에서 이탈된 후 연결통로(50)를 통과하여 용기(70) 내에 투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통로(50)의 통로 출구에는 게이트(51)가 부착되어 있고 그 아래에 깔때기(53)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깔때기(53)는 용기 이송벨트 위에 배열된 용기(70) 상부에 위치하고, 회전체(20)의 외주면에서 이탈된 정제(200)들은 연결통로(50)를 통해 낙하하여 용기(70) 내로 투하된다.
도5a 내지 도5c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용기 이송벨트는 인입벨트(61) 및 인출벨트(63)을 포함하고, 인입벨트(61)와 인출벨트(63) 사이에 정제 투입 위치(6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기(70)들은 일렬로 정렬하여 인입벨트(61)를 따라 이동되고, 푸셔(65)가 예컨대 두 개의 용기(70)를 한꺼번에 밀어서 정제 투입 위치(62)로 푸쉬할 수 있다. 정제 투입 위치(62)의 상부에는 연결통로(50)의 통로 출구인 게이트(51) 및 깔때기(53)가 위치하고, 이에 따라, 1차 게이트(51)와 2차 게이트(52)가 제어에 의해 개방되면, 회전체(20)로부터 이탈된 정제(200)들이 용기(70)에 투입될 수 있다.
용기 투입 위치(62)에서 소정 개수의 정제(200)들을 투입받은 용기(70)는 다시 푸셔(65) 등의 수단에 의해 푸쉬되어 인출벨트(63)로 옮겨지고, 인출벨트(63)를 따라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연결통로(50)를 통해 낙하한 정제(200)들이 용기(70) 내로 투입되어 포장되는 대신, 파우치 백 등에 투입하는 등의 다른 공정 처리를 위해 이송될 수도 있다. 예컨대 낙하한 정제(200)들이 또 다른 이송벨트 위로 떨어져서 다음 공정으로 공급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계수하는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100)는 카메라(30), 구동모터(25), 컴프레서(43), 및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체(20)에 흡착된 정제를 계수하고 이 계수한 개수 만큼의 정제(200)를 예컨대 용기(50)로 투입할 수 있다.
카메라(30)는,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회전체(20)의 하부측, 즉 정제를 흡착하기 시작하는 지점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회전체(20)에 흡착된 정제(200)를 촬영한다. 카메라(30)는 고속으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는 제어부(80)에 제공된다.
제어부(80)는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여 촬영된 정제(200)가 회전체(20)의 외주면의 어느 부위에 흡착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각 정제(200)가 회전체(20)의 외주면 중 어느 위치에 흡착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함으로써 이미지 내에 포착된 정제(200)의 개수를 계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회전체(20)의 외주면의 임의의 제1 위치에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외주면의 호를 따라 흡착된 정제(200)의 개수를 계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0)는 구동모터(25)를 제어하여 회전체(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컴프레서(43)를 제어하여 블로워(4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회전체(20)의 외주면의 상기 제1 위치에 흡착된 정제(200)가 카메라(30)에 촬영된 후 얼마만큼의 시간 후에 블로워(40)의 위치에 도달하는지를 산출할 수 있고, 이 산출된 시간 후에 블로워(4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위치에 흡착되어 있는 정제(200)를 블로워(40)의 배출 공기에 의해 이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정제(200)를 계수하여 소정 개수의 정제(200)를 용기(70)로 투입하는 방법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제어부(80)에 의해 정제를 소정 개수만큼 계수하고 용기로 투입하는 일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단계(S710)에서, 제어부(80)는 흡착된 정제(200)에 대해 감지수단이 센싱한 결과를 감지수단으로부터 수신받는다. 이 때 감지수단은 예를 들어 정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30) 또는 임의의 센서가 될 수 있다.
그 후 단계(S720)에서, 제어부(80)는 이 센싱 결과로부터 정제가 회전체(200)의 외주면에 부착된 위치를 산출한다. 제어부(80)가 이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은 종래의 다양한 실시 형태로부터 가능하다. 예컨대, 회전체가 특정 회전 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위치로 미리 설정해놓고, 흡착된 정제의 위치가 이 기준위치로부터 어느 정도의 회전각 만큼 회전되었는지를 측정함으로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각기 서로 구별되는 다수의 마커(marker)를 회전체의 전체 외주면을 따라 미리 표시해놓고, 카메라(30)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정제의 위치와 상기 다수의 마커들과의 거리를 인식함으로써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현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단계(S730)에서, 제어부(80)는 회전체(20)의 회전속도에 기초하여, 정제(200)가 블로워에 도달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블로워(40)의 위치는 이미 고정되어 있고 회전체(20)의 속도는 알고 있으므로, 제어부(80)는 임의의 회전체(20)의 외주면의 특정 위치에 흡착된 정제가 블로워(40)에 언제 도달하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740)에서, 상기 산출된 시간이 지난 후 블로워(40)를 동작시킨다. 즉 블로워(4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여 정제(200)에 공기압을 가하고, 이에 따라 제1 위치의 정제(200)가 회전체(20)의 외주면에서 이탈하여 연결통로(50)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계(S710) 내지 단계(S740)는 하나의 정제(200)를 이탈시키기 위해 제어부(80)가 수행하는 과정이며, 회전체(20)에 일렬로 흡착되는 정제(200)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 단계들을 하나씩 수행함으로써, 모든 정제(200)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회전체(20)의 외주면에서 이탈시켜서 연결통로(50)로 낙하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흡착된 정제가 블로워(40)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해 정제의 위치 정보와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참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정제의 위치 정보만으로 상기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 위치정보 외에 다른 대안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카메라(30)와 구별되는 별도의 카메라가 블로워(40) 근처의 회전체(20)의 외주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되고, 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정제(200)가 블로워(4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흡착된 정제가 블로워(40)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해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임의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정제의 위치 정보 및/또는 회전체의 회전속도에 관한 정보가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회전체(20)에 일렬로 흡착된 정제(200)들을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예컨대 이탈시키야 일련의 정제(200)들의 가장 처음 정제에서부터 가장 마지막 정제에 이르기까지 블로워(40)가 지속적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각 정제를 하나씩 이탈시키기 위해 짧은 시간 간격의 버스트(burst)로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100개의 정제를 이탈하기 위해 100번의 연속된 공기 버스트를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블로워(40)가 공기를 배출하는 간격 등 정제를 이탈시키기 위한 구체적 구현 방법은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8 내지 도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자동 소분포장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대안적 실시예는 구현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 중 일부만을 예시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후술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공급벨트(10), 회전체(20), 블로워(40) 만을 도시하였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생략하였다.
도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분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의 실시예는 공급벨트(10)의 상부에 두 개의 회전체(20-1,20-2)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1 내지 도6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회전체(20-1)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회전체(20-2)가 배치되고, 제1 회전체(20-1)와 제2 회전체(20-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각 회전체(20-1,20-2)는 외주면에서 회전체 중심부를 향하는 소정의 흡착력을 가지며, 이 때 제2 회전체(20-2)의 흡착력이 제1 회전체(20-1)의 흡착력보다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제1 회전체(20-1)에 흡착되어 회전하는 정제(200)를 제2 회전체(20-2)가 흡착하여 붙잡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식에 의해 정제(200)를 제2 회전체(20-2)가 흡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전체(20-1)와 제2 회전체(20-2)가 접하는 위치에 별도의 블로워(미도시)를 설치하고, 이 블로워가 제1 회전체(20-1)에 흡착된 정제(200)를 제2 회전체(20-2)쪽으로 블로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공급벨트(10)를 따라 이동하던 정제(200)는 제1 회전체(20-1)에 흡착되어 움직이다가 제2 회전체(20-2)과 접하면서 제2 회전체(20-2)에 흡착되어 움직인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회전체(20-1,20-2)의 각각에 블로워(40)가 하나 이상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체(20-1)에 흡착된 정제(200)들 중 일부는 제1 회전체(20-1)에 배치된 블로워(40)에 의해 이탈되어 연결통로로 낙하하고, 나머지 정제(200)들은 제2 회전체(20-2)로 흡착되었다가 제2 회전체(20-2)에 배치된 블로워(40)에 의해 연결통로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제1 회전체(20-1)에 흡착되는 정제들을 센싱하기 위해 카메라(30-1)와 같은 감지수단이 설치되고, 제2 회전체(20-2)에 흡착되는 정제들을 센싱하기 위해 별도의 카메라(30-2)가 제2 회전체(20-2) 주위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예컨대 제1 회전체(20-1)에 블로워(40)가 배치되지 않고 제2 회전체(20-2)에만 하나 이상의 블로워(40)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3개 이상의 회전체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회전체(20-1,20-2)의 직경은 동일하여도 되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두 개의 회전체 중 어느 하나가 더 커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분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9의 실시예는 제2 회전체(20-2)의 직경이 제1 회전체(20-1)의 직경보다 더 크고 제2 회전체(20-2)에만 블로워(40)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8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체(20-1)의 직경이 제2 회전체(20-2)의 직경보다 더 클 수도 있고, 이와 같이 두 회전체(20-1,20-2)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구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10a 및 도10b는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이탈시키는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는 공급벨트(10), 회전체(20), 용기(70)만을 도시하였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생략하였다.
도10의 실시예는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200)를 이탈하기 위해, 블로워(40) 대신 다른 이탈수단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는 연결통로(90)가 이러한 이탈수단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연결통로(90)의 통로 입구의 단면이 대략 각진 "∪"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 입구를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하면,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200)들이 이 통로 입구로 유입되어 연결통로(90)를 따라 낙하하여 용기(70)로 투입될 수 있다.
연결통로(90)의 구체적 형상이나 구조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대안적 실시예에서 연결 통로(90)의 단면이 곡선의 "U" 형태일 수도 있고, 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인 파이프를 연결 통로(90)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10의 실시예에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통로(90)의 통로 입구를 좌우 또는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 필요하다. 즉, 정제(200)를 이탈할 때에는 연결통로(90)의 통로 입구를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하고 정제(200)를 이탈하지 않으려면 이 통로 입구를 회전체(2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구동수단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80)에 의해 이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연결통로(9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한 실시예에서 연결통로(90)는 직선으로 뻗어있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연결통로(90)를 호스와 같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하여 임의의 모양이나 각도만큼 굴절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블로워(40)를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10의 실시예에서도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90)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도 이해할 것이다.
도11a 내지 도11c는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이탈시키는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에서는 회전체(20)와 연결통로(50)만을 도시하였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생략하였다.
도11의 실시예는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200)를 이탈하기 위해, 블로워(40) 대신 대략 갈고리 형태의 회동 가능한 이탈 가이드(95)를 사용한다. 이탈 가이드(95)는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체(20)를 기준으로 이탈 가이드(95)와 대향하는 측에 연결통로(50)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탈 가이드(95)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도11b에 도시한 것처럼 이탈 가이드(95)가 회전체(20)의 움직임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회전체(20)에 흡착된 정제(200)들이 이탈하지 않고 회전체(20)의 외주면 위에 계속 흡착되어 있다. 이탈 가이드(95)가 작동하여 도11c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체(20)의 외주면의 표면에 흡착된 정제(200)를 가로막는 위치로 회동하게 되면 정제(200)들이 이탈 가이드(95)에 부딪힌 후 연결통로(50)로 낙하하여 용기(70)로 투입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탈 가이드(95)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이 필요하다. 즉 도11b 및 도11c에 도시한 것처럼 이탈 가이드(95)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80)에 의해 이 회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형태에 따라 도1 내지 도9에 도시한 블로워(40)를 사용한 이탈 방식과 도11의 이탈 가이드(95)를 사용한 이탈 방식이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블로워(40)와 이탈 가이드(95)가 모두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구성에서, 처음 및 마지막의 소정 개수의 정제(200)들에 대해서는 블로워(40)를 사용하여 회전체(20)에서 이탈시키고 그 중간의 정제(200)들에 대해서는 이탈 가이드(95)를 사용하여 회전체(20)에서 이탈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정체 이탈 방식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2는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이탈시키는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는 이탈 가이드(95)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도11과 유사하다. 다만 도12의 실시예에서 이탈 가이드(95)의 회동축은 회전체(20)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탈 가이드(95)가 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흡착된 정제(200)를 가로막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공급벨트 20: 회전체
25: 구동모터 30: 카메라
40: 블로워 43: 컴프레서
50,90: 연결통로 60: 용기 이송벨트
70: 용기 80: 제어부
100: 정제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

Claims (11)

  1. 다수의 정제(tablet) 또는 캡슐(Capsule)을 계수하고 소분포장하는 소분포장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정제 또는 캡슐을 일렬로 정렬하여 이송하는 공급벨트;
    상기 공급벨트에서 이송되는 정제 또는 캡슐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을 센싱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센싱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의 위치를 산출하고 계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정제 또는 캡슐을 이탈시키는 이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을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블로워이거나, 또는
    상기 이탈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을 가로막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이탈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 원판이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 외주면에서 방사상의 내측 방향으로 흡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제1 원판은 원판의 중심에 관통공을 포함하고, 이 관통공에 진공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의 제2 원판의 중심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분포장 장치는 상기 이탈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서 이탈된 정제 또는 캡슐을 소정 영역으로 안내하는 연결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벨트의 이송 속도 보다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가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이 상기 감지수단에 감지된 후 얼마만큼의 시간 후에 상기 이탈수단이 있는 위치에 도달하는지를 산출하고, 산출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이탈수단이 상기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를 이탈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공급벨트에서 이송되는 정제 또는 캡슐을 흡착하는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1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을 흡착하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상기 감지수단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이탈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장치.
  9. 다수의 정제 또는 캡슐을 계수하고 소분 포장하는 장치를 이용한 소분포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분포장 장치의 제어부가, 회전체의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을 센싱한 센싱결과로부터, 상기 정제 또는 캡슐의 회전체 상에서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정제 또는 캡슐이 이탈수단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정제 또는 캡슐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정제 또는 캡슐을 상기 회전체에서 이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을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블로워이거나, 또는
    상기 이탈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외주면에 흡착된 정제 또는 캡슐을 가로막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이탈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08920A 2012-09-28 2012-09-28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KR101430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920A KR101430555B1 (ko) 2012-09-28 2012-09-28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920A KR101430555B1 (ko) 2012-09-28 2012-09-28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15A KR20140042315A (ko) 2014-04-07
KR101430555B1 true KR101430555B1 (ko) 2014-09-23

Family

ID=5065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920A KR101430555B1 (ko) 2012-09-28 2012-09-28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5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16B1 (ko) * 2019-07-22 2020-12-21 박영선 정제 카운팅 장치
KR20230151365A (ko) 2022-04-25 2023-11-01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소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9874B (zh) * 2014-07-08 2016-07-06 浙江越溪胶丸有限公司 一种包括能准确取胶囊的药瓶的无菌分装设备
KR101506121B1 (ko) * 2014-09-15 2015-03-26 강무숙 캡슐 포장기
KR101597934B1 (ko) * 2015-03-11 2016-03-07 박상규 향 캡슐 품질검사 장치
CN109317492B (zh) * 2018-10-17 2024-07-09 广州珐玛珈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数粒机的吸尘装置
KR102468846B1 (ko) * 2020-06-12 2022-11-21 (주)엔클로니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601U (ko) * 1989-02-21 1990-09-06
JP2002230513A (ja) * 2001-02-05 2002-08-16 Shionogi Qualicaps Co Ltd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JP2004196422A (ja) * 2003-08-05 2004-07-15 Ckd Corp 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JP2005035736A (ja) * 2003-07-15 2005-02-10 Unitec:Kk 搬送機構及び定量充填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601U (ko) * 1989-02-21 1990-09-06
JP2002230513A (ja) * 2001-02-05 2002-08-16 Shionogi Qualicaps Co Ltd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JP2005035736A (ja) * 2003-07-15 2005-02-10 Unitec:Kk 搬送機構及び定量充填機
JP2004196422A (ja) * 2003-08-05 2004-07-15 Ckd Corp 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16B1 (ko) * 2019-07-22 2020-12-21 박영선 정제 카운팅 장치
KR20230151365A (ko) 2022-04-25 2023-11-01 유엠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소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15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555B1 (ko)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KR102187248B1 (ko) 고형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173830B2 (en) Medication dispensing container
EP2436362B1 (en) Rotary-type tablet feeder
WO2012070906A2 (ko) 약제 포장 장치의 에러 식별기
JP2014505889A (ja) 空気圧式メールシステムと、研究所自動化システムへバイオ製品容器を供給するシステムとの間にある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TW201420430A (zh) 用於分配及包裝固體物質之裝置
CN109310577A (zh) 用于自动配药装置的给药罐
KR20150072120A (ko)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KR100886493B1 (ko) 정제공급기의 수량조절모듈
JP6465561B2 (ja) 容器回収装置及び容器回収装置を用いた尿検査装置
KR20120082547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JPH024601A (ja) 容器内ヘのカプセル充填装置
EP0455025A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grinding of roast coffee
KR100955947B1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KR102218087B1 (ko)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기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US2008014954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moving flawed capsules
JP2000167023A (ja) 調剤用薬剤払出装置
JP2014184979A (ja) 包装材分離装置
JP6987409B1 (ja) 薬剤計量容器の清掃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JP2017214073A (ja) Ptp包装機
KR20140090745A (ko) 약제 불출 장치
JPH11198041A (ja) 移動式ショットブラスト設備
ITMO20100142A1 (it) Apparato per riempire contenito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