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745A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745A
KR20140090745A KR1020130002722A KR20130002722A KR20140090745A KR 20140090745 A KR20140090745 A KR 20140090745A KR 1020130002722 A KR1020130002722 A KR 1020130002722A KR 20130002722 A KR20130002722 A KR 20130002722A KR 20140090745 A KR20140090745 A KR 20140090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dicine
transfer
conveyanc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00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745A/ko
Publication of KR2014009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05Safety-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가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약제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약제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상기 약제가 전달되기 위해 상기 약제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탈 시 또는 이탈 시점 이후에 상기 제1 이송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Tablets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를 정확하게 포장되도록 하기 위한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는 밀봉된 포장용지 또는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1회 복용분의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포장용지 또는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포장용지(약포) 또는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포장용지 또는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포장용지 또는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이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의 약제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수집하는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수집되는 약제의 갯수 등에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어 약사 등의 사용자의 2차적인 확인 작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 씩 약제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방안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약제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한 알씩 정확하게 불출되도록 하여 불출되는 약제의 갯수를 정확하게 카운팅되도록 함으로써 약제 불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가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약제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약제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상기 약제가 전달되기 위해 상기 약제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탈 시 또는 이탈 시점 이후에 상기 제1 이송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가 소정 거리 이송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 이송부를 다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일정한 이송 속도를 유지한 채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가 소정 거리 이송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다른 약제가 전달될 때까지 상기 제2 이송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2 이송부로 상기 다른 약제가 전달되면 상기 제2 이송부를 다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이송부의 이송 속도는 상기 제2 이송부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빠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개의 약제를 상기 제2 이송부로 한 알씩 이격되어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이송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개의 약제를 이격시키도록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제를 상기 후공정으로 한 알씩 이격되어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제를 이격시키도록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는 적어도 2 이상의 회전축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안착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이송부의 끝단 부분 및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시작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의 약제의 전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안착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이송부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시작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로 약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후공정인 약제의 포장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통과하는 통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통과부는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투입되는 투입부 및 상기 투입부로부터 분기되어 약제의 포장을 위한 불출부와 약제의 회수를 위한 회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약제의 상기 불출부 또는 상기 회수부로의 이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불출부, 상기 회수부 또는 상기 불출부와 상기 회수부의 경계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약제가 상기 불출부 및 상기 회수부 중 어느 하나로만 통과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약제가 상기 투입부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회동부를 제어하는 회동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회동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1 회동부의 회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제3 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약제가 상기 불출부 및 상기 회수부 중 어느 하나로만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3 감지부는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 갯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회동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제3 감지부에 의해 카운팅된 감지 결과와 기설정된 약제의 갯수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과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통시키고,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과부와 상기 불출부를 연통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회동제어부는 상기 제2 회동부를 제어하여 회동시키며, 상기 제2 회동부의 회동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제1 회동부를 제어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하면,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를 분배하는 과정에서 한 알씩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불출되도록 하여 불출되는 약제의 갯수를 정확하게 카운팅되도록 함으로써 약제 불출의 정확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제로 불출되는 약제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와 동일한지 여부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처방전과 상이한 약제가 수집되는 경우 간단하게 분리시킴으로써 약제 포장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2차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통과부의 내부 구성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는 환자의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의 약제가 투입된 후 포장용지 등에 수집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한 알씩 불출되도록 하여 약제 불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 제1 이송부(110), 제2 이송부(120) 및 구동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110)는 호퍼(140)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가 안착될 수 있으며, 안착된 상기 약제를 제2 이송부(12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송부(120)는 상기 제1 이송부(110)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전달된 상기 약제를 후공정인 약제의 포장 공정을 위해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110) 및 상기 제2 이송부(120)는 적어도 2 이상의 회전축(112, 122)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14, 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114, 124)의 회전을 위한 상기 회전축(112, 122)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은 구동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제어부(130)는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 약제가 전달되기 위해 상기 약제가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탈 시 또는 이탈 시점 이후에 상기 제1 이송부(11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1 이송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11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후공정인 약제 포장을 위해 약제가 이탈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한 알씩 불출시키기 위함으로, 결국,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정확히 한 알씩 불출하기 위해서는 호퍼(140) 등의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달아 배출되는 1회 복용분의 약제가 상기 제2 이송부(120) 상에서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제어부(130)는 상기 제1 이송부(110)에 안착된 약제가 상기 제2 이송부(120)를 향하여 이탈되면, 이탈 시 또는 이탈 시점 이후에 상기 제1 이송부(110)의 구동을 정지하여 정지한 시간만큼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의 약제의 전달이 멈추는 동시에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이송에 의해 상기 제2 이송부(120)로 전달된 약제를 소정 거리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120)로 전달된 약제가 소정 거리 이송되면, 상기 구동제어부(130)는 상기 제1 이송부(110)를 다시 구동시켜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 다른 약제를 전달시킬 수 있으며, 결국, 상기 다른 약제는 소정 거리 이송된 약제와는 서로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이탈되는 약제는 서로 이격되어 한 알씩 정확하게 후공정으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130)는 상기 제1 이송부(11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 전달된 약제가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 이송부(110)를 다시 구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이송부(120)는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전달된 약제가 한 알씩만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이탈되는 약제는 한 알씩 정확하게 불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이송부(120)는 상기 제1 이송부(110)와는 달리 상기 제1 이송부(110)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일정한 이송 속도를 유지한 채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이송 속도는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빠를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이송 속도가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경우 및 빠른 경우 모두 구동제어부(130)에 의해 상기 제1 이송부(11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2 이송부(120) 상에 위치하는 약제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다만, 제2 이송부(120)의 이송 속도가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이송 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정지 시간 동안 상기 제2 이송부(120)에 안착된 약제의 이송 거리가 더 크게 되어 제2 이송부(120) 상에 위치하는 약제의 이격 거리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호퍼(140) 등의 외부로부터 제1 이송부(110)에 배출되는 1회 복용분의 약제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약제는 연속적으로 연달아 배출되거나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송부(110)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약제는 서로 근접한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성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약제가 한꺼번에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 전달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후공정인 약제 포장 공정으로 불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110) 및 상기 제2 이송부(12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벨트(114, 124)의 곡선 부분에 위치하는 약제들도 한꺼번에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 전달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후공정인 약제 포장 공정으로 불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의 한 알씩의 약제의 전달 및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후공정으로의 한 알씩의 약제의 배출을 위해 각각 이송되는 과정에서 약제를 서로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이송부(110)는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개의 약제를 상기 제2 이송부(120)로 한 알씩 이격되어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이송부(110)에 안착된 상기 복수개의 약제를 이격시키도록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120)도 상기 제1 이송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약제를 상기 후공정으로 한 알씩 이격되어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약제를 이격시키도록 진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110) 및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진동은 각각을 구성하는 회전축(112, 122)을 진동시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을 구성하는 컨베이어 벨트(114, 124) 자체를 진동시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송부(110)는 이송 과정 상에 자체적으로 진동되므로, 복수개의 약제가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어도 점차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어 상기 제2 이송부(120)로 한 알씩의 약제의 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부(120)도 상기 제1 이송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복수개의 약제가 근접한 상태로 전달되어도 이송 중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므로, 후공정으로 한 알씩의 약제를 불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는 구동제어부(130)에 의해 제1 이송부(110)를 간헐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이송부(110)에 안착된 약제는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2 이송부(120)로 한 알씩 전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 전달되는 약제는 순차적으로 제2 이송부(120)의 이송에 의해 서로 충분히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후공정으로 한 알씩의 약제 불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는 호퍼(140) 등의 외부로부터 제1 이송부(110)에 배출되는 1회 복용분의 약제가 서로 근접한 상태로 상기 제1 이송부(110)에 안착이되더라도 안착된 약제를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이송과 동시에 상기 제1 이송부(11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1 이송부(110) 상에서 이격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이송부(120)로 한 알씩 이탈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이송부(1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120)로 복수개의 약제가 근접한 상태로 전달되어도 근접하게 배치된 약제들을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이송과 동시에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2 이송부(120) 상에서 이격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후공정으로 한 알씩 불출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는 상기 제1 이송부(110) 및 상기 제2 이송부(120)의 진동과 구동제어부(130)에 의한 상기 제1 이송부(110)의 구동 제어를 통해 상기 제2 이송부(120)로부터 후공정으로 한 알씩의 약제 불출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는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를 후공정인 약제 포장을 위해 분배하는 과정에서 한 알씩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불출되도록 하여 약제 불출의 정확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200)는 구동제어부(230)에 의한 제1 이송부(210)의 구동 여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구동제어부(230)에 의한 제1 이송부(210)의 구동 여부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구동제어부(23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호퍼(240) 등의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가 제1 이송부(210)로부터 제2 이송부(220)로 약제가 전달되기 위해 상기 약제가 상기 제1 이송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탈 시 또는 이탈 시점 이후에 상기 제1 이송부(21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230)는 상기 제2 이송부(220)로 전달된 약제가 소정 거리 이송되거나, 후공정을 위해 이탈되면 다시 제1 이송부(2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제어부(230)는 상기 제1 이송부(210)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제어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이송부(220)의 구동 여부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동제어부(230)는 상기 제1 이송부로(210)부터 상기 제2 이송부(220)로 전달된 약제가 소정 거리 이송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22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 이송부(2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220)로 다른 약제가 전달될 때까지 상기 제2 이송부(2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제어부(230)는 제2 이송부(220)의 정지 이후 상기 제2 이송부(220)로 다른 약제가 전달되면 상기 제2 이송부(220)를 다시 구동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 구동제어부(230)는 상기 제1 이송부(210) 및 상기 제2 이송부(220)의 순차적인 반복 제어를 통해 제2 이송부(220)로부터 후공정으로의 한 알씩의 약제 불출을 구현할 수 잇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300)는 감지부(350) 및 제3 감지부(36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 2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감지부(350) 및 상기 제3 감지부(36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감지부(350)는 호퍼(340) 등의 외부로부터 제1 이송부(310)로 연속적으로 연달아 배출되는 약제가 제1 이송부(310)로부터 제2 이송부(320)로의 전달 여부를 감지하는 일종의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350)는 상기 제1 이송부(310)에 안착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이송부(310)의 끝단 부분 및 상기 제1 이송부(3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320)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320)의 시작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310)으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320)로의 약제 전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350)는 제1 감지부(352) 및 제2 감지부(3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감지부(352) 및 상기 제2 감지부(354)는 각각 상기 제1 이송부(310)에 안착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이송부(310)의 끝단 부분 및 상기 제1 이송부(3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320)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320)의 시작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352)는 상기 제1 이송부(310)로부터의 약제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감지부(354)는 상기 제1 이송부(310)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320)로 약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352) 및 상기 제2 감지부(354)는 각각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는 계속적으로 수광소자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310)로부터의 약제의 이탈 및 상기 제2 이송부(320)로 약제가 유입 여부는 발광소자로부터 수광소자로 조사되는 광이 순간적으로 끊어지는 것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감지부(352) 및 상기 제2 감지부(354)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352) 및 상기 제2 감지부(354)의 감지 결과는 구동제어부(330)에 의한 제1 이송부(310) 및 제2 이송부(302)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제어부(330)는 상기 제1 감지부(352) 및 상기 제2 감지부(354)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송부(310) 및 상기 제2 이송부(320) 중 적어도 하나를 정지시키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부(352) 및 상기 제2 감지부(354)가 제1 이송부(310)로부터 제2 이송부(320)로 약제의 전달을 감지하게 되면, 감지 결과는 구동제어부(330)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제어부(330)가 상기 제1 이송부(31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300)는 상기 제2 이송부(320)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320)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320)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360)는 상기 제2 이송부(320)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 갯수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카운팅된 감지 결과는 후술할 제2 회동부(480)를 제어하는 회동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 내지 1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제4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통과부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400)는 통과부(490), 제1 회동부(470), 제2 회동부(480) 및 회동제어부(미도시)를 제외하고는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3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구성요소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이송부(410)로부터 제2 이송부(420)로 전달된 약제는 후공정인 1회 복용분의 약제 포장을 위해 통과부(490)로 불출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과부(490)는 약제 포장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1회 복용분의 약제가 수집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과부(490)는 상기 제2 이송부(420)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420)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후공정인 약제의 포장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2 이송부(420)로부터 이탈되는 약제를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과부(490)는 상기 제2 이송부(420)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투입되는 투입부(492) 및 상기 투입부(492)로부터 분기되는 불출부(494)와 회수부(49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420)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상기 투입부(492)로부터 상기 불출부(494)를 통과하여 불출되면, 약제 포장을 위한 약제포장지 등에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회수부(496)를 통과하여 불출되면 회수를 위한 회수통에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부(492)에는 제1 회동부(470)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동부(470)는 상기 투입부(492)에 투입된 약제의 상기 불출부(494) 또는 상기 회수부(496)로의 이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회동부(470)는 회동에 의해 상기 투입부(492)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닫히는 경우 일시적으로 투입된 약제를 수집하고 열리는 경우 수집된 약제를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동부(470)의 회동에 의해 내부가 열리게 되어 상기 투입부(492)를 통과한 약제는 상기 불출부(494) 및 상기 회수부(496) 중 어느 하나로만 통과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불출부(494), 상기 회수부(496) 또는 상기 불출부(494)와 상기 회수부(496)의 경계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회동부(4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부(470) 및 상기 제2 회동부(480)의 회동 여부는 회동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회동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투입부(492)로 투입되는 약제가 상기 투입부(492)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회동부(47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회동부(470)를 회동시켜 내부를 열리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동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1 회동부(470)의 회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회동부(470)의 제1 회동축(472)과 연결된 제1 구동부(474)에 신호를 인가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474)는 소정의 각도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인 회전이 가능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회동부(470)의 회동 방향도 바뀔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제어부는 상기 투입부(492)를 통과하는 약제가 불출부(494) 및 회수부(496) 중 어느 하나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480)의 회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회동부(480)의 제2 회동축(482)과 연결된 제2 구동부(484)에 신호를 인가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484)는 상기 제1 구동부(474)와 마찬가지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인 회전이 가능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부(480)의 회동 방향도 바뀔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이송부(420)로부터 약제가 불출되어 통과부(490)를 통과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호퍼(440) 등의 외부로부터 제1 이송부(410)에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가 투입되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부(420)를 지나 한 알씩 투입부(492)로 불출되게 된다.
이때, 도 14를 참조하면, 투입부(492)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 제1 회동부(470)는 투입부(492)의 내부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투입부(492)의 일면에 약제가 순차적으로 안착되게 된다.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의 총 갯수가 N개(기설정된 약제의 갯수, N은 자연수)라고 가정하면, 상기 제3 감지부(460, 도 11 참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이송부(420)로부터의 약제의 이탈 갯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카운팅된 감지 결과는 회동제어부에 의해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의 총 갯수인 N개와 비교하게 되며, 비교 결과에 대한 신호를 제1 구동부(474)와 제2 구동부(484)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제3 감지부(460)에 의한 투입부(492)로의 약제 투입 갯수가 N과 상이한 경우 상기 회동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484)로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 회동부(480)가 불출부(494)를 향하여 회동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484)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출부(494)는 상기 제2 회동부(48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상기 제2 회동부(480)의 상기 불출부(494)로의 회동에 의해 상대적인 효과로 상기 회수부(496)는 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회동부(480)가 이미 상기 불출부(494)를 향하여 회동된 상태라면 상기 제2 회동부(480)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제어부는 투입부(492)가 열리도록 제1 구동부(472)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 회동부(47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투입부(492)와 상기 회수부(496)는 연통되어 상기 제1 회동부(470)에 안착된 약제는 모두 회수부(496)를 통과하여 회수통으로 투입되게 된다.
반면에, 도 16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제3 감지부(460)에 의한 통과부(490)로의 약제 투입 갯수가 N과 동일한 경우 상기 회동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484)로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 회동부(480)가 회수부(496)를 향하여 회동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484)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수부(496)는 상기 제2 회동부(48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회동부(480)가 이미 상기 회수부(496)를 향하여 회동된 상태라면 상기 제2 회동부(480)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회동부(480)의 상기 회수부(496)로의 회동에 의해 상대적인 효과로 상기 불출부(494)는 열리게 되며, 이후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제어부는 투입부(492)가 열리도록 제1 구동부(474)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 회동부(47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투입부(492)와 상기 불출부(494)는 연통되어 상기 제1 회동부(470)에 안착된 약제는 모두 불출부(494)를 통과하여 약제 포장을 위한 공정으로 투입되게 된다.
한편, 회동제어부에 의해 제1 회동부(470)가 회동되어 투입부(492)와 상기 회수부(496) 또는 상기 투입부(492)와 상기 불출부(494)가 연통되어 약제가 모두 통과하면, 상기 회동제어부는 다시 제1 구동부(474)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 회동부(470)를 타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투입부(492)를 닫히게 한 후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제어부에 의한 제1 회동부(470)의 회동 시점과 제2 회동부(480)의 회동 시점은 약제가 통과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제1 회동부(470)의 회동 시점이 후일 수 있으나, 동시에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400)는 호퍼(140~440) 등의 외부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가 투입된 후 제3 감지부(360, 460)에 의한 감지 및 감지 결과에 따른 회동제어부의 제어 등에 의해 환자의 처방전과 상이한 경우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약제 포장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2차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0~400)는 약제 포장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개가 동시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약제 불출 장치(100~400)의 기설정된 시간을 조절하여, 각각의 장치의 불출부(494)로부터 불출되는 시간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즉, 상기 제1 이송부(110) 및 상기 제2 이송부(120)는 적어도 2 이상의 회전축(112, 122)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14, 12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베이어 벨트(114, 124) 이외에도 회전하는 속도 혹은 내경의 치수가 서로 상이한 원통형 튜브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호퍼(140) 등의 외부로부터 제1 이송부(110)로 투입되는 약제는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루 복용분 또는 그 이상에 해당하는 약제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이송부(110) 및 제2 이송부(120)는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제어부(130)는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이송부(110) 및 상기 제2 이송부(120)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100: 약제 불출 장치
110: 제1 이송부
120: 제2 이송부
130: 구동제어부

Claims (19)

  1.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가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약제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약제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상기 약제가 전달되기 위해 상기 약제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탈 시 또는 이탈 시점 이후에 상기 제1 이송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가 소정 거리 이송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 이송부를 다시 구동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일정한 이송 속도를 유지한 채 구동되는 약제 불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가 소정 거리 이송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다른 약제가 전달될 때까지 상기 제2 이송부를 정지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2 이송부로 상기 다른 약제가 전달되면 상기 제2 이송부를 다시 구동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의 이송 속도는 상기 제2 이송부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빠른 약제 불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개의 약제를 상기 제2 이송부로 한 알씩 이격되어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이송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개의 약제를 이격시키도록 진동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제를 상기 후공정으로 한 알씩 이격되어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제를 이격시키도록 진동하는 약제 불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는 적어도 2 이상의 회전축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에 안착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이송부의 끝단 부분 및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시작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의 약제의 전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안착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이송부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시작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로 약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후공정인 약제의 포장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통과하는 통과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부는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투입되는 투입부 및 상기 투입부로부터 분기되어 약제의 포장을 위한 불출부와 약제의 회수를 위한 회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약제의 상기 불출부 또는 상기 회수부로의 이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불출부, 상기 회수부 또는 상기 불출부와 상기 회수부의 경계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약제가 상기 불출부 및 상기 회수부 중 어느 하나로만 통과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약제가 상기 투입부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회동부를 제어하는 회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1 회동부의 회동 여부를 제어하는 약제 불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로 전달된 약제의 이송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이송부의 끝단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제3 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투입부를 통과한 약제가 상기 불출부 및 상기 회수부 중 어느 하나로만 통과되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감지부는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이탈 갯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회동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제3 감지부에 의해 카운팅된 감지 결과와 기설정된 약제의 갯수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과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통시키고,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회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과부와 상기 불출부를 연통시키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부는 상기 제2 회동부를 제어하여 회동시키며, 상기 제2 회동부의 회동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제1 회동부를 제어하여 회동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KR1020130002722A 2013-01-10 2013-01-10 약제 불출 장치 KR20140090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22A KR20140090745A (ko) 2013-01-10 2013-01-10 약제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22A KR20140090745A (ko) 2013-01-10 2013-01-10 약제 불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745A true KR20140090745A (ko) 2014-07-18

Family

ID=5173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722A KR20140090745A (ko) 2013-01-10 2013-01-10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07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2239B2 (ja)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JP4372678B2 (ja) 製品、特に化学薬品を容器に詰めるための装置
KR101529702B1 (ko) 약제 포장유니트 및 이의 포장 제어방법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101261265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971319B1 (ko) 제어 장치
KR20100059679A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0359541B1 (ko) 약제의 분배포장장치
JP2023052649A (ja) 薬剤包装装置
JP2023095879A (ja) 薬剤供給装置
KR100886493B1 (ko) 정제공급기의 수량조절모듈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1595906B1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KR100996580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30108747A (ko) 약제 절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40090745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0955947B1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US7392111B2 (en) Rotary desiccant feeder method and apparatus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0996579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JP2007039111A (ja) 薬剤分包装置
KR20150067684A (ko)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KR20110134560A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046780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1669797B1 (ko) 약포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