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780B1 -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 Google Patents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780B1
KR102046780B1 KR1020130013942A KR20130013942A KR102046780B1 KR 102046780 B1 KR102046780 B1 KR 102046780B1 KR 1020130013942 A KR1020130013942 A KR 1020130013942A KR 20130013942 A KR20130013942 A KR 20130013942A KR 102046780 B1 KR102046780 B1 KR 10204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automatic
medicine
unit
pack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779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01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780B1/ko
Priority to PCT/KR2013/010325 priority patent/WO2014123297A1/ko
Publication of KR2014010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2Compounding apparatus specially for enteral or parenteral nutritive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재가동시 진동구간의 약제를 회수함으로써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방과 폐쇄과정에서 진동구간의 약재들이 배열이 흐트러지거나 임의로 진동구간에서 호퍼로 배출됨에 의해 약품이 오조제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는 약제 포장 공정을 중단하였다가 재가동시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를 초기화한 후 약제 포장 공정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PREPARATION OF DRUGS METHOD FOR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재가동시 진동구간의 약제를 회수함으로써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방과 폐쇄과정에서 진동구간의 약재들이 배열이 흐트러지거나 임의로 진동구간에서 호퍼로 배출됨에 의해 약품이 오조제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tablet)나 캡슐(capsule) 등의 약제를 종류별로 수용하고 있는 복수개의 카세트 장치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 일회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약제 자동 포장기로서는,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부에 배열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 장치(110)와, 본체(100)의 하부에 배열되어 카세트 장치(110)들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130)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140)와, 호퍼(130)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150)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약제 자동 포장기에 포함된 카세트 장치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카세트 본체와, 이 카세트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약제를 분리 배출하는 분배 블록과, 분배 블록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카세트 본체를 지지하는 카세트 받침대와, 카세트 본체에 설치되어 분배 블록에 의해 분리 배출되는 약제가 일정한 수량씩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 부재를 포함한다.
분배 블록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배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카세트 본체에 수용된 약제는 이 배출 홈을 따라서 카세트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정해진 수량의 약제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홈을 중간에서 막아주는 칸막이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에는 카세트 장치와 호퍼의 사이에 약제 배출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약제 배출장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장착되어 약제를 이동시키면서 약제들을 서로 이격시켜 일렬로 배열시키는 이격 배열 유닛과, 프레임 상에서 이격 배열 유닛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한 알씩 배출하고자 하는 약제를 이 이격 배열 유닛에 공급하는 약제 공급 유닛과, 이격 배열 유닛을 통하여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를 호퍼 측으로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약제 자동 포장기는 약제 포장 중에 카세트 교체 등의 이유로 포장기를 개방시켰을 때 이격 배열 유닛에 하나씩 일렬로 배치되어 남아 있던 약제들이 포장기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약제들이 이격 배열 유닛에서 배열이 흐트러지거나 또는 임의로 이격 배열 유닛에서 호퍼로 배출되어 카세트 교체 등을 마친 후 약제 자동 포장기의 재가동 시에 약제가 오조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약제 자동 포장기의 재가동시 이격 배열 유닛에 남아있던 약제들에 의해 약품이 오조제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는 약제 포장 공정을 중단하였다가 재가동시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를 초기화한 후 약제 포장 공정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는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유닛과, 상기 약제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약제를 일렬로 배열시키는 이격 배열 유닛과, 상기 이격 배열 유닛에 배열된 약제를 포장 장치로 이송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약제 전달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초기화는 상기 이격 배열 유닛에 배열된 약제가 임의로 상기 포장 장치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기화는 상기 이격 배열 유닛을 진동시켜 상기 이격 배열 유닛에 있는 약제를 상기 약제 전달 유닛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약제가 외부로 배출되어 회수되도록 하는 것 바람직하다.
상기 초기화는 상기 약제 전달 유닛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약제를 감지하되, 상기 감지센서는 감지된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이상 전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초기화를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 자동 포장기의 재가동 시 약제 자동 포장기가 초기화되게 하여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전(前) 약제 제조 공정 중 이격 배열 유닛에 남아있던 약제들에 의해 발생되는 약품의 오조제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약제 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서 약제 전달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a는 도 2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b은 도 2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약제 배출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8는 도 7에서 약제 자동 포장기 초기화 단계만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약제 배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일반적인 약제 배출장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일반적인 약제 배출장치에 국한되지 않음을 밝힌다.
본 발명에서 이형 약제란, 원형 혹은 타원형 정제 등을 반으로 자른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 반알 정제 등과 같이 정형화되지 않으며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약제로서, 종래의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게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어려운 약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약제란, 전술한 이형 약제는 물론, 온전한 한 알의 정제 형상을 가지지만, 마약류와 같이 특별 취급이 필요하여 기존의 카세트 장치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 빈도가 낮아 카세트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인 약제들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는, 정제나 캡슐과 같이 정형화된 약제를 비롯하여 정형화되지 않은 형상의 이형 약제까지도 정확하게 한 알씩 정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약제들을 정확하게 한 알씩 배출하기 위해서는, 한꺼번에 뭉쳐있는 약제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정렬할 필요가 있다. 약제들이 지나치게 근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면, 관성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약제들이 한꺼번에 배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D)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약제를 이동시키면서 약제들을 서로 이격시켜 일렬로 배열시키는 이격 배열 유닛(20)과, 프레임(10) 상에서 이격 배열 유닛(2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일렬로 배열된 약제를 상기 이격 배열 유닛(20)에 공급하는 약제 공급 유닛(30)과, 이격 배열 유닛(20)을 통하여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를 호퍼(130) 측으로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유닛(40)을 더 포함한다.
이격 배열 유닛(20)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수단(21)과, 이 진동 발생수단(21)에 부착되어 함께 진동하는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진동 발생수단(21)으로서는 플레이트(22)를 직선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면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구성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레이트(22)는 진동 발생수단(21)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그 상부표면에 올려져 있는 약제들을 미세하게 이동시킨다. 플레이트(22)는 약제를 약제 전달 유닛(40)의 배출 통로(42)까지 이동시키는 홈부(2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2)는 배출 통로(42)가 부착된 쪽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이격 배열 유닛에 의해 플레이트(22)가 진동함에 따라 플레이트(22) 상의 약제들이 점진적으로 배출 통로(42) 쪽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홈부(23)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24)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홈부(23)의 바닥면은 하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이룬다. 약제는 경사면(24)을 통과하면서 이동 속도가 빨라져 바로 뒤에서 이송되는 또 다른 약제와의 거리가 더욱 벌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홈부(23)에 형성된 경사면(24)으로 인하여 배출되는 약제와 약제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약제의 배출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홈부(23)의 단면형상은 약제가 홈부(23)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영문 U자 혹은 V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22)에 2 이상의 경사면(24)이 형성될 경우, 필요에 따라 경사면(24)의 각도는 모두 동일하게 설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이격 배열 유닛에 의해 진동하는 플레이트(22)는 금속 소재, 비금속 소재 혹은 금속 및 비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특히 약제와 접촉하는 플레이트(22)의 상부면이 어떠한 소재로 만들어지는가에 따라 이형 약제의 이동속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설계시 요구되는 이형 약제의 이동속도에 맞춰 플레이트(22)의 소재를 변화시켜도 좋다.
상기된 설명에서는 진동에 의해 약제를 일렬로 이격시켜 배열하는 이격 배열 유닛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수의 약제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면 진동 이외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약제 공급 유닛(30)으로서는,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진동에 의해 약제를 나선형으로 이동시키는 원통형 피더(feeder)가 사용될 수 있다. 약제 공급 유닛(30)의 수용부(31) 내에 한꺼번에 쏟아져 공급된 이형 약제들은 이 수용부(31)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선형 이동경로(32)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수용부(31)의 외부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약제 공급 유닛(30)으로서의 원통형 피더에서 나선형 이동경로(32)를 따라 일렬로 이동하는 이형 약제는 원통형 피더로부터 플레이트(22) 상으로 전달, 즉 낙하될 수 있으며, 계속해서 플레이트(22)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나선형 이동경로(32)에는 하나 이상의 절취 홈(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절취 홈(33)은 나선형 이동경로(32)를 따라서 2개의 약제가 나란히 이동하는 경우에 절취 홈(33)을 통과하면서 하나의 약제는 수용부(31)로 낙하하여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절취 홈(33)은 나선형 이동경로(32)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의 끝까지 이동한 이형 약제는 약제 전달 유닛(40)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약제 전달 유닛(40)은, 배출되는 약제의 개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41)이 장착되는 배출 통로(42)와, 검출수단(41)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약제의 개수가 정확할 경우에 배출되는 약제를 포장 장치(150) 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포장 통로(43; 도 4 참조)와, 검출수단(41)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약제의 개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 배출되는 약제를 회수통(45) 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회수 통로(44;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2)로부터 낙하하는 약제의 개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배출 통로(42)에 설치되는 검출수단은, 예를 들어,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22) 상에서 이동하는 약제의 위치를 검출해 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센서(도시생략)가 플레이트(22)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레이트(22)의 약제 공급 유닛(30)측 말단에 센서를 설치할 경우에는 약제 공급 유닛(30)으로부터 플레이트(22) 상에 약제가 공급된 직후의 순간을 검출해 낼 수 있고, 플레이트(22)의 약제 전달 유닛(40)측 말단에 센서를 설치할 경우에는 플레이트(22)로부터 약제 전달 유닛(40)으로 약제가 공급되기 직전의 순간을 검출해 낼 수 있다. 그 밖에도 플레이트 상의 다른 여러 위치에 센서가 설치되어 약제의 이동 상태를 검출해 낼 수 있다.
센서는 플레이트(22) 내에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고, 플레이트(22)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통로(43) 및 회수 통로(44)의 입구에는 포장 통로(43) 및 회수 통로(4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 부재(46)가 설치되고, 이 개폐 부재(46) 상류측의 배출 통로(42) 내에는 개수가 검출된 약제들을 일시적으로 체류시키기 위한 체류 부재(47)가 설치된다. 개폐 부재(46)는 개폐 모터(48)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류 부재(47)는 체류 모터(49)에 의해 역시 일정한 각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에는 체류 부재(47)가 개방되도록 시계 반대방향으로 선회되어 체류된 약제를 아래쪽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개폐 부재(46)가 포장 통로(43)를 개방시키고 회수 통로(44)를 폐쇄시키도록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있는 상태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류 부재(47)가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배출 통로(42)를 폐쇄하면 약제는 체류 부재(47) 상에서 체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폐 부재(46)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선회되면 포장 통로(43)를 폐쇄시키고 회수 통로(4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D)의 약제 전달 유닛(40)에 의한 약제 배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약제 공급 유닛(30)과 이격 배열 유닛(20)의 플레이트(22)를 통해 약제 전달 유닛(40)까지 이동한 약제는, 배출 통로(42)에 설치된 검출수단(41)을 통과하면서 그 낙하 개수가 검출된다. 이때, 배출 통로(42)에 설치된 체류 부재(47)는 배출 통로(42)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 선회되어 있으므로 낙하하는 약제들은 모두 체류 부재(47) 상에 체류된다.
체류 부재(47) 상에 낙하한 약제의 개수가 사전에 설정된 개수, 즉 하나의 약포 내에 포장될 개수와 일치하면, 개폐 부재(46)는 포장 통로(43)를 개방시키고 회수 통로(44)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 선회한다. 그 후 체류 부재(47)가 선회하면서 배출 통로(42)를 개방시킴에 따라 체류 부재(47)에 의해 일시적으로 체류되어 있던 약제들은 아래로 낙하하여 포장 통로(43) 쪽으로 공급된다.
포장 통로(43) 쪽으로 공급된 약제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호퍼(130)를 통해 포장 장치(150)에 공급되어 포장될 수 있다.
그와는 달리, 체류 부재(47) 상에 낙하한 약제의 개수가 사전에 설정된 개수, 즉 하나의 약포 내에 포장될 개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개폐 부재(46)는 회수 통로(44)를 개방시키고 포장 통로(43)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 선회한다. 그 후 체류 부재(47)가 선회하면서 배출 통로(42)를 개방시킴에 따라 체류 부재(47)에 의해 일시적으로 체류되어 있던 약제들은 아래로 낙하하여 회수 통로(44) 쪽으로 공급된다.
회수 통로(44) 쪽으로 공급된 약제는 회수통(45)에 공급되며, 회수통(45)에 회수된 약제는 추후 재사용될 수 있다.
즉, 체류 부재(47) 상에 체류되어 모인 약제의 개수가 포장할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약제가 추가적으로 이동되어 오는 것을 기다리고, 한꺼번에 2개 이상의 약제가 전달되는 의도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체류되어 모인 약제의 개수가 포장할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모인 약제를 회수 통로(44) 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에는 약제 배출장치(D) 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평면도, 그리고 도 5b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에 따른 플레이트(51)는,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 발생수단(21)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그 상부표면에 올려져 있는 약제들을 미세하게 이동시키며, 약제를 약제 전달 유닛(40)의 배출 통로(42)까지 이동시키는 홈부(52)와, 이 홈부(52)의 상류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단차(53)를 포함한다.
각 단차의 상부면(54)은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을 따라 중심부분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상부면(54)의 형상, 표면 거칠기, 오목한 깊이, 경사각도 등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약제 배출장치(D)가 장착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D)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본체 상부(101)에 카세트 장치(110)와 함께 배열될 수 있다.
약제 배출장치가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에, 약제 배출장치(D)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 장치(110)와 함께 본체, 특히 본체 상부(101)에 배열될 수 있다. 약제 배출 장치(D)가 본체 상부(101)에 배열됨에 따라, 약제 배출 장치(D)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는 카세트 장치(110)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와 동일한 호퍼(130)를 통과하여 포장된다.
호퍼(130)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본체 하부(103)에 설치되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130) 이외에도,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도시생략)와, 호퍼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도시생략)가 본체 하부(103)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는 약제 배출장치(D)가 카세트 장치(110)와 함께 본체 상부(101)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세트 장치(110)에서 배출된 약제를 수집하기 위해 본체 하부(103)에 설치된 호퍼(130)를 이용하여 약제 배출장치(D)에서 배출된 약제를 수집하여 포장할 수 있다.
약제 배출 장치(D)는, 약제의 보충, 청소,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인출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본체 상부(101)로부터 약제 배출 장치(D)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약제 배출장치(D)는, 약제 자동 포장기 내의 카세트 장치에 수용된 약제가 배출되어 포장되는 포장 주기에 맞춰 약제를 포장장치 쪽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약제 배출장치는, 이형 약제뿐만 아니라 원형 혹은 타원형 정제나 캡슐 등의 일반 약제를 배출시키는 용도로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 자동 포장기에 적용되는 본원 발명의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약제 자동 포장 작업을 개시(S1)하면, 약제 공급 유닛(30)과 이격 배열 유닛(20)의 플레이트(22)를 통해 약제 전달 유닛(40)까지 이동한 약제는, 배출 통로(42)에 설치된 검출수단(41)을 통과하면서 그 낙하 개수가 검출된다. 이때, 배출 통로(42)에 설치된 체류 부재(47)는 배출 통로(42)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 선회되어 있으므로 낙하하는 약제들은 모두 체류 부재(47) 상에 체류된다.
체류 부재(47) 상에 낙하한 약제의 개수가 사전에 설정된 개수, 즉 하나의 약포 내에 포장될 개수와 일치하면, 개폐 부재(46)는 포장 통로(43)를 개방시키고 회수 통로(44)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 선회한다. 그 후 체류 부재(47)가 선회하면서 배출 통로(42)를 개방시킴에 따라 체류 부재(47)에 의해 일시적으로 체류되어 있던 약제들은 아래로 낙하하여 포장 통로(43) 쪽으로 공급된다.
포장 통로(43) 쪽으로 공급된 약제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호퍼(130)를 통해 포장 장치(150)에 공급되어 포장될 수 있다.
그와는 달리, 체류 부재(47) 상에 낙하한 약제의 개수가 사전에 설정된 개수, 즉 하나의 약포 내에 포장될 개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개폐 부재(46)는 회수 통로(44)를 개방시키고 포장 통로(43)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 선회한다. 그 후 체류 부재(47)가 선회하면서 배출 통로(42)를 개방시킴에 따라 체류 부재(47)에 의해 일시적으로 체류되어 있던 약제들은 아래로 낙하하여 회수 통로(44) 쪽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회수 통로(44) 쪽으로 공급된 약제는 추후 재사용될 수 있도록 회수통(45)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약제 자동 포장 공정 중에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점검, 부품 교체, 약제 교체, 수리, 카세트 교체, 특정 약품 투입 등과 같이 약제 포장 작업에 문제가 발생(S2)하게 되면 작업자가 약제 자동 포장기를 강제 종료하여 약제 자동 포장 공정을 일시 중단한다.(S3)
그리고 상기 문제를 해결한 후 작업자가 약제 자동 포장기를 재가동하게 되면, 본 발명의 오조제 방지 방법에 따라 약제 자동 포장기를 초기화한다.(S4) 여기서 약제 자동 포장기의 초기화란 이격 배열 유닛(20)에 남아있는 약제들을 회수 통로(44)를 통해 회수통(45)으로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약제 자동 포장기를 초기화하는 이유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약제 자동 포장기에 충격이 발생하여 이격 배열 유닛(20)에 남아 있던 약제들의 배열이 흐트러지거나 또는 이격 배열 유닛(20)에 남아 있던 약제들이 약제 자동 포장 공정이 중단된 상태에서 충격에 의해 임의로 포장 통로(43) 측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약제 자동 포장기가 재가동되어 발생할 수 있는 오조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재가동시 약제 자동 포장기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약제 포장 작업을 개시(S1)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 초기화 단계(S4)를 도 8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서 약제 자동 포장기 초기화 단계만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 초기화 단계(S4)는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에서 이격 배열 유닛(20)에 설치된 진동 발생수단(21)이 상기 배열 유닛의 플레이트(22)를 진동하게 한다.(S4-1)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의 진동에 의해 상기 이격 배열 유닛(20)에 남아 있는 약제가 호퍼(130)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격 배열 유닛(20) 중 약제가 배출되는 측에는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데, 상기 감지 센서는 배출되는 약제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S4-2)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바람직하게는 약 5초) 동안 전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격 배열 유닛(20)에 약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가 약제 포장 공정을 진행하게 한다.(S4-3) 여기서 상기 감지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가 약제 포장 공정을 진행하는 중에는 상기 플레이트(22)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의 개수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제 자동 포장기의 재가동 시 약제 자동 포장기가 초기화되게 하여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전(前) 약제 제조 공정 중 이격 배열 유닛에 남아있던 약제들에 의해 발생되는 약품의 오조제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프레임, 20: 이격 배열 유닛,
21: 진동 발생수단, 22: 플레이트,
23: 홈부, 24: 경사면,
30: 약제 공급 유닛, 31: 수용부,
32: 나선형 이동경로, 40: 약제 전달 유닛,
41: 검출수단, 42: 배출 통로,
43: 포장 통로, 44: 회수 통로,
45: 회수통, 46: 개폐 부재,
47: 체류 부재, 48: 개폐 모터,
49: 체류 모터, 101: 본체 상부,
103: 본체 하부, 110: 카세트 장치,
130: 호퍼, D: 약제 배출 장치,

Claims (4)

  1.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는, 포장할 약제를 일렬로 배열시키는 이격 배열 유닛과, 상기 이격 배열 유닛에 배열된 약제를 포장 장치로 이송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약제 전달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는 약제 포장 공정을 중단하였다가 재가동시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를 초기화한 후 약제 포장 공정을 개시하며,
    상기 초기화는,
    상기 이격 배열 유닛에 배열된 약제가 임의로 상기 포장 장치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이격 배열 유닛을 진동시켜 상기 이격 배열 유닛에 있는 약제를 상기 약제 전달 유닛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약제가 외부로 배출되어 회수되도록 하고,
    상기 약제 전달 유닛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약제를 감지하되, 상기 감지센서는 감지된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이상 전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초기화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자동 포장기는, 상기 이격 배열 유닛에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30013942A 2013-02-07 2013-02-07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204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942A KR102046780B1 (ko) 2013-02-07 2013-02-07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PCT/KR2013/010325 WO2014123297A1 (ko) 2013-02-07 2013-11-14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942A KR102046780B1 (ko) 2013-02-07 2013-02-07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812A Division KR102104775B1 (ko) 2019-11-13 2019-11-13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779A KR20140100779A (ko) 2014-08-18
KR102046780B1 true KR102046780B1 (ko) 2019-11-20

Family

ID=5129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942A KR102046780B1 (ko) 2013-02-07 2013-02-07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6780B1 (ko)
WO (1) WO2014123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4744B (zh) * 2019-11-22 2021-09-10 华东交通大学 一种改良钢轨的吸振系统及改良吸振性能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738B1 (ko) * 1997-06-17 2006-03-3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충전장치
KR100493683B1 (ko) * 2002-05-23 2005-06-03 주식회사 약기 에어 구동방식의 가동 헤드를 이용한 비접촉식 자동 약분배장치 및 그 방법
JP2007246114A (ja) * 2006-03-15 2007-09-2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分包装置
CA2639239A1 (en) * 2008-08-29 2010-02-28 Pcas Patient Care Automation Services Inc. Automated modular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ments
KR101559310B1 (ko) * 2008-11-26 2015-10-13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779A (ko) 2014-08-18
WO2014123297A1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265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CA2408641C (en) Medication dispenser
CN100415608C (zh) 药品供给装置
JP2002230513A (ja)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KR101559311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US11135133B2 (en) Medicine cassett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therewith
KR102046780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20190130532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2051801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474714B1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KR100996580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98260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89691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10134560A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ITBO980277A1 (it) Gruppo orientatore di coperchi o fondelli per capsule medicinali ed un ita' alimentatrice ed orientatrice relativa a tale gruppo.
KR101862544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7039319B2 (ja) ビート機能付き除包装置及び除包方法
KR100996579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101896911B1 (ko) 약제 포장장치
EP3740430B1 (en)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cartridges for aerosol-generating devices
KR20100053957A (ko) 방진 부재를 갖는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6056910B2 (ja) 錠剤取出装置及び錠剤取出方法
AU2001261921B2 (en) Medication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