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738B1 - 정제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정제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738B1
KR100515738B1 KR1019980021553A KR19980021553A KR100515738B1 KR 100515738 B1 KR100515738 B1 KR 100515738B1 KR 1019980021553 A KR1019980021553 A KR 1019980021553A KR 19980021553 A KR19980021553 A KR 19980021553A KR 100515738 B1 KR100515738 B1 KR 10051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container
filling
tablets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853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쓰요시 고다마
신이치 혼다
히로타카 하야시
히로후미 하야시
고우이치 스기모토
아키도미 고하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861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876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9000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4Adding more than one type of material or article to the sam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Abstract

정제 및 정제용기를 자동 공급하여, 원하는 정제용기에 원하는 정제를 효율적으로 충전함과 더불어, 가령 이상 정지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2)와 정제용기(11)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3)와, 상기 정제 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3)로부터 공급된 정제용기(11)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4)를 포함한다. 상기 정제 공급부(2)는 종류가 다른 정제별로 수용한 복수의 피더용기(36)와, 처방데이터에 따라서 해당하는 정제를 피더용기(36)로부터 상기 충전위치까지 반송하는 정제 반송수단(27)을 포함한 구성이다. 그리고 이상 정지 후, 정제 반송수단(27)에 의해 각 안내통로(31)나 정제 반송수단(27)에 잔류하는 정제를 정제 충전부(4)로 반송하여, 정제용기(11)로 회수한 뒤, 이 정제용기(11)를 보관선반(1)의 수용실(6)로 이송시키는 복귀처리를 한다.

Description

정제 충전장치
본 발명은 정제충전(錠劑充塡)장치, 특히, 정제(캡슐이나 파일 등을 포함) 및 정제용기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정제의 충전 후에는 보관선반에 자동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정제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정제 충전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다른 정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피더(feeder) 용기를 가지며, 각 피더용기로부터 배출한 정제를 1곳에 설치한 호퍼(hopper)로 정제용기에 수용하도록 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미국특허 5348061호 참조).
그러나, 상기 정제 충전장치에서는 정제용기를 일렬로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정제를 충전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각 정제용기 사이에서 다른 종류의 정제를 충전하는 경우, 외관으로만은 정제용기의 차이를 판별할 수 없고, 작업자가 충전된 정제가 어떤 것인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제를 1개소에서 정제용기에 충전하기 때문에, 그 회수 작업 중에 다음 정제를 공급할 수 없다. 요컨대, 동시에 복수 종류의 정제가 나오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정제 및 정제용기를 자동 공급하고, 원하는 정제용기에 원하는 정제를 효율적으로 충전함과 동시에, 가령 비정상적으로 정지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정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공급부는 종류가 다른 정제별로 수용하여, 처방데이터에 따라서 해당하는 정제를 배출하는 복수의 피더용기와,
그 피더용기로부터 배출된 정제를 상기 정제 충전부까지 반송하는 정제 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처방지시 데이터(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처방전 정보로부터 취득해도 좋고, 단말기 등으로부터 입력해도 좋다.)에 따라 피더용기 및 정제 반송수단을 구동 제어함으로서, 그에 해당하는 정제를 충전위치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더용기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수용하는 피더선반을 설치하고, 그 피더선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피더용기의 정제 배출구가 개구되는 공통안내통로를 설치하면, 정제 공급부를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안내통로의 하단부에 개폐가 자유로운 통로 셔터를 설치하면, 정제의 공급시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피더선반을 적어도 2열로 병설하여, 각 피더선반의 안내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를 받아들이는 공통호퍼를 설치하면, 정제 공급부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반송수단은, 상기 공통호퍼의 아래쪽으로 병설한 적어도 2개의 반송로와, 해당 반송로에 자유롭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호퍼를 상기 어느 하나의 유지용기에 정제를 공급할 수 있는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정제 공급부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공통호퍼에 일시적으로 정제를 유지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호퍼 셔터를 설치하면, 호퍼의 아래쪽으로 정제용기를 배치하여 수동조작으로 정제를 충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 셔터는 개폐스위치에 의해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를 상기 정제용기를 복수 수용하는 저장(stock)용기와,
해당 저장용기로부터 정제용기를 집어내는 용기 취출(取出)수단과,
해당 용기 취출수단으로 집어낸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정제용기 반송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정제용기는 용기 취출수단에 의해 저장용기로부터 순차적으로 집어내어지고, 정제용기 반송수단에 의해서 정제 충전부까지 반송된 후에 정제가 충전된다.
상기 용기 취출수단은 저장용기의 벽면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빗살모양으로, 돌출방향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진 용기 들어올림 부재(持上部材)와,
상기 용기 들어올림 부재를 저장용기 내로의 돌출상태로 위쪽으로 이동시켜 비돌출 상태로 아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저장용기를 용기 들어올림 부재에 가로 방향으로 유지되는 1개의 정제용기를 제외하여 저장용기 내로 배제하는 배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정제용기를 1개씩 확실히 반송할 수가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충전부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정제용기의 상하방향을 판별하는 방향 판별수단과,
정제용기의 상하방향을 변환하는 방향 변환수단과,
상기 방향 판별수단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방향 변환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정제용기의 개구부를 정제공급 측으로 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정제용기 공급부에 의해 정제용기가 어떠한 방향에서 반송될지라도, 방향 판별수단에 의해서 그 방향이 판별되고, 제어수단에 의해서 방향 변경수단이 구동 제어됨으로써, 정제용기의 개구부를 정제공급 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충전부를, 외주부에 상기 정제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용기 수용부를 갖는 원반 형상의 회전 가능한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고, 용기 수용부 중 어느 하나를 충전위치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용기 지지부의 각 용기 수용부를, 크기가 다른 정제용기를 각각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한편,
상기 정제용기의 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수단과,
해당 크기 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용기 지지부를 구동 제어하여, 정제용기의 크기에 따른 용기 수용부를 충전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정제 충전부에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를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정제용기를 개별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실과,
해당 수용실에 정제용기가 수용되면, 해당하는 처방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는 보관선반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처방정보로서는, 예컨대, 정제가 어느 피더용기로부터 공급된 것인가를 나타내는 피더용기 번호나, 처방하는 정제수를 나타내는 정제계수(錠劑計數)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정제용기에 충전된 정제의 종별 등을 간단히 판별할 수가 있다.
또한, 정제를 충전시킨 정제용기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가지며, 해당 파지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정제용기를 충전위치로부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에 반송하는 충전용기 반송수단을 포함하면, 정제용기로의 정제의 충전으로부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로의 정제용기의 이송이 자동화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에서의 정제용기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기 검출수단과,
그 용기 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충전용기 반송수단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비어있는 수용실 중 가장 집어내기 용이한 위치로부터 순차로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면, 항상 작업하기 쉬운 위치로 정제용기를 이송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에서의 정제용기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기 검출수단과,
그 용기 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충전용기 반송수단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비어있는 수용실 중 가장 반송시간이 짧은 위치로부터 순차로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면, 정제용기의 이송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전위치에서 각 정제용기마다 소정수의 정제를 충전하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크기가 다른 정제용기를 각각 수용하는 저장용기와,
해당 저장용기로부터 정제용기를 집어내는 용기 취출수단과,
해당 용기 취출수단으로 집어낸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정제용기 반송수단과,
정제를 충전한 정제용기를 개별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실을 포함하는 보관선반과,
정제용기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가지며, 해당 파지수단을 이동시킴으로서, 정제용기를 정제 충전위치로부터 상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로 반송하는 충전용기 반송수단과,
상기 충전용기 반송수단에 의해, 정제용기를 보관선반의 수용실에 반송하면, 상기 용기 취출수단 및 정제용기 반송수단에 의해, 보관선반에 반송된 것과 동일한 크기의 정제용기를 저장용기로부터 보급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전위치에서 각 정제용기마다 소정수의 정제를 충전하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크기가 다른 정제용기를 각각 수용하는 저장용기와,
해당 저장용기로부터 정제용기를 집어내는 용기 취출수단과,
해당 용기 취출수단으로 집어낸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정제용기 반송수단과,
상기 정제용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용기의 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수단과,
처방데이터에 근거하는 정제용기의 제1 크기 정보를, 상기 크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정제용기의 제2 크기 정보와 비교함에 의해,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용기 정부(正否) 판별수단과,
상기 용기 정부 판별수단에서의 판별신호에 따라서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가 아닌 경우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보고하는 보고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용기 정부 판별수단이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그 정제용기를 배제하는 배제수단을 포함하면, 잘못해서 정제용기에 처방한 모든 정제를 충전할 수 없는 등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용기 정부 판별수단은 상기 배제수단에 의해 정제용기를 배제한 경우, 용기 취출수단 및 정제용기 반송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를 반송하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공급부를 종류가 다른 정제별로 수용하는 복수의 피더용기와, 그 피더용기로부터 배출된 정제를 일단 머무르게(貯留)하는 안내통로와, 해당 안내통로의 정제를 상기 정제 충전부까지 반송하는 정제 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한편,
상기 정제 충전부에서 정제를 충전한 각 정제용기를 보관하는 복수의 수용실을 포함하는 보관선반과,
이상 정지(異常 停止) 후, 정제 반송수단에 의해 상기 각 안내통로나 정제 반송수단에 잔류하는 정제를 정제 충전부에 반송하여, 정제용기에 회수한 뒤, 그 정제용기를 상기 보관선반의 수용실에 이송시키는 복귀처리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보관선반의 수용실에 회수한 정제를 충전한 정제용기가 이송된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면, 잔류 정제가 회수된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는, 회수된 정제가 어느 피더용기로부터 배출된 것인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면, 회수된 정제를 소정의 피더용기로 되돌릴 수 있고 다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처리를 하지 않고 전회의 처리 중의 데이터에 따라 남은 정제 충전처리를 속행할 것인지, 전회의 처리 중의 데이터를 소거하여 상기 복귀처리를 실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전회의 처리 중의 데이터를 다시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충전장치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략, 일단(一端)측에 설치되는 보관선반(1)과, 상부측에 설치되는 정제 공급부(2)와, 그 하부측에 설치되는 정제용기(錠劑容器) 공급부(3)와, 보관선반(1)과 정제용기 공급부(3)의 사이에 설치되는 정제 충전부(4)와, 제어부(5)(도 17 참조)로 이루어져 있다.
보관선반(1)은 복수의 수용실(收容室)(6)을 갖는 개략 반원통 형상이다. 각 수용실(6)은, 도 2(a)에 도시되어 있듯이, 프레임(frame) 형상으로 적어도 직경방향(도 2(a)에서 화살표로 표시)의 대향면이 개구(開口)되어 있다. 수용실(6)의 외부직경 방향의 상부에는 표시부(7)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7)에 피더용기 번호와 정제계수(錠劑計數)가 표시된다. 또한, 수용실(6)에는 용기 유지부(8)가 설치된다. 이 용기 유지부(8)는 수평방향으로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는 한 쌍의 유지판(9)을 스프링(9a)에 의해 대향방향으로 힘을 가한 것이다. 유지판(9)의 하단부에는, 대향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걸이(維持乎)(1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유지걸이(10)의 대향 가장자리에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듯이, 정제용기(11)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거의 타원 형상인 오목부(10a)가 형성됨과 동시에, 내주측으로 향해서 넓어지는 노치부(切欠部: notch)(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10b)는, 오목부(10a)에 정제용기(11)를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각 수용실(6)의 용기 유지부(8)에 정제용기(11)가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는 용기센서(8a)에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보관선반(1)의 외주 중앙부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용실(6) 대신에 터치 패널(12)이 설치된다. 이 터치 패널(12)은, 처방지시(處方指示)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관선반(1)의 내주측에는, 충전용기 반송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충전용기 반송부(13)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구형(矩形) 프레임(14)에 아암 부재(15)를 자유롭게 선회(旋回)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구형 프레임(14)의 양 외측면에는, 상하 단부에 베어링 오목부(16)가 각각 설치된다. 베어링 오목부(16)는 보관선반(1)의 배후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한 안내축(17)과 미끄러지게 접촉한다. 그리고,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함으로써,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충전 용기 반송부(13)를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구형 프레임(14)의 하부측 수평판(14a)의 중심에는 제1 구동기어(1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아암 부재(15)는, 상기 제1 구동기어(18)의 중심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아암 본체(19)를 포함한다. 아암 본체(19)의 일단부에는 제1 구동모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모터(20)의 회전축은 아암(19)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거기에는 위치검출판(21)과, 상기 제1 구동기어(18)와 맞물리는 제2 구동기어(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어 있다. 제2 구동기어의 회전위치는, 위치검출판(21)을 센서(도시하지 않음)로 검출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암 부재(15)는 제1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180°의 범위로 정역회전(正逆回轉) 한다. 또한, 아암 본체(19)의 표면에는 내장된 제2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22)의 일단부(상기 제1 구동모터(20)와는 반대측)에는, 파지편(把持片)(23)이 설치된다. 파지편(23)은, 슬라이드 부재(22) 상에 설치한 제3 구동모터(24)의 구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기어를 통해 개폐하는 한 쌍의 파지편(把持片)(25)으로 구성된다.
정제 공급부(2)는 정제 수용부(26)와 정제 반송부(27)로 구성된다.
정제 수용부(26)는, 도 4에 일부를 나타내었듯이, 수직벽부(垂直壁部)(28)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29)를 각각 병렬로 설치하고 있고, 각 홈부(29)를 지지축(30a)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선반 부재(棚部材)(30)로 각각 닫음으로써, 공통 안내통로(31)를 형성한 것이다. 각 선반 부재(30)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정제 배출구(30b)가 뚫려서 설치되어 있고, 외면에는 각 정제 배출구(30b)에 대응하여 모터 베이스(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모터 베이스(3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구동모터(32a)를 내장하고, 표면에는 상기 구동모터(32a)의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33)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모터 베이스(32)의 일단측에는 낙하안내(落下案內) 통로(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낙하안내 통로(34)의 내벽에는 정제 검출센서(35)가 설치되어 있고, 낙하안내 통로(34)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정제를 검출(계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터 베이스(32)에는 피더용기(36)가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피더용기(36)는 위쪽으로 개구되어 있고, 커버(37)에 의해서 축적할 수 있는 거의 직방체(直方體) 형상으로, 내부에는 정제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피더용기(36)의 밑바닥에는, 하단에 기어(38)를 갖는 로터(39)가 설치된다.
로터(39)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하에 원추면(圓錐面)을 가지며, 피더용기(36)가 상기 모터 베이스(32)에 장착되면, 그 기어(38)가 상기 모터 베이스(32)의 기어(33)와 맞물리게 되어 있다. 로터(39)의 아래쪽 원추면에는, 중심을 향해서 소용돌이 형태로 되는 정제 안내홈(40)과 중앙에서 둘로 나눠지는 경계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정제 안내홈(40)의 소용돌이 방향은 로터(39)의 회전중심으로 향하여, 그 회전방향(도 7(b)에서 화살표로 표시)과는 반대방향이다. 경계 홈(41)에는 경계 핀(42)이 설치되고, 도 6(b)에 도시되어 있듯이, 로터(39)의 회전에 따라 정제 안내홈(40)을 통과하는 각 정제를 순차적으로 구분한다.
또, 상기 피더용기(36)의 기어(38)에는 기어 스토퍼(stopper)(43)가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어 스토퍼(43)는 스토퍼 용수철(44)에 의해서 기어(38)측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피더용기(36)를 모터 베이스(32)로부터 떼어내더라도, 기어(38)에 기어스토퍼(43)가 연결되어, 로터(39)의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정제가 외부에 흘러 넘치지 않는다.
상기 정제 공급부(2)에서는, 모터 베이스(32)에 피더용기(36)를 설치한 상태에서, 모터 베이스(32)내의 구동모터(32a)를 구동하면, 기어(33), 구동기어(38)를 통해 로터(39)가 회전하여, 각 정제 안내홈(40)을 통해 정제가 일렬로 회전중심을 향한다. 정제 안내홈(40)의 소용돌이 방향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로터(39)의 회전중심으로 향하여, 그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39)의 회전에 따라 정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관계없이, 정제는 회전중심으로 향해서 강제적으로 이동된다. 정제는, 정제 안내홈(40) 안에 들어가기 전에, 경계 핀(42)에 의해서 구획되어, 1개씩 낙하안내통로(34)를 통해 공통안내통로(31)로 낙하한다.
공통안내통로(31)의 하단에는, 낙하한 정제를 일단 유지하기 위한 셔터(43)가 설치된다. 또한, 셔터(43)의 아래쪽에는 호퍼(44)가 회전 및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호퍼(44)는 아래쪽으로 편심(偏心)된 위치에 정제 배출구(44a)를 갖고, 이 정제 배출구(44a)는 개폐 밸브(44b)에 의해서 개폐할 수 있다. 호퍼(44)는 180°마다 선회하고, 정제 배출구(30b)의 위치를 아래에 설명된 정제 반송부(27)의 반송용기(46)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정제 반송부(27)는 한 쌍의 롤러(47) 사이에 반송 벨트(48)를 걸어주어 이 반송 벨트(48)에 의해서 반송용기(46)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2열로 설치된다. 반송용기(46)는 지지 프레임(46a)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6a)의 바닥판부(46b)에는 장방형 구멍(46c)이 병설되어 있다(도 4, 도 14 및 도 15 참조). 상기 반송 벨트(48)는 연속하는 안내 돌출부(48a)를 갖고 있다. 이 안내 돌출부(48a)는, 상기 장방형 구멍(46c)에 연결되고, 반송용기(46)를 이송할 수 있게 한다. 반송용기(46)는 하면이 개폐 가능한 셔터(49)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49)는 일단측에 설치한 스프링(50)에 의해서 반송용기(46)의 밑바닥을 닫도록 힘을 받는다. 또한, 셔터(49)의 일단측 하면에는 돌출부(49a)가 형성되어 있다.
정제용기 공급부(3)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빈 정제용기(11)를 수용하는 저장(stock)용기(51)와, 이 저장 용기(51)로부터 정제용기(11)를 1개씩 집어내는 용기 취출부(取出部)(52)와, 이 용기 취출부(52)에 의해서 저장 용기(51)로부터 꺼내진 정제용기(11)를 반송하는 빈용기(空容器) 반송부(53)로 구성된다. 정제용기 공급부(3)는 일렬로 병설되고, 각 저장 용기(51) 내에는 각각 크기(외부 직경 또는 길이)가 다른 빈 정제용기(11)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저장 용기(51)의 측벽(51a)에는, 폭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54)이 병설되어 있다, 또한, 측벽(51a)의 상단부가 개구하도록 굴곡되어 있고, 이 굴곡부(51b)는 선단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아래쪽으로 기울어진다. 또한, 저장용기(51)의 저면은 상기 측벽(51a)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다. 더욱이, 저장용기(51)의 천정면 측에는, 상기 측벽(51a)으로부터 경사져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경사편(傾斜片)(55)이 설치된다. 이 경사편(55)은 아래에 설명된 용기 취출부(5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1개의 정제용기(11)만을 집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용기 취출부(52)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저장용기(51)의 각 슬릿(54)으로부터 돌출하는 거의 삼각형상의 들어올림편(持上片)(56)을 갖는다. 각 들어올림편(56)은 제1 베어링부(57)에 일체화한 제1 로드(58)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측 2개소의 각 들어올림편(56)에는 제2 베어링부(59)가 각각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베어링부(59)에는 스프링(60)에 의해서 옆쪽으로 힘이 가해진 제2 로드(6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로드(61)는 돌출한 상태로 안내판(62)의 제1 안내홈(63)에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안내홈(63)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내부측 수직홈부(63a) 및 하부측 경사홈부(63b)가 얕게 되어 있고, 상부측 경사홈부(63c)는 깊게 되어 있어, 외부측 수직홈부(63d)는 상부측 경사홈부(63c)와 하부측 경사홈부(63b)를 원활하게 접속한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59)의 하부는, 판모양의 본체(64)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판모양의 본체(64)의 양단부에는 잠금편(係止片)(64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판(62)의 제2 안내홈(63e, 63f)에 각각 연결되어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들어올림편(56)은 벨트(65)를 통해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용기 취출부(52)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저장 용기(51)의 굴곡부(51b)의 선단에 반송부(66) 및 용기 반송 준비실(67)을 가지고 있다. 반송부(66)는 한 쌍의 롤러(68)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반송 로프(69)를 걸어준다. 롤러(68)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다. 또, 반송 로프(69)의 간격은, 적어도 반송하는 정제용기(11)의 외부직경보다도 적은 값이다. 또한, 설치 범위는 상기 들어올림편(56)을 설치하는 범위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상기 용기 반송 준비실(67)은 정확히 1개의 정제용기(1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이 용기 반송 준비실(67)의 저면은 개폐할 수 있는 셔터(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빈용기 반송부(53)는, 병설되는 저장 용기(51)에 따라 용기 반송 준비실(67)의 아래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빈용기 반송부(53)는, 상기 반송부(66)와 같이, 한 쌍의 롤러(71)와 그 양단부에 각각 걸친 한 쌍의 반송 로프(72)로 구성되어 있다.
정제 충전부(4)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용기 판별부(73)와 용기 공급부(74), 배출 박스(75), 용기 지지부(76), 정제 계량부(77)를 갖추고 있다.
상기 용기 판별부(73)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거의 V자형의 용기 위치 결정부(78)를 갖는다. 용기 위치 결정부(78)는 일단측의 지지축(78a)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 위치 결정부(78)는 제1 지지축(79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제1 다리부(脚部)(79)와 제2 지지축(8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다리부(80)와의 선단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위치 결정부(78)는 회전하는 수평위치(A), 수직위치(B) 및 대략 수직위치(C)에 각각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다리부(80)의 아래쪽에는 수평위치(A)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1 지지축(79a)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거의 C자형의 해제(release)부(8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위치 결정부(78)의 한편의 내면에는, 복수의 길이 검출센서(81)가 설치되어 있다. 길이 검출센서(81)는 용기 위치 결정부(78)의 일단측에서 소정 치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용기 위치 결정부(78)에 정제용기(11)가 위치 결정되었을 때, 그 길이의 차이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용기 판별부(73)는 용기 위치 결정부(78)가 수평위치에 이동하였을 때, 그 단부에 정제용기(11)의 단면에 접촉하는 정지판(82)을 갖는다. 이 정지판(82)에는 정제용기(11)의 직경방향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서, 복수의 직경검출센서(83)가 설치되어 있다. 직경검출센서(83)는 용기 위치 결정부(78)의 가장 깊은 위치로부터 소정 치수의 위치로 각각 설치되어, 용기 위치 결정부(78)에 정제용기(11)의 위치가 결정되었을 때, 그 외부 직경의 차이를 검출한다.
또한, 정지판(82)과는 반대측의 위치에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프링(84)에 의해서 위쪽으로 힘이 가해진 지지막대(85)가 설치된다. 이 지지막대(85)는, 용기 위치 결정부(78)가 수평위치(A)로 회전하여 움직일 때, 그 일단측[지지축(78a)과는 반대측]의 저면에 접촉하여, 회전 동작을 방해한다. 이것은, 상기 빈용기 반송부(53)의 단부[정제용기(11)가 반송되어 오는 위치]에, 가능한 용기 위치 결정부(78)를 접근시키기 때문이다. 즉, 용기 위치 결정부(78)가 빈용기 반송부(53)에 접근하면, 용기 위치 결정부(78)의 일단측 저면에 상기 지지막대(85)의 선단이 접촉하여[도 13 (a) 참조], 스프링(84)의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용기 위치 결정부(78)는 지지축(78a)과 그 반대측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속도가 다르고, 지지축(78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한다[도 13(b) 참조]. 그 결과, 용기 위치 결정부(78)를 빈용기 반송부(53)에 접근한 위치로 경사시킬 수 있다[도 13(c) 참조].
또한, 상기 용기 판별부(73)는 용기 위치 결정부(78)가 대략 수직위치(C) 또는 수직위치(B)로 회전하였을 때, 거기에 놓인 정제용기(11)를 배출하기 위한 용기 송출부(87)를 갖는다. 용기 송출부(87)는 사이드 레일(87)에 약 L자형의 송출 아암(88)이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송출 아암(88)에는 용기 위치 결정부(78)가 대략 수직위치(C) 또는 수직위치(B) 중 어디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놓여진 정제용기(11)를 송출할 수 있도록 2개의 송출편(送出片)(89)을 갖추고 있다.
상기 배출박스(75)는, 용기 위치 결정부(78)를 대략 수직위치(C)에 위치시킨 상태로 송출편(89)을 이동함으로써, 정제용기(11)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용기 공급부(74)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중앙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시킨 원통부(90)를 갖추고 있다. 이 원통부(90)가 수취 위치까지 회전하여 움직이면, 제1 개구부(90a)는 상기 용기 판별부(73)로부터의 정제용기(11)를 수취할 수 있게 되고, 제2 개구부(90b)는 폐색판(閉塞板)(91)으로 닫힌다. 또한, 원통부(9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제1 개구부(90a) 또는 제2 개구부(90b)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다.
원통부(90)의 아래쪽으로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용기 안내판(92)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용기 안내판(92)은 원주상의 3곳에 안내구멍(92a)을 뚫어서 설치하였다. 각 안내구멍(92a)은, 위쪽 개구부는 동일한 직경이지만, 아래쪽 개구부는 안내하는 용기의 외경에 따라 3종류로 설치된다.
상기 용기 지지부(76)는, 지지축(9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지지원반(93)의 외주에 거의 U자형의 용기 지지 오목부(93b)를 형성한 것이다. 각 용기 지지 오목부(93b)는, 다른 외부 직경의 정제용기(11)를 각각 지지하도록 여러 가지 치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용기 지지부(76)에서 동일한 크기의 정제용기(11)를 유지하는 것은 없음).
상기 정제 계량부(77)는 투입 호퍼(94), 계량부(95), 계량 호퍼(96), 충전 호퍼(97) 및 배출 호퍼(98)를 갖추고 있다.
투입 호퍼(94)에서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반송 용기(46)가 이동해 오면, 셔터(49)의 돌출부(49a)가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스프링(50)의 힘에 저항하여 셔터(49)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반송용기(46) 내에 수용한 정제가 순차적으로 투입 호퍼(94)로 낙하한다.
계량부(95)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투입 호퍼(94)로부터 낙하하는 정제를 수용하는 계량용기(99)와, 이 계량용기(99)를 수용된 정제와 더불어 계량하는 계량기(100)와, 상기 계량용기(99)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암(101)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량용기(99)의 양측 외면에는 2개의 돌기(99a, 9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101)의 선단에는, 일단측의 돌기(99a)가 잠겨지는 잠금 오목부(係止凹部)(10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오목부(101a)는 아암(101)을 회전시켜 계량용기(99) 내의 정제를 충전 호퍼(97)에 공급할 때, 상기 계량용기(99)의 돌기(99a)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열쇠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101)은 투입 호퍼(94)로부터 계량용기(99)에 정제가 투입될 때, 그 충격력이 직접 계량기(100)에 작용하지 않도록 계량기(100)로부터 계량용기(99)를 뜨게 한 상태로 지지하고, 그 후 계량기(100) 상에 계량용기(99)를 놓도록 회전한다. 이에 따라, 계량기(100)에 의한 계량시간이 단축된다.
계량 호퍼(96)의 저면은, 셔터(96a)로 구성되어 있고, 대향측면에는 충전량 검출센서(102)가 설치되어, 계량 호퍼(96) 내에 저장되는 정제량을 판별할 수 있다.
충전 호퍼(97) 및 배출 호퍼(98)의 위쪽 개구부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문(103)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충전 호퍼(97)의 아래쪽에는 투입안내 원반(104)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투입안내 원반(104)은 원주상의 3곳에 정제 안내구멍(104a)이 뚫려 있다. 정제 안내구멍(104a)은 상단 내부직경이 충전 호퍼(97)의 내부직경과 거의 동일하고, 하단 내부 직경이 아래쪽에 설치된 정제용기(11)의 상단 내부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요컨대, 정제 안내구멍(104a)의 상단 내부 직경은 모두 동일한 반면, 하단 내부직경은 정제용기(11)의 크기에 따라 3종류로 설정되어 있고, 내면은 상하단 개구를 원활히 연결하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있다.
제어부(5)는, 도 17에 도시되어 있듯이, 호스트 컴퓨터(105)[접촉 패널(12)에서의 입력신호만이라도 좋음)부터 처방전(處方箋) 정보를 입력받아, 보관선반(1)[용기센서(8a), 터치 패널(12), 모터(14a), 제1 구동모터(20), 제3 구동모터(24) 등], 정제 공급부(2)[구동모터(32a), 정제 검출센서(35) 등], 정제용기 공급부(3), 정제 충전부(4)[길이검출센서(81), 직경검출센서(83), 계량기(100), 충전량 검출센서(102) 등], 비상정지 스위치(106) 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다시 구동제어를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정제 충전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8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우선, 호스트 컴퓨터(105)로부터 처방전 데이터에 근거하는 처방 지시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1). 그리고 이 처방지시 데이터에 따라서 병렬 동시 처리로써 빈용기 공급처리(단계 S2) 및 정제 이송처리(단계 S3)를 한다. 계속해서, 정제 충전처리(단계 S4)를 한 후, 정제용기(11)를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이송하는 용기 이송처리를 한다(단계 S5). 또, 처방지시 데이터는 처리능력에 따라 복수 수신하더라도 좋다.
빈용기 공급처리는, 도 19 및 도 20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우선, 정제 충전부(4)에 지정 크기의 정제용기(11)가 대기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대기하고 있으면, 정제 이송처리를 개시하고(후술함), 대기하지 않고 있으면, 해당하는 저장 용기(51)의 용기 취출부(52)를 구동하여, 들어올림편(56)을 위로 이동시킨다(단계 S12). 통상, 들어올림편(56)에는 정제용기(11)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지만, 세로 또는 2개로 적층된 경우, 들어올림편(56)이 위로 이동 중에 경사편(55)에 접촉하고, 저장 용기(51) 내로 복귀된다. 들어올림편(56)이 위로 이동함에 따라 제2 로드(61)도 내부측 수직홈부(63a)를 상승한다. 그리고, 제2 로드(61)가 최상 위치로 이동하고,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60)의 힘에 의해서 위쪽 경사편(63c)에 돌출하면(단계 S13), 들어올림편(56)을 아래로 이동시킨다(단계 S14). 제2 로드(61)가 위쪽 경사편(63c)을 이동시키면, 도 10(b)에 도시되어 있듯이, 들어올림편(56)이 제1 로드(58)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들어올림편(56) 상에 설치된 정제용기(11)는, 가로 상태로 1개만 반송부(66)로 공급된다. 또, 상기 들어올림편(56)은, 정제용기(11)를 반송부(66)에 공급한 뒤에는 제2 로드(61)가 외부측 수직홈부(63d)를 이동하는 사이에, 도 10(c)에 도시되어 있듯이, 측벽(51a)의 외면 측으로 회전한 그대로의 상태로 강하한다. 그리고, 제2 로드(61)가 하부측 경사홈부(63b)를 이동할 때, 서서히 저장 용기(51) 측에 돌출하도록 회전하여, 도 10(d)에 도시되어 있듯이, 아래쪽의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반송부(66)에 의한 반송을 개시하고(단계 S15), 굴곡부(51b)를 통해 반송 로프(69) 상에 설치되는 정제용기(11)를 용기 반송 준비실(67)로 이동시킨다. 반송부(66)에서는 일정 시간 후에 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용기 반송 준비실(67)에 정제용기(11)가 1개 수용되면, 그 위쪽에는 다음 정제용기(11)가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단계 S16∼S19).
이렇게 해서, 용기 반송 준비실(67)로의 정제용기(11)의 이동이 종료하면, 셔터(70)를 개방하고(단계 S20),정제용기(11)를 빈용기 반송부(53)의 반송 로프(72) 상에 설치한다. 빈용기 반송부(53)에서는, 상기 저장 용기(51)로부터의 정제용기(11)가 나오기를 기다려서 모터를 구동하고 반송 로프(72)에 의해 정제용기(11)를 정제 충전부(4)로 반송한다(단계 S21).
정제 충전부(4)에서는, 용기 위치 결정부(78)를 회전시켜, 수평위치(A)에서 빈용기 반송부(53)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기울도록 경사지게 둔다(단계 S22). 이 경사 상태에서는, 앞에서 설명했듯이, 반송 로프(72)에 대하여 용기 위치 결정부(78)를 접근시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하는 정제용기(11)를 원활하게 빈용기 반송부(53)에 위치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길이검출센서(81) 및 직경검출센서(83)에 의해서 정제용기(11)의 크기를 검출하여(단계 S23), 지정 크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정제용기(11)가 지정 크기라고 판단하면, 용기 위치 결정부(78)를 수직위치(B)까지 회전시킨다(단계 S25), 지정 크기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수직위치의 앞의 개략 수직위치(C)에서 회전을 정지한다(단계 S26). 그리고 용기 송출부(87)의 송출 아암(88)을 이동시킴으로써, 송출편(89)에서 수직위치(B)의 정제용기(11)를 용기 공급부(74)의 원통부(90) 내로 반송한다(단계 S27). 개략 수직위치(C)의 정제용기(11)를 배출 박스(75) 내에 배출한다(단계 S28).
용기 공급부(74)에서는 상기 용기 판별부(73)의 직경검출센서(83)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공급된 정제용기(11)의 저면(또는 개구부)이 어느 쪽 방향을 향하여 있느냐를 판단한다(단계 S29). 정제용기(11)가 저면 측에서 반입된 경우, 원통부(90)를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키고(단계 S30), 개구부측에서 반입된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킴으로써(단계 S31), 원통부(90)를 직립시킨다.
한편, 용기 지지부(76)에서는 상기 용기 판별부(73)의 직경검출센서(83) 및 길이검출센서(81)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지지원반(93)을 회전시킴으로써, 판별한 크기에 해당하는 용기 지지부(76)를 위치시켜 놓는다(단계 S32). 이에 따라, 정제용기(11)가 용기 안내판(92)의 안내구멍(92a)을 통해 낙하하여, 지지원반(93)의 해당하는 용기 지지부(76)에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용기 지지부(76)로의 정제용기(11)의 위치 결정이 완료하면, 지지원반(93)을 회전하여, 해당하는 정제용기(11)를 충전위치(D)로 이동시킨다(단계 S33). 또한, 투입안내원반(104)을 회전시켜, 충전위치(D)로 이송된 정제용기(11)의 내경(內徑)에 맞는 내경의 정제 안내구멍(104a)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아암 부재(15)를 구동하고, 그 파지편(25)으로 정제용기(11)를 끼워 지지함으로써, 정제용기(11)의 위치를 고정해 놓는다(단계 S34).
한편, 정제 이송처리에서는 도 21 및 도 22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처방지시 데이터에 따라서 해당하는 정제 수용부(26)를 구동제어 한다. 즉, 해당하는 모터 베이스(32)의 내장 모터를 구동하고 로터(39)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더용기(36) 내에 수용된 정제를 소정수만 배출시킨다(단계 S41). 배출수(排出數)는 낙하 안내통로(34)에 설치된 정제 검출센서(35)에 의해 카운트한다(단계 S42). 이렇게 해서 소정수의 정제가 피더용기(36)로부터 낙하안내통로(34)를 통해 공통안내통로(31)로 배출되면(단계 S43), 로터(39)의 회전을 정지하여 정제의 배출을 정지시킨다(단계 S44).
또한, 정제 반송부(27)를 구동 제어한다. 즉, 롤러(47)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반송 벨트(48)를 통해 반송용기(46)를 공통안내통로(31)의 아래쪽으로 위치시킨다(단계 S45). 그리고, 호퍼(44)를 회전시켜, 그 개구부를 반송용기(46)로 향하게 하고(단계 S46), 셔터(49)를 개방함으로써 반송용기(46) 내에 정제를 수용한다(단계 S47).
이렇게 하여 반송용기(46) 내에 해당하는 소정수의 정제가 수용되면, 정제 반송부(27)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반송용기(46)를 투입 호퍼(94)로 이동시킨다(단계 S48). 이 때, 셔터(49)의 돌출부(49a)가 투입 호퍼(94)의 가장자리에 접촉함에 의해, 반송용기(46)의 이동에 따라 셔터(49)가 서서히 개방하여, 수용된 정제가 투입 호퍼(94)를 통해 계량용기(99)에 수용된다. 이 때, 아암(101)을 회전시켜 계량기(100)로부터 계량용기(99)를 약간 뜨게 한 상태로 하여, 정제투입에 따르는 충격력이 계량기(100)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그 후, 아암(101)을 회전시켜 계량기(100)에 계량용기(99) 설치하여 중량을 측정한다(단계 S49).
그래서, 소정 중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0). 또한, 아암(101)을 회전시켜(단계 S51), 정제를 계량 호퍼(96) 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계량 호퍼(96)의 충전량 검출센서(10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그 정제가 정제용기(11) 내에 수용할 수 있는 분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2).
중량이 소정치이고, 용량이 소정량 이하이면, 해당하는 정제를 소정량만 충전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투입 안내원반(104)을 회전시켜, 그 하단 개구의 내경이 아래쪽으로 설치된 정제용기(11)의 내경과 일치하는 정제 안내구멍(104a)이 위치하도록 한다(단계 S53). 그 후, 개폐문(103)으로 배출 호퍼(98)의 개구부를 닫고(단계 S54). 셔터(96a)를 개방한다(단계 S55). 이에 따라, 정제는 정제호퍼(97)를 통해 정제용기(11)에 충전된다.
또한, 중량이 소정치가 아니거나 또는 소정 용량을 넘은 경우, 해당하는 정제가 아니거나 또는 정제용기(11)에 충전 불가능한 용량이라고 판단하여, 충전 호퍼(97)의 개구부를 닫고(단계 S56), 셔터(96a)를 개방한다(단계 S56). 이에 따라, 정제는 배출 호퍼(98)를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다시 정제공급처리를 한다.
정제용기(11)에 정제가 충전되면, 보관선반(1)으로의 이송처리를 실행한다. 이 이송처리에서는 아암 부재(15)를 회전하여(단계 S61), 아암 본체(19)에 대하여 슬라이드 부재(22)를 전진시켜(단계 S62), 파지편(25)에서 정제용기(11)를 파지한다(단계 S63).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22)를 후퇴시켜(단계 S64), 아암 부재(15)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승시킨다(단계 S65). 아암 부재(15)의 회전위치 및 상승위치는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즉, 작업자가 수용실(6)로부터 정제용기(11)를 집어내기 쉬운 순서로 번호를 붙여, 비어있는 수용실(6) 중 가장 번호가 작은 것이 수용 가능한 위치이다.
아암 부재(15)가 결정한 회전위치 및 상승위치로 이동하면(단계 S66), 슬라이드 부재(22)를 전진시킴으로써, 파지된 정제용기(11)를 보관선반(1)의 수용실(6)로 이동시킨다(단계 S67). 정제용기(11)는 수용실(6) 내의 유지판(9)을 그 유지걸이(10)에 형성한 절단된 노치부(10b)에 의해서 양측에 눌러 확대하면서 오목부(10a)에 위치하고, 스프링(9a)의 힘에 의해 유지된다. 그래서, 파지편(25)을 개방하여 (단계 S68), 슬라이드 부재(22)를 후퇴시킨 뒤(단계 S69), 아암 부재(15)를 아래로 이동시켜(단계 S70), 다음 정제용기(11)의 이송에 대비한다.
또, 이동시키는 수용실(6)의 선택은 아암 부재(15)에 의한 정제용기(11)의 이송시간의 가장 짧은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번호를 붙여, 비어있는 수용실(6) 중 가장 번호가 작은 것을 선택하도록 하더라도 상관없다.
이렇게 하여, 소정의 정제가 소정량 충전된 정제용기(11)가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이송되면, 용기센서(8a)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수용실(6)의 표시부(7)에 피더용기 번호와 정제계수를 표시한다(단계 S71).
또한, 상기 저장 용기(51)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더라도 좋다.
즉, 도 2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저장 용기(51)의 측벽(51a)의 내면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용기 지지대(106)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 지지대(106)는 내측에 다단식의 셔터(107)를 갖고 있다. 셔터(107)는 용기 지지대(106)의 승강 동작에 따라 신축하여, 용기 지지대(106)의 아래쪽으로 정제용기(11)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용기 지지대(106)의 위쪽에는, 지지축(108a)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경사편(108)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편(108)은, 도면 중 1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경사지어 상기 경사편(55)과 동일한 형태로 되어 여분인 정제용기(11)를 저장 용기(51)로 되돌린다. 또한, 경사편(108)은 용기 지지대(106)에 1개의 정제용기(11)가 가로로 놓인 상태로 되면, 용기 지지대(106)의 이동이 방해하지 않도록, 도면 중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복귀한다. 경사편(108)의 위쪽에는 이송편(移送片)(109)이 설치되어, 위로 이동하여 온 정제용기(11)를 옆으로 이송한다. 기타, 반송부(66) 및 용기 반송 준비실(67)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다.
또한, 반송부(66) 및 용기 반송 준비실(67)을 설치하는 일없이, 도 25(a) 및 도 26(a)에 도시되어 있듯이, 용기 지지대(106) 자신을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하거나, 도 25(b) 및 도 26(b)에 도시되어 있듯이, 용기 지지대(106) 대신에 반송 벨트(111)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경사편 55 또는 108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더라도 좋다.
즉, 도 27에 도시되어 있듯이, 지지축(112)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링크(113)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이 제1 링크(113)의 일단부에 제2 링크(114)의 일단부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타단부에 제3 링크(115)의 일단부(5)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또한, 제2 링크(114)의 타단부에는 실린더(116)의 로드(116a)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제3 링크(115)의 타단부에는 제4 링크(117)의 일단부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더욱, 제4 링크(117)의 타단부에는 지지축(118a)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경사편(118)의 중간부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에 따라, 실린더(116)를 구동하면, 로드(116a), 제2 링크(114)를 통해 제1 링크(113)가 지지축(11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제4 링크(117)를 통해 경사편(118)이 지지축(118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런데, 상기 정제충전장치에서는, 앞에서 설명했듯이 정제용기(11)가 반송되어, 거기에 소정의 정제가 충전된 뒤, 보관선반(1)의 수용실(6)로 이송되지만, 이들 일련의 작업 중에 비상정지버튼(보관선반(1)의 하단중앙부와, 정제용기 공급부(3)의 중앙부가 각각 설치된다.)을 누르거나, 정전 등으로 전원의 공급이 정지하면, 정제충전장치가 정지한다. 이 경우, 제어부(5)는 도시하지 않은 2차 전원으로부터도 전력공급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구동상태를 유지하지만, 반송 중의 정제용기(11)나 정제에 관한 정보에 관해서 완전히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일단 반송 도중의 정제용기(11)나 정제를 회수하여 리세트하는 복귀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생긴다.
이하에 나타낸 복귀처리에서는, 반송 도중에서 정지한 정제나 정제용기(11)를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회수하고 있기 때문에,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빈자리가 없는지 또는, 빈자리가 적은 경우에는 복귀처리가 가능하도록 수용실(6)로부터 정제용기(11)를 제거한다. 또한, 정제용기(11)의 반송경로[빈용기 반송부(53), 원통부(90), 지지원반(93) 등]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정제용기(11)가 있으면 이것을 제거한다. 제거한 정제용기(11)는 원래의 피더용기(36)로 되돌려 놓는다.
또, 상기 접촉 패널(112)에는 정제를 제거하는 취지의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더용기(36) 내의 정제나, 저장 용기(51) 내의 정제용기(11)가 비어 있는 경우의 에러는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복귀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복귀처리를 도 28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5)의 전원을 일단 오프(off)상태로 한다(단계 S81). 이것은 제어부(5)의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처리 중의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은, 도 30(a)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촉패널(112)에 「CLOSE」라고 표시된 부분을 누름에 의해, 도 31(a)에는 「DO YOU WANT TO POWER OFF ?」라고 표시하여, 그 아래쪽으로 표시되는 「YES」, 「NO」중, 「YES」를 선택함으로써, 도 31(b)에서 나타낸 「전원을 끊어도 안전합니다.」라고 표시한 후 오프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은 비상정지 버튼이 눌러져 있으면(단계 S82), 이것을 리세트한 후(단계 S83), 다시 제어부(5)의 전원을 온(on)상태로 한다(단계 S84). 이에 따라, 터치 패널(12)에는 도 3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30(a)에 도시되어 있듯이 터치 패널(12)에 표시된 항목 중, 「RECALL」이 눌려지면(단계 S85), 그 입력신호를 받아, 공급 도중의 정제의 회수처리를 시작한다(단계 S86). 이 때, 터치 패널(12)에는 도 30(b)에 나타낸 「RECALL UNDER PROCESS…」라고 표시하여, 복귀처리 중에 있는 취지를 보고한다(단계 S87).
상기 정제 회수처리로서는, 도 29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반송용기(46) 및 각 호퍼(44)에 잔류하는 정제를 회수한다. 우선, 지지원반(93)을 회전시켜, 가장 용량이 큰 정제용기(11)를 충전 호퍼(97)의 아래쪽으로 위치시킨다(단계S91). 통상, 지지원반(93)에는, 최대 용량의 정제용기(11)가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정제용기(11)를 이용하지만,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저장용기(51)로부터 최대 용량의 정제용기(11)를 보급(補給)한다. 한편, 반송용기(46)에 의해 공통안내통로(31)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정제를 회수하고(단계 S92), 투입 호퍼(94) 등으로부터 충전 호퍼(97)를 통해 상기 정제용기(11)로 회수한다(단계 S93). 그리고, 정제를 충전한 정제용기(11)를, 아암 부재(15)에 의해 보관선반(1)의 수용실(6)로 이송함과 동시에(단계 S94), 이송한 정제용기(11)와 동일 크기의 것을 지지원반(93)에 보급한다(단계 S95). 또한, 표시부(7)에 「P000」이라고 표시하고(단계 S96), 그 수용실(6)에 이송한 정제용기(11)로 회수한 정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하여, 저장 용기(51)로부터 지지원반(93)에 사용한 가장 용량이 큰 정제용기(11)를 보급하여, 공통안내통로(31)로부터 잔류하는 정제를 회수한다. 이 경우, 공통안내통로(31)에는 정제의 잔류하지 않는 것도 포함되지만, 어떤 정제가 반송 도중인가를 완전히 파악하기 위해서, 모든 공통안내통로(31)로부터 정제의 회수작업을 한다.
이렇게 하여 모든 공통안내통로(31)로부터 잔류하는 정제를 회수하면(단계S97), 계속해서, 지지원반(93)에 유지된 다른 크기의 정제용기(11)를 회수한다(단계 S98). 이 경우, 지지원반(93)으로부터 회수하여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보관된 크기의 정제용기(11)에 대해서는, 그 때마다 해당하는 저장용기(51)로부터 지지원반(93)에 보급해 놓는다(단계 S99).
그 후, 정제의 회수작업이 종료하면(단계 S100), 터치 패널(12)의 표시를 메인 메뉴로 하고, 「AUTO」가 눌려짐으로써, 상기와 같이 통상의 빈용기 공급처리(단계 S2), 정제 이송처리(단계 S3) 및 정제 충전처리(단계 S4)로 복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복귀처리에서는 정제 충전장치가 이상 정지(異常 停止)한 경우에는 반드시 제어부(5)의 전원을 오프(off)함으로써 메모리에 기억한 처리 중의 데이터를 클리어하도록 하였지만, 이 데이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작업자에게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제어부(5)의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 예컨대, 터치 패널(12)에 표시된 「RECALL」을 누름으로써, 이상 정지 전의 처리 중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대로 속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빈용기 반송부(53), 원통부(90), 지지원반(93) 등에 남겨진 정제용기(11)나, 공통안내통로(31) 등에 남겨진 정제의 회수는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복귀처리에서 회수용으로 이용되는 수용실(6)의 표시부(7)에는 일률적으로 「P000」의 회수(回收)를 가리키는 표시를 하도록 하였지만, 회수를 나타내는 표시에 덧붙여, 어느 쪽의 피더용기(36)로부터 배출된 정제인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송용기(46)로 어떤 공통안내통로(31)로부터 정제를 회수하는가를 기억해 두고, 그 기억 내용에 따라서 어느 쪽의 피더용기(36)로부터 배출된 정제인지를 특정한다. 이 경우, 상하로 정렬된 피더용기(36) 중, 어느 쪽의 피더용기(36)인가 아닌가의 판단은 할 수 없지만, 전회(前回) 처리 중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어느 쪽의 피더용기(36)로부터 배출된 정제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충전장치에 의하면, 원하는 정제 및 정제용기를 자동 공급하여, 정제용기에 정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좋은 정제의 충전을 할 수 있다.
특히, 정제를 충전한 정제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선반을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그 판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정제 및 정제용기를 자동 공급하여, 정제용기에 정제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좋게 정제의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정제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선반을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판별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령 정전 등으로 이상 정지한 경우에도, 회수제어수단에 의해 반송 도중의 정제를 자동적으로 회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정제 충전 작업의 재개(再開)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충전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관선반의 수용실을 가리키는 사시도(a) 및 그 부분사시도(b).
도 3은 도 1의 아암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破斷)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제 수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모터 베이스 및 피더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a) 및 상기 피더용기의 저면도(b).
도 6은 도 4의 모터 베이스 및 피더용기를 나타내는 단면(a) 및 그 경계핀을 나타내는 부분평면도(b).
도 7은 도 4의 피더용기에 설치되는 로터의 정면도(a) 및 그 저면도(b).
도 8은 도 1의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유지편 및 안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유지편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정제 충전부 근방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12는 도 1의 정제 판정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위치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의 정제 충전부 근방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정제 계량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도 14의 정제 계량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충전장치의 블록도.
도 18은 정제 충전제어를 나타내는 주흐름도.
도 19는 도 18의 빈용기 공급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도 18의 빈용기 공급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도 18의 정제 이송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2는 도 18의 정제 이송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3은 도 18의 용기 이송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4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
도 2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각 정면도.
도 2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경사편의 개략도.
도 2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귀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9는 도 28의 정제 회수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0은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의 터치 패널의 표시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주메뉴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관선반 2 : 정제 공급부
3 : 정제용기 공급부 4 : 정제 충전부
5 : 제어부 6 : 수용실
11 : 정제용기 27 : 정제 반송부(정제 반송수단)
31 : 공통안내통로 36 : 피더용기
106 : 비상 정지 스위치

Claims (25)

  1.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공급부는
    종류가 다른 정제별로 수용하여, 처방데이터에 따라 해당하는 정제를 배출하는 복수의 피더용기와,
    상기 피더용기로부터 배출된 정제를 상기 정제 충전부까지 반송하는 정제 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용하는 피더선반을 설치하고, 상기 피더선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피더용기의 정제 배출구가 개구되는 공통안내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안내통로의 하단부에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통로 셔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선반을 적어도 2열로 병설하여, 각 피더선반의 안내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를 받아들이는 공통 호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반송수단은 상기 공통 호퍼의 아래쪽으로 병설한 적어도 2개의 반송로와, 해당 반송로에 자유롭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호퍼는 상기 어느 하나의 유지용기에 정제를 공급할 수 있는 분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호퍼에는 일시적으로 정제를 유지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호퍼 셔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호퍼는 개폐 스위치에 의해서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8.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는
    상기 정제용기를 복수 수용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정제용기를 집어내는 용기 취출수단과,
    상기 용기 취출수단으로 집어낸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정제용기 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취출수단은
    상기 저장 용기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빗살 모양으로, 돌출방향으로 향하여 위쪽으로 경사진 용기 들어올림 부재와,
    상기 용기 들어올림 부재를 저장용기 내로의 돌출상태로 위쪽으로 이동시켜, 비돌출 상태로 아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용기 들어올림 부재에 가로 방향으로 유지되는 1개의 정제용기 이외의 정제용기를 저장용기 내에 배제하는 배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1.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충전부는
    상기 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정제용기의 상하방향을 판별하는 방향 판별수단과,
    정제용기의 상하방향을 변환하는 방향 변환수단과,
    상기 방향 판별수단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방향 변환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정제용기의 개구부를 위쪽으로 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2.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충전부는
    외주부에 상기 정제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용기 수용부를 갖는 원반형의 회전 가능한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고, 용기 수용부 중 어느 하나를 충전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의 각 용기 수용부를, 크기가 다른 정제용기를 각각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정제용기의 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수단과,
    해당 크기 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용기 지지부를 구동 제어하여, 정제용기의 크기에 따른 용기 수용부를 충전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4.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정제가 수용된 정제용기를 개별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실과,
    해당 수용실에 정제용기가 수용되면, 해당하는 처방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는 보관선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정제를 충전시킨 정제용기를 파지하는 파지수단과, 상기 파지수단을 이동시켜, 정제용기를 충전위치로부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로 반송하는 충전용기 반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에서의 정제용기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기 검출수단과,
    상기 용기 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 용기 반송수단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비어있는 수용실 중 가장 집어내기가 용이한 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에서의 정제용기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기 검출수단과,
    상기 용기 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 용기 반송수단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비어있는 수용실 중, 가장 반송시간이 짧은 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8. 충전위치에서 각 정제용기마다 소정수의 정제를 충전하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크기가 다른 정제용기를 각각 수용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정제용기를 집어내는 용기 취출수단과,
    상기 용기 취출수단으로 집어낸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정제용기 반송수단과,
    정제를 충전된 정제용기에 개별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실을 포함하는 보관선반과,
    정제용기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파지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정제용기를 정제 충전위치로부터 상기 보관선반의 각 수용실에 반송하는 충전용기 반송수단과,
    상기 충전 용기 반송수단에 의해 정제용기를 보관선반의 수용실로 반송하면, 상기 용기 취출수단 및 정제용기 반송수단에 의해, 보관선반으로 반송된 것과 동일한 크기의 정제용기를 저장용기로부터 보급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19. 충전위치에서 각 정제용기마다 소정수의 정제를 충전하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크기가 다른 정제용기를 각각 수용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정제용기를 집어내는 용기 취출수단과,
    상기 용기 취출수단으로 집어낸 정제용기를 반송하는 정제용기 반송수단과,
    상기 정제용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용기의 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수단과,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정제용기의 제1 크기정보를, 상기 크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정제용기의 제2 크기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용기 정부(正否) 판별수단과,
    상기 용기 정부 판별수단에서의 판별신호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보고하는 보고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정부 판별수단이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그 정제용기를 배제하는 배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제수단이 정제용기를 배제한 경우, 용기 취출수단 및 정제용기 반송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원하는 크기의 정제용기의 반송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22.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용기를 공급하는 정제용기 공급부와,
    상기 정제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를, 상기 정제용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를 가지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공급부를 종류가 다른 정제별로 수용하는 복수의 피더용기와, 해당 피더용기로부터 배출된 정제를 일단 머무르게 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의 정제를 상기 정제 충전부까지 반송하는 정제 반송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며,
    상기 정제 충전부에서 정제를 충전한 각 정제용기를 보관하는 복수의 수용실을 포함하는 보관선반과,
    이상 정지 후, 정제 반송수단에 의해 상기 각 안내통로나 정제 반송수단에 잔류하는 정제를 정제 충전부로 반송하여, 정제용기에 회수한 후, 해당 정제용기를 상기 보관선반의 수용실로 이송시키는 복귀처리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선반의 수용실로 회수한 정제를 충전한 정제용기가 이송된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회수된 정제가 어느 피더용기로부터 배출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전회(前回)의 처리 중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남은 정제 충전처리를 속행할 것인지, 전회의 처리 중의 데이터를 소거하여 상기 복귀처리를 실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KR1019980021553A 1997-06-17 1998-06-10 정제충전장치 KR100515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973497 1997-06-17
JP97-159734 1997-06-17
JP11861998A JP4318766B2 (ja) 1997-06-17 1998-04-28 錠剤充填装置
JP98-118619 1998-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53A KR19990006853A (ko) 1999-01-25
KR100515738B1 true KR100515738B1 (ko) 2006-03-31

Family

ID=6590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553A KR100515738B1 (ko) 1997-06-17 1998-06-10 정제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73B1 (ko) 2008-04-29 2011-02-15 (주)크레템 약제포장장치
KR101364163B1 (ko) * 2013-03-20 2014-02-18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71B1 (ko) * 1999-06-30 2001-11-14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장치 및 항법 방법
KR102046780B1 (ko) * 2013-02-07 2019-11-20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2104775B1 (ko) * 2019-11-13 2020-04-27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CN112834004B (zh) * 2020-12-31 2022-08-16 北京恒安众生科技有限公司 一种药品配方颗粒的调剂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01A (ja) * 1992-05-07 1994-02-01 Shoji Yuyama 錠剤収納取出し装置
US5348061A (en) * 1992-12-01 1994-09-20 Baxter International Inc. Tablet accumulator for an automated prescription vial filling system
JPH07149303A (ja) * 1994-06-20 1995-06-13 Sanyo Electric Co Ltd 薬剤包装装置
JPH0820437A (ja) * 1994-07-07 1996-01-23 Tokyo Shokai:Kk 錠剤分包機の錠剤供給装置
JPH08119201A (ja) * 1994-09-01 1996-05-14 Yuyama Seisakusho:Kk 錠剤分包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連続分包方法
KR0167379B1 (ko) * 1994-09-30 1998-12-01 쇼지 유야마 타블렛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70901A (ja) * 1997-06-17 1999-03-16 Yuyama Seisakusho:Kk 錠剤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01A (ja) * 1992-05-07 1994-02-01 Shoji Yuyama 錠剤収納取出し装置
US5348061A (en) * 1992-12-01 1994-09-20 Baxter International Inc. Tablet accumulator for an automated prescription vial filling system
US5348061B1 (en) * 1992-12-01 1999-10-12 Baxter Int Tablet accumulator for an automated prescription vial filling system
JPH07149303A (ja) * 1994-06-20 1995-06-13 Sanyo Electric Co Ltd 薬剤包装装置
JPH0820437A (ja) * 1994-07-07 1996-01-23 Tokyo Shokai:Kk 錠剤分包機の錠剤供給装置
JPH08119201A (ja) * 1994-09-01 1996-05-14 Yuyama Seisakusho:Kk 錠剤分包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連続分包方法
KR0167379B1 (ko) * 1994-09-30 1998-12-01 쇼지 유야마 타블렛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70901A (ja) * 1997-06-17 1999-03-16 Yuyama Seisakusho:Kk 錠剤充填装置
EP0999129A1 (en) * 1997-06-17 2000-05-10 Yuyama Mfg. Co., Ltd. Tablet pack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73B1 (ko) 2008-04-29 2011-02-15 (주)크레템 약제포장장치
KR101364163B1 (ko) * 2013-03-20 2014-02-18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53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8766B2 (ja) 錠剤充填装置
JP4360744B2 (ja) 錠剤容器供給装置
KR100570465B1 (ko) 정제 충전장치
KR100400141B1 (ko) 고형제제충전장치
KR101481967B1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US6669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ipetting tip magazines
KR100582610B1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CN102512325A (zh) 片剂加料器
CA2533265C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KR101619200B1 (ko) 안과용 렌즈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U2003261435A1 (en) Vacuum pill dispensing cassette and counting machine
JPH119260A (ja) シャーレストッカーおよびシャーレの取出・供給装置
KR100515738B1 (ko) 정제충전장치
US6789996B2 (en) Medicine feed apparatus
JP4964199B2 (ja)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JPS628370B2 (ko)
EP1857365A1 (en) Tablet packing apparatus
KR100242496B1 (ko) 영구자석의 자동 선별장치
JP7218933B2 (ja) コイン処理装置
JP2018525296A (ja) ピッキング装置およびピッキング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JPH0721439A (ja) 棒金の入出金装置
JP4776340B2 (ja) メダル清浄装置
JPH0460792A (ja) 自動販売機
JPS62132577A (ja) 電子部品の分類収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