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465B1 - 정제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465B1
KR100570465B1 KR1020057024902A KR20057024902A KR100570465B1 KR 100570465 B1 KR100570465 B1 KR 100570465B1 KR 1020057024902 A KR1020057024902 A KR 1020057024902A KR 20057024902 A KR20057024902 A KR 20057024902A KR 100570465 B1 KR100570465 B1 KR 10057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container
shutter
tablet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394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쓰요시 고다마
다카시 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0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초에 배출한 정제에 다음의 정제가 혼입할 위험성이 없는 정제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정제 충전장치는 정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피이더 용기(36)와, 상기 피이더 용기(36)가 각각 장착되는 모터 베이스(32)와, 상기 모터 베이스(32)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베이스(32)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저장하는 정제 축적부(200)와, 상기 정제 축적부(200)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203)로 구성된다. 정제 축적부(200)의 아래쪽에 정제용기(11)를 배치해서 셔터(203)를 개방함으로써, 정제 축적부(200)에 저장한 정제를 정제용기(11)에 충전한다. 정제 축적부(200)에 정제가 저장되면 점화하는 LED(201)를 설치한다.
정제 충전, 피이더, 모터 베이스, 정제 용기

Description

정제 충전장치{TABLET FILL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정제 충전장치의 전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보관선반의 수용실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b는 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아암(arm)부재를 보여주는 부분 투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제수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모터 베이스(motor base) 및 피이더(feeder) 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b는 그 피이더 용기의 바닥면도이다.
도 6a는 도 4의 모터 베이스 및 피이더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b는 그 분할 핀(fin)을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4의 피이더 용기에 설치된 로터의 정면도, 도 7b는 그 바닥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톡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용기취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정제충전부 부근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용기 지지부 및 라벨부착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용기 지지부 및 충전호퍼(hopper)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정제계량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정제계량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정제 충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정제충전제어를 보여주는 메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도 18의 빈 용기공급처리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도 18의 정제이송처리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은 도 18의 정제이송처리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도 18의 용기이송처리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복귀처리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4는 도 28의 정제회수처리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5는 전원을 오프한 경우의 터치패널(touch panel)의 표시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메인메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개별 공급장치를 구비한 정제 공급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정제 충전장치, 특히 정제를 정제용기에 공급하는 정제 충전장치 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 충전장치로서, 정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피이더 용기와 이 피이더 용기가 각각 장착되는 모터 베이스로 구성된 정제 공급부를 구비하고, 모터 베이스의 아래쪽에 정제 축적부를 설치하여 정제가 정제 축적용기로 배출되면, 정제 축적용기의 셔터를 개방하여 정제 축적용기 내의 정제를 정제용기에 충전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정제 충전장치에서는 정제 축적용기 내의 정제가 배출되지 않는 동안 그 정제 축적용기 내로 다음의 정제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초 유입된 정제에 다음의 정제가 혼입될 위험성이 없는 정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피이더 용기와, 상기 피이더 용기가 각각 장착되는 모터 베이스와, 상기 모터 베이스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베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저장하는 정제 축적부와,상기 정제 축적부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로 구성되고, 상기 정제 축적부의 아래쪽에 정제용기를 설치해서 상기 셔터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정제 축적부에 저장한 정제를 정제용기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축적부에 정제가 저장되면 점화하는 LED와, 상기 셔터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셔터의 개방을 검출하면 상기 LED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LED의 점등에 의하여 어느 모터 베이스로부터 정제가 배출되었는가를 한눈으로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제 축적부의 아래쪽에 정제용기를 배치해서 셔터를 개방하면, 정제 축적부 내의 정제가 정제용기에 충전되고, LED가 소등된다. 이에 따라 정제가 정제 축적부로부터 정제용기로 충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한편, 다음 정제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상기 정제 축적부의 하단 개구를 폐쇄하도록 바이어스되고, 상기 정제용기를 상기 셔터에 걸어 맞춰서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압입하면, 상기 정제 축적부의 하단 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셔터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정제용기가 걸어 맞춰지는 원호 형상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정제용기를 셔터에 걸어 맞춰서 쉽게 압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정제 충전장치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략 한쪽 끝에 설치된 보관선반(1)과, 윗 방향에 설치된 정제 공급부(2)와, 그 아래 방향에 설치된 정제용기 공급부(3)와, 보관선반(1)과 정제용기 공급부(3) 사이에 설치된 정제충전부(4)와, 제어부(5)(도 17 참조)로 이루어진다.
보관선반(1)은 복수의 수용실(6)을 가지는 거의 반원통 형상의 것이다. 각 수용실(6)은 도 2(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직각의 틀체형상으로 적어도 지름방향[도 2(a)에서 화살표로 보임]의 대향면이 개구하고 있다. 지름방향 안쪽의 개구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하여 바이어스된(biased) 문짝(6a)에 의하여 폐쇄되 어 있다. 문짝(6a)은 앞면 쪽에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후술하는 충전용기 반송부(13)에 손이 들어가는 것을 막고 있다. 또한, 문짝(6a)은 용기 유지부(8)에 유지되는 정제용기(11)와는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회전한다. 수용실(6)의 바깥지름방향 쪽의 윗부분에는 표시부(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7)에는 피이더 용기번호와 정제의 계수가 표시된다. 또한, 수용실(6)에는 용기 유지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기 유지부(8)는 수평방향으로 접합과 이탈이 가능하게 설치한 한 벌의 유지판(9)을 스프링(9a)에 의하여 대향방향으로 바이어스된 것이다. 유지판(9)의 하단부에는 대향방향으로 뻗쳐서 존재하는 유지턱(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턱(10)의 대향하는 테두리에는 도 2(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정제용기(11)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타원 형상에 가까운 오목부(10a)가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 둘레 쪽을 향하여 펼쳐지는 절개부(cutout)(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10b)는 오목부(10a)로의 정제용기(1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수용실(6)의 용기 유지부(8)에서 정제용기(11)가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는 용기센서(8a)에서 검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보관선반(1)의 바깥둘레 중앙부에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용실(6) 대신에 터치패널(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터치패널(12)은 처방지시 데이터를 직접 입력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관선반(1)의 안쪽 둘레 쪽에는 충전용기 반송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충전용기 반송부(13)는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움직임이 자유로운 장방형 틀채(14)에 아암부재(15)를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장방형 틀채(14)의 양 외측면에는 상하 단부에 축받이 오목부(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축받이 오목부(16)는 보관선반(1)의 배후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 설치한 가이드축(17)에 의하여 미끄럼 접촉(摺接)된다. 그리고,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시킴으로써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충전용기 반송부(13)를 상하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한다. 또한, 상기 장방형 틀채(14)의 아래 방향쪽 수평판(14a)의 중심에는 제1구동기어(18)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받이 오목부(16)는 상기 가이드축(17)을 미끄럼 접촉하는 로울러나 베어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아암부재(15)는 상기 제1구동기어(18)의 중심축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한 아암 본체(19)를 구비한다. 아암 본체(19)의 한쪽 끝부분에는 제1구동모터 (20)가 설치되어 있다. 제1구동모터(20)의 회전축은 아암 본체(19)의 밑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거기에는 위치검출판(21)과 상기 제1구동기어(18)에 맞물리는 제2구동기어(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어 있다. 제2구동기어의 회전위치는 위치검출판(21)을 센서(도시하지 않음)로 검출함으로써 판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아암부재(15)는 제1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하여 180도 범위에서 정,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아암 본체(19)의 윗면에는, 내장되는 제2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하여 세로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2)의 한쪽 끝부분[상기 제1구동모터(20)와는 반대쪽]에는 파지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재(23)는 슬라이드부재(22) 위에 설치한 제3구동모터(24)의 구동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나사축을 사이에 두고 개폐하는 한 벌의 파지피스(gripping piece)(25)로 구성되어 있다. 제3구동모터(24)는 파지피스(25)에 작용하는 부하의 차이에 의하여 변동하는 전류값에 의거하여 구동 또는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3구동모터(24)는 파지피스(25)에서 정제용기(11)를 파지할 때, 또는 파지피스(25)를 개방할 때, 부하가 증가함으로써 전류값이 문턱값(통상 동작시에 흐르는 전류값에 마진(margin)전류를 가산한 값)을 넘은 경우에 정지된다. 또한, 파지피스(25)를 개방할 때의 부하의 증가는 파지피스(25)를 소정의 개방위치에서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얻고 있다. 또한, 파지피스(2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하여 개방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상기 나사축의 백래시(backlash)가 흡수되고 있다.
정제 공급부(2)는 정제수용부(26)와 정제반송부(27)로 구성된다.
정제수용부(26)는 도 4에 그 일부가 보이는 바와 같이 수직벽부(28)의 양쪽에 상하방향으로 뻗는 홈부(29)를 각각 병설하고, 각 홈부(29)의 추축(3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 선반부재(30)로 각각 폐쇄함으로써 공통 안내통로(31)를 형성한 것이다. 각 선반부재(30)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정제배출구 (30b)가 천공되어 설치되고, 바깥면에는 각 정제배출구(30b)에 대응하여 모터 베이스(32)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모터 베이스(32)는 도 5 및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32a)를 내장하고 윗면에는 상기 구동모터(32a)의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33)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모터 베이스(32)의 한쪽 끝에는 낙하 안내통로(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낙하 안내통로(34)의 내벽에는 정제 검출센서(35)가 설치되고 낙하 안내통로(34)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정제를 검출(계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터 베이스(32)에는 피이더 용기(36)가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피이더 용기(36)는 윗 방향으로 개구하고, 커버(37)에 의하여 덮을 수 있는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정제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피이더 용기(36)의 밑바닥에는 하단에 기어(38)를 가지는 로터(39)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39)는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원추면을 가지며, 피이더 용기(36)가 상기 모터 베이스(32)에 장착되면, 그 기어(38)가 상기 모터 베이스(32)의 기어(33)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로터(39)의 아래 방향 원추면에는 중심을 향해서 소용돌이 형상이 되는 정제 가이드홈(40)과 중앙에서 2등분하는 분할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정제 가이드홈(40)의 소용돌이 방향은 로터(39)의 회전중심을 향해서 그 회전방향[도 7(b)에서 화살표로 도시]과는 반대방향이다. 분할홈(41)에는 구분핀(42)이 설치되고 도 6(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로터(39)의 회전에 따라서 정제 가이드홈(40)을 통과하는 각 정제를 순차적으로 구분한다.
또한 상기 피이더 용기(36)의 기어(38)에는 기어스토퍼(43)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b)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어스토퍼(43)는 스토퍼 스프링(44)에 의하여 기어(38)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피이더 용기(36)를 모터 베이스(32)로부터 분리하여도 기어(38)에 기어 스토퍼(43)가 걸어 맞추어지고, 로터(39)의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정제가 외부로 흘러 떨어지는 일이 없다.
상기 정제 공급부(2)에서는 모터 베이스(32)에 피이더 용기(36)를 부착한 상태에서 모터 베이스(32) 내의 구동모터(32a)를 구동하면 기어(33), 구동기어(38)를 통해 로터(39)가 회전하고, 각 정제 가이드홈(40)을 거쳐서 정제가 일렬로 회전중심을 향한다. 정제 가이드홈(40)의 소용돌이 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39)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그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39)의 회전에 따라서 정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도 불구하고 정제는 회전중심을 향해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진다. 정제는 정제 가이드홈(40) 내에 들어가기 전에 구분핀(42)에 의하여 구분되어 지고, 한 개씩 낙하 안내통로(34)를 통해서 공통 안내통로(31)에 낙하된다.
공통 안내통로(31)의 하단에는 낙하한 정제를 일단 유지하기 위한 셔터(43)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43)는 낙하 안내통로(34)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드하는 한 장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셔터(43)의 양끝부분에는 개구부(43a, 4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셔터(43)가 좌측단에서 슬라이드하면 우측의 개구부(43a)에 의하여 낙하 안내통로(34)는 개구하고, 우측단에서 슬라이드하면 좌측의 개구부(43b)에 의하여 낙하 안내통로(34)는 개구한다. 또한, 셔터(43)가 슬라이드 스트로크의 중앙부에 정지하면 양 낙하 안내통로(34)는 폐쇄된다.
또한, 셔터(43)의 아래 방향에는 호퍼(44)가 슬라이드 및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호퍼(44)는 상기 셔터(43)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서 정제를 받기에 가능한 위치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낙하 안내통로(34)로부터 받은 정제를 호퍼(44)의 하부에 설치한 두 개의 정제반송부(27)의 반송용기(46)에 각각 공급 가능하게 한다.
정제반송부(27)는 한 벌의 로울러(47) 사이에 반송벨트(48)를 걸고, 이 반송 벨트(48)에 의하여 반송용기(46)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한 것으로, 2열로 설치되어 있다. 반송용기(46)는 지지틀체(46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틀체(46a)의 밑판부(46a)에는 장방형 구멍(46c)이 설치되어 있다(도 4, 도 14 및 도 15 참조). 상기 반송벨트(48)는 연속하는 가이드돌출부(48a)를 갖고 있다. 이 가이드돌출부 (48a)는 상기 장방형 구멍(46c)이 맞물리고, 반송용기(46)를 이송 가능하게 한다. 반송용기(46)는 밑면이 개폐 가능한 셔터(49)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49)는 한쪽 끝에 설치한 스프링(50)에 의하여 반송용기(46)의 바닥을 폐쇄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셔터(49)의 한쪽 밑면에는 돌출부(49a)가 형성되어 있다.
정제용기 공급부(3)는 도 8 및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빈 정제용기(11)를 수용하는 스톡용기(51)와, 이 스톡용기(51)로부터 정제용기(11)를 하나씩 꺼내는 용기취출부(52)와, 이 용기취출부(52)에 의하여 스톡용기(51)로부터 꺼낸 정제용기 (11)를 반송하는 빈 용기 반송부(53)로 구성된다. 정제용기 공급부(3)는 일렬로 설치되고, 각 스톡용기(51) 내에 각각 사이즈(바깥 지금 또는 길이)가 다른 빈 정제용기(11)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상기 스톡용기(51)의 바닥벽(54)은 용기취출부(52)를 항하여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며, 용기취출부(52)의 부근에는 회전반(55)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반(55)은 바닥벽(54)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고, 모터(56)의 구동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정, 역회전하고, 용기취출부(52)에 대한 정제용기(11)의 경사방향을 변경한다. 또한, 회전판(55)의 윗면에는 반원 형상의 돌기(5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55a)는 정제용기(11)를 옆을 향하도록 하여 용기취출부(52)에 의한 원활한 취출을 도와준 다. 또한, 바닥벽(54)의 경사면의 위쪽에는 투과식 광센서(54a)가 부착되어 있다. 스톡용기(51)에 설치한 표시램프(도시하지 않음)는 투과식 광센서(54a)에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정제용기(11)의 수납 잔량을 표시한다. 즉, 표시램프는 투과식 광센서(54a) 사이의 빛이 차단되어 있을 때에 "F" 램프를 점등하고, 차단되어 있지 않을 때에 "L" 램프를 점등한다. 더욱이, 표시램프는 다음에 설명하는 반송대(62)에 설치한 센서가 정제용기(11)를 일정시간 검출할 수 없을 때에 "E" 램프를 점등한다. 또한, 상기 정제용기(11)의 수납 잔량은 도 1에 보이는 터치패널(12)에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용기취출부(52)는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설치한 로울러(57) 사이에 벨트(58)를 건 것이다. 벨트(58)에는 이동방향에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가로용기 유지부(5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가로용기 유지부(59) 사이에는 2군데에 세로용기 배제부(60)가 설치되어 있다. 가로용기 유지부(59)는 소정 간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유지턱(59a)으로 구성되며, 세로용기 배제부(60)는 소정 간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60a)로 구성되어 있다. 각 가로용기 유지부(59)의 간격은 정제용기(11)의 높이 치수보다 작고 바깥지름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유지턱(59a)의 간격은 정제용기(11)의 바깥지름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지턱(59a)에 정제용기(11)의 개구가 걸리는 일없이 정제용기(11)를 확실하게 횡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취출부(52)는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61) 및 반송대(62)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용기취출부(52)에 의하여 취출된 정제용기 (11)를 빈 용기 반송부(53)로 반송한다. 컨베이어(61)는 한 쌍의 로울러(68) 사이에 도합 4개의 반송로프(69)를 걸친 것이다. 로울러(68)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정, 역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반송로프(69)의 간격은 적어도 반송하는 정제용기(11)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값이다. 반송대(62)는 단면이 거의 L자형이며,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하여 도 9에서 실선 및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며, 컨베이어(61)에서 반송된 정제용기(11)를 빈 용기 반송부(53)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용기취출부(52)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컨베이어(61) 위의 정제용기(11)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구동한다. 또한, 상기 용기반송부(53)는 초기전원 투입시나 긴급정지로부터 전원을 넣을 때, 일정시간 반송방향이 역전하고, 도중에 빈 정제용기(11)가 정지하고 있으면, 이것을 도시하지 않은 회수박스로 회수한다.
상기 빈 용기 반송부(53)는 병설되는 스톡용기(51)를 따라서 반송대(62)의 밑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빈 용기 반송부(53)는 상기 반송부(66)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로울러(71)와 그 양끝부분에 각각 걸쳐진 한 쌍의 반송로프(72)로 구성된다.
정제충전부(4)는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포크 형상의 용기 지지부(76)와 정제계량부(77)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지지부(76)는 복수의 지지피스(78)를 가지며, 각각의 사이에 정제용기(11)를 지지한다. 각 지지피스(78)의 간격은 정제용기(11)의 사이즈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지지부(76)에는 S, M 및 L 사이즈의 정제용기(11)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지지부(76)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서 용기 지지위치와 정제 투입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용기 지지위치 부근에는 가이드판(79, 80, 81)이 설치되어 있다. 제1가이드판(79)은 거의 V자 형태로 빈 용기 반송부(53)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정제용기(11)를 제2가이드판(80)으로 인도한다. 제2가이드판(80)은 정제용기(11)를 용기 지지부(76)로 공급 가능하도록 기울게 한다. 제3가이드판(81)은 제2가이드판(80)에 대하여 앞뒤로 이동하며, 용기 지지부(76)로의 정제용기(11)의 공급을 조절한다. 또한, 제3가이드판(81)은 확실하게 정제용기(11)가 구르도록 송출방향보다 뒤쪽으로 송출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용기 지지부(76)의 아래쪽으로는 용기정렬판(82)이 설치되어 있다. 용기정렬판(82)은 용기 지지부(76)를 수평이동시킨 후, 각 지지피스(78)에서 지지하는 정제용기(11)에 맞붙여서 일렬로 정렬된다. 이에 따라, 나중에 설명하는 압출로울러 (92)에 의한 압출량을 억제하여 효율적인 동작을 하게 할 수 있다.
정제투입위치 근처에는 라벨부착장치(labeler)(83)와 리프터(lifter)(84)가 설치되어 있다.
라벨부착장치(83)는 라벨에 약제이름 등을 인쇄하여 정제용기(11)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라벨(85)은 한쪽의 로울러(86a)로부터 공급되는 시트(87)에 부착되어 있으며, 가이드 팁(guide tip)(88)에서 시트(87)가 방향이 변환될 때에 벗겨진다. 라벨(85)이 벗겨진 시트(87)는 다른 쪽의 로울러(86b)로 옮기어 감아진다. 라벨(85)로의 인쇄는 시트(87)로부터 벗겨지기 전에 뒷면의 로울러(86c)에 지지되면서 인쇄헤드(89)에서 리본(90)을 열전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리본(90)은 한쪽의 로울 러(91a)로부터 공급되며, 다른 쪽의 로울러(91b)에 옮기어 감아진다.
상기 용기 지지부(76)의 아래쪽에는 한 쌍의 압출로울러(92)와 가이드로울러 (93)가 설치되어 있다. 압출로울러(92) 사이에는 정제용기(11)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사이즈 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압출로울러(92)는 용기정렬판(82)에서 정렬시킨 정제용기(11)의 지지피스(78)를 출방향으로 압출하고, 그 반대쪽에 위치하는 가이드로울러(93)로 정제용기(11)를 유지시킨다. 압출로울러(92)와 가이드로울러(93)에 의하여 유지된 정제용기(11)의 밑쪽으로는 회전받침대(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받침대(110)는 상기 사이즈 검출센서에서의 사이즈에 따른 높이까지 상승한다. 가이드로울러(93)는 상기 압출로울러(92) 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모터(93a)의 구동에 의하여 정제용기(11)를 회전시킨다.
리프터(84)는 정제용기(11)를 그 플랜지가 지지피스(78)보다도 약간 위쪽에 위치하는 회전위치와, 나중에 설명하는 충전호퍼(97)까지 들어올리는 정제충전위치로 들어올린다.
상기 정제계량부(77)는 투입호퍼(94), 계량부(95), 계량호퍼(96), 충전호퍼 (97) 및 배출호퍼(98)를 구비한다.
투입호퍼(94)에서는 도 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송용기(46)가 이동해 오면 셔터(49)의 돌출부(49a)가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아 있음으로써 스프링(5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셔터(49)를 개방하므로, 반송용기(46) 내에 수용한 정제가 순차적으로 투입호퍼(94)로 낙하한다.
계량부(95)는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투입호퍼(94)로부터 낙하하는 정제 를 수용하는 계량용기(99)와, 이 계량용기(99)를 수용된 정제와 같이 계량하는 계량기(100)와 상기 계량용기(99)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암(101)으로 이루어진다. 계량용기(99)의 양쪽 바깥면에는 2개의 돌기(99a, 9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101)의 앞 끝에는 한쪽 끝의 돌기(99a)가 걸려 있는 걸림오목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오목부(101a)는 아암(101)을 회동시켜서 계량용기(99) 내의 정제를 충전호퍼(97)에 공급할 때, 상기 계량용기(99)의 돌기(99a)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101)은 투입호퍼(94)로부터 계량용기(99)에 정제가 투입될 때, 그 충격력이 직접 계량기(100)에 작용하지 않도록 계량기(100)로부터 계량용기(99)를 부상한 상태로 지지하고, 그 후 계량기(100) 위에 계량용기(99)를 올려놓도록 회전함으로써 계량기(100)에 의한 계량시간이 단축된다.
계량호퍼(96)의 바닥면은 셔터(96a)로 구성되며, 대향측면에는 충전량 검출센서(102)가 설치되고, 계량호퍼(96) 내에 축적되는 정제량을 판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충전호퍼(97) 및 배출호퍼(98)의 위쪽 개구부는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 개폐도어(103)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충전호퍼(97)는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밑쪽 원통형부(110)가 서서히 안쪽 지름을 작게 하는 계단식 형상으로 되어 있고, 거기에는 상하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안쪽 통(111)이 설치되어 있다. 안쪽 통의 상부에는 우산부(112)가 형성되고, 밑쪽 원통형부(110)의 안쪽 개구부(110a)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리프터(84)에 의하여 정제용기(11)를 위로 움직여 안쪽 통을 들어올 리면 우산부(112)에 의하여 유지된 정제가 정제용기(11) 내에 공급된다.
제어부(5)는 도 1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05)[터치패널(12)에서의 입력신호만으로도 무방하다]로부터 처방전 정보의 입력을 받고, 보관선반(1)[용기센서(8a), 터치패널(12), 모터(14a), 제1구동모터(20), 제3구동모터(24) 등], 정제 공급부(2)[구동모터(32a), 정제검출센서(35) 등], 정제용기 공급부(3), 정제충전부(4)[계량기(100), 충전량 검출센서(102) 등], 비상정지스위치(106) 등으로부터 신호를 받고, 또한 구동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정제 충전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의 플로우 차트에 보이는 바와 같이, 우선 호스트 컴퓨터(105)로부터 처방전 데이터에 의한 처방지시 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 S1). 그리고, 이 처방지시 데이터에 의하여, 병렬 동시처리에 의해 빈 용기 공급처리(스텝 S2) 및 정제 이송처리(스텝 S3)를 실행한다. 계속해서, 정제 충전처리(스텝 S4)를 실행한 후, 정제용기(11)를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이송하는 용기 이송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 또한, 처방지시 데이터는 처리능력에 따라서 복수로 수신하여도 좋다.
빈 용기 공급처리는 도 19 및 도 20의 플로우 차트에 보이는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처방지시 데이터에 의하여 해당하는 정제용기(11)가 수용되어 있는 스톡용기(51)의 용기취출부(52)를 구동시킨다(스텝 S11). 용기취출부(52)에서는 가로용기 유지부(60)에 의하여 정제용기(11)가 횡방향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반송된다. 이때, 세로용기 배제부(61)에 의하여 정제용기(11)가 가로용기 유지부(60)로 세로로 향하거나 2개가 쌓이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다음 정제용기(11)의 공급은, 용기 지지부(76)에 유지된 정제용기(11)의 사용이 결정된 시점, 즉, 다음 처방지시 데이터가 입력된 시점에서 스톡용기(51)의 용기취출부(52)를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취출부(52)에 의하여 정제용기(11)가 위쪽으로 옮겨져 오면, 컨베이어(61)의 구동을 개시하여 반송대(62)로 이동시킨다(스텝 S12).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반송대(62)를 회전시킴으로써 정제용기(11)을 빈 용기 반송부(53)로 이송한다(스텝 S13).
빈 용기 반송부(53)에서는 상기 스톡용기(51)로부터의 정제용기(11)의 공급을 기다려 모터를 구동시키고, 반송로프(72)에 의하여 정제용기(11)의 정제충전부(4)로 반송한다(스텝 S14).
정제충전부(4)에서는 정제용기(11)를 제1가이드판(79)에 의하여 제2가이드판(80)으로 인도하고, 거기서 제3가이드판(81)에 의하여 가이드한다(스텝 S15). 또한, 용기 지지부(76)를 수평 이동시키고, 반송되는 정제용기(11)의 사이즈에 따른 한 쌍의 지지피스(78)을 제2가이드판(80)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위치를 결정한다(스텝 S16). 그리고, 제3제3드판(82)을 이동시키고, 정제용기(11)를 용기 지지부(76)의 지지피스(78)에 의하여 지지한다(스텝 S17). 이에 따라, 정제용기(11)는 플랜지부가 지지되어 항상 위쪽을 향하여 개구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정제용기(11)의 사이즈나 공급방향에 따라서 지지피스(78)에서의 지지위치가 서로 크게 다르다. 그래서, 용기 지지부(76)를 수평이동시키고, 용기정렬판(82)에 의하여 정제용기(11)를 정렬시킨 후(스텝 S18), 정제 충전위치에 도달 하면(스텝 S19), 그 이동을 정지시킨다(스텝 S20). 그리고, 리프터(84)를 구동시켜서 용기 지지부(76)로부터 정제용기(11)를 약간 위로 움직이고(스텝 S21), 이 상태에서 압출로울러(92)를 전진시킴으로써(스텝 S22) 정제용기(11)를 압출로울러(92)와 가이드로울러(93)에 의하여 유지한다. 그리고, 모터(92)의 구동에 의하여 가이드로울러를 회전시켜서 정제용기(11)의 바깥 둘레면에 소정의 인쇄를 한 라벨을 부착시킨다(스텝 S23).
한편, 정제이송처리에서는 도 20 및 도 21의 플로우 차트에 보이는 바와 같이, 처방지시 데이터에 의하여 해당하는 정제수용부(26)를 구동제어한다. 즉, 해당하는 모터 베이스(32)의 내장 모터를 구동시키고, 로터(39)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이더 용기(36) 내에 수용한 정제를 소정의 수만큼 배출시킨다(스텝 S41). 배출 수는 낙하 안내통로(34)에 설치한 정제검출센서(35)에 의하여 카운트한다(스텝 S42). 이렇게 하여 소정 수의 정제가 피이더 용기(36)로부터 낙하 안내통로(34)를 통하여 공통 안내통로(31)에 배출되면(스텝 S43), 로터(39)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정제의 배출을 정지한다(스텝 S44).
또한, 정제반송부(27)를 구동제어한다. 즉, 로울러(47)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반송벨트(48)를 통하여 반송용기(46)를 공통 안내통로(31)의 밑쪽에 위치시킨다(스텝 S45). 그리고, 호퍼(44)를 회전시키고, 그 개구부를 반송용기(46)로 방향을 향하게 하고(스텝 S46), 셔터(49)를 개방함으로써 반송용기(46) 안으로 정제를 수용한다(스텝 S47).
이와 같이 하여, 반송용기(46) 안으로 해당하는 정제가 소정 수 수용되면, 정제반송부(27)를 구동제어함으로써 반송용기(46)를 투입호퍼(94)로 이동시킨다(스텝 S48). 이때, 셔터(49)의 돌출부(49a)가 투입호퍼(94)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음으로써 반송용기(46)의 이동에 따라서 셔터(49)가 서서히 개방하고, 수용된 정제가 투입호퍼(94)를 통하여 계량용기(99)에 수용된다. 이때, 아암(101)을 회전시켜서 계량기(100)로부터 계량용기(99)를 약간 부상한 상태로 하고, 정제투입에 따른 충격력이 계량기(100)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그 후, 아암(101)을 회동시켜서 계량기(100)에 계량용기(99)를 얹어 놓고 중량을 측정한다(스텝 S49).
그렇게 하여 소정 중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0). 또한, 아암(101)을 회전시키고(스텝 S51), 정제를 계량호퍼(96) 안으로 수용한다.
그리고, 계량호퍼(96)의 충전량 검출센서(10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그 정제가 정제용기(11) 안으로 수용 가능한 용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2).
중량이 소정값이며 용량이 소정량 이하라면, 해당하는 정제를 소정량만큼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거기서 리프터(84)에 의하여 정제용기(11)를 더욱 상승시킴으로써 충전호퍼(97)의 안쪽 통(111)을 들어 올린다(스텝 S53). 이에 따라 우산부(112)에 의해 안쪽 개구부(110a)가 개구하여 정제용기(11) 안으로 정제가 충전된다.
또한, 중량이 소정값이 아니거나 또는 소정용량을 넘고 있다면, 해당하는 정제가 아닌지, 또는 정제용기(11)에 충전 불가능한 용량인지를 판단하여 충전호퍼(97)의 개구부를 폐쇄하고(스텝 S54), 셔터(96a)를 개방한다(스텝 S55). 이에 따라 정제는 배출호퍼(98)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경우, 스텝 S41로 돌아가서 다시 한번 정제 이송처리를 실행한다.
정제용기(11)에 정제가 충전되면 보관선반(1)으로의 이송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수용실(6)의 사용상황을 보관선반 데이터 테이블에서 확인하고, 비어 있는 수용실(6)을 특정한다. 보관선반 데이터 테이블은 보관선반(1)의 각 수용실(6)에 설치한 용기센서(8a)에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비어 있는 수용실(6) 중에서 정제용기(11)를 이송하는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에서는 작업자가 정제용기(11)를 꺼내기 쉬운 순서로 이송위치를 결정한다.
정제용기(11)를 이송하는 수용실(6)이 결정되면 아암부재(15)를 회전시키고(스텝 S61), 아암 본체(19)에 대하여 슬라이드부재(22)를 전진시켜(스텝 S62), 파지피스(25)에서 정제용기(11)를 파지한다(스텝 S63). 그리고, 슬라이드부재(22)를 후퇴시켜서(스텝 S64), 아암부재(15)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승시킨다(스텝 S65). 아암부재(15)의 회전위치 및 상승위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결정한, 작업자가 수용실(6)로부터 정제용기(11)를 꺼내기 쉬운 위치이다.
아암부재(15)가 결정된 회전위치 및 상승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하면(스텝 S66), 다시 한번 해당하는 수용실(6)에 설치한 용기센서(8a)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수용실(6)의 수용상태를 확인한다. 정제용기(11)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슬라이드부재(22)를 전진시킴으로써 문짝(6a)을 개방하고 잡은 정제용기(11)를 보관선반(1)의 수용실(6)로 이동시킨다(스텝 S67). 정제용기(11)는 수용실(6) 내의 유지판(9)을 그 유지턱(10)에 형성한 절개부(10b)에 의하여 양쪽으로 눌러 넓히면서 오목부(10a)로 위치시키고, 스프링(9a)의 힘을 받아서 유지된다. 거기서, 파지피스(25)를 개방하고(스텝 S68), 슬라이드부재(22)를 후퇴시킨 후(스텝 S69), 아암부재(15)를 밑으로 이동시켜(스텝 S70), 다음의 정제용기(11)의 이송에 대비한다. 단, 정제용기(11)를 수용하려고 하는 수용실(6) 안에서 수용 직전에 검출된 경우, 다시 한번 다른 수용 가능한 수용실(6)을 검색하여, 그 수용실(6)로 이송한다.
또한, 이동시키는 수용실(6)의 선택은 아암부재(15)에 의한 정제용기(11)의 이송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번호를 붙이고, 비어 있는 수용실(6) 중에서 가장 번호가 작은 것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여 소정의 정제가 소정량 충전된 정제용기(11)가 보관선반(1)의 수용실(6)로 이송되면 용기센서(8a)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수용실(6)의 표시부(7)에 피이더 용기 번호와 정제계수를 표시한다(스텝 S71).
그런데, 상기 정제 충전장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제용기(11)가 반송되고, 거기에 소정의 정제가 충전된 후,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이송되는데, 이들 일련의 작업 중에 비상 정지버튼[보관선반(1)의 아래쪽 중앙부와 정제용기 공급부(3)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이 눌려지거나, 정전 등으로 전원의 공급이 정지되면 정제 충전장치가 정지한다. 이 경우, 정제수용부(26)를 구동하는 모터 베이스(32)로의 통전(通電)을 정지시키고 정제의 잘못된 낙하를 방지한다. 단, 제어부(5)로의 통전은 정지하지 않고 비상정지상태인 것을 알린다. 또한, 통상의 전원공급의 정지에서는 모터 베이스(32) 및 제어부(5)로의 통전을 동시에 정지시키는 일없이, 먼저 모터 베이스(32)로의 통전을 정지시킨 후, 제어부(5)로의 통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비상정지 버튼이 눌려지거나 정전 등으로 전원의 공급이 정지한 경우, 제어부(5)는 도시하지 않은 2차 전원으로부터도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구동상태를 유지하는데, 반송 중의 정제용기(11)나 정제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 완전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일단 반송 도중의 정제용기(11)나 정제를 회수하여 리셋(reset)하는 복귀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생긴다.
이하에 기술하는 복귀처리에서는 반송 도중에 정지한 정제나 정제용기(11)를 보관선반(1)의 수용실(6)로 회수하고 있기 때문에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빈 곳이 없거나 또는 빈 곳이 적은 경우에는 복귀처리가 가능하도록 수용실(6)로부터 정제용기(11)를 제거한다. 또한, 정제용기(11)의 반송경로[빈 용기 반송부(53), 용기 지지부(76) 등]에서는 빈 용기 반송부(53)를 일정시간 역회전시켜서 빈 용기 반송부(53) 위의 정제용기(11)를 제거한다. 용기 지지부(76)에서는 압출로울러(92) 사이에 설치한 정제용기(11)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센서로 정제용기(11)의 사이즈 데이터를 다시 한번 기억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2)에는 정제를 제거한다는 것을 표시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이더 용기(36) 안의 정제나 스톡용기(51) 안의 정제용기(11)가 비어 있는 경우의 에러는 이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복귀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복귀처리를 도 23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5)의 전원을 일단 오프상태로 한다(스텝 S81). 이것은 제어부(5)의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처리중의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은 도 25(a)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치패널(12)에 "CLOSE"라고 표시된 부 분을 누름으로써 도 26(a)에 나타내는 "DO YOU WANT TO GO POWER OFF?"라고 표시시키고 그 밑쪽에 표시되는 "YES", "NO" 중에서 "YES"를 선택함으로써 도 26(b)에 나타내는 "전원을 꺼도 안전합니다"라고 표시시킨 후, 오프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비상정지 버튼이 눌려져 있으면(스텝 S82), 이것을 리셋한 후(스텝 S83), 다시 제어부(5)의 전원을 온상태로 한다(스텝 S84). 이에 따라 터치패널(12)에는 도 25(a)에 보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25(a)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치패널(12)에 표시되는 항목 중 "RECALL"을 누르면(스텝 S85), 그 입력신호를 받아서 공급 도중의 정제의 회수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86). 이때, 터치패널(12)에는 도 26(b)에 보이는 "RECALL UNDER PROCESS…"라고 표시하고 복귀 처리 중인 것을 알린다(스텝 S87).
상기 정제회수처리에서는 도 24의 플로우 차트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반송용기(46) 및 각 호퍼(44)에 잔류하는 정제의 회수를 행한다. 우선, 용기 지지부(76)를 이동시키고, 가장 용량이 큰 정제용기(11)를 충전호퍼(97)의 아래쪽으로 위치시킨다(스텝 S91). 통상, 용기 지지부(76)에는 최대용량의 정제용기(11)가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정제용기(11)를 이용하는데,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톡용기(51)로부터 최대용량의 정제용기(11)를 보충 공급한다. 한편, 반송용기(46)에 의하여 공통 안내통로(31)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정제를 회수하고(스텝 S92), 투입호퍼(94) 등으로부터 충전호퍼(97)를 통하여 상기 정제용기(11)로 회수한다(스텝 S93). 그리고, 정제를 충전한 정제용기(11)를 아암부재(15)에 의하여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이송함과 동시에(스텝 S94), 이송한 정제용기(11)와 동일 사이즈의 것을 용기 지지부(76)에 보충 공급한다(스텝 S95). 또한, 표시부(7)에 "P000"이라고 표시하고(스텝 S96), 그 수용실(6)에 이송한 정제용기(11)로 회수한 정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한눈에 판별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톡용기(51)로부터 용기 지지부(76)에 사용한 가장 용량이 큰 정제용기(11)를 보충 공급하고, 공통 안내통로(31)로부터 잔류하는 정제를 회수한다. 이 경우, 공통 안내통로(31)에는 정제가 잔류하고 있지 않은 것도 있지만, 어느 정제가 반송 도중인지를 완전히 파악하기 위하여 전체의 공통 안내통로(31)로부터 정제의 회수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전체의 공통 안내통로(31)로부터 잔류하는 정제를 회수하면(스텝 S97), 계속하여 용기 지지부(76)에 유지된 다른 사이즈의 정제용기(11)의 회수를 행한다(스텝 S98). 이 경우, 용기 지지부(76)로부터 회수하여 보관선반(1)의 수용실(6)에 보관된 사이즈의 정제용기(11)에 대해서는 그때마다 해당하는 스톡용기(51)로부터 용기 지지부(76)로 보충 공급하여 둔다(스텝 S99).
그 후, 정제의 회수작업이 종료하면(스텝 S100), 터치패널(12)의 표시를 메인메뉴로 하고 "AUTO"를 누름으로써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빈 용기 공급처리(스텝 S2), 정제 이송처리(스텝 S3) 및 정제 충전처리(스텝 S4)로 복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복귀처리에서는 정제 충전장치가 이상(異常)정지한 경우에는, 항상 제어부(5)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메모리에 기억한 처리중의 데이터를 지우도록 하였지만, 이 데이터를 이용할지 여부를 작업자에게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제어부(5)의 전원을 오프하는 일없이, 예를 들면, 터치패널(12)에 표시된 "RECALL"을 누름으로써 이상정지 이전의 처리중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대로 속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빈 용기 반송부(53), 용기 지지부(76) 등에 남겨진 정제용기 (11)나 공통 안내통로(31) 등에 남겨진 정제의 회수는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복귀처리에서는 회수용으로 이용되는 수용실(6)의 표시부(7)에는 일률적으로 "P000"의 회수를 나타내는 표시를 하도록 하였지만, 회수를 나타내는 표시에 더하여 어느 한쪽의 피이더 용기(36)로부터 배출된 정제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송용기(46)에서 어느 공통 안내통로(31)로부터 정제를 회수하였는지를 기억해 두고, 그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어느 한쪽의 피이더 용기(36)로부터 배출된 정제인지를 특정한다. 이 경우, 상하로 정렬된 피이더 용기(36) 중에서 어느 한쪽의 피이더 용기(36)인지 까지의 판단은 되지 않지만, 전회(前回) 처리 중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어느 한쪽의 피이더 용기(36)로부터 배출된 정제인지를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제 공급부(2)에 수납하는 정제에는 다른 환자에 대하여 혼입해서는 안 되는 특정 정제(예를 들면, 피린계 약제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제 등)도 포함된다. 따라서, 공통의 경로를 통하여 충전작업을 하면 장치가 상태가 좋지 않은 등의 이유로 특정 정제가 다른 정제에 혼입할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특정 정제를 수용하는 각 정제 공급부(2)에는 개별 공급장치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개별 공급장치는 도 2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32)로부터 공급 된 정제를 일시적으로 축적시키는 정제 축적부(200)를 구비한다. 모터 베이스(32)의 앞면에 LED(2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LED(201)는 모터 베이스(32)로부터 정제 축적부(200)에 정제가 축적됨으로써 점등한다. 정제 축적부(200)의 아래쪽 개구는 개폐 지지부(202)에 추축(20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셔터(203)에 의하여 개폐된다. 셔터(203)는 앞쪽에 원호 형상의 절개부(204)가 형성됨과 동시에 옆 가장자리에 검출피스(205)가 돌설되어 있다. 절개부(204)는 그 안쪽 가장자리에 정제용기(11)의 플랜지부를 걸어서 눌러 넣을 수 있도록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검출피스(205)는 셔터(203)에 의한 상기 정제 축적부(200)의 하단 개구의 폐쇄시, 개폐 지지부(202)에 설치한 센서(206)에 의하여 검출된다. 또한, 셔터(203)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의 바이어스 수단에 의하여 정제 축적부(200)의 하단 개구를 폐쇄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개별 공급장치를 구비한 정제 공급부(2)에서는 처방지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모터 베이스(32)가 구동하며, 정제 축적부(200)에 특정 정제가 축적되면 LED(201)가 점등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어느 정제 공급부(2)로부터 충전하려고 하는 특정 정제가 배출된 것인가를 한눈에 특정할 수 있다. 거기서, 작업자는 LED(201)가 점등하고 있는 정제 공급부(2)의 개별 공급장치에 정제용기(11)를 설치한다. 즉, 정제용기(11)를 셔터(203)의 절개부(204)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눌러 넣는다. 셔터(203)는 추축(203a)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바이어스 수단에 의한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정제용기(11)의 위쪽 개구부가 정제 축적부 (200)의 하단 개구에 연통함으로써 정제 축적부(200) 안의 특정 정제가 정제용기 (11)에 충전된다. 이때, 센서(206)가 셔터(203)의 검출피스(205)가 비검출 상태로 됨으로써 LED(201)는 소등된다.
본 발명에서는, 최초 유입된 정제에 다음의 정제가 혼입될 위험성이 없는 정제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충전장치에 따르면, 정제가 정제 축적부로부터 정제용기로 충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한편, 다음 정제를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셔터를 쉽게 개방할 수 있고 정제용기를 셔터에 걸어 맞춰서 쉽게 압입할 수 있다.

Claims (3)

  1. 정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피이더 용기(36)와,
    상기 피이더 용기(36)가 각각 장착되는 모터 베이스(32)와,
    상기 모터 베이스(32)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베이스(32)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저장하는 정제 축적부(200)와,
    상기 정제 축적부(200)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203)로 구성되고,
    상기 정제 축적부(200)의 아래쪽에 정제용기(11)를 배치해서 상기 셔터(20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정제 축적부(200)에 저장한 정제를 정제용기(11)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축적부(200)에 정제가 저장되면 점화하는 LED(201)와,
    상기 셔터(203)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206)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206)가 상기 셔터(203)의 개방을 검출하면 상기 LED(201)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03)는 상기 정제 축적부(200)의 하단 개구를 폐쇄하도록 바이어스되고, 상기 정제용기(11)를 상기 셔터(203)에 걸어 맞춰서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압입하면 상기 정제 축적부(200)의 하단 개구가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03)는 정제용기(11)가 걸어 맞춰지는 원호 형상의 절개부(20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장치.
KR1020057024902A 1999-11-01 2000-10-30 정제 충전장치 KR100570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11064 1999-11-01
JP31106499A JP4444414B2 (ja) 1999-11-01 1999-11-01 錠剤充填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389A Division KR100696817B1 (ko) 1999-11-01 2000-10-30 정제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394A KR20060009394A (ko) 2006-01-31
KR100570465B1 true KR100570465B1 (ko) 2006-04-12

Family

ID=180126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389A KR100696817B1 (ko) 1999-11-01 2000-10-30 정제 충전장치
KR1020037013517A KR100560337B1 (ko) 1999-11-01 2000-10-30 정제 충전장치
KR1020057024902A KR100570465B1 (ko) 1999-11-01 2000-10-30 정제 충전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389A KR100696817B1 (ko) 1999-11-01 2000-10-30 정제 충전장치
KR1020037013517A KR100560337B1 (ko) 1999-11-01 2000-10-30 정제 충전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81355B1 (ko)
EP (2) EP1179475A4 (ko)
JP (1) JP4444414B2 (ko)
KR (3) KR100696817B1 (ko)
CA (1) CA2358383A1 (ko)
DE (1) DE60021291T2 (ko)
TW (1) TW466196B (ko)
WO (1) WO20010325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163B1 (ko) * 2013-03-20 2014-02-18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KR101481967B1 (ko) * 2013-05-31 2015-01-14 주식회사 인포피아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10631A1 (it) * 2001-03-23 2002-09-23 Fmc Italia S P A Dispositivo per il confezionamento di tonno ed affini in buste metalliche o plastica metallizata
TWI225836B (en) * 2002-02-20 2005-01-01 Sanyo Electric Co Medicine supply apparatus
GB0307225D0 (en) * 2003-03-28 2003-04-30 Arx Ltd Automated dispensing system
JP4643448B2 (ja) * 2003-07-31 2011-03-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充填装置
JP2005212878A (ja) * 2004-01-30 2005-08-11 Yuyama Manufacturing Co Ltd ラベリング装置
JP4877586B2 (ja) * 2006-07-06 2012-02-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収納取出装置
KR100817704B1 (ko) * 2007-05-16 2008-03-27 김호연 정제자동분배기용 특수정제 투입장치
JP4782170B2 (ja) * 2007-06-21 2011-09-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US8172112B2 (en) * 2007-08-10 2012-05-08 Parata Systems, Llc Device for staging and dispensing tablet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US8714405B2 (en) * 2007-08-10 2014-05-06 Parata Systems, Llc Device for staging and dispensing tablet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ITMI20080101A1 (it) 2008-01-24 2009-07-25 Dachi S R L "apparato di caricamento in un impianto di trasporto di contenitori di materiale biologico"
KR101027619B1 (ko) 2008-09-18 2011-04-0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 피더
US8769915B2 (en) * 2008-09-30 2014-07-08 Panasonic Healthcare Co., Ltd. Tablet supply apparatus
DE102009017869B3 (de) * 2009-04-17 2010-05-20 Sim Automation Gmbh & Co. Kg Verfahren zum individuellen Zusammenstellen von Tablett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10427809B2 (en) 2012-06-01 2019-10-01 Rxsafe Llc Pharmacy packaging system
US10427810B2 (en) 2012-06-01 2019-10-01 Rxsafe Llc Pharmacy packaging system
EP2813445B1 (en) * 2013-06-11 2017-04-05 Roche Diagnostics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sample tubes and laboratory system
JP6627034B2 (ja) * 2015-03-18 2020-01-08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計数包装方法および計数包装機
EP3962835A4 (en) 2019-05-03 2023-10-18 Rxsafe Llc PHARMACY PACKAGING SYSTEM AND POUCH
CN110712802B (zh) * 2019-09-11 2021-07-16 东阿阿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阿胶浆生产的智能供盒机器人
JP7070808B2 (ja) * 2020-04-18 2022-05-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受取容器及び薬剤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421586Y1 (ko) 1956-12-04 1959-12-26
US2936921A (en) * 1957-04-01 1960-05-17 Weiss Maschf Johann Labeling machine for workpieces in upright position
BE791462A (fr) * 1971-12-04 1973-03-16 Jagenberg Werke Ag Machine a etiqueter pour bouteilles ou objets similaires, avec un dispositif pour en enrober d'une feuille metallique les goulots oules tetes
DE2907015A1 (de) * 1979-02-23 1980-09-04 Hauni Werke Koerber & Co Kg Vorrichtung zum abfuellen schuettbarer gueter in verpackungsbehaelter
US4470797A (en) * 1981-10-30 1984-09-11 The Continental Group Inc. Preform loader
US4473098A (en) * 1983-06-17 1984-09-25 Sawvel Thomas D Container transport device for use with filling equipment
JP2810987B2 (ja) * 1990-05-11 1998-10-15 雪印乳業株式会社 搬送装置
JPH0516907A (ja) * 1991-07-12 1993-01-26 Sony Corp 包装方法
US5337919A (en) * 1993-02-11 1994-08-16 Dispensing Technologies, Inc. Automatic dispensing system for prescriptions and the like
US5601783A (en) * 1993-05-04 1997-02-11 Pasteur Sanofi Diagnostics Vessel transport device for automatic chemical analysis
JP4004077B2 (ja) 1995-07-26 2007-11-07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円筒物品のラベル装着装置及び円筒物品のラベル装着方法
JPH1033636A (ja) * 1996-05-03 1998-02-10 Yuyama Seisakusho:Kk 薬剤分包装置、薬瓶及び薬剤検査方法
US6196278B1 (en) * 1997-04-01 2001-03-06 Xerox Corporation Powder filling utilizing vibrofluidization
US5947169A (en) * 1997-04-01 1999-09-07 Xerox Corporation Oscillating valve for powders
JP4318766B2 (ja) 1997-06-17 2009-08-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US5897024A (en) * 1997-07-21 1999-04-27 Scriptpro Llc Medicament dispensing cell
US6036812A (en) * 1997-12-05 2000-03-14 Automated Prescription Systems, Inc. Pill dispensing system
US6000446A (en) * 1998-03-16 1999-12-14 Xerox Corporation Apparatus for particulate process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163B1 (ko) * 2013-03-20 2014-02-18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KR101481967B1 (ko) * 2013-05-31 2015-01-14 주식회사 인포피아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337B1 (ko) 2006-03-14
KR20010089750A (ko) 2001-10-08
KR20060009394A (ko) 2006-01-31
CA2358383A1 (en) 2001-05-10
EP1371558B1 (en) 2005-07-13
WO2001032508A1 (en) 2001-05-10
JP2001130504A (ja) 2001-05-15
US6581355B1 (en) 2003-06-24
DE60021291T2 (de) 2006-05-18
DE60021291D1 (de) 2005-08-18
JP4444414B2 (ja) 2010-03-31
TW466196B (en) 2001-12-01
KR100696817B1 (ko) 2007-03-19
EP1179475A1 (en) 2002-02-13
EP1371558A1 (en) 2003-12-17
KR20030088505A (ko) 2003-11-19
EP1179475A4 (en)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465B1 (ko) 정제 충전장치
JP4360744B2 (ja) 錠剤容器供給装置
JP2001287702A (ja) 錠剤充填装置
EP0999129B1 (en) Tablet packing apparatus
KR101411802B1 (ko) 정제 충전 장치
KR100605769B1 (ko) 약제 수집 시스템
US5832693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mpules
KR20090018897A (ko) 바이얼 병 공급 장치
US20060163271A1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KR100515738B1 (ko) 정제충전장치
WO2001076982A1 (fr) Dispositif de transfert de receptacle de comprimes
JP4546710B2 (ja) 薬剤払出し装置
JP2009036642A (ja) 試験管用ラックの制御装置
JP2019130253A (ja) 錠剤カセット
JP2002029501A (ja) 錠剤充填装置
EP1857365A1 (en) Tablet packing apparatus
JPH09192201A (ja) アンプル取揃え方法
CA2444847A1 (en) Tablet pa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