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311B1 -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 Google Patents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311B1
KR101559311B1 KR1020090099186A KR20090099186A KR101559311B1 KR 101559311 B1 KR101559311 B1 KR 101559311B1 KR 1020090099186 A KR1020090099186 A KR 1020090099186A KR 20090099186 A KR20090099186 A KR 20090099186A KR 101559311 B1 KR101559311 B1 KR 10155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unit
vibration
pl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679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US12/616,377 priority Critical patent/US8185236B2/en
Priority to JP2009260277A priority patent/JP4954266B2/ja
Priority to EP09175960A priority patent/EP2186731B1/en
Publication of KR2010005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agitators or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agitators or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키는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로서, 프레임과; 진동에 의해 약제를 이동시키는 진동 유닛과; 상기 진동 유닛으로부터의 진동을 상기 프레임에 전달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진동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 유닛을 통해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를 상기 약제 배출장치의 외부로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약제, 배출장치, 플레이트, 진동수단, 개폐, 약제 자동 포장기

Description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MEDICINE DISCHARGE DEVIC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진동에 의해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키는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tablet)나 캡슐(capsule) 등의 약제를 종류별로 수용하고 있는 복수개의 카세트 장치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 일회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약제 자동 포장기로서는,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부에 배열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 장치(110)와, 본체(100)의 하부에 배열되어 카세트 장치(110)들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130)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140)와, 호퍼(130)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150)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약제 자동 포장기에 포함된 카세트 장치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카세트 본체와, 이 카세트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약제를 분리 배출하는 분배 블록과, 분배 블록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카세트 본체를 지지하는 카세트 받침대와, 카세트 본체에 설치되어 분배 블록에 의해 분리 배출되는 약제가 일정한 수량씩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 부재를 포함한다.
분배 블록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배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카세트 본체에 수용된 약제는 이 배출 홈을 따라서 카세트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정해진 수량의 약제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홈을 중간에서 막아주는 칸막이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카세트 장치의 다양한 예로서, 일본 특허공개 평9-266940 호 및 미국 특허 제 5,803,309 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카세트 장치들을 들 수 있다. 이들 종래의 카세트 장치는 모두,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약제만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온전한 한 알의 정제가 아니라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 등의 이형 약제가 의사나 약사에 의해 처방될 경우가 있다. 원형의 납작한 정제를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와 같은 이형 약제는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상기된 종래의 카세트 장치로는 정확한 배출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반알 정제와 같은 이형 약제가 처방된 경우에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의한 자동 포장 기능을 이용할 수 없고, 약제를 수동으로 포장할 수밖에 없다는 문 제가 있었다. 그 결과 약제 포장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으며, 약제를 손으로 분류하면서 약제가 오염될 우려까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동에 의해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킴으로써 정형화된 형태를 가지는 약제뿐만 아니라 알약을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와 같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까지도 한 알씩 정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로서, 프레임과; 진동에 의해 약제를 이동시키는 진동 유닛과; 상기 진동 유닛으로부터의 진동을 상기 프레임에 전달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진동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 유닛을 통해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를 상기 약제 배출장치의 외부로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약제 전달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의 배출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선회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전달 유닛은,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약제를 호퍼에 전달하는 연결 통로와,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아래쪽에서 상기 연결 통로와 병렬 배치되어 상기 호퍼에 전달되지 않는 약제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통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선회 배출부재를 상하로 관통하는 전달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선회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약제를 상기 연결 통로 혹은 상기 회수 통로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배출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약제를 상기 진동 유닛에 무작위로 공급하는 약제 투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킬 수 있도록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게이트 유닛과, 상기 게이트 유닛을 구동시켜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 유닛은 평상시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게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게이트 부재를 캠 부재에 의해 구동시켜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약제의 정상적인 이송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와, 배출되는 약제를 안내하는 배출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에 의해 직선운동하도록 안내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말단에 상기 게이트 부재의 구름면과 맞닿도록 각각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캠 부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캠 부재 쪽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유닛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과, 상기 진동 수단에 부착되어 함께 진동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지 센서가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일체로 내장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별개의 상기 진동 수단에 의해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별개의 상기 진동 수단에 의해 서로 상이한 속도로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진동에 의한 약제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에는 이동하는 약제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투입 유닛은, 수용된 약제가 배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투입본체와, 상기 투입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개폐부재는 상부표면이 비스듬히 경사져 있어 상기 회전 개폐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개구가 반복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개폐부재의 회전축과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회 배출부재는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배출되는 약 제는 상기 수용부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선회 배출부재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상기 회수 통로 혹은 상기 연결 통로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낙하하는 약제의 개수는 센서에 의해 계수될 수 있으며, 낙하하는 약제의 낙하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센서에 의한 계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말단에는 낙하하는 약제가 걸리는 핀 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는 배출 통로를 통하여 낙하하며, 상기 배출 통로에는 약제의 통과여부를 감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로서, 프레임과; 진동에 의해 약제를 이동시키는 진동 유닛과; 상기 진동 유닛으로부터의 진동을 상기 프레임에 전달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진동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약제를 상기 진동 유닛에 무작위로 공급하는 약제 투입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 투입 유닛은, 수용된 약제가 배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투입본체와, 상기 투입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투입본체는, 사각 깔때기 형상의 상부 투입본체와, 상기 상부 투입본체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하부 투입본체를 포함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처방전에 따라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에 배열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 장치와; 진동에 의해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상술한 약제 배출장치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카세트 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와; 상기 호퍼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제공된다.
상기 약제 배출장치는, 복수의 상기 카세트 장치와 함께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에 의해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킴으로써 정형화된 형태를 가지는 약제뿐만 아니라 알약을 반으로 자른 반알 정제와 같이 정형화된 형태를 갖지 못하는 이형 약제까지도 한 알씩 정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형 약제란, 원형 혹은 타원형 정제 등을 반으로 자른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 반알 정제 등과 같이 정형화되지 않으며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약제로서, 종래의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게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어려운 약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정제나 캡슐과 같이 정형화된 약제를 비롯하여 정형화되지 않은 형상의 이형 약제까지도 정확하게 한 알씩 정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약제들을 정확하게 한 알씩 배출하기 위해서는, 한꺼번에 뭉쳐있는 약제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정렬할 필요가 있다. 약제들이 지나치게 근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면, 관성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약제들이 한꺼번에 배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가 약제 자동 포장기의 내부 구조물 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와 같은 상태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주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 포함되는 방진부재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 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개폐 가능한 게이트 유닛이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진동에 의해 약제를 이동시키는 진동 유닛과, 이들 프레임(10) 및 진동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프레임(10)의 위쪽에 배치되어 한 알씩 배출하고자 하는 약제를 진동 유닛에 무작위로 공급하는 약제 투입 유닛(40)과, 진동 유닛을 통하여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를 호퍼(130) 측으로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유닛(50)을 더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은,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킬 수 있도록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게이트 유닛과, 이 게이트 유닛을 구동시켜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과, 약제의 정상적인 이송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18a, 18b)와, 배출되는 약제를 안내하는 배출 통로(19)를 포함한다.
게이트 유닛은, 좌우 한 쌍의 게이트 부재들(11a, 11b)과, 이들 게이트 부재(11a, 11b)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부재(11a, 11b)가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재(12)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1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게이트 부재(11a, 11b)를 개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 유닛은, 좌우 한 쌍의 게이트 부재들(11a, 11b)에 각각 연결되는 당김줄(13)과, 구동 모터(14)에 의해 이들 당김줄(13)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회 전 부재(15)를 포함한다.
프레임(10) 상에는, 약제가 게이트 유닛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감지 센서(18a, 18b)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제가 플레이트(22)로부터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감지 센서(18a, 18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2개의 감지 센서(18a, 18b) 이외에도,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약제 호퍼 등과 같이 약제를 수용하고 있는 수단으로부터 약제 배출장치에 약제가 무작위로 공급되는 지점과, 약제 배출장치로부터 외부로 약제가 배출되는 지점에도 또 다른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약제의 이송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 센서(18a, 18b)로서는 이형 약제의 이동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포토 센서 등과 같은 어떠한 종류의 센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유닛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21)과, 이 진동 수단(21)에 부착되어 함께 진동하는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진동 수단(21)으로서는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구성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 포함되는 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22)는 진동 수단(21)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그 상부표면에 올려져 있는 약제들을 미세하게 이동시킨다. 플레이트(22)는, 상술한 프레임(10) 및 좌우 한 쌍의 게이트 부재(11a, 11b)로 둘러싸여 외부의 약제 호퍼(도시생략)로부터 한 꺼번에 공급받은 약제들을 수용하는 수용부(23)와, 게이트 부재들(11a, 11b)을 통과한 약제를 배출 통로(19)까지 이동시키는 홈부(24)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2)는 도 3에서 볼 때 배출 통로(19)가 부착된 우측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진동 유닛에 의해 플레이트(22)가 진동함에 따라 플레이트(22) 상의 약제들이 점진적으로 배출 통로(19) 쪽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홈부(24)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24a)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홈부(24)의 형태는 하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이룬다. 약제는 경사면(24a)을 통과하면서 이동 속도가 빨라져 바로 뒤에서 이송되는 또 다른 약제와의 거리가 더욱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홈부(24)에 형성된 경사면(24a)으로 인하여 배출되는 약제와 약제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약제의 배출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홈부(24)의 단면형상은 약제가 홈부(24)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영문 U자 혹은 V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22)에 복수개의 경사면(24a)이 형성될 경우, 필요에 따라 경사면(24a)의 각도는 모두 동일하게 설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진동 유닛에 의해 진동하는 플레이트(22)는 금속 소재, 비금속 소재 혹은 금속 및 비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특히 약제와 접촉하는 플레이트(22)의 상부면이 어떠한 소재로 만들어지는가에 따라 이형 약제의 이동속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설계시 요구되는 이형 약제의 이동속도에 맞춰 플레이트(22)의 소재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2)의 상부면이 금속 소재일 경우에는 마찰계수가 작아 동일한 크기의 진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빠른 약제 이동속도를 가지게 되고, 플레이트(22)의 상부면이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소재일 경우에는 마찰계수가 커 동일한 크기의 진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느린 약제 이동속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하나의 플레이트(22)를 일부는 금속 소재로, 나머지는 비금속 소재로 만들어도 좋다. 이 경우, 이형 약제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것이 바람직한 상류측(예컨대, 수용부(23) 측)은 비금속 소재를 사용하고,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것이 바람직한 하류측(예컨대, 홈부(24) 측)은 금속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플레이트(22)를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소재로 제작할 경우, 이형 약제와 접촉하는 플레이트의 상부면만을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하여도 좋다.
지지 유닛은, 진동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31)과, 진동 유닛과 바닥판(31)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 부재(33)와, 프레임(10)을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지지봉(37)을 포함한다. 바닥판(31)의 하부표면에는 필요시 본 발명의 약제 배출장치를 약제 자동 포장기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 다리(39)가 부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바닥판(31) 상에 각각 2조의 프레임(10)과 진동 유닛이 병렬로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조 혹은 3조 이상의 프레임(10)과 진동 유닛이 병렬로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진 부재(33)를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위쪽에 얹혀지는 부품의 무게에 대항하여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형태를 유 지할 수 있으며 진동이 멈춤과 동시에 플레이트(22)의 움직임이 멈출 수 있고, 진동 유닛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된다.
진동 유닛과 바닥판(31)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 부재(33)로서는 침입도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인 탄성소재,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탄성중합체 등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방진 부재(33)를 제작하는 실리콘 또는 탄성중합체의 침입도가 10보다 낮으면 진동 유닛의 진동이 바닥판(31)에 전달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침입도가 100보다 높으면 진동 유닛의 플레이트(22)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진동 유닛의 작동이 멈춘 후에도 관성에 의해 진동이 계속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방진 부재(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침입도의 실리콘(발포 실리콘) 또는 탄성중합체를 샌드위치 식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하에 위치하는 제1 방진층(33a)의 침입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의 값을 가지는 것이 좋고,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2 방진층(33b)의 침입도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값을 가지는 것이 좋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부재(33)를 샌드위치 식으로 적층 형성함으로써 침입도가 높은 제2 방진층(33b)에 의해 진동 유닛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침입도가 낮은 제1 방진층(33a)에 의해 방진 부재(33)의 위쪽에 설치되는 플레이트(22) 등의 자세를 고정시키고 진동 유닛의 작동이 멈 춘 직후에 관성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방진 부재(33)를 샌드위치 식으로 적층 형성할 경우, 제1 방진층(33a)과 제2 방진층(33b)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진동 유닛과 바닥판(31)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 부재(33)로서는 경도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인 탄성소재,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탄성중합체 등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방진 부재(33)를 제작하는 실리콘 또는 탄성중합체의 경도가 1보다 낮으면 진동 유닛의 진동이 바닥판(31)에 전달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경도가 9보다 높으면 진동 유닛의 플레이트(22)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진동 유닛의 작동이 멈춘 후에도 관성에 의해 진동이 계속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방진 부재(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경도의 실리콘(발포 실리콘) 또는 탄성중합체를 샌드위치 식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하에 위치하는 제1 방진층(33a)의 경도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2 방진층(33b)의 경도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부재(33)를 샌드위치 식으로 적층 형성함으로써 경도가 높은 제2 방진층(33b)에 의해 진동 유닛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경도가 낮은 제1 방진층(33a)에 의해 방진 부재(33)의 위쪽에 설치되는 플레이트(22) 등의 자세를 고정시키고 진동 유닛의 작동이 멈춘 직후에 관성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방진 부재(33)를 샌드위치 식으로 적층 형성할 경우, 제1 방진층(33a)과 제2 방진층(33b)은 서로 다른 소 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방진 부재(33)가 진동 유닛과 바닥판(31)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약제 배출장치가 약제 자동 포장기 내부에 설치될 경우 바닥판(31)과 약제 자동 포장기의 내부 구조물(101) 사이에 방진 부재가 위치되어도 좋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 포함되는 약제 투입 유닛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이 약제 투입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약제 투입 유닛(40)은, 약제 자동 포장기 측에 슬라이드 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약제 투입 본체(41)와, 이 약제 투입 본체(41)에 착탈 가능하게 얹혀지는 컵 부재(43)를 포함한다.
약제 투입 본체(41)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부재(43)를 착탈시킬 수 있는 개방 위치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부재(43)에 수용된 약제를 진동 유닛 쪽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컵 부재(43)의 바닥은 선회축(45)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개폐 도어(4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개폐 도어(44)는 선회축(45) 및 걸림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된다. 개폐 도어(44)는 약제 투입 본체(41)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컵 부재(43)의 바닥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지만, 약제 투입 본체(41)를 이동시켜 공급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약제 자동 포장기 측에 돌출 설치되는 돌기(49)에 걸림부재(46)가 맞닿아 선회축(45)을 회전시킴으로써 개폐 도어(44)가 개방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부재(43)는 착탈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컵 부재(43)를 이탈시켜 포장할 약제를 컵 부재(43) 내에 수용시킨 후 다시 약제 투입 본체(41) 측에 장착하여 간단하게 포장할 약제를 공급할 수 있다.
컵 부재(43)에 수용된 약제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도어(44)가 개방됨과 동시에 아래쪽에 배치된 플레이트(22)의 수용부(23)에 무작위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23)에 공급된 약제들은 진동에 의해 플레이트(22)의 홈부(24) 측으로 이동하여 한 알씩 배출된다. 무작위로 수용부(23)에 공급된 약제들은 게이트 유닛에 의해 일렬로 홈부(24)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홈부(24) 및 배출 통로(19)를 통하여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는 약제 전달 유닛(50)에 의해 호퍼(130) 측으로 전달되어 포장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약제 전달 유닛(50)은, 전후방(도 3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 호퍼(51)와, 이 보조 호퍼(51)를 구동하는 직선이동 유닛과, 포장 작업이 완료된 후 남는 약제들을 회수하는 회수통(55)을 포함한다.
보조 호퍼(51)는, 약제 포장시 약제 배출장치로부터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가 호퍼(130)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후진 위치와, 포장 작업이 완료된 후 남는 약제들을 회수하도록 약제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약제가 회수통(55)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전진 위치(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와의 사이에서 직선이동된 다.
직선이동 유닛은, 모터(53)와, 이 모터(53)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 봉(54)을 포함하며, 스크루 봉(54)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 호퍼(51)가 전후방으로 직선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회수통(55)은 상술한 컵 부재(43)와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는 3개의 센서를 활용하여 이형 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감지 센서(18a, 18b)와, 카운터 센서(18c)를 이용하여 이형 약제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감지 센서(18a)는 이형 약제가 게이트 부재(11a, 11b)를 통과하는 것을 감시하고, 제2 감지 센서(18b)는 이형 약제가 플레이트(22)의 말단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감시하고, 카운터 센서(18c)는 플레이트(22)의 말단에서 배출되는 이형 약제의 개수를 계수한다.
도 12에서 볼 때, 플레이트(22)가 진동함에 따라 이형 약제는 좌에서 우로 이동한다. 플레이트(22)의 수용부(23)에는 이형 약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약제가 배출될 필요가 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수단(21)에 의해 플레이트(22)가 진동하는 동시에 게이트 부재(11a, 11b)가 개방됨으로써 이형 약제의 배출 과정이 시작된다.
도 12의 S1 구간에서, 개방된 게이트 부재(11a, 11b) 사이의 틈을 통하여 이형 약제가 배출되는 것이 제1 감지 센서(18a)에 의해 감지되면, 게이트 부재(11a, 11b)의 개방동작이 중단되어 게이트 부재(11a, 11b) 사이의 틈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게이트 부재(11a, 11b) 사이의 틈을 통하여 최초의 이형 약제가 배출된 것이 제1 감지 센서(18a)에 의해 감지되면, 진동 수단(21)의 진동이 강해져 플레이트(22) 상의 S2 구간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의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플레이트(22)의 진동이 강해지는 것과 플레이트(22) 상에 형성된 홈부(24)로 인해 S2 구간에서 최초의 이형 약제가 이동하는 속도도 더욱 빨라지며, 그에 따라 최초의 이형 약제와 그 다음 게이트 부재(11a, 11b) 사이의 틈을 통과한 이형 약제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최초의 이형 약제가 플레이트(22) 상에서 이동하는 것이 제2 감지 센서(18b)에 의해 감지되면, 진동 수단(21)의 진동이 더욱 강해져 플레이트(22) 상에서 이동하는 이형 약제의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되고 진동 수단(21)의 진동은 이 상태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이형 약제는 S3 구간을 통과하여 플레이트(22)의 말단에서 낙하한다. 이때 카운터 센서(18c)는 이형 약제의 배출, 즉 낙하를 감지하는 동시에 배출되는 이형 약제의 개수를 계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약제 자동 포장기와는 별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약제 배출장치는, 약제 자동 포장기 내의 카세트 장치에 수용된 약제가 배출되어 포장되는 포장 주기에 맞춰 약제를 포장장치 쪽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는 4개의 약제 배출장치가 2개씩 짝을 이루어 약제 자동 포장기의 내부 구조물(101)의 좌우측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복수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약제를 동시에 배출하여 포장하기 위해 복수개의 약제 배출장치가 하나의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서 사용될 경우, 이들 약제 배출장치는 공동의 호퍼(도시생략)에 이형 약제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약제 배출장치가 하나의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플레이트(22)를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21)은 하나만이 구비되어 복수의 플레이트(22)를 동시에 진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만, 복수의 플레이트(22)가 하나의 진동 수단(21)에 의해 진동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도, 게이트 유닛에 의한 약제의 배출은 각각의 약제 배출장치마다 별도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이형 약제뿐만 아니라 원형 혹은 타원형 정제나 캡슐 등의 일반 약제를 배출시키는 용도로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 른 약제 배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주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게이트 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 포함된 약제 투입 유닛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약제 전달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약제 전달 유닛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와 마찬가지로, 개폐 가능한 게이트 유닛이 설치되는 프레임(60)과, 이 프레임(6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진동에 의해 약제를 이동시키는 진동 유닛과, 이들 프레임(60) 및 진동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과, 프레임(60)의 위쪽에 배치되어 한 알씩 배출하고자 하는 약제를 진동 유닛에 무작위로 공급하는 약제 투입 유닛(70)과, 진동 유닛을 통하여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를 호퍼(130) 측으로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유닛(80)을 포함한다.
다만, 제1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2개의 약제 배출장치가 쌍을 이루어 카세트 장치의 아래쪽에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각각 별개의 약제 배출장치가 카세트 장치와 함께 약제 자동 포장기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60)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 장치와 마찬가지로,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킬 수 있도록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게이트 유닛과, 이 게이트 유닛을 구동시켜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과, 약제의 정상적인 이송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와, 배출되는 약제를 안내하는 배출 통로(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당김줄에 의해 게이트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게이트 부재를 개폐시켰지만, 본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캠 방식을 활용하여 게이트 부재를 개폐시킨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게이트 유닛은, 좌우 한 쌍의 게이트 부재(61a, 61b)들과, 이들 게이트 부재(61a, 61b)가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재(도시생략)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제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좌우의 게이트 부재(61a, 61b)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도 좋고, 각각의 게이트 부재(61a, 61b)의 회전축 주위에 별개로 설치되어도 좋다.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게이트 부재(61a, 61b)를 개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 유닛은, 구동 모터(14)에 의해 회전하는 캠 부재(16)와, 이 캠 부재(16)에 의해 직선운동하도록 안내되는 대략 U자 혹은 ㄷ자 형태의 구동부재(17)와, 이 구동부재(17)의 말단에 좌우의 게이트 부재(61a, 61b)의 구름면(61aa, 61ba)과 맞닿도록 설치되는 롤러(18)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14)의 회전에 의해 캠 부재(16)가 회전하면, 구동부재(17)가 직선운동한다. 이때 구동부재(17)의 롤러(18)가 게이트 부재(61a, 61b)의 구름면(61aa, 61ba)을 가압하여 구동부재(17)를 선회시킴으로써 게이트 부재(61a, 61b) 가 개폐될 수 있다.
구동부재(17)는, 항상 캠 부재(16)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캠 부재(16) 쪽으로 가압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60) 상에는, 약제가 게이트 유닛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의 배출 통로(19)는 제1 실시형태의 배출 통로(19)와 그 형태 측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플레이트로부터 배출, 즉 낙하하는 이형 약제가 약제 전달 유닛(80)까지 이송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는 기능 측면에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유닛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와 마찬가지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21)과, 이 진동 수단(21)에 부착되어 함께 진동하는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수단(21) 및 플레이트(22)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편의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유닛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와 마찬가지로, 진동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31)과, 진동 유닛과 바닥판(31)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 부재(33)를 포함한다. 다만, 복수의 지지봉에 의해 프레임을 지지하고 있는 제1 실시형태와는 달리,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제 배출장치의 내부구조가 노출되지 않도록 약제 배출장치를 감싸는 케이싱(35)이 제 공될 수 있으며, 이 케이싱(35)의 내부에 바닥판(31)과 프레임(10) 등이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13에는 케이싱(35)을 구성하는 측판이 제거되어 약제 배출장치의 내부구조가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진 부재(33)의 소재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방진 부재(33)가 진동 유닛과 바닥판(31)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2개의 방진 부재가 바닥판(31)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열되고 이들 2개의 방진 부재에 진동 수단(21)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투입 유닛(7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가 수용되는 원통(도 13 참조) 또는 깔때기(도 15 및 도 16 참조) 형상의 상부 투입본체(71)와, 이 상부 투입본체(71)의 아래쪽에 위치되며 약제가 배출되는 개구(73a)가 형성된 하부 투입본체(73)와, 이 하부 투입본체(73)의 내부에서 개구(73a)를 개폐하도록 모터(7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개폐부재(75)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개폐부재(75)는 상부표면이 비스듬히 경사져 있으며, 그에 따라 회전 개폐부재(75)가 회전하면 개구(73a)가 반복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개폐부재(75)에 의해 상부 투입본체(71)와 하부 투입본체(73)에 수용된 약제가 서로 뭉쳐 배출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에는 상부 투입본체(71)와 하부 투입본체(73)가 별개로 제작된 후 조립되는 것처럼 예시하고 있지만, 상부 투입본체(71)와 하부 투입본체(73)는 하나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74)의 회전축(74a)은 회전 개폐부재(75)의 회전축(75a)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개폐부재(75)의 착탈이 가능하면, 청소나 유지보수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부 투입본체(71)에 투입되는 약제는 회전 개폐부재(75)에 의해 개구(73a)가 개방될 때마다 플레이트(22)의 수용부(23)에 무작위로 공급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23)에 공급된 약제들은 진동에 의해 플레이트(22)의 홈부(24) 측으로 이동하여 한 알씩 배출된다. 이때 무작위로 수용부(23)에 공급된 약제들은 게이트 유닛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어 홈부(24)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홈부(24) 및 배출 통로(19)를 통하여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는 약제 전달 유닛(80)에 의해 호퍼(130) 측으로 전달되어 포장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약제 전달 유닛(80)은, 프레임(60)에 설치된 배출 통로(19)의 하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 배출부재(81)와, 이 선회 배출부재(8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약제를 호퍼(130)에 전달하는 연결 통로(83)와, 선회 배출부재(8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호퍼(130)에 전달되지 않는 약제를 도시하지 않은 회수통으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 통로(85)를 포함한다.
선회 배출부재(81)는 모터(82)(도 19 참조)에 의해 일정한 각도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선회 배출부재(81)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전달 통로(81a)가 형성되어, 선회 배출부재(81)의 선회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 통로(19)를 통해 배출되는 약제를 연결 통로(83) 혹은 회수 통로(85)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약제 전달 유닛(80)의 변형예가 도시된 도 1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선회 배출부재(86)가 개시된다.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선회 배출부재(81)가 내부에 전달 통로(8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비해, 도 18에 도시된 선회 배출부재(86)는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용부(86a)를 가진다.
수용부(86a)에는 플레이트(22)로부터 낙하하는 약제가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사전에 설정된 개수의 약제가 낙하하면 선회 배출부재(86)는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선회하면서 수용부(86a)에 수용된 약제를 회수 통로(85)(시계방향 회전시) 혹은 연결 통로(83)(반시계방향 회전시)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플레이트(22)로부터 낙하하는 약제의 개수는 배출 통로(19)에 설치되는 센서에 의해 계수될 수 있다. 도13,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센서는 발광부(19a) 및 수광부(19b)를 포함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배출 통로(19)에서의 센서에 의한 계수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낙하하는 약제의 낙하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22)의 말단에는 핀 부재(26)가 돌출 형성된다. 플레이트의 홈부(24) 말단에서 낙하하는 약제는 핀 부재(26)에 걸려 이 핀 부재의 좌측 혹은 우측으로 둥글게 타고넘어 낙하하기 때문에 낙하속도가 순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배출 통로(19)에 설치된 센서에 의한 감지를 더욱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19a) 및 수광부(19b)는 각각 복수개가 일렬로 배 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센서가 각각 10개씩의 발광부(19a) 및 수광부(19b)를 포함한다면, 거의 비슷한 시기에 2개의 약제가 플레이트(22)로부터 낙하하는 경우에도 약제의 개수를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2)로부터 낙하하는 약제는 플레이트 말단에 설치된 핀 부재(26)에 걸려 이 핀 부재(26)의 좌측 혹은 우측으로 둥글게 타고넘어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거의 동시에 2개의 약제가 낙하할 경우에는 서로간의 간섭에 의해 핀 부재(26)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하나씩의 약제가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약제가 거의 동시에 낙하할 경우, 발광부(19a)와 수광부(19b)가 각각 하나씩만 설치되어 있다면 약제의 낙하를 감지할 수는 있지만 2개가 동시에 낙하한 것인지 하나의 약제가 낙하한 것이지를 구분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부(19a) 및 복수의 수광부(19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좌측의 약제는 가장 좌측으로부터 두번째 내지 네번째 발광부(19a) 및 수광부(19b)에 의해 약제의 낙하가 감지되고 우측의 약제는 가장 좌측으로부터 일곱번째 내지 아홉번째 발광부(19a) 및 수광부(19b)에 의해 약제의 낙하가 감지될 수 있다. 이때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발광부(19a) 및 수광부(19b)에서는 약제를 감지하지 못하였으므로 낙하한 약제는 총 2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발광부(19a) 및 수광부(19b)에 의해 약제의 낙하가 감지될 때, 중간에 낙하를 감지하지 못한 발광부(19a) 및 수광부(19b)가 존재한다면 2개의 약제가 거의 동시에 낙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 배출장치는, 플레이트(22)의 위쪽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도시 생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22)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지 센서가 플레이트(22)의 내부에 일체로 내장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약제 자동 포장기 내의 카세트 장치(110)에 수용된 약제가 배출되어 포장되는 포장 주기에 맞춰 약제를 포장장치 쪽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약제 배출장치의 설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설계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는, 이형 약제뿐만 아니라 원형 혹은 타원형 정제나 캡슐 등의 일반 약제를 배출시키는 용도로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플레이트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르면, 플레이트가 2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플레이트를 별개의 진동 수단(21)에 의해 서로 상이한 진동수로 진동시킨다는 점에서 상술한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밖에는 상술한 제2 실시형태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플레이트는, 제2 실시형 태에서 수용부(23)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플레이트(63)와, 제2 실시형태에서 홈부(24)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플레이트(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63)와 제2 플레이트(64)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 제1 홈(63a)과 제2 홈(64a)이 형성된다. 제1 홈(63a)과 제2 홈(64a)은 일직선 상으로 정렬된다.
제1 플레이트(63)와 제2 플레이트(6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개의 진동 수단(21)에 의해 각각 진동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제1 플레이트(63)와 제2 플레이트(64)의 진동 속도는 서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제가 투입되는 쪽의 제1 플레이트(63)보다 약제가 배출되는 쪽의 제2 플레이트(64)가 더욱 빠르게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타원형이나 원통형의 약제들이 홈 내에서 구르는 현상을 방지하여 약제가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홈(64a)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64b) 및 하나 이상의 오목부(64c)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홈(64a)에 돌출부(64b)만을 형성하거나 오목부(64c)만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낙하하는 약제의 낙하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소시켜 센서에 의한 약제의 계수를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64)의 말단에는 핀 부재(66)가 돌출 형성된다. 플레이트의 제2 홈(64a) 말단에서 낙하하는 약제는 핀 부재(66)에 걸려 이 핀 부재의 좌측 혹은 우측으로 둥글게 타고넘어 낙하하기 때문에 낙하속도가 순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배출 통로(19)에 설치된 센서에 의한 감지를 더욱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가 약제 자동 포장기의 내부 구조물 상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 포함되는 방진부재의 일부 단면도,
도 8은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 포함되는 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 포함되는 약제 투입 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상기 약제 투입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2는 센서를 활용하여 이형 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게이트 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에 포함된 약제 투입 유닛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약제 전달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약제 전달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의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를 가지는 배출 통로의 평면도, 그리고
도 22는 배출 통로에 있어서의 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0 : 프레임 11a, 11b, 61a, 61b : 게이트 부재
12 : 탄성 부재 13 : 당김줄
14 : 구동 모터 15 : 회전 부재
16 : 캠 부재 17 : 구동 부재
18 : 롤러 19 : 배출 통로
19a : 발광부 19b : 수광부
21 : 진동 수단 22 : 플레이트
23 : 수용부 24 : 홈부
24a : 경사면 26, 66 : 핀 부재
31 : 바닥판 33 : 방진 부재
33a : 제1 방진층 33b : 제2 방진층
35 : 케이싱 37 : 지지봉
39 : 지지 다리 40, 70 : 약제 투입 유닛
41 : 약제 투입 본체 43 : 컵 부재
44 : 개폐 도어 45 : 선회축
46 : 걸림부재 49 : 돌기
50, 80 : 약제 전달 유닛 51 : 보조 호퍼
53, 65 : 모터 54 : 스크루 봉
55, 63 : 회수통 63 : 제1 플레이트
63a : 제1 홈 64 : 제2 플레이트
64a : 제2 홈 64b : 돌출부
64c : 오목부 71 : 상부 투입본체
73 : 하부 투입본체 73a : 개구
74 : 모터 75 : 회전 개폐부재
81, 86 : 선회 배출부재 81a : 전달 통로
82 : 모터 83 : 연결 통로
85 : 회수 통로 86a : 수용부
100 : 본체 110 : 카세트 장치

Claims (23)

  1.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약제 배출장치로서,
    프레임과;
    진동에 의해 약제를 이동시키는 진동 유닛과;
    상기 진동 유닛으로부터의 진동을 상기 프레임에 전달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진동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 유닛을 통해 한 알씩 배출되는 약제를 상기 약제 배출장치의 외부로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 전달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의 배출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선회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전달 유닛은,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약제를 호퍼에 전달하는 연결 통로와,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아래쪽에서 상기 연결 통로와 병렬 배치되어 상기 호퍼에 전달되지 않는 약제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선회 배출부재를 상하로 관통하는 전달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선회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약제를 상기 연결 통로 혹은 상기 회수 통로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약제를 상기 진동 유닛에 무작위로 공급하는 약제 투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약제를 한 알씩 통과시킬 수 있도록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게이트 유닛과, 상기 게이트 유닛을 구동시켜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유닛은 평상시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게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게이트 부재를 캠 부재에 의해 구동시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약제의 정상적인 이송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 지 센서와, 배출되는 약제를 안내하는 배출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에 의해 직선운동하도록 안내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말단에 상기 게이트 부재의 구름면과 맞닿도록 각각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캠 부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캠 부재 쪽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과, 상기 진동 수단에 부착되어 함께 진동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지 센서가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일체로 내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의해 이루어지 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별개의 상기 진동 수단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별개의 상기 진동 수단에 의해 서로 상이한 속도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진동에 의한 약제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이동하는 약제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약제 투입 유닛은, 수용된 약제가 배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투입본체와, 상기 투입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개폐부재는 상부표면이 비스듬히 경사져 있어 상기 회전 개폐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개구가 반복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개폐부재의 회전축과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전달 유닛은,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약제를 호퍼에 전달하는 연결 통로와, 상기 선회 배출부재의 아래쪽에서 상기 연결 통로와 병렬 배치되어 상기 호퍼에 전달되지 않는 약제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 배출부재는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배출되는 약제는 상기 수용부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선회 배출부재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상기 회수 통로 혹은 상기 연결 통로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낙하하는 약제의 개수는 센서에 의해 계수될 수 있으며, 낙하하는 약제의 낙하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센서에 의한 계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말단에는 낙하하는 약제가 걸리는 핀 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1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는 배출 통로를 통하여 낙하하며, 상기 배출 통로에는 약제의 통과여부를 감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배출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처방전에 따라 다양한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에 배열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 장치와;
    진동에 의해 약제를 한 알씩 배출시킬 수 있는, 청구항 1, 3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 배출장치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카세트 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와;
    상기 호퍼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약제 배출장치는, 복수의 상기 카세트 장치와 함께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0090099186A 2008-11-13 2009-10-19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55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16,377 US8185236B2 (en) 2008-11-13 2009-11-11 Medicine discharge device of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JP2009260277A JP4954266B2 (ja) 2008-11-13 2009-11-13 薬剤自動包装機の薬剤排出装置
EP09175960A EP2186731B1 (en) 2008-11-13 2009-11-13 Medicine discharge device of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8172 2008-11-26
KR1020080118172 2008-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679A KR20100059679A (ko) 2010-06-04
KR101559311B1 true KR101559311B1 (ko) 2015-10-13

Family

ID=423609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97A KR101559310B1 (ko) 2008-11-13 2009-03-03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0090099186A KR101559311B1 (ko) 2008-11-13 2009-10-19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97A KR101559310B1 (ko) 2008-11-13 2009-03-03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59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495B1 (ko) * 2011-01-14 2013-11-28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WO2014065522A1 (ko) * 2012-10-24 2014-05-01 (주)제이브이엠 액상 약제 보관 유닛, 액상 약제 정량 분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 약제 정량 분배 장치
KR102046780B1 (ko) * 2013-02-07 2019-11-20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1356965B1 (ko) * 2013-08-19 2014-01-29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2114901B1 (ko) * 2013-10-02 2020-05-25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장치
KR101616106B1 (ko) * 2014-07-04 2016-04-27 (주)인포피아 약제 카트리지
KR101896910B1 (ko) * 2018-05-09 2018-09-10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982600B1 (ko) * 2018-08-16 2019-05-27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CN109775043B (zh) * 2019-01-24 2024-05-07 北京鸿庄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配方机
KR102051801B1 (ko) * 2019-05-21 2019-12-04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104775B1 (ko) * 2019-11-13 2020-04-27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2357494B1 (ko) * 2019-12-12 2022-02-04 김미정 약제 배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878Y1 (ko) 2000-10-05 2001-03-15 백근철 알약 정량공급장치
JP2002046842A (ja) * 2000-08-02 2002-02-12 Taisei Kiko Kk 部品供給装置
JP2006109855A (ja) 2004-10-12 2006-04-27 Tosho Inc 振動排出カセット及び薬剤払出装置
KR100817704B1 (ko) 2007-05-16 2008-03-27 김호연 정제자동분배기용 특수정제 투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6749B2 (ja) 1999-09-28 2009-10-21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散薬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6842A (ja) * 2000-08-02 2002-02-12 Taisei Kiko Kk 部品供給装置
KR200216878Y1 (ko) 2000-10-05 2001-03-15 백근철 알약 정량공급장치
JP2006109855A (ja) 2004-10-12 2006-04-27 Tosho Inc 振動排出カセット及び薬剤払出装置
KR100817704B1 (ko) 2007-05-16 2008-03-27 김호연 정제자동분배기용 특수정제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679A (ko) 2010-06-04
KR20100059644A (ko) 2010-06-04
KR101559310B1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311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4954266B2 (ja) 薬剤自動包装機の薬剤排出装置
US20140231446A1 (en) Medicine dispenser, method of discharging medicin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the dispenser
TWI430921B (zh) Pharmaceutical packaging device
KR101261265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4544929B2 (ja) 薬剤供給装置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JP2004010094A (ja) 薬剤ケース及びこの薬剤ケースを備えた薬剤包装装置
KR20130108747A (ko) 약제 절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10134560A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0996580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198260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89691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6997447B2 (ja) 固形薬剤供給装置及び固形薬剤払出し装置
KR102051801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862544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0996579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20100053957A (ko) 방진 부재를 갖는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H09323704A (ja) 薬剤包装機
KR10210477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2046780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20150042397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50030148A (ko) 약포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