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106B1 - 약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약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106B1
KR101616106B1 KR1020140083891A KR20140083891A KR101616106B1 KR 101616106 B1 KR101616106 B1 KR 101616106B1 KR 1020140083891 A KR1020140083891 A KR 1020140083891A KR 20140083891 A KR20140083891 A KR 20140083891A KR 101616106 B1 KR101616106 B1 KR 10161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discharge passage
medicine
discharg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823A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4008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1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8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vibrato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6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vibrating or kn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카트리지는 케이스와, 배출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내부에 복수의 약제들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수납 공간으로부터 약제를 하나씩 공급받아서 배출하도록 수납 공간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 통로가 형성된다. 배출 유닛은 진동에 의해 배출 통로를 좁히는 위치와 넓히는 위치를 왕복 이동함에 따라 배출 통로에서 약제를 점진적으로 낙하 이송시켜 자동 배출시키는 가동 부재, 및 가동 부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기구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약제의 크기에 맞게 진동 기구를 제어해서 약제를 배출시킨다.

Description

약제 카트리지{Drug cartridge}
본 발명은 약제 포장장치 등에서 약제를 다수 수납해서 처방신호에 따라 자동 배출하는 약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약조제자의 수작업에 의한 약제 포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약제 포장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약제 포장장치는 다수의 정제 카트리지가 다단으로 배열되어 상부에 배치되고, 정제 카트리지들에는 정제들이 종류별로 수납된다. 정제 카트리지들은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약조제자의 컴퓨터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정제를 배출시키게 되며, 정제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된 정제는 호퍼에 집결되어 약제 포장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포장부에서 포장된다.
정제 카트리지는 정제들이 수납되는 케이스의 하측에 배출홀을 형성하고, 배출홀 상부에 외주를 따라 다수의 가이드치와 정제 삽입홈을 갖는 원통 형상의 로터를 위치시켜 배출홀 하부의 회전체와 연결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회전체는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로터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정제 카트리지에서 케이스 내로 다량의 정제를 수납하게 되면, 케이스 하부에 설치된 로터의 가이드치들 사이의 정제 삽입홈으로 정제가 1알 저장되고, 이 상태에서 로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다수의 정제 삽입홈이 순차적으로 그 하측에 마련된 배출홀과 일직선상이 되도록 위치되어 정제 삽입홈 내의 정제가 배출된다. 이때, 케이스의 배출홀 상부 위치에는 정제 스토퍼(stopper)가 마련되어, 배출홀과 일직선상으로 어느 하나의 정제 삽입홈이 위치하게 되면, 정제 스토퍼는 해당 정제 삽입홈의 상부를 막아 타 정제가 해당 정제 삽입홈을 통해 투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막아 주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560호(2008.02.22 공고)가 있다.
한편, 신약 개발 등으로 인해 기존의 일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정제를 조제하거나, 정제를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 조제하는 등과 같이, 특수 형상의 정제를 조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정제 카트리지의 로터는 특수 형상의 정제에 대응되는 정제 삽입홈의 높이와 폭을 갖는 로터로 교체될 필요가 있으므로, 정제의 형상이 변경될 때마다 약조제가 로터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일반 형상의 약제뿐 아니라 특수 형상의 약제를 수납하더라도 편리하게 자동 배출시킬 수 있는 약제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카트리지는 케이스와, 배출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내부에 복수의 약제들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수납 공간으로부터 약제를 하나씩 공급받아서 배출하도록 수납 공간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 통로가 형성된다. 배출 유닛은 진동에 의해 배출 통로를 좁히는 위치와 넓히는 위치를 왕복 이동함에 따라 배출 통로에서 약제를 점진적으로 낙하 이송시켜 자동 배출시키는 가동 부재, 및 가동 부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기구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약제의 크기에 맞게 진동 기구를 제어해서 약제를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형상의 약제뿐 아니라 특수 형상의 약제를 수납하더라도, 약제의 크기에 맞게 약제의 배출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특수 형상의 정제에 맞게 정제 카트리지의 로터를 교체해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카트리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배출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2에 있어서, 약제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케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배출 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배출 유닛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카트리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배출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약제 카트리지(100)는 케이스(110)와, 배출 유닛(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복수의 약제들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약제는 원형 정제, 타원형 정제, 장방형 정제 등과 같은 일반 형상의 약제나,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진 형태의 정제, 캡슐 포장된 약제 등일 수 있다. 케이스(110)는 자동 약제 공급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약제를 공급받아 수납하거나, 약조제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동으로 약제를 공급받아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가 개구되어 수납 공간(111)과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공간(111)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부 개구는 대략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케이스(110)의 상부 개구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커버는 상하로 피벗 동작하면서 케이스(11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도록 케이스(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10)에는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약제를 하나씩 공급받아서 배출하도록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 통로(112)가 형성된다. 배출 통로(112)는 내부로 공급되는 약제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안내한다. 배출 통로(112)는 원형 단면을 갖고 일정한 지름으로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배출 통로(112)는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 통로(112)는 하측으로 곧바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측으로 경사져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배출 유닛(120)은 배출 통로(112)의 입구로부터 공급된 약제를 진동에 의해 점진적으로 낙하 이송시켜 배출 통로(112)의 출구를 통해 자동 배출시킨다. 배출 유닛(120)은 가동 부재(121) 및 진동 기구(122)를 구비한다.
가동 부재(121)는 진동에 의해 배출 통로(112)를 좁히는 위치와 넓히는 위치를 왕복 이동함에 따라 배출 통로(112)에서 약제를 점진적으로 낙하 이송시켜 자동 배출시킨다. 가동 부재(121)는 주기적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가동 부재(121)는 비주기적으로 왕복 이동할 수도 있다. 가동 부재(121)는 진동시 배출 통로(112)의 측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출입될 수 있다. 가동 부재(121)는 배출 통로(112)로 인입되면 배출 통로(112)를 좁히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가동 부재(121)는 배출 통로(112)로부터 인출되면 배출 통로(112)를 넓히도록 위치된다.
가동 부재(121)는 배출 통로(112)로 인입되어 약제와 접촉될 때 약제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 재질로는 실리콘, 고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가동 부재(121)는 경성 재질의 판재에 스펀지가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가동 부재(121)는 반원형 단면을 갖고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동 부재(121)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이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동 부재(121)는 오목한 부위가 약제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동 부재(121)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 부재(121)는 하단이 상단보다 배출 통로(112)에 가깝게 기울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진동 기구(122)는 가동 부재(121)에 진동을 가한다. 일 예로, 진동 기구(122)는 탄성부재(123), 및 구동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23)는 가동 부재(121)에 탄성력을 가해 가동 부재(121)를 배출 통로(112)를 좁히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시킨다. 탄성부재(123)는 압축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기(124)는 가동 부재(121)에 힘을 가해 가동 부재(121)를 배출 통로(112)를 넓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구동기(124)는 가동 부재(121)에 주기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구동기(124)는 솔레노이드식(solenoid type) 구동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레노이드식 구동기는 하우징(124a)과, 하우징(124a)의 한쪽 개구를 통해 인출입되고 자성을 갖는 가동 로드(124b), 및 하우징(124a)의 내부에서 가동 로드(124b)를 둘러싸는 코일(124c)을 구비한다. 솔레노이드식 구동기는 코일(124c)에 전류가 공급되면 가동 로드(124b)가 코일(124c) 속으로 당겨져 하우징(124a)으로 인입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로드(124b)를 가동 부재(121)에 고정한 상태에서 코일(124c)에 주기적으로 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가동 부재(121)를 배출 통로(112)를 넓히는 위치로 주기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기(124)는 압전(piezo-electric) 구동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기(124)는 가동 부재(121)에 비주적으로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약제 크기에 맞게 진동 기구(122)를 제어해서 약제를 배출한다. 제어부(130)는 약조제자로부터 입력부(131)를 통해 약제의 크기에 맞게 설정된 진동 폭과 진동 주파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된 진동 폭과 진동 주파수에 따라 진동 기구(122)를 제어해서 가동 부재(121)의 진동 폭과 진동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하면, 약제의 폭이 작을수록 가동 부재(121)는 약제와 적정한 양으로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 배출 통로(112)로 인입되는 거리가 길어져야 한다. 이 경우, 가동 부재(121)의 진동 폭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약제의 폭이 커질수록 가동 부재(121)는 약제와 적정한 양으로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 배출 통로(112)로 인입되는 거리가 짧아져야 한다. 이 경우, 가동 부재(121)의 진동 폭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약제의 길이가 짧을수록 가동 부재(121)는 약제와 적정한 횟수로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 배출 통로(112)로 시간당 인입되는 횟수가 증가해야 한다. 이 경우, 가동 부재(121)의 진동 주파수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약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가동 부재(121)는 약제와 적정한 횟수로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 배출 통로(112)로 시간당 인입되는 횟수가 감소해야 한다. 이 경우, 가동 부재(121)의 진동 주파수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약제 카트리지(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제의 크기에 맞게 가동 부재(121)의 진동 폭과 진동 주파수가 설정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수납 공간(111)에 약제들이 수납되면, 약제들 중 일부가 배출 통로(112)의 입구를 통해 공급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24c)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 부재(121)는 탄성부재(123)에 의해 배출 통로(112)로 인입되어 배출 통로(112)를 좁히도록 위치되어 있으므로, 배출 통로(112)로 공급된 약제는 가동 부재(121)의 간섭을 받아 더 이상 낙하하지 않도록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부재(121)가 진동 기구(122)에 의해 진동한다. 그러면, 가동 부재(121)는 배출 통로(112)에 대해 인출입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즉, 코일(124c)에 전류가 공급되면 가동 로드(124c)가 코일(124c) 속으로 당겨지며, 그에 따라 가동 부재(121)가 배출 통로(112)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21)는 배출 통로(112)를 넓히도록 위치되므로, 약제와 간섭된 상태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약제가 낙하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후, 코일(124c)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면, 가동 부재(121)는 탄성부재(123)에 의해 배출 통로(112)로 인입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21)는 배출 통로(112)를 좁히도록 위치되므로, 약제와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약제가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 부재(121)가 반복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배출 통로(112)에서 약제를 점진적으로 낙하 이송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통로(112)의 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 통로(112)로 뒤이어 공급되는 약제도 전술한 과정에 의해 배출 통로(112)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 배출 통로(112)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약제 포장장치로 공급되어 포장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 카트리지(100)에 의하면, 일반 형상의 약제뿐 아니라 특수 형상의 약제를 수납하더라도, 약제의 크기에 맞게 약제의 배출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특수 형상의 정제에 맞게 정제 카트리지의 로터를 교체해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배출 통로(112)의 출구 쪽에는 약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약제 배출 감지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약제 배출 감지부(140)는 광을 송신하는 발광부(141)와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41)와 수광부(142)는 배출 통로(112)의 출구를 사이에 두고 발광 부위와 수광 부위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약제 배출 감지부(140)는 발광부(141)로부터 송신된 광을 수광부(142)가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약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는 외측 케이스부(213), 및 내측 케이스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케이스부(213)는 내부에 내측 케이스부(214)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 홈(213a)을 갖는다. 내측 케이스부(214)에는 전술한 수납 공간(111)과 배출 통로(112)가 형성된다. 내측 케이스부(214)는 외측 케이스부(213)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내측 케이스부(214)는 교체가 가능하다.
내측 케이스부(214)는 배출 통로(112)의 지름에 따라 몇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 통로(112)의 지름이 각각 대(24㎜), 중(12㎜), 소(6㎜)인 내측 케이스(214)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납될 약제의 크기에 따라 약제와의 여유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배출 통로(112)를 갖는 내측 케이스(214)를 선택해서 외측 케이스부(213)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배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기구(222)는 정역 회전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는 구동 축(223)이 가동 부재(221)의 상측에 고정되어 정역 회전함에 따라 가동 부재(221)를 진동시킬 수 있다. 모터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정역 회전함에 따라 가동 부재(221)를 진동시킬 수 있다.
가동 부재(221)는 전술한 예의 가동 부재(121)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동 부재(221)는 모터의 구동 축(223)이 회전하여 하측 부위가 배출 통로(112)로 인입되면 배출 통로(112)를 좁히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가동 부재(221)는 모터의 구동 축(223)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측 부위가 배출 통로(112)로부터 인출되면 배출 통로(112)를 넓히도록 위치된다. 가동 부재(221)는 전술한 과정들을 반복함에 따라 배출 통로(112)에서 약제를 점진적으로 낙하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케이스 111..수납 공간
112..배출 통로 120.배출 유닛
121,221..가동 부재 122,222..진동 기구
130..제어부 140.. 약제 배출 감지부
213..외측 케이스부 214..내측 케이스부

Claims (6)

  1. 삭제
  2. 내부에 복수의 약제들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약제를 하나씩 공급받아서 배출하도록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 통로가 형성된 케이스;
    진동에 의해 상기 배출 통로를 좁히는 위치와 넓히는 위치를 왕복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 통로에서 약제를 점진적으로 낙하 이송시켜 자동 배출시키는 가동 부재, 및 상기 가동 부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기구를 구비하는 배출 유닛; 및
    약제의 크기에 맞게 상기 진동 기구를 제어해서 약제를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배출 통로를 좁히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동 부재에 힘을 가해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배출 통로를 넓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진동 폭과 진동 주파수에 따라 상기 진동 기구를 제어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진동 폭과 진동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측 케이스부, 및
    상기 수납 공간과 배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케이스부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의 출구 쪽에는 약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약제 배출 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트리지.
KR1020140083891A 2014-07-04 2014-07-04 약제 카트리지 KR101616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891A KR101616106B1 (ko) 2014-07-04 2014-07-04 약제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891A KR101616106B1 (ko) 2014-07-04 2014-07-04 약제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823A KR20160004823A (ko) 2016-01-13
KR101616106B1 true KR101616106B1 (ko) 2016-04-27

Family

ID=5517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891A KR101616106B1 (ko) 2014-07-04 2014-07-04 약제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2374B (zh) * 2018-12-29 2023-10-27 天津森雅医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派药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10B1 (ko) * 2008-11-26 2015-10-13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823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691B2 (ja) 固体物質を調剤及び包装する装置及び方法
JP5805720B2 (ja) 自動ロック機能付き薬剤包装装置用カートリッジ
US20140231446A1 (en) Medicine dispenser, method of discharging medicin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the dispenser
JP2005537200A5 (ko)
EP2644512A2 (en) Tablet medicine cassette for device for wrapping medicine
KR101616106B1 (ko) 약제 카트리지
US20130284188A1 (en) Apparatus for filling a cavity, filling station and method of filling a cavity
US20180194063A1 (en) Build material containers
CN101461760B (zh) 振动式胶囊自动调头加料机构
JP2007168905A (ja) 微小錠剤計量装置
US7028828B2 (en) Magazine for rod-shaped articles, in particular filter rods, in the tobacco-processing industry
KR101513691B1 (ko) 약제포장장치의 멀티형 정제분배기
KR101576197B1 (ko) 약제 카트리지
RU27594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продукта
US20100032058A1 (en) Manual Apparatus For Dividing And Encapsulating Drug Powders
EP1097872B1 (en) A unit for feeding labels to a user machine
JP7330513B2 (ja) 錠剤カセット
ITBO980277A1 (it) Gruppo orientatore di coperchi o fondelli per capsule medicinali ed un ita' alimentatrice ed orientatrice relativa a tale gruppo.
KR102046780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US20080142402A1 (en) Adjustable Transmission Channel For A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KR200337785Y1 (ko) 정제 약의 계수 포장장치용 진동구조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1549949B1 (ko) 약용기
JP6982842B2 (ja) 散薬収容容器、散薬放出装置、及び散薬分包機
KR10210477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