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949B1 - 약용기 - Google Patents

약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949B1
KR101549949B1 KR1020130117812A KR20130117812A KR101549949B1 KR 101549949 B1 KR101549949 B1 KR 101549949B1 KR 1020130117812 A KR1020130117812 A KR 1020130117812A KR 20130117812 A KR20130117812 A KR 20130117812A KR 101549949 B1 KR101549949 B1 KR 10154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ving
lid
medicine
recipr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350A (ko
Inventor
정의진
Original Assignee
정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진 filed Critical 정의진
Priority to KR102013011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9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용기에 관한 것으로, 약이 충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방에 배치된 링형상의 이동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원스프링과,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구멍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하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출구멍이 연통되거나 폐쇄되는 뚜껑과, 일단부는 상기 뚜껑에 관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약용기{DRUG CONTAINER}
본 발명은 약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에게 약의 복용시간, 날짜, 횟수 등의 정보를 알려주어 약을 제때 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는 약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용기는 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가루약, 알약, 물약 등의 약을 담아 판매 및 유통시킬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공개특허 제2002-0065449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특허는 사각 형상으로, 내용물을 수납토록 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주입 및 배출시키는 주입구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환자에게 내용물의 복용시간, 날짜 및 횟수 등의 정보를 알려줄 수가 없으므로, 환자 중 시간이나 날짜개념이 부족한 어린이나 기억력이 저하된 노인의 경우 제때 내용물을 복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제때 복용하지 못하므로 치료효과가 저하되어 병증이 악화되는 문제점도 있다.
공개특허 제2002-00654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환자에게 약의 복용시간, 날짜, 횟수 등의 정보를 알려주어 약을 제때 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는 약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용기는, 약이 충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방에 배치된 링형상의 이동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원스프링과,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구멍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하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출구멍이 연통되거나 폐쇄되는 뚜껑과, 일단부는 상기 뚜껑에 관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약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정보를 알리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표시부는 시간, 요일, 횟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배출구멍과 직교되는 일면에 식별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뚜껑의 상기 식별구멍에 유리판이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자에게 약의 복용시간, 날짜, 횟수 등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를 통해 약을 제때 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효과가 높아 병증이 호전될 수 있다.
또한, 여행, 출장 및 외출을 할 경우에 약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장소에 상관없이 약을 복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용기의 일 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회전부의 회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회전부의 관통구멍과 뚜껑의 배출구멍이 일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회전부의 관통구멍과 뚜껑의 배출구멍이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실시예의 뚜껑의 식별구멍에 유리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약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용기의 일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용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이동부(120), 복원스프링(130), 회전부(140), 뚜껑(150), 커버(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약이 충진된다. 본체(110)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각각 형성되되, 유입구(111)는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유입구(111)를 통해 약이 유입되고, 배출구(112)는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배출구(112)를 이용하여 약이 배출된다. 본체(110)는 충진되는 약의 양에 따라 용량을 선택적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110)는 유입구(111)과 배출구(112)가 각각 형성되어 유입구(111)를 통해 약이 유입되고, 배출구(112)를 통해 약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약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것이라면 하나의 개구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본체(110)는 유입구(111)에 회전을 통해 고정되는 밀폐부(113)로 인해 밀폐된다. 밀폐부(113)는 시간의 경과로 인해 본체(110)에 충진된 약이 소진될 경우에 약을 충진시키기 위해 본체(110)로부터 회전을 통해 분리된다. 밀폐부(113)의 분리로 인해 개방된 본체(110)는 뒤집은 상태에서 본체(110)의 유입구(111)를 이용하여 약이 충진된다. 밀폐부(113)는 약의 충진이 완료되면 본체(110)의 유입구(111)에 회전을 통해 고정되어 본체(110)를 밀폐시킨다. 밀폐까지 완료된 본체(110)는 다시 뒤집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다. 본체(110)는 유입구(111)를 통해 약이 충진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본체(110)의 배출구(112)를 통해서 약이 충진될 수도 있다. 본체(110)는 배출구(112)의 내측에 지지턱(114)이 형성되고, 지지턱(114)은 본체(110)에 설치되는 복원스프링(130)을 지지한다. 본체(110)는 본체(110)와 지지턱(114)에 보강리브(115)가 결합된다. 보강리브(115)는 본체(110)와 지지턱(114)의 결합상태를 보강하여 지지되는 복원스프링(130)으로 인한 처짐을 방지한다. 본체(110)는 배출구(112)의 상부에 복수의 이동홈(116)이 형성되고, 복수의 이동홈(116)에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이동부(120)의 이동턱(123)이 각각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이동부(120)는 링형상으로, 본체(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본체(11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동부(120)는 본체(110)의 배출구(112)와 같이 중앙에 연통구멍(121)이 형성되고, 이동부(120)의 연통구멍(121)은 본체(110)의 배출구(112)와 연통된다. 이동부(120)는 외주면에 복수의 연장돌기(122)가 연장형성되되, 연장돌기(122)는 이동부(120)의 연통구멍(12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연장돌기(122)는 막대 형상으로, 끝단은 회전부(140)의 톱니(142)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연장돌기(122)의 끝단은 회전부(140)의 톱니(14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왕복이동된다. 이동부(120)는 외주면에 복수의 이동턱(123)이 형성되되, 이동부(120)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된 복수의 연장돌기(122)의 사이에 형성된다. 복수의 이동턱(123)은 본체(110)의 이동홈(116)에 각각 수용되어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이동부(120)는 본체(110)의 복수의 이동홈(116)에 각각 수용된 이동턱(123)으로 인해 외력이 발생되어도 본체(110)의 이동홈(11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복원스프링(130)은 본체(110)와 이동부(120)의 사이에 개재되고, 이동부(120)가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복원스프링(130)은 일단이 본체(110)의 지지턱(114)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동부(120)의 하부에 설치된다. 복원스프링(130)은 외력으로 인해 이동부(120)가 본체(110)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수축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복원스프링(130)은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힘으로 인해 이완되어 이동부(120)를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본 발명은 복원스프링(130)이 이동부(120)가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동부(120)가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라면 고무로도 변경될 수 있다.
회전부(140)는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구멍(141)이 복수로 형성되며, 이동부(120)에 결합되고, 이동부(12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된다. 회전부(140)의 관통구멍(141)은 본체(110)에 충진된 약이 외부로 배출된다. 회전부(140)는 하부에 복수의 톱니(142)가 형성되되, 회전부(14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본체(110)의 개방과 폐쇄를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회전부(140)는 톱니(142)의 볼록한 꼭지점이 이동부(120)의 연장돌기(122)의 경사면 꼭지점에 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이동부(120)의 연장돌기(122)에 닿는 회전부(140)의 톱니(142)는 이웃하는 다른 이동부의 연장돌기에 닿는 다른 회전부의 톱니의 사이에 또 다른 회전부의 톱니가 개재된다.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회전부(140)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40)의 톱니(142)가 이동부(120)의 연장돌기(122) 경사면에 미끄러진다. 이로 인해 이동부(120)의 연장돌기(122)는 경사면 꼭지점이 회전부(140)의 톱니(142) 오목한 꼭지점에 닿게 된다.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회전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원스프링(130)으로 인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동부(120)의 연장돌기(122)의 경사면 꼭지점에 이웃하는 다른 회전부의 톱니의 볼록한 꼭지점이 닿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10)는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회전되는 회전부(140)의 회전운동에 의해 충진된 약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과 폐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부(140)에는 회전부(140)의 톱니(142)와 직교되는 일면에 복수의 가이드돌기(143)가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돌기(143)는 복수의 톱니(142)와 같이 회전부(14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가이드돌기(143)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커버(160)의 가이드홈(162)을 통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부(140)가 회전되는 원리로는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부(140)가 회전부(140)의 톱니(142)가 이동부(120)의 연장돌기(122)에 미끄러짐으로 인해 회전되고,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서 복원스프링(130)의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힘으로 인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부(140)가 회전부(140)의 가이드돌기(143)가 커버(160)의 돌출돌기(161)로 인해 회전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인해 회전부(140)는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회전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부(140)는 톱니(142)의 하부에 가이드대(144)가 형성되고, 가이드대(144)는 이동부(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가이드대(144)는 톱니(14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회전부(14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도 톱니(142)가 이동부(120)에 닿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회전부(140)는 원활하게 회전된다.
뚜껑(150)은 회전부(140)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하나의 배출구멍(151)이 형성되고,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는 회전부(140)의 복수의 관통구멍(141) 중 어느 하나와 배출구멍(151)이 연통되거나 폐쇄된다. 뚜껑(150)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부(120), 복원스프링(130), 회전부(14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50)의 배출구멍(151)은 회전부(140)의 관통구멍(141)과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부(140)가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회전되면서 회전부(140)의 관통구멍(141)과 일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체(110)는 개방상태가 되어 본체(110)에 충진된 약 중 1회 복용량이 배출된다. 1회 복용량이 배출된 후, 본체(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40)가 다시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회전되어 회전부(140)의 관통구멍(141)과 뚜껑(150)의 배출구멍(151)이 어긋나게 되어 본체(110)가 폐쇄상태가 되면서 본체(110)에 충진된 약이 배출되지 않는다. 뚜껑(150)에는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멍(151)과 직교되는 일면에 식별구멍(152)이 형성된다. 식별구멍(152)은 내부에 설치된 회전부(140)의 외주면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유리판(153)이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153)은 뚜껑(150)의 식별구멍(15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부(140)의 일부가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유리판(153)은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회전부(140)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뚜껑(150)에는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멍(151)과 직교되는 일면에 복수의 걸림홈(154)이 형성되되, 식별구멍(152)과의 사이 간격이 있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걸림홈(154)에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커버(160)의 걸림턱(163)이 각각 수용되어 본체(110)의 이동홈(116)에 각각 수용된 이동부(120)의 복수의 이동턱(123)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커버(160)는 일단부가 뚜껑(150)에 관통되고, 타단부는 본체(110)에 결합되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160)는 이동부(120), 복원스프링(130), 회전부(140) 그리고 뚜껑(150)의 하부 일부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커버(160)는 결합되는 본체(110)와 함께 이동부(120), 복원스프링(130), 회전부(140) 및 뚜껑(150)이 왕복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원스프링(130)으로 인해 이동부(120), 회전부(140) 그리고 뚜껑(15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160)는 내부에 복수의 돌출돌기(161)가 형성되되, 복수의 돌출돌기(161)의 사이에 가이드홈(162)이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돌출돌기(161)는 커버(16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돌출돌기(161)는 끝단이 회전부(140)의 톱니(142)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회전부(140)는 회전부(140)의 가이드돌기(143)가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커버(160)의 돌출돌기(161)를 통해 미끄러짐으로 인해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회전된 후 커버(160)의 가이드홈(162)에 수용되어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커버(160)는 상부에 복수의 걸림턱(163)이 형성되고, 복수의 걸림턱(163)은 뚜껑(150)의 걸림홈(154)에 각각 수용되어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커버(160)는 뚜껑(150)의 복수의 걸림홈(154)에 각각 수용된 걸림턱(163)으로 인해 외력이 발생되어도 본체(110)의 이동홈(116)과 이동부(120)의 이동턱(123)과 같이 뚜껑(150)의 걸림홈(15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표시부(170)는 회전부(140)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정보를 알린다. 표시부(170)는 시간, 요일, 횟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문자가 회전부(14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표시부(170)는 뚜껑(150)의 식별구멍(152)을 통해 표시부(170)의 표시문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다. 표시부(170)는 회전부(140)의 회전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170)의 표시문자가 변경되어 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이를 확인 후 약을 복용하게 된다. 회전부(140)에 표시된 표시부(170)는 표시문자공간과 빈공간이 번갈아가면서 배치된다. 표시부(170)의 표시문자공간은 회전부(140)의 관통구멍(141)과 뚜껑(150)의 배출구멍(151)이 일치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된다. 표시부(170)의 빈공간은 회전부(140)의 관통구멍(141)과 뚜껑(150)의 배출구멍(151)이 어긋나게 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170)는 표시문자공간과 빈공간이 순차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약을 복용하는 사람에게 복용에 대한 정보를 알린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70)는 회전부(140)에 표시되어 약의 복용시간, 요일, 횟수를 복용하는 사람에게 알리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복용하는 사람에게 알리는 것이라면 복용시간, 요일, 횟수가 인쇄된 라벨지를 회전부(140)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약용기 110 : 본체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13 : 밀폐부 114 : 지지턱
115 : 보강리브 116 : 이동홈
120 : 이동부 121 : 연통구멍
122 : 연장돌기 123 : 이동턱
130 : 복원스프링 140 : 회전부
141 : 관통구멍 142 : 톱니
143 : 가이드돌기 144 : 가이드대
150 : 뚜껑 151 : 배출구멍
152 : 식별구멍 153 : 유리판
154 : 걸림홈 160 : 커버
161 : 돌출돌기 162 : 가이드홈
163 : 걸림턱 170 : 표시부

Claims (5)

  1. 약이 충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방에 배치된 링형상의 이동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원스프링과,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구멍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하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출구멍이 연통되거나 폐쇄되는 뚜껑과,
    일단부는 상기 뚜껑에 관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복수의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면에 복수의 연장돌기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연장돌기의 사이에 복수의 이동턱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턱은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홈에 각각 수용되어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되고,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돌기의 끝단은 상기 회전부의 상기 톱니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정보를 알리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시간, 요일, 횟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배출구멍과 직교되는 일면에 식별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기 식별구멍에 유리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기.
KR1020130117812A 2013-10-02 2013-10-02 약용기 KR10154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812A KR101549949B1 (ko) 2013-10-02 2013-10-02 약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812A KR101549949B1 (ko) 2013-10-02 2013-10-02 약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50A KR20150039350A (ko) 2015-04-10
KR101549949B1 true KR101549949B1 (ko) 2015-09-03

Family

ID=5302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812A KR101549949B1 (ko) 2013-10-02 2013-10-02 약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32B1 (ko) 2018-12-05 2020-09-16 이우석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302A (en) 1998-02-09 1999-08-03 Innovative Premiums Inc. Pellet dispenser
KR100616290B1 (ko) 1998-08-17 2006-08-28 아크조 노벨 엔파우 알약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와 그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디스펜서 및 알약팩
KR101212940B1 (ko) 2011-07-26 2012-12-18 (주)연우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KR101212939B1 (ko) 2011-07-26 2012-12-18 (주)연우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302A (en) 1998-02-09 1999-08-03 Innovative Premiums Inc. Pellet dispenser
KR100616290B1 (ko) 1998-08-17 2006-08-28 아크조 노벨 엔파우 알약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와 그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디스펜서 및 알약팩
KR101212940B1 (ko) 2011-07-26 2012-12-18 (주)연우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KR101212939B1 (ko) 2011-07-26 2012-12-18 (주)연우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50A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2505A (ko) 약제 포장장치용 정제 카트리지
US9511924B1 (en) Container apparatus with single-pill dispensing and related method
KR101559163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CN101370720A (zh) 防止儿童使用的分配器
BRPI0620321B1 (pt) dispositivo e método de bloqueio
CN110506302B (zh) 用于药物的存储和分配站的存储容器
KR20150014269A (ko)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US3863804A (en) Medicament-dispensing container
KR20200068550A (ko) 제거가능한 알약 용기 캡을 가진 알약 병
KR101549949B1 (ko) 약용기
JP4808415B2 (ja) 2成分混合容器
JP6235970B2 (ja) レフィル容器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ES2289574T3 (es) Correa para tapa de inhalador.
CN107548373A (zh) 两种内容物混合容器
KR101223827B1 (ko) 고점도 크림 용기
KR101467986B1 (ko) 약제 포장장치용 조립식 카트리지
KR101475712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KR101212940B1 (ko)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KR100927487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카세트
KR101658031B1 (ko) 디스펜서
KR200423697Y1 (ko) 용기 조립체
KR101817163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KR101212939B1 (ko)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KR101383316B1 (ko) 액상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