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697Y1 - 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용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697Y1
KR200423697Y1 KR2020060010196U KR20060010196U KR200423697Y1 KR 200423697 Y1 KR200423697 Y1 KR 200423697Y1 KR 2020060010196 U KR2020060010196 U KR 2020060010196U KR 20060010196 U KR20060010196 U KR 20060010196U KR 200423697 Y1 KR200423697 Y1 KR 200423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tainer
guide member
rotating memb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
Priority to KR2020060010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697Y1/ko
Priority to JP2008600026U priority patent/JP3147887U/ja
Priority to PCT/KR2007/001854 priority patent/WO200712000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05B11/0081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and for mixing the components in a common container as a mixture ready for use before discharging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 부재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제 1 용기 내부에 제 2 용기에 담겨져 있는 새로운 액상 내용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제 1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제 1 용기; 제 1 용기 하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위치한 회전 부재; 고정된 상태로 회전 부재 내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을 갖는 상부 및 하부 안내부가 구성된 안내 부재; 안내 부재 내에 위치하며,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를 관통하고 회전 부재에 연결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를 따라 상승, 회전하며, 상단에는 주입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제 2 용기; 및 안내 부재 내에서 제 2 용기 하부에 위치하며, 안내 부재의 하부 안내부를 관통하고 회전 부재에 연결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하부 안내부를 따라 상승 및 회전하여 제 2 용기를 가압하는 피스톤 부재를 포함한다.
용기, 액상 내용물

Description

용기 조립체{Container assemb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안내 부재의 전개 도면.
도 4a, 도 4b 및 도 4c는 피스톤 부재, 제 2 용기 및 안내 부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안내 부재의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피스톤 부재에 의한 제 2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본 고안은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동작으로 제 1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제 2 용기 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첨가/혼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내부 공간에 담겨져 있는 액상(또는 기체)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용기는 크게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케이싱, 케이싱 일단에 장착된 펌핑 수단 및 펌핑 수단을 보호하기 위한 캡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용기는 펌핑 수단의 작동에 따라 케이싱 내부의 압력과 외부와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케이싱 내에 설치된 피스톤이 상승하며, 따라서 액상 내용물은 펌핑 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용기에서는, 용기의 케이싱 내에 담겨져 있는, 예를 들어 액상 약제를 보충하거나, 또 다른 종류의 액상 약제를 투입하여 혼합하기 위해서는 캡을 분리한 후 펌핑 수단을 구성하는 노즐 조립체의 배출구를 통하여 액상 약품을 투입할 수 밖에 없다.
즉, 케이싱 내부 공간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져 있고, 또한 진공압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액상 내용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케이싱으로부터 노즐 조립체를 분리할 수 없으며, 따라서 캡을 분리한 후 노즐 조립체의 좁은 배출구를 통하여 약품을 주입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추가 내용물의 보충을 위해서는 캡의 분리 및 결합이라는 다소 복잡한 과정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노즐 조립체를 보호하는 캡을 분리해야만 하므로 용기의 오염이 우려되며, 이와 함께 액상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액상 내용물이 변질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내용물을 2가지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구조를 갖는 용기에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 부재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제 1 용기 내부에 제 2 용기에 담겨져 있는 새로운 액상 내용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제1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제 1 용기; 제 1 용기 하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위치한 회전 부재; 고정된 상태로 회전 부재 내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을 갖는 상부 및 하부 안내부가 구성된 안내 부재; 안내 부재 내에 위치하며,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를 관통하고 회전 부재에 연결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를 따라 상승, 회전하며, 상단에는 주입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제 2 용기; 및 안내 부재 내에서 제 2 용기 하부에 위치하며, 안내 부재의 하부 안내부를 관통하고 회전 부재에 연결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하부 안내부를 따라 상승 및 회전하여 제 2 용기를 가압하는 피스톤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 부재는 그 내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수직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는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로 구분되며,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의 제 1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의 중앙부에, 제 2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되,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는 하부가 경사 안내로로, 상부는 수평 안내로로 각각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안내부는 동일한 각도를 갖고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로 구분되되,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의 제 1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의 하단에, 제 2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한편, 피스톤 부재의 연결 수단은 안내 부재의 하부 안내부의 제 1 및 제 2 안내로를 각각 통과하고 단부가 회전 부재의 수직 가이드 홈에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로드이며, 제 2 용기의 연결 수단은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의 제 1 및 제 2 안내로를 각각 통과하고 단부가 회전 부재의 수직 가이드 홈에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로드이다.
본 고안에서의 피스톤 부재는 제 2 용기와 대응하는 가압 부재 및 가압 부재 하부에 형성되어 양측에 로드가 수평 연장되어 있는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2 용기는 상단에 주입 수단이 설치되며, 하단이 개방되고, 양측에 제 1 및 제 2 로드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및 주입 수단에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내부에 제 2 용액이 담겨지는 탄성체로 제조된 백으로 이루어져 피스톤 부재의 상승시 가압 부재가 백을 가압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용기 조립체를 구성하는 모든 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편의상 도 2에서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 부재가 아닌 펌핑 수단(11)은 박스로 도시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케이싱(20) 내에 장착된 제 1 용기(20), 제 1 용기(20)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 부재(30), 회전 부재(30) 내에 위치하는 안내 부재(40), 그리고 안내 부재(40) 내에 상하로 수용되는 제 2 용기(50) 및 피스톤 부재(60)를 포함한다.
각 부재의 세부적인 구성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용기(10)
약품 등과 같은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제 1 용기(10)는 케이싱(2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며, 그 상단부에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분사)시킬 수 있는 펌핑 수단(11)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펌핑 수단(11)의 구성 및 기능은 일반적이며,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용기(10)를 구성하는 바닥 부재의 소정 부분, 즉 후술할 제 2 용기에 장착된 바늘과 대응하는 부분(12)은 바늘이 관통될 수 있는 부재,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21 "는 캡으로서, 케이싱(20)에 결합되어 펌핑 수단(11)을 외부와 격리한다.
회전 부재(30)
회전 부재(30)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中空)의 원통형 부재로서, 케이싱(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완전 조립 상태에서는 제 1 용기(10)의 하부에 위치한다.
회전 부재(30)의 내면에는 전 높이에 걸쳐서 2개의 수직 가이드 홈(31 및 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 가이드 홈(31 및 3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39"는 회전 부재(30)의 바닥부를 밀폐하는 바닥 캡이다.
안내 부재(40)
회전 부재(30) 내에 위치하는 안내 부재(4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상하단이 개방된 중공(中空)의 원통형 부재이다. 이 안내 부재(40)는 케이싱(20)에 고정되며, 따라서 회전 부재(30)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40)의 원주면에는 부재를 관통하는 소정 폭의 하부 안내부(41) 및 상부 안내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안내 부재(40)의 전개 도면으로서, 안내 부재(40)에 형성된 상부 안내부(42) 및 하부 안내부(41)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 안내부(41)는 동일한 각도를 갖고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 제 1 안내로(41-1; guide passage)와 제 2 안내로(41-2)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내로(41-1)와 제 2 안내로(41-2)의 제 1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40)의 하단에, 제 2 종단 역시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4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안내로(41-1)와 제 2 안내로(41-2)는 개방된 제 1 종단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며, 제 2 종단은 폐쇄된 상태이다.
하부 안내부(41)와 소정의 간격을 갖는 상부 안내부(42) 역시 제 1 안내로(42-1)와 제 2 안내로(42-2)로 구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내로(42-1)와 제 2 안내로(42-2)의 제 1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40)의 중앙부에, 제 2 종단 역시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40)의 상단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안내로(42-1)와 제 2 안내로(42-2)는 개방된 제 2 종단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며, 제 1 종단은 폐쇄된 상태이다.
한편, 도 3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안내부(42)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2-1 및 42-2)는 경사 안내로(42-1A, 42-2A) 및 수평 안내로(42-1B, 42-2B)로 구분되어 있다.
즉, 상부 안내부(42)의 제 1 안내로(42-1)와 제 2 안내로(42-2)의 하부는 하부 안내부(41)의 제 1 안내로(41-1)와 제 2 안내로(41-2)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는 경사 안내로(42-1A, 42-2A)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는 수평 상태의 수평 안내로(42-1B, 42-2B)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서의 도면 부호 "51" 및 "52"는 후술할 제 2 용기(50)에 형성된 로드를, "61" 및 "62"는 피스톤 부재(60)에 형성된 로드를 각각 나타낸다.
피스톤 부재(60)
안내 부재(40) 내에 위치하는 피스톤 부재(60)는 상부의 가압 부재(63) 및 하부의 지지부재(64)로 이루어진다. 원판형의 지지 부재(64)의 양측에는 지지 부재의 가상 지름선을 따라 수평 연장된 소정 길이의 제 1 및 제 2 로드(61 및 62)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제 1 및 제 2 로드(61 및 62)는 안내 부재(40)에 형성된 하부 안내부(41)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1-1 및 41-2)에 각각 삽입, 수용된다.
안내 부재(40)의 하부 안내부(41)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1-1 및 41-2)에 수용된 제 1 및 제 2 로드(61 및 62)의 일부는 안내 부재(40) 밖으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부분은 회전 부재(30)의 내면에 형성된 2개의 수직 가이드 홈(31 및 32) 내에 각각 위치한다.
이때, 피스톤 부재(60)의 각 로드(61 및 62)는 안내 부재(40)의 하부 안내부(41)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안내로(41-1 및 41-2) 하단의 개방부를 통하여 제 1 안내로 및 제 2 안내로(41-1 및 41-2) 내로 수용된다.
제 2 용기(50)
제 2 용기(50)는 안내 부재(40) 내에서 피스톤 부재(60) 상부에 위치한다.
제 1 용기(10) 내에 담긴 내용물과 동일한 내용물 또는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제 2 용기(50)는 고무와 같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루틸 러버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백(bag; 도시되지 않음)과 이 백의 외장인 하우징(53)으로 이루어진다.
이 하우징(53)은 백을 보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재료로 제조되며, 하단은 개방된 상태이다. 또한, 하우징(53) 상단에는 주입 수단(54; 예를 들어, 주사 바늘)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53)의 상단부 양측에는 가상 지름선을 따라 수평 연장된 소정 길이의 제 1 및 제 2 로드(51 및 52)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제 1 및 제 2 로드(51 및 52)는 안내 부재(40)에 형성된 상부 안내부(42)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2-1 및 42-2)에 삽입, 수용된다.
안내 부재(40)의 상부 안내부(42)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2-1 및 42-2) 내에 수용된 제 1 및 제 2 로드(51 및 52)의 일부는 안내 부재(40) 밖으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부분은 회전 부재(30)의 내면에 형성된 2개의 수직 가이드 홈(31 및 32) 내에 각각 위치한다.
이때, 제 2 용기(50)의 각 로드(51 및 52)는 상부 안내부(42)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2-1 및 42-2) 상단의 개방부, 즉 각 수평부(42-1B, 42-2B) 종단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하여 제 1 안내로 및 제 2 안내로(42-1 및 42-2) 내로 수용된다.
한편,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71" 및 "72"는 실링 부재이다.
이상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 및 기능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각 부재를 조립, 즉 피스톤 부재(60)와 제 2 용기(50)를 안내 부재(40) 내에 수용시킨 후, 안내 부재(40)를 회전 부재(30) 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 부재(60)의 제 1 로드(61) 및 제 2 로드(62)는 안내 부재(40)의 하부 안내부(41)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1-1 및 41-2)에 수용되며, 안내 부재(40) 밖으로 노출된 일부 로드(61 및 62)는 회전 부재(30)의 내면에 형성된 2개의 수직 가이드 홈(31 및 32) 내에 각각 위치한다.
또한, 제 2 용기(50)의 하우징(53)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51 및 52)는 안내 부재(40)의 상부 안내부(42)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2-1 및 42-2)에 수용되며, 안내 부재(40) 밖으로 노출된 일부 로드(51 및 52)는 회전 부재(30)의 내면에 형성된 2개의 수직 가이드 홈(31 및 32) 내에 각각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안내 부재(40)가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회전 부재(30)를 제 1 용기(10)가 수용되어 있는 케이싱(20) 하단에 체결하면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용기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동작 및 기능을 각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피스톤 부재(60), 제 2 용기(50) 및 안내 부재(40)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안내 부재(40)의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편의상 안내 부재(40)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 부재(60) 및 제 2 용기(50)는 점선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피스톤 부재(60)에 의한 제 2 용기(50)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4a 및 도 5a는 초기 상태, 도 4b 및 도 5b는 제 2 용기(50)와 피스톤 부재(60)의 상승 상태, 그리고 도 4c 및 도 5c는 제 2 용기(50) 내의 내용물 주입 상태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초기 상태, 즉 제 2 용기(50)와 피스톤 부재(60)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용기(10) 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에 제 2 용기(50)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혼합시키고 할 경우, 회전 부재(30)를 회전(안내 부재(40)의 각 안내로의 경사 방향)시킨다.
회전 부재(30)의 회전에 따라 회전 부재(30)의 가이드 홈(31 및 32)에 각각 수용된 제 2 용기(50)의 2개의 로드(51 및 52)는 고정된 상태의 안내 부재(40)의 상부 안내부(42)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2-1 및 42-2)의 경사 안내로(42-1A 및 42-2A)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제 2 용기(50)는 각 안내로(42-1 및 42-2)의 높이(즉, 경사 안내로(42-1A 및 42-2A) 하단과 수평 안내로(42-1B 및 42-2B) 인접부까지의 간격)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 부재(30)의 회전에 따라 회전 부재(30)의 가이드 홈(31 및 32)에 각각 수용된 피스톤 부재(60)의 2개의 로드(61 및 62)는 고정된 상태의 안내 부재(40)의 하부 안내부(41)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1-1 및 41-2)를 따라 상승한다.
이와 같이 제 2 용기(5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제 2 용기(50) 상단에 설치된 주입 수단(54)은 제 1 용기(10)의 하단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12)를 관통하여 그 선단부가 제 1 용기(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4b 및 도 5b의 상태).
이러한 조건 하에서, 사용자가 회전 부재(30)를 더 회전시키면, 제 2 용기(50)의 2개의 로드(51 및 52)는 안내 부재(40)의 상부 안내부(42)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2-1 및 42-2)의 경사 안내로(42-1A 및 42-2A)를 벗어나 수평 안내로(42-1B 및 42-2B)로 진입하게 되며, 따라서 제 2 용기(50)는 회전할 뿐 더 이상의 상승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피스톤 부재(60)의 2개의 로드는 안내 부재(40)의 하부 안내부(41)의 제 1 및 제 2 안내로(41-1 및 41-2)를 따라 계속해서 회전, 상승한다
따라서, 피스톤 부재(60)의 상승, 즉 가압 부재(63)가 상승하여 회전만 하는 제 2 용기(50)의 백(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상태임)을 가압하게 되며, 따라서 백은 압축 상태가 되는 과정에서 그 내부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은 주입 수단(54)을 통하여 제 1 용기(10) 내로 주입된다(도 4c 및 도 5c의 상태).
이와 같이 제 2 용기(50) 내의 내용물이 제 1 용기(10) 내에 주입된 후, 제 1 용기(10) 상단에 설치된 펌핑 수단(11)을 작동시킴으로써 양 내용물이 혼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용기(10)의 바닥 부재 전체 또는 제 2 용기(50)의 주입 수단(54)이 꽂혀지는 부분(12)은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탄성체로부터 주입 수단(54)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액상 내용물이 그 부위를 통하여 누설될 우려는 없다.
따라서 제 2 용기(50) 내의 내용물을 제 1 용기(10)에 모두 주입한 경우, 각 부재를 분해하고 새로운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또 다른 용기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주사기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구성 부재(회전 부재)를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용기 내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혼합시킬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고안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과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과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회전 부재(30)에는 2개의 수직 가이드 홈(31 및 32), 피스톤 부재(60) 및 제 2 용기(50)에는 각각 2개의 로드(61 및 62, 51 및 52) 그리고 안내 부재(40)에는 상부 안내부(42) 및 하부 안내부(41)에 각각 제 1 및 제 2 안내로(42-1, 42-2 및 41-1, 41-2)가 형성되어 있음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 부재에 단일의 수직 가이드 홈, 피스톤 부재 및 제 2 용기에 각각 단일의 로드 그리고 안내 부재에는 단일의 안내로로 이루어진 상부 안내부 및 하부 안내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제 1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제 1 용기;
    제 1 용기 하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위치한 회전 부재;
    고정된 상태로 회전 부재 내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을 갖는 상부 및 하부 안내부가 구성된 안내 부재;
    안내 부재 내에 위치하며,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를 관통하고 회전 부재에 연결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를 따라 상승, 회전하며, 상단에는 주입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제 2 용기; 및
    안내 부재 내에서 제 2 용기 하부에 위치하며, 안내 부재의 하부 안내부를 관통하고 회전 부재에 연결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하부 안내부를 따라 상승 및 회전하여 제 2 용기를 가압하는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부재는 그 내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수직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는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로 구분되며,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의 제 1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의 중앙부에, 제 2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되,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는 하부가 경사 안내로로, 상부는 수평 안내로로 각각 이루어지며, 하부 안내부는 동일한 각도를 갖고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로 구분되되, 제 1 안내로와 제 2 안내로의 제 1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의 하단에, 제 2 종단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안내 부재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피스톤 부재의 연결 수단은 안내 부재의 하부 안내부의 제 1 및 제 2 안내로를 각각 통과하고 단부가 회전 부재의 수직 가이드 홈에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로드이며,
    제 2 용기의 연결 수단은 안내 부재의 상부 안내부의 제 1 및 제 2 안내로를 각각 통과하고 단부가 회전 부재의 수직 가이드 홈에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로드인 용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 안내부의 제 1 및 제 2 안내로의 수평 안내로의 종단은 개방된 상태이며, 하부 안내부의 제 1 및 제 2 안내로의 하부 종단은 개방된 상태인 용기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피스톤 부재는 제 2 용기와 대응하는 가압 부재 및 가압 부재 하부에 형성되어 양측에 로드가 수평 연장되어 있는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용기 조립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용기는
    상단에 주입 수단이 설치되며, 하단이 개방되고, 양측에 제 1 및 제 2 로드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및
    주입 수단에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내부에 제 2 용액이 담겨지는 탄성체로 제조된 백으로 이루어져 피스톤 부재의 상승시 가압 부재가 백을 가압하는 용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용기의 바닥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펌핑 수단이 장착된 용기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용기의 바닥 부재는 제 2 용기의 주입 수단에 대응하는 부분이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펌핑 수단이 장착된 용기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용기 조립체.
KR2020060010196U 2006-04-17 2006-04-17 용기 조립체 KR200423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96U KR200423697Y1 (ko) 2006-04-17 2006-04-17 용기 조립체
JP2008600026U JP3147887U (ja) 2006-04-17 2007-04-17 コンテナアセンブリー
PCT/KR2007/001854 WO2007120000A1 (en) 2006-04-17 2007-04-17 Contain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96U KR200423697Y1 (ko) 2006-04-17 2006-04-17 용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697Y1 true KR200423697Y1 (ko) 2006-08-10

Family

ID=3860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196U KR200423697Y1 (ko) 2006-04-17 2006-04-17 용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47887U (ko)
KR (1) KR200423697Y1 (ko)
WO (1) WO200712000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033B1 (ko) * 2015-03-30 2016-09-2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6163813A1 (ko) * 2015-04-10 2016-10-13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009607B1 (ko) * 2018-08-31 2019-10-22 주식회사 태성산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273B1 (ko) * 2019-07-23 2021-07-20 강성일 이액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0705B2 (ja) * 2002-03-29 2010-01-20 株式会社タニ 内容物の混合構造を有する包装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033B1 (ko) * 2015-03-30 2016-09-2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6163813A1 (ko) * 2015-04-10 2016-10-13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009607B1 (ko) * 2018-08-31 2019-10-22 주식회사 태성산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47887U (ja) 2009-01-29
WO2007120000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45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WO2010114101A1 (ja) 用時混合容器
KR200423697Y1 (ko) 용기 조립체
EP2947027A1 (en) Dual content mixing container
KR200477195Y1 (ko)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가 탈부착 가능한 화장품 펌프용기
KR10129657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CN113692382A (zh) 双重容器
KR200475965Y1 (ko) 이액형 용액을 혼합을 위한 화장용기
CN111746944A (zh) 非均质内容物混合容器
CN117015504A (zh) 自动倒盖容器
KR102280273B1 (ko) 이액용기
CN113827023B (zh) 容器
KR200446883Y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101658031B1 (ko) 디스펜서
KR101180737B1 (ko) 회전개폐형 브러쉬 튜브용기
KR101817163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00082691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306251B1 (ko) 내용물 용기
KR102526130B1 (ko) 화장품 용기
KR10260773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50044869A (ko) 화장용 튜브용기
KR200407628Y1 (ko) 용기
CN215086236U (zh) 一种可旋转控制的混合装置
KR10167602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