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130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130B1
KR102526130B1 KR1020220134156A KR20220134156A KR102526130B1 KR 102526130 B1 KR102526130 B1 KR 102526130B1 KR 1020220134156 A KR1020220134156 A KR 1020220134156A KR 20220134156 A KR20220134156 A KR 20220134156A KR 102526130 B1 KR102526130 B1 KR 10252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ent
contents
dispos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진
오별님
윤혜련
Original Assignee
(주)유스케어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스케어팜 filed Critical (주)유스케어팜
Priority to KR102022013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3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in adjustable pro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며, 상기 제2내용물을 상기 본체부측으로 토출하는 보조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이동통로가 형성된 보조본체부재와, 상기 보조본체부재의 이동통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수용부재와, 상기 내용물수용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제2내용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성분과 기능을 갖는 두 종류의 화장품을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의 용기에 각각 저장한 후 사용 시 두 종류의 화장품을 용이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종류에 따라 분말, 액체, 겔 상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되면서도 그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용기에 수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을 안전하게 수납하여 장기간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기능과 더불어 사용 시 필요로 하는 적정량을 정확히 토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제안된 화장품 용기 중에서는 화장품용기에 별도의 진공펌프를 장착한 것이 있는데, 이는 비사용 시 외부로부터 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화장품인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시에는 외부에서 작동버튼의 누름작동으로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편리하게 사용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정확히 토출됨으로써 본래의 요구되는 효과를 갖기는 하겠지만, 이는 한 종류의 내용물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화장품들도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데, 화장품중에서도 액상의 베이스 성분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품이나 파우더 상태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두 종류의 화장품을 미리 혼합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되면, 유통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쉽게 오염 및 변질되는 우려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화학적 변화나 비중차 이로 인한 침전 등으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중대한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844호(발명의 명칭 :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화장품용기 내에 두 종류의 화장품을 각각의 저장용기내에 안전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화장품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며, 상기 제2내용물을 상기 본체부측으로 토출하는 보조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이동통로가 형성된 보조본체부재와, 상기 보조본체부재의 이동통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수용부재와, 상기 내용물수용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제2내용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본체부재는, 상기 본체부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 단부에 접하는 단턱이 형성된 제1보조본체와, 상기 제1보조본체 내부로 이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이동통로가 형성된 제2보조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상기 제2보조본체 하부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수용부재는, 상기 제2보조본체의 이동통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에 삽입되고, 상기 제2내용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본체와, 상기 이탈방지본체 하부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본체는,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재는, 상기 본체부 하단이 삽입되는 제1회전몸체와, 상기 제1회전몸체 내부로 이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고 회전하여, 상기 수용본체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회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몸체는, 내주면에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일단에 상기 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경사면 타단에 상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몸체는, 내주면에 상기 제1홈 전방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2홈 후방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된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재는, 상기 보조본체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구동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용물수용부재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본체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헤드펌프와, 일단이 상기 헤드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헤드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로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본체부재는, 상기 제1보조본체와 제2보조본체 사이에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이 혼합되어 배치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로우의 타단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어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상기 보조본체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내용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형상의 접착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각각의 본체부와 보조본체부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 효율이 좋으며, 제1,2내용물을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보관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사용 시 보조본체부를 회전하여 제2내용물을 본체부측으로 토출하여, 두 종류의 내용물을 간단하게 혼합한 뒤 진공펌프의 작동만으로도 혼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조본체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보조본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내용물수용부재를 나태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이동구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0) 분해사시도이다.
이하부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화장품 용기(1000)는 본체부(1100), 보조본체부(1200), 토출부(1300), 용기뚜껑(1400) 및 접착필름(15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0)는 내부에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00a)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다.
상기 보조본체부(1200)는 상기 본체부(1100)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며, 상기 제2내용물(C2)을 상기 본체부(1100)측으로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보조본체부재(1210), 내용물수용부재(1220) 및 이동구동부재(123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는 상기 본체부(1100)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이동통로(1212a)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는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의 이동통로(1212a)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며, 상기 이동구동부재(1230)는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를 상승시켜 상기 제2내용물(C2)을 상기 수용공간(1100a)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토출부(1300)는 상기 본체부(110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1100)에서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C2)을 외부로 분사한다. 상기 혼합된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C2)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헤드펌프(1310) 및 스트로우(132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펌프(1310)는 상기 본체부(1100) 상부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로우(1320)는 일단이 상기 헤드펌프(13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1100)에 배치되며, 상기 헤드펌프(13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C2)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용기뚜껑(1400)은 상기 토출부(1300) 상측에 탈부착되고, 상기 토출부(1300)의 헤드펌프(1310)를 보호하며, 상기 헤드펌프(1310)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C2)이 외부 먼지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접착필름(1500)은 얇은 필름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본체부(120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제2내용물(C2)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0)의 보조본체부(1200)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보조본체부(1200)의 보조본체부재(121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보조본체부(1200)의 내용물수용부재(1220)를 나태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보조본체부(1200)의 이동구동부재(12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부터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0)의 보조본체부(1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본체부(1200)는 상기 본체부(1100)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며, 상기 제2내용물(C2)을 상기 본체부(1100)측으로 토출한다.
상기 보조본체부(1200)는, 보조본체부재(1210), 내용물수용부재(1220) 및 이동구동부재(1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는 상기 본체부(1100)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이동통로(1212a)가 형성되고, 제1보조본체(1211) 및 제2보조본체(1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본체(1211)는 상기 본체부(1100)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1100)의 하부 단부에 접하는 단턱(12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보조본체(1212)는 상기 제1보조본체(1211) 내부로 이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이동통로(12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조본체(1212) 하부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홈(121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는 상기 제1보조본체(1211)와 제2보조본체(121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C2)이 혼합되어 배치되는 수용홈(1210a)이 형성되어, 앞서 언급한 상기 토출부(1300)의 스트로우(1320) 타단이 상기 수용홈(1210a)에 배치되면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C2)의 잔여량을 최소로 하여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는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의 이동통로(1212a)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며, 수용본체(1221), 이탈방지본체(1222) 및 돌기(1223)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본체(1221)는 상기 제2보조본체(1212)의 이동통로(1212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C2)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수용본체(1221)는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본체(1222)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내용물(C2)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221a)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본체(1222)는 상기 수용본체(1221)에 삽입되고, 상기 제2내용물(C2)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돌기(1223)는 상기 이탈방지본체(1222) 하부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1212b)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구동부재(1230)는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를 상승시켜 상기 제2내용물(C2)을 상기 수용공간(1100a)으로 이동시키며, 제1회전몸체(1231)와 제2회전몸체(1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몸체(1231)와 상기 제2회전몸체(1232)는 일단이 연결되어 같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몸체(1231)는 상기 제2회전몸체(1232)의 내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재(1230)는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구동부재(12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몸체(1231)는 상기 본체부(1100) 하단이 삽입되고, 사용자(미도시)가 손으로 파지하여 힘을 주게된다.
상기 제2회전몸체(1232)는 상기 제2회전몸체(1232) 내부로 이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돌기(1223)가 접하는 경사면(1232a)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본체(1221)를 상하 이동시킨다.
상기 경사면(1232a)은 상기 제2회전몸체(1232)의 내부로 돌출되며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몸체(1232)는, 내부에 제1홈(1232b), 제2홈(1232c), 제1스토퍼(1232d) 및 제2스토퍼(1232e)가 배치된다.
상기 제1,2스토퍼(1232d, 1232e)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1홈(1232b), 상기 제2홈(1232c)은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를 상기 이동구동부재(1230)와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의 상기 돌기(1223)의 이동을 안내하여 경사면(1232a)의 소정의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몸체(1232)는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의 돌기(1223)가 회전하여 상기 경사면(1232a)을 이동할 때, 상기 돌기(122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스토퍼(1232d) 및 제2스토퍼(1232e)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1232d)는 상기 제2회전몸체(1232) 내주면에 상기 제1홈(1232b) 전방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1232e)는 상기 제2회전몸체(1232) 내주면에 상기 제2홈(1232c) 후방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122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부터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2)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전 상기 제1내용물(C1)은 상기 본체부(1100)에 내부에 상기 제2내용물(C2)은 상기 보조본체부(1200) 내부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보관된다.
여기서, 상기 제1내용물(C1)은 액체 소재인 베이스 액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내용물(C2)은 무방부, 기능성 원료 함유가 주된 용도로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체 소재인 동결건조 비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는 상기 보조본체부(1200)의 수용본체(1221)를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용본체(1221) 단부에 패킹소재(미도시)를 배치하여, 상기 본체부(1100)의 수용공간(1100a)에 수용된 상기 제1내용물(C1)이 상기 수용본체(122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조본체부(1200)의 수용본체(1221)를 밀폐된 공간이 되고 상기 제2내용물(C2)이 상기 제1내용물(C1)과 혼합되어 사용하기 전까지 기능성 원료의 안전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보조본체부(1200)의 내용물수용부재(1220)를 상기 수용공간(1100a) 측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보조본체부(1200)의 이동구동부재(1230)를 파지하여 열림 상태, 즉,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가 상승되어 상기 수용공간(1100a) 측으로 상기 제2내용물(C2)이 토출되어 상기 제1내용물(C1) 혼합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열림 상태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구동부재(1230)를 파지하여 열림 상태 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가 상기 보조본체부재(1210)의 이동통로(1212a)를 따라 상승한다. 이후, 상기 내용물수용부재(1220) 내부에 수용된 제2내용물(C2)이 상기 수용공간(1100a)으로 토출되어 상기 수용공간(1100a)에 배치된 제1내용물(C1)이 상기 본체부(1100)에서 수초 이내에 혼합된다.
그리고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C2)은, 상기 토출부(1300)의 헤드펌프(1310)의 펌프 작동에 따라 스트로우(132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C1) 및 제2내용물(C2)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화장품 용기
1100 : 본체부 1200 : 보조본체부
1210 : 보조본체부재 1211 : 제1보조본체
1212 : 제2보조본체 1220 : 내용물수용부재
1221 : 수용본체 1222 : 이탈방지본체
1223 : 돌기 1230 : 이동구동부재
1231 : 제1회전몸체 1232 : 제2회전몸체
1300 : 토출부 1310 : 헤드펌프
1320 : 스트로우 1400 : 용기뚜껑
1500 : 접착필름 C1 : 제1내용물
C2 : 제2내용물

Claims (12)

  1.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며, 상기 제2내용물을 상기 본체부측으로 토출하는 보조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이동통로가 형성된 보조본체부재와,
    상기 보조본체부재의 이동통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수용부재와,
    상기 내용물수용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제2내용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본체부재는,
    상기 본체부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 단부에 접하는 단턱이 형성된 제1보조본체와,
    상기 제1보조본체 내부로 이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이동통로가 형성된 제2보조본체와,
    상기 제1보조본체와 제2보조본체 사이에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이 혼합되어 배치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본체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헤드펌프와,
    일단이 상기 헤드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헤드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로우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로우의 타단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어 혼합된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본체 하부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홈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수용부재는,
    상기 제2보조본체의 이동통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에 삽입되고, 상기 제2내용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본체와,
    상기 이탈방지본체 하부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본체는,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동부재는,
    상기 본체부 하단이 삽입되는 제1회전몸체와,
    상기 제1회전몸체 내부로 이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고 회전하여, 상기 수용본체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회전몸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몸체는,
    내주면에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일단에 상기 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경사면 타단에 상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몸체는,
    내주면에 상기 제1홈 전방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2홈 후방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된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동부재는,
    상기 보조본체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구동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용물수용부재를 상승시키는 화장품 용기.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본체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내용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형상의 접착필름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20134156A 2022-10-18 2022-10-18 화장품 용기 KR10252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56A KR102526130B1 (ko) 2022-10-18 2022-10-18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56A KR102526130B1 (ko) 2022-10-18 2022-10-18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130B1 true KR102526130B1 (ko) 2023-04-27

Family

ID=8610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156A KR102526130B1 (ko) 2022-10-18 2022-10-18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1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135Y1 (ko) * 2002-05-31 2002-08-22 (주)코레드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101296574B1 (ko) * 2013-03-11 2013-08-14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325865B1 (ko) * 2012-11-20 2013-11-0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 용기
KR20160001844U (ko) 2014-11-20 2016-05-31 (주)아모레퍼시픽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KR102035519B1 (ko) * 2019-04-24 2019-10-23 (주)네스필러피케이지 듀얼 믹싱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135Y1 (ko) * 2002-05-31 2002-08-22 (주)코레드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101325865B1 (ko) * 2012-11-20 2013-11-0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 용기
KR101296574B1 (ko) * 2013-03-11 2013-08-14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60001844U (ko) 2014-11-20 2016-05-31 (주)아모레퍼시픽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KR102035519B1 (ko) * 2019-04-24 2019-10-23 (주)네스필러피케이지 듀얼 믹싱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4966A (en) Ready-for-sale container for transporting contact lenses, and contact lens provided for this container
KR200425584Y1 (ko)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JP4107921B2 (ja) 2種の物質の分離貯蔵・混合容器
EP4122606A1 (en) Double-walled container
US3782602A (en) Frozen water containers with liquid dispenser for camping
KR200473968Y1 (ko)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US20170043365A1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KR200477195Y1 (ko)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가 탈부착 가능한 화장품 펌프용기
ES2361946T4 (es) Cierre de recipiente que tiene un medio para introducir un aditivo en el contenido del recipiente.
KR200475965Y1 (ko) 이액형 용액을 혼합을 위한 화장용기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CN117015504A (zh) 自动倒盖容器
KR20130000273A (ko) 이종 내용물 보관 용기
KR102526130B1 (ko) 화장품 용기
WO2000038554A1 (en) Cosmetic compact
KR200348004Y1 (ko) 이종 원료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US3338459A (en) Container
KR200486192Y1 (ko) 스포이드가 장착된 혼합용 용기
KR20150037802A (ko) 병뚜껑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20210000217U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0266717Y1 (ko)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
KR200358811Y1 (ko) 푸시-업 디스펜서
KR102454687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