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687B1 - 자동캡 역립형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캡 역립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687B1
KR102454687B1 KR1020220057552A KR20220057552A KR102454687B1 KR 102454687 B1 KR102454687 B1 KR 102454687B1 KR 1020220057552 A KR1020220057552 A KR 1020220057552A KR 20220057552 A KR20220057552 A KR 20220057552A KR 102454687 B1 KR102454687 B1 KR 102454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valve
check valv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숙
이승민
Original Assignee
김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숙 filed Critical 김경숙
Priority to KR102022005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첫째, 회전 노브를 90°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회전 노브를 90°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신속하고 원활하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 작동 밸브의 토출구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운반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될 염려가 없다. 둘째, 작동 밸브의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개폐 정밀성이 뛰어나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셋째,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와는 달리, 내용물을 토출과 누출을 방지하는 개폐구조물의 사이즈가 용기 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 리필 시 리필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캡 역립형 용기{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본 발명은 용기 몸체를 눌러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 내용물의 토출(배출)이 매우 신속하고 원활하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 작동 밸브의 토출구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운반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며, 작동 밸브의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개폐 정밀성이 뛰어나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화장품, 액상의 세제, 액상의 샴푸와 린스와 같은 바디용품, 간장이나 식초 등 액상 소스류와 같은 내용물은 용기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적정량을 토출(배출)하여 사용한다.
대부분의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배출구)가 대부분 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지만, 용기 안에 소량의 내용물이 남을 경우, 용기의 바닥면에 그 소량의 내용물이 잔류하기 때문에 소량의 내용물을 상단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기가 어려워서 내용물 전량을 전부 사용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다수의 용기가 소량의 내용물이 남아 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내용물 일부가 낭비됨은 물론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하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용기가 제안되었는데,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 마개(지지 캡)의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테이블 위에 용기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용기 마개(지지 캡)의 하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용기 마개를 돌리면 토출구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 마개의 하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토출구 둘레가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내용물에 이물질이 섞이게 되는 위생상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또한, 토출구가 용기의 하단부에 형성되므로 액상의 내용물이 용기 하측으로 쏠리기 때문에 토출구가 개방되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내용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542590호 공보에는 "역립타입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며 사용자가 눌러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튜브타입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토출구(11)가 형성된 용기 몸체(10); 하면이 개방된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연통 되도록 용기 몸체(10)에 결합하며,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 캡(20);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의 둘레 또는 지지 캡(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단이 상기 지지 캡(2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하면 중앙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32)이 형성된 작동 노브(30);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작동 노브(30) 사이에 구비되며, 하단이 상기 상승된 상태의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폐쇄하는 차단부재(40); 및 중앙에서 테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이며, 중앙에 상기 차단부재(40)가 관통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차단부재(4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연통 및 연통 해제시키는 판막부재(50);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사용자가 작동 노브(30)를 하강시킴에 따라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이 차단부재(40)의 하단과 이격되면서 개방되고, 용기 몸체(10)를 누르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판막부재(50)의 형태가 변형되어 토출구(11)와 토출공(32)이 연통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반면에, 사용자가 누르던 용기 몸체(10)에서 손을 떼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판막부재(50)와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 사이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용기 몸체(10) 안으로 빨려들어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작동 노브(30)의 내측 면에 승강돌기(31)가 돌출 형성되고, 그 승강돌기(31)는 지지 캡(20)의 끼움단 관부(21)의 승강홈(27) 안에 삽입되며, 그 승강홈(27)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용기 몸체(10)에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작동 노브(30)를 돌려서 용기 몸체(10)로부터 하강시키는데, 이때 승강홈(27)을 따라 승강돌기(31)가 이동한다.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사용자가 일차적으로 작동 노브(30)를 돌려 하강시켜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개방한 후, 용기 몸체(10)를 눌러주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판막부재(50)의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므로 판막부재(50)의 테두리가 처지면서 지지 캡(20)의 끼움단 관부(21)의 내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내용물이 그 틈새를 통해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으로 흘러서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일차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개방한 후, 이차로 용기 몸체(10)를 눌러주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을 증가함으로써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성이므로,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임의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판막부재(50)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판막부재(50)가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임의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판막부재(50)에 의해서 내용물이 원활하게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많은 양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판막부재(50)가 오히려 장애가 되어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역립타입 용기에서는,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워 보관할 때), 우선 사용자는 작동 노브(3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켜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폐쇄하여야만 그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용기 몸체(10) 외부로 토출되지 않게 되는바, 사용자는 작동 노브(3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반드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역립타입 용기에서는, 작동 노브(30)를 사용 후 바로 상승시키지 않으면 판막부재(50)와 토출공(32) 사이에 잔류 내용물이 흘러나와 토출공(32) 주변이 오염되고 내용물이 말라서 굳을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357310호 공보에는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액체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액체용기의 캡 부분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와 나사 결합하는 캡(20)과, 상기 캡(20)과 용기(10)의 입구부 사이를 거쳐 용기(10) 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용기(10)를 누름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 폐쇄하도록 하는 개폐부재(30)로 이루어진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캡(20)의 중앙홀(21)에 삽입되도록 하부측으로부터 상부면으로 돌설된 원통형 돌림부(31a)와,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하부에 더 넓은 직경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캡(20)의 하부 내주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31b)와,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내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돌설된 한 쌍의 돌설판(31c)과,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액체 배출홀(31d)로 이루어진 회전 개폐부재(31)와;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회전 개폐부재(31)의 한 쌍의 돌설판(31c)이 삽입되어 회전 개폐부재(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부단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한 쌍씩 돌설된 두 개의 돌설대(32a)와, 상기 두 개의 돌설대(32a)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설되며, 하부단에 양측으로 돌설된 하부단 돌설대(32b)와, 하부측에 양측으로 돌설되어 그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원형판(32c)이 형성된 하부측 돌설대(32d)와, 상기 하부단 돌설대(32b)의 바로 상부에 형성된 원형 외주홈(32e)으로 이루어진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와; 중앙에 형성된 상부홀(33a)을 통해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상단이 삽입되고, 상기 캡(20)과 용기(10)의 사이에 삽입되는 원형부(33b)와, 상기 원형부(33b)의 하부 양측에 유자형으로 형성된 띠형부재(33c)와, 상기 띠형부재(33c)의 최하부면 중앙에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하부단 돌설대(32b)가 삽입되는 하부 슬릿홀(33d)과, 상기 띠형부재(33c)의 양측벽 내면에 내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원형판(32c)이 서로 맞접촉하도록 내측 원형판(33e)이 형성된 내부측 돌설대(33f)로 이루어진 용기 내부부재(33)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용기(10)를 누름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개폐부재(30)의 사이즈가 용기(10)의 입구보다 크기 때문에, 조립 시 또는 내용물 리필(refill) 시, 개폐부재(30)를 그 용기(10)의 입구 안으로 집어넣거가 빼내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다 사용하고, 다시 내용물을 리필하려고 할 때에, 내용물이 묻어있는 용기 내부부재(33)를 손으로 잡고 눌러 부피를 줄인 후, 용기(10)의 입구 속으로 삽입해야 하므로, 리필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동캡 개폐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으며, 조립이 까다로워서 조립성이 떨어지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 개시하지는 않았으나, 국내 등록특허 제10-2281936호에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자동캡 역립형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를 때, 용기 몸체 내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가 수직방향으로 하강을 하는 데,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이 적을 경우에는 토출압력이 작아서 작동 노브가 수직방향으로 신속하게 하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내용물 토출이 원활하지 못할 염려가 있으며,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가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는 데, 이때 장기간 사용으로 탄성부재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 작동 노브의 상승이 지연되어 내용물이 누출될 염려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57310호(등록일: 2014년 01월 23일) 국내 등록특허 제10-1542590호(등록일: 2015년 07월 31일) 국내 등록특허 제10-2281936호(등록일: 2021년 07월 20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회전 노브를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회전 노브를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신속하고 원활하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 작동 밸브의 토출구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운반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작동 밸브의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개폐 정밀성이 뛰어나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캡 역립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space)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vessel body); 상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센터에는 노브 거치홀이 형성되고, 외곽에는 바닥면에 역립하기 위한 거치용 플랜지가 형성되는 서포트 캡(support cap); 상기 노브 거치홀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노브(rotary knob); 상기 회전 노브 안에 삽입되고 센터에 토출구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를 누를 때, 상기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면서 개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부 센터에는 제1 체크밸브가 형성되고, 하부 외곽에는 내용물 토출 완료 후 탄성 복귀 시에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제2 체크밸브가 형성되고, 상부 외곽에는 오픈 모드(open mode)시에만 상기 제1 체크밸브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홈과 차단막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작동 밸브; 및 상기 제1 체결부에 거치되고 상기 서포트 캡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기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덮개;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여기서, 오픈 모드란 언로킹 모드를 말하며, 내용물 토출을 위해서 회전 노브를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밸브의 토출구를 오픈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클로즈 모드란 로킹 모드를 말하며, 회전 노브를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밸브의 토출구가 임으로 오픈될 수 없도록 차단하여 내용물이 잘못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회전 노브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유입홀은 상기 유입홈과 연통되지만, 상기 회전 노브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회전하여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유입홀은 차단막에 의해서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토출구를 통해서 임의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노브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는 경우, 내용물 토출을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를 누를 때에, 상기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 체크밸브가 탄성 변형하면서 개방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서 내용물을 토출하고, 내용물 토출 완료 이후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원위치로 탄성 복귀하면서 폐쇄되고, 상기 제2 체크밸브는 개방되어 상기 용기 몸체 안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캡은, 상기 노브 거치홀 내주에 상기 회전 노브의 수평 회전을 위하여 환형의 가이드 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턱에는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노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턱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스톱퍼에 스톱핑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노브는, 내주면을 따라 안착 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턱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노브 안에 상기 작동 밸브를 삽입하여 조립할 때에 상기 안착 턱에 지지하도록 상기 작동 밸브의 외주면을 따라 지지 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하도록 상기 지지 턱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밸브는 상기 회전 노브 안으로 삽입되고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갖는 밸브 몸체; 및 상기 밸브 몸체의 상단 외주에 형성되는 플랜지; 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상기 밸브 몸체의 내주면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입구부; 및 내용물 토출을 위하여 상기 입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slit); 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상기 밸브 몸체의 내주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슬릿(slit)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체크밸브의 형상은 상방으로 뾰족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머물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슬릿을 통해서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하단 외주면에 상기 제1 체결부에 거치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면의 센터에는 조립봉이 형성되고, 상면의 외곽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전 노브를 90°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회전 노브를 90°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신속하고 원활하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 작동 밸브의 토출구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운반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될 염려가 없다.
둘째, 작동 밸브의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개폐 정밀성이 뛰어나서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셋째,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와는 달리, 내용물을 토출과 누출을 방지하는 개폐구조물의 사이즈가 용기 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 리필 시 리필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액체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4는 종래 액체용기의 캡 부분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저면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분리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서포트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회전 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작동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A-A선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B-B선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오픈과 폐쇄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저면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분리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서포트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회전 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작동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B-B선 단면도이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오픈과 폐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몸체(vessel body)(110); 용기 몸체(vessel body)(1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서포트 캡(support cap)(120); 서포트 캡(support cap)(120)에 일정각도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노브(rotary knob)(130);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45)를 갖는 작동 밸브(140); 및 작동 밸브(14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용기 몸체(110)의 안에 설치되고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51)이 형성된 덮개(1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부연 설명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몸체(110)는 역립형 구조로 형성되는바, 그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 체결부(네크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 몸체(110)는 사용자가 눌러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튜브구조의 탄성 용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내부에 액상의 화장품, 액상의 세제, 액상의 샴푸와 린스와 같은 바디용품, 간장이나 식초 등 액상 소스류와 같은 내용물이 채워지는 탄성 용기로 형성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캡(support cap)(120)은 용기 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용기 몸체(110)를 테이블 등(미도시) 위에 세우기 위한 것으로,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상부가 용기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한다.
상기 서포트 캡(120)은 상부에 제1 체결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캡(support cap)(120) 센터에는 노브 거치홀(125)이 형성되고, 외곽에는 역립하기 위한 거치용 플랜지(127)가 형성된다.
또한,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노브(130)는 노브 거치홀(125) 안에 삽입 설치되며,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 노브(1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오픈 모드(open mode)라고 하고, 회전 노브(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클로즈 모드(close mode)라고 하기로 한다(도 6 참조).
여기서, 오픈 모드란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언로킹 모드를 말하며, 내용물 토출을 위해서 회전 노브(130)를 90°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밸브(140)의 토출구(145)를 오픈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클로즈 모드란 내용물을 토출할 수 없는 로킹 모드를 말하며, 회전 노브(130)를 90°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밸브(140)의 토출구(145)가 임으로 오픈될 수 없도록 하여 내용물이 잘못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도 13,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밸브(140)는 회전 노브(130) 안에 삽입되고 센터에 토출구(145)를 형성한다.
상기 작동 밸브(140)는 하부 센터에는 제1 체크밸브(14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 용기 몸체(110) 내의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면서 개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 밸브(140)는 하부 외곽에 내용물 토출 완료 후(용기 몸체(1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때) 탄성 복귀 시에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제2 체크밸브(142)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 밸브(140)는 상부 외곽에 오픈 모드(open mode)시에만 제1 체크밸브(141)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홈(143)과 차단막(144)이 일정각도(예를 들면, 90°)로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후술하는 덮개(150)의 유입홀(151)이 유입홈(143)과 연통될 때에는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반면에 덮개(150)의 유입홀(151)이 차단막(144)에 차단될 때에는 내용물 토출이 방지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50)는 제1 체결부(113)에 거치되고 서포트 캡(120)에 의해서 고정되며, 덮개(150) 상면에는 용기 몸체(110) 내의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51)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는, 회전 노브(130)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는 경우, 유입홀(151)이 유입홈(143)과 연통되어 토출구(145)를 통해서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지만, 회전 노브(13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어, 90°)로 회전하여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경우, 유입홀(151)이 차단막(144)에 의해서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토출구(145)를 통해서 임의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는, 상기 회전 노브(130)를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한 후, 내용물 토출을 위해서 사용자가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에, 용기 몸체(110) 내의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제1 체크밸브(141)가 탄성 변형하면서 개방하여 토출구(145)를 통해서 내용물을 토출하고, 제2 체크밸브(142)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내용물의 토출 완료 이후(용기 몸체(1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때), 제1 체크밸브(141)는 원위치로 탄성 복귀하면서 폐쇄되고, 제2 체크밸브(142)는 개방되어 토출된 내용물 양만큼 용기 몸체(110) 안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캡(120)의 저면에는 서포트 캡(120)를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토출구(145)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표시(open or close)가 형성된다(도 6에 도시).
상기 서포트 캡(120)은, 상기 노브 거치홀(125) 내주에 회전 노브(130)의 수평 회전을 위하여 환형의 가이드 턱(128)이 형성되고, 가이드 턱(128)에는 회전 노브(130)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29)가 형성되며, 회전 노브(13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턱(128)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스톱퍼(129)에 스톱핑되는 가이드 레일(131)이 형성될 수 있다(도 8 및 도 11에 도시).
또한, 상기 회전 노브(130)는, 그 내주면을 따라 안착 턱(132)이 형성되고 안착 턱(132)에는 결합돌기(133)가 형성되며, 회전 노브(130) 안에 작동 밸브(140)를 삽입하여 조립할 때에 안착 턱(132)에 지지하도록 작동 밸브(140)의 외주면을 따라 지지 턱(148)이 형성되고 결합돌기(133)가 삽입하도록 지지 턱(148)에는 결합홈(149)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35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이다(도 8 및 도 12에 도시).
또한, 상기 작동 밸브(140)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바, 회전 노브(130) 안으로 삽입되는 밸브 몸체(146), 및 밸브 몸체(146)의 상단 외주에 형성되는 플랜지(147)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체크밸브(141)는 밸브 몸체(146)의 내주면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141a), 경사부(141a)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입구부(141b), 및 내용물 토출을 위하여 상기 입구부(141b)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141c)로 구성될 수 있다(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
도 19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경사부(141a)를 통해서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구부(141b)는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되어 슬릿(141c)을 통해서 원활하게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되며, 반면에 내용물의 토출 완료 이후(용기 몸체(1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때)에는 상기 입구부(141b)는 탄력적으로 좁혀지면서 슬릿(141c)을 폐쇄하여 내용물 토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체크밸브(142)는 밸브 몸체(146)의 내주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41a)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슬릿(142c)을 형성한다(도 19에 도시).
도 19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체크밸브(142)는 내용물 토출시 탄력적으로 좁혀지면서 슬릿(142c)을 폐쇄하여 내용물 토출을 방지하는 반면에 내용물의 토출 완료 이후(용기 몸체(1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때)에는 상기 제2 체크밸브(142)는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되어 슬릿(142c)을 통해서 외부 공기를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체크밸브(142)의 형상이 상방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머물지 못하도록 하여 슬릿(142c)을 통해서 내용물이 쉽게 빠져나갈 수 없는 반면에 외부 공기를 쉽게 유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덮개(150)는 하단 외주면에 제1 체결부(113)에 거치되기 위한 플랜지(152)가 형성되며, 상면의 센터에는 조립봉(153)이 형성되고, 상면의 외곽에는 보강 리브(154)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립봉(153)은 조립시 상기 덮개(150)의 조립을 편하게 하기 위한 구조물이며, 보강 리브(154)는 덮개(150)의 내구성과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도 9 및 도 14에 도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용기 몸체(110)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135)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노브(130)를 반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오픈 모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한다(도 6 참조).
그 다음, 도 19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110)를 도 18과 같이 누르면, 용기 몸체(110)의 내부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내용물이 덮개(150)의 유입홀(151) 안으로 유입된 유입홈(143) 안으로 들어간다. 이때, 제1 체크밸브(141)가 탄성 변형하면서 개방하여 슬릿(141c)을 통해서 내용물을 토출하는 반면에, 제2 체크밸브(142)는 슬릿(142c)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여 내용물 누출을 방지한다.
내용물의 토출 완료 이후(용기 몸체(110)가 탄성 복귀될 때), 제1 체크밸브(141)는 원위치로 탄성 복귀하면서 슬릿(141c)을 폐쇄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반면에, 제2 체크밸브(142)는 슬릿(142c)을 개방하여 토출 내용물 양만큼 용기 몸체(110) 안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용기 몸체(110) 내부 압력 밸런스를 맞춘다.
그 다음, 내용물 누출을 방지하고자 사용자가 회전 노브(130)를 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클로즈 모드(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함으로써, 작동 밸브(140)의 토출구(145)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운반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110)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전 노브를 90°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회전 노브를 90°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신속하고 원활하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 작동 밸브의 토출구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운반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될 염려가 없다.
둘째, 작동 밸브의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개폐 정밀성이 뛰어나서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셋째,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와는 달리, 내용물을 토출과 누출을 방지하는 개폐구조물의 사이즈가 용기 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 리필 시 리필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자동캡 역립형 용기
110: 용기 몸체(vessel body)
111: 공간(space)
113: 제1 체결부
120: 서포트 캡(support cap)
120a: 개폐 표시부(display portion for open and close position)
123: 제2 체결부
125: 노브 거치홀
127: 거치용 플랜지(flange for install)
128: 환형의 가이드 턱(guide jaw)
129: 스톱퍼(stopper)
130: 회전 노브(rotary knob)
131: 가이드 레일(guide rail)
132: 안착 턱(landing jaw)
133: 결합돌기
140: 작동 밸브(operating valve)
141: 제1 체크밸브(first check valve portion)
141a: 한 쌍의 경사부(a couple of slant portion)
141b: 입구부(inlet portion)
142: 제2 체크밸브(secondary check valve portion)
143: 유입홈(inflow groove)
144: 차단막
145: 토출구(discharging hole)
146: 밸브 몸체
147: 플랜지(flange)
148: 지지 턱(support jaw)
149: 결합홈
150: 덮개(lid)
151: 유입홀(inflow hole)
152: 플랜지
153: 조립봉(assembly bar)
154: 보강 리브(reinforced rib)

Claims (7)

  1. 내부에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 체결부(113)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110); 상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123)가 형성되며, 센터에는 노브 거치홀(125)이 형성되고, 외곽에는 바닥면에 역립하기 위한 거치용 플랜지(127)가 형성되는 서포트 캡(120); 상기 노브 거치홀(125)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노브(130); 상기 회전 노브(130) 안에 삽입되고 센터에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45)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 상기 용기 몸체(110) 내의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면서 개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부 센터에는 제1 체크밸브(141)가 형성되고, 하부 외곽에는 내용물 토출 완료 후 탄성 복귀 시에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제2 체크밸브(142)가 형성되고, 상부 외곽에는 오픈 모드(open mode)시에만 상기 제1 체크밸브(141)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홈(143)과 차단막(144)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작동 밸브(140); 및 상기 제1 체결부(113)에 거치되고 상기 서포트 캡(120)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기 용기 몸체(110) 내의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51)이 형성되는 덮개(150);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노브(130)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내용물 토출을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에, 상기 용기 몸체(110) 내의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 체크밸브(141)가 탄성 변형하면서 개방하여 상기 토출구(145)를 통해서 내용물을 토출하고, 내용물 토출 완료 이후 상기 제1 체크밸브(141)는 원 위치로 탄성 복귀하면서 폐쇄되고, 상기 제2 체크밸브(142)는 개방되어 상기 용기 몸체(110) 안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130)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유입홀(151)은 상기 유입홈(143)과 연통되지만, 클로즈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유입홀(151)은 차단막(144)에 의해서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토출구(145)를 통해서 임의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캡(120)은, 상기 노브 거치홀(125) 내주에 상기 회전 노브(130)의 수평 회전을 위하여 환형의 가이드 턱(128)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턱(128)에는 상기 회전 노브(130)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29)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노브(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턱(128)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스톱퍼(129)에 스톱핑되는 가이드 레일(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130)는, 내주면을 따라 안착 턱(13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턱(132)에는 결합돌기(133)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노브(130) 안에 상기 작동 밸브(140)를 삽입하여 조립할 때에 상기 안착 턱(132)에 지지하도록 상기 작동 밸브(140)의 외주면을 따라 지지 턱(148)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33)가 삽입하도록 상기 지지 턱(148)에는 결합홈(14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밸브(140)는 상기 회전 노브(130) 안으로 삽입되는 밸브 몸체(146); 및 상기 밸브 몸체(146)의 상단 외주에 형성되는 플랜지(147);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체크밸브(141)는 상기 밸브 몸체(146)의 내주면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141a); 상기 경사부(141a)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입구부(141b); 및 내용물 토출을 위하여 상기 입구부(141b)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141c); 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체크밸브(142)는 상기 밸브 몸체(146)의 내주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41a)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슬릿(142c)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체크밸브(142)의 형상은 상방으로 뾰족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머물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슬릿(142c)을 통해서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150)는 하단 외주면에 상기 제1 체결부(113)에 거치되기 위한 플랜지(152)가 형성되며, 상면의 센터에는 조립봉(153)이 형성되고, 상면의 외곽에는 보강 리브(1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0220057552A 2022-05-11 2022-05-11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454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52A KR102454687B1 (ko) 2022-05-11 2022-05-11 자동캡 역립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52A KR102454687B1 (ko) 2022-05-11 2022-05-11 자동캡 역립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687B1 true KR102454687B1 (ko) 2022-10-13

Family

ID=835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552A KR102454687B1 (ko) 2022-05-11 2022-05-11 자동캡 역립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68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1675A (zh) * 2007-09-19 2009-03-25 林燕堂 倒立式软性瓶的防漏瓶盖结构
WO2013014559A1 (en) * 2011-07-25 2013-01-31 Jan Essebaggers Self closing flow control device with adjustable actuator element for container closures
KR20140010870A (ko) * 2012-07-17 2014-01-27 이영주 액체용기용 자동밸브가 장착된 캡의 개폐장치
KR101357310B1 (ko) 2012-08-27 2014-02-03 김형섭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KR101542590B1 (ko) 2014-02-13 2015-08-06 (주)장업시스템 역립타입 용기
US20170007005A1 (en) * 2014-02-17 2017-01-12 Carbonite Corporation Dispensers for viscous or pasty materials
KR20170122966A (ko) * 2016-04-28 2017-11-07 (주)장업시스템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KR101855954B1 (ko) * 2017-07-10 2018-05-09 김명호 2웨이 덕빌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KR102281936B1 (ko) 2021-03-08 2021-07-23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1675A (zh) * 2007-09-19 2009-03-25 林燕堂 倒立式软性瓶的防漏瓶盖结构
WO2013014559A1 (en) * 2011-07-25 2013-01-31 Jan Essebaggers Self closing flow control device with adjustable actuator element for container closures
KR20140010870A (ko) * 2012-07-17 2014-01-27 이영주 액체용기용 자동밸브가 장착된 캡의 개폐장치
KR101357310B1 (ko) 2012-08-27 2014-02-03 김형섭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KR101542590B1 (ko) 2014-02-13 2015-08-06 (주)장업시스템 역립타입 용기
US20170007005A1 (en) * 2014-02-17 2017-01-12 Carbonite Corporation Dispensers for viscous or pasty materials
KR20170122966A (ko) * 2016-04-28 2017-11-07 (주)장업시스템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KR101855954B1 (ko) * 2017-07-10 2018-05-09 김명호 2웨이 덕빌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KR102281936B1 (ko) 2021-03-08 2021-07-23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936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US7690524B2 (en) Bottle with multi-fold protective cover and leak-proof closure device
KR100916719B1 (ko) 화장품용기
US5165576A (en) Dispenser for measured quantities of liquid
BRPI0614706A2 (pt) fecho para recipiente de dispensação, e, recipiente de dispensação
AU2014300355A1 (en) Double-walled container
US20090302063A1 (en) Dosing Device for a Fluid
KR101542590B1 (ko) 역립타입 용기
JP2006036317A (ja) 定量注出器
KR102454687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477145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20040074164A (ko) 내용물 배출구조를 개선시킨 자동혼합 화장품 용기
KR20120131012A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101817675B1 (ko)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JP7477445B2 (ja) 回転式計量ポンプ
KR200429385Y1 (ko) 개폐가 용이한 물병용 뚜껑
JP3883162B2 (ja) 液体注出容器
KR20240002292A (ko) 자동 개폐 앰플 용기
JP4603657B2 (ja)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KR200383087Y1 (ko) 디스펜서 용기
JP2500828Y2 (ja) 吸上げポンプ付き容器
KR20100108714A (ko) 믹싱용기
KR102136588B1 (ko) 압력 개폐식 정량캡
KR200301585Y1 (ko) 병마개 조립체
KR200286406Y1 (ko) 액체보관용 재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