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588B1 - 압력 개폐식 정량캡 - Google Patents

압력 개폐식 정량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588B1
KR102136588B1 KR1020180044868A KR20180044868A KR102136588B1 KR 102136588 B1 KR102136588 B1 KR 102136588B1 KR 1020180044868 A KR1020180044868 A KR 1020180044868A KR 20180044868 A KR20180044868 A KR 20180044868A KR 102136588 B1 KR102136588 B1 KR 102136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cap
pressure
slit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495A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2018004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8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용기마개가 결합된 상태로 용기를 뒤집었을 때 용기로부터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채워진 후 용기를 바로 세운 후 용기마개를 분리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압력차에 의해 슬릿홈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한 압력 개폐식 정량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력 개폐식 정량캡{Pressure-Open type Required Quantity Supply Cap}
본 발명은 정량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용기마개가 결합된 상태로 용기를 뒤집었을 때 용기로부터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채워진 후 용기를 바로 세운 후 용기마개를 분리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압력차에 의해 슬릿홈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한 압력 개폐식 정량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참기름이나 식용유 더 나아가 시럽과 같은 의약품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 또는 소금이나 설탕 등의 분말상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의 개구부에는 캡(cap)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캡에는 용기 내부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용기가 기울어짐으로써 액상 또는 분말상의 내용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여 요리를 하거나 약품을 혼합할 때 용기에서 내용물이 원하는 양만큼만 토출되어야 원하는 비율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계량컵을 사용하거나 캡 자체에 계량을 위한 눈금을 표시하여 내용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경우에는 용기의 내용물을 계량컵이나 캡에 토출한 후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정확한 양의 내용물을 토출하기가 어려워 실제 토출된 내용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내용물이 과다하게 토출될 수 있고, 내용물의 과다 토출로 계량컵 및 그 외부가 오염되고 내용물의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덮개부에 외주면에서 신장된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캡 본체에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신장되는 피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이 피걸어맞춤부에 의해서 형성된 관통구멍에 걸림편을 관통하게 함과 아울러 피걸어맞춤부의 선단부 하측 가장자리부에 걸림편이 걸려지게 하여 덮개부와 캡 본체를 일체로 한, 정량캡에 대한 것으로, 용기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용기의 상단에 연결하고, 덮개부에 내용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하여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덮개부 내측에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캡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내캡은 단순히 캡의 덮개부가 계량컵의 작용만 수행하기 때문에 덮개부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점성 등으로 인해 배출되는 양이 일정치 않아 원하는 양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거나 덮개부 외측으로흘러내려 내용물의 낭비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는, 별이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고, 사용 시는 뚜껑을 개봉하거나 돌리거나 또는 압압하여 저장공간에 든 내용물을 낙하시키고, 음용 시는 저장공간을 주위로 조립된 배출대를 통하여 음용하도록 된 뚜껑의 배출대에는 체크벨브를 조립하여 구성한, 체크벨브를 수용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뚜껑은 체크벨브의 수용에 따라 사용 중 용기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아 어린아이나 노약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정량 배출의 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3은, 탄발력을 갖는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에 화장액이나 그 밖에 각종 세제, 신체 세정용품 등의 내용물 담겨지는 백을 이중 구조로 구성하고, 상부 결합부에 토출공을 갖는 노즐캡을 결합 구성하되, 상기 튜브에 튜브를 압착함에 따라 외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용 체크밸브와, 상기 노즐캡의 토출공에 백의 압착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용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튜브의 압착에 의한 펌핑 작동으로 백이 점차 압착되면서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구성된, 체크밸브에 의한 펌핑 기능을 갖는 이중구조 저장용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3의 경우 흡입용 체크밸브는 용기 자체에 형성되고 토출용 체크밸브가 용기 입구에 형성되는 등 2개의 체크밸브가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가성비가 낮고 사용상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량컵이나 분리형 계량 캡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용기 내의 내용물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고 원하는 양만큼 용이하게 조절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2웨이 덕빌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마개'가 개발된 바 있으며, 이는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는, 2개의 경로를 동시에 제어하되, 하나의 입력에 대하여 각 경로에 대한 개방과 폐쇄를 각각 반대로 제어하도록 하거나, 하나의 입력에 어느 한 경로는 개방시키고 다른 경로는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2웨이 덕빌밸브를 개시함과 아울러, 용기의 상면에 형성되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2웨이 덕빌밸브가 결합되는 내캡과, 상기 용기입구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내캡을 포위하는 커버캡을 포함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4의 2웨이 덕빌밸브는 내부 형상의 특성상 기밀이 잘 유지되지 않으며, 이를 포함하는 용기마개의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는 상승하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3480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39224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80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338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용기마개가 결합된 상태로 용기를 뒤집었을 때 용기로부터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채워진 후 용기를 바로 세운 후 용기마개를 분리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압력차에 의해 슬릿홈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한 압력 개폐식 정량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량캡은, 용기입구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용기마개에 의해 밀폐되고 용기를 뒤집을 경우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고 용기마개의 분리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정량캡으로서,
용기입구의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고 바닥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며 내용물이 채워지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내용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몸체의 구멍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유입 및 유출 차단을 위하여 압력차에 의해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홈이 구비되는 밸브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몸체는 상단 외주면을 따라 용기입구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걸림부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밸브체는 몸체의 구멍에 삽입 결합되고 바닥에 슬릿홈이 형성된 오목부와, 몸체의 구멍 주위에 걸쳐지도록 오목부의 상단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한다.
또, 슬릿홈은 둘 이상 형성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릿홈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도록 오목부의 저면 중앙에 오목홈이 형성된다.
또, 오목부는 상단에 플랜지가 연결되고 몸체의 구멍 내벽에 밀착되는 수직부와, 슬릿홈과 오목홈이 형성되는 평면 형태의 바닥부와, 수직부의 하단과 바닥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오목부는 오목홈에 작용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서는 슬릿홈이 개방되고 바닥부 상면에 작용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서는 슬릿홈이 개방되지 않도록 탄성을 구비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마개를 닫았을 때 몸체의 외주면과 용기입구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용기마개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용기마개는 상단 내측에서 돌출되어 몸체의 상단 안쪽에 밀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은 용기입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를 뒤집을 경우에 내용물이 채워지고 용기를 바로 세우더라도 내용물이 용기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용기마개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일정량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실제 배출된 내용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내용물이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의 과다 토출로 인한 용기입구 외부의 오염 및 내용물의 불필요한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제조 원가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몸체의 상단에 걸림부가 구비됨에 따라 용기입구로부터 쉽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용기의 내용물이 일정 이하인 경우에 몸체를 분리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의 구멍에 밸브체의 오목부가 삽입 결합되고 플랜지가 구멍 주위에 밀착되어 정량캡의 내용물이 용기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또한, 오목부의 바닥에 슬릿홈이 형성되고 그 저부에 오목홈이 형성됨에 따라 슬릿홈에 작용하는 압력이 달라지게 되어 압력차에 의해 슬릿홈이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밸브체가 탄성을 구비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용기의 내용물은 슬릿홈을 통해 정량캡으로 빠져나갈 수 있지만 정량캡의 내용물은 용기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어 정량캡의 몸체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용기를 바로 세우더라도 내용물이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용기입구에 체결되는 용기마개의 내주면 안쪽에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몸체와 용기입구의 상단에 밀착되므로 몸체의 외주면과 용기입구의 내주면 사이로 내용물이 유입되더라도 용기마개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누설되지 않게 된다.
또한, 용기마개에 결합부가 구비되어 몸체의 상단 안쪽에 밀착되므로 용기마개와 몸체의 결합력이 상승하고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의 분리 단면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이 구비된 용기에 용기마개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이 구비된 용기를 뒤집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에 내용물이 채워진 후 용기를 바로 세우고 용기마개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와 용기마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및 정량캡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개폐식 정량캡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채워지는 용기(30)의 용기입구(35)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용기마개(40)에 의해 밀폐되고 용기(30)를 뒤집을 경우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고 용기마개(40)의 분리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압력 개폐식 정량캡은, 용기입구(35)의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고 바닥면 중앙에 구멍(15)이 형성되며 내용물이 채워지는 원통 형상의 몸체(10)와; 내용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몸체(10)의 구멍(15)에 결합되고 몸체 및 용기로 내용물의 유입 및 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압력차에 의해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홈(25)이 구비되는 밸브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30)의 내용물은 밸브체(20)의 슬릿홈(25)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공급되고, 몸체(10)의 내용물은 밸브체(20)의 슬릿홈(25)을 통과하지 못해 용기(30)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몸체(10)와 밸브체(20)로 이루어진 정량캡의 내부 체적에 대응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슬릿홈(25)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공급된 내용물은 슬릿홈(25)에 의해 다시 용기로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밸브체는 몸체 및 용기로 내용물의 유입 및 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0)는 상단 외주면을 따라 용기입구(35)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걸림부(11)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를 용기입구(35)의 내측에 밀착 고정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용기(30)의 내용물이 일정 이하로 떨어져 내용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슬릿홈(25)을 개방시킬 수 없다면 내용물을 배출할 수가 없다. 따라서, 몸체(10)를 착탈식 구조로 형성하여 내용물이 일정 이하인 경우에는 용기입구(35)로부터 몸체(10)를 분리하여 용기(30)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걸림부(11)에 의해 몸체(10)가 용기입구(35)에 걸쳐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구멍(15)이 형성되는 몸체(10)의 바닥면은 밸브체(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밸브체(20)의 오목부(21)가 압입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부(21)의 높이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다.
밸브체(20)는 몸체(10)의 구멍(15)에 삽입 결합되고 바닥에 슬릿홈(25)이 형성된 오목부(21)와, 몸체(10)의 구멍(15) 주위에 걸쳐지도록 오목부(21)의 상단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22)를 포함한다. 이때, 오목부(21)는 몸체(10)의 구멍(15)에 압입 결합되어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랜지(22)는 몸체(10)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어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릿홈(25)은 하나만 형성되더라도 무방하지만, 둘 이상 형성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릿홈(25)이 하나만 형성될 경우 압력차에 의해 쉽게 개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슬릿홈(25)이 둘 이상 형성되어 서로 교차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 슬릿홈(25)이 교차하는 지점이 쉽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슬릿홈(25)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도록 오목부(21)의 저면 중앙에 오목홈(26)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릿홈(25)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고 그 저면에 오목홈(26)을 형성하게 되면, 용기(30)의 내용물에 의한 압력이 오목홈(65)에 집중되어 슬릿홈(25)을 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몸체(10)의 내용물에 의한 압력은 오목부(21) 전체에 분산되어 슬릿홈(25)을 개방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오목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단에 플랜지(22)가 연결되고 몸체(10)의 구멍(15) 내벽에 밀착되는 수직부(21a)와, 슬릿홈(25)과 오목홈(26)이 형성되는 평면 형태의 바닥부(21b)와, 수직부(21a)의 하단과 바닥부(21b)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경사부(2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0)의 내용물에 의한 압력이 오목부(21) 전체에 고르게 분산된다.
또한, 오목부(21)를 포함하는 밸브체(20)는 오목홈(26)에 작용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서는 슬릿홈(25)이 개방되고 바닥부(21b) 상면에 작용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서는 슬릿홈(25)이 개방되지 않도록 탄성을 구비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마개(40)는 용기입구(35)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마개(40)를 닫았을 때에는 몸체(10)의 외주면과 용기입구(35)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용기마개(4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재(42)가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10)의 외주면과 용기입구(35)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유입되더라도 용기마개(40)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실링부재(42)로 인해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또한, 용기마개(40)는 상단 내측에서 돌출되어 몸체(10)의 상단 안쪽에 밀착되는 결합부(41)를 구비한다. 용기마개(40)의 결합부(4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10)의 상단 안쪽에 밀착됨으로써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압력 개폐식 정량캡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30)의 용기입구(35) 내측에 몸체(10)와 밸브체920)로 이루어진 정량캡이 밀착 설치되고, 용기입구(35)에 용기마개(40)가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30)를 뒤집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밸브체(20)의 오목부(21) 저면에 형성된 오목홈(26)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21)에 형성된 슬릿홈(25) 사이가 벌어지면서 용기(30)의 내용물이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몸체(10) 내부의 공기가 개방된 슬릿홈(25)을 통해 용기(30)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용기마개(4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용기(30)의 내용물이 몸체(10)의 내부로 계속하여 유입된다.
하지만, 정량캡의 몸체(10)에 내용물이 모두 채워져 몸체(10)의 내부에 공기가 남지 않게 되면 용기(30)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용기(30)로부터 정량캡의 몸체(10)로 내용물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때,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30)가 플라스틱과 같은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용기(30)를 눌러 압력을 가해 줌으로써, 밸브체(20)의 슬릿홈(25)이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지만, 정량캡의 몸체(10)에 내용물이 모두 채워진 경우에는 용기(30)를 눌러 압력을 가하더라도 용기(30)의 내용물이 정량캡의 몸체(10)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캡의 몸체(10)에 내용물이 모두 채워지면, 용기(30)를 바로세워서 정량캡의 내용물을 배출할 준비를 하되, 용기마개(40)가 체결된 상태 그대로 용기(30)를 바로세워야 한다. 이 경우, 용기(30)의 상부에 공기층이 있어 몸체(10)에 채워진 내용물이 용기(30)로 누설될 수 있지만, 내용물에 의한 압력이 밸브체(20)의 오목부(21) 전체에 분산되므로 탄성에 의해 닫혀 있는 슬릿홈(25)이 개방되지 않고, 그로 인해 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30)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용기마개(40)의 결합부(41)가 몸체(10)의 상단 내측에 밀착되고, 실링부재(42)가 몸체(10) 및 용기입구(35)의 상단에 밀착되므로 용기마개(40)를 개방하지 않는 한, 정량캡의 몸체(10) 또는 용기(20)의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마개(40)를 분리하게 되면, 정량캡의 몸체(10) 내부에 채워진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걸림부
12 : 구멍 13 : 밸브체
21 : 오목부 21a : 수직부
21b : 바닥부 21c : 경사부
22 : 플랜지 25 : 슬릿홈
26 : 오목홈 30 : 용기
35 : 용기입구 40 : 용기마개
41 : 결합부 42 : 실링부재

Claims (9)

  1. 용기입구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용기마개에 의해 밀폐되고 용기를 뒤집을 경우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고 용기마개의 분리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정량캡으로서,
    용기입구의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고 바닥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며 내용물이 채워지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내용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몸체의 구멍에 결합되고 몸체 및 용기로 내용물유입 및 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압력차에 의해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홈이 구비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몸체는 상단 외주면을 따라 용기입구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걸림부가 연장 형성되고,
    밸브체는 몸체의 구멍에 삽입 결합되고 바닥에 슬릿홈이 형성된 오목부와, 몸체의 구멍 주위에 걸쳐지도록 오목부의 상단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용기마개를 닫았을 때 몸체의 외주면과 용기입구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용기마개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재가 설치되고,
    용기마개는 상단 내측에서 돌출되어 몸체의 상단 안쪽에 밀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개폐식 정량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릿홈은 둘 이상 형성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개폐식 정량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릿홈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도록 오목부의 저면 중앙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개폐식 정량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목부는 상단에 플랜지가 연결되고 몸체의 구멍 내벽에 밀착되는 수직부와, 슬릿홈과 오목홈이 형성되는 평면 형태의 바닥부와, 수직부의 하단과 바닥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개폐식 정량캡.
  5. 청구항 4에 있어서,
    오목부는 오목홈에 작용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서는 슬릿홈이 개방되고 바닥부 상면에 작용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서는 슬릿홈이 개방되지 않도록 탄성을 구비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개폐식 정량캡.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44868A 2018-04-18 2018-04-18 압력 개폐식 정량캡 Expired - Fee Related KR102136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68A KR102136588B1 (ko) 2018-04-18 2018-04-18 압력 개폐식 정량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68A KR102136588B1 (ko) 2018-04-18 2018-04-18 압력 개폐식 정량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495A KR20190121495A (ko) 2019-10-28
KR102136588B1 true KR102136588B1 (ko) 2020-07-22

Family

ID=6842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2136588B1 (ko) 2018-04-18 2018-04-18 압력 개폐식 정량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5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658Y1 (ko) * 2005-12-13 2006-03-03 김종중 마개용 패킹 부재
KR100732866B1 (ko) * 2001-01-08 2007-06-27 희원밀레니엄(주)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101710092B1 (ko) * 2015-05-13 2017-02-24 임효빈 2웨이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126A (ja) 2002-09-11 2004-04-02 Nifco Inc 定量キャップ
KR20030015186A (ko) * 2002-12-16 2003-02-20 이정민 액체정량 배출용기
KR20040039224A (ko) 2004-04-02 2004-05-10 이정민 체크벨브를 수용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
KR200464780Y1 (ko) 2011-07-22 2013-01-21 김홍배 체크밸브에 의한 펌핑 기능을 갖는 이중구조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66B1 (ko) * 2001-01-08 2007-06-27 희원밀레니엄(주)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200409658Y1 (ko) * 2005-12-13 2006-03-03 김종중 마개용 패킹 부재
KR101710092B1 (ko) * 2015-05-13 2017-02-24 임효빈 2웨이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495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428B2 (en) Volumetric metering fitment and package including the same
CN107444784B (zh) 具有改善的生产率和密封能力的异类内容物混合容器
US7350673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RU2505465C2 (ru) Раздат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EP2188205B1 (en) Refillable/reusable mixer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5199195B2 (ja) 計量注出容器
US8657159B2 (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JPH0364122B2 (ko)
US20100213220A1 (en) Closed loop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n improved throat plug assembly
WO1991013812A1 (en) Squeezable dispenser apparatus
CA2689229A1 (en) A self regulating supply vessel
EP3411299B1 (en) Dispensing systems
KR101855948B1 (ko) 2웨이 체크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EP3638426A1 (en) Hand pump with folding nozzle
US7222755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with flexible-T dip tube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US20070205224A1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having a dip tube with a rotatable leg
JP2020527115A (ja) 二方ダックビル弁付き容器栓体
KR102136588B1 (ko) 압력 개폐식 정량캡
KR20120077852A (ko) 튜브배출구내 공기역류방지기능을 갖춘 용기
WO2002076845A1 (fr) Clapet et recipient de liquide a clapet
GB2536886A (en) An Airless, Fluid dispensing assembly and system
KR20240001492U (ko) 2액형 액체 배출용기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US20060110205A1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with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