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292A - 자동 개폐 앰플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 앰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292A
KR20240002292A KR1020220079320A KR20220079320A KR20240002292A KR 20240002292 A KR20240002292 A KR 20240002292A KR 1020220079320 A KR1020220079320 A KR 1020220079320A KR 20220079320 A KR20220079320 A KR 20220079320A KR 20240002292 A KR20240002292 A KR 2024000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opening
clos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아
Original Assignee
이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아 filed Critical 이강아
Priority to KR102022007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292A/ko
Publication of KR2024000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 화장액, 샴푸 등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에 있어,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내부 용기(200)와;
펌프를 돕는 펌프 캡(100) 및 펌프 하단 캡(110)을 상단에 두며,
상기 외부 용기(210)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용기(2100) 입구의 나사 결합 되며 그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하단캡(340)과;
상기 캡(210)의 내측벽(200)에 결합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는 개구되며
하단캡(340) 내에 삽입되며 개폐 밸브 역할을 하는 플렉시블한 원형 부재(310)로서, 상단 중앙의 십자형 돌기(330)가 상기 중앙 홀에 이루어지며, 상단 중앙 돌기(330)는 하단 캡(35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3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개폐 앰플 용기{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mple container}
본 발명은 세제, 화장액, 샴푸 등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에 있어, 그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를 눌러 필요로 하는 양만큼 토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개폐 캡을 구성하되, 그 구성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간단하게 구성하도록 하는 그 액상의 내용물 액체용기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액의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에 있어, 그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를 눌러 필요로 하는 양만큼 토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개폐 캡을 구성하되, 그 구성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간단하게 구성하도록 하는 그 액상의 내용물 액체용기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병이나 플라스틱 용기내의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캡의 대표적인 구조로써 용기의 상부에 내 용물이 적당량 토출시킬 수 있도록 된 토출구의 측부로 힌지에 의해 그 토출구를 개폐하는 힌지 캡이 일반 적이었는데, 이러한 힌지 캡은 사용할 때마다 여닫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힌지부분 에 피로작동이 지속되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힌지 캡과 같이 용기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별도의 캡을 여닫는 작동을 하지 않고 용기의 측부를 누르거나 그 가압력을 해제하는 작동만으로 내용물의 토출을 개폐 제 어하는 자동 개폐 캡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 개폐장치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비싸 그 비용이 고스란히 구매자에게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의 자동 개폐장치는 용기 내부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액상의 내용물이 적게 수용될 수밖에 없었을 뿐만 아니라 개폐 포스트가 안내리브에 의 해 상, 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하더라도 길이가 너무 길어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으로 형성된 토출구에 개폐 를 위한 위치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6-0013908호 (액체용기의 자동 개폐장치, 2006년02월14일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0918호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2019년12월23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뚜껑인 캡을 열거나 분리하지 않고도 용기를 눌러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고, 용기를 누르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폐쇄 되도록 한 액체용기용 자동밸브가 장착된 캡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자동밸브가 장착된 캡의 개폐장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입구부와 관절 및 탄성부재와, 상기 캡과 용기의 입구부 사이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개폐하는 개폐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하단캡에 위치한 부재로서, 관절 및 탄성 부재와 플렉시블한 차단볼에 의해 탄성부재 밑기둥의 부재가 받침대의 역할을 하여 내용물 조절대로부터 멀어지며 마지막으로 하단 캡에 의해 토출구가 끼워지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의 플렉시블한 차단볼과 이와 맞닿는 내용물 조절대의 틈은 0.1mm도 없으며 이로 인해 내용물이 토출구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장치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펌프 캡과 상부 펌프 하단 캡이 결합되며 상기 내부 용기와 겉면에 위치한 상기 외부용기가 하단캡과 토출구에 결합되어 하나의 자동개폐 용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부에 위치한 상기 내부 용기는 다른 상기 내부 용기2로 교체가 가능하며 리필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체용기용 자동밸브가 장착된 캡의 개폐장치는 용기의 뚜껑인 캡을 분리하지 않고도 용기 내의 내용 물을 자동으로 배출시키고 폐쇄할 수 있는 자동밸브가 장착된 캡을 유통 중일 때나 여행시 휴대할 때 용기가 눌 려도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캡을 간편하게 밀폐시킬 수 있고 사용시에는 밀폐를 해제하여 용기를 누르기만 하면 내용물을 자동으로 배출,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앰플 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앰플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앰플 용기 자동캡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앰플 용기 자동캡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 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 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 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 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 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 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00 : 상부 펌프 캡 110 : 상부 펌프 하단 캡
200 : 상기 내부 용기 210 : 상기 외부 용기
300 : 관절 및 탄성 부재 310 : 차단볼
320 : 탄성부재 밑기둥 330 : 탄성부재 받침기둥
340 : 내용물 조절대 350 : 하단캡
360 : 토출구

Claims (3)

  1.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내부 용기(200)와;
    펌프를 돕는 펌프 캡(100) 및 펌프 하단 캡(110)을 상단에 두며,
    상기 외부 용기(210)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용기(2100) 입구의 나사 결합 되며 그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하단캡(340)과;
    상기 캡(210)의 내측벽(200)에 결합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는 개구되며
    하단캡(340) 내에 삽입되며 개폐 밸브 역할을 하는 플렉시블한 원형 부재(310)로서, 상단 중앙의 십자형 돌기(330)가 상기 중앙 홀에 이루어지며, 상단 중앙 돌기(330)는 하단 캡(35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360)에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받침기둥(330)의 상면은 상기 중앙홀을 향하며 탄성부재 밑기둥(230)을 지지하며 내용물 조절대(340)를 이용하여 자동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용기(210)를 재사용하여 상기 내부 용기(200)를 갈아 끼워 넣어 상기 외부 용기(210)를 재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앰플 케이스.

KR1020220079320A 2022-06-29 2022-06-29 자동 개폐 앰플 용기 KR2024000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20A KR20240002292A (ko) 2022-06-29 2022-06-29 자동 개폐 앰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20A KR20240002292A (ko) 2022-06-29 2022-06-29 자동 개폐 앰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292A true KR20240002292A (ko) 2024-01-05

Family

ID=8954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320A KR20240002292A (ko) 2022-06-29 2022-06-29 자동 개폐 앰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29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08A (ko) 2004-08-09 2006-02-14 삼안산업 주식회사 액체용기의 자동 개폐장치
KR102060918B1 (ko) 2019-05-23 2019-12-30 이영주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08A (ko) 2004-08-09 2006-02-14 삼안산업 주식회사 액체용기의 자동 개폐장치
KR102060918B1 (ko) 2019-05-23 2019-12-30 이영주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8233C2 (ru) Сильфонный насос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EP2295022B1 (en) Discharge container with filter
KR101571466B1 (ko)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US10974877B2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KR101622949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281936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20220102866A (ko) 리필 화장품 용기
KR102161468B1 (ko)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240002292A (ko) 자동 개폐 앰플 용기
JP2006240624A (ja) 注出容器
KR101383316B1 (ko) 액상 용기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0467361Y1 (ko)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KR102454687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1056644B1 (ko) 믹싱용기
JP5179990B2 (ja) 注出栓
KR102635684B1 (ko) 주류혼합을 위한 유리병 외부장착 노즐장치
JP2007069931A (ja) 内容物の収納容器
JP2500828Y2 (ja) 吸上げポンプ付き容器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JP2000142850A (ja) 吐出容器及びキャップ
KR101696777B1 (ko)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