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777B1 -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 Google Patents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777B1
KR101696777B1 KR1020150070409A KR20150070409A KR101696777B1 KR 101696777 B1 KR101696777 B1 KR 101696777B1 KR 1020150070409 A KR1020150070409 A KR 1020150070409A KR 20150070409 A KR20150070409 A KR 20150070409A KR 101696777 B1 KR101696777 B1 KR 101696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stopper
hole
shaf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634A (ko
Inventor
이한구
Original Assignee
현대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0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77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B65D47/44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combined with slits opening when container is deformed or when pad is pressed against surface to which contents are to be applied

Abstract

본 발명은 물파스 등과 같은 액상 약제를 피부에 도포 사용하는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을 개방하므로 액상 약제를 토출 사용하되, 용기 상부의 상부 마개(30) 내부에 형성되는 약제 저장공간부(35)와 용기 본체(10)를 하부 마개(20)의 약제 유입공(21)으로 연결 형성하고, 샤프트(40) 하부에 약제 유입공(21) 상부 위치로 슬리브(43)를 돌출 형성하여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 개방시 샤프트의 슬리브(43)가 약제 유입공(21)에 삽입되면서 액상 약제의 과다 공급됨을 방지함은 물론 액상 약제를 피부에 고르게 도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LIQUID MEDICAMENT CONTAINER}
본 발명은 물파스 등과 같은 액상 약제를 피부에 도포 사용하는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을 개방하므로 액상 약제를 토출 사용하되, 액상 약제의 과다 토출을 방지함은 물론 액상 약제를 피부에 고르게 도포 사용할 수 있는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약제 중에 물파스 등은 외용 도포제로 인체의 피부에 직접 도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액상 약제는 주로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에 담아 사용한다.
상기한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는 종래 다양한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용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마개 상부로 약제 토출공과 도포부를 형성하고, 상기 마개 내부에 누름 작동에 의해 탄발 승하강하면서 약제 토출공을 개폐하는 샤프트를 설치하여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샤프트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약제 토출공을 개방하므로 용기 내부의 약제가 약제 토출공을 통해 도포부로 공급되고, 상기 도포부를 피부에 문질러 액상 약제를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주던 상태에서 떨어뜨리면 샤프트가 탄발적으로 승강 복귀하면서 약제 토출공을 다시 차단하여 액상 약제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상 약제용기의 보관시에는 용기 상부로 마감 캡을 나사 결합하여 기밀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을 개방시 용기 본체의 액상 약제가 마개를 통해 약제 토출공으로 직접 토출되기 때문에 액상 약제가 너무 과다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액상 약제가 약제 토출공을 통해 도포부 중앙에만 집중 공급되기 때문에 액상 약제를 고르게 도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마감 캡이 단순 나사 결합되는 정도이어서 기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약제 토출공으로 유출되는 액상 약제나 도포부에 남아 있는 액상 약제의 잔량이 외부로 흘러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724140호 특허문헌 2: 등록실용 제20-03399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을 개방하므로 액상 약제를 토출 사용하되, 액상 약제의 과다 토출을 방지함은 물론 액상 약제를 피부에 고르게 도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액상 약제가 도포부 사방으로 분산 공급되어 피부에 고르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마감 캡 내,외측의 이중 슬리브에 의해 액상 약제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상 약제를 저장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내 삽입되게 안착 결합되는 하부 마개와; 상기 하부 마개 상부에 내 삽입되게 안착 결합되고 상부 중앙의 약제 토출공 외측에 도포부를 형성하는 상부 마개와; 상기 상부 마개 내부에 삽입되고 약제 토출공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눌러주면 하부 텐션부에 의해 탄발 승하강하면서 약제 토출공을 개폐하는 샤프트 및,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마감 결합되는 마감 캡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마개 내부에는 약제 저장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마개 하부에는 용기 본체와 약제 저장공간부를 연결하는 약제 유입공을 형성하여 용기 본체 내부의 액상 약제가 과다 공급됨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샤프트 하부에는 약제 유입공 상부 위치로 슬리브를 돌출 형성하여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 개방시 샤프트의 슬리브가 약제 유입공에 삽입되면서 액상 약제의 과다 공급됨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샤프트의 슬리브 하단과 하부 마개의 약제 유입공은 상광 하협의 경사부로 대응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마개의 약제 토출공 상부에는 단턱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 상부 등각 위치에 약제 분산홈을 형성하여 액상 약제를 사방으로 분산 공급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마개의 약제 토출공과 샤프트의 돌기부는 상협 하광의 경사부로 대응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마감 캡의 하부에는 중앙에 약제 토출공 상부를 기밀되게 밀착하는 중앙 슬리브와, 도포부 외측을 기밀되게 밀착하는 외측 슬리브가 이중으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을 개방하므로 액상 약제를 토출 사용하는데, 용기 본체 내부와 마개 내부의 약제 저장공간부를 약제 유입공으로 연결 형성하여 용기 본체 내부의 액상 약제가 마개를 통해 과다 공급됨을 방지하고, 액상 약제의 토출량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액상 약제를 피부에 고르게 도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액상 약제가 도포부 사방으로 분산 공급되어 피부에 고르게 도포할 수 있고, 마감 캡 내외측의 이중 슬리브 구조에 의해 약제 토출공으로 유출되거나 도포부에 남아 있는 액상 약제의 잔량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기밀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부 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샤프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상부 마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상 약제를 저장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내 삽입되게 안착 결합되는 하부 마개(20)와; 상기 하부 마개 상부에 내 삽입되게 안착 결합되고 상부 중앙의 약제 토출공(31) 외측에 도포부(33)를 형성하는 상부 마개(30)와; 상기 상부 마개 내부에 삽입되고 약제 토출공(31)으로 돌출되는 돌기부(41)를 눌러주면 하부 텐션부(45)에 의해 탄발 승하강하면서 약제 토출공(31)을 개폐하는 샤프트(40) 및,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마감 결합되는 마감 캡(50)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상부 마개(30) 내부에는 약제 저장공간부(35)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마개(20) 하부에는 용기 본체(10)와 약제 저장공간부(35)를 연결하는 약제 유입공(21)을 형성하여 용기 본체(10) 내부의 액상 약제가 과다 공급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40) 하부에는 약제 유입공(21) 상부 위치로 슬리브(43)를 돌출 형성하여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 개방시 샤프트의 슬리브(43)가 약제 유입공(21)에 삽입되면서 액상 약제의 과다 공급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샤프트(40)의 슬리브(43)는 하부 마개의 약제 유입공(21) 보다 작은 직경으로 약제 유입공(21)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약제 유입공(21)을 기밀 차단할 수도 있고, 약제 유입공(21)을 기밀 차단하지 않고 액상 약제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의 슬리브(43) 하단과 하부 마개의 약제 유입공(21)은 도 10에서와 같이 상광 하협의 경사부(43a)(21a)로 대응 형성하여 샤프트(40)의 하강 위치에 따라 약제 유입공(21)의 차단 정도가 달라지고 완전 하강시 기밀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마개(30)의 약제 토출공(31)과 상기 약제 토출공에 삽입되는 샤프트(40)의 돌기부(41)는 상협 하광의 경사부(31a)(41a)로 대응 형성하여 샤프트의 누름 정도에 따라 약제 토출공(3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마개(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토출공(31) 상부에 단턱부(3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 상부 등각 위치에 약제 분산홈(32a)을 형성하여 액상 약제를 사방으로 분산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마개(30)의 도포부(33)는 약제 토출공(31) 외측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브러쉬를 일체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패드 결합 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약제를 도포할 수 있는 도포부의 재질이나 형상의 단순 변경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마감 캡(50)의 하부에는 중앙에 약제 토출공(31) 상부를 기밀되게 밀착하는 중앙 슬리브(51)와, 도포부(33) 외측을 기밀되게 밀착하는 외측 슬리브(52)가 이중으로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5는 나사 결합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액상 약제를 도포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마감 캡(50)을 분리하고 용기 본체(10) 뒤집어 도포부(33)를 피부에 접촉시킨다.
이 과정 중에 용기 본체(10) 내부의 액상 약제가 하부 마개(20)의 약제 유입공(21)을 통해 상부 마개(30) 내부의 약제 저장공간부(35)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포부(33)를 피부에 눌러주면, 약제 토출공(31)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샤프트(40)의 돌기부(41)가 하부 텐션부(45)를 탄발 가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40)의 돌기부(31)가 하강하면서 약제 토출공(31)을 개방하므로 약제 저장공간부(35)의 액상 약제를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샤프트(40)가 하강하면서 약제 토출공(31)을 개방하므로 액상 약제를 토출하되, 종래와 같이 용기 본체(10) 내부의 액상 약제가 직접 유입 토출되는 것이 아니라 용기 본체(10) 내부에서 약제 유입공(21)을 통해 약제 저장공간부(35)를 거친 후 토출되기 때문에 액상 약제의 과다 토출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샤프트(40) 하강에 의한 약제 토출공(31) 개방시 샤프트 하부의 슬리브(43)가 약제 유입공(21)으로 삽입되면서 용기 본체(10) 내부의 액상 약제가 약제 저장공간부(35)로 유입됨을 방해하므로 약제 저장공간부(35)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 약제에 한하여 원활히 공급되기 때문에 액상 약제의 과다 공급을 더욱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40)를 눌러 주는 정도에 따라 액상 약제의 토출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상부 마개(30)의 약제 토출공(31)과 샤프트(40)의 돌기부(41)에 상협 하광의 경사부(31a)(41a)로 대응 형성하여 샤프트를 눌러주는 정도에 따라 돌기부(41)의 경사부(41a)가 약제 토출공(31)의 경사부(31a)에서 이격되면서 약제 토출공(3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므로 액상 약제의 토출량도 완급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샤프트를 많이 누르게 되면 액상 약제가 많이 토출되고 적게 누르면 액상 약제가 적게 토출되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40)의 슬리브(43) 하단과 하부 마개의 약제 유입공(21)에도 상광 하협의 경사부(43a)(21a)로 대응 형성하여서 샤프트를 눌러 약제 토출공(31) 개방시 슬리브(43) 하단의 경사부(43a)가 약제 유입공(21)의 경사부(21a)에 기밀 밀착하면서 용기 본체(10)의 액상 약제가 약제 저장공간부(35)로 유입됨을 완전 차단하여 액상 약제의 과다 공급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40)를 눌러 약제 토출공(31)을 개방하므로 액상 약제를 적정량 토출하여 도포부(33)에 의해 피부에 문질러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약제 토출공(31) 상부로 돌출되는 단턱부(32)에 등각 위치로 약제 분산홈(32a)을 형성하기 때문에 액상 약제가 도포부 중앙과 함께 사방으로 분산 공급되면서 피부에 고르게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액상 약제를 도포한 후 사용 중지시에는 도포부(33)를 피부에서 떨어뜨리면 샤프트(40)의 돌기부(41)가 하부 텐션부(45)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 상승하면서 약제 토출공(31)을 다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한 후 용기 본체(10) 상부에 마감 캡(50)을 나사 결합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상기 마감 캡(50) 하부 중앙의 중앙 슬리부(51)가 약제 토출공(31)의 상부를 기밀되게 밀착하고, 하부 외측의 외측 슬리브(52)가 도포부(33) 외측을 기밀되게 밀착하면서 이중 기밀하므로 약제 토출공(31)으로 유출되거나 도포부(33)에 남아 있는 액상 약제의 잔량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10: 용기 본체 20: 하부 마개
21: 약제 유입공 30: 상부 마개
31: 약제 토출공 21a, 31a, 41a, 43a: 경사부
32: 단턱부 32a: 약제 분산홈
33: 도포부 35: 약제 저장공간부
40: 샤프트 41: 돌기부
43: 슬리브 45: 하부 텐션부
50: 마감캡 51: 중앙 슬리브
52: 외측 슬리브

Claims (6)

  1. 내부에 액상 약제를 저장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내 삽입되게 안착 결합되는 하부 마개(20)와; 상기 하부 마개 상부에 내 삽입되게 안착 결합되고 상부 중앙의 약제 토출공(31) 외측에 도포부(33)를 형성하는 상부 마개(30)와; 상기 상부 마개 내부에 삽입되고 약제 토출공(31)으로 돌출되는 돌기부(41)를 눌러주면 하부 텐션부(45)에 의해 탄발 승하강하면서 약제 토출공(31)을 개폐하는 샤프트(40) 및,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마감 결합되는 마감 캡(50)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마개(30) 내부에는 약제 저장공간부(35)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마개(20) 하부에는 용기 본체(10)와 약제 저장공간부(35)를 연결하는 약제 유입공(21)을 형성하여 용기 본체(10) 내부의 액상 약제가 과다 공급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40) 하부에는 약제 유입공(21) 상부 위치로 슬리브(43)를 돌출 형성하여 용기 상부를 피부에 눌러 약제 토출공 개방시 샤프트의 슬리브(43)가 약제 유입공(21)에 삽입되면서 액상 약제의 과다 공급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슬리브(43) 하단과 하부 마개의 약제 유입공(21)은 상광 하협의 경사부(43a)(21a)로 대응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개(30)의 약제 토출공(31) 상부에는 단턱부(3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 상부 등각 위치에 약제 분산홈(32a)을 형성하여 액상 약제를 사방으로 분산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개(30)의 약제 토출공(31)과 샤프트(40)의 돌기부(41)는 상협 하광의 경사부(31a)(41a)로 대응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캡(50)의 하부에는 중앙에 약제 토출공(31) 상부를 기밀되게 밀착하는 중앙 슬리브(51)와, 도포부(33) 외측을 기밀되게 밀착하는 외측 슬리브(52)가 이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6. 삭제
KR1020150070409A 2015-05-20 2015-05-20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KR101696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409A KR101696777B1 (ko) 2015-05-20 2015-05-20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409A KR101696777B1 (ko) 2015-05-20 2015-05-20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34A KR20160136634A (ko) 2016-11-30
KR101696777B1 true KR101696777B1 (ko) 2017-01-16

Family

ID=5770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409A KR101696777B1 (ko) 2015-05-20 2015-05-20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010B1 (ko) * 2020-07-09 2022-07-25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약액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166A (ja) * 2001-10-26 2003-05-08 Johnson Co Ltd 塗布ノズル付き容器
JP2004306999A (ja) * 2003-04-04 2004-11-04 Furoorekkusu:Kk 液体塗布容器の蓋部構造
JP2008136917A (ja) * 2006-11-30 2008-06-19 Yoshino Kogyosho Co Ltd 刷毛付き塗布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912Y1 (ko) 2003-10-24 2004-01-28 노영수 도포용팁이 장착된 액상물 도포용기
KR100724140B1 (ko) 2005-09-02 2007-06-07 아일수지공업 주식회사 액상 약제용기용 도포마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166A (ja) * 2001-10-26 2003-05-08 Johnson Co Ltd 塗布ノズル付き容器
JP2004306999A (ja) * 2003-04-04 2004-11-04 Furoorekkusu:Kk 液体塗布容器の蓋部構造
JP2008136917A (ja) * 2006-11-30 2008-06-19 Yoshino Kogyosho Co Ltd 刷毛付き塗布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34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55Y1 (ko)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571466B1 (ko)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US7325708B2 (en) Ocular positioning droplet dispensing device with a recessed dispensing orifice
JP6323726B2 (ja) 真空ポンプが具備された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KR200438541Y1 (ko)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EP3718914B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KR101696777B1 (ko)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KR102161468B1 (ko)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310297B1 (ko) 화장품 용기
KR20130137331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JP4001364B2 (ja) 注出容器
JP4449412B2 (ja) 定量注出塗布容器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102188196B1 (ko) 화장품 용기
CN211095897U (zh) 一种带按摩滚珠的容器
KR102104248B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JP4037145B2 (ja) 櫛型塗布容器
JP2005334559A (ja) 液塗布用具
KR20160133703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210014354A (ko) 원터치 개폐방식으로 약액이 공급되는 두피 케어용 어플리케이터
KR102415057B1 (ko) 펌프 용기용 누름버튼의 밀폐장치
KR20200036654A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2591205B1 (ko) 개선된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2087550B1 (ko) 화장품 용기
US20220312933A1 (en) Cosmetic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