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010B1 - 약액 용기 - Google Patents

약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010B1
KR102425010B1 KR1020200084549A KR20200084549A KR102425010B1 KR 102425010 B1 KR102425010 B1 KR 102425010B1 KR 1020200084549 A KR1020200084549 A KR 1020200084549A KR 20200084549 A KR20200084549 A KR 20200084549A KR 102425010 B1 KR102425010 B1 KR 102425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cap
cone hea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761A (ko
Inventor
오지영
김인호
구자홍
전양원
김관영
이경민
천경화
최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주식회사 대웅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to KR1020200084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용된 약액의 증발 또는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약액 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약액 용기는 수용부, 홀더부, 인서트부, 안내관, 브러시 조립체 그리고 캡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수용 용기의 개구를 형성하는 연결넥을 가진다. 홀더부는 연결넥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정구와, 고정구와 연결되고 수용 용기의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콘 헤드를 가진다. 인서트부는 고정구의 내측에 구비되고, 축방향을 따라 결합홀이 관통 형성된다. 안내관은 결합홀에 결합되고, 콘 헤드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수용 용기의 약액이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브러시 조립체는 안내관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콘 헤드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며, 안내관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의해 적셔진다. 캡부는 연결넥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구와, 결합구와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브러시 조립체 및 콘 헤드를 수용하는 캡을 가진다. 캡부는 콘 헤드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캡의 내주면에 축관 형성되어 콘 헤드와의 사이에 제1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이너링을 가지고,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연결넥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연결넥과의 사이에 제2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제1가압돌기를 가지며, 제2결합력은 제1결합력보다 크다.

Description

약액 용기{LIQUID MEDICINE CONTAINER}
본 발명은 약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된 약액의 증발 또는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약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형태의 약품, 즉, 약액이 수용되는 약액 용기는 유통과정에서 약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을 위해 용기를 개봉한 후, 보관중에도 약액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가 기밀하게 밀봉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약액 용기는 밀봉구조가 취약하여 유통과정에서 약물이 누출되거나, 사용을 위해 용기를 개봉한 후, 보관중에 약액이 증발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0639호(2012.04.27.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세하게는 수용된 약액의 증발 또는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약액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의 개구를 형성하는 연결넥을 가지는 수용부; 상기 연결넥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콘 헤드를 가지는 홀더부;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구비되고, 축방향을 따라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인서트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콘 헤드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용기의 약액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콘 헤드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안내관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의해 적셔지는 브러시 조립체; 상기 연결넥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와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상기 브러시 조립체 및 상기 콘 헤드를 수용하는 캡을 가지는 캡부; 상기 결합홀에 채워지고 경화되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상기 안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콘 헤드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캡의 내주면에 축관 형성되어 상기 콘 헤드와의 사이에 제1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이너링을 가지고, 상기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넥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넥과의 사이에 제2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제1가압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결합력은 상기 제1결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안내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은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얼라인 돌기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돌기는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안내관이 상기 결합홀과 동심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상기 고정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넥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밀착링을 가지고, 상기 캡부는 상기 결합구 및 상기 캡을 연결하고 상기 밀착링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구가 상기 연결넥과 나사 결합 시에 상기 밀착링을 상기 연결넥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구를 가지며, 상기 밀착링에는 상기 가압구를 가압하는 제2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3가압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링 및 콘 헤드 사이가 기밀되고, 제1가압돌기 및 연결넥 사이가 기밀되고, 제2가압돌기 및 가압구 사이가 기밀되고, 제3가압돌기 및 고정구 사이가 기밀될 수 있기 때문에, 약액의 증발 및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압돌기 및 연결넥 사이에 발생하는 제2결합력이 이너링 및 콘 헤드 사이에 발생하는 제1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약액 용기의 조립 공정에서, 홀더부의 콘 헤드가 이너링에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를 연결넥에 결합하면 캡부와 함께 홀더부도 연결넥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액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홀더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인서트부 및 안내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인서트부 및 안내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인서트부 및 안내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인서트부 및 안내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인서트부 및 안내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브러시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캡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캡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약액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홀더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설정하여 설명하며, 상 방향에 대해서는 상단/상단부/상향/상측의 용어를 사용하고, 하 방향에 대해서는 하단/하단부/하향/하측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액 용기는 수용부(100), 홀더부(200), 인서트부(300), 안내관(400), 브러시 조립체(500) 그리고 캡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수용 용기(110) 및 연결넥(120)을 가질 수 있다. 수용 용기(110)에는 약액이 수용될 수 있다. 연결넥(120)은 수용 용기(1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수용 용기(110)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121)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200)는 고정구(210) 및 콘 헤드(220)를 가질 수 있다. 고정구(210)는 연결넥(1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구(210)의 외주면에는 제1가압돌기(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가압돌기(211)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10)가 연결넥(12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 제1가압돌기(211)는 연결넥(12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홀더부(200)와 연결넥(12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정구(210)와 연결넥(120) 사이가 기밀되어 약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콘 헤드(220)는 고정구(2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수용 용기(110)의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콘 헤드(220)는 상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200)는 밀착링(230) 및 걸림링(240)을 가질 수 있다. 밀착링(230)은 고정구(2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10)가 연결넥(120)에 삽입되면, 밀착링(230)은 연결넥(120)의 상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밀착링(230)의 상면에는 제2가압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가압돌기(231)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링(240)은 콘 헤드(220)의 하단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걸림링(240)에는 브러시 조립체(500)의 베이스(510)가 걸릴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러시 조립체(500)가 콘 헤드(220)를 통해 외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인서트부(300)는 고정구(2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310)을 가질 수 있다.
안내관(400)은 결합홀(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콘 헤드(22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내관(400)은 수용 용기(110)의 약액이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인서트부 및 안내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인서트부 및 안내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인서트부 및 안내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인서트부(300)의 결합홀(310)은 안내관(400)의 외경(D2)보다 큰 내경(D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관(400)은 결합홀(310)의 상측에서 결합홀(3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약액 용기는 고정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재(700)는 안내관(400)이 결합홀(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홀(310)에 채워지고 경화되어 결합홀(310)에 삽입된 안내관(4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재(700)로는 에폭시(Epoxy)가 사용될 수 있다.
결합홀(310)의 상단부에는 확경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확경부(312)는 상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안내관(400) 및 고정재(700)가 결합홀(3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도울 수 있다.
인서트부(300)는 스토퍼(315)를 더 가질 수 있다. 스토퍼(315)는 결합홀(310)의 하단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15)는 안내관(400)의 내경(D1)에 대응되는 내용(D4)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내관(400)이 결합홀(310)에 삽입되었을 때, 안내관(400)의 하단부는 스토퍼(315)에 걸려 하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내관(400)의 하단부가 결합홀(310)을 관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홀(310)의 내주면은 요철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홀(310)에 고정재(700)가 채워지고 경화되었을 때, 고정재(700)가 결합홀(310)에서 빠져 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인서트부(300)는 제3가압돌기(330)를 가질 수 있으며, 제3가압돌기(330)는 인서트부(3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부(300)가 고정구(2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 제3가압돌기(330)는 고정구(21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인서트부(300)와 고정구(21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서트부(300)와 고정구(210) 사이가 기밀되어 약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부(300)는 플랜지(320)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320)는 인서트부(300)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20)는 고정구(210)의 하단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서트부(30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구(2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인서트부 및 안내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인서트부 및 안내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부의 결합홀과 관련된 형상이 전술한 결합홀의 형상과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300)에서는 결합홀(310)의 내경(D3)이 안내관(400)의 외경(D2)보다는 크면서, 내주면이 동일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부(300)는 얼라인 돌기(311)를 더 가질 수 있다. 얼라인 돌기(311)는 결합홀(310)의 내주면에에 부분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안내관(400)이 결합홀(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재(700)가 결합홀(310)로 주입되면, 주입되는 고정재(700)는 얼라인 돌기(311)에 부딪혀 얼라인 돌기(31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라지면서 주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재(70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균일하게 결합홀(310)에 채워질 수 있다.
얼라인 돌기(311)는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얼라인 돌기(311)의 끝점을 지나는 가상의 원(VC)의 지름(D5)이 안내관(400)의 외경(D2)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홀(310)에 안내관(400)이 삽입되면, 각각의 얼라인 돌기(311)가 안내관(4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안내관(400)이 결합홀(310)과 동심을 가지도록 될 수 있다.
도 10은 도 4에 브러시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10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브러시 조립체(500)는 베이스(510) 및 브러시(520)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5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10)는 외측 지름이 홀더부(200)의 고정구(210)의 내측지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10)의 하면은 인서트부(30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베이스(510)의 상면은 홀더부(200)의 걸림링(240)의 하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510)는 중앙에 관통홀(51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511)은 안내관(4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520)는 베이스(5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520)는 하단부가 베이스(510)의 상면에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브러시 조립체(500)가 홀더부(200)의 내측에 구비되었을 때, 브러시(520)는 안내관(40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콘 헤드(220)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브러시(520)는 안내관(400)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의해 적셔질 수 있다. 일 예로, 약액은 무좀약일 수 있으며, 무좀약은 브러시(520)에 적셔질 수 있고, 사용자는 브러시(520)를 이용하여 환부에 무좀약을 손쉽게 바를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캡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캡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캡부(600)는 결합구(610) 및 캡(620)을 가질 수 있다.
결합구(610)는 연결넥(120)의 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610)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121)과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6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610)의 외주면에는 널링(611)이 형성될 수 있다.
캡(620)은 결합구(6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브러시 조립체(500) 및 콘 헤드(220)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캡부(600)는 가압구(630)를 가질 수 있다. 가압구(630)는 결합구(610) 및 캡(620)을 연결할 수 있다. 캡부(600)가 연결넥(120)에 결합되면 가압구(630)는 홀더부(200)의 밀착링(23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결합구(610)가 연결넥(120)과 나사 결합 시에, 가압구(630)는 밀착링(230)의 상면을 가압하여 밀착링(230)을 연결넥(12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밀착링(230)의 상면에 형성된 제2가압돌기(231)는 가압구(630)를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밀착링(230)과 가압구(630) 사이가 기밀되어 약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캡부(600)는 이너링(640)을 가질 수 있다. 이너링(640)은 캡(6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링(640)은 일단부는 캡(6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결합구(6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너링(640)은 결합구(610) 방향으로 갈수록 축관 형성될 수 있다. 이너링(640)의 내측으로 콘 헤드(22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너링(640)의 타단부의 내경(D7)은 콘 헤드(220) 상단부의 외경(D6)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콘 헤드(220)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면 콘 헤드(220)를 가압하여 콘 헤드(220)와의 사이에 제1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너링(640)과 콘 헤드(220) 사이가 기밀되어 약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너링(640) 및 콘 헤드(220) 사이가 기밀되고, 제1가압돌기(211) 및 연결넥(120) 사이가 기밀되고, 제2가압돌기(231) 및 가압구(630) 사이가 기밀되고, 제3가압돌기(330) 및 고정구(210) 사이가 기밀될 수 있기 때문에, 약액의 증발 및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너링(640) 및 콘 헤드(220) 사이에 발생하는 제1결합력과, 제1가압돌기(211) 및 연결넥(120) 사이에 발생하는 제2결합력을 비교하면, 제2결합력이 제1결합력보다 큼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연결넥(120)에 나사 결합된 캡부(600)를 풀었을 때, 홀더부(200)는 캡부(600)와 함께 빠지지 않고 연결넥(12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약액 용기의 조립 공정에서, 홀더부(200)의 콘 헤드(220)가 이너링(6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600)를 연결넥(120)에 결합하면 캡부(600)와 함께 홀더부(200)도 연결넥(120)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용부 200: 홀더부
220: 콘 헤드 210: 고정구
211: 제1가압돌기 230: 밀착링
231: 제2가압돌기 240: 걸림링
300: 인서트부 310: 결합홀
311: 얼라인 돌기 315: 스토퍼
330: 제3가압돌기 400: 안내관
500: 브러시 조립체 520: 브러시
600: 캡부 620: 캡
630: 가압구 640: 이너링
700: 고정재

Claims (8)

  1.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의 개구를 형성하는 연결넥을 가지는 수용부;
    상기 연결넥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콘 헤드를 가지는 홀더부;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구비되고, 축방향을 따라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인서트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콘 헤드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용기의 약액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콘 헤드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안내관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의해 적셔지는 브러시 조립체;
    상기 연결넥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와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상기 브러시 조립체 및 상기 콘 헤드를 수용하는 캡을 가지는 캡부; 그리고
    상기 결합홀에 채워지고 경화되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상기 안내관을 고정시키는 고정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콘 헤드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캡의 내주면에 축관 형성되어 상기 콘 헤드와의 사이에 제1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이너링을 가지고,
    상기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넥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넥과의 사이에 제2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제1가압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결합력은 상기 제1결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안내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은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얼라인 돌기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돌기는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안내관이 상기 결합홀과 동심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고정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넥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밀착링을 가지고,
    상기 캡부는
    상기 결합구 및 상기 캡을 연결하고 상기 밀착링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구가 상기 연결넥과 나사 결합 시에 상기 밀착링을 상기 연결넥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구를 가지며,
    상기 밀착링에는 상기 가압구를 가압하는 제2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3가압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용기.
KR1020200084549A 2020-07-09 2020-07-09 약액 용기 KR102425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49A KR102425010B1 (ko) 2020-07-09 2020-07-09 약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49A KR102425010B1 (ko) 2020-07-09 2020-07-09 약액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61A KR20220006761A (ko) 2022-01-18
KR102425010B1 true KR102425010B1 (ko) 2022-07-25

Family

ID=8005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49A KR102425010B1 (ko) 2020-07-09 2020-07-09 약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0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22Y1 (ko) * 2011-12-07 2013-04-0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865A (ko) * 2008-08-05 2010-02-16 정만택 액상 용기
KR101221314B1 (ko) 2010-10-19 2013-01-10 김준배 약액 적하용기
KR200466740Y1 (ko) * 2011-02-24 2013-05-09 이후만 염모제 용기
KR20140022878A (ko) * 2011-05-23 2014-02-25 도쿄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용기
KR101696777B1 (ko) * 2015-05-20 2017-01-16 현대약품 주식회사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22Y1 (ko) * 2011-12-07 2013-04-0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61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932B1 (ko) 의료용 주사기를 위한 마개 부재
JP5981535B2 (ja) 受容体及び容器間の接続のための装置、及び、こうした装置を組み立て且つ使用する方法
US8534477B2 (en) Closure system for containers
KR0153427B1 (ko) 약제 용기
JP2008525122A (ja) 静脈内流体容器用のポート閉鎖システム
JP2017064528A (ja) 再構成デバイス
JP3128237U (ja) ノズル構造体およびインク補充キット
US8529519B2 (en) Tight-sealing cap for liquid drug-expelling part
KR102425010B1 (ko) 약액 용기
US11730250B2 (en)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20200129228A (ko)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KR101868822B1 (ko) 조립성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바이알 캡 및 이를 구비한 바이알 용기
JP5100526B2 (ja) 容器栓部材および薬液容器
KR101494698B1 (ko) 니들허브 이탈방지캡
KR101869465B1 (ko)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캡
JP4290297B2 (ja) 混合型エアゾール用容器
JPH06210235A (ja) 接着剤滴出容器の打込式滴出ノズル
JP2002159559A (ja) 薬液抽入抽出口用密封装置
JPH0310999Y2 (ko)
US1236426A (en) Hypodermic syringe.
JP7399585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696777B1 (ko) 도포식 액상 약제용기
CN219681148U (zh) 一种带有疏气结构的瓶塞穿刺装置
KR102320900B1 (ko) 다이얼 타입 용기
WO2022172708A1 (ja) シリンジおよびシリンジ用外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