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314B1 - 약액 적하용기 - Google Patents

약액 적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314B1
KR101221314B1 KR1020110024171A KR20110024171A KR101221314B1 KR 101221314 B1 KR101221314 B1 KR 101221314B1 KR 1020110024171 A KR1020110024171 A KR 1020110024171A KR 20110024171 A KR20110024171 A KR 20110024171A KR 101221314 B1 KR101221314 B1 KR 10122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emical liquid
sphincter
gate
filtration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639A (ko
Inventor
민병전
김준배
Original Assignee
김준배
민병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배, 민병전 filed Critical 김준배
Publication of KR2012004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3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43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 A61J1/145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using ai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액 적하용기는 원형 용기벽(111)과 용기다리(112)와 용기바닥(113)를 구비한 약액용기(110); 노즐뭉치(140) 약액경로의 여과실(145) 외측에 설치되어 여과실(145)을 조성하면서 항균필터(137)에 대응되는 괄약게이트(134); 약액경로의 여과실(145) 내측에 설치되어 여과실(145)을 조성하면서 괄약게이트(134)에 대응되는 항균필터(137); 및 노즐뭉치(140)의 약액경로에 여과실(145) 외측의 괄약게이트(134)와 여과실(145) 내측의 항균필터(137)가 조립되어 조성되는 괄약여과장치(130)를 조합한 용기이다. 노즐뭉치(140)는 노즐팁(141) 및 용기커플러(146)로 구성되고, 괄약게이트(134)는 제1 수용실(144)에 오링(135)으로 가압하여 조립되고, 항균필터(137)는 용기커플러(146)내의 젖는 발포지체(138)에 접촉되어 의지되고, 용기커플러(146)는 발포지지체(138)를 삽입하는 제2수용실(148)와 항균필터(137)를 조립하는 제3수용실(147)이 구비된다. 이 발명에 따르면 항균필터가 외부공기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입자가 여과실과 항균필터에 유입되지 아니하고, 여과실에서 외부공기가 분산되어 항균여과 효율을 높여준다.

Description

약액 적하용기 {Liquid droplets containers}
이 발명은 약액 적하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약액경로에 괄약게이트와 항균필터를 결합하여 설치한 약액 적하용기에 관한 것이다. 연질 탄성 적하용기는 무보존재 인공눈물을 한 방울씩 공급하는 용기이고, 노즐뭉치와 덮개를 구비한다.
약액을 한 방울씩 적하시키는 용기의 하나는 점안액 용기이다. 약액을 적하 시키는 용기는 약액을 담는 연질 탄성 용기와, 용기의 구부에 조립되는 약액 적하 노즐과, 구부에 조립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구부의 덮개를 벗긴 용기의 노즐 끝을 아래쪽으로 기울이고 용기의 용기벽을 눌러주면 노즐에서 용기내의 약액이 물방울로 맺혀 토출된다. 용기 용기벽의 압력을 풀면 용기의 모양이 가압 전 상태로 복원되면서 토출된 약액 분량만큼 노즐에서 외부 공기가 용기 안으로 흡입된다. 용기의 구부를 스크류 덮개로 덮어두면 노즐은 덮개 안에 수용되어 외부 공기로부터 보호되고 노즐의 끝에 덮개 내부의 캡이 씌워진다.
약액을 적하시키는 용기는 고도한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하나의 문제점은 약액을 적하시킨 다음 외부 공기가 용기 안으로 흡입되므로 흡입된 공기에서 약액이 오염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문제점은 노즐 끝에 덮개 내부의 캡이 씌워지기 전에 노즐 끝이 외부공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외부 공기가 매우 혼탁 하거나 세균에 오염이 되어 있거나 부유 먼지밀도가 높은 경우 그 위험성은 매우 심각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액에 오염방지를 위한 보존재를 혼가 하기도 한다. 그러나 케미칼 보존재를 혼가한 점안액은 오염 이전에 케미칼 보존재에 의한 화학적 위험을 감수해야 하므로 적절한 문제 해결방법이 되지 못한다. 케미칼 보존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 내에 유입이 되는 공기로부터 약액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친수성 박막 항균필터를 용기의 구부에 설치하고 있다. 항균필터는 친수성 필터이고, 용기 내의 약액에 젖어 있고, 약액을 적하시킬 때 용기 내의 약액은 필터를 투과하여 노즐 끝에서 적하 되고, 외부 공기는 필터를 통해 용기 내에 유입이 되므로 오염된 외부공기가 세균과 함께 용기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JP 2003-15290316 A 2003.10.14 도면부호 3, 6, 61, 23 KR 10-2005-0029245 A 2005.03.24 도면부호 16, 17, 11, 12, 13 JP 2004-51170 A 2004.2.19 도면부호 4, 5, 24, 25
이 발명은 항균필터가 외부공기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입자가 여과실과 항균필터에 유입되지 아니하고, 여과실에서 외부공기가 분산되어 항균여과 효율을 높이는 약액 적하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발명은 노즐뭉치 약액경로의 항균필터 앞에 괄약게이트를 설치한 약액 적하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괄약게이트와 향균필터가 노즐뭉치에 조립되는 약액 적하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괄약게이트와 항균필터 사이에 여과실을 설치한 약액 적하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분리된 노즐팁과 용기커플러를 조립하여 노즐뭉치를 구성하는 약액 적하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친수성 항균필터가 약액으로 젖는 발포지지체에 접촉되게 조립되어 용기커플러에 조립되는 약액 적하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노즐뭉치를 용기의 병구에 조립하고 덮개로 노즐뭉치를 덮는 약액 적하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약액 적하용기는 연질 탄성 액체용기(110)와 액체용기(110)의 구부에 조립되는 노즐뭉치(140)와 덮개(120)의 조립체이다.
액체용기(110)는 원통형 용기벽(111)과 용기다리(112)와 액체에 압력을 가하는 용기바닥(113)을 구비한다.
노즐뭉치(140)는 노즐팁(141)과 용기커플러(146)로 조립되고 내부의 약액경로에 괄약여과장치(130)가 설치되었다. 약액경로는 액체용기(110)의 내부에서 노즐팁(141)의 약액통로(143)에 도달하는 경로이다.
괄약여과장치(130)는 약액경로의 여과실(145) 외측에 설치되어 여과실(145)을 조성하면서 항균필터(137)에 대응되는 괄약게이트(134); 약액경로의 여과실(145) 내측에 설치되어 여과실(145)을 조성하면서 괄약게이트(134)에 대응되는 항균필터(137); 및 약액경로 외측의 괄약게이트(134)와 내측의 항균필터(137)가 괄약여과장치(130)로 동작되게 조립되는 여과실(145)을 포함한다.
노즐뭉치(140)는 괄약게이트(134)가 설치되는 노즐팁(141)과 항균필터(137)가 설치되는 용기커플러(146)로 구성된다.
괄약게이트(134)는 안이 넓고 입구가 좁은 노즐팁(141) 내단의 제1수용실(144)에 괄약게이트(134)를 끼워 넣고 오링(135)으로 가압하여 조립된다. 괄약게이트(134)는 두께 200-500㎛인 탄성고무판이고, 괄약게이트(134)의 약액통로는 탄성으로 닫힌 점모양구멍(131)이거나 탄성으로 닫힌 선상절개부(132)이다.
항균필터(137)는 용기커플러(146)는 발포지지체(138)를 삽입하는 제2수용실(148)과 항균필터(137)를 조립하는 제3수용실(147)이 구비되고 약액에 젖는 발포지체(138)에 접촉상태로 조립되어 설치된다. 발포지지체(138)는 다양한 무독성 플라스틱 발포체가 사용되고, 폴리에틸렌, 실리콘 및 우레탄 발포체중의 어느 하나이다. 가장 좋게는 우레탄 발포체이다.
노즐뭉치(140)는 용기커플러(146)의 연결관(149)을 액체용기(110)의 병구에 삽입하여 약액 적하용기로 조립 되었다.
이 발명은 노즐뭉치 약액경로의 항균필터 앞에 괄약게이트가 설치되고, 괄약게이트와 향균필터가 노즐뭉치에 조립되고, 괄약게이트와 항균필터 사이에 여과실이 설치되고, 분리된 노즐팁과 용기커플러를 조립하여 노즐뭉치가 구성되고, 친수성 항균필터가 약액으로 젖는 발포지지체에 접촉되어 의지되고, 노즐뭉치를 용기의 병구에 조립하고, 덮개로 노즐뭉치를 덮는 약액 적하용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항균필터가 외부공기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입자가 여과실과 항균필터에 유입되지 아니하고, 여과실에서 외부공기가 분산되어 항균여과 효율을 높여준다.
도 1은 이 발명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괄약 게이트의 상세한 구성도
도 3은 다른 괄약 게이트의 상세한 구성도
도 4는 노즐 뭉치의 조립 과정도
도 5는 약액이 포장된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약액 적하 과정의 동작도
도 7은 흡기 과정의 동작도
이 발명 약액 적하용기는 용기의 구부에 조립된 노즐뭉치(140) 약액경로의 여과실(145) 외측에 설치되어 여과실(145)을 조성하면서 항균필터(137)에 대응되는 괄약게이트(134); 노즐뭉치(140) 약액경로의 여과실(145) 내측에 설치되어 여과실(145)을 조성하면서 괄약게이트(134)에 대응되는 항균필터(137); 및 노즐뭉치(140)의 약액경로에 여과실(145) 외측의 괄약게이트(134)와 여과실(145) 내측의 항균필터(137)가 조립되어 조성되는 괄약여과장치(130)를 포함한다.
액체용기(110)는 원형 용기벽(111)과 용기다리(112)와 용기바닥(113)을 구비한다. 용기다리(112)는 약액 적하용기(110)를 세워 둘 때 바닥에 액체용기(110)를 지지시킨다. 용기바닥(113)을 가압하면 액체용기(110)내에 압역이 발생한다. 원형 용기벽(111)은 연질 탄성 액체용기(110) 안에서 압력이 발생할 때 내압용기로서 동작되어 약액에 압력의 전달효과를 높여준다.
괄약여과장치(130)는 약액경로의 외측에 괄약게이트(134)가 설치되어 있어 도 6과같이 액체용기(110)를 아래로 향하게 기울이고 용기바닥(113)을 가압상태(114)로 눌러주면 약액(700)은 약액경로에서 발포지지체(138)와 항균필터(137)을 투과하고 여과실(145)를 채운다음 괄약게이트(134)의 탄성으로 닫힌 점모양구멍(131) 혹은 선상절개부(132)를 열고 약액통로(143)를 진행하여 노즐팁(141)의 끝에 방울 모양으로 모아지고 방울모양약액(701)이 임계량이 되면 도 7과 같이 적하되는 약액방울(702)이 된다.
용기바닥(113)의 가압이 해제되어 원 모습으로 복원되면 액체용기(110)내에 부압이 발생하고 부압은 여과실(145)을 채운 약액을 액체용기(110)내로 흡입하여 이동시키고, 약액경로에 잔류하는 액액을 여과실(145)을 통해 액체용기(110) 안으로 흡입하여 이동시키고, 외부공기를 괄약게이트(134)와 여과실(145)과 항균필터(137)와 발포지지체(138)를 통과시켜 세균과 이물질을 여과시키고 여과된 공기방울(703)을 액체용기(110) 안에 도입한다.
흡기 과정에서 여과실(145)은 약액경로에서 흡입된 약액일부가 잔류하고 흡입공기는 여과실(145) 전 영역으로 분산 되며 항균필터(138)를 투과하여 용기 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공기의 분산 여과는 여과저항을 감소시키고 유체의 여과체의 투과 속도를 느리게 하므로 공기중의 세균 또는 이물질 여과효과를 높여준다.
괄약게이트(134)는 항균필터(137) 외측에 여과실(145)을 조성하여 항균필터(137)가 외부공기에 노출됨을 방지하고 외부공기는 괄약게이트를 통과하면서 입경이 큰 입자가 먼저 걸러지므로 항균필터(137)의 역할이 분담되고 이로써 항균필터(137)의 수명이 길어지고 기능이 보호된다.
노즐뭉치(140)는 괄약게이트(134)를 설치하기 위하여 노즐뭉치(140)에서 분리시킨 노즐팁(141)과 항균필터(137)을 설치하기 위하여 노즐뭉치(140)에서 분리시킨 용기커플러(146)로 구성된다.
괄약게이트(134)는 가운데에 약액통로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괄약게이트(134)의 모양은 원판의 모양이다. 약액통로는 탄성으로 닫혀있고 유체가 이동하면서 통로를 개방한다. 유체는 약액이거나 공기이다. 유체의 이동은 유체에 가하진 압력으로 약액통로를 열지만 이동이 중지되면 괄약게이트는 자기의 탄성으로 통로를 닫는다. 괄약게이트(134)의 약액통로는 탄성으로 닫힌 점모양구멍(131)이거나, 탄성으로 닫힌 선상절개부(132)이다. 괄약게이트(134)는 두께 200-500㎛인 탄성판에 탄성으로 닫힌 점모양구멍(131)을 만든 것이다. 실시 예에서 괄약게이트(134)는 두게 300㎛, 직경 3-8mm 탄성 고무 원판 가운데에 점모양구멍(131)을 설치하여 괄약게이트(134)를 만들었다. 점모양 괄약게이트(134)는 끝이 뾰쪽하고 굵기가 1.5mm인 지그 핀으로 탄성체 위에 지지시킨 두께 300㎛인 고무판을 10mm 깊이로 찔러 점모양구멍(131)을 만들고 동시에 구멍 둘레를 직경 7mm 원형으로 절단하는 과정으로 만들었다.
괄약게이트(134)는 노즐팁(141)의 안이 넓고 입구가 좁은 제1수용실(144)에 오링(135)으로 가압하여 조립된다. 오링(135)과 제1수용실(144)은 판상 괄약게이트(134) 고정수단의 하나이다. 오링(135)은 입구가 좁은 제1수용실(144)에 압력을 가하여 강제로 삽입되었다. 오링(135)은 오링에 앞서 삽입된 괄약게이트(134)의 둘레를 노즐팁(141)에 밀착시켜 괄약게이트(134)의 둘레에서 공기나 약액이 새지 않게 괄약게이트를 노즐팁(141)에 밀착시키는 것이다. 오링(135)은 탄성체 고무 오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괄약게이트(134)는 괄약게이트의 둘레를 노즐팁(141)의 약액경로 둘레에 접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접착방법으로는 초음파용접이 좋다. 탄성합성수지 원판으로 괄약게이트를 만들고 원둘레를 노즐팁(141)의 내면에 초음파 용접으로 접착하는 것이다.
항균필터(137)는 용기커플러(146)내의 발포지체(138)에 접촉상태로 의지된다. 용기커플러(146)는 발포지지체(138)를 삽입하는 제1수용실(148)과 항균필터(137)를 조립하는 제2수용실(147)이 구비된다. 발포지지체(138)는 다양한 무독성 플라스틱 발포체를 사용할 수 있고, 가장 좋게는 폴리에틸렌, 실리콘 및 우레탄 발포체중의 어느 하나이다. 발포지지체(138)는 항균필터(137)과 함께 액체용기(110)내에서 항상 약액에 젖어 있다. 약액에 젖은 항균필터(137)는 발포지지체(138)에 지지되므로 여과실(145)의 일측 벽을 구성한다. 약액(700)이나 공기는 발포지지체(138)와 항균필터(137)를 함께 통과한다. 항균필터(137)는 공기중의 세균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마이크로 기공을 구비하는 의료용 섬유필터이다. 실시 예의 항균필터(137)는 친수성(Hydrophilic) 원판형 섬유 필터이다. 항균필터 사이즈는 두께 190-210㎛, 직경 14-18mm, 기공(pore) 사이즈 0.2㎛ 이다.
노즐팁(141)과 용기커플러(146)는 괄약게이트(134)와 항균필터(137)를 포함하는 괄약여과장치(130)를 약액경로에 내장한 상태로 조립된다. 실시 예에서 노즐팁(141)과 용기커플러(146)는 초음파 접착으로 조립된다. 용기커플러(146)의 연결관(149)을 약액(700)을 담은 액체용기(110)의 병구에 삽입하여 액체용기(110)와 노즐뭉치(140)의 조립이 완료된다. 실시 예에서 액체용기(110) 구부와 연결관(149)의 조립은 강제끼우기 조립이었다. 액체용기(110)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실리콘, 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hermo plastic elastomer)가 사용된다.
110은 액체용기, 111은 용기벽, 112는 용기다리, 113은 용기바닥, 114는 수축부, 130은 괄약여과장치, 131은 점모양구멍, 132는 선상절개부, 134는 괄약게이트, 135는 오링, 137은 항균필터, 138은 발포지지체, 140은 노즐뭉치, 141은 노즐팁, 143은 약액통로, 144는 제1수용실, 145는 여과실, 146은 용기커플러, 147은 제3수용실, 148은 제2수용실, 700은 약액, 701은 배출과정의 약액, 703은 적하약액

Claims (8)

  1. 연질 탄성용기와 탄성용기 입구에 조립되는 노즐뭉치와 노즐뭉치를 커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약액 적하용기에 있어서,
    괄약여과장치(130)는 약액경로의 여과실(145) 외측에 설치되어 여과실(145)을 조성하면서 항균필터(137)에 대응되는 괄약게이트(134);
    약액경로의 여과실(145) 내측에 설치되어 여과실(145)을 조성하면서 괄약게이트(134)에 대응되는 항균필터(137);
    및 약액경로 외측의 괄약게이트(134)와 내측의 항균필터(137)가 괄약여과장치(130)로 동작되게 조립되는 여과실(145)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약액 적하용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노즐뭉치(140)는 괄약게이트(134)를 설치하기 위하여 노즐뭉치(140)에서 분리시킨 노즐팁(141),
    및 항균필터(137)을 설치하기 위하여 노즐뭉치(140)에서 분리시킨 용기커플러(146)로 구성된 약액 적하용기.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괄약게이트(134)는 노즐팁(141)의 안이 넓고 입구가 좁은 제1수용실(144)에 오링(135)으로 가압하여 조립된 괄약게이트(134)로 구성된 약액 적하용기.
  4.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항균필터(137)는 용기커플러(146)내의 젖는 발포지체(138)에 접촉되게 조립되고, 용기커플러(146)는 발포지지체(138)를 삽입하는 제2수용실(148),
    항균필터(137)를 조립하는 제3수용실(147)을 구비하는 약액 적하용기.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괄약게이트(134)는 두께 200-500㎛인 탄성고무판이고,
    괄약게이트(134)의 약액통로는 탄성으로 닫힌 점모양구멍(131) 이거나 탄성으로 닫힌 선상절개부(132)중 어느 하나인 약액 적하용기.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발포지지체(138)는 폴리에틸렌, 실리콘 및 우레탄 발포체중의 어느 하나인 약액 적하용기.
  7. 청구범위 제 1항에 있어서,
    노즐뭉치(140)는
    용기커플러(146)의 연결관(149)을 액체용기(110)의 병구에 삽입하여 조립 된 것인 약액 적하용기.
  8.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약액용기(110)는 원형 용기벽(111)과 용기다리(112)와 용기바닥(113)을 구비한 약액 적하용기.
KR1020110024171A 2010-10-19 2011-03-18 약액 적하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221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793 2010-10-19
KR20100101793 2010-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639A KR20120040639A (ko) 2012-04-27
KR101221314B1 true KR101221314B1 (ko) 2013-01-10

Family

ID=4614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1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1314B1 (ko) 2010-10-19 2011-03-18 약액 적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908A1 (ko) * 2017-08-25 2019-02-28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0101B1 (de) * 2019-04-26 2024-08-21 Aptar Radolfzell GmbH Belüftete schutzkappe für einen flüssigkeitsspender
KR102425010B1 (ko) 2020-07-09 2022-07-25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약액 용기
KR20230111498A (ko)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제이케이솔루션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KR102793493B1 (ko) * 2024-08-20 2025-04-11 중석메디플 주식회사 점적 토출을 위한 액상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978A (ja) 2002-11-20 2004-06-17 Nipro Corp 薬液容器
KR20040097278A (ko) * 2002-04-04 2004-11-17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약액 용기
KR200444043Y1 (ko) 2008-05-09 2009-04-07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점안제 케이스
KR20090086256A (ko) * 2006-11-27 2009-08-11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약액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278A (ko) * 2002-04-04 2004-11-17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약액 용기
JP2004166978A (ja) 2002-11-20 2004-06-17 Nipro Corp 薬液容器
KR20090086256A (ko) * 2006-11-27 2009-08-11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약액 용기
KR200444043Y1 (ko) 2008-05-09 2009-04-07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점안제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908A1 (ko) * 2017-08-25 2019-02-28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KR20190022058A (ko) * 2017-08-25 2019-03-06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KR101964384B1 (ko) * 2017-08-25 2019-04-01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639A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314B1 (ko) 약액 적하용기
JPWO2007111256A1 (ja) 吐出容器及び点眼容器
US5431310A (en) Liquid dispenser nozzle assembly
KR100507593B1 (ko) 액체공급장치
JP5020981B2 (ja) 液体の収容及び分配用アッセンブリ
CN100475359C (zh) 包装待成滴分送的液体并可因空气输入而可逆变形的容器
US6073812A (en) Filtered venting system for liquid containers which are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from external bioburden
TWI441625B (zh) 具有濾器之吐出容器
JP2008506593A (ja) 無菌液体ディスペンサの殺菌用キャップ
TWI294396B (en) Delivery device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same
JPH06505464A (ja) 液体分与ノズル機構
KR20010085619A (ko) 미생물 수집장치
US4473094A (en) Air inlet
JP2010540239A (ja) ろ過装置
KR20120127399A (ko) 액체를 방울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
US9487339B2 (en) Liquid dispensing head, in particular for a bottle for packaging a liquid to be dispensed drop by drop
JP2007003480A (ja) 血液分離器具及び血液分離装置
JP2008100462A (ja) 液体再充填方法
US7806274B2 (en) Vacuum filtration device
JP4744775B2 (ja) 薬液容器
WO1992004004A1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sterile liquids
CN102405070A (zh) 用于处理医疗流体的器件、外部功能性装置及处理设备
JP2009082602A (ja) 収容容器
JPS62125804A (ja) 簡易液体浄化装置
US11511234B2 (en) Vacuum filt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