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228A -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228A
KR20200129228A KR1020190053031A KR20190053031A KR20200129228A KR 20200129228 A KR20200129228 A KR 20200129228A KR 1020190053031 A KR1020190053031 A KR 1020190053031A KR 20190053031 A KR20190053031 A KR 20190053031A KR 20200129228 A KR20200129228 A KR 2020012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rotrusion
center
dropper
mix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973B1 (ko
Inventor
이경창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19005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973B1/ko
Priority to US17/442,627 priority patent/US20220169432A1/en
Priority to PCT/KR2019/017440 priority patent/WO2020226249A1/ko
Priority to CN201922397536.2U priority patent/CN212100205U/zh
Publication of KR2020012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65D25/085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the partition being in the form of a plug or the like which is dislodged by means of a plunger rod or the like pushing the plu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두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혼합용기는, 제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와,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과,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센터돌기가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된다.

Description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MIXING CONTAINER HAVING SPUID}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상이한 두 종류의 물질을 혼합한 후 스포이트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해서 수납한 후 사용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화장품인 경우 겔(gel) 형상의 베이스와 파우더를 혼합되지 않게 각각 보관한 후 사용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용기가 제조 및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혼합용기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이 사용 이전에 혼합되는 경우 장시간의 유통 과정에서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그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두 종류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해서 사용함으로써 기능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에센스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에는 내용물이 고가이기 때문에 정확한 양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용기가 사용된다.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토출 수단 중의 하나가 스포이트(spuit)이다. 스포이트는 길이가 긴 유리관의 끝 부분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작된 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내용물을 정확하게 토출한 후 한 방울씩 토출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스포이트를 구비한 종래의 혼합용기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87631호 등이 있다. 상기 선행 기술문헌에 개시된 혼합용기는, 스포이트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고 그 입구를 캡을 이용해서 폐쇄한다. 그리고 최초 사용시 스포이트를 용기 본체에서 빼낼 때 상기 캡이 분리됨으로써 스포이트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 혼합용기는 캡이 결합된 스포이트를 용기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혼합용기는 스포이트에서 분리된 캡이 제거되지 않고 용기본체의 내부에 그대로 잔존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작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스포이트 타입의 혼합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혼합용기는, 제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와,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과,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센터돌기가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은 피스톤경사면과, 피스톤경사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삽입홈을 구비하고, 센터돌기는 센터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피스톤은 하향 돌출된 피스톤돌기를 구비하고, 하부캡은 피스톤돌기를 수용하는 캡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피스톤은 피스톤리브를 구비하고, 피스톤리브는 삽입헤드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삽입헤드는 헤드경사면을 구비하고, 헤드경사면은 관통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포이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스포이트는 노즐을 구비하며, 스포이트가 제1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노즐이 피스톤을 하향 가압해서 하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혼합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혼합용기에 사용되는 스포이트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본체, 제2 본체, 피스톤 및 하부캡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혼합용기에서 스포이트가 삽입되고 내용물이 혼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스포이트가 완전히 삽입되어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혼합용기(100)에 사용되는 스포이트(19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제1 본체(110), 제2 본체(130), 피스톤(160) 및 하부캡(18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내부에 제1 내용물(102) 및 제2 내용물(104)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용기(100)는 내용물의 토출 수단으로서 스포이트(19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스포이트(190)를 도 1에 예시된 혼합용기(100)의 상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60)이 스포이트(190)에 의해서 하향 가압되어 이동함으로써 제1 내용물(102) 및 제2 내용물(104)이 혼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제1 본체(110), 제2 본체(130), 피스톤(160) 및 하부캡(18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내용물의 토출 수단으로서 스포이트(19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본체(110)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의 용기로서 그 상부에는 입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입구(114)의 둘레에는 나사산(116)이 형성되어 있는데, 나사산에는 스포이트캡(194)이 나사 결합한다.
입구(114)에는 가이드부재(108)가 압입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08)는 가이드홀(106)을 구비하는데, 가이드홀(106)을 통해서 스포이트(190)의 노즐(198)이 제1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가이드홀(106)의 직경은 노즐(198)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노즐(198)의 외주면에 흡착된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은 가이드홀(10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재(108)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제1 본체(110)의 내부에는 제1 내부공간(120)이 형성된다. 제1 내부공간(120)에는 제1 내용물(102)이 충진된다. 제1 내부공간(120)은 제1 둘레면(118)과, 삽입헤드(132)의 헤드경사면(134)과, 삽입헤드(132)의 센터돌기(136)에 의해서 형성된다. 센터돌기(136)의 개방된 하부는 피스톤(160)과 접촉하면서 폐쇄될 수 있다.
제1 본체(110)의 하단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고, 이를 통해서 제2 본체(130)의 삽입헤드(132)가 제1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본체(110)의 하단부에는 결합단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단부(124)는 제2 본체(130)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홈(142)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30)가 상호 결합한다.
제2 본체(130)는 제1 본체(110)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132)와,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본체(146)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본체(130)의 내부에는 피스톤(1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단부에는 하부캡(180)이 결합된다.
삽입헤드(132)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면에는 헤드경사면(134)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헤드경사면(134)의 중앙에는 센터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경사면(134)은 센터돌기(136)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헤드경사면(134)의 상부에 충진된 제1 내용물(102)이 센터돌기(136)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센터돌기(136)는 헤드경사면(134)의 중앙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에 해당한다. 센터돌기(136)의 상단 및 하단에는 모두 관통홀(138)이 형성되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1을 참고하면, 센터돌기(136)의 외경은, 센터돌기(136)가 피스톤(160)의 센터삽입홈(166)에 삽입된 경우 그 외경이 센터삽입홈(166)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터돌기(136)의 내부에 있는 제1 내용물(102)이 제2 내부공간(172)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센터돌기(136)의 길이는 헤드경사면(134)과 피스톤경사면(16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한다. 따라서 센터돌기(136)의 길이가 크면, 헤드경사면(134)과 피스톤경사면(162) 사이의 간격이 커서, 제2 내부공간(172)의 부피가 증가한다. 반대로, 센터돌기(136)의 길이가 작으면, 제2 내부공간(172)의 부피가 감소한다. 따라서 혼합용기(100) 내부에 충진되는 제2 내용물(104)의 양을 고려해서 센터돌기(136)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센터돌기(136)에 형성된 관통홀(138)의 직경은, 스포이트(190)의 노즐(198)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즐(198)이 센터돌기(136)를 용이하게 통과해서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할 수 있다.
삽입헤드(132)는 헤드둘레면(140)을 구비한다. 헤드둘레면(140)은 헤드경사면(134)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된 구조를 갖고, 하단부는 하부본체(146)와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헤드둘레면(140)의 외주면은 제1 본체(110)의 내주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제1 내용물(102)의 누출이 방지된다.
하부본체(146)는 삽입헤드(132)에 비해서 더 큰 외경을 갖고 제1 본체(110)의 하단부와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하부본체(146)의 직경은 제1 본체(110)의 직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연속적인 혼합용기(100)의 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본체(146)의 하단부에는 하부캡(180)이 결합한다.
삽입헤드(132)와 하부본체(146)의 연결 부분에는 둘 사이의 외경 차이에 의해서 결합홈(142)이 형성된다. 결합홈(142)은 일정한 깊이를 갖고 제2 본체(13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홈이다. 그리고 결합홈(142)의 내주면에는 걸림홈(144)이 형성된다. 결합홈(142)에는 제1 본체(110)의 결합단부(124)가 삽입되고, 결합단부(124)의 둘레에 형성된 돌기(126)가 걸림홈(144)에 삽입됨으로써,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30)의 결합이 완료된다.
피스톤(160)은 제2 본체(130)의 삽입헤드(132)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삽입헤드(132)와 함께 제2 내용물(104)이 충진되는 제2 내부공간(172)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스톤(16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는데, 이로 인해 제1 내부공간(120)과 제2 내부공간(172)이 상호 연통된다.
피스톤(160)은 원형의 피스톤경사면(162)을 구비한다. 피스톤경사면(162)의 중앙에는 센터삽입홈(166)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피스톤리브(164)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경사면(162)은 중앙의 센터삽입홈(166)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내용물이 센터삽입홈(166)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피스톤경사면(162)은 제2 내부공간(172)의 하부 경계면 중 하나에 해당한다. 즉, 제2 내부공간(172)의 상부 경계면은 삽입헤드(132)이 헤드경사면(134)이고, 하부 경계면은 피스톤경사면(162)과 센터삽입홈(166)이며, 그 사이의 경계면은 삽입헤드(132)의 내주면에 해당한다.
피스톤리브(164)는 피스톤경사면(162)의 단부 둘레에서 수직으로 상향 돌출 형성된다. 피스톤리브(164)는 삽입헤드(13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이동하는데, 이로 인해 내용물이 하부캡(180)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센터삽입홈(166)은 피스톤경사면(162)의 중앙에 형성된 홈으로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센터삽입홈(166)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삽입홈(166)의 하면에는 피스톤돌기(168)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60)이 하강하지 않은 경우, 센터삽입홈(166)에는 제2 본체부(130)의 센터돌기(13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센터돌기(136)의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38)이 폐쇄된다.
센터삽입홈(166)의 내경은 센터돌기(136)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피스톤(160)의 하강 이전에 센터돌기(136)를 통한 제1 내용물(102)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돌기(168)는 센터삽입홈(166)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고,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피스톤돌기(168)는 하부캡(180)의 중앙에 형성된 캡돌기(186)에 삽입되어 있다(도 1 참조). 그리고 피스톤(160)이 하강함으로써 피스톤돌기(168)는 캡돌기(186)에 완전히 삽입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피스톤돌기(168)는 캡돌기(186)와 함께 피스톤(160)이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피스톤돌기(168)의 하단부에는 테이퍼(170)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170)는 피스톤돌기(168)가 캡돌기(186)의 내부에 대한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하부캡(180)은 제2 본체(130)의 하부에 결합되어서 제2 본체(13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한다. 원형의 하부캡(180) 가장자리에는 캡리브(18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캡돌기(186)가 형성되어 있다.
캡리브(182)는 하부캡(180)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본체(130)의 하부본체(146)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캡리브(182)가 하부본체(146)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하부캡(180)의 이탈이 방지되고 내용물이 혼합용기(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리브(182)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184)를 구비하는데, 걸림돌기(184)는 하부본체(146)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하부캡(180)이 제2 본체(130)의 하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하부캡(180)의 중앙에서 상향 돌출된 캡돌기(186)는 중공의 원기둥 구조를 갖고 그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캡돌기(186)의 길이는 피스톤돌기(168)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돌기(186)의 내경은 피스톤돌기(168)의 외경에 비해서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돌기(186)의 내부에 피스톤돌기(168)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내용물을 토출하는 수단으로서 스포이트(190)를 구비할 수 있다. 스포이트(190)는 제1 본체(11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스포이트캡(194)과, 스포이트캡(194)에서 하향 연장되는 노즐(198)을 구비한다.
스포이트캡(194)은, 제1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캡(112)이 제거된 후 제1 본체(110)에 캡(112)을 대신해서 결합할 수 있다. 스포이트캡(194)의 상부에는 가압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포이트캡(194)의 중앙에는 노즐(198)이 삽입되어 있다.
노즐(198)은 길이가 긴 중공의 관으로서 그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단부는 가압부(192)와 연결되어 있다. 노즐(198)의 길이는, 스포이트(190)가 제1 본체(110)에 결합할 때 피스톤(160)을 가압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포이트(190)를 제1 본체(1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노즐(198)이 피스톤(160)을 가압해서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토출 수단으로서 스포이트(19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내용물의 토출 수단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에 의해 개시된 스프레이 펌프 등과 같은 다양한 토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혼합용기(100)에서 스포이트(190)가 삽입되고 내용물(102, 104)이 혼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스포이트(190)가 완전히 삽입되어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도 1에 예시된 혼합용기(100)에서 캡(112)을 제거한 후 제1 본체(110)의 입구(114)를 통해서 스포이트(190)의 노즐(198)을 혼합용기(10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피스톤(160)은 제2 본체(130)의 센터돌기(136)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내부공간(172)은 제1 내부공간(120)과 연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스톤(160)이 센터돌기(136)에서 분리되기 이전에는 제1 내용물(102)이 제2 내용물(104)과 혼합되지 않는다.
스포이트(190)의 스포이트캡(194)을 제1 본체(110)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노즐(198)이 하향 이동하면, 노즐(198)의 하단부는 제2 본체부(130)의 센터돌기(136)를 관통한 후 피스톤(160)의 센터삽입홈(166)에 삽입되어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한다. 이로 인해, 피스톤(160)은 하향 이동하면서 피스톤돌기(168)가 캡돌기(186)의 내부에 더욱 깊게 삽입된다. 피스톤(160)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센터돌기(136)와 센터삽입홈(166)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관통홀(138)이 개방된다. 그리고 관통홀(138)의 개방에 의해서 제1 내부공간(120)과 제2 내부공간(172)이 상호 연통되면서 제1 내용물(102)이 제2 내부공간(172)으로 유입되어 제2 내용물(104)과 상호 혼합된다.
제1 본체(110)에 완전히 나사 결합한 스포이트(190)의 노즐(198) 단부는 하향 이동된 피스톤(160)의 센터삽입홈(166)의 바닥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돌기(168)도 하부캡(180)의 캡돌기(186)에 완전히 삽입되어서 피스톤(160)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 5와 같이, 피스톤(150)이 완전히 이동한 경우에도 피스톤리브(164)는 삽입헤드(132)의 내주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제1 내용물(102)과 제2 내용물(104)의 혼합물이 피스톤(160)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스포이트(190)의 노즐(198)을 이용해서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하는 수단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하기 위해서 스프레이 펌프 모듈의 노즐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스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토출수단인 스포이트(190)를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60)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제1 내용물(102) 및 제2 내용물(104)이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제1 본체(110), 제2 본체(130), 피스톤(160) 및 하부캡(18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혼합용기
102: 제1 내용물
104: 제2 내용물
110: 제1 본체
130: 제2 본체
160: 피스톤
180: 하부캡
190: 스포이트

Claims (6)

  1. 제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
    상기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상기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 및
    상기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상기 센터돌기가 상기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혼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경사면과, 상기 피스톤경사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돌기는 상기 센터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하향 돌출된 피스톤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피스톤돌기를 수용하는 캡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리브는 상기 삽입헤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헤드는 헤드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경사면은 상기 관통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포이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포이트는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스포이트가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노즐이 상기 피스톤을 하향 가압해서 하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KR1020190053031A 2019-05-07 2019-05-07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KR10222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031A KR102226973B1 (ko) 2019-05-07 2019-05-07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US17/442,627 US20220169432A1 (en) 2019-05-07 2019-12-11 Mixing container having syringe
PCT/KR2019/017440 WO2020226249A1 (ko) 2019-05-07 2019-12-11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CN201922397536.2U CN212100205U (zh) 2019-05-07 2019-12-27 混合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031A KR102226973B1 (ko) 2019-05-07 2019-05-07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28A true KR20200129228A (ko) 2020-11-18
KR102226973B1 KR102226973B1 (ko) 2021-03-15

Family

ID=7305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031A KR102226973B1 (ko) 2019-05-07 2019-05-07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69432A1 (ko)
KR (1) KR102226973B1 (ko)
CN (1) CN212100205U (ko)
WO (1) WO2020226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559B1 (ko) 2021-07-16 2023-05-3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KR102607739B1 (ko) * 2022-06-14 2023-11-29 주식회사 이노코스텍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518B1 (ko) * 2013-09-04 2014-08-2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KR20160098712A (ko)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KR200487631Y1 (ko) * 2014-11-05 2018-10-16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이액 혼합용기
KR101912587B1 (ko) * 2017-09-14 2018-10-30 펌텍코리아(주)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329770A1 (en) * 2010-11-17 2013-06-06 La Prairie, Inc. Two compartment container
KR101370284B1 (ko) * 2012-04-06 2014-03-05 (주)연우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383919B1 (ko) * 2012-09-25 2014-04-11 정만택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170078392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용기
EP3407755B1 (en) * 2016-01-25 2021-03-03 L'oreal Filling assembly for the manufacturing of a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dual content
KR101817065B1 (ko) * 2016-06-01 2018-01-11 펌텍코리아 (주) 생산성과 밀폐력이 향상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518B1 (ko) * 2013-09-04 2014-08-2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KR200487631Y1 (ko) * 2014-11-05 2018-10-16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이액 혼합용기
KR20160098712A (ko)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KR101912587B1 (ko) * 2017-09-14 2018-10-30 펌텍코리아(주)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100205U (zh) 2020-12-08
WO2020226249A1 (ko) 2020-11-12
KR102226973B1 (ko) 2021-03-15
US20220169432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5952B2 (ja) 多成分系の保存混合機能兼有計量分配装置
KR102073788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포장 및 분배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충전 어셈블리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US20050238408A1 (en) Kit comprising two receptacles and an applicator
KR102226973B1 (ko)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KR102583427B1 (ko) 플라스틱 캡 및 그 제조 방법
US7229229B2 (en) Liquid dispenser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1165904B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JP6326319B2 (ja) スクイズ吐出容器
KR10215158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77737Y1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JP2008137692A (ja) 詰め替え用容器
JP6154174B2 (ja) 塗布容器
KR101289680B1 (ko) 이종물질 혼합용 캡
JP5193936B2 (ja) 混合容器
KR102195465B1 (ko)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JP7229639B2 (ja) 吐出容器
JP7330629B2 (ja) スポイト容器
KR102320900B1 (ko) 다이얼 타입 용기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JP2002308310A (ja) 容器の中栓
JP2002179118A (ja) 毛髪梳き具付き二液混合注出容器
CN210184839U (zh) 一种新型的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