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654A - 회전식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654A
KR20200036654A KR1020180116558A KR20180116558A KR20200036654A KR 20200036654 A KR20200036654 A KR 20200036654A KR 1020180116558 A KR1020180116558 A KR 1020180116558A KR 20180116558 A KR20180116558 A KR 20180116558A KR 20200036654 A KR20200036654 A KR 20200036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rotating
discharg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100B1 (ko
Inventor
김유섭
김민구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8011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는 회전부; 화장료가 수용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용기부; 하측으로 상기 회전부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 상기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용기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가이드부; 상기 회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용기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화장료를 가압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화장료를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화장품 용기{ROTARY TYPED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회전식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용기의 회전을 통해 화장물을 가압 토출함에 따라 화장물의 토출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회전식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고체 및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로 크게 분류되며, 화장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용기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파운데이션 또는 립스틱과 같은 화장품이 분말 형태 또는 고형이 아닌 겔(gel) 또는 액상으로 공급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해서 튜브 용기나 펌프식 용기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튜브 또는 펌프식 용기는 화장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튜브를 짜거나 펌프를 누르는 경우, 화장물이 원하는 양만큼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용기 내에 남은 화장물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아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스톤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수용된 화장물을 가압하여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 토출형 화장품은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용이하게 인가받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지나치게 과한 힘을 가해야 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화장물을 배출되도록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장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의도하지 않게 외력이 인가됨으로써, 화장물이 토출되어,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의 회전을 통해 화장물을 가압 토출함에 따라 화장물의 토출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회전식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는 회전부; 화장료가 수용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용기부; 하측으로 상기 회전부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 상기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용기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가이드부; 상기 회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용기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화장료를 가압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화장료를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부는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에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용기부의 외부 노출 영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는 상기 용기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과 상기 용기부의 외주면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기 용기부가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승하강할 수 있는 비원형(non-circular)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은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용기부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 저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 단부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피스톤 로드; 및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부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화장료를 가압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가 삽입되는 비원형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면은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피스톤부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는 외용기; 및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외용기와 동기 회전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용기의 내측면에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돌기의 결합을 통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와 동기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의 저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는, 외력에 따라 상기 용기부를 개방 또는 밀폐하여 상기 화장료의 토출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는, 상기 용기부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유입홀에 대응하는 밀폐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밀폐부; 상기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밀폐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유입홀을 밀폐하게 하는 가압부; 및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유입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밀폐부를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는, 상기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를 개방 또는 밀폐하기 위한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결합 시, 상기 덮개부에 의해 상기 외력이 인가되고, 상기 덮개부의 분리 시, 상기 외력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승하강 가이드부를 파지하여 화장품 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장료 토출을 위한 회전력을 용이하게 화장품 용기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회전 조작을 통해 화장물의 토출 및 토출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하강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장물의 토출량 조절이 용이하며, 이를 통해 화장물의 잔량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의 결합 시 토출부가 용기부를 밀폐하여 보다 긴밀한 화장물 밀폐를 수행하고, 덮개부의 분리 시 토출부가 용기부를 개방하도록 하여 화장물이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회전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부 및 승하강 가이드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숄더부 및 토출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회전부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부 및 승하강 가이드부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숄더부 및 토출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00)는, 회전부(100), 용기부(200), 승하강 가이드부(300), 피스톤부(400), 토출부(500), 숄더부(600) 및 덮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하측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100)는 승하강 가이드부(300)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용기부(200)가 승하강 하도록 하여, 화장료를 토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00)는 외용기(110) 및 내용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용기(110)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내용기(120)는 외용기(1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외용기(110)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고, 외용기(110)와 동기 회전할 수 있다. 즉 외용기(110)에 회전력이 인가되면, 외용기(110)와 내용기(12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용기(110)의 내측면에는 화장품 용기(10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11)이 형성되고, 내용기(120)의 외측면에는 고정홈(11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11) 및 고정돌기(121) 간의 결합을 통해, 내용기(120)가 외용기(110)와 동기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110)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113)이 형성되고, 내용기(120)의 외측면에는 걸림홈(11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23) 및 걸림홈(113) 간의 결합을 통해 내용기(120)를 외용기(11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킴으로써, 내용기(120)가 외용기(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용기(110) 및 내용기(120)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외용기(110) 및 내용기(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등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용기부(200)는 내부 상측으로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으며, 내부 하측으로 승하강 가이드부(300) 및 피스톤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는 미용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 및/또는 흡수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액상 화장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기부(200)는 회전부(100)에 나사 결합하며, 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100)의 내용기(120)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 1 나사산(1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부(200)의 (특히, 용기부(200) 하단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 1 나사산(125)에 대응하는 제 2 나사산(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용기(120)와 용기부(200)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00)의 회전 시, 승하강 가이드부(300)가 회전부(100)에 대해 용기부(200)가 동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부(200)가 나사산을 따라 승하강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부(200)의 승하강에 의해 용기부(200)의 외부 노출 영역이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200)가 하강하는 경우, 용기부(200)가 회전부(100) 및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내측으로 수용됨으로써, 용기부(200)의 외부 노출 영역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용기부(200)가 상승하는 경우, 용기부(200)의 외부 노출 영역이 증가하게 된다. 용기부(200)의 노출 영역을 통해 사용자는 용기부(200) 내부의 화장료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회전부(100)의 회전 시에, 용기부(200)는 승하강 가이드부(300)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 것과 더불어, 피스톤부(4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피스톤부(400)가 용기부(200)의 내측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피스톤부(400)가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를 보다 긴밀하게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승하강 가이드부(300)는 회전부(100)의 회전 기준으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회전부(100)의 상측에서 회전부(1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승하강 가이드부(300)를 파지하여 화장품 용기(1000)를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부(100)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화장료 토출을 위한 회전력을 용이하게 화장품 용기(1000)에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부(100)의 상대 회전 시에, 승하강 가이드부(300)는 용기부(200)의 회전을 방지하여, 용기부(2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내측에는 용기부(200)가 삽입되어 승하강하는 비원형(non-circular)의 제 1 관통홀(310)이 형성되고,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용기부(200)의 단면 또한, 제 1 관통홀(310)에 대응하여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부(100)가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 승하강 가이드부(300)에 의해 용기부(200)의 회전이 방지되며, 따라서 용기부(200)는 회전부(100)의 나사산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한편, 승하강 가이드부(300)는 회전부(1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되, 하측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100)에 내측에 수용되도록 회전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100)의 외용기(110)에는 제 1 지지면(115) 및 제 2 지지면(11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지지면(115)은 외용기(110)의 내주면의 단턱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이고, 제 2 지지면(117)은 외용기(110)의 상측 단부면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승하강 가이드부(300)에는 제 3 지지면(320) 및 제 4 지지면(33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지지면(320)은 제 1 지지면(115)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하측 단부면일 수 있으며, 제 4 지지면(330)은 제 2 지지면(117)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외주면의 단턱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일 수 있다.
즉, 외용기(110)의 제 1 지지면(115) 및 제 2 지지면(117)이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제 3 지지면(320) 및 제 4 지지면(330)과 접촉하되, 제 1 지지면(115)과 제 2 지지면(117)(마찬가지로 제 3 지지면(320)과 제 4 지지면(330))이 서로 이격하여 형성됨으로써,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100) 내측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부(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외주면에 걸림돌기(340)가 외용기(110)의 상측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19)에 결합하여, 승하강 가이드부(300)가 외용기(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340) 및 걸림홈(119)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승하강 가이드부(300)가 외용기(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피스톤부(400)는 회전부(100)에 의해 지지되고 용기부(200) 내측에서 화장료를 밀폐 지지할 수 있다. 피스톤부(400)는 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해 용기부(200)가 하강함에 따라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피스톤 로드(410) 및 피스톤(420)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410)는 회전부(100)(특히 내용기(110))의 내측 저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로드(410)의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안착부가 돌출 형상되어, 외용기(110)의 저면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00)의 외용기(110)와 내용기(120)가 결합하면서, 내용기(120)의 저면이 안착부의 상면을 가압 및/또는 지지함으로써, 피스톤 로드(410)의 이탈을 방지하고, 회전부(100)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410)의 상단부는 용기부(200) 내의 제 2 관통홀(220)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용기부(200)의 제 2 관통홀(220)은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피스톤 로드(410) 또한 이에 대응하여 비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스톤 로드(410)가 용기부(200)에 동기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전부(100)가 회전하더라도 용기부(20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용기부(200)에 의해 피스톤부(400)의 회전 또한 방지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410)의 상측 단부에는 피스톤(420)이 결합할 수 있다. 피스톤(420)은 용기부(200)의 내벽에 밀착 배치됨으로써,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를 밀폐 및 지지할 수 있다. 특히, 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해 용기부(200)가 하강할 때, 피스톤 로드(410)에 의해 피스톤(420)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 지지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를 상방 가압하여 용기부(200)의 상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피스톤(420)은 용기부(200)의 내벽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 등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500)는 용기부(200)의 상측에서 (특히 숄더부(600)에 결합하여) 용기부(200)와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용기부(200)가 하강함에 따라 피스톤부(40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토출부(500)는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외력에 따라 이와 같은 화장료의 토출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력이 적용되는 경우, 토출부(500)는 용기부(200)와의 화장료 연통 경로를 밀폐하여, 화장료가 토출부(50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용기부(200)와의 화장료 연통 경로를 개방하여, 화장료가 토출부(500)로 유입되고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부(500)는 지지부(510), 밀폐부(520), 가압부(530), 탄성부(540) 및 도포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10)는 숄더부(600)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측으로 유입홀(51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10)에는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 1 하측 격벽(514) 및 제 2 하측 격벽(516)이 형성되어, 숄더부(6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측 격벽(514)의 내측으로 유입홀(512)이 관통 형성되어, 유입홀(512)을 통해 용기부(200)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10)의 상측으로 밀폐부(520) 및 탄성부(54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10)의 상부면에 탄성부(540)가 직접 결합하며, 이를 통해 탄성부(540)가 그 상측에 배치되는 밀폐부(520)를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10)의 외측으로 가압부(53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10)는 외측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518)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530)는 이에 대응하여 내측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5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홈(532)은 걸림돌기(518)보다 상하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걸림홈(532)의 범위 내에서 가압부(5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밀폐부(520)는 지지부(5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외력이 인가되면, 하측으로 (즉, 지지부(510)를 향하여) 이동하여 지지부(510)의 유입홀(512)을 밀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밀폐부(520)는 유입홀(512)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밀폐돌기(522)를 구비할 수 있다. 밀폐부(520)로 인가되던 외력이 제거되면, 밀폐부(520)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밀폐돌기(522)는 유입홀(512)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밀폐부(520)에는 밀폐돌기(522)에 인접하여 토출로(524)가 형성됨으로써, 개방된 유입홀(512)을 통해 유입된 화장료가 이동 및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밀폐부(520)에는 토출로(524)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부(526)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26)는 지지부(510)의 제 1 하측 격벽(514)의 내측면에 밀착함으로써, 유입홀(512)을 통해 유입된 화장료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526)는 제 1 하측 격벽(514)의 내측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밀폐부(520)가 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530)는 밀폐부(520)의 밀폐를 위해 외력을 (예를 들어, 덮개부(700)를 통해) 인가받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부(5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외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530)는 밀폐부(520)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530)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밀폐부(520)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 및 걸림홈 간의 결합을 통해 가압부(530)는 밀폐부(52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압부(530)의 상하 이동에 밀폐부(520)가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540)는 지지부(510) 및 밀폐부(520) 사이를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520)가 가압부(53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부(510)에 의해 지지되어, 밀폐부(520)를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압부(530)에 인가되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밀폐부(520) 및 가압부(53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원상태를 회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540)는 도포부(550) 등을 통해 화장료의 도포 중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이를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다.
도포부(550)는 토출부(500)의 상단, 즉, 밀폐부(520)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하측으로는 토출로(524)를 통해 유입된 화장료가 함침되고, 상측으로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함침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포부(550)는 밀폐부(5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530)의 상측 단부에서는 하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5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밀폐부(520)에서도 상측으로 가압돌기(528)가 형성될 수 있다. 도포부(550)의 적어도 일부가 가압부(530)의 가압돌기(534)와 밀폐부(520)의 가압돌기(528) 사이에서 가압 고정됨으로써, 도포부(550)가 토출부(5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밀폐부(520)의 토출로(524)을 통해 배출된 화장료가 도포부(550)에 흡수 및/또는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550)에 의한 화장료의 도포 시, 도포부(55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도포부(550) 하측의 탄성부(540)가 이러한 외력을 흡수함으로써, 도포 시의 사용감이나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포부(550)는 화장료의 함침 및/또는 도포가 용이하도록 스펀지 등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포부(550)는 브러쉬 타입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1000)에는 도포부(550)가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숄더부(600)는 용기부(200)의 상단에 결합하여, 용기부(200) 상단의 개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숄더부(600)에는 용기부(200)의 상측벽과 결합하는 제 1 측벽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측벽에 및 상측벽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숄더부(600)가 용기부(200)에 나사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숄더부(600)는 제 1 측벽의 내측으로 제 2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측벽은 용기부(200)의 상측벽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측벽이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 사이에 삽입 및 지지되도록 하여, 숄더부(600)가 보다 견고하게 용기부(200)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숄더부(600) 및 용기부(200) 간의 결합을 위해 나사결합이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끼워맞춤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숄더부(600)는 내측에 형성된 연통홀(610)을 통해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가 토출부(50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통홀(610)은 숄더부(600)의 중앙 일 영역을 관통함으로써, 용기부(200)와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숄더부(600)에는, 연통홀(610)에 인접하여 상측 격벽(630)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측 격벽(630)을 통해 토출부(500)(특히, 지지부(510))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지지부(510)에서는 제 1 하측 격벽(514) 및 제 2 하측 격벽(516)이 형성될 수 있다. 숄더부(600)의 상측 격벽(630)은 제 1 하측 격벽(514) 및 제 2 하측 격벽(516) 사이로 삽입되되, 제 2 하측 격벽(516)과 끼워맞춤 결합할 수 있다.
숄더부(600) 및 용기부(200)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용기부(200) 및 숄더부(6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부(700)는 숄더부(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토출부(500)를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700)가 숄더부(600)에 결합하는 경우, 덮개부(700)는 토출부(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밀폐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토출부(500)에 외력을 인가하여 토출부(500)의 밀폐부(520)가 유입홀(512)을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700)가 숄더부(600)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경우, 덮개부(700)는 토출부(500)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토출부(500)에 안가되는 외력이 제거되어, 토출부(500)의 밀폐부(520)가 유입홀(512)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덮개부(700)는 토출부(500)에 외력을 인가하기 위해 내측면에 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700)가 숄더부(600)에 결합하는 경우, 덮개부(700)의 가압면이 가압부(530)의 가압 지지면(536)을 하방 가압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덮개부(700)가 숄더부(600)에 결합되는 경우, 탄성부(540)에 의해 가압부(530) 및 덮개부(700)에 대해 상측으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덮개부(700)가 숄더부(600)에 대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덮개부(700)는 숄더부(600)에 베이오넷(bayonet)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합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승하강 가이드부(300)를 파지하여 화장품 용기(1000)를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회전부(1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승하강 가이드부(300)는 하측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100)의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회전부(100)가 승하강 가이드부(3000에 대해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하강 가이드부(300)를 회전 기준으로 하여 회전부(10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용기부(200)는 승하강 가이드부(30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며, 따라서 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해 용기부(200)가 하강할 수 있다.
용기부(20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부(100)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부(400)가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C)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화장료(C)는 토출부(5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용기부(200)에 의해 피스톤부(400) 또한 회전이 방지되며, 따라서, 피스톤부(400)는 용기부(200) 내측에서 회전하지 않고 화장료(C)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용기부(200)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어 밀폐 가압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해 용기부(200)가 하강함에 따라 용기부(200)의 외부 노출 영역이 점차 감소할 수 있으며,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C)의 모두 토출된 경우에는, 용기부(200)가 회전부(100) 및 승하강 가이드부(300)의 내측으로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부(200)의 외부 노출 영역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C)의 잔량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9의 (a)는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9의 (b)는 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덮개부(700)가 숄더부(600)에 결합하는 경우, 덮개부(700)는 토출부(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밀폐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700)는 토출부(500)에 외력을 인가하여 토출부(500)의 밀폐부(520)가 유입홀(512)을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700)의 결합 시, 덮개부(700)의 가압면이 가압부(530)의 가압 지지면(536)을 하방 가압하고, 이에 따라 가압부(530) 및 밀폐부(52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폐부(520)의 밀폐돌기(522)가 유입홀(512)을 밀폐하여,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가 토출부(5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700)가 결합되는 경우, 용기부(200)에 대해 이중의 견고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장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덮개부(70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회전부(100)를 회전시키더라도, 화장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덮개부(700)가 숄더부(6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덮개부(700)는 토출부(500)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700)에 의해 가압부(530)를 하방 가압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540)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부(520) 및 가압부(5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밀폐돌기(522)가 밀폐하던 유입홀(512)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홀(512)로 용기부(200) 내의 화장료가 유입되고, 토출로(524)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덮개부(700)를 결합하여 견고한 이중의 밀폐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덮개부(700)를 분리하는 동작만으로, 이와 같은 이중의 밀폐를 간이하게 해제하여 화장료를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회전부 200: 용기부
300: 승하강 가이드부 400: 피스톤부
500: 토출부 600: 숄더부
700: 덮개부 1000: 화장품 용기

Claims (14)

  1. 화장품 용기로서,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는 회전부;
    화장료가 수용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용기부;
    하측으로 상기 회전부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 상기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용기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가이드부;
    상기 회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용기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화장료를 가압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화장료를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에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용기부의 외부 노출 영역이 감소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는 상기 용기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과 상기 용기부의 외주면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기 용기부가 승하강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승하강할 수 있는 비원형(non-circular)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은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용기부의 회전이 방지되는, 화장품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 저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 단부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피스톤 로드; 및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부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화장료를 가압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가 삽입되는 비원형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면은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상대 회전 시, 상기 피스톤부의 회전이 방지되는, 화장품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는 외용기; 및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외용기와 동기 회전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내측면에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돌기의 결합을 통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와 동기 회전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의 저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외력에 따라 상기 용기부를 개방 또는 밀폐하여 상기 화장료의 토출을 조절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용기부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유입홀에 대응하는 밀폐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밀폐부;
    상기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밀폐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유입홀을 밀폐하게 하는 가압부; 및
    상기 밀폐돌기가 상기 유입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밀폐부를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를 개방 또는 밀폐하기 위한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결합 시, 상기 덮개부에 의해 상기 외력이 인가되고, 상기 덮개부의 분리 시,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180116558A 2018-09-28 2018-09-28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211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558A KR102117100B1 (ko) 2018-09-28 2018-09-28 회전식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558A KR102117100B1 (ko) 2018-09-28 2018-09-28 회전식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654A true KR20200036654A (ko) 2020-04-07
KR102117100B1 KR102117100B1 (ko) 2020-05-29

Family

ID=7029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558A KR102117100B1 (ko) 2018-09-28 2018-09-28 회전식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84U (ko) * 2018-06-26 2021-02-03 샤 흐신 패키징 인더스트리 (차이나) 코., 엘티디. 회전 토출식 액체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245Y1 (ko) * 2004-01-15 2004-05-13 변재삼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KR101532539B1 (ko) * 2015-04-22 2015-07-02 (주)연우 립스틱 용기
KR101868276B1 (ko) * 2017-04-03 2018-06-15 경은진 퍼프를 가지는 피스톤 방식 화장품 용기
KR20180090013A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245Y1 (ko) * 2004-01-15 2004-05-13 변재삼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KR101532539B1 (ko) * 2015-04-22 2015-07-02 (주)연우 립스틱 용기
KR20180090013A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868276B1 (ko) * 2017-04-03 2018-06-15 경은진 퍼프를 가지는 피스톤 방식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84U (ko) * 2018-06-26 2021-02-03 샤 흐신 패키징 인더스트리 (차이나) 코., 엘티디. 회전 토출식 액체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100B1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466B1 (ko)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1537543B1 (ko) 회전개폐식 튜브용기
KR200471000Y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101446762B1 (ko) 화장품 용기
US20180295967A1 (en) Cosmetic container
KR200478584Y1 (ko)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US10897976B2 (en) Foundation container comprising pump having convenient pressurization
KR101521396B1 (ko) 밀폐식 액상 콤팩트 용기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US20190150591A1 (en) Portable container for containing foundation cream
KR20160000067U (ko) 금속 재질의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117100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20160037425A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20110043127A (ko) 화장품 용기
KR102140240B1 (ko) 화장품 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004283B1 (ko) 화장용기
KR20180049539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194121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910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729072B1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134295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